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투표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무투표제는 투표를 시민의 의무로 규정하는 제도로, 투표율을 높여 대의 민주주의를 강화하고 유권자 탄압을 어렵게 만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고대 아테네에서 유사한 사례가 존재했으며, 근대에는 벨기에가 1893년 남성, 1948년 여성에게 의무투표제를 도입하여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호주는 1924년 연방 선거에 의무투표제를 도입한 이후 투표율이 크게 증가했으며, 네덜란드, 베네수엘라, 오스트리아, 칠레 등은 의무투표제를 폐지한 경험이 있다. 의무투표제는 시민의 자유 침해, 선거 왜곡, 종교적 신념과의 충돌 등의 반대 논거가 존재하며, 투표율 상승, 정치 양극화 완화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현재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룩셈부르크, 그리스 등 32개국에서 의무투표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벌칙의 종류와 강도는 국가마다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의무투표제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유형 | 투표 의무화 |
특징 | |
법적 의무 | 일부 국가에서는 법적으로 투표가 의무화되어 있음 |
처벌 | 불참 시 벌금 등의 처벌이 부과될 수 있음 |
투표율 | 투표율 증가를 목표로 함 |
민주주의 | 민주주의 참여 확대와 대표성 강화를 지향함 |
찬반 논쟁 | |
찬성 측 주장 | 투표율 증가 민주적 정당성 강화 정치적 무관심 해소 소외 계층의 의견 반영 |
반대 측 주장 | 개인의 자유 침해 정치적 무관심 심화 낮은 정보력의 유권자 투표 행정 비용 증가 |
의무 투표 시행 국가 | |
유럽 | 벨기에 룩셈부르크 그리스 키프로스 |
아메리카 | 아르헨티나 브라질 에콰도르 파라과이 페루 우루과이 |
오세아니아 | 오스트레일리아 |
아시아 | 오스트레일리아 |
과거 시행 국가 |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베네수엘라 칠레 도미니카 공화국 이집트 피지 멕시코 필리핀 스페인 스위스 |
2. 역사
의무투표제는 고대 그리스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곡에는 아테네에서 시민들의 민회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노예들이 빨간 밧줄을 사용해 시민들을 아고라에서 민회 장소(프닉스)로 몰고 갔으며, 옷에 빨간 얼룩이 묻은 사람에게는 과태료를 부과했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근대적 의미의 의무투표제는 19세기 벨기에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이후 여러 국가로 확산되었는데, 미합중국 조지아주에서는 1777년 투표 불참자에게 5파운드 미만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주 헌법으로 정하기도 했다. 오스트리아는 1929년 대통령 선거에 의무투표제를 도입했고, 1949년에는 일부 주의회 선거에도 적용했다가 1982년부터 2004년 사이에 점차 폐지했다. 에스파냐는 1907년부터 1923년까지 의무투표제를 시행했지만, 제대로 적용되지는 않았다. 칠레는 유권자 등록을 한 사람에 한해 의무투표제를 시행하다가 2009년 법적으로 폐지했고, 2012년 선거부터 적용되지 않았다.
20세기 후반, 네덜란드는 1970년에, 베네수엘라는 1993년에 의무투표제를 폐지했다.
의무투표제 위반에 대한 벌칙과 그 적용은 국가마다 다르다. 벌금, 투옥, 선거인 명부 삭제 등 다양한 벌칙이 있지만, 벌칙 규정이 없는 나라도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정당한 이유 없이 투표하지 않은 유권자에게 20AUD의 벌금을 부과하며, 선거 관리 당국이 불투표자에 대한 조사와 벌금 지불 요구를 체계적으로 실시한다. 불투표자가 벌금 지불 요구에 불응하고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으면 50AUD 이하의 벌금과 법원 소송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오스트레일리아는 1924년 의무투표제 채택 이후 투표율이 선거인 명부 등록자 수의 90% 수준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 1. 고대
고대 그리스 아테네 민주주의에서는 정치 참여가 통상 자율에 맡겨졌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곡 『아카르네스』에는 노예들이 빨간색 밧줄로 시민들을 아고라에서 민회 장소(프닉스)로 몰아가는 장면이 묘사된다. 옷에 빨간 얼룩이 묻은 사람에게는 과태료가 매겨졌다고 한다.[2] 물론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곡을 역사적 서술로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 실제 그런 일이 있었을 수도 있지만, 아리스토파네스의 창작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아테네 민주주의는 모든 아테네 시민이 의사 결정에 참여하는 것을 의무로 여겼지만, 민회 참석은 자발적이었다. 때때로 불참자에게는 일종의 사회적 비난이 가해졌는데, 특히 민회 시간에 다른 공적 활동에 참여하고 있을 경우가 그러했다.[3]로마 공화정에서, 선출된 귀족에게 주권을 위임하는 정부 형태인 ''res publica''의 정당성은 로마의 ''투표권''에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났다.[4] 키케로는 투표권이 로마 시민에게 일정 수준의 정치 참여를 제공하여, 그들이 원하는 대로 관리할 수 있는 재산에 대한 ''사실상'' 소유권을 보장한다고 주장한다. 실제로는 투표는 마르스 광장 또는 포럼에서만 로마에서만 실시되었으며, 많은 시민들이 투표를 위해 여행하거나 시간을 내는 것을 감당할 수 없었을 것이다.[5] 그리스 관습과는 달리 투표에 대한 경제적 보상은 없었다. 그러나 키케로는 특히 낮은 투표율로 인해 선거가 중단되어 일시적인 징병을 실시해야 했던 사례를 언급하는데, 이것이 예외적인 경우였는지는 불분명하다.[4]
2. 2. 근대
벨기에는 1893년 남성에게[7], 1948년 여성에게[8] 의무투표제를 도입하여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무투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호주에서는 1924년 전국 선거에 의무투표제가 도입되었으며, 각 주와 자치구는 각기 다른 시기에 자체적인 의무투표 관련 법률을 통과시켰다.[9] 1924년 이전 호주의 자발적 투표율은 유권자 자격이 있는 유권자의 47%에서 78% 사이였다. 1924년 연방 의무투표제가 도입된 후 이 수치는 91%에서 96% 사이로 증가했으며,[10] 유권자 자격이 있는 유권자 중 5%만이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11]
네덜란드와 베네수엘라는 각각 1967년과 1993년에 의무투표에서 자발적 투표로 전환한 여러 국가 중 하나이다.[12] 네덜란드의 투표율은 95%에서 약 80%로 감소했다.[13] 베네수엘라는 의무투표가 폐지된 후 1993년에 투표율이 82%에서 61%로 하락했다.[14]
3. 의무투표제 찬성 논거
의무투표제를 지지하는 일반적인 근거는 이 제도를 통해 정부가 투표한 유권자뿐 아니라 국민 대다수를 대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의무투표제는 정치적으로 활발하지 못한 사회 집단을 정부가 무시하지 못하게끔 하는 데 도움이 된다.[15] 또한, 정치 지도자는 투표율이 낮은 자율 투표제보다 의무투표제에서 더 큰 정치적 정당성을 주장할 수 있다.[20]
의무투표제는 투표 접근권에 대한 방해를 막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 제도는 사회적으로 불리한 사람들이 정치에 접근하는 수단이며, 날씨, 교통, 고용주 등 외부 요인이 개인의 투표 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을 완화해준다.[18]
의무투표제를 통해 사람들이 심각한 정치 사안에 대해 더욱 생각하게끔 유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정부는 마땅히 추진할 필요가 있으나 심각하고 인기가 없을 공산이 큰 문제에 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투표자가 선거에서 어느 쪽에도 선택하길 원치 않는다면, 무효 투표를 하거나 기권할 수 있다. 의무투표제 지지자들은 이것이 전혀 투표하지 않는 것보다는 낫다고 주장한다. 어떤 곳의 사법 체계에서는 후보 중 아무도 지지하지 않을 경우 '아무도 지지하지 않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의무 투표는 대의제를 더 대표적으로 만들고 유권자 탄압을 더 어렵게 만든다. 이는 "1인 1표"라는 보편적 민주주의 원칙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단계이며, 민주주의를 강화하고 정치인의 선택이 시민의 선호도와 일치하도록 한다.[15] 의무 투표 지지자들은 투표가 투표의 역설을 해결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는 합리적이고 사리사욕에 얽매인 유권자에게 투표 비용이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편익을 초과한다는 것이다. 이 역설은 사회적으로 불리한 사람들에게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그들에게 투표 비용이 더 큰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의무 투표 지지자인 호주의 학자 리사 힐은 자발적 투표 제도 하에서 소외된 시민들에게 죄수의 딜레마 상황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이 제한된 자원을 보존하기 위해 자신과 같은 처지에 있는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투표를 기권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대표가 절실히 필요한 사람들이므로, 이러한 결정은 비합리적이다. 힐은 의무 투표의 도입이 이러한 딜레마를 제거한다고 주장한다.[19]
높은 투표율은 위기 상황이나 카리스마는 있지만 특정 계층에만 집중하는 선동가에 의해 야기되는 정치적 불안정의 위험을 감소시킨다.[21] 2005년 미주 개발 은행의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엄격하게 시행되는 의무 투표제가 지니 계수와 인구의 하위 소득 5분위수로 측정했을 때 소득 분배 개선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2]
사전 투표, 예를 들어 우편 투표와 같은 유권자의 증가하는 선호는 유권자가 투표일 이전에 자신의 편의에 따라 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하여 참여를 더 쉽게 만들 수 있으며, 지정된 투표일에 책임을 다하기 위해 애쓸 필요가 없게 된다.[24]
강제 투표의 다른 장점으로는 시민 교육 및 정치적 자극의 일환으로 더 광범위한 정치적 관심사를 자극하여 더 많은 정보를 가진 국민을 만드는 것이다.[18] 예를 들어, 사람들에게 투표하도록 설득하는 데 필요한 선거 자금이 훨씬 적기 때문에, 더 광범위한 유권자들과 제안된 정책을 논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18] 1924년 의원 발의안을 통해 호주에 강제 투표를 도입한 호주 상원의원 허버트 페인은 강제 투표가 유권자들의 "무관심과 나태함"에 대응하는 데 필요하며 "국민의 정치적 지식에 놀라운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고 믿었다.[25][26]
모나쉬 대학교의 정치학자 왈리드 알리는 의무 투표제가 우파 또는 좌파에 유리한지는 중요하지 않으며, 의무 투표제의 가장 큰 장점은 후보자의 자질과 그들이 내리는 결정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점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의무 투표에서는 다른 모든 유권자를 배제하고 지지층에만 열을 올리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투표율로 선거 결과를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선거는 부동층 유권자에 의해 결정되고 중도에서 승리한다... 이것이 호주의 극우가 유럽이나 미국의 극우에 비해 힘이 약한 이유 중 하나이다. 호주는 몇몇 잘못된 정부를 겪었지만, 진정으로 극단적인 정부는 없었으며, 선동가에게도 그다지 취약하지 않다."[17]
4. 의무투표제 반대 논거
투표는 시민의 의무가 아닌 권리이므로, 의무투표제는 시민의 기본적인 자유를 침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투표에 불참하는 사람에게 벌금을 부과하는 것은 이들을 억압하고 침묵하게 만들 수 있다.[27]
정치에 관심이 없거나 후보에 대해 잘 모르는 유권자는 법적 의무 때문에 무작위로 투표할 수 있다. 이러한 '당나귀 투표'는 의무투표제에서 1~2% 정도를 차지하며 선거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149] 유권자가 후보에 대해 잘 알지 못한 채 투표하거나, 고의로 투표를 제대로 하지 않아 개표가 지연되거나 선거가 혼란스러워질 수 있다. 우선순위 투표제를 채택하는 호주에서도 당나귀표가 자주 발생하며, 이는 투표 용지 순서대로 기입하는 표를 의미한다.[149]
의무투표제에 대한 반대는 브라질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 증가하고 있다.[148] 2014년 브라질 대선에서는 등록 유권자의 약 21%인 3천만 명이 투표에 불참했다.[154]
자유지상주의자들은 투표가 시민의 권리인지 의무인지에 대해 논쟁한다. 2020년 미국 여론조사에서는 대다수가 양심적 거부 등의 이유 없이 투표하지 않은 사람에게 20USD의 벌금을 부과하는 것에 부정적이었다.[18]
종교적 신념에 따라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 그리스도형제단이나 여호와의 증인과 같은 사람들의 종교적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146] 많은 국가에서 종교적 신념은 투표 불참의 정당한 사유로 인정된다.[18]
의무투표는 강제된 발언을 강요하는 것으로, 말하지 않을 자유를 포함하는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주장도 있다.[147] 전 오스트레일리아 야당 대표 마크 레이텀은 정부가 시민에게 투표를 강요하거나 벌금으로 위협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28]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들이 매표 행위를 통해 조작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32][33]
5. 의무투표제의 효과
의무투표제가 시행되면 일반적으로 투표율이 상승한다.[38][37] 정치인들이 부동층 유권자에게 더 집중하게 만들어 정책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156] 좌파 정책 지지율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34]
2004년 오스트레일리아의 한 특집 사설에서는 의무투표제로 인해 후보자나 정당이 기존 지지층보다 부동층[156] 유권자를 공략하게 되면서 선거 캠페인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정치인들이 소규모 부동층 유권자에게 호소하기 위해 본래의 정치적 성향을 완화하고 중도적으로 기울 수 있다는 것이다.
스위스의 한 주에서 의무 투표제를 시행한 연구에 따르면, 의무 투표제는 국민투표에서 좌파 정책 지지에 대한 선거 지지율을 최대 20%p까지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34] 미국에서 보편적 투표율의 영향은 전국 선거에서는 미미할 가능성이 높지만, 2000년과 2004년의 대통령 선거와 같이 박빙의 선거에서는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5] 미국에서는 민주당이 보편 투표제 하에서 더 유리할 가능성이 높지만, 박빙의 선거가 드물기 때문에 보편 투표제는 "극소수의 선거 결과"만 바꿀 것이라고 한다.[36]
호주에서 의무 투표제에 대한 연구는 호주 노동당의 득표율과 의석 점유율을 7~10%p 증가시키고, 국가 차원에서 연금 지출을 늘리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밝혔다.[37] 오스트리아에서 느슨하게 시행된 의무 투표제는 전체 투표율을 약 10%p 증가시켰지만, "이러한 투표율 변화가 정부 지출 패턴(수준 또는 구성)이나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는 없다."[38] 2016년 연구에 따르면 의무 투표제는 여러 면에서 선거 참여의 성별 격차를 줄인다.[39] 네덜란드에 대한 2016년 연구는 의무 투표제 폐지가 네덜란드 사회 민주당의 득표율을 증가시키고 "소수 및 극단 정당"의 득표율을 감소시켰음을 밝혀냈다.[40]
2024년 연구에 따르면 의무 투표제는 극단주의 정당 지지자들이 투표를 거부하겠다고 위협하는 능력을 없앰으로써 정치 양극화를 줄이고, 정당들을 중간 유권자의 선호도에 더 가깝게 만들 수 있다.[42]
1997년 맬컴 매커라스와 이언 맥앨리스터의 논문에 따르면, 호주에서 "수년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의무투표제에 대해 60~70%의 일관된 지지율을 보였다." 2005년, 로이 모건 리서치와 입소스-매케이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각각 71%와 74%의 지지율을 보였다. 두 여론조사 모두 호주의 주요 정당인 자유-국민 연합과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 지지자들 사이에서 의무투표제에 대한 지지가 거의 동등하게 나타났다.[43]
벨기에에서는 1893년부터 의무투표제를 시행해 왔으나, 의무투표제 폐지에 대한 지지가 증가하고 있다. 2016년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9%가 폐지에 찬성했으며 (왈로니아 46%, 브뤼셀 49%, 플란데르 51%), 10%는 의견을 밝히지 않았다.[44]
유효한 투표를 할 것을 의무화한 경우에도, 비밀 투표제 하에서는 투표된 표가 유효한 것인지 특정하기 어려우며, 실제로는 무효표를 던져도 처벌받는 일은 없다. 위반자에 대한 벌칙 및 그 적용은 국가에 따라 다르다. 벌칙의 종류는 벌금, 투옥, 선거인 명부에서 삭제 등 다양하지만, 벌칙 규정이 전혀 없는 나라도 있다. 또한, 벌칙의 적용 수준도 제각각이며, 엄격하게 적용하는 나라도 있는가 하면, 전혀 적용하지 않는 나라도 있다. 따라서 의무 투표제가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도 국가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벌금처럼 유의미한 벌칙을 정하고 이를 엄격하게 적용하는 국가에서는 투표율이 매우 높은 경향이 있다.
선진국의 대표적인 예로 꼽히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정당한 이유 없이 투표하지 않은 유권자에 대한 벌금은 20AUD이며, 선거 관리 당국이 각 선거 후에 불투표자에 대한 조사와 벌금 지불 요구를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불투표자가 벌금 지불 요구에 응하지 않고 기소되어 재판에서 유죄가 되면 50AUD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지만, 법원에서 소송 비용 부담도 요구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924년 의무 투표제 채택 이후, 투표율은 선거인 명부 등록자 수의 90% 수준으로 높은 수준으로 안정되어 있다.
6. 국가별 현황
현재 의무투표제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는 32개국이다. 이 중에는 오스트레일리아처럼 벌칙에 불복하면 강제력이 발동되는 경우도 있지만, 벌칙만 있고 강행 규정은 없는 나라도 있다.[157]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벨기에, 룩셈부르크, 그리스, 스위스, 튀르키예가 강행 규정을 가지고 있으며, 프랑스, 이탈리아는 강행 규정 없이 벌칙만 있다.
의무투표제 국가에서 부과하는 벌칙과 불편의 종류는 국가별로 매우 다양하다.
- 과태료: 오스트레일리아는 20AUD, 아르헨티나는 10ARS~20ARS, 스위스는 3CHF, 키프로스는 300CYP를 부과한다.
- 참정권 박탈: 벨기에에서는 15년 동안 4회 이상 투표에 불참하면 투표권이 10년간 박탈된다. 싱가포르에서는 불참자는 유권자 명부에서 삭제되며, 복구를 원하면 불참 사유를 제시하고 투표권을 다시 신청해야 한다.
- 기타 공공 서비스 제한: 그리스는 여권과 운전면허증 발급을 제한한다. 벨기에는 공공기관 채용을 제한한다. 페루에서는 선거 참여 인증서를 수개월 소지해야 하며, 미소지 시 여러 불편을 겪는다. 볼리비아에서는 석 달 동안 은행 계좌에서 봉급을 인출할 수 없다.
의무투표제를 시행하면서 투표 불참자에게 벌칙을 정하고 있는 국가와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소 | 면제 | 투표율 | 시행 여부 | 처벌 | 역사 |
---|---|---|---|---|---|
아르헨티나 | 16세, 17세, 70세 이상. 선거일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판사 및 그 보조자. 선거일에 500km 이상 떨어진 사람. 불가항력으로 인해 아프거나 장애가 있는 사람.[46] | 75%[47] | 예 | 1912년 사엔스 페냐 법으로 도입.[48] 정당한 사유 없이 기권한 등록 유권자는 벌금을 납부해야 한다. 미납 시 해당인은 1년 동안 공공 기관과 거래할 수 없다.[49] 1980년대에는 투표율이 약 85%로 정점을 찍었다.[50] | |
호주 | 여행, 질병, 종교적 반대, 계절 근로자, 고정 주소가 없는 사람, 투표 등록하지 않은 사람[18] | 92%[51] | 예 | 1%[18] | 1915년 퀸즐랜드 주 선거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원주민은 제외되었다. 빅토리아는 1926년, 뉴사우스웨일스와 태즈메이니아는 1928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는 1936년(원주민 제외),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는 1942년에 의무 투표제를 도입했다. 1924년에는 21세 이상의 영국 시민을 대상으로, 1984년에는 원주민을 대상으로 연방 선거에 도입되었다.[52] 연방 선거의 의무 투표 연령은 1974년에 18세로 낮아졌다.[48] 호주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투표율을 기록하는 국가 중 하나이다.[53] 초범의 경우 20AUD의 벌금이 부과되며 최대 180AUD의 벌금이 정기적으로 부과된다.[54] 등록 또한 의무이다. |
벨기에 | 투표 등록을 하지 않은 사람[18] | 90%[55] | 아니요 [56] | 1894년에 도입.[57] 18세 이상의 모든 시민과 등록된 비 벨기에 유권자는 연방, 지방, 지역 및 유럽 의회 선거에서 투표해야 한다.[58] 2003년 이전에는 40EUR~80EUR의 벌금이 부과되었으며, 재범자는 최대 200EUR의 벌금이 부과되었지만, 최소 4번의 선거에서 투표하지 않으면 10년 동안 투표권을 잃을 수 있으며, 비 투표자는 공공 부문에서 일자리를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었다. 현실적으로 2003년 이후에는 위반자를 거의 기소하지 않는다.[59] 임명된 투표소 직원이 불참하면 즉시 처벌을 받는다.[60][61][62][63] 우익의 주요 플랑드르 공동체 정당은 의무 투표제를 폐지하려 하며, 2024년 선거를 시작으로 플랑드르 지방 선거의 경우 이를 시행했다. 벨기에 프랑스어 사용 공동체에서는 좌익 정당이 의무 투표제를 확고히 지지하는 반면, 우익 정당은 이를 폐지하는 것을 점점 더 선호하고 있다.[64] | |
볼리비아 | 70세 이상, 선거일 불참, 불가항력[65] | 92%[66] | 예 | 1952년부터. 투표자는 투표 후 참여를 증명하는 카드를 받는다. 그렇지 않으면 벌금을 받고 선거 후 3개월 동안 투표 증명을 제시할 수 없으면 은행에서 급여를 받을 수 없다.[65] | |
브라질 | 16세, 17세, 70세 이상, 선거일에 집에서 멀리 떨어진 사람(사전 승인 필요) 또는 문맹자[67][68] | 80%[69] | 예 | 1932년부터. 해외 거주 브라질인을 포함한 모든 브라질 시민에게 의무이다. 선거에서 투표하지 않고 나중에 수용 가능한 정당한 사유(예: 투표 장소에서 멀리 떨어진 경우)를 제시하지 않으면 3.51BRL(2020년 8월 기준 약 0.65USD)의 벌금이 부과된다. 브라질 여권 발급, 공립 대학 입학, 정부 고용, 정부 소유 은행 대출 등 일부 거래에는 투표 준수 증명(투표, 불참 사유 제시 또는 벌금 납부)이 필요하다.[70][71] 2020년 연구에서 브라질인의 56%가 이 정책에 반대했다.[72] | |
칠레 | 건강 문제, 투표소에서 200km 이상 떨어진 경우, 지역 법원에서 인정한 모든 정당한 사유. | tbd | 2012년 1980년 칠레 헌법의 수정안은 투표 의무를 폐지하고(그리고 많은 저소득 시민의 등록을 억제했던 최대 200USD의 벌금) 모든 시민에 대한 자동 등록을 확립했다(법률 20,568).[84] 2022년에는 자동 등록을 유지하면서 의무 투표제가 재도입되었다.[73] | ||
코스타리카 | 63%[74] | 아니요[75][18] | 1990년대까지 결석률이 일관적으로 약 20%였지만, 그 이후 거의 30%로 급증했다.[75] | ||
에콰도르 | 16세, 17세, 65세 이상 또는 문맹자 | 82%[76] | 예 | 1936년에 도입.[48] | |
이집트 | 33%[77] | 아니요 | 이집트 법은 투표하지 않은 사람에게 벌금과 심지어 징역형을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법이 적용되지 않아 투표율이 낮으며, 2014년 대통령 선거에서 47.5%를 기록한 후 다음 해 의회 선거에서는 28.3%로 떨어졌다. | ||
피지 | ~70%[78] | 아니요 | 2014년부터 시행되지 않음.[79] | ||
그리스 | 70세 이상 | ~60%[80] | 아니요[81][18] | 여권, 운전면허증, 직업 면허증을 발급받을 수 없는 등의 처벌이 있었다. 이 제재는 2000년에 해제되었다.[82] | |
온두라스 | 58%[83] | 아니요[18] | 온두라스 헌법은 투표가 의무라고 명시하고 있지만, 선거법에는 투표하지 않은 것에 대한 처벌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84] | ||
리히텐슈타인 | 78%[85] | 예 | 국가 문제에서 정치적 권리 행사에 관한 법(1973)은 "선거 및 투표 참여는 의무적인 시민의 의무"라고 명시하고 있다[86][12], 면제 자격이 없는 사람에게는 벌금이 부과된다. | ||
룩셈부르크 | 18세 미만 또는 75세 이상, 해외 거주 | 90%[87] | 아니요[88] | 룩셈부르크 시민 중 룩셈부르크에 거주하는 18세에서 75세 사이의 사람에게 의무이다. 외국인(모든 외국인을 위한 지방 선거 및 유럽 시민만을 위한 유럽 선거)은 룩셈부르크에 거주하는 경우 투표 등록을 할 수 있으며, 2023년에는 이전의 5년 거주 요건이 해제되었다. 외국인의 선거인 명부 등록은 의무가 아닌 자유로운 선택이지만, 적격한 외국인이 투표 등록을 한 경우, 투표는 의무가 된다. 투표하지 않은 것에 대한 처벌은 1차 위반 시 100EUR~250EUR에서 재범 시 최대 1000EUR까지 부과된다.[89] 그러나 1963년 이후 벌금은 부과되지 않았다[88] | |
멕시코 | 54%[90] | 아니요[18] | 멕시코 헌법은 투표가 시민의 의무라고 언급하고 있지만(제36조), 선거법은 투표하지 않은 것에 대한 처벌을 규정하고 있지 않다.[84] | ||
나우루 | 90%[91] | 예 | 1965년 호주령이었을 때 도입.[48]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99% | 예 | 17세 이상인 모든 사람은 투표해야 한다. 그러나 집권 조선로동당 또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파트너 중 한 명의 후보자만 투표 용지에 나타난다. 투표는 누가 국내에 있는지, 누가 국내에 없는지(탈북자 포함)를 추적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반대 투표는 가능하지만, 투표가 비밀이 아니기 때문에 누군가와 그 가족에게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반역 행위로 간주된다.[92][93] | ||
파라과이 | 75세 이상[18] | 65%[94] | 아니요[18] | 18세에서 75세 사이의 시민. 2013년 총선 투표율은 68.5%였으며, 2018년 선거에서는 61.2%로 감소했다. | |
페루 | 70세 이상[95] | 81%[96] | 예 | 1933년에 도입.[48] | |
핏케언 제도 | 100%[97] | 예 | 18세 이상의 모든 영주권자는 투표해야 한다.[98] 정당한 사유 없이 투표하지 않은 사람은 최대 25NZD의 벌금이 부과된다.[99][100] | ||
사모아 | 93%[101] | 예 | 사모아는 2018년에 의무 투표제를 채택했다.[102] 2021년 사모아 총선에서 처음 시행되었다. | ||
싱가포르 | 여행, 질병, 21세 미만[103] | 95%[104] | 예 | 투표를 하지 않으면 선거인 명부에서 이름이 삭제될 수 있다. 비 투표자는 가장 최근 선거에서 투표하지 않은 정당한 사유를 등록 담당관에게 제출하여 선거인 명부에 이름을 복원할 수 있다. 정당한 사유 없이 투표하지 않은 사람은 선거인 명부에 복원되기 전에 50SGD의 벌금이 부과된다.[105] | |
스위스 칸톤의 샤프하우젠 | 예 | 스위스에서는 의무 투표제가 국가 수준에서 존재한 적이 없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 여러 칸톤에서 통과되었지만, 1974년까지 샤프하우젠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폐지되었다.[48] | |||
태국 | 67%[106] | 아니요 | |||
튀르키예 | 83.45%[107] | 아니요 | 1983년에 의회 선거에, 1984년에 지방 선거에 도입되었다. 정당한 사유 없이 투표를 기권한 등록 유권자는 벌금을 받는다.[108][109] | ||
우루과이 | 건강 문제, 선거일 불참, 불가항력, 시민권 정지.[110] | 90%[111] | 예 | 1934년에 도입되었지만, 1970년까지 시행되지 않았다.[48] 정당한 사유 없이 투표를 기권한 등록 유권자는 벌금을 받는다. 벌금은 비 투표자가 공무원 또는 대학원 전문직인 경우 두 배로 증가한다. 미납 시 해당인은 개인적인 관심사나 법적 대리인으로서 행동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공공 기관과 거래하거나, 수수료 또는 급여를 징수하거나, 대학 시험에 등록하거나, 등록된 재산을 구매하거나, 다른 국가로 여행하기 위한 티켓을 구매하는 것이 금지된다.[112] |
비밀 투표 제도하에서는 투표된 표의 유효성을 특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는 무효표를 던져도 처벌받는 일은 없다. 위반자에 대한 벌칙 및 그 적용은 국가마다 다르며, 벌칙의 종류는 벌금, 투옥, 선거인 명부 삭제 등 다양하다. 벌칙 규정이 없는 나라도 있으며, 벌칙 적용 수준도 국가별로 다르다. 따라서 의무 투표제가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도 국가마다 다르지만, 벌금처럼 유의미한 벌칙을 정하고 엄격하게 적용하는 국가에서는 투표율이 매우 높은 경향이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정당한 이유 없이 투표하지 않은 유권자에게 20AUD(약 2,000원)의 벌금이 부과되며, 선거 관리 당국은 불투표자 조사와 벌금 지불 요구를 체계적으로 실시한다. 불투표자가 벌금 지불 요구에 불응하여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으면 50AUD(약 5,000원) 이하의 벌금과 함께 법원 소송 비용 부담도 요구된다. 오스트레일리아는 1924년 의무 투표제 채택 이후 투표율이 선거인 명부 등록자 수의 90% 수준으로 안정되었다.
의무 투표제의 벌칙 적용 양상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양상 | 국가명 | 제도 내용 |
---|---|---|
벌칙 적용이 엄격한 국가 | 우루과이 | 벌칙은 벌금 및 권리 일부 제한이다. |
키프로스 | 벌칙은 벌금(500CYP 이하) 및 징역이다. | |
오스트레일리아 | 벌칙은 벌금(원칙적으로 20AUD지만, 법원에서 다툴 경우 50AUD 이하 + 소송 비용도 필요하다). | |
싱가포르 | 벌칙은 선거인 명부에서 말소다. 기권이 불가피했음을 명시하거나 50SGD를 지불하면 선거인 명부 재등록이 가능하다. | |
스위스 | 샤프하우젠 주만 해당된다. 주법에 따라 연방 선거에서의 투표도 법적 의무다. 벌칙은 벌금(3CHF)이다. | |
태국 | 벌칙은 다음 동종 선거의 피선거권 박탈이다. 입후보 접수가 완료된 후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심사하여, 이전 선거에서 투표하지 않은 것이 밝혀지면 실격 조치가 취해진다. | |
북한 | 벌칙은 사실상 절대부정기의 징역이다. 원양어업에 종사하고 있거나 투표일 당일 해외에 있거나, 질병으로 인해 투표가 불가능하거나, 체포·투옥된 경우에는 대상에서 제외된다. 투표에서 반대표를 던진 경우에도 이와 동일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 |
나우루 | 벌칙은 벌금이다. | |
피지 | 벌칙은 벌금 및 징역이다. | |
벨기에 | 벌칙은 벌금(최초는 5EUR~10EUR, 두 번째 이후는 10EUR~25EUR) 및 선거권 제한(15년 동안 4회 이상 기권하는 경우 10년간 선거 자격 정지)이다. | |
룩셈부르크 | 벌칙은 벌금(99EUR~991EUR. 첫 기권 후 6년 이내에 다시 기권하면 무거운 벌금이 부과된다.) 단, 71세 이상인 자와 투표일에 해외에 있는 자의 투표는 임의이다. (첫 기권에 대해서는 보통 경고 문서가 발송될 뿐이지만, 기권이 반복되면 법원 판결을 받게 될 수 있다). | |
벌칙 적용이 엄격하지 않은(불명확한) 국가 | 아르헨티나 | 벌칙은 벌금(10ARS~20ARS) 및 권리 일부 제한(3년간 공직 취임·재직 금지)이다. |
에콰도르 | 벌칙은 벌금 및 권리 일부 제한이다. 단, 문맹인 및 66세 이상인 자의 투표는 임의이다. | |
이집트 | 벌칙은 벌금(20 이집트 파운드)이다. 여성의 투표는 임의다. | |
그리스 | 벌칙은 예시로 징역(1개월 이하)이다. 71세 이상인 자, 병약자, 투표소로부터 200km 이상 떨어진 자의 투표는 임의다. (현재까지 기권을 이유로 기소된 사람은 없다). | |
가봉 | 벌칙은 벌금이다. | |
터키 | 벌칙은 벌금이다. | |
파나마 | 벌칙은 벌금이다. | |
파라과이 | 벌칙은 벌금이다. | |
브라질 | 벌칙은 벌금이다. 단, 문맹인 및 16세, 17세, 71세 이상인 자의 투표는 임의다. | |
페루 | 벌칙은 벌금(20PEN) 및 공공 서비스 일부 제한이다. 71세 이상인 자의 투표는 임의다. | |
볼리비아 | 벌칙은 권리 일부 제한(선거 후 3개월 동안은 투표 확인증을 지참하지 않으면 은행에서 지급되는 급여를 인출할 수 없다)이다. | |
몽골 | 벌칙 및 적용 수준 모두 불명확하다. | |
리히텐슈타인 | 벌칙은 벌금(20CHF 이하)이다. | |
벌칙이 규정되지 않은 국가 | 이탈리아 | 벌칙은 없다. |
과테말라 | 벌칙은 없다. | |
코스타리카 | 벌칙은 없다. | |
도미니카 공화국 | 벌칙은 없다. | |
필리핀 | 벌칙은 없다. | |
온두라스 | 벌칙은 없다. | |
멕시코 | 벌칙은 없다. |
국정 수준의 국회의원 선거 외에도 대통령 선거, 국민 투표, 지방 선거 등에서 의무 투표제가 시행되는 경우가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우 주/시읍면 수준의 선거에서 주법에 의해 의무 투표제가 규정되기도 한다.
6. 1. 강행 규정이 있는 국가
의무투표제를 시행하면서 투표 불참자에게 벌칙을 정하고 강행 규정이 있는 국가는 다음과 같다.국가 | 내용 |
---|---|
아르헨티나 | 18세~70세 사이 모든 시민 대상. 70세를 초과하면 적용되지 않는다. |
오스트레일리아 | 18세 이상의 모든 성인에 대해 지역, 주, 국가 차원의 선거에 등록된 선거인. |
벨기에 | 1893년에 보통선거를 실시하면서 동시에 의무투표제를 도입했다. 투표율이 30~40%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투표 불참자는 법원으로부터 사유를 소명하라는 편지를 받고, 사유가 합당하다고 인정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된다. 처음에는 25EUR~50EUR지만 두 번째에는 50EUR~125EUR로 액수가 커진다. 15년 동안 네 번 투표에 불참하면 그 후 10년 동안 투표권이 박탈된다. 그러나 실제로 처벌받는 사람 수는 많지 않다.[158] |
브라질 | 16세~18세 사이 시민과 70세 초과의 시민은 해당되지 않는다.[159] |
키프로스 | |
콩고 민주 공화국 | |
에콰도르 | 18세~65세 사이 모든 시민에게 적용. 16~18세 사이 시민과 문맹자, 65세를 초과하는 시민은 해당되지 않는다. |
피지 | |
리히텐슈타인 | |
나우루 | |
페루 | 18세~70세 사이 모든 시민에게 적용. 70세를 초과하는 시민은 해당되지 않는다. |
싱가포르 | |
스위스 | 샤프하우젠주에서 적용. |
튀르키예 | |
우루과이 | |
가봉 | 벌금 부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에서는 주 선거에 등록된 사람은 의무 투표가 적용되지 않지만,[160][161][162] 이는 주 차원의 제도이고,[160] 국가 차원의 선거에서는 사실상 의무 투표가 적용된다.
2021년 12월 기준, 21개 국가가 의무 투표제를 시행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45] 이 중 10개 국가(스위스의 칸톤 추가)만이 이를 시행하고 있다. 2020년 1월 기준으로 OECD 36개 회원국 중 오스트레일리아만이 실제로 시행되는 형태의 의무 투표제를 가지고 있었다. 벨기에, 그리스, 룩셈부르크, 멕시코, 튀르키예에서는 투표가 의무이지만, 시행되지 않고 있다.
6. 2. 강행 규정이 없는 국가
그리스, 멕시코, 이탈리아, 태국 등은 의무투표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투표를 강제하는 규정은 존재하지 않는다.[45]- 그리스 : 70세 이상은 면제 대상이다.[80] 과거에는 여권, 운전면허증, 직업 면허증 발급 불가 등의 제재가 있었으나 2000년에 폐지되었다.[82]
- 멕시코 : 멕시코 헌법 제36조는 투표를 시민의 의무로 규정하지만, 선거법에는 투표 불참에 대한 처벌 조항이 없다.[84]
- 이탈리아 : 대부분의 선거에서 18세 이상 시민에게 적용되며, 상원 선거는 25세 이상 시민에게 적용된다.
- 태국
- 코스타리카[74]
- 도미니카 공화국 : 군인이나 경찰은 투표하지 않는다.
- 엘살바도르
- 과테말라 : 군 장교는 투표하지 않는다.
- 온두라스 : 온두라스 헌법은 투표를 의무로 명시하지만, 선거법에는 불참에 대한 처벌이 없다.[84]
- 필리핀
- 파나마
- 파라과이 : 18세~75세 사이 시민에게 적용되며, 75세 초과는 해당되지 않는다.
6. 3. 과거에 의무투표제를 시행했던 국가
- 네덜란드: 1917년 평화 조약에 따라 보통선거제와 함께 의무투표제가 도입되었으나, 1970년에 폐지되었다. 폐지 이후 투표율이 약 20%포인트 하락했다.[163] 1946년 네덜란드 여론 조사 연구소(NIPO)의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66%가 의무투표제 폐지에 찬성했고, 1966년 조사에서는 69%가 찬성했다. 1967년 암스테르담 자유 대학교 설문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70%가 의무투표법이 "옳다"고 답했다. 1969년 1월, 네덜란드 여론 조사 연구소의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3%가 의무투표제 폐지에 찬성했으며, 29%는 유지를 원했다. 1999년에는 의무투표제 지지율이 35%에 불과했다.[120]
- 베네수엘라: 1993년에 의무투표제가 폐지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거의 시행되지 않았다.[18] 폐지 이후 투표율이 30%포인트가량 떨어졌다.[163] 1970년과 1993년 사이 의무투표제 시행 기간에는 평균 투표율이 90%에 가까웠으나, 1998년 이후 투표율은 평균 62%를 기록했다.[14][126]
- 오스트리아: 1924년 국가 수준에서 도입되었다가[12] 1992년에 폐지되었다. 슈타이어마르크주, 티롤 및 포어아를베르크주에서는 주 수준에서 1992년에 폐지되었다.[114] 1982년까지는 대통령 선거에서의 투표는 연방 전체에서 의무였으나, 이후 각 주법에 위임되었다.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티롤 주만이 투표를 의무로 했으나, 같은 해에 폐지되었다.
- 칠레: 2011년에 폐지되었다. 2012년 선거부터 적용되지 않았으며, 이후 투표율이 10~20% 하락했다. 2012년 1980년 칠레 헌법의 수정안은 투표 의무를 폐지하고(그리고 많은 저소득 시민의 등록을 억제했던 최대 200달러의 벌금) 모든 시민에 대한 자동 등록을 확립했다(법률 20,568).[84] 2022년에는 자동 등록을 유지하면서 의무 투표제가 재도입되었다.[73]
- 에스파냐: 1907~1923년 사이 의무투표제가 있었으나, 시행되지는 않았다.
- 미합중국의 조지아주: 1777년 조지아 헌법 제12조에 의해 시행되었다.[123] 1777년 조지아 주에서는 투표불참자에게 5파운드를 미만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주 헌법으로 정했으나, 1789년 미국 헌법 비준 이후 채택된 수정된 조지아 헌법에서 삭제되었다.[124]
참조
[1]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Field Listing: Suffrage
https://www.cia.gov/[...]
[2]
서적
The History of Compulsory Voting in Europe: Democracy's Du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3-28
[3]
서적
Ibid.
https://books.google[...]
[4]
웹사이트
Elections in the late Roman Republic: how did they work?
https://www.historye[...]
2022-10-06
[5]
웹사이트
This Is How the Romans Voted in the Roman Republic
https://www.thoughtc[...]
2022-10-06
[6]
논문
Endogenous Institutions: The Origins of Compulsory Voting Laws
2007
[7]
논문
Compulsory Voting in Belgium
2018-03-28
[8]
논문
The achievement of female suffrage in Europe: on women's citizenship
2014-01-01
[9]
뉴스
Compulsory voting in Australia
https://www.aec.gov.[...]
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
2019-12-23
[10]
웹사이트
Who voted in previous referendums and elections
http://www.aec.gov.a[...]
2018-03-28
[11]
웹사이트
2016 federal election Key facts and figures
http://www.aec.gov.a[...]
2018-03-28
[12]
웹사이트
Compulsory Voting – International IDEA
https://www.idea.int[...]
2019-05-05
[13]
웹사이트
Netherlands {{!}} International IDEA
https://www.idea.int[...]
2023-01-14
[14]
웹사이트
Venezuela {{!}} International IDEA
https://www.idea.int[...]
2023-01-14
[15]
웹사이트
Compulsory Voting in Australia
http://www.aec.gov.a[...]
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
2022-07-22
[16]
웹사이트
Compulsory voting in Australia
https://www.aec.gov.[...]
[17]
뉴스
Voting Should Be Mandatory
https://www.nytimes.[...]
2017-01-20
[18]
서적
100% Democracy: The Case for Universal Voting
[19]
논문
On the reasonableness of compelling citizens to 'vote': The Australian case
2002
[20]
웹사이트
The Case for Compulsory Voting
http://nationalinter[...]
2012-11-02
[21]
웹사이트
Unequal Participation: Democracy's Unresolved Dilemma
http://www.escholars[...]
1997
[22]
웹사이트
On Compulsory Voting and Income Inequality in a Cross-Section of Countries
http://www.iadb.org/[...]
2005-05
[23]
웹사이트
Income Inequality, mid-1990s and late 2000s table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Why more and more Australians are voting before election day
http://theconversati[...]
2018-03-28
[25]
간행물
PAYNE, Herbert James Mockford (1866–1944)
2023-01-10
[26]
서적
From Secret Ballot to Democracy Sausage: How Australia Got Compulsory Voting
https://books.google[...]
Text Publishing
[27]
논문
The Case for Compulsory Voting in the United States
[28]
웹사이트
Latham at Large
http://sixtyminutes.[...]
Channel Nine
2011-10-04
[29]
웹사이트
Revealed: The fine for failing to vote in the election
https://www.skynews.[...]
2023-01-14
[30]
웹사이트
Turnout by State
http://vtr.aec.gov.a[...]
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
2018-03-28
[31]
웹사이트
Informal Votes by State
http://vtr.aec.gov.a[...]
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
2018-03-28
[32]
논문
Vote Buying in Argentina
2004
[33]
웹사이트
Could compulsory voting save democracies in crisis?
https://qz.com/19209[...]
2023-08-27
[34]
논문
Does Compulsory Voting Increase Support for Leftist Policy?
http://eprints.lse.a[...]
2015-10-01
[35]
논문
If Everyone Had Voted, Would Bubba and Dubya Have Won?
2008-09-01
[36]
논문
What if Everyone Voted? Simulating the Impact of Increased Turnout in Senate Elections
2003-01-01
[37]
논문
Electoral and Policy Consequences of Voter Turnout: Evidence from Compulsory Voting in Australia
2011-04-23
[38]
논문
Compulsory voting, turnout, and government spending: Evidence from Austria
http://www.nber.org/[...]
2017-01-01
[39]
논문
Addressing the Gender Gap The Effect of Compulsory Voting on Women's Electoral Engagement
2016-06-20
[40]
논문
High turnout in the Low Countries: Partisan effects of the abolition of compulsory voting in the Netherlands
2016-12-01
[41]
논문
Turning Out for Redistribution: The Effect of Voter Turnout on Top Marginal Tax Rates.
https://epub.ub.uni-[...]
Universitätsbibliothek der Ludwig-Maximilians-Universität München
2016
[42]
논문
Moving toward the Median: Compulsory Voting and Political Polarization
2024
[43]
간행물
Compulsory voting in Australian national elections
https://apo.org.au/s[...]
Department of Parliamentary Services
2005-10-31
[44]
문서
https://www.centreav[...]
2024-02-01
[45]
웹사이트
Suffrage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46]
웹사이트
¿Quienes están exentos de la obligación de votar? : Elecciones
https://www.mendoza.[...]
2023-12-23
[47]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Argentina
https://www.election[...]
2023-01-13
[48]
웹사이트
Compulsory Voting
http://www.idea.int/[...]
International Institute for Democracy and Electoral Assistance|IDEA
2014-09-19
[49]
웹사이트
Cuánto se paga de multa por no votar y cómo justificarlo
https://argentina.as[...]
2022-07-22
[50]
웹사이트
Voto obligatorio en la Argentina: ¿podría ser optativo?
https://www.clarin.c[...]
2022-07-22
[51]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Australia
https://www.election[...]
2023-01-13
[52]
법률
Commonwealth Electoral Act 1924
[53]
웹사이트
Turnout by state
https://results.aec.[...]
2021-10-28
[54]
뉴스
What can happen if you don't vote in an election?
https://www.abc.net.[...]
2021-10-28
[55]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Belgium
https://www.election[...]
2023-01-13
[56]
웹사이트
https://www.francetv[...]
2024-02-01
[57]
웹사이트
Belgian constitution
http://www.senate.be[...]
[58]
웹사이트
Le vote est-il obligatoire ? | IBZ Elections
https://elections.fg[...]
[59]
웹사이트
Désintox. Belgique: Les abstentionnistes doivent-ils payer une amende ?
https://www.francetv[...]
2021-07-02
[60]
웹사이트
Niet-stemmers riskeren geen straf
http://www.demorgen.[...]
2009-06-06
[61]
웹사이트
Vers la fin du vote obligatoire?
http://www.7sur7.be/[...]
2010-02-15
[62]
웹사이트
Élections 2019: risquez-vous vraiment des sanctions si vous n'allez pas voter?
https://www.lesoir.b[...]
2019-05-24
[63]
뉴스
Geen sanctie voor wie niet stemt
https://www.hln.be/n[...]
2019-05-14
[64]
웹사이트
La fin du vote obligatoire d'ici 5 ans? Les partis de droite y sont plutôt favorables alors que la gauche est farouchement contre!
https://www.sudinfo.[...]
2019-10-30
[65]
웹사이트
Compulsory Voting | International IDEA
https://www.idea.int[...]
2023-01-14
[66]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Bolivia
https://www.election[...]
2023-01-13
[67]
논문
Compulsory for Whom? Mandatory Voting and Electoral Participation in Brazil, 1986–2006
https://journals.sub[...]
2009-04-22
[68]
웹사이트
Voto no Brasil: democracia ou obrigatoriedade?
https://alexismadrig[...]
2020-02-02
[69]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Brazil
https://www.election[...]
2023-01-13
[70]
뉴스
TSE approves automatic recognition of payment of electoral fine
https://agenciabrasi[...]
2020-04-02
[71]
뉴스
Know what may happen to whoever fails to vote and does not justify it
http://g1.globo.com/[...]
G1
2016-09-16
[72]
웹사이트
Datafolha: Majority of Brazilians Oppose Compulsory Voting
https://www.riotimes[...]
2023-01-14
[73]
웹사이트
Chile's congress reintroduces mandatory voting
https://www.latercer[...]
2022-12-20
[74]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Costa Rica
https://www.election[...]
2023-01-13
[75]
웹사이트
Costa Rica's elections 2018: a primer
https://ticotimes.ne[...]
2017-12-19
[76]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Ecuador
https://www.election[...]
2023-01-13
[77]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Egypt
https://www.election[...]
2023-01-13
[78]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Fiji
https://www.election[...]
2023-01-13
[79]
웹사이트
Fiji to drop compulsory voting, lower age for 2014
http://www.radioaust[...]
radioaustralia.net
2010-09-08
[80]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Greece (look at the last 2–3 parliamentary elections)
https://www.election[...]
2023-01-13
[81]
웹사이트
European Election Database – Parliamentary elections in Greece
https://nsd.no/europ[...]
[82]
웹사이트
Compulsory Voting {{!}} International IDEA
https://www.idea.int[...]
2022-06-11
[83]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Honduras
https://www.election[...]
2023-01-13
[84]
논문
The Origins and Consequences of Compulsory Voting in Latin America
https://etd.library.[...]
2015-11-24
[85]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Liechtenstein
https://www.election[...]
2023-01-14
[86]
간행물
Act of 17 July 1973 on the Exercise of Political Rights in National Affairs (Democratic Rights, VRG)
https://www.legislat[...]
1973-11-23
[87]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Luxembourg
https://www.election[...]
2023-01-13
[88]
웹사이트
Is voting in Luxembourg really compulsory?
https://www.luxtimes[...]
2024-07-22
[89]
문서
Loi électorale du Grand-Duché de Luxembourg
[90]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Mexico
https://www.election[...]
2023-01-13
[91]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Nauru
https://www.election[...]
2023-01-13
[92]
뉴스
The Economist explains: How North Korea's elections work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5-05-06
[93]
뉴스
North Korea elections: What is decided and how?
https://www.bbc.com/[...]
BBC News
2023-01-14
[94]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Paraguay
https://www.election[...]
2023-01-13
[95]
웹사이트
Political Constitution of Peru
http://www.tc.gob.pe[...]
Tc.gob.pe
2011-10-04
[96]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Peru
https://www.election[...]
2023-01-13
[97]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Pitcairn Islands
https://www.election[...]
2023-01-13
[98]
간행물
Local Government Ordinance
http://www.governmen[...]
Laws of Pitcairn, Henderson, Ducie and Oeno Islands
2019
[99]
간행물
Summary Offences Ordinance
http://www.governmen[...]
Laws of Pitcairn, Henderson, Ducie and Oeno Islands
2019
[100]
뉴스
First country in the world to grant suffrage to women celebrates its 175th anniversary
https://news.eud.adv[...]
Seventh-day Adventist Church Inter-European Division
2013-12-01
[101]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Samoa
https://www.election[...]
2023-01-13
[102]
웹사이트
Voting in Samoa Parliamentary elections to be compulsory
https://www.rnz.co.n[...]
2022-02-11
[103]
법률
Parliamentary Elections (COVID-19 Special Arrangements) Act 2020
[104]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Singapore
https://www.election[...]
2023-01-13
[105]
웹사이트
ELD {{!}} What Should I Do If I Did Not Vote in a Past Election?
https://www.eld.gov.[...]
2024-06-13
[106]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Country Profile: Thailand
https://www.election[...]
2023-01-13
[107]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Country Profile: Turkey
https://www.election[...]
2023-06-06
[108]
웹사이트
Milletvekili Seçimi Kanunu
https://www.mevzuat.[...]
[109]
웹사이트
Mahalli İdareler ile Mahalle Muhtarlıkları ve İhtiyar Heyetleri Seçimi Hakkında Kanun
https://www.mevzuat.[...]
[110]
웹사이트
Article 6 of the Election Law
https://www.impo.com[...]
2024-01-30
[111]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Country Profile: Uruguay
https://www.election[...]
2023-01-13
[112]
웹사이트
Ley N° 16.017 de 13 de enero de 1989
https://www.corteele[...]
[113]
보고서
The 1991 Elections in Albania: Report of the Election Observer Delegation
https://www.iri.org/[...]
National Republic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ffairs
[114]
웹사이트
Elections in Austria
https://www.bmi.gv.a[...]
[115]
뉴스
Bulgaria's Constitutional Court Abolishes Compulsory Voting
https://www.novinite[...]
2017-02-23
[116]
뉴스
Government abolishes compulsory voting
http://cyprus-mail.c[...]
2017-05-31
[117]
웹사이트
Should Dominicans be Forced to Vote?
https://dominicantod[...]
2017-05-04
[118]
웹사이트
IPU PARLINE database: ITALY (Camera dei Deputati), Electoral system
http://archive.ipu.o[...]
[119]
웹사이트
IPU PARLINE database: LEBANON (Majlis Al-Nuwwab)
http://archive.ipu.o[...]
[120]
웹사이트
May we have the votes, please?
https://ecpr.eu/File[...]
[121]
서적
Philippines, a country study
Foreign Area Studies, The American University
1984
[122]
웹사이트
Le dernier canton où le vote est obligatoire
http://www.swissinfo[...]
2014-04-04
[12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Georgia, 5 February 1777
http://www.yale.edu/[...]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2007-12-07
[124]
웹사이트
Georgia Constitution of 1789 – Founding.com
http://founding.com/[...]
[125]
웹사이트
Compulsory voting around the world
http://politics.guar[...]
Politics.guardian.co.uk
2005-07-04
[126]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Country Profile: Venezuela
https://www.election[...]
2023-01-14
[127]
웹사이트
Electoral Backgrounder: Compulsory Voting
https://www.aec.gov.[...]
2014-09
[128]
웹사이트
Elecciones 2015: toda la información
http://www.telam.com[...]
Télam
2015-03-11
[129]
웹사이트
Le vote par procuration IBZ Elections
https://elections.fg[...]
2021-08-19
[130]
웹사이트
Of 31 countries with compulsory voting, a dozen actually enforce it
http://www.thenews.c[...]
[131]
뉴스
Compulsory voting around the world
http://politics.guar[...]
2005-07-04
[132]
웹사이트
How to vote while overseas
https://www.aec.gov.[...]
[133]
간행물
Early Voting in Australian Federal Elections: Causes and Consequences
https://www.aec.gov.[...]
Australian Political Studies Association 2014 Conference – Sydney
[134]
문서
http://www.aec.gov.a[...]
[135]
웹사이트
http://www.aec.gov.a[...]
[136]
웹사이트
The Case for Compulsory Voting
http://nationalinter[...]
2012-11-02
[137]
웹사이트
Who voted in previous referendums and elections
http://www.aec.gov.a[...]
[138]
웹사이트
2016 federal election Key facts and figures
http://www.aec.gov.a[...]
[139]
웹사이트
Compulsory Voting International IDEA
https://www.idea.int[...]
2019-05-05
[140]
논문
On the reasonableness of compelling citizens to ‘vote’: The Australian case
2002
[141]
웹사이트
Why more and more Australians are voting before election day
http://theconversati[...]
2018-03-28
[142]
논문
Unequal Participation: Democracy's Unresolved Dilemma
http://www.escholars[...]
1997
[143]
간행물
On Compulsory Voting and Income Inequality in a Cross-Section of Countries
http://www.iadb.org/[...]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2005-05
[144]
웹사이트
Income Inequality, mid-1990s and late 2000s table
http://www.conferenc[...]
[145]
뉴스
Voting Should Be Mandator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1-20
[146]
간행물
The Watchtower
1999-11-01
[147]
논문
The Case for Compulsory Voting in the United States
2007
[148]
비디오
In Brazil, Citizens Are Split Over Mandatory Voting
https://www.wsj.com/[...]
2018-02-23
[149]
웹사이트
Don't be a donkey: How to make sure your vote is counted correctly
https://www.canberra[...]
2022-05-18
[150]
웹사이트
Latham at Large
http://sixtyminutes.[...]
Channel Nine
2011-10-04
[151]
웹사이트
Turnout by State
http://vtr.aec.gov.a[...]
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
2018-03-28
[152]
웹사이트
Informal Votes by State
http://vtr.aec.gov.a[...]
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
2018-03-28
[153]
웹사이트
In Brazil, Citizens Are Split Over Mandatory Voting
https://www.wsj.com/[...]
2018-03-28
[154]
웹사이트
IFES Election Guide - Country Profile: Brazil
http://www.electiong[...]
2018-03-28
[155]
문서
공적 부문 취업 불가 및 기타 제약
[156]
웹사이트
http://smh.com.au/ar[...]
[157]
웹사이트
Australian Electoral Commission, ''Compulsory Voting in Australia'', p. 6.
http://www.aec.gov.a[...]
2010-05-30
[158]
논문
Choosing Compulsory Voting in Belgium
http://www.essex.ac.[...]
2007
[159]
논문
Compulsory for Whom? Mandatory Voting and Electoral Participation in Brazil, 1986-2006
http://hup.sub.uni-h[...]
[160]
웹사이트
Unique Features of South Australian Elections
http://www.abc.net.a[...]
ABC
[161]
법률
Provision for unenrolled SA electors, SA ELECTORAL ACT 1985 - SECT 28
http://www.austlii.e[...]
[162]
법률
'Entitled' not 'required' SA ELECTORAL ACT 1985 - SECT 29
http://www.austlii.e[...]
[163]
뉴스
Compulsory Voting around the World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5-0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