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도 시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도 시대는 초기 기독교 시대를 지칭하며, 예수의 죽음과 부활 이후부터 기독교가 유대교에서 분리되어 독립적인 종교로 발전하기까지의 시기를 포괄한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초기 기독교는 유대교의 묵시론적 배경에서 기원하여 예수의 생애와 사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예수의 부활 이후 제자들은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공동체를 형성했고, 이방인 선교를 통해 기독교는 헬레니즘 세계로 확장되었다. 사도 바울은 이방인 선교의 핵심 인물이었으며, 율법 준수 여부에 대한 논쟁을 거쳐 기독교는 유대교와 점차 분리되었다.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는 박해를 받았지만, 결국 공인되었고, 현대 기독교 교단들은 사도 시대와의 연관성을 강조하며 정통성을 주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수의 추종자 - 아리마태아의 요셉
    아리마태아의 요셉은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비밀 제자이자 산헤드린 의회 의원으로, 예수의 장례를 치렀으며, 후대에 성배의 수호자나 영국에 기독교를 전파한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고, 가톨릭교회 등에서 성인으로 존경받는다.
  • 예수의 추종자 -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는 예수의 어머니로서 기독교와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며, 기독교에서는 '하느님의 어머니' 등으로 공경받고 동정녀 잉태의 믿음이 있으며, 이슬람에서는 마르얌으로 불리며 존경받는 여성으로, 그녀의 생애는 성경과 외경, 전승, 예술 작품의 주요 모티프로 전해진다.
  • 1세기 기독교 - 사도행전
    사도행전은 신약성경의 다섯 번째 책이자 누가복음과 함께 누가-사도행전으로 불리는 작품의 후반부로, 예수의 승천 이후 사도들의 활동과 초기 교회의 성장, 특히 베드로와 바울의 활동을 중심으로 예루살렘에서 로마까지 복음이 전파되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 1세기 기독교 -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에베소인들에게 보낸 편지는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한 구원과 성도들의 연합 및 순결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사랑을 본받아 서로 사랑하고 하나됨을 유지하며 거룩한 삶을 살 것을 권면하는 신약성서의 서신이다.
  • 신약성경 - 사도행전
    사도행전은 신약성경의 다섯 번째 책이자 누가복음과 함께 누가-사도행전으로 불리는 작품의 후반부로, 예수의 승천 이후 사도들의 활동과 초기 교회의 성장, 특히 베드로와 바울의 활동을 중심으로 예루살렘에서 로마까지 복음이 전파되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 신약성경 -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에베소인들에게 보낸 편지는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한 구원과 성도들의 연합 및 순결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사랑을 본받아 서로 사랑하고 하나됨을 유지하며 거룩한 삶을 살 것을 권면하는 신약성서의 서신이다.
사도 시대
개요
사도신경
사도신경
시기기원후 1세기
관련 사건예수의 생애와 가르침
예수십자가형과 부활
성령 강림
사도들의 선교 활동
최초의 기독교 공동체 형성
주요 인물예수
베드로
바울로
야고보
요한
관련 성경신약성경
특징유대교 내의 한 분파로 시작
예수의 가르침과 삶을 따르는 공동체
세례와 성찬례 등의 예식
박해 속에서도 신앙을 지킴
역사적 배경
정치적 상황로마 제국의 지배 하
유대 사회의 불안정
사회적 상황다양한 종교와 문화의 공존
빈부 격차 심화
종교적 상황유대교의 다양한 분파 (바리새파, 사두개파, 에세네파 등)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
주요 사건 및 발전
예수의 활동과 죽음예수의 공생애 (가르침, 기적, 십자가형, 부활)
성령 강림과 교회의 시작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 예루살렘 교회 설립
사도들의 선교 활동베드로의 유대인 대상 선교
바울로의 이방인 대상 선교 (소아시아, 그리스, 로마 등)
최초의 기독교 공동체예루살렘 교회의 공동체 생활
재산 공유, 기도, 예배
박해와 순교유대인과 로마 제국의 박해
스테파노의 순교
신약성경의 형성복음서, 서신서, 요한계시록 등의 기록
397년 카르타고 공의회에서 정경으로 인정 (refnest 주석 참조)
신학적 특징
핵심 교리삼위일체 (성부, 성자, 성령)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구원 (믿음을 통한 구원)
부활과 영생
윤리적 가르침사랑 (하느님 사랑, 이웃 사랑)
용서
겸손
정의
조직 및 예배
조직 구조사도 중심의 지도 체제
장로, 집사 등의 직분
예배 방식기도
찬양
성경 봉독
설교
세례와 성찬례
영향 및 의의
후대 기독교에 미친 영향기독교 신학 및 교리 형성의 토대
교회 조직 및 예배 방식의 기원
기독교 문화와 예술의 발전에 기여
역사적 의의세계 종교로서의 기독교의 시작
서구 문명 형성에 지대한 영향
참고 자료
관련 용어원시 기독교 (Urchristentum)
사도 시대
초대 교회
신약성경
관련 인물예수
사도
바울로
관련 문서신약성경
사도행전
기타
구분 기준신약성경의 성립을 기준으로 초기 기독교와 구분 (refnest 주석 참조)

2. 용어

초기 유대인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을 "그 길"(ἡ ὁδός|헤 호도스grc)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이사야 40:3의 "주의 길을 예비하라"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 다른 유대인들은 그들을 "나자렛 사람들"이라고 불렀다. 사도행전 11:26에 따르면 "그리스도인"(Χριστιανός|크리스티아노스el)이라는 용어는 "그리스도의 추종자"를 의미하며, 예수제자들을 지칭하는 데 처음 사용된 곳은 안티오크 도시였다. "기독교"(Χριστιανισμός|크리스티아니스모스|links=noel)라는 용어의 가장 초기의 기록은 100년경 안티오크의 이그나티우스에 의해 사용되었다.

초기 기독교·기독 교회를 나타내는 용어는 다양하며, 원시 기독교[123], 원시 교단[124], 원시 교회[125], 사도 시대 교회, 초대 교회[126] 등으로 불린다. 이 용어들은 모두 초기 기독교를 가리키지만, 그 범위와 뉘앙스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3. 기원

초기 기독교는 제2성전 유대교의 묵시론 종파에서 기원했다.[8] 당시 유대교의 기본 교리는 윤리적 일신교였으며, 유대인들은 하느님이 자신들을 선택하여 언약을 맺었고, 그 언약의 일환으로 토라를 주어 안식일 준수, 코셔 음식 규정 준수, 할례 시행 등을 요구했다고 믿었다. 예루살렘 성전은 유대교에서 가장 성스러운 장소였고, 회당은 유대교 성서를 기도하고 연구하는 중심지였다.

기독교는 서기 1세기의 헬레니즘 세계에서 "로마 팔레스타인에서 유대교의 한 종파로 등장"했으며, 이 세계는 로마법그리스 문화가 지배했다. 당시 유대인들의 주요 과제는 헬레니즘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종교적 전통을 유지할 것인가였다. 서기 1세기 초 성지에는 바리새파, 사두개파, 에세네파 등 여러 유대 종파들이 있었고, 이들은 헬레니즘화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취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대 묵시론이 널리 퍼졌다. 묵시론은 하느님이 악의 세력을 파괴하고 영원한 왕국을 세울 것이며, 이를 위해 메시아를 보낼 것이라는 믿음이었다. ''메시아'' (히브리어: meshiach|메시아he)는 "기름 부음을 받은 자"를 의미하며, 유대 왕, 제사장, 예언자 등을 지칭했다. 제2성전 시대에는 메시아가 누구이며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없었다. 가장 흔하게는 "심판을 집행하고, 하느님의 적을 물리치며, 회복된 이스라엘을 다스리고, 영원한 평화를 세우는" 다윗의 아들로 여겨졌지만, 완벽한 제사장이나 천상의 사람의 아들과 같이 다른 종류의 메시아적 인물들도 제안되었다.

3. 1. 유대-헬레니즘적 배경

초기 기독교는 제2성전 유대교의 묵시론 종파에서 기원했다.[8] 제2성전 유대교의 기본 교리는 윤리적 일신교였다. 유대인들은 하느님이 자신들을 당신의 백성으로 선택하셨고, 그들과 언약을 맺었다고 믿었다. 이 언약의 일환으로 하느님은 자신의 백성에게 토라 (율법)를 주어 하느님을 숭배하고 서로 교류하는 데 지침이 되도록 했다. 이 율법은 유대인들에게 안식일을 지키고, 코셔 음식 규정을 따르며, 남자 아이들의 할례를 행하도록 요구했다. 유대교의 가장 성스러운 장소는 예루살렘 성전이었으며, 회당은 유대교의 성서를 기도하고 연구하는 중심지였다.

기독교는 서기 1세기의 헬레니즘 세계에서 "로마 팔레스타인에서 유대교의 한 종파로 등장"했으며 이 세계는 로마법그리스 문화가 지배했다. 이 시기 유대인들에게 주요 과제는 헬레니즘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종교적 전통을 유지할 것인가였다. 서기 1세기 초에는 성지바리새파, 사두개파, 에세네파 및 기타 집단을 포함한 많은 경쟁 유대 종파들이 있었다. 각 그룹은 헬레니즘화에 대해 다른 입장을 취했다.

이러한 외세의 지배 속에서 유대 묵시론이 널리 퍼졌다. 묵시론은 하느님이 곧 세상을 지배하는 악의 우주적 세력을 파괴하고 영원한 왕국을 세울 것이라는 믿음이다. 이를 위해 하느님은 구원자 혹은 메시아를 보낼 것이다. ''메시아'' (히브리어: meshiach|메시아he)는 "기름 부음을 받은 자"를 의미하며, 유대 왕과 일부 경우에는 제사장과 예언자를 지칭하기 위해 성경에서 사용되었으며, 이들의 지위는 거룩한 기름 부음으로 상징되었다.

제2성전 시대에는 메시아가 누구이며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없었다. 가장 흔하게, 그는 "심판을 집행하고, 하느님의 적을 물리치며, 회복된 이스라엘을 다스리고, 영원한 평화를 세우는" 일을 하는 다윗의 아들로 상상되었다. 메시아는 종종 "왕 메시아" () 또는 아람어로 ''말카 메쉬하''라고 불렸다. 그러나, 완벽한 제사장이나 죽은 자의 부활과 최후의 심판을 가져오는 천상의 사람의 아들과 같이 다른 종류의 메시아적 인물들도 제안되었다. 이 개념은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전 1세기의 묵시 문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

3. 2. 예수의 생애와 사역

초기 기독교는 제2성전 유대교의 한 분파로 시작되었다.[8][9] 당시 유대교는 윤리적 일신교를 기본 교리로 삼았으며, 유대인들은 하느님이 자신들을 선택하여 언약을 맺었다고 믿었다. 이 언약에 따라 하느님은 토라를 주어 안식일 준수, 코셔 음식 규정 준수, 할례 시행 등을 요구했다. 예루살렘 성전은 유대교에서 가장 성스러운 장소였으며, 제사장들이 제물을 바쳤다. 회당은 유대교 성서를 연구하고 기도하는 중심지였다.

기독교는 1세기 헬레니즘 세계에서 "로마 팔레스타인에서 유대교의 한 종파로 등장"했으며, 로마법그리스 문화가 지배적인 영향을 미쳤다. 당시 유대인들은 헬레니즘화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주요 과제였다. 1세기 초 성지에는 바리새파, 사두개파, 에세네파 등 다양한 유대 종파가 있었으며, 이들은 헬레니즘화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취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대 묵시론이 널리 퍼졌다. 묵시론은 하느님이 악의 세력을 파괴하고 영원한 왕국을 세울 것이며, 이를 위해 메시아를 보낼 것이라는 믿음이었다. ''메시아''는 "기름 부음을 받은 자"를 의미하며, 유대 왕, 제사장, 예언자 등을 지칭했다. 이 용어는 다윗 왕과 가장 관련이 깊으며,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은 미래의 다윗 왕을 예견했다.

제2성전 시대에는 메시아가 누구이며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없었다. 그는 "심판을 집행하고, 하느님의 적을 물리치며, 회복된 이스라엘을 다스리고, 영원한 평화를 세우는" 다윗의 아들로 여겨졌다. 그러나 완벽한 제사장이나 천상의 사람의 아들과 같이 다른 종류의 메시아적 인물들도 제안되었다.

나사렛 예수십자가형을 받고 죽은 후, 제자들과 여성들은 예수가 부활했다는 체험을 공유했다.[129] 예루살렘에서 최초의 기독교인 그룹이 형성되었고, 이들은 예수를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로 숭배하며 재림을 기다렸다.[129] 베드로, 요한, 예수의 형제 야고보 등이 이 그룹에 속했지만, 이들은 자신들이 유대교도라는 것을 의심하지 않았다.[129] 기도성찬의 초기 형식이 정비되었고, 공동 생활과 공유 재산의 관념도 생겨났다.[129]

원시 교단은 유대인과 헬레니스트 유대인으로 이루어져 있었지만, 점차 이방인에게도 퍼져나갔다. 교단 내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맡는 자들이 나타나 조직화가 추진되었고, 세례, 치유, 악령 퇴치, 구제, 봉사 등이 행해졌으며, "집사" 직무가 설치되었다.[129][131]

스테파노 그룹은 사마리아나 시리아에 "복음"을 전하는 선교 여행을 떠났고, 베드로와 바울도 이방인에게 전도를 하여, 예수의 가르침은 에게 해 주변의 여러 도시와 로마에 도달했다.[129]

그러나 원시 교회에서의 그리스도 해석은 통일되지 않았고, 각 집단의 교의도 달랐다는 견해가 있다. 초기 기독교는 에비온파, 마르키온파, 영지주의, 원시 정통 기독교의 4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원시 정통 기독교는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통파의 지위를 확립했다.[132]

3. 2. 1. 역사적 인물

대부분의 역사학자는 예수의 역사적 실존을 인정하며, 세례십자가형은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여진다.[12][13][14] 그러나 복음서에 기록된 세부 내용과 가르침의 의미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3. 2. 2. 사역과 종말론적 기대

정경 복음서에서 예수의 사역은 로마 유대요르단강 인근에서 시작하여 최후의 만찬 이후 예루살렘에서 그의 제자들과 함께 끝을 맺는다.

마태오 8장에서 시작하는 주요 갈릴리 사역은 열두 사도의 임명을 포함하며 갈릴리에서의 예수의 사역 대부분을 다룬다.[21]

공관 복음서 (마태오, 마르코, 루카)에서 유대 종말론이 중심을 이룬다. 세례를 받은 후, 예수는 1년 또는 몇 달 동안 광범위하게 가르치며 곧 임할 하느님 나라(마태오 복음서에서는 하늘 나라)를 경구와 비유를 통해 직유법과 수사법을 사용하여 선포한다.[27]

공관 복음서는 하느님 나라에 대한 다른 견해를 제시한다. 하느님 나라는 본질적으로 종말론(세상의 종말과 관련)적으로 묘사되어 가까운 미래에 현실이 되지만, 어떤 본문에서는 하느님 나라가 이미 존재한다고 제시하는 반면, 다른 본문에서는 하느님 나라를 죽음 이후 들어가는 천국의 장소 또는 세상의 하느님의 현존으로 묘사한다. 예수는 자신의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 하느님 나라에 포함될 것을 약속한다(Mark 10:13–27). 예수는 하늘로부터 "사람의 아들"이 올 것을 기대하며, "다가올 심판과 이스라엘의 구원"을 시작할 묵시록적 인물로 이야기한다.

예수의 생애는 십자가형 처형으로 끝났다. 그의 초기 추종자들은 그가 죽은 지 사흘 만에 육체적으로 부활했다고 믿었다.

조반니 바티스타 티에폴로의 ''십자가형'', c. 1745–1750, 세인트루이스 미술관

3. 3. 유대 기독교

초기 기독교인들은 묵시론 종파였으며, 제2성전 유대교의 일원이었다.[8][9] 당시 유대교의 기본 교리는 윤리적 일신교였다. 유대인들은 하느님이 자신들을 선택하여 언약을 맺었다고 믿었다. 이 언약에 따라 하느님은 토라 (율법)를 주어, 하느님을 숭배하고 서로 교류하는 지침으로 삼게 했다. 율법은 안식일 준수, 코셔 음식 규정 준수, 할례 시행 등을 요구했다.[10] 예루살렘 성전은 유대교의 가장 성스러운 장소였으며, 이곳에서 제사장들이 제물을 바쳤다. 팔레스타인과 디아스포라 전역의 유대인들은 회당을 유대교 성서를 기도하고 연구하는 중심지로 삼았다.[11]

기독교는 1세기 헬레니즘 세계에서 "로마 팔레스타인에서 유대교의 한 종파로 등장"했으며,[12] 이 세계는 로마법그리스 문화가 지배했다.[13] 당시 유대인들의 주요 과제는 헬레니즘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종교적 전통을 유지할 것인가였다.[14] 1세기 초 성지에는 바리새파, 사두개파, 에세네파 등 여러 유대 종파들이 있었고, 각 그룹은 헬레니즘화에 대해 다른 입장을 취했다.[15]

이러한 상황에서 유대 묵시론이 널리 퍼졌다. 묵시론은 하느님이 곧 악의 세력을 파괴하고 영원한 왕국을 세울 것이라는 믿음이다. 이를 위해 하느님은 메시아를 보낼 것이었다.[16] ''메시아'' (히브리어: meshiachhe)는 "기름 부음을 받은 자"를 의미하며, 유대 왕과 제사장, 예언자를 지칭하는 말이었다. 다윗 왕과 가장 관련이 깊은 이 용어는, 다윗 왕국 멸망 후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 등의 예언자들에 의해 미래의 다윗 왕을 예견하는 개념으로 재확인되었다.[17]

제2성전 시대에는 메시아가 누구이며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없었다.[18] 가장 흔하게는 "심판을 집행하고, 하느님의 적을 물리치며, 회복된 이스라엘을 다스리고, 영원한 평화를 세우는" 다윗의 아들로 여겨졌다.[19] 그러나 완벽한 제사장이나 천상의 사람의 아들과 같이 다른 종류의 메시아적 인물들도 있었다.[20][21]

전통적으로 예수의 죽음부터 마지막 열두 사도의 죽음까지를 사도 시대라고 부른다.[22] 최초의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알고 그의 부활을 증언했던 이들이었다.[23] 이들은 종말론적 종말론을 가진 유대교 분파였다. 이들은 예수를 주, 부활한 메시아, 하나님의 아들로 여겼으며,[24][25] 예수의 재림하나님 나라의 시작을 기대했다.

나사렛 예수십자가형을 받고 죽은 후, 제자들은 예루살렘에서 초기 기독교 공동체를 형성했다.[129] 이들은 유대교 율법을 지키면서 예수를 메시아로 믿는 신앙을 공유했다. 이들은 기도성찬의 초기 형식을 정비하고, 공동 생활과 공유 재산 관념을 발전시켰다.[129]

원시 교단은 유대인과 헬레니스트 유대인으로 이루어져 있었지만, 점차 이방인에게도 퍼져나갔다. 교단 확대에 따라 예수를 직접 모르는 신자들 중에서도 지도자가 나타나 조직화가 추진되었다. 세례치유, 악령 퇴치, 구제와 봉사 등이 행해졌고, "집사" 직무가 설치되었다.[129][131]

디아스포라 유대교도에 의한 예루살렘 교회 박해를 계기로, 집사 스테파노 그룹이 사마리아와 시리아에 "복음"을 전파했다. 스테파노 순교 후 베드로와 바울도 이방인에게 전도하여, 예수의 가르침은 에게 해 주변 도시와 로마에 도달했다.[129]

기독교는 유대교를 모체로 하여, 유대교의 한 분파로서 시작되었다.[133][134][135][136][137][138] 예수를 그리스도로 인정하는가 여부로 유대교 주류와는 결정적인 차이가 있었지만, 예수가 처형된 후에도 제자들은 유대교 제례에 매일 참여했다.[123][130] 신자들이 그리스도인이라고 처음 불리기 시작한 것은 바울이 전도안티오키아에서였으며,[142][143] 예수의 처형으로부터 십수 년 후[144]이다.

3. 3. 1. 예루살렘 ''에클레시아''

초기 기독교 공동체는 신약성경사도행전과 갈라디아서에 따르면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하였고, 베드로, 예수의 형제 야고보, 사도 요한이 지도자였다.[41] 예수의 현현으로 정당성을 얻은 베드로가 예루살렘 ''ekklēsia''의 첫 번째 지도자였으나,[35] 곧 "주의 형제"인 의로운 야고보에게 지도력을 넘겨주었다. 유대 율법 준수의 엄격함에 대한 논의에서 더 보수적인 의로운 야고보 파벌이 더 자유주의적인 베드로를 능가하여 베드로가 영향력을 잃었다는 설명이 있다. 던(Dunn)에 따르면, 이것은 베드로의 선교 활동 참여 결과였다.[42] 예수의 친족은 이 공동체 내에서 특별한 지위를 받았으며, 이는 예루살렘에서 의로운 야고보의 지위 상승에 기여했다.

이들은 예수를 주, 부활한 메시아, 영원히 존재하는 하나님의 아들로 여겼으며,[40] 예수의 재림하나님 나라의 시작을 기다렸다. 그들은 동족 유대인들에게 이러한 사건을 준비하고 주님의 "길"을 따르도록 촉구했다.

에우세비우스와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예루살렘 교회는 제1차 유대-로마 전쟁 (66–73년)이 발발했을 때 펠라로 도피했다.[43]

예루살렘 공동체는 아람어와 그리스어를 모두 사용하는 유대인인 "히브리인"과 그리스어만 사용하는 유대인인 "헬레니스트"로 구성되었는데, 아마도 예루살렘으로 재정착한 디아스포라 유대인이었을 것이다. 던에 따르면, 바울의 초기 기독교인 박해는 성전에 반대하는 태도를 가진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헬레니스트"들을 겨냥한 것이었다. 이는 초기 유대 기독교 공동체 내에서 "히브리인"과 성막 준수와 구별되는 점이었다.

최초의 교회는 예루살렘에 성립한 것으로 여겨진다.[129] 나사렛 예수십자가형을 받고 죽은 후, 제자여성들 사이에서 예수의 강렬한 인격적 인상이 전해졌고, 예수의 생전 예언대로 부활했다는 모습을 보았다는 체험이 확신으로 공유되었다.[129] 지속적인 집회를 하는 최초의 기독교인 그룹이 형성된 곳은 예루살렘이었다.[129] 그곳에서는 예수를 "그리스도(구세주)", "하나님의 아들"로 숭배하며, 그의 재림을 기도하고 기다리는 예배가 행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129] 베드로, 요한 등 12명의 사도, 예수의 형제 야고보 등은 자신들이 유대교도라는 것을 의심하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129] 유대 전통을 바탕으로 성전에도 참배했다.[129][130] 점차 그들은 공동체를 만들고, 기도성찬의 초기 형식이 정비되었으며, 공동 생활, 공유 재산의 관념, 집회 유지를 위한 규칙도 정해져 갔을 것으로 생각된다.[129]

3. 3. 2. 신념과 관습

초기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주, 부활한 메시아, 하나님의 아들로 믿었다.[40] 그들은 예수의 재림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기대하며, 동족 유대인들에게 이러한 사건을 준비하고 주님의 "길"을 따르도록 촉구했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야훼가 유일하신 참 하나님이라고 믿었으며,[40] 천사사탄의 존재를 믿었다.[58] 이들은 매일 성전에 출석하고 전통적인 유대교 가정 기도를 드리는 등 유대교의 전통을 따랐다.

그러면서도 초기 기독교인들은 세례,[59] 성찬례와 사랑의 만찬(아가페 축제),[60][61] 성스러운 입맞춤,[66] 기독교 머리 수건,[67] 족세척[69] 등 독자적인 의식을 발전시켰다. 전례 의식은 유대교의 유월절, 싯두르, 세데르, 회당 예배에 뿌리를 두고 있었으며, 찬송가 (특히 시편)를 부르고 성경을 읽는 것을 포함했다.[70]

4. 신약 성경과 정경의 발전

초기 기독교인들은 인쇄술이 발명되기 전이었고 대부분 문맹이었기 때문에, 구전 복음 전승(예수의 말씀, 비유, 가르침 포함)[44], 복음서, 서신서, Q 자료[45][46][47] 등을 통해 예수의 가르침과 행적을 기록하고 전파했다. 이러한 자료들에는 부활한 예수를 믿는 초기 기독교 신조가 포함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고린도전서 15장 3-7절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49]

이 신조는 예수 사후 10년 이내, 혹은 40년대 이내에 예루살렘 사도 공동체에서 유래했다고 추정된다.[49] 요한일서 4장 2절, 디모데후서 2장 8절[50], 로마서 1장 3-4절 등도 초기 신조에 해당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문헌들은 기독교 신앙의 기준으로 여겨지게 되었고, 사도 전승과 클레멘테 문헌 등을 기반으로 예배의 통일성이 굳어졌다. 클레멘스 1세(서기 99년 사망)는 예배가 "조심스럽고 질서 있게 거행되어야 한다"고 기록했다.[94]

신약성경(새로운 언약이라고도 함)은 정경 복음서, 사도행전, 사도들의 서신, 요한 계시록을 포함하며, 기독교 성경의 두 번째 주요 부분이다. 신약성경의 원본 텍스트는 다양한 저자에 의해 기원후 45년에서 120년 사이에 코이네 그리스어로 작성되었으며,[99] 4세기에 이르러 "정경"으로 정의되었다. 바울 서신은 1세기 말까지 유통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5. 이방인 선교와 교회의 성장

초기 유대인 기독교인들은 선교 활동을 통해 유대교로 개종한 이방인들을 끌어들였다. 기독교 선교는 "그 길"을 헬레니즘 세계와 로마 제국 너머까지 전파했으며, 동로마 제국 지역에 이방인 신자들이 있는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를 만들었다.[74] 초기 기독교 신앙은 케리그마(설교)로 선포되었으며, 구전 복음 전통을 통해 아람어로 전파되었지만, 곧 코이네 그리스어로도 전파되었다.[73]

예수님은 갈릴래아유대에서 유대인에게만 메시지를 전했지만, 그의 사후 추종자들은 유대인 디아스포라로 선교 범위를 확장했다. 사도들과 설교자들은 지중해 주변의 유대인 디아스포라 공동체를 여행하며 유대인 개종자들을 끌어들였다. 예수 사후 10년 안에, 사도들은 예루살렘에서 안티오크, 에베소, 고린도, 데살로니가, 키프로스, 크레타, 알렉산드리아, 로마까지 "그 길"의 추종자들을 모았다.[74] 100년까지 40개 이상의 교회가 세워졌으며,[74] 대부분 소아시아에 있었다.

초기 기독교인들이 선교를 확대하면서, 유대교에 관심을 가진 이방인들과도 접촉하게 되었다. "헬레니스트"라고 불리는, 초기 예루살렘 예수 운동에 속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은 안티오크에서 이방인에게 다가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바울의 선교를 포함하여 이방인 선교는 안티오크에서 시작되어 초기 기독교 운동을 변화시켰다. 제임스 던에 따르면, 예수 사후 10년 안에 "예수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메시아 운동은 다른 무언가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안티오크에서 우리는 새로운 운동을 '기독교'라고 부르기 시작할 수 있다."

사도 바울 시대에는 주교, 장로, 집사를 위한 명확하게 구분된 영토 관할 구역이 없었다.[75]

5. 1. 바울과 이방인의 포함

바울은 이방인 선교의 핵심 인물이었다. 그는 이방인들이 할례율법 준수 없이도 믿음을 통해 구원받을 수 있다고 가르쳤다.[80] 바울의 이러한 신학은 초기 기독교유대교와 분리되어 독립적인 종교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도 바울은 예루살렘의 초기 기독교 공동체와 교류하였으며,[77] 스스로를 "이방인의 사도"라 칭하며 개종 활동을 펼쳤다.[78] 그는 기독교를 에베소, 고린도, 빌립보, 데살로니가 등지로 전파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74]

바울은 성경의 예언자들이 예언한 종말론적 시대, 즉 이방 '이방인' 국가들이 우상에서 돌이켜 이스라엘의 유일하신 참 하나님을 받아들일 시대가 예수의 부활로 시작되었다고 보았다.[2] 그는 하나님께서 특별히 이방인들을 받아들이도록 자신을 부르셨다고 여겼다.[2]

크리스터 스텐달에 따르면, 바울의 주된 관심사는 죄인인 인간의 개별적 양심 문제가 아니라, 이방인(그리스인) 토라 준수자를 하나님의 언약에 포함시키는 문제였다.[80] 초기 기독교에 이방인들이 포함되면서, 일부 초기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의 유대교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81] 새로운 이방인 개종자들은 종교적 남성 할례를 받거나 모세 율법을 지킬 필요가 없었다.[81]

바울은 유대인의 모든 계명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에 강력하게 반대하며, 이를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한 구원 교리에 큰 위협으로 간주했다.[35] 폴라 프레드릭슨에 따르면, 바울의 이방인 남성 할례 반대는 "마지막 날에 이방인 국가들이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이방인으로 올 것이라는 구약의 예언과 일치한다."[35]

바울에게 예수의 죽음과 부활은 이방인들을 하나님의 언약에서 배제하는 문제를 해결했다. 믿는 자들은 예수의 죽음과 부활에 참여함으로 구원받기 때문이다. 바울은 구원이 하나님의 은혜로 받는 것이라고 주장했다.[86]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바울은 할례가 필수적인 행위가 아니라고 주장했고, 사도행전에 따르면 베드로가 이를 지지했다.[89] 공의회는 이방인 개종자들에게 대부분의 유대 율법을 면제하는 데 동의했다. 바울 신학에서 요구 사항을 완화함으로써, 유대 공동체를 넘어선 훨씬 더 큰 기독교 교회가 열리게 되었다.

6. 유대교와의 관계 및 분리

초기 기독교는 유대교의 한 분파로 시작되었다.[133][134][135][136][137][138] 예수의 죽음부터 마지막 열두 사도의 죽음까지의 기간을 사도 시대라고 부른다. 최초의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알고 그의 부활을 증언했던 이들이었다. 이들은 종말론적 종말론을 가진 유대교 분파였으며, 예수를 주, 부활한 메시아, 하나님의 아들로 여겼다.[40] 또한 예수의 재림하나님 나라의 시작을 기대했다.

지중해 분지는 바울의 삶과 관련이 있으며, 오른쪽 하단의 예루살렘에서 시작하여 왼쪽 상단의 로마까지 뻗어 있다.


바울은 기독교를 에베소, 고린도, 빌립보, 데살로니가로 전파하는 데 책임이 있었다. 래리 허타도에 따르면, 바울은 예수의 부활을 이방 국가들이 우상에서 돌이켜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받아들일 종말론적 시대를 열었다고 보았으며, 하나님께서 이방인들을 부르셨다고 여겼다.[2]

크리스터 스텐달은 바울의 주된 관심사가 죄인인 인간의 개별적 양심이 아니라, 이방인(그리스인) 토라 준수자를 하나님의 언약에 포함시키는 문제였다고 보았다.[80] 이방인들의 포함은 초기 기독교인 중 일부의 유대교 정체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이방인 개종자들은 종교적 남성 할례를 받거나 모세 율법을 지킬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아브라함 언약의 구성원임을 나타내는 징표로 여겨졌던 할례는, 유대계 기독교인 중 가장 전통주의적인 파벌에게 이방인 개종자도 받아야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81]

반면, 할례 의식은 헬레니즘화 시대에 동지중해에서 혐오스럽게 여겨졌으며, 그리스인로마인포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바울은 유대인의 모든 계명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에 반대하며, 이를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한 구원 교리에 큰 위협으로 간주했다. 폴라 프레드릭슨은 이방인을 위한 바울의 남성 할례 반대가 "마지막 날에 이방인 국가들이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이방인으로 올 것이라는 구약의 예언과 일치한다"고 보았다.[35]

바울에게 예수의 죽음과 부활은 이방인들을 하나님의 언약에서 배제하는 문제를 해결했다. 믿는 자들은 예수의 죽음과 부활에 참여함으로 구원받기 때문이다. E. P. 샌더스는 "그리스도 안에서 세례를 받은 자들은 그의 죽음 안으로 세례를 받으며, 죄의 권세에서 벗어난다"고 주장했다. 이로써 "과거의 죄에 대한 용서를 받고, 죄의 권세로부터 해방되며, 성령을 받는다."[87] 바울은 구원이 하나님의 은혜로 받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사도행전 15장에 따르면, 바울은 개종 후 14년 만에 "예루살렘 기둥들"을 방문하여 자신의 복음을 그들의 복음과 비교했는데, 이 사건을 예루살렘 공의회라고 한다. 예루살렘 공의회는 이방인 개종자들에게 대부분의 유대 율법을 면제하는 데 동의했지만, 에비온파와 같은 "히브리" 유대계 기독교인들의 반대가 남아 있었다.



이방인 기독교인, 유대인, 유대계 기독교인들 사이에는 급작스러운 분열보다는 서서히 커져가는 갈등이 있었다. 바울이 이방인 교회를 세웠다고 일반적으로 생각되지만, 완전한 분열은 한 세기가 걸렸다. 유대계 기독교인들이 132년 바르 코흐바 유대교 반란에 참여를 거부하면서 분리가 가속화되었다.

예루살렘의 파괴와 유대인, 유대계 기독교인들의 분산은 예루살렘의 유대-기독교 지도부의 지위를 종식시켰다. 초기 기독교는 유대교로부터 멀어져 이방인 종교로 자리 잡았고, 안디옥은 최초의 이방인 기독교 공동체가 되었다.

가설적인 얌니아 공의회는 메시아가 이미 왔다고 주장하는 이들, 특히 기독교를 비난하고 회당 출입을 금지했다고 언급되지만, 문제의 기도문(비르캇 하-미님)은 유대교와 기독교 관계사에서 특별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1세기 말, 유대교는 로마법의 보호를 받는 합법적인 종교였지만, 기독교는 313년 밀라노 칙령까지 합법화되지 않았다. 네르바 황제는 기독교인들이 유대인에게 부과되는 연간 세금을 낼 필요가 없다고 선포하여, 랍비 유대교와 구별했다. 이는 기독교인들이 국가 범신론을 숭배하지 않았기 때문에 박해받는 길을 열었다.

유대교 기독교인들은 바울 기독교인들과는 별개의 공동체를 이루었지만, 비슷한 신앙을 유지했다. ''나사렛파''는 유대 율법을 따르는 이들을 지칭하는 용어였다. 이들은 4세기에 정통주의가 지배하기 전까지는 이단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에비온파는 나사렛파에서 분리된 집단이었을 수 있다.

니케아 이후, 유대교 기독교인들은 이방인 기독교와 랍비 유대교 양쪽으로부터 "이중 거부"를 받았다. 고대 유대교 기독교의 종말은 5세기에 이르러서야 발생했다.[104]

7. 박해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 박해는 2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빈번하게 발생했다. 기독교 역사 초기 300년 동안 대부분의 기간 동안 기독교인들은 자신의 신앙을 숨기고 비밀리에 믿음을 실천해야 했으며, 살해당하지 않도록 책임 있는 위치에 오르려 하지 않았다.[91] 박해는 국가가 권력을 가진 다른 사람들에게 기독교인들이 신들에게 경의를 표하기를 거부하고 제국주의 제국의 기반 시설에 도전했기 때문에 불행을 가져온다고 여겨, 그들 가운데 있는 기독교인들에 대한 조치를 취하도록 승인한 결과였다.

교회 역사 초기 300년 중 약 10년 동안만 로마 황제의 명령에 따라 기독교인들이 처형되었다.[91] 로마 정부가 조직한 최초의 기독교 박해는 64년 네로 황제 치하에서 로마 대화재 이후에 발생했다. 3세기 데키우스 황제 통치 전까지는 제국 전역의 기독교 박해가 없었다.[92] 세르디카 칙령은 갈레리우스 황제에 의해 311년에 발표되었으며, 동방에서의 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를 공식적으로 종식시켰다. 313년에 밀라노 칙령이 통과되면서 콘스탄티누스 1세리키니우스기독교를 합법화했고, 로마 국가에 의한 기독교 박해는 중단되었다.[93]

8. 현대 기독교와의 관계

현대의 많은 기독교 교단들은 자신들의 신앙이 초기 기독교와 동일하다고 주장하며, 이를 통해 정통성을 확보하려 한다.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비칼케돈파 교회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시리아 정교회 등)는 사도 전승을 통해 초기 기독교와의 연속성을 강조한다.[147] 성공회나 일부 개신교 교단들도 사도 전승을 자칭한다. 그 외의 개신교 교단들은 "가르침"의 계승을 통해 정통성을 주장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몰몬교(말일성도 예수 그리스도 교회), 여호와의 증인 등은 초기 기독교가 타락했기 때문에 자신들이 이를 '복원'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전통 교회를 배척하고, 자신들만이 정통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전통 교회 측에서는 이들을 이단 또는 이교로 간주한다.


  • '''몰몬교'''(말일성도 예수 그리스도 교회): "초대 교회로 돌아가라"고 주장하지만,[147] 기독교 전통 교회의 입장에서는 이단적이고 비복음적이며 성서 해석에 오류가 있어 기독교로 인정하기 어렵다.[148]

  • '''예수이영의 교회''': 일본에서 시작된 교단으로, 삼위일체[149]를 따르지 않고 유일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 성부와 성령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원니스 신학). 성서 절대주의 입장에서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모두 거짓 교회이며, 자신들만이 유일한 교회라고 주장한다.[156]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은 "예수의 구원은 실패했다"고 주장하며,[157] 원시 기독교가 예수의 본래 뜻을 오해하여 불완전하다고 주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John the Apostle https://www.ccel.org[...] CCEL
[2] 웹사이트 Paul, the Pagans' Apostle https://larryhurtado[...] 2017-08-17
[3] 웹사이트 Jamieson-Fausset-Brown Bible Commentary on Acts 19 http://biblehub.com/[...] 2015-10-08
[4] 문서 Jubilee Bible 2000 2022-02-01
[5] 문서 American King James Version
[6] 문서 Douai-Rheims Bible
[7] 웹사이트 Gill's Exposition, commentary on Acts 19:23 http://biblehub.com/[...] 2015-10-08
[8] 서적 A New History of Early Christianity Yale University Press 2021-07-20
[9] 서적 Paul, John, and Apocalyptic Eschatology: Studies in Honour of Martinus C. de Boer Brill Publishers 2021-07-20
[10]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Jesu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1] 서적 Studying the Historical Jesus: Evaluations of the State of Current Research BRILL 1998
[12] 간행물
[13] 간행물 https://archive.org/[...]
[14] 간행물
[15] 서적 Systematic Theology: An Introduction to Biblical Doctrine Inter-Varsity Press 1994
[16] 서적 The historical Jesus: a comprehensive guide Fortress Press
[17] 웹사이트 An Easter Reflection 2018 https://ehrmanblog.o[...] 2018-04-01
[18] 웹사이트 The Early High Christology Club and Bart Ehrman – An Excerpt from "How God Became Jesus" https://zondervanaca[...] "[[HarperCollins]]" 2014-03-27
[19] 간행물
[20]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Matthew
[21] 서적 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22] 서적 The Christology of Mark's Gospel
[23]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Gospels
[24] 서적 Matthew
[25] 간행물
[26] 서적 The Date of the Nativity and Chronology of Jesus
[27] 서적 The Historical Jesus : a Comprehensive Guide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020-10-08
[28] 서적 Familiar Stranger: An Introduction to Jesus of Nazareth
[29] 서적 Studying the Historical Jesus: Evaluations of the State of Current Research
[30] 웹사이트 Habermas https://web.archive.[...] 2005-08-26
[31] 웹사이트 Craig http://www.leaderu.c[...]
[32] 웹사이트 The Resurrection of Jesus: A History of Interpretation http://www.gci.org/J[...]
[33] 서적 The Resurrection of the Son of God
[34] 서적 The Historical Reliability of the Gospels
[35] 웹사이트 "'When Christians were Jews": Paula Fredriksen on "The First Generation{{'" https://larryhurtado[...] 2018-12-04
[36] 블로그 Gerd Lüdemann on the Resurrection of Jesus https://ehrmanblog.o[...] Bart Ehrman 2012-10-05
[37] 서적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Vol. 2: History and Literature of Early Christianity Walter de Gruyter
[38] 서적 The Resurrection Penguin
[39] 성경
[40]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God" Eerdmans Publishing Company
[41] 성경
[42] 서적 The Remembered Peter: In Ancient Reception and Modern Debate Mohr Siebeck
[43] 서적 The Jewish Christians' Move from Jerusalem as a pragmatic choice Brill
[44] 서적 The Oral Gospel Tradition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45] 서적 Whoever Hears You Hears Me: Prophets, Performance and Tradition in Q https://books.google[...] Trinity Press
[46] 서적 Jesus Remembered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47] 서적 Oral Tradition and Literary Dependency: Variability and Stability in the Synoptic Tradition and Q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48] 웹사이트 1 Corinthians 15:3–15:41 http://bible.oremus.[...]
[49] 서적 Reading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originally published 1978) https://archive.org/[...] Paulist Press 1988
[50] 서적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51] 블로그 The Origin of "Divine Christology"? https://larryhurtado[...] Larry Hurtado
[52] 웹사이트 Incarnation Christology, Angels, and Paul https://ehrmanblog.o[...] 2018-05-02
[53] 서적 How Jesus became God
[54] 서적 The Resurrection
[55] 블로그 The Earliest Christology https://ehrmanblog.o[...] Bart Ehrman 2013-02-06
[56] 블로그 Were Jesus' Followers Crazy? Was He? https://ehrmanblog.o[...] Bart Ehrman 2016-06-04
[57] 서적 Peter, Paul, and Mary Magdalene: The Followers of Jesus in History and Legend Oxford University Press, USA
[58] 서적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 from the Apostolic Age to the Third Millennium http://worldcat.org/[...] Ignatius Press 2012
[59] 웹사이트 Baptism http://jewishencyclo[...]
[60] 서적 Food, Morals and Meaning: The Pleasure and Anxiety of Eating Routledge 2006
[61] 서적 Uncommon Youth Parties Gospel Light Publications 2012
[62] 서적 Roman but Not Catholic: What Remains at Stake 500 Years after the Reformation Baker Academic 2010
[63] 서적 Bread of Life and Cup of Joy: Newer Ecumenical Perspectives on the Eucharist Wipf & Stock Publishers 1999
[64] 서적 Roots: Uncovering Why We Do What We Do in Church ACU Press 2016
[65] 백과사전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66] 서적 Recovering the Love Feast: Broadening Our Eucharistic Celebrations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1-01-01
[67] 웹사이트 The Head Covering or Prayer Veil: 1 Corinthians 11:1–16 http://www.scrollpub[...] Scroll Publishing Company 2022-04-05
[68] 서적 Common Sense: A New Approach to Understanding Scripture Scroll Publishing Co. 1992
[69]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Wm. B. Eerdmans Publishing 1999
[70] 웹사이트 Liturgy http://jewishencyclo[...]
[7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Septuagint Oxford University Press 2021
[72] 웹사이트 Greek Orthodoxy – From Apostolic Times to the Present Day http://www.ellopos.n[...]
[73] 서적 Early Christianity and Greek Paide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02-26
[74] 문서 Geography of Religion 2004
[75] 문서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1985
[76] 서적 Recovering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A Response to Evangelical Feminism https://books.google[...] Crossway 2012-10-28
[77] 서적 Anatomy of the New Testament Fortress Press
[78] Bible
[79] 서적 A Myth of Innocence: Mark and Christian Origins Fortress Press
[80] 간행물 The New Perspective on Paul in Review http://www.direction[...] 2015
[81] Bible
[82] 학술지 The Ideal Prepuce in Ancient Greece and Rome: Male Genital Aesthetics and Their Relation to Lipodermos, Circumcision, Foreskin Restoration, and the Kynodesme http://www.cirp.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20-01-03
[83] 학술지 Celsus' Decircumcision Operation: Medical and Historical Implications http://www.cirp.org/[...] Elsevier 2020-01-03
[84] 웹사이트 Circumcision: In Apocryphal and Rabbinical Literature http://jewishencyclo[...] Kopelman Foundation 2020-01-03
[85] 서적 Approaches to Ancient Judaism, New Series: Religious and Theological Studies Scholars Press
[86] 문서 Saint Paul, the Apostle https://www.britanni[...]
[87] 서적 By the Renewing of Your Minds: The Pastoral Function of Christian Doctrine Oxford University Press
[88] 문서 E.P. Sanders and the New Perspective on Paul https://www.patheos.[...]
[89] Bible
[90] 문서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Christianity 2002
[91] 서적 The Myth of Persecution: How Early Christians Invented a Story of Martyrdom HarperCollins 2013
[92] Youtube The 'Afterlife' of the New Testament and Postmodern Interpretation https://www.youtube.[...] 2010
[93] 웹사이트 Persecution in the Early Church http://www.religionf[...] Religion Facts 2014-03-26
[94] 문서 The Divine Liturgy of James the Holy Apostle and Brother of the Lord
[95] 웹사이트 Swete's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in Greek, p. 112 http://www.ccel.org/[...] Ccel.org 2019-05-20
[96] 간행물 The Council of Jamnia and the Old Testament Canon 1983
[97] 서적 A dictionary of Jewish-Christian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98] 학술지 Jerome's turn to the Hebraica Veritas and his rejection of the traditional view of the Septuagint https://www.jstor.or[...] 2021-01-31
[99] 서적 The New Testament: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Early Christian Writing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0] 문서 Caesar and Christ Simon and Schuster 1972
[101] 웹사이트 Pope St. Clement I http://www.newadvent[...]
[102] 문서 Magnesians
[103] 문서 Jews and Christians: Graeco-Roman View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104] 서적 The Partings of the Ways
[105] 서적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6
[106] 서적 A Marginal Jew: Rethinking the Historical Jesus
[107] 서적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6
[108] 문서 Lives of the Twelve Caesars
[109] 웹사이트 Rome http://jewishencyclo[...]
[110] 서적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6
[11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Judaizers http://www.newadvent[...]
[112] 학술지 Echoes of Intra-Jewish Polemic in Paul's Letter to the Galatian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1993-09
[113] 웹사이트 Pauline Chronology: His Life and Missionary Work http://catholic-reso[...]
[114] 웹사이트 Apostle Paul's Third Missionary Journey Map http://www.biblestud[...]
[115] 서적 Persia Universe Books 1970
[116] 웹사이트 Fiscus Judaicus http://jewishencyclo[...]
[117] 백과사전 Jesus' https://www.britanni[...]
[118] 웹사이트 Christianity: Severance from Judaism https://www.jewishvi[...] American–Israeli Cooperative Enterprise 2018-12-17
[119] 백과사전 Messiah https://www.jewishvi[...] The Gale Group 2012-12-02
[120] 웹사이트 Second Temple Period https://www.jewishvi[...] Encyclopaedia Judaica 2008 The Gale Group 2012-12-02
[121] 서적 新約聖書 岩波書店 2002
[122] 서적 松本 (2009)
[123] 서적 山谷 (1968)
[124] 사전 原始教団 研究社Online Dictionary 2020-03-27
[125] 서적 『キリスト教大事典』 (1968)
[126] 사전 初代教会 研究社Online Dictionary 2020-03-27
[127] 서적 加藤 (2016)
[128] 서적 佐藤 (2003)
[129] 서적 松本 (2009)
[130] 성경 使徒言行録
[131] 서적 松本 (2009)
[132] 서적 The New Testament: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Early Christian Writings 3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07-31
[133] 서적 波多野 (1950)
[134] 서적 バラクラフ (1993)
[135] 서적 高橋 (1980)
[136] 서적 新田 (1980)
[137] 문서 ナザレ派
[138] 성경 使徒言行録
[139] 서적 フレンド (1993)
[140] 서적 ダニエルー (1980)
[141] 서적 使徒言行録
[142] 서적 使徒言行録
[143] 문서 訳語「キリスト者」を採用するのは『新共同訳聖書』。『[[聖書 口語訳|口語訳聖書]]』では「クリスチャン」。
[144] 서적 ウォーカー (1984)
[145] 서적 ウォーカー (1984)
[146] 문서 当初は悪意なく使われたようだが、勢力伸張に伴い一般人にとって否定的な意味合いになった(「クリスチャン」[[#大事典改訂|『キリスト教大事典』 (1968)]], p. 349)。
[147] 문서 野村
[148] 문서 秋山、2017年7月1日閲覧。 2017-07-01
[149] 문서 父なる神と[[イエス・キリスト|その子キリスト]]と[[聖霊]]とが一体という説。
[150] 웹사이트 偽りの教え4: 神は三位一体である https://www.jw.org/j[...] エホバの証人 2017-06-30
[151] 서적 キリスト教神学基本用語集 教文館 2010
[152] 서적 ネメシェギ (1991)
[153] 간행물 血を拒む「エホバの証人」--異端の輝きと悲惨 朝日新聞社 1985
[154] 서적 森本 (2002)
[155] 웹사이트 十字架か、杭か http://jwtc.info/upl[...] 新世界訳研究会 1999
[156] 서적 松野 (1984)
[157] 서적 松野 (1984)
[158]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Dispersion of the Apostles http://www.newadv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