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풍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풍선은 그림 속 등장인물의 대화를 표현하는 시각적 장치로, 만화, 그래픽 노블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서구 시각예술에서는 13세기 이전부터 말풍선과 유사한 형태가 나타났으며, 18세기 이후 인쇄물과 정치 만화에서 본격적으로 활용되었다. 현대식 말풍선은 20세기 초 미국 만화에서 보편화되었고, 동아시아, 특히 일본에서도 독자적인 발전 과정을 거쳤다. 말풍선의 모양, 형태, 글꼴, 번역 방식은 지역과 작가, 작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등장인물의 감정, 목소리 톤, 외국어 등을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한국 만화에서는 해방 이후 일본의 영향을 받아 말풍선이 도입되었으며, 웹툰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화 용어 -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은 권, 호, 절대 번호 등으로 구분되어 일정한 주기로 발행되는 간행물이며, ISSN으로 식별되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우편 서비스에서 특별 요금을 적용받는다. - 만화 용어 - 코믹 스트립
코믹 스트립은 그림을 이용해 이야기를 전달하는 시각 예술의 한 형태로, 신문이나 잡지에 연재되는 짧은 만화를 지칭하며, 19세기 후반 미국 신문사들의 경쟁 속에서 대중화되어 신문 만화 형태로 발전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말풍선 | |
---|---|
일반 정보 | |
명칭 | 말풍선 |
다른 명칭 | 언어 풍선 거품 대화 풍선 음성 풍선 |
정의 | 등장인물의 대사를 나타내는 그래픽 컨벤션 |
사용 매체 | 만화 웹툰 기타 삽화 |
구조 및 스타일 | |
모양 | 다양한 형태 (원형, 사각형, 구름 모양 등) |
꼬리 | 말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꼬리 (생략 가능) |
테두리 | 굵기, 스타일 변화로 감정 표현 |
글꼴 | 내용과 분위기에 맞는 다양한 글꼴 사용 |
변형 | |
생각 풍선 | 등장인물의 생각을 나타냄 (구름 모양) |
외침 풍선 | 큰 소리나 외침을 나타냄 (뾰족한 모양) |
속삭임 풍선 | 작은 소리나 속삭임을 나타냄 (점선 테두리) |
전자 만화 | 움직이는 말풍선, 음성 지원 등 |
역사 | |
초기 형태 | 중세 시대의 필사본 (두루마리 형태의 대사) |
현대적 형태 | 19세기 만화에서 등장 |
대중화 | 20세기 만화, 특히 신문 연재 만화를 통해 널리 사용 |
표현 기법 | |
감정 표현 | 말풍선의 모양, 크기, 색상, 글꼴 등을 통해 표현 |
특수 효과 | 땀방울 (당황, 긴장) 전구 (아이디어) 음표 (노래) |
국가별 특징 | |
일본 만화 (망가) | 다양한 종류의 말풍선, 감정 표현 풍부 |
미국 만화 | 슈퍼히어로 만화에서 대화 강조 |
유럽 만화 (BD) | 사실적인 묘사, 다양한 스타일 시도 |
참고 | |
관련 요소 | 캡션, 내레이션, 효과음 |
활용 분야 | 만화, 광고, 교육 자료, 사용자 인터페이스 |
2. 역사
말풍선의 역사는 서구와 동아시아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20세기 만화 산업이 발전하면서 말풍선은 일반화되었지만, 미국과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발달한 말풍선 표현 관행은 서로 큰 차이를 보인다.
걸프 전쟁 동안, 미국의 공중 전단 선전에 사용된 생각 풍선은 이라크 군인들에게 혼란을 야기했다. 한 심리 작전 전문가에 따르면, 이 기술은 이라크에서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라크 군인들은 "사담 후세인의 머리가 왜 공중에 떠 있는지 전혀 몰랐다"고 한다.[8]
2. 1. 서구권의 역사
서구 시각예술에서는 적어도 13세기 이전부터 그림 속 인물이나 사물이 말하는 것을 표현한 레이블이 등장했다.[18][19] 18세기 이전 서구에서는 인물의 대화 내용을 두루마리, 붕대, 깃발, 종이 위에 적어 그리기도 했다.[20]현대식 말풍선의 초기 형태 중 하나는 서기 600년에서 900년 사이 메소아메리카 예술에서 1인칭 대화를 화자의 입에 연결하는 가느다란 선인 "말 두루마리"였다.[2] 이보다 앞서, 일련의 프레임으로 이야기를 묘사하고, 말풍선 텍스트와 유사한 설명 텍스트를 사용한 그림이 벽화에 사용되었는데, 그리스어로 쓰여진, 2세기에 제작된 이 예는 오늘날 요르단에 있는 카피톨리아스에서 발견되었다.[3]
16세기 초 유럽에서는 말풍선(반데롤)이 흔히 사용되었다. 18세기 인쇄물인 브로드사이드와 미국 독립 전쟁 시기의 정치 만화(예: 벤자민 프랭클린이 발행한 만화)에 등장했으며, 영국의 만화가 제임스 길레이도 이들을 자주 사용했다.[4][5] 이후 사용되지 않았지만, 1904년까지 인기를 되찾았으며, 설명이 필요할 정도로 여전히 참신한 것으로 여겨졌다.[6]

1825년 영국에서 세계 최초의 만화 잡지로 여겨지는 ''글래스고 룩킹 글래스''가 영국의 풍자 만화가 윌리엄 히스에 의해 만들어졌다. 세계 최초의 만화 스트립을 포함하여, 말풍선을 사용한 최초의 잡지이기도 하다.
20세기 초, 미국 만화에서 말풍선은 보편화되었으며, 그 이후로 할 포스터의 ''프린스 발리언트''와 1930년대 초 ''타잔'' 만화 스트립을 제외하고는 캡션을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텍스트 만화가 더 흔했던 유럽에서는 말풍선의 채택이 더 느렸으며, 알랭 생 오간의 ''지그 에 퓨스''(1925), 에르제의 ''땡땡의 모험''(1929)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2. 2. 동아시아권의 역사
일본에서는 1923년 아사히 그래프에 연재된 4컷 만화 '정찬의 모험'이 처음으로 말풍선을 사용한 만화로 여겨진다.[18][19] 같은 해, 호치 신문에 연재된 '논키나 토우상'은 말풍선만을 사용한 최초의 연재 만화이다. 초기 일본 만화는 말풍선보다 설명문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서양 만화의 영향을 받아 점차 말풍선 사용이 증가했다.[20]대한민국에서는 해방 이후 일본 만화의 영향으로 말풍선이 도입되었으며, 한국전쟁 이후 본격적으로 만화 산업이 성장하면서 말풍선 사용이 정착되었다.
2. 3. 메소아메리카의 초기 형태
현대식 말풍선의 초기 형태 중 하나는 서기 600년에서 900년 사이 메소아메리카 예술에서 발견되는 '말 두루마리'였다.[2] 말 두루마리는 화자의 입에서 나오는 가느다란 선으로, 1인칭 대화를 나타냈다.[2]3. 말풍선의 종류와 형태
말풍선은 모양과 형태에 따라 다양한 의미와 뉘앙스를 전달한다. 만화에서 말풍선은 등장인물의 대사나 생각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인 대화는 주로 타원형 말풍선(그림 1)으로 표현되며, 꼬리라고 불리는 뾰족한 부분이 말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큰 소리나 힘찬 인상은 삐죽삐죽한 외곽선(그림 2)으로, 작은 소리나 갈라진 목소리는 점선이나 작은 크기로 표현된다.
일본 만화의 경우 세로쓰기가 기본이지만,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가로쓰기를 병용하기도 한다. 쇼가칸(小学館) 등 일부 출판사에서는 말풍선 안에 구두점을 사용하기도 한다.
각진 말풍선(그림 4)은 냉담하고 억양이 없는 인상을 주며, 텔레비전이나 전화 등에서 들려오는 목소리, 컴퓨터에 의한 목소리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또한, 외국어를 표현할 때 사용되기도 하는데, 쇼와 시대에는 대사 부분을 한자와 가타카나를 섞어 표기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했다.
3. 1. 일반적인 말풍선

일반적으로 원형이나 타원형 풍선에 삼각형 꼭짓점을 붙여 사용한다.(그림 1) 이 삼각형 부분을 꼬리라고 부르며, 꼬리의 방향은 말하는 사람을 가리킨다.[14] 패널 밖에 있는 인물이 말할 경우, 꼬리가 패널 바깥쪽을 향하거나, 말풍선 안쪽을 가리키거나, 패널 측면과 연결되는 형태로 표현된다.[15]
한 캐릭터가 한 패널 내에서 여러 개의 말풍선을 사용하는 경우, 대개 말하는 사람의 머리에 가장 가까운 말풍선에만 꼬리가 있고, 다른 말풍선은 좁은 띠로 연결된다.
말풍선 안의 대사에는 구두점을 찍지 않는 것이 보통이지만, 물음표나 느낌표 등은 자주 사용된다.
3. 2. 생각 풍선
생각 풍선은 구름 모양의 공간에 작은 원형 방울들이 연결된 형태로, 등장인물의 생각을 나타낸다. '흐릿한' 생각 풍선은 가장자리가 불분명한 형태로, 몽롱하거나 불확실한 생각을 표현한다.3. 3. 감정 및 특수 효과를 나타내는 말풍선
삐죽삐죽한 외곽선이나 두꺼운 선으로 그려진 말풍선은 등장인물이 소리치거나 격앙된 감정을 나타낸다. 비명 말풍선영어은 보통 이런 형태로 표현되며, 글자는 일반적인 경우보다 크거나 굵게 표시된다.[9] 점선으로 그려진 속삭임 말풍선영어은 작은 목소리나 속삭임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대화는 검은색으로 인쇄되지만, 작은 글꼴이나 회색 글자를 사용하여 톤이 더 부드럽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한다.[9]직사각형 말풍선은 독자에게 설명하거나 내레이션 등 객관적인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된다. 이 말풍선은 패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현대 만화에서는 캡션이 내부 독백 또는 전형적인 대화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9]
번개 모양 꼬리가 달린 방송 말풍선영어은 전화, 라디오, 텔레비전 등 전자 장치를 통한 대화나 로봇의 음성을 나타낸다. 외곽선은 사각형이거나 들쭉날쭉하며, 글자는 때때로 기울임꼴로 표시된다.[9] 고드름 모양의 말풍선은 하단 가장자리에 들쭉날쭉한 "고드름"을 가지고 있어 "차가운" 적대감을 표현한다.[9]
색깔이 있는 말풍선은 분노, 질투 등 강렬한 감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분노, 녹색은 질투를 나타낼 수 있다. 이 스타일은 현대 만화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지만, 온라인 만화에서는 누가 말하고 있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단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주요 캐릭터는 개별적인 테마 색상을 가지며, 말풍선이 해당 색상으로 칠해지기도 한다.[9]
일본 만화에서는 타원형 대신 구름 모양의 공간을 만들고, 삼각형 대신 연속적인 작은 타원을 사용하여 등장인물의 생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이를 모놀로그라고도 한다. 각진 말풍선은 냉담하고 억양이 없는 인상을 나타내며, 텔레비전이나 전화 등에서 들려오는 목소리나 컴퓨터에 의한 목소리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4. 만화가별 스타일
기본적인 "대사"를 의미하는 말풍선만 보더라도 그 모양은 만화가에 따라 상당히 다르다. 또한, 같은 작가라도 시기에 따라 변화가 있기도 하고, 작품에 따라 변경하는 경우도 있다.[10] 예시로 든 것은 일본을 대표하는 만화가의 예로, 왼쪽은 테즈카 오사무의, 오른쪽은 하세가와 마치코가 사용했던 말풍선의 일례이다. 테즈카는 자신의 일기에서 이것이 그 이전 작가가 사용하던 모양에서 유래했다고 적고 있다.
데이브 심은 그의 만화 ''세레부스 아드바크''에서 말풍선의 모양, 크기, 위치, 그리고 그 안의 글자의 질감과 모양에 따라 화자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전달했다. 여기에는 다양한 정신 상태(취기 등), 메아리, 그리고 단 하나의 떠다니는 유령을 위한 특별한 종류의 거품에 대한 별도의 거품이 포함되었다.[10]
다양한 종류의 말풍선과 글자체를 실험한 초기 개척자는 ''포고'' 만화를 그린 월트 켈리였다. 디콘 머쉬랫은 고딕체 단어로 말하고, P.T. 브리지포트는 서커스 포스터로 말하고, 사르코파거스 맥아브레는 조문 카드로 말하고, "미스터 피그"(니키타 흐루쇼프를 패러디)는 가짜 키릴 문자로 말한다.[10]
유명한 프랑스 만화 시리즈 ''아스테릭스''에서 르네 고시니와 알베르 우데르조는 멀리 있거나 보이지 않는 화자를 나타내기 위해 꼬리가 없는 말풍선을 사용한다. 그들은 또한 아스테릭스가 이해하지 못할 수 있는 다른 언어를 말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국적의 캐릭터에 대해 다른 종류의 글자체를 사용하는 것을 실험했다. 고트족은 고딕체로 말하고, 그리스인은 각진 글자체로 말한다(비록 갈리아 메인 캐릭터들은 항상 이해하지만, 언어라기보다는 억양에 가깝다). 노르웨이는 "노르딕 억양"으로, 이집트인은 가짜 상형 문자로 말한다(그림과 수수께끼를 묘사).[10]
5. 사용되는 서체
일본 상업 만화에서는 말풍선 안의 대사에 두 종류의 서체가 혼용된다. 한자는 고딕체, 가나는 '''앤티크체'''(antique)가 사용된다(이를 '''안치고치'''라고 한다). 이는 일본 만화 발전사에서 가독성 추구를 통해 개발된 방법이다. 대부분의 상업지에 사용되는 고딕체는 신고 등의 모던 산세리프가 아니라, 붓의 움직임을 느끼게 하는 고풍스럽지만 차분한 의장의 서체이다. 이는 이시이 고딕체라고 불리는 서체로, 사진 식자 메이커인 샤켄의 창업자 이시이 시게키치가 써서 만든 것으로, 항상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샤켄 이외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분위기가 비슷한 서체가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 출판사에 따라 같은 사진 식자 메이커인 모리사와의 서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고단샤 등).[14]
네임을 직접 만들어서 붙이는 것과 같은 동인지 등에서 워드프로세서 전용기・워드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등으로 혼용이 기술적으로 어려운 경우에는 모두 명조체가 되기도 했다. 21세기 이후에는 PC의 사회적 보급으로 인해, 워드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만화 제작 지원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상업지에 가까운 형태의 조립이 쉬워지고 있다.
또한, 말풍선 안의 문자가 기괴한 서체라면, 무서운 내용을 말하고 있거나, 유령이나 요괴 등의 초자연적 존재가 말하고 있다는 표현이 된다.[14]
6. 번역
만화의 국제적인 유통이 활발해진 21세기 이후, 말풍선의 규칙은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달라 번역 시 큰 장벽이 되는 경우가 있다.
영어권에서는 말풍선을 독립적으로 그리지 않고 컷의 여백이나 테두리를 부분적으로 활용하여 대사를 독특한 손글씨로 그리는 경우가 많다. 이를 번역하여 문자를 다시 붙이는 것은 비교적 쉽지만, 일본 만화를 영어로 번역할 때는 몇 가지 어려움이 있다. 우선, 세로쓰기와 가로쓰기의 묶는 방식이 반대이므로 컷의 순서가 바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원고를 거울상으로 만들거나, 컷마다 잘라내어 재구성한 다음 번역하고, 거울 문자가 되는 의성어 등의 그림 문자는 억지로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원작을 존중하려는 움직임에 따라, 원본 그대로 가로쓰기로 번역하고 읽는 방향을 독자에게 안내하는 해설 페이지를 마지막 페이지(현지 독자에게 첫 페이지로 여겨지는 부분)에 덧붙이는 편집 방식이 나타났다. 복잡하게 배치된 말풍선도 원래 의도를 존중하여 번역할 수 있으며, 손글씨는 어느 정도 남겨두고 난외에 주석을 덧붙인다.
7. 기타
만화에서 말풍선은 대사 외에도 그림, 기호, 문장 부호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감정, 톤, 언어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물음표(?)는 혼란이나 무지를 나타내고, 느낌표(!)는 놀라움이나 공포를 표현한다.[11] 줄임표(...)는 침묵이나 말줄임을, 외국어는 괄호나 꺾쇠괄호 안에 번역되어 나타낸다.[11] 코 고는 소리는 'Z'로 표현하며,[11] 전구는 아이디어나 해결책을 떠올릴 때 사용된다. 또한, 말풍선 안의 그림은 노래, 분노 등 다양한 상황을 나타내며, 욕설은 '&%$@*$#'[11] 또는 '그라울릭스'와 같이 순화된 표현으로 나타낸다.[11]
참조
[1]
웹사이트
Evolution of speech balloons
http://bugpowder.com[...]
2006-08-24
[2]
PhD dissertation
Verbal Art and Performance in Ch'orti' and Maya Hieroglyphic Writing
https://repositories[...]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3]
웹사이트
Ancient Comics Line This Roman-Era Tomb in Jordan
https://www.smithson[...]
[4]
웹사이트
Religion and the American Revolution, Divining America, TeacherServe®, National Humanities Center
http://www.nhc.rtp.n[...]
[5]
웹사이트
The Yellow Kid on paper and stage, Contemporary illustrations
https://web.archive.[...]
2007-10-17
[6]
서적
The Art of Caricature
https://archive.org/[...]
Baker & Taylor Publishing
1904-09
[7]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Comic Strip Evolution -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evolution of the form
https://www.britanni[...]
2024-09-09
[8]
웹사이트
Leaflets of Operation Desert Shield and Desert Storm
https://www.psywarri[...]
2024-11-06
[9]
웹사이트
Comic Book Grammar & Tradition
https://blambot.com/[...]
2024-09-07
[10]
웹사이트
Comics You Should Own – ''Sandman''
http://goodcomics.co[...]
2013-01-07
[11]
뉴스
The Straight Dope: Why Does Z Stand for Snoring? And how do other languages represent the sound?
http://www.washingto[...]
Washington City Paper
2012-07-27
[12]
뉴스
We're all using these emoji wrong
https://www.wired.co[...]
Wired
2015-05-21
[13]
웹사이트
Looking at Lettering: CAPS vs Mixed Case
http://multiversityc[...]
Multiversity Comics
2014-04-22
[14]
간행물
新聞連載子ども漫画の表現形式の変遷―今日の表現形式はいかにして成立したか―
同支社大学社会学会
2009
[15]
서적
漫画家人名事典
日外アソシエーツ
2003-02
[16]
뉴스
ドラゴンボールがルーツ? 広島市内の観光案内板、なぜ「ホラー書体」 SNSで「怖い」「クセがすごい」の声【写真】
https://www.chugoku-[...]
2024-03-08
[17]
보도자료
モリサワ 写研書体のOpenTypeフォント開発で今後100フォントをリリースすることを発表 邦文写真植字機発明100周年を皮切りに
https://www.morisawa[...]
株式会社モリサワ
2024-02-13
[18]
문서
중앙아메리카 지역 예술 작품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의 입에서 나오는 작게 대사가 적힌“대사 두루마리”가 서구 근대 말풍선의 기원 중 하나이다.
[19]
논문
Verbal Art and Performance in Ch’orti’ and Maya Hieroglyphic Writing
https://web.archive.[...]
2006-05-31
[20]
웹사이트
Evolution of speech balloons
http://bugpowder.com[...]
2006-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