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부 여성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정부 여성주의는 국가, 자본주의, 가부장제 등 모든 형태의 권위에 반대하며, 여성의 자율성과 자유 연애, 교차성을 강조하는 사상이다. 19세기 말 엠마 골드만, 볼테린 드 클레어 등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20세기 후반 신좌파와 반세계화 운동을 거치면서 교차성과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자유 연애와 성적 자기 결정권을 옹호하며, 생식권과 성노동자 권리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나르카여성주의 - 프론트 라인 (1996년 영화)
1936년 스페인 내전 시기 바르셀로나를 배경으로 혁명적 폭력 속에서 연대하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 《프론트 라인》은 여성 해방과 성 불평등에 맞서 싸우는 여성들의 모습, 종교적 상징물 파괴, 그리고 아나키스트-페미니스트 민병대원 필라와 혁명에 합류하여 갈등하는 마리아 등의 캐릭터를 보여준다. - 아나키스트 이론 - 개인주의
개인주의는 개인의 가치와 자율성을 중시하는 철학적, 사회적 개념으로, 서구 문명 발전에 중요한 흐름이었으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집단주의와 대비되지만 사회 시스템에 따라 복합적으로 나타나 여러 사상과 연관되어 논의를 촉발한다. - 아나키스트 이론 - 무정부 상태
무정부 상태는 기존 행정 기관 붕괴 후 새로운 기관이 수립되지 않아 통치 권력이 부재한 상태로, 혁명, 내전, 전쟁, 자연재해 등으로 발생하며 사회적 혼란과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을 초래할 수 있고 실패 국가로 간주되며 정치철학적으로 '자연 상태'와 연관된다. - 아나키즘 - 파리 코뮌
파리 코뮌은 1871년 프랑스에서 72일간 지속된 급진적인 사회주의 혁명으로,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사회적 혼란 속에서 파리 시민들이 자치 정부를 수립하여 진보적인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베르사유 정부군의 진압으로 붕괴되며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이다. - 아나키즘 - 아나르코자본주의
아나르코자본주의는 국가를 거부하고 자유 시장 자본주의를 이상으로 삼으며, 비침해 원칙에 기반하여 사유재산과 자유 계약을 통해 모든 서비스와 인프라를 시장에서 제공하는 사회를 지향하는 이념이다.
무정부 여성주의 | |
---|---|
개요 | |
![]() | |
![]() | |
기본 정보 | |
유형 | 무정부주의의 한 분파 |
주요 초점 | 여성주의 |
정치적 이념 | 무정부주의 여성주의 |
관련 이념 | 사회적 무정부주의 생태여성주의 개인주의적 여성주의 레즈비언 분리주의 퀴어 아나키즘 |
역사적 맥락 | |
기원 | 19세기 후반 |
주요 인물 | 엠마 골드만 볼테린 드 클레어 루시 파슨스 페데리카 몬세니 마리아 루이사 베카리아 레오나르도 다 빈치 브룩스 |
핵심 가치 | |
주요 원칙 | 계층 구조에 대한 반대 여성 억압에 대한 투쟁 성별 역할 해체 상호 부조 직접 행동 |
이론적 기반 | |
분석 틀 | 가부장제 비판 자본주의 비판 국가 권력 비판 |
실천 및 활동 | |
행동 전략 | 공동체 조직 직접 행동 교육 및 선전 자율적인 상호 지원 네트워크 구축 |
비판적 시각 | |
논쟁점 | 계급 투쟁과의 관계 다양한 여성주의 관점과의 관계 전략적 선택의 문제 |
영향 및 유산 | |
영향 | 현대 여성 운동 퀴어 해방 운동 반권위주의 운동 |
추가 정보 | |
관련 주제 | 자율주의 반권위주의 상호 부조 직접 행동 |
2. 역사
1860년대 이후, 무정부주의의 자본주의와 국가에 대한 급진적인 비판은 가부장제에 대한 비판과 결합되었다.[1]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들은 근대 사회가 남성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고 보았다. 권위주의적인 특성과 가치(지배, 착취, 침략, 경쟁)는 위계적 문명에 필수적이며 "남성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반면, 비권위주의적인 특성과 가치(협력, 공유, 연민, 세심함)는 "여성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평가 절하되었다.[1] 따라서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들은 협력, 공유, 상호부조 등을 통해 사회를 여성화하여 비권위적인 무정부 사회를 건설하고자 한다.[1]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의 중요한 측면은 전통적인 가족 개념, 교육, 성 역할 등에 반대하는 것이다.[29] 결혼 제도는 가장 광범위하게 반대되는 것 중 하나이다.[30] 볼테린 드 클레어는 결혼이 개인을 질식시킨다고 말했고,[31] 엠마 골드만은 여성이 자신의 이름, 사생활, 자존심, 삶 자체를 지불하고 얻는 경제적 협약이라고 비판했다.[32]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들은 비위계적 가족과 교육 구조를 주장했으며, 이는 이후 프란세스크 페레의 이념에 기반하여 뉴욕에서 현대 학교가 창립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3]
현대 양성애 운동의[34] 시초가 되는 책 중 하나로 간주되는 ''Bi Any Other Name: Bisexual People Speak Out''의 일부인 Lucy Friedland와 Liz Highleyman의 “The Fine Art of Labeling: The Convergence of Anarchism, Feminism, and Bisexuality”가 있다.[35][36]
미국의 영어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 서클 내에서는 여성주의 문제를 무시하고 명백하게 반여성주의적인 행태를 보이는 남성 무정부주의자를 비판하기 위해 매나키스트(manarchist)라는[37] 경멸적인 용어가 등장했다. 이 용어는 Onward Newspaper에서 Rock Bloc Collective에 의해 2001년 작성된 “Stick it To The Manarchy”라는 글에서 사용되었다.[38]
현대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는 에코페미니즘에 강한 영향을 끼쳤다.[39] 현대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 그룹에는 볼리비아의 Mujeres Creando, radical cheerleaders, 스페인의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 스쾃 Eskalera Karakola, 보스턴의 annual La Rivolta! 등이 있다.
현대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 작가/이론가에는 Maria Mies, 페기 코르네거, L. Susan Brown, 에코 여성주의자 스타호크, 포스트 레프트 아나키스트이자 아나코 프리미티비스트인 Lilith 등이 있다.[40]
지난 수십 년간 두 개의 영화가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에 대해 다루었다. Libertarias는 스페인 내전 당시의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 그룹 Mujeres Libres에 대해 다룬 역사 드라마로 1996년에 제작되었다. 2010년에는 아르헨티나에서 버지니아 볼튼에 다룬 영화인 Ni dios, ni patrón, ni marido(신도, 주인도, 남편도 없다)가 제작되기도 했다.[41][42]
2. 1. 초기: 19세기 말 ~ 20세기 초
미하일 바쿠닌은 가부장제와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를 유발하는 법에 반대했다. 그는 남성과 여성이 동일한 권리를 가져야 하며, 여성이 독립적이고 자유롭게 자신의 삶을 살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바쿠닌은 권위주의적인 가족 제도의 폐지와 여성의 완전한 성 해방을 주장했다.[2]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엠마 골드만, 볼테린 드 클레어, :en:Lucy Parsons와 같은 인물들과 함께 시작되었다.[3] 스페인 내전에서는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 그룹인 :en:Mujeres Libres(자유 여성)이 무정부주의와 여성주의를 옹호하며 활동했다.[4] 페데리카 몬세니는 여성 해방이 사회 혁명으로 이어질 것이며, 성차별에 대항하는 혁명은 지적이고 전투적인 여성에게서 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녀는 여성이 예술과 문학을 통해 자신의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보았다.[6] 중국의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 허전은 여성 해방 없이는 사회 해방도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버지니아 볼튼은 ''La Voz de la Mujer''(여성의 목소리)라는 신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신문은 여성 억압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었으며, 여성은 부르주아 사회와 남성에게 이중으로 억압받는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결혼을 여성의 자유를 억압하는 부르주아 제도로 비판하며, 자유 연애와 사회 혁명을 주장했다.[8]

자유 연애는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였다.[9] 자유 연애는 여성에게 차별적인 결혼 제도와 임신 조절 법률에 반대하며 여성의 권리를 강조했다.[9] 미국에서는 ''Lucifer the Lightbearer''(1883-1907)와[10] Ezra Angela Heywood의 ''The Word''(1872–1890, 1892–1893)같은 저널이 자유 연애를 옹호했다.[9] 유럽에서는 Émile Armand가 자유 연애를 주장하며 la camaraderie amoureuse라는 개념을 제안했고, 폴리아모리를 지지했다.[11]

브라질의 Maria Lacerda de Moura는 교육, 여성의 권리, 자유 연애, 반군사주의에 대해 강연하며,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에서도 주목받았다. 그녀는 1923년 2월에 ''Renascença''라는 정기 간행물을 발행했다.[13]
볼테린 드 클레어는 국가, 결혼, 여성의 삶에 대한 종교의 지배에 반대하는 미국의 무정부주의자이자 여성주의자였다. 그녀는 엠마 골드만의 동료였으며, ''Sex Slavery''라는 글에서 결혼 제도를 비판하며, 여성이 자신의 몸을 왜곡하게 만드는 이상적인 아름다움과 인위적인 성 역할을 강요하는 사회적 관행을 비판했다.[14]

엠마 골드만은 여성주의와 참정권에 비판적이었지만, 여성의 권리를 열정적으로 옹호하여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그녀는 여성의 독립, 행동의 자유, 사랑의 자유, 어머니가 될 자유를 주장했다.[15] 골드만은 낙태를 사회적 비극의 결과로 보고 피임을 긍정적인 대안으로 보았다. 그녀는 마가렛 생어의 피임 관련 활동을 지지했으며, 콤스탁 법 위반으로 체포되기도 했다.[18]
골드만은 동성애에 대한 편견을 비판하며, 게이와 레즈비언의 자유로운 사랑을 옹호했다. 그녀는 Magnus Hirschfeld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동성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회를 비판했다.[20]
밀리 위트캅은 아나코 생디칼리스트이자 여성주의 작가였다. 그녀는 루돌프 로커의 사실혼 아내였으며, 자유 노동자 연합(FAUD)의 멤버였다.[22] 위트캅은 여성이 자본주의와 남성에게 이중으로 착취당한다고 주장하며, 여성의 계급 투쟁 참여와 자율적인 여성 조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녀는 가사 노동도 임금 노동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생각했다.[23]
무헤레스 리브레스(자유 여성)는 스페인의 여성 무정부주의자 조직으로, 1936년 루시아 산체스 사오르닐, 메르세데스 코마포사다, 암파로 포치 이 가스콘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들은 여성 해방과 사회 혁명을 동시에 추구했으며, 여성 교육과 문맹 퇴치 운동을 전개했다.[24]

루시아 산체스 사오르닐은 무헤레스 리브레스의 설립자 중 한 명으로, 레즈비언 테마를 탐구하며 여성주의적 관점을 설명했다.[27] 그녀는 여성의 가정 생활 이상을 거부하며, 어머니가 여성 정체성의 핵심이라는 주장에 반박했다.[28]
2. 2. 제2의 물결: 1960년대 ~ 1980년대
1960년대 후반, 신 좌파에서 시민권 운동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반 억압 운동의 일부이자 1968년 시위로 절정에 달한 2세대 여성주의가 출현했다.[1] 사회주의 여성주의에서 영감을 얻은 2세대 여성주의는 여성들 간의 연대를 장려하고, 공유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매애로 그들을 결속시키려 했다.[2] 이 시기에 여성주의자들은 에마 골드만과 같은 1세대 무정부 여성주의자들의 작품을 재발견했고, 머지않아 여성 해방 운동은 무정부주의 운동을 재편하기 시작했다.[3] 많은 2세대 여성주의자들은 무정부주의를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평등을 위한 투쟁의 종합이라는 점에서 "여성주의의 논리적으로 일관된 표현"으로 간주하게 되었다.[4] 페기 코르네거는 여성주의자들이 이미 "이론과 실천에서 무의식적인 무정부주의자"였으며, "무정부주의를 설교하는 것을 실천"하는 유일한 활동가 경향이라고 주장했다.[5]
신 좌파의 많은 부분에 만연한 성차별적 환경은 여성 분리주의 전략의 일환으로 여성 단체의 설립을 촉진했으며, 이는 무정부주의 여성들이 "무정부 여성주의자"라는 용어를 만들어 채택하게 했다.[6] 2세대 무정부 여성주의자들은 가부장적이고 무구조적 조직에 대한 대안으로 협력적, 분권적, 연방주의적 원칙에 따라 자체적인 애정 집단을 개발했다.[7] 이러한 계층적 조직 형태를 해결하려는 무정부 여성주의적 움직임은 특히 조 프리먼의 1972년 에세이 ''무구조의 횡포''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운동 내에서 조직적인 평등주의적 경향을 장려했다.[8]
2세대 무정부 여성주의는 SCUM 선언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종종 폭력적인 호전성을 특징으로 했다.[9] 앤 한센과 같은 무정부 여성주의자들은 전쟁 무기 부품을 생산하는 회사와 스너프 필름 및 소아성애 포르노를 배포하는 체인 비디오 가게를 표적으로 한 도시 게릴라 그룹 스쿼미시 파이브의 폭탄 테러에 참여했다.[10]
1980년대에 여성주의 성 전쟁은 2세대 여성주의 내에 분열을 일으켰고, 여러 다른 경향으로 분열되었으며, 많은 전직 여성주의자들은 학문적 경력주의로 이동했다.[11]
2. 3. 제3의 물결: 1990년대 ~ 2000년대
반세계화 운동의 시작은 제2의 물결에 대한 성찰과 탈식민주의 여성주의의 영향을 통해 정체성 정치를 무정부 여성주의의 틀에 통합시키면서 새로운 물결의 발전을 촉진했다.[1] 제3의 물결 무정부 여성주의는 교차성에 대한 새로운 초점을 가져왔고, 무정부 여성주의자들은 빈곤, 인종차별, 생식권 등 여러 교차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함께 모였다.[2] 초기 여성주의의 "새로운 여성" 개념 또한 제3의 물결 무정부 여성주의의 기초를 형성했는데, 이는 여성들에게 평등을 요구하기보다는 평등을 실천하도록 장려했다.[3] 볼리비아에서 Mujeres Creando는 빈곤과 전통적인 성 역할에 도전하는 직접 행동을 수행했다.[4] 미국에서는 아나코 펑크 장면의 무정부 여성주의자들이 Riot grrrl 하위 문화를 발전시켰다.[5]21세기가 되면서, 무정부 여성주의 역사의 접근 방식을 재고하고 집단적, 개방적이며 비계층적인 지식 수집 및 교환 방법을 중시하는 데 힘썼다.[6] 다크 스타 콜렉티브(Dark Star Collective)와 같은 단체들은 집단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2002년에는 "조용한 소문들(Quiet Rumours)"이라는 무정부 여성주의 작품 선집을 출판했다.[7] 2010년 여성주의 역사학자 주디 그린웨이는 무정부 여성주의 역사 서술법의 다섯 가지 다른 방법론을 상세히 설명했다.[8]
방법론 | 설명 |
---|---|
부가적 접근법 | 기존 역사 서술에서 간과되었던 요소를 통합 |
엠마 골드만 단락 | 엠마 골드만의 기여를 무엇보다 중시 |
여성 문제 접근법 | 성적 및 생식권 문제에 주로 관심 |
포괄적 접근법 | 유명한 역사적 사건에서 여성의 역할에 초점 |
변혁적 접근법 | 성별화된 역사에서 여성의 삭제와 남성의 특권적 지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 제시 |
그린웨이는 완전한 무정부 여성주의 역사 서술법은 단순히 역사의 삭제된 측면을 재통합하거나 한두 개인에 지나치게 집중하는 것보다 지배적인 역사 서술법 내의 계층적 편견에 적극적으로 도전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8]
2. 4. 제4의 물결: 2010년대 ~ 현재
페미니즘의 네 번째 물결은 포스트페미니즘의 발전을 통해 등장했으며, 시장의 힘에 의한 여성의 객체화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무정부 여성주의의 네 번째 물결은 특히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영향을 받았다.키아라 보티치는 2017년 기사에서 무정부 여성주의가 공론의 장과 학계에서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 못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무정부주의에 대한 광범위한 적대감과 무정부 여성주의의 경향과 무정부주의의 더 광범위한 철학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보티치는 여성의 억압을 경제적 측면에서만 이해하는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에서 나타나는 경제적 환원주의의 위험이 "항상 무정부 여성주의와는 거리가 멀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그녀는 무정부주의가 페미니즘과의 연대에 마르크스주의보다 더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3. 이론 및 실천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아나카-페미니즘)는 전통적인 가족 개념, 교육, 성 역할에 반대한다.[29] 특히 결혼 제도는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으로 비판받았다.[30] 볼테린 드 클레어는 결혼이 개인을 질식시킨다고 보았고,[31] 엠마 골드만은 여성이 자신의 이름, 사생활, 자존심, 삶을 대가로 얻는 경제적 협약이라고 비판했다.[32]
아나카-페미니스트들은 비위계적인 가족 및 교육 구조를 지지했으며, 이는 프란세스크 페레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뉴욕에 근대학교가 설립되는 데 영향을 주었다.[33]
로레인 허친스와 라니 카후마누가 편집한 시집의 일부인 루시 프리드랜드와 리즈 하이리먼의 글, “The Fine Art of Labeling: The Convergence of Anarchism, Feminism, and Bisexuality”는 현대 양성애 운동의 시초가 되는 책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34][35][36]
미국 영어권 아나카-페미니스트 서클 내에서는 여성주의를 무시하고 반여성주의적인 행태를 보이는 남성 무정부주의자를 비판하기 위해 '매나키스트(manarchist)'라는 경멸적인 용어가 등장했다.[37] 이 용어는 2001년 Onward Newspaper에 Rock Bloc Collective가 작성한 글에서 사용되었다.[38]
현대 아나카-페미니즘은 에코페미니즘에 큰 영향을 받았다.[39] 현대 아나카-페미니즘 그룹으로는 볼리비아의 무헤레스 크레안도, radical cheerleaders, 스페인의 아나카-페미니스트 스쾃 에스칼레라 카라콜라, 보스턴의 라 리볼타! 등이 있다.
현대 아나카-페미니스트 작가/이론가로는 마리아 미스, 페기 콘에거, L. 수잔 브라운, 스타호크, 릴리스 등이 있다.[40]
지난 수십 년간 아나카-페미니즘을 다룬 두 편의 영화가 제작되었다. 1996년 제작된 《Libertarias》는 스페인 내전 당시 무헤레스 리브레스를 다룬 역사 드라마이며, 2010년에는 아르헨티나에서 버지니아 볼튼을 다룬 영화 《Ni dios, ni patrón, ni marido》(신도, 주인도, 남편도 없다)가 제작되었다.[41][42]
아나카-페미니즘은 여성의 자율성, 자유 연애, 교차성 원칙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상을 포괄한다. 이들은 사회 및 정치 생활에서 여성 권한 부여에 전념하며, 자본주의와 국가를 제도적 차별의 주요 수단으로 보고 반대한다.
3. 1. 반권위주의
미하일 바쿠닌은 가부장제와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를 유발하는 법에 반대했다. 그는 “남성과 여성에게 반드시 동일한 권리가 주어져야 한다.”고 말했으며, 그렇게 여성은 “독립적이고 자유롭게 자신의 삶을 살게 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바쿠닌은 권위주의적인 가족 제도의 폐지와 여성의 완전한 성해방을 주장했다.[2]1860년대 이후, 무정부주의의 자본주의와 국가에 대한 급진적인 비판은 가부장제에 대한 비판과 결합되었다.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들은 근대 사회가 남성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고 보았다. 권위주의적 특성과 가치(지배, 착취, 침략, 경쟁 등)는 위계적 문명에 불가결하며 “남성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반면, 비권위주의적인 특성과 가치(협력, 공유, 연민, 세심함 등)은 “여성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평가 절하되었다. 따라서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들은 협력, 공유, 상호부조 등을 통해 사회를 여성화하여 비권위주의적인 무정부 사회를 건설하고자 한다.[1]
무정부 여성주의는 반국가주의, 반성직주의, 반자본주의의 전통적인 무정부주의 원칙을 확장하여 성차별, 인종차별, 동성애 혐오와 같은 제도적 차별에서의 역할을 보여주었다.[37] 볼테린 드 클레어는 1895년 에세이 "성 노예 제도"에서 성차별은 성직자와 국가가 지지하는 제도적 권위주의에 의해 야기된다고 주장했다.[38]
무정부 여성주의자들은 가부장제와 국가를 억압의 동일한 시스템의 두 가지 표현으로 보고, 모든 형태의 가부장제를 파괴하려면 필연적으로 국가를 폐지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39]
3. 2. 자유 연애와 성적 자기결정권
볼테린 드 클레어와 엠마 골드만 같은 무정부 여성주의자들은 결혼 제도가 여성에게 본질적으로 억압적이라고 비판했다.[14][32] 이들은 결혼이 여성의 자유를 제한하고, 남성에 의한 여성 억압을 조장한다고 보았다.[8] 특히 드 클레어는 결혼한 여성을 "주인의 이름을 가짐으로서, 주인의 빵으로서, 주인의 명령으로서, 주인의 열정에 봉사함으로써 노예"가 된다고 묘사하며 결혼 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14]이러한 결혼 비판은 자유 연애 옹호로 이어졌다. 무정부주의적 여성주의자들은 자유 연애를 여성의 사회적 소외에 대한 해결책으로 보았다.[8][9] 자유 연애는 여성이 자신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중심으로 성을 재구성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고 생각했다.[11] 엠마 골드만은 성을 언론의 자유의 "중요한 사회적 힘"으로 보았으며,[15] 동성애자 권리를 공개적으로 옹호하기도 했다.[20]
엠마 골드만은 여성의 피임 교육을 옹호했으며,[18] 낙태를 사회 조건의 비극적인 결과로 보고 피임을 긍정적인 대안으로 제시했다.[16] 그녀는 마가렛 생어의 피임 관련 활동을 지지했으며,[18] 피임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강연을 하다가 체포되기도 했다.[18]
하지만, 루시 파슨스는 자유 연애가 무정부주의와 일치하지 않고 임신과 성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비판하며, "결혼 없는 일부일처제"를 주장했다.[9]
3. 3. 교차성

반세계화 운동의 시작은 제2의 물결에 대한 성찰과 탈식민주의 여성주의의 영향을 통해 정체성 정치를 무정부 여성주의의 틀에 통합시키면서 새로운 물결의 발전을 촉진했다. 제3의 물결 무정부 여성주의는 교차성에 대한 새로운 초점을 가져왔고, 무정부 여성주의자들은 빈곤, 인종차별, 생식권 등 여러 교차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함께 모였다.
무정부 여성주의는 다양한 사상을 가지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여성의 자율성, 자유 연애 및 교차성 원칙으로 특징지어진다. 무정부 여성주의가 조류로 시작된 이래, 무정부 여성주의자들은 여성 문제와 교차하는 다른 투쟁에 참여하여 다양한 반인종차별 및 반식민주의 운동에 참여해 왔다. 특히 반인종차별적 무정부 여성주의는 1970년대 록산 던바-오르티스(Roxanne Dunbar-Ortiz)와 그녀의 단체 셀 16(Cell 16)에 의해 개척되었다.
1976년, 콤바히 리버 콜렉티브(Combahee River Collective)가 발표한 성명은 교차성(intersectionality)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제3의 물결 이후, 교차성은 무정부 여성주의의 핵심 개념 중 하나가 되었으며, 이를 모든 형태의 억압에 맞서 자율 조직의 페미니스트 윤리를 개발하는 방법으로 사용해 왔다. 아무도 불법은 아니다(No one is illegal, NOII) 활동가 네트워크 내 단체들은 반국가주의적 비판에 뿌리를 둔 국경 반대 옹호의 일환으로, 국가 이민 체제 내 제도적 성차별주의와 인종차별주의에 맞서 반인종차별적 무정부 여성주의에 참여해 왔다.
3. 4. 개인주의
무정부 여성주의는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다"라는 원칙을 고수하며,[40] 각 개인이 "자신의 삶과 다른 사람의 삶"을 통제하는 사회를 추구한다.[40] 일상 생활에 대한 비판을 통해 사회 및 정치 권력을 약화시키려고 한다.[40]엠마 골드만은 사회뿐만 아니라 개인의 마음속에서도 혁명이 일어난다고 생각했다.[40] 골드만은 여성들이 가족 구성원의 의견이나 전통적인 사회 규범과 같은 자신의 "내부의 폭군"을 극복함으로써 자율성을 행사할 것을 옹호했다.[40] 이토 노에와 같은 무정부 여성주의자들은 "신여성"의 이상을 옹호하며 여성들이 자신의 개성을 주장하고 독립적인 사고를 개발하도록 장려했다.[40]
3. 5. 생식권
19세기 후반, 무정부주의 여성들은 핵가족에 반대하는 무정부주의 여성주의의 일환으로 생식 권리를 요구한 최초의 사람들 중 하나였다. 이들은 피임에 대한 정보와 자료를 배포했고,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투옥되었다. 1890년대에 산파로 활동하면서 엠마 골드만은 여성의 생식 권리를 옹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여성의 계획 임신 권리를 요구하고 마거릿 생어에 대한 지지를 공개적으로 모았다. 반면, 이토 노에와 같은 다른 무정부주의 여성주의자들은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낙태에 반대했는데, 그녀는 생명이 수정 시에 시작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무정부주의자들의 피임 옹호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증가했는데, 프랑스와 미국과 같은 국가에서 피임이 금지되었고, 무정부주의 여성주의자들은 이를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인구를 계속 늘리는 수단이라고 비판했다. 낙태가 부분적으로 합법화된 후에도 무정부주의 여성주의자들의 피임에 대한 직접적인 행동은 계속되었으며, 제인 콜렉티브와 같은 "페미니스트 아웃로" 단체들은 안전한 피임 방법을 이용할 수 없는 여성들에게 음식과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무정부주의 여성주의자들은 또한 신체 자율성과 유색인 여성의 생식 자기 결정을 우선시하는 생식 정의 운동에도 참여했다.
3. 6. 성노동
무정부 여성주의자들은 19세기 말부터 성노동자 권리 옹호를 주도해 왔다. 독일과 프랑스의 아나키스트 여성들은 성매매 비범죄화를 위해 캠페인을 벌였다. 루이즈 미셸은 여성을 성매매로 내모는 경제적 조건을 만들어낸 것은 자본주의이며, 이는 사회 혁명을 통해서만 종식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토 노에 역시 여성들이 성매매에 종사하는 근본 원인은 빈곤이며, 성매매를 폐지하기 위한 캠페인 대신 빈곤의 근본 원인을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엠마 골드만 또한 남성 법률 시스템을 사용하여 여성들을 범죄화하는 성매매 폐지론자들을 공개적으로 비판했으며, 이는 그녀가 계급 차별의 한 형태로 간주했다.
제2의 물결 여성주의 이후, 성노동 옹호는 성노동에 종사하는 아나키스트 여성주의자들에 의해 이어졌다. 그리셀리디스 레알은 성노동자들을 조직하고 성노동자 권리를 위한 일련의 직접 행동을 수행했으며, 성노동의 역사를 위한 기록 보관소를 설립했다. 캐나다의 아나키스트 성노동자들 또한 옹호 캠페인에 참여했으며, 이는 "성노동자에 대한 폭력 종식을 위한 국제적 날" 선언으로 절정에 달했다.
4. 한국에서의 아나카-페미니즘
이전 출력에서는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생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지침에 따라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빈 소스에 기반해서는 어떠한 정보도 생성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문서
Brown, p. 208.
[2]
웹사이트
What is Anarcha-Feminism?
http://www.infoshop.[...]
[3]
문서
Dunbar-Ortiz, p.9.
[4]
문서
Ackelsberg.
[5]
문서
스페인 내전의 무정부주의 혁명 당시 보건 장관이었다.
[6]
저널
Spencer Sunshine: "Nietzsche and the Anarchists" (2005)
http://radicalarchiv[...]
radicalarchives.org
2004-01-01
[7]
서적
Women's movements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Latin America and beyond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8]
웹인용
No God, No Boss, No Husband: The world’s first Anarcha-Feminist group
http://libcom.org/hi[...]
Libcom.org
2012-01-03
[9]
웹인용
The Free Love Movement and Radical Individualism
http://www.ncc-1776.[...]
The Libertarian Enterprise
1996-12-01
[10]
문서
"Power through Print: Lois Waisbrooker and Grassroots Feminism," in: ''Women in Print: Essays on the Print Culture of American Women from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1]
웹인용
E. Armand and "la camaraderie amoureuse": Revolutionary sexualism and the struggle against jealousy
http://www.iisg.nl/w[...]
null
[12]
웹인용
"Individualisme anarchiste et féminisme à la \" Belle Epoque \""
http://endehors.org/[...]
Endehors.org
null
[13]
웹인용
"Maria Lacerda de Moura - Uma Anarquista Individualista Brasileira" by
http://www.nodo50.or[...]
Nodo50.org
null
[14]
문서
Harvnb|De Cleyre|2005|p=228
[15]
문서
Quoted in Wexler, ''Intimate'', p. 94.
[16]
문서
Goldman, ''Anarchism'', p. 224.
[17]
문서
See generally Haaland; Goldman, "The Traffic in Women"; Goldman, "On Love".
[18]
문서
Wexler, ''Intimate'', pp. 211–215.
[19]
서적
Gay American History: Lesbians and Gay Men in the U.S.A.
Penguin Books
[20]
문서
"Offener Brief an den Herausgeber der Jahrbücher über Louise Michel" with a preface by Magnus Hirschfeld
[21]
저널
Rudolf Rocker—a biographical sketch
Sage Publications
1973-07-01
[22]
웹사이트
Witkop, Milly
http://www.dadaweb.d[...]
[23]
서적
Freiheit und Brot: Die Freie Arbeiter-Union Deutschlands: Eine Studie zur Geschichte des Anarchosyndikalismus
Libertad Verlag
[24]
저널
Mujeres Libres: Women anarchists in the Spanish Revolution
http://flag.blackene[...]
Workers Solidarity
1998-06-01
[25]
웹인용
Mujeres Libres: Women anarchists in the Spanish Revolution
http://flag.blackene[...]
[26]
서적
Vision on Fire: Emma Goldman on the Spanish Revolution
Common Ground Press
[27]
뉴스
Tener referentes serios de lesbianas elimina estereotipos
http://elpais.com/di[...]
El Pais
2007-12-06
[28]
서적
Constructing Spanish womanhood: female identity in modern Spain
SUNY Press
[29]
문서
Marriage and Love
Schocken Books
[30]
문서
Goldman, "Marriage and Love".
[31]
웹사이트
They Who Marry Do Ill
http://dwardmac.pitz[...]
1907
[32]
문서
Marriage and Love
[33]
서적
The Modern School Movement: Anarchism and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34]
웹인용
b i · a n y · o t h e r · n a m e
http://lanikaahumanu[...]
[35]
웹사이트
Bisexual Movements
http://www.glbtq.com[...]
glbtq.com
[36]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Bisexual Movement by Liz A. Highleyman
http://www.biresourc[...]
2007-09-26
[37]
Reddit
매나키스트를 비판하는 그림, 사이트 제일 아랫부분
https://www.reddit.c[...]
[38]
웹인용
Stick it to the Manarchy
http://onwardnewspap[...]
Onward Newspaper
2001-Spring-00
[39]
서적
Feminism And Philosophy: Essential Readings In Theory, Re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Westview Press
[40]
웹인용
Lilith texts at The Anarchist Library
http://theanarchistl[...]
The Anarchist Library
[41]
웹인용
"Ni Dios, Ni Patrón, Ni Marido" (2009) by Laura Mañá
http://www.cinenacio[...]
Cinenacional.com
[42]
웹인용
Ni Dios, Ni Patron, Ni Marido - Trailer
https://www.youtube.[...]
Youtube.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