맨위로가기

마티아스 플라키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티아스 플라키우스는 16세기 루터교 개혁가이자 신학자, 역사가로, 현재의 크로아티아 라빈 출신이다. 그는 루터의 칭의론을 받아들여 개종하고, 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히브리어 교수로 활동했다. 아우크스부르크 및 라이프치히 임시 종교 협정에 반대하며 '순수 루터파'의 지도자가 되었으며, 《마그데부르크 교회 사기》 편찬을 주도했다. 또한, 《성경의 열쇠》를 저술하는 등 루터의 입장을 옹호하는 다수의 저작을 남겼다. 그의 강경한 태도는 여러 갈등을 낳았고, 여러 도시를 전전하다 프랑크푸르트에서 사망했다.

2. 생애

마티아스 플라키우스는 이스트리아 반도의 알보나(현재의 크로아티아령 라빈) 출신으로, 베네치아에서 인문주의 교육을 받았다. 17세에 프란체스코회 수도사가 되기를 희망했으나, 마르틴 루터의 생각에 공감하던 삼촌 발도 루페티노의 권유로 독일에서 신학을 공부했다.[10] 바젤, 튀빙겐을 거쳐 비텐베르크에서 루터와 필리프 멜란히톤을 만났다. 우울증을 앓던 플라키우스는 루터의 칭의론으로 극복하고 1539년 루터파로 개종, 24세에 비텐베르크 대학교 히브리어 교수가 되었다.[10]

루터 사후 1548년 아우크스부르크 임시 종교 협정과 라이프치히 임시 종교 협정 추진에 반대하며, 필리프 멜란히톤을 가톨릭에 타협적이라 비판했다. 마그데부르크로 피신하여 "순수 루터파"의 지도자가 되었다.

플라키우스는 언어학, 해석학, 교회사에 능통했다. 그는 가톨릭 및 멜란히톤파와의 논쟁을 통해 루터의 입장에서 성경교회의 위치를 재정립하고자 했다. 1552년부터 사도 시대부터 종교 개혁까지의 교회사 집필을 구상, 1554년 5명의 집필·감수자를 결정했다. 그러나 견해 차이로 잦은 교체가 있었고, 가톨릭 측의 사료 독점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559년부터 1574년까지 『마그데부르크 교회 사기(en)』를 간행했다. 이 책은 세기별로 권을 나누고 테마별 장을 구성하는 획기적인 방식이었고, 루터 사상에 충실하여 가톨릭을 철저히 비판했다. 4세기 에우세비오스의 『교회사』 이후 최초의 포괄적 교회사로서 가톨릭에 충격을 주었다. 1567년 『성경의 열쇠』 등 루터 옹호 저작을 다수 간행했다.

그러나 강경한 반가톨릭 태도는 개신교 내에서도 마찰을 빚었다. 1557년 예나 대학교 해석학 교수로 초빙되었으나 4년 후 쫓겨났다. 레겐스부르크, 안트베르펜, 스트라스부르 등지를 전전하다 1575년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서 추방되어 병사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마티아스 플라키우스는 1520년 당시 베네치아 공화국의 영토였던 이스트리아 반도의 라빈(현재 크로아티아령)에서 태어났다.[6] 그의 아버지 안드레아 블라치치는 작은 토지를 소유한 지주였고,[6] 어머니 야코베아 루치아니는 부유한 알보나 시민 가문 출신이었다.[6] 플라키우스 가문은 이스트리아 지역의 슬라브계 주민이었다.[2][3]

플라키우스는 16세에 베네치아에서 지암바티스타 치펠리에게 르네상스 인문주의 교육을 받았다.[6] 17세에 프란체스코회 수도사가 되려고 했으나, 루터 사상에 공감하던 숙부 발도 루페티노의 권유로 독일에서 신학을 공부하게 되었다.[10] 이후 루페티노는 루터파 신앙을 고백하고 처형당했다.

1539년 플라키우스는 바젤 대학교에 '마테우스 데 프란키스티스 [프랑코비치] 데 알보나'라는 이름으로 입학하여 학업을 시작했다.[5][6] 이후 튀빙겐 대학교를 거쳐 비텐베르크 대학교로 가서(1541년) 필리프 멜란히톤의 환영을 받았다.[6] 튀빙겐에서는 이스트리아 출신의 튀빙겐 대학교 그리스어 교수인 마티야 그르바치의 집에서 지냈다.[6] 그는 그곳에서 마르틴 루터의 영향을 받았다. 1544년, 플라키우스는 비텐베르크 대학교의 히브리어 교수로 임명되었다.[10] 1546년 2월 24일에는 석사 학위를 마치고 졸업생 중 1위를 차지했다.[10] 그는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었지만, 루터의 칭의론에 접함으로써 이를 극복하고, 19세(1539년)에 정식으로 루터파로 개종했다.

2. 2. 신학적 입장과 활동

플라키우스는 마르틴 루터 사후 아우크스부르크 임시 종교 협정과 필리프 멜란히톤의 타협안인 라이프치히 임시 종교 협정에 강력히 반대했다. 멜란히톤은 그를 배신자라고 비난하며 독설을 퍼부었다. ("aluimus in sinu serpentem", "우리는 품 안에 뱀을 길렀다").[10] 1549년, 플라키우스는 마그데부르크로 이주하여 인쇄소 관리인이 되었다. 마그데부르크는 임시 종교 협정에 반발하는 "순수 루터파"의 거점이 되었고, 플라키우스는 그 지도자로 추앙받았다.

1557년 5월 7일, 예나 대학교의 신약 성경 교수로 임명되었지만, 곧 동료인 빅토리누스 슈트리겔과 공동 행위 논쟁(개종에 있어서 의지의 기능과 관련된)으로 논쟁에 휘말렸다.[10] 그는 1557년과 1562년 사이에 이 대학에 머물렀다.[11]

플라키우스는 인간의 자연적인 무능력을 긍정하며, 인간 본성의 우연이 아니라 그 본질에 포함되어 있으며, 인류의 타락 이후부터 그랬다는 입장을 취했다.[10] 칼뱅주의에서 전적 타락이라고 부르는 관점을 가지며, 인간 본성은 원죄에 의해 완전히 변질되었고, 인간은 선으로부터 변질되어 거의 전적으로 으로 부패하여, 악마와 동족이 되었으며, 신의 도움 없이는 복음에 협력할 능력조차 없다고 주장했다. 인간의 경건한 행위는 그 자체로는 무가치하며, 인간은 구원을 위해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총에 의존한다고 보았다. 이 점에 동의하는 사람들은 플라키우스파라고 불렸다.

교회의 징계를 거부하고, 그는 1561년 12월에 예나를 떠나 레겐스부르크에 아카데미를 설립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10] 1566년 10월에 안트베르펜의 루터교 공동체의 부름을 받아들였다. 1567년 초 전쟁의 위협으로 인해 쫓겨나 프랑크푸르트로 갔지만, 그곳 당국은 그에게 반대했다. 그는 스트라스부르로 가서 감독관 요하네스 마르바흐의 호의를 받았다. 여기에서도 그의 종교적 견해는 논란을 일으켰다. 당국은 그에게 1573년 5월 1일까지 도시를 떠나라고 명령했다. 백색 부인회의 수도원장인 카타리나 폰 메어펠트는 프랑크푸르트에서 그와 그의 가족을 비밀리에 보호했고, 그곳에서 그는 병을 얻어 1575년 3월 11일에 사망했다.[10]

플라키우스는 언어학, 해석학, 교회사 분야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했다. 그는 가톨릭 및 멜란히톤파와의 신학 논쟁을 통해, 루터의 입장에 따라 다시 성경교회의 위치를 정립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1552년경부터 교회가 사도 시대부터 오늘날의 타락과 재생(종교 개혁)까지의 역사를 쓰는 구상을 밝히고 준비에 들어갔다. 그는 1559년부터 1574년까지 『마그데부르크 교회 사기(en)』를 저술, 간행하였다. 이 책은 세기 단위로 권을 나누고, 그 안에서 테마별로 장을 나누는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스타일이었다. 또한 루터의 생각에 충실할 것을 목표로 철저한 가톨릭 비판을 했다. 1567년에는 성경의 권위의 근원을 해석학적 측면에서 연구한 『성경의 열쇠』를 간행하는 등, 루터의 입장을 옹호하는 다수의 저작을 간행했다.

그러나, 그의 강경하고 비타협적인 반가톨릭적 태도는, 같은 프로테스탄트를 포함하여 각 방면에 마찰을 일으켰다.

2. 3. 가족 관계

플라키우스는 1545년 비텐베르크에서 목사의 딸과 결혼하여 12명의 자녀를 두었다.[10] 1564년 아내가 사망하자 레겐스부르크에서 재혼하여 6명의 자녀를 더 낳았다.[10] 그의 아들 마티아스 플라키우스 주니어는 로스토크 대학교논리학의학 교수였다.[10]

2. 4. 죽음

1575년 프랑크푸르트에서 추방당했으며, 이미 병든 몸이었고, 곧 그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3. 신학

플라키우스는 인간의 본성적 무능함을 강조하며, 죄가 인간 본성의 우연성이 아니라 타락에 의한 실질적인 물질이라고 주장했다.[10] 그는 칼뱅주의전적 타락 교리와 유사한 관점을 갖고 있었으며, 인간의 본성은 원죄에 의해 전적으로 타락되었고, 하나님의 도움이 없이는 복음과 협력할 의지조차 없다고 강조했다.[10] 구원을 위해서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플라키우스는 아우크스부르크 잠정 협약과 필리프 멜란히톤의 타협안인 라이프치히 잠정 협약에 강력히 반대했다. 멜란히톤은 그를 배신자라고 비난하며 독설을 퍼부었다. 1557년, 플라키우스는 예나의 신학부에서 신약 성경 교수로 임명되었지만, 곧 그의 동료인 빅토리누스 슈트리겔과 공동 행위 논쟁(개종에 있어서 의지의 기능과 관련된)으로 논쟁에 휘말렸다.[10]

플라키우스는 인간 본성에 포함되어 있으며, 인류의 타락 이후부터 그랬다는 입장을 취했다.[10] 인간은 선으로부터 변질되어 거의 전적으로 으로 부패하여 악마와 동족이 되었으며, 따라서 신의 도움 없이는 복음에 협력할 능력조차 없다고 주장했다. 인간의 경건한 행위는 그 자체로는 무가치하며, 인간은 구원을 위해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총에 의존한다고 보았다. 키리아쿠스 슈팡겐베르크와 같이 이 점에 동의하는 사람들은 플라키우스파라고 불렸다.

4. 주요 저작

플라키우스는 해석학, 교회사,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저술을 남겼다.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 De vocabulo fideila (1549)
  • De voce et re fideila (1555)
  • https://digitale-sammlungen.de/en/view/bsb10207652 Antilogia Papaela (1555)
  • Catalogus testium veritatis, qui ante nostram aetatem reclamarunt Papaela (1556)
  • Confessio Waldensiumla (1558)
  • Konfutationsbuchla (1559)
  • ''Ecclesiastica historia, integram Ecclesiae Christi ideam ... secundum singulas Centurias, perspicuo ordine complectens ... ex vetustissimis historicis ...congesta: Per aliquot studiosos et pios viros in urbe Magdeburgica'' (1559–1574)
  • ''성서의 열쇠 또는 성경의 언어에 관하여''(1567)
  • Glossa compendiaria in Novum Testamentumla (1570)

4. 1. 마그데부르크 백년사 (Ecclesiastica Historia)

《마그데부르크 백년사》(Ecclesiastica Historia)는 1559년에 제1권이 간행되었고, 1574년13세기를 다룬 제10권이 간행된 기념비적인 교회사 저술이다. 플라키우스가 주도하여 저술하였으며, 사도 시대부터 13세기까지의 교회 역사를 다루고 있다.[5] 각 세기별로 내용을 구분하고, 주제별로 장을 나누는 혁신적인 서술 방식을 채택했다.[5]

플라키우스는 1552년경부터 교회가 사도 시대부터 종교 개혁까지의 역사를 쓰는 구상을 밝혔고, 1554년에 5명의 집필·감수자를 결정하여 구체화했다.[5] 그러나 종교적 견해 대립 등으로 집필진이 여러 번 교체되었고, 가톨릭 측이 중요 사료를 쥐고 있어 자료 수집에도 어려움을 겪었다.[5]

이 책은 철저한 가톨릭 비판을 담고 있어 중립적인 관점에서는 문제가 있지만,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저작으로 평가받았다. 4세기에 에우세비오스가 《교회사》를 간행한 이후, 고대부터 일관된 교회사의 책은 존재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가톨릭 측에도 충격을 주었다.[5]

하지만, 집필진의 내분으로 14세기 이후의 담당자를 결정하지 못하고, 1575년 플라키우스 자신이 사망했기 때문에 미완으로 끝났다.[5]

4. 2. 성경의 열쇠 (Clavis Scripturae Sacrae)

플라키우스는 1567년 성경의 권위의 근원을 해석학적 측면에서 연구한 ''성서의 열쇠''(Clavis Scripturae Sacrae)를 간행했다. 이 책은 성경의 권위와 해석 원리를 다루며, 플라키우스의 해석학적 통찰력을 보여준다. 그는 루터의 성경 해석 원리를 옹호하며, 성경의 자명성과 명료성을 강조했다.

4. 3. 기타 저작

5. 영향 및 평가

플라키우스는 언어학뿐만 아니라, 해석학교회사 분야에서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는 가톨릭교회 및 멜란히톤파와의 신학 논쟁을 통해, 마르틴 루터의 입장에 따라 다시 성경교회의 위치를 정립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10]

그가 주도한 『마그데부르크 교회 사기(諸世紀敎會史)』(''Ecclesiastica Historia...'')는 1559년 제1권이 간행되었고, 1574년 13세기를 다룬 제10권이 간행되었지만, 집필진의 내분과 플라키우스 자신의 사망으로 미완으로 끝났다. 그러나 세기 단위로 권을 나누고, 그 안에서 테마별로 장을 나누는 방식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이었다. 이 책은 루터의 생각에 충실하고 가톨릭에 비판적이었기에 중립적인 관점에서는 문제가 있었으나, 4세기 에우세비오스의 『교회사』 이후 고대부터 일관된 교회사가 없었기 때문에 가톨릭 측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10]

1567년 성경의 권위를 해석학적 측면에서 연구한 『성경의 열쇠』(''Clavis Scripturae Sacrae...'')를 간행하는 등, 루터의 입장을 옹호하는 다수의 저작을 간행했다.[10] 그의 "historia est fundamentum doctrinae"(역사는 교리의 기초)라는 공식은 당대보다 현재에 더 잘 이해되고 있다.[10]

그러나, 그의 강경하고 비타협적인 반가톨릭적 태도는 개신교를 포함, 각 방면에 마찰을 일으켰다.

5. 1. 한국에서의 평가

플라키우스는 칼뱅주의의 전적 타락 교리와 유사한 관점을 가졌다. 그는 인간 본성이 원죄로 인해 완전히 타락했으며, 하나님의 도움이 없이는 복음과 협력할 의지조차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구원을 위해서는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가 필수적임을 강조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FLACIO, Mattia, o Flacio Illirico https://www.treccani[...] Enciclopedia Italiana 2021-01-28
[2] 웹사이트 Surname Vlačić https://actacroatica[...] Acta Croatica 2021-01-28
[3] 웹사이트 Valah https://dexonline.ro[...] dexonline.ro 2018-06-18
[4] 서적 Matija Vlačić Ilirik Jugoslavenska akademija znanosti i umietnosti 1960
[5] 서적 Die Matrikel der Universität Basel Verlag der Universitätsbibliothek 1956
[6] 서적 Theologian of Sin and Grace: The Process of Radicalization in the Theology of Matthias Flacius Illyricus Volume 225 of Veröffentlichungen des Instituts für Europäische Geschichte Mainz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2014
[7] 서적 Die Anstellung des Flacius Illyricus Gütersloher Verlagshaus 1904
[8] 간행물 Croatian Philosophers IV: Matija Vlačić Ilirik – Mathias Flacius Illyricus (1520–1575) https://hrcak.srce.h[...] Udruga za promicanje filozofije 2022-03-27
[9] 서적 Matthias Flacius Illyricus, eine Vorlesung: Mit autobiographischen Beilagen und einer Abhandlung über Melanchtons Verhalten zum Interim G. Bethge 1844
[10] 서적 Flacius, Matthias
[11] 서적 Jugoslovenski književni leksikon Matica srpska 1971
[12] 뉴스 Un erou modern http://www.istrianet[...] 2004-10-19
[13] 간행물 Matthias Flacius Illyricus https://revistatrans[...]
[14]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Matthias Flacius Illyricus European religious reformer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