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효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효표는 선거에서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처리되는 투표 용지를 의미하며, 다양한 종류와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 대한민국에서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투표용지 미사용, 무기표, 중복 기표, 식별 불가 표기, 기표 용구 외 사용 등의 경우 무효표로 처리된다. 타 국가의 경우, 선거 제도에 따라 무효표 기준이 다르며, 영국은 후보 초과 기표, 식별 가능한 표기, 기표 누락 등을 무효표로 정의한다. 미국은 주별로 기준이 상이하며, 투표 용지 교체는 대한민국에서는 불가능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가능하다. 의무 투표제 국가에서는 의도적 무효표가 발생하기도 하며, 투표 지침 및 투표 용지 디자인은 무효표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일본의 경우 공직선거법에 따라 무효표를 규정하며, 선거관리위원회의 실수로 인한 무효표 사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표 이론 - 선거 제도
    선거 제도는 국가 대표자를 선출하기 위한 규칙과 규정의 집합으로, 다수 대표제, 비례 대표제, 혼합 선거 제도로 분류되며, 헌법 또는 선거법에 의해 규정되고 유권자 참여, 의석 배분 등 다양한 측면을 포함하며, 콩도르세 기준 등으로 평가되고, 한국은 소선거구제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 투표 이론 - 뒤베르제의 법칙
    뒤베르제의 법칙은 선거제도와 정당 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로, 단순 다수 대표제는 양당제를, 결선투표제와 비례대표제는 다당제를 낳는다는 내용을 제시한다.
  • 선거 - 연립정부
    연립 정부는 여러 정당이 연합하여 정부를 구성하고 정책 목표를 설정하며, 정치적 안정성과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책임 소재 불명확성, 정책 결정 지연 등의 단점을 갖는 형태이다.
  • 선거 - 예비선거
    예비선거는 유권자들이 각 정당의 후보를 지명하는 절차로, 당원만 참여하는 폐쇄형, 모든 유권자가 참여하는 개방형, 그리고 준폐쇄형/준개방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미국에서는 대통령 예비선거, 유럽에서는 정당 자체의 주도로 진행된다.
  • 선거에 관한 - 김웅 (정치인)
    법조인 출신 김웅은 검사로 활동하다 검경 수사권 조정에 반대하며 사직 후 새로운보수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 제21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 현재는 법무법인 남당 변호사로 활동하고 《검사내전》을 저술했다.
  • 선거에 관한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무효표
지도
기본 정보
종류투표
설명유효하지 않은 투표 용지
계산되지 않는 투표
원인절차 오류
의도적인 투표 훼손
특징
결과투표 결과에 반영되지 않음
영향유권자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음
전체 투표 결과에 영향
투표 유형
고의적인 무효표백지 투표
투표 용지 훼손
의도적으로 여러 후보 선택
실수로 인한 무효표규정 위반
투표 용지 오염
법률에 의한 무효표자격 미달 투표
위조 투표 용지
기타
관련 용어기권표
소극적 투표
항의 투표

2. 무효표의 종류

무효표는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국가별로, 그리고 선거 제도별로 다른 기준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 ==

대한민국 공직선거법에 따른 무효표는 다음과 같다.[53]


  • 정규의 투표용지를 사용하지 아니한 것
  • 어느 란에도 표를 하지 아니한 것 (기권표)
  • 2란에 걸쳐서 표를 하거나 2 이상의 란에 표를 한 것 (중복 투표)
  • 어느 란에 표를 한 것인지 식별할 수 없는 것
  • 표를 하지 아니하고 문자 또는 물형을 기입한 것
  • 표 외에 다른 사항을 기입한 것
  • 선거관리위원회의 기표용구가 아닌 용구로 표를 한 것


사전 투표와 거소투표의 경우에는 다음 경우도 무효표로 처리된다.

  • 정규의 회송용 봉투를 사용하지 아니한 것
  • 회송용 봉투가 봉함되지 아니한 것


선상투표의 경우에는 다음 경우도 무효표로 처리된다.

  • 선상투표신고서에 기재된 팩시밀리 번호가 아닌 번호를 이용하여 전송되거나 전송한 팩시밀리 번호를 알 수 없는 것
  • 같은 선거인의 투표지가 2회 이상 수신된 경우 정상적으로 수신된 최초의 투표지 외의 것
  • 선거인이나 선장 또는 입회인의 서명이 누락된 것(제158조의3제3항 단서에 따라 입회인을 두지 아니한 경우 입회인의 서명이 누락된 것은 제외한다)
  • 표지부분에 후보자의 성명이나 정당의 명칭 또는 그 성명이나 명칭을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이 표시된 것


다만 무효표처럼 보이는 경우라도 아래의 경우에는 무효표가 아닌 유효표로 인정된다.[53]

  • 표가 일부분 표시되거나 표안이 메워진 것으로서 선거관리위원회의 기표용구를 사용하여 기표를 한 것이 명확한 것
  • 한 후보자(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및 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선거에 있어서는 정당을 말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란에만 2 이상 기표된 것
  • 후보자란 외에 추가 기표되었으나 추가 기표된 것이 어느 후보자에게도 기표한 것으로 볼 수 없는 것
  • 기표한 것이 전사된 것으로서 어느 후보자에게 기표한 것인지가 명확한 것
  • 인육으로 오손되거나 훼손되었으나 정규의 투표용지임이 명백하고 어느 후보자에게 기표한 것인지가 명확한 것
  • 거소투표(선상투표를 포함한다)의 경우 이 법에 규정된 방법외의 다른 방법[인장(拇印을 제외한다)의 날인ㆍ성명기재 등 누가 투표한 것인지 알 수 있는 것을 제외한다]으로 표를 하였으나 어느 후보자에게 기표한 것인지가 명확한 것
  • 회송용 봉투에 성명 또는 거소가 기재되거나 사인이 날인된 것
  • 거소투표자 또는 선상투표자가 투표 후 선거일의 투표개시 전에 사망한 경우 그 거소투표 또는 선상투표
  • 사전투표소에서 투표한 선거인이 선거일의 투표개시 전에 사망한 경우 해당 선거인의 투표


== 타 국가 ==

각 국가는 선거 제도에 따라 무효표 처리 기준이 다르다.[54][2]

영국에서는 법적으로 다음의 경우를 무효표로 정의한다.[54][2]

  • 투표할 수 있는 후보보다 더 많은 후보에게 기표한 투표
  • 투표자가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기호나 글을 투표지에 작성한 경우
  • 누구에게도 투표하지 않았거나 누구에게 투표했는지 불확실한 경우


기타 국가의 경우, 실시 중인 선거 제도와 맞지 않는 방식으로 투표하면 무효표로 집계되는 경우가 있다.

  • 허용 투표 후보(혹은 당) 수보다 더 많은 수를 투표하는 경우(중복 투표)나 필요한 투표수보다 적은 곳에 투표하는 경우(부족 투표)
  • 선호투표제를 도입한 국가에서 선호 순위를 잘못된 방법으로 채우는 경우 (예: 1-2-2-3-4처럼 순위를 중복해서 쓰거나 1-2-4-5-6처럼 순위를 중간에 빼먹는 경우)
  • 기명후보제를 도입하면서 정식으로 출마한 후보에게만 투표할 수 있는 경우, 정식 출마 후보 외에 타인의 이름을 기재하는 경우


미국에서는 연방 선거를 포함하여 기본적으로 각 주 당국이 선거의 책임을 지므로, 투표 시스템과 무효표 판정 기준 및 작업은 각 주의 규정에 따른다. 무효표 판정 기준이나 판정 결과가 미국 헌법이 규정하는 평등한 투표권과 관련된 문제로 제기될 경우, 연방 선거든 주 선거든 미국 연방 법원의 관할이 된다.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 공직선거법에 따른 무효표는 다음과 같다.[53]

  • 정규의 투표용지를 사용하지 아니한 것
  • 어느 란에도 표를 하지 아니한 것 (기권표)
  • 2란에 걸쳐서 표를 하거나 2 이상의 란에 표를 한 것 (중복 투표)
  • 어느 란에 표를 한 것인지 식별할 수 없는 것
  • 표를 하지 아니하고 문자 또는 물형을 기입한 것
  • 표 외에 다른 사항을 기입한 것
  • 선거관리위원회의 기표용구가 아닌 용구로 표를 한 것


사전 투표와 거소투표의 경우에는 다음 경우도 무효표로 처리된다.

  • 정규의 회송용 봉투를 사용하지 아니한 것
  • 회송용 봉투가 봉함되지 아니한 것


선상투표의 경우에는 다음 경우도 무효표로 처리된다.

  • 선상투표신고서에 기재된 팩시밀리 번호가 아닌 번호를 이용하여 전송되거나 전송한 팩시밀리 번호를 알 수 없는 것
  • 같은 선거인의 투표지가 2회 이상 수신된 경우 정상적으로 수신된 최초의 투표지 외의 것
  • 선거인이나 선장 또는 입회인의 서명이 누락된 것(제158조의3제3항 단서에 따라 입회인을 두지 아니한 경우 입회인의 서명이 누락된 것은 제외한다)
  • 표지부분에 후보자의 성명이나 정당의 명칭 또는 그 성명이나 명칭을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이 표시된 것


다만 무효표처럼 보이는 경우라도 아래의 경우에는 무효표가 아닌 유효표로 인정된다.[53]

  • 표가 일부분 표시되거나 표안이 메워진 것으로서 선거관리위원회의 기표용구를 사용하여 기표를 한 것이 명확한 것
  • 한 후보자(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및 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선거에 있어서는 정당을 말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란에만 2 이상 기표된 것
  • 후보자란 외에 추가 기표되었으나 추가 기표된 것이 어느 후보자에게도 기표한 것으로 볼 수 없는 것
  • 기표한 것이 전사된 것으로서 어느 후보자에게 기표한 것인지가 명확한 것
  • 인육으로 오손되거나 훼손되었으나 정규의 투표용지임이 명백하고 어느 후보자에게 기표한 것인지가 명확한 것
  • 거소투표(선상투표를 포함한다)의 경우 이 법에 규정된 방법외의 다른 방법[인장(拇印을 제외한다)의 날인ㆍ성명기재 등 누가 투표한 것인지 알 수 있는 것을 제외한다]으로 표를 하였으나 어느 후보자에게 기표한 것인지가 명확한 것
  • 회송용 봉투에 성명 또는 거소가 기재되거나 사인이 날인된 것
  • 거소투표자 또는 선상투표자가 투표 후 선거일의 투표개시 전에 사망한 경우 그 거소투표 또는 선상투표
  • 사전투표소에서 투표한 선거인이 선거일의 투표개시 전에 사망한 경우 해당 선거인의 투표

2. 2. 타 국가

각 국가는 선거 제도에 따라 무효표 처리 기준이 다르다.[54][2]

영국에서는 법적으로 다음의 경우를 무효표로 정의한다.[54][2]

  • 투표할 수 있는 후보보다 더 많은 후보에게 기표한 투표
  • 투표자가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기호나 글을 투표지에 작성한 경우
  • 누구에게도 투표하지 않았거나 누구에게 투표했는지 불확실한 경우


기타 국가의 경우, 실시 중인 선거 제도와 맞지 않는 방식으로 투표하면 무효표로 집계되는 경우가 있다.

  • 허용 투표 후보(혹은 당) 수보다 더 많은 수를 투표하는 경우(중복 투표)나 필요한 투표수보다 적은 곳에 투표하는 경우(부족 투표)
  • 선호투표제를 도입한 국가에서 선호 순위를 잘못된 방법으로 채우는 경우 (예: 1-2-2-3-4처럼 순위를 중복해서 쓰거나 1-2-4-5-6처럼 순위를 중간에 빼먹는 경우)
  • 기명후보제를 도입하면서 정식으로 출마한 후보에게만 투표할 수 있는 경우, 정식 출마 후보 외에 타인의 이름을 기재하는 경우


미국에서는 연방 선거를 포함하여 기본적으로 각 주 당국이 선거의 책임을 지므로, 투표 시스템과 무효표 판정 기준 및 작업은 각 주의 규정에 따른다. 무효표 판정 기준이나 판정 결과가 미국 헌법이 규정하는 평등한 투표권과 관련된 문제로 제기될 경우, 연방 선거든 주 선거든 미국 연방 법원의 관할이 된다.

3. 투표 용지 교체

대한민국에서는 투표 용지를 한 번 수령하면 잘못 기표하거나 실수로 무효표가 되었어도 교환이 불가능하다.[55] 하지만 일부 국가의 경우 유권자가 투표를 하던 도중 실수할 경우 투표를 취소하고 재투표를 할 수 있는 제도를 갖추고 있다. 미국의 경우 취소한 투표지를 무효표(invalid vote)와 구분하여 별도로 "spoiled ballots"라고 부르는 때도 있다.[56][3]

캐나다에서 "무효 투표용지"(spoiled ballot)란 선거인이 다루는 과정에서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훼손되었거나, 부선거 관리자가 더럽거나 잘못 인쇄된 것을 발견한 투표용지를 말한다. 무효 투표용지는 투표함에 넣지 않고 부선거 관리자가 무효로 표시하여 따로 둔다. 선거인에게는 다른 투표용지가 제공된다. '기각된 투표용지'(rejected ballot)는 투표자의 부적절한 표시로 인해 계산할 수 없는 투표용지를 말한다.[57][4]

많은 관할 구역에서 여러 선거 또는 국민투표가 동시에 실시되는 경우, 각각에 대해 별도의 종이 투표용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의 용지에 인쇄되어 별도의 투표함에 투입될 수 있다. 미국에서는 단일 종이 투표용지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별도 투표를 기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투표용지의 모든 투표가 무효가 되는 "무효 투표용지"(invalid ballot)[5]와 일부 투표는 유효하고 다른 투표는 무효인 "부분적으로 유효한 투표용지"(partially valid ballot)를 구분할 수 있다.

4. 의도적 무효표

의무투표제가 도입된 국가에서는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에게 불만을 표시하기 위해 유권자들이 의도적으로 기권표 형식의 무효표를 투표하기도 한다.[58]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선거에서는 무효표 투표는 불법이 아니지만, 무효표 운동은 불법으로 규정되었던 적이 있었다.[58] 1996년 오스트레일리아 의회 선거에서 앨버트 랭어는 무효표 운동 금지명령을 어겨 수감되기도 하였다.[58][6]

2021년 홍콩 입법회 선거에서는 친민주주의 지지자들이 선거 규칙 개정에 항의하여 무효 투표나 투표 거부를 촉구했다.[7] 홍콩 정부는 투표를 독려하는 행위뿐 아니라 무효 투표를 선동하는 행위도 범죄화했지만, 이 선거에서는 기록적인 무효표와 함께 역사적으로 낮은 투표율을 기록했다.[7]

5. 의도치 않은 무효표

투표 지침은 실수로 인한 무효표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된다.[8] 투표용지 디자인은 선거의 명확성에 영향을 주어 무효표 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8] 일부 선거 관리 당국은 유권자의 의사가 명확한 경우 투표용지를 허용하기도 한다.[8] 더 복잡한 선거 제도일수록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8]

미국 선거 지원 위원회의 2006년 중간 선거 조사에 따르면, 상원 선거의 과소 투표율은 0.1%, 하원 선거는 1.6%였으며, 과다 투표는 훨씬 드물었다.[9] 일부 종이 기반 투표 시스템과 대부분의 전자 투표기는 유권자에게 과소 투표 및 과다 투표를 알릴 수 있다.[10] 미국 선거 지원법은 종이 투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유권자가 과다 투표했을 때 알려주도록 규정하고 있다.[10]

필리핀에서는 2013년 선거 이전에는 사소한 후보로 선언된 후보에게 투표했지만, 해당 후보의 이름이 투표용지에 인쇄된 경우, 이를 표류표로 간주했다.[11]

6. 일본의 무효표 사례

일본에서는 공직선거법 제68조에 따라 무효표를 규정하고 있다. 소정의 용지를 사용하지 않거나, 후보자 성명 외의 내용을 기재하거나, 여러 후보자를 기재하거나, 후보자 성명을 자서하지 않은 경우 등이 무효표에 해당한다.[13]

주요 무효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선거관리위원회의 실수로 인한 무효표 사례도 존재한다.

  • 2022년제26회 참의원 선거: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에서 투표용지 오교부로 260표가 무효표가 될 전망이었다.[47]
  • 2001년제19회 참의원 선거: 야마구치현 오노다시에서 투표용지 오교부로 295표가 무효가 될 전망이었다.[48]
  • 2003년제43회 중의원 총선거: 지바현 노다시에서 부재자투표함 미지참으로 소선거구 2686표, 비례대표 3060표가 무효표가 되었다.[49]
  • 1927년 도토리현 의회 선거: 지토정에서 투표용지에 임의 날인하여 236표가 무효표가 되었다.[50]


인터넷 및 SNS의 발달로 인해 유권자가 자신의 무효표를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51] 2017년제48회 중의원 선거에서는 무효표 사진 업로드 및 투표용지 훼손 발언으로 인해 온라인상의 여론 폭발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51] 이는 공직선거법 위반 가능성은 낮지만, 선거관리위원회는 촬영 자제를 호소하고 있다.[51]

6. 1. 주요 사례

1947년 제1회 참의원 선거에서는 유권자들의 혼란으로 인해 나가사키현 등에서 높은 무효표율을 기록했다. 1980년 제36회 중의원 선거 및 제12회 참의원 선거에서는 오히라 마사요시 총리의 사망과 특정 단체의 전국구 후보 기재 종용 등으로 인해 가가와현, 와카야마현 등에서 무효표가 다수 발생했다.

1991년 도쿄도의회 보궐선거에서는 자민당과 일본공산당의 양당 대결 구도로 인해 선택지가 부족하여 무효표가 발생했다. 1992년 니가타현지사 선거와 1993년 지바현지사 선거에서는 도쿄 사가와 급편 사건과 카네마루 사건 등의 정치 불신으로 인해 항의성 무효표가 발생했다. 1994년 무로토시의회 보궐선거에서는 시장 및 시의원들의 뇌물 사건과 후보자들의 지역 편중으로 인해 무효표가 다수 발생했다.

2001년 제19회 참의원 선거에서는 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의 인기와 비구속 명부식 도입에 따른 혼란 등으로 인해 후쿠오카현 등에서 무효표가 발생했다. 2003년 제43회 중의원 선거에서는 스즈키 무네오 사건과 여당의 공백구 등으로 인해 홋카이도, 아이치현 등에서 무효표가 발생했다.

2005년 오카야마시의회 보궐선거에서는 정보 부족으로 인해 무효표가 다수 발생했다. 2007년 도쿄도의회 및 나가사키 시장 선거에서는 후보 사망 등으로 인해 무효표가 발생했다. 2009년과 2012년 중의원 선거에서는 여당의 공백구와 양대 정당 후보 부재 등으로 인해 토치기현, 도쿄도, 오사카부 등에서 무효표가 발생했다.

2014년 하시모토 도루 오사카 시장의 재선거에서는 주요 정당 후보 부재로 인해 항의성 무효표가 발생했다. 같은 해 제47회 중의원 선거에서는 여당, 야당, 이신노카이 후보 부재로 인해 오사카부에서 무효표가 다수 발생했다.

2016년 제24회 참의원 선거에서는 합동 선거구(도쿠시마현·고치현 선거구, 돗토리현·시마네현 선거구)에서 합구에 반대하는 무효표가 발생했다. 2018년 시즈쿠이시정의회 보궐선거에서는 후보 정보 부족으로 인해 무효표가 다수 발생했다.

2019년 제25회 참의원 선거에서는 합동 선거구(도쿠시마현·고치현 선거구)에서 합구에 반대하거나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의사를 표시하는 무효표가 발생했다. 2021년 제49회 중의원 선거에서는 특정 정당(일본유신회) 후보 부재 선거구에서 무효표가 다수 발생했다.

6. 2. 선거관리위원회 실수 사례

2022년 제26회 일본 참의원 통상선거에서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에서 선거구와 비례대표 투표용지를 잘못 건네주어 260표가 무효표가 될 전망이었다.[47] 2001년 제19회 일본 참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야마구치현 오노다시에서 선거구와 비례대표 투표용지를 잘못 건네주어 295표가 무효가 될 전망이었다.[48]

2003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총선거에서는 지바현 노다시에서 선거관리위원회 사무실에 보관하고 있던 부재자투표함이 들어있는 상자 2개를 개표소에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려 소선거구 2686표, 비례대표 3060표가 무효표가 되었다.[49]

1927년 9월 22일, 도토리현 의회 선거에서 도지무라(현 지토정)의 투표 관리자(촌장)가 투표용지에 역장인을 임의로 찍어 사용하게 했다. 후일, 이것이 “정규 투표용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에, 마을 내 투표 총수 237표 중 236표가 무효표가 되었다.[50]

6. 3. 인터넷/SNS 관련

인터넷 환경의 발달과 함께, 유권자가 자신의 무효표를 촬영한 것을 SNS 등에 업로드하여 온라인상의 여론을 폭발시키는 사례도 확인되면서 유권자의 도덕성이 문제되는 상황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51] 2017년제4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투표일 당일인 10월 22일, 트위터에서 한 사용자가 그림이 그려진 무효표 사진을 업로드한 것과, 그 사용자의 아내가 "모두가 보고 있는 앞에서 (투표 용지를) 찢어 버렸다"고 발언한 것에 비판이 쏟아지면서 온라인상의 여론 폭발 사태가 발생했다.[51] 유권자의 투표 행위에 대해 공직선거법 제60조에서는 "투표소에서 연설·토론을 하거나 떠들거나 또는 투표에 관하여 협의 또는 권유를 하거나, 기타 투표소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자가 있을 때에는 투표 관리자는 이를 제지하고, 명령에 따르지 않을 때에는 투표소 밖으로 나가게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이번 경우 “투표소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행위에 해당될 가능성이 있으나, 후보자에게 투표한 것으로 권유 행위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벌칙 적용 대상이 되지는 않는다고 여겨진다.[51] 또한, 투표 시 촬영 및 사진 게시에 대해 동법 제60조에서는 명확하게 촬영 행위를 금지하고 있지 않지만, 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다른 유권자와의 트러블이나 주위에 오해를 불러일으킬 위험성을 고려하여 촬영 행위의 자제를 호소하고 있다.[51]

7. 미국의 무효표 사례

미국에서는 연방 선거를 포함하여 기본적으로 각 주 당국이 선거의 책임을 지므로, 투표 시스템과 무효표 판정 기준 및 작업은 각 주의 규정에 따른다. 무효표 판정 기준이나 판정 결과가 미국 헌법(United States Constitution)이 규정하는 평등한 투표권과 관련된 문제로 제기될 경우, 연방 선거든 주 선거든 미국 연방 법원(United States Federal Court)의 관할이 된다.

2000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플로리다주에서 접전이 벌어져 재검표를 실시한 결과, 펀치 카드 방식 투표 용지가 사용된 카운티에서 유권자가 구멍을 뚫으려고 한 흔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멍이 완전히 뚫리지 않은 투표용지가 다량 발견되어 무효표로 처리되었던 것이 밝혀졌다. 수작업 재검표 기준과 재검표 횟수를 두고 논란이 벌어졌으며, 최종적으로는 연방 대법원에서 결론이 났다 (부시 대 고어 사건).

8. 스웨덴의 무효표 사례

스웨덴에서는 기성 정당에 대한 거부 의사 표시로 종종 "도널드 덕 당"(도널드 덕 당/Kalle Anka-partietsv)에 투표하는 경우가 있으며, 항상 일정 수준의 득표(많을 때는 200표 이상)를 기록한다.

참조

[1] 간행물 Residual Votes Attributable to Technology: An Assessment of the Reliability of Existing Voting Equipment http://www.hss.calte[...] Caltech/MIT Voting Technology Project 2001-03-03
[2] 웹사이트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ENGLAND AND WALES The Local Elections (Principal Areas) (England and Wales) Rules 2006 http://www.legislati[...]
[3] 웹사이트 Kentucky Revised Statutes 117.385 http://www.lrc.ky.go[...] 1982-07-15
[4] 웹사이트 Elections Canada - Home Page http://www.elections[...] 2020-07-21
[5] 웹사이트 Determining the Validity of Optical Scan Ballot Markings http://www.michigan.[...] Michigan Bureau of Elections 2004-05-27
[6] 웹사이트 ADVOCACY OF OPTIONAL PREFERENTIAL VOTING http://www.aec.gov.a[...] 1996-08-30
[7] 뉴스 Activists in Hong Kong plan not to vote or to cast blank ballots in upcoming election https://www.npr.org/[...] 2022-07-07
[8] 뉴스 Supreme Court orders recount of votes in Listowel http://www.rte.ie/ne[...] RTÉ.ie 2015-12-17
[9] 서적 2006 Election Administration and Voting Survey http://www.eac.gov/a[...]
[10] 웹사이트 Help America Vote Act Section 301(a)1(A)(iii) http://www.gpo.gov/f[...]
[11] 뉴스 Comelec sets rules on 'stray' votes for nuisance candidates https://radyonatin.c[...] 2013-01-02
[12] 뉴스 Comelec explains grounds for declaring nuisance candidates in elections https://www.inquirer[...] 2024-10-17
[13] 웹사이트 裁判例結果詳細 {{!}} 裁判所 - Courts in Japan https://www.courts.g[...]
[14] 뉴스 無効票 いつもの倍 自治省発表 朝日新聞 1980-06-26
[15] 뉴스 無効票 いつもの倍 自治省発表 朝日新聞 1980-06-26
[16] 뉴스 「無効票」に何を学ぶか 朝日新聞 1980-07-04
[17] 뉴스 参院選・和歌山選挙区、無効票率なぜ日本一? ABCの調査【大阪】 朝日新聞 1992-09-18
[18] 뉴스 都議補選、自共対決は自民3氏が当選 無効票が異例の多さ 東京 朝日新聞 1991-04-09
[19] 뉴스 新潟知事選、無効票が批判のあかし 市部で200人中3人が白紙 朝日新聞 1992-10-27
[20] 뉴스 「黒丸信」「大泥棒」「金返せ」… 無効票、相次ぐ 千葉知事選 朝日新聞 1993-03-15
[21] 뉴스 無効票が半分、ほとんど白票 高知・室戸市議補選 朝日新聞 1994-12-05
[22] 뉴스 無効票が過半数 高知・室戸 市議補選 毎日新聞 1994-12-05
[23] 뉴스 室戸市議補選 無効票が半数超す/高知 読売新聞 1994-12-05
[24] 뉴스 2001参院選 選挙要旨に比例候補 福岡で無効票8.7%に 読売新聞 2001-07-30
[25] 뉴스 参院選 小泉首相絡み「無効」相当数 「がんばれ」エールを送った票も 読売新聞 2001-07-30
[26] 뉴스 九州・山口・沖縄で大量の無効票 参院選【西部】 読売新聞 2001-07-30
[27] 뉴스 鈴木宗男氏に500票 総選挙で北海道7区、無効に 朝日新聞 2003-11-11
[28] 뉴스 衆院選 東海ブロック四県 小選挙区と比例選 勢力は公示前と同じ 読売新聞 2003-11-11
[29] 뉴스 岡山市議補選 無効票2万9327票 「候補者情報不足」「制度に不満」=岡山 朝日新聞 2005-10-12
[30] 뉴스 都議補選、大量の無効票 大田区、7.4%の2万2千票 統一地方選 /東京 朝日新聞 2007-04-10
[31] 뉴스 長崎市長選 無効1万5435票に 読売新聞 2007-04-24
[32] 뉴스 無効票、異例の1万5000票 長崎市長選・前回の3倍 統一地方選 【西部】 朝日新聞 2007-04-23
[33] 뉴스 「伊藤一長」票も多数 毎日新聞 2007-04-23
[34] 뉴스 長崎市長選 無効票7% 射殺の前市長へ? 前回の3倍にも 東京新聞 2007-04-23
[35] 뉴스 3区の無効票、最多6.57% 「民・自不在」影響か 衆院選 /栃木 朝日新聞 2009-09-01
[36] 뉴스 衆院選 無効投票率 前回の倍 最高は12区の10.83%=東京 読売新聞 2012-12-19
[37] 뉴스 大阪市長選 橋下氏再選 投票率23% 過去最低 無効票は最多6万7500票 読売新聞 2014-03-24
[38] 뉴스 大阪市長選 怒る無効票の山 読売新聞 2014-03-24
[39] 뉴스 無効票、大阪3区・5区で15%前後 衆院選【大阪】 朝日新聞 2014-12-15
[40] 뉴스 合区 無効票が大幅増 高知 鳥取 根強い有権者の反発 南日本新聞 2016-07-12
[41] 뉴스 合区 島根・鳥取の結末 2016参院選(下)=有権者 広い選挙区に抵抗感 解消願う声根強く 中国新聞 2016-07-14
[42] 웹사이트 「受かる気なかった」けど町議に当選 名前すら未掲載で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11-15
[43] 뉴스 「徳島・高知」選挙区 無効票率、全国ワースト 6.04% 前回選と比べ約2倍 /徳島 毎日新聞 2019-07-29
[44] 뉴스 徳島の無効票率増 6.04% 「合区反対」や「三木亨氏」 参院選挙区ワー스트 徳島新聞 2019-07-26
[45] 뉴스 府内の投票率前回上回る 激戦10区が最高【大阪】 朝日新聞 2021-11-02
[46] 기타
[47] 뉴스 260人に投票用紙誤交付 栃木県でミス相次ぐ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2-07-10
[48] 뉴스 [選挙] 参院選 選挙区と比例代表の投票用紙、取り違える‐-小野田・有帆 /山口 毎日新聞社 2001-07-30
[49] 뉴스 衆院選投開票トラブル 5700票無効ずさん 野田市選管 市原でも不手際=千葉 読売新聞 2003-11-11
[50] 뉴스 県議選投票で不祥事 東京日日新聞 1927-09-23
[51] 웹사이트 公職選挙法第六十条に抵触!? 投票用紙にイラスト無効票を書いて『Twitter』にアップ→炎上 https://getnews.jp/a[...] ガジェット通信 2017-10-23
[52] 논문 Residual Votes Attributable to Technology: An Assessment of the Reliability of Existing Voting Equipment http://www.hss.calte[...] Caltech/MIT Voting Technology Project 2001-03-03
[53] 웹사이트 공직선거법 제179조 https://www.law.go.k[...]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2022-03-08
[54] 웹사이트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ENGLAND AND WALES The Local Elections (Principal Areas) (England and Wales) Rules 2006 http://www.legislati[...]
[55] 뉴스 "잘못 찍었다고 용지 찢지마세요" 투표용지 훼손한 유권자 검찰 고발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7-05-09
[56] 법규 Kentucky Revised Statutes 117.385 http://www.lrc.ky.go[...] 1982-07-15
[57] 웹사이트 Elections Canada - Home Page http://www.elections[...] Elections Canada 2020-07-21
[58] 웹사이트 ADVOCACY OF OPTIONAL PREFERENTIAL VOTING http://www.aec.gov.a[...] 1996-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