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라빌리아 우르비스 로마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라빌리아 우르비스 로마이》는 중세 시대에 로마의 건축물과 명소, 역사, 전승, 전설 등을 소개하는 책이다. 이 책은 로마의 성벽, 문, 이정표, 개선문, 언덕, 목욕탕, 궁전, 극장 등 다양한 건축물과 유적을 다루며,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질문과 시빌의 대답, 말 대리석상이 만들어진 이유 등 다양한 주제를 포함한다. 12세기에 처음 출간된 이후 여러 판본으로 제작되었으며, 15세기 르네상스 시대에 새로운 안내서가 등장하면서 대체되기 시작했다. 19세기에는 조반니 바티스타 데 로시에 의해 다양한 판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행 가이드북 - 론리 플래닛
1973년 저가 배낭여행 가이드북으로 시작한 론리 플래닛은 전 세계적인 여행 미디어 회사로 성장했으나, 엄격한 편집 방침에도 불구하고 여러 논란을 겪으며 2020년 레드 벤처스에 인수되었다. - 라틴어 책 - 카르미나 부라나
《카르미나 부라나》는 다양한 언어로 쓰여진 중세 시가집으로, 칼 오르프에 의해 칸타타로 편곡되어 "오 포르투나"를 비롯한 음악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독일 남부 등 중부 유럽 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라틴어 책 - 프로스로기온
프로스로기온은 안셀무스가 "그보다 더 큰 존재를 생각할 수 없는 존재"로서의 신을 정의하고 존재론적 논증을 제시하며, 믿음과 이성의 관계 및 신의 본질과 속성을 탐구하는 철학적 논문이다.
미라빌리아 우르비스 로마이 |
---|
2. 책의 내용과 구성
미라빌리아 우르비스 로마이는 로마의 건축물과 명소를 소개하며 그 역사, 전승, 전설을 담고 있다. 1913년 가톨릭 백과사전은 "도시의 내력에 대한 정확한 지식뿐만 아니라, 로마의 대표 건축물을 서술하는 과정에서 저자의 창의력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4]
베네딕토의 《미라빌리아》(당시 제목 없음)는 《리베르 폴립티쿠스》의 일부로, 교황 재산 목록과 로마 건축물에 대한 고대 인구 조사인 《로마 시의 기이한 점들(Curiosum urbis Romae)》을 포함하며, 《미라빌리아》는 이를 닮았다. 로마의 성벽, 탑, 요새, 문, 개선문, 언덕, 목욕탕, 고대 건물, 극장, 성인 순교 관련 장소, 다리, 묘지, 중요 고대 기념물과 역사를 다룬다. 바티칸에서 트라스테베레까지의 여정을 따르지만, 고대 기념물에 초점을 맞춘다.[4]
후기 고대의 '데쿠스'(decoreum, 품위)와 '오르나투스'(ornatus, 장식) 개념은 약탈로부터 보호받고 로마 통치자의 정치적 권력을 나타내는 로마의 기반 시설과 기념물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5] 베네딕토의 편집은 교황과 관련이 있지만, 후기 버전들은 중세 코뮌의 핵심 기관인 로마 원로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초기 버전은 순례나 여행과 관련이 없다.
2. 1. 로마의 도시 구조
《미라빌리아 우르비스 로마이》는 로마의 성벽, 대문, 이정표 등 도시의 기본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 책은 로마 시가 고대 로마 제국의 수도에서 쇠락하여, 테베레강 굽이에 위치한 작은 도시로 변모하였음을 보여준다. 주민 거주 구역인 '아비타토'(abitato)는 고대 로마의 성벽과 대문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옛 신전과 목욕탕의 폐허가 널려 있었으며, 로마 포룸은 '암소의 목초지'(Campo Vaccino)라는 이름으로 불렸다.[11]책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목 | 내용 |
---|---|
De miliaribus (이정표) | 이정표에 대한 설명 |
De arcubus (개선문) | 개선문에 대한 설명 |
De montibus (언덕) | 로마의 일곱 언덕에 대한 설명 |
De termis (목욕탕) | 목욕탕에 대한 설명 |
De palatiis (궁전) | 궁전에 대한 설명 |
De theatris (극장) | 극장에 대한 설명 |
De locis qui inveniuntur in sanctorum passionibus (성도들의 수난에 언급된 장소들) | 성도들의 수난에 언급된 장소들에 대한 설명 |
De pontibus (다리) | 다리에 대한 설명 |
De cimiteriis (묘지) | 묘지에 대한 설명 |
De iussione Octaviani imperatoris et responsione Sibille (옥타비아누스 황제의 질문과 시빌의 대답) | 옥타비아누스 황제의 질문과 시빌의 대답에 대한 설명 |
Quare facti sunt caballi marmorei (말 대리석상이 만들어진 이유) | 말 대리석상이 만들어진 이유에 대한 설명 |
De nominibus iudicum et eorum instructionibus (재판관의 이름과 명령) | 재판관의 이름과 명령에 대한 설명 |
De columna Antonii et Trajani (안토니누스와 트라야누스의 원주) | 안토니누스와 트라야누스의 원주에 대한 설명 |
Quare factus sit equus qui dicitur Constantinus (기마상이 만들어진 이유, 콘스탄티누스의 이름) | 기마상이 만들어진 이유와 콘스탄티누스의 이름에 대한 설명 |
Quare factum sit Pantheon et postmodum oratio B. (판테온이 세워진 이유와 이후의 연설) | 판테온이 세워진 이유와 이후의 연설에 대한 설명 |
Quare Octavianus vocatus sit Augustus et quare dicatur ecclesia Sancti Petri ad vincula ( 옥타비아누스가 아우구스투스라고 불린 이유와 쇠사슬의 성 베드로 교회가 그렇게 불린 이유) | 옥타비아누스가 아우구스투스라고 불린 이유와 쇠사슬의 성 베드로 교회가 그렇게 불린 이유에 대한 설명 |
De vaticano et Agulio (바티칸과 바늘) | 바티칸과 바늘에 대한 설명 |
Predicatio sanctorum (성도의 설교) | 성도의 설교에 대한 설명 |
이 텍스트의 핵심은 후기 고대의 '데쿠스'(decoreum, 품위)와 '오르나투스'(ornatus, 장식) 개념과 관련이 있다. 이는 약탈로부터 보호받고 로마 통치자의 정치적 권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는 로마의 기반 시설과 기념물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5]
2. 1. 1. 성벽과 대문
로마 성벽과 각 성문의 명칭, 위치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관련 내용은 'De muro urbis'(도시의 성벽에 관하여), 'De portis urbis'(도시의 성문), 'Nomina portarum'(성문의 명칭) 섹션에서 다룬다.2. 1. 2. 테베레 강 건너편
다음은 테베르 강 건너편에 있는 대문과 신전의 수에 대한 내용이다.[11]- Quot porte sunt Transtiberim (티베르강 너머에 몇 개의 대문이 있는가)
- Quot sunt templa trans Tiberim (티베레강 너머에 있는 신전의 수)
2. 2. 고대 로마의 유적
이 책은 고대 로마의 개선문, 언덕, 궁전 등을 상세히 다루면서, 로마의 여러 건축물과 명소에 대한 역사뿐만 아니라 전승과 전설도 소개하고 있다. 1913년 가톨릭 백과사전은 이 책에 대해 "도시의 내력에 대한 매우 정확한 지식에만 그치지 않고, 로마의 대표 건축물을 서술하는 과정에서 적잖은 창의력을 무명의 저자가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11]《미라빌리아 우르비스 로마이》는 로마의 기반 시설과 기념물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 후기 고대의 ''데쿠스''(decoreum, 품위)와 ''오르나투스''(ornatus, 장식) 개념과 관련이 있다. 이 개념은 약탈로부터 보호받고 로마 통치자의 정치적 권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졌다.[5]
《미라빌리아 우르비스 로마이》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De arcubus (개선문)
- De montibus (언덕)
- De palatiis (궁전)
2. 2. 1. 공공 시설
De termisla (목욕탕), De theatrisla (극장), De pontibusla (다리)에 대한 설명은 당시 로마 시민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 책이 집필될 당시 로마 시는 고대 로마의 제국 수도에서 쇠락하여, 옛 신전과 목욕탕 폐허가 즐비한 가운데 소, 양, 염소가 풀을 뜯는 들판이 널려 있었다.[11]2. 2. 2. 기념물
- 데 콜룸나 안토니 에트 트라야니 (De columna Antonii et Trajanila): 안토니누스 피우스 원주와 트라야누스 원주에 대한 설명이다.
- 콰레 파크투스 시트 에쿠스 퀴 디키투르 콘스탄티누스 (Quare factus sit equus qui dicitur Constantinusla):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기마상에 대한 설명과 그와 관련된 일화들을 소개한다.
2. 2. 3. 판테온
판테온이 세워진 이유와 이후 B.의 연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11]2. 3. 기독교 관련 장소
이 책은 성도들의 수난과 관련된 장소, 로마의 묘지, 성 베드로 광장 등 기독교와 관련된 장소들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De locis qui inveniuntur in sanctorum passionibus (성도들의 수난에 언급된 장소들): 성인들의 순교와 관련된 장소에 대해 설명한다.
- De cimiteriis (묘지): 로마의 묘지에 대해 설명한다.
- De vaticano et Agulio (바티칸 언덕과 성 베드로 광장): 바티칸과 성 베드로 광장에 대해 설명한다.[11]
2. 3. 1. 성 베드로 대성당 관련
옥타비아누스가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받게 된 이유와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쇠사슬의 성 베드로 교회)이라는 명칭이 붙은 유래를 설명한다.[11]2. 3. 2. 성인들의 설교
''미라빌리아''의 "Predicatio sanctorum" (성도의 설교) 섹션은 성인들의 설교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11]2. 4. 기타
이 책은 De iussione Octaviani imperatoris et responsione Sibillela(옥타비아누스 황제의 질문과 시빌의 대답), Quare facti sunt caballi marmoreila(말 대리석상이 만들어진 이유), De nominibus iudicum et eorum instructionibusla(재판관의 이름과 명령)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11]3. 판본과 영향
《미라빌리아 우르비스 로마이》는 12세기에 처음 출간된 이후 여러 차례 수정 및 증보되었으며, 후대의 로마 안내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기독교 로마의 고고학자 조반니 바티스타 데 로시는 《로마 도시의 기적(Mirabilia Urbis Romae)》의 다양한 버전에 처음으로 주목하였다.[9]
3. 1. 수정 및 증보
12세기에 처음 출간된 이래 교황 보니파시오 8세(1294년~1303년)부터 교황 요한 22세(1316년~1334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세월에 걸쳐 내용이 수정되고 덧붙여졌다.[1] 한동안 널리 읽혔던 이 책은 15세기 르네상스 관점에서 새로운 서적 두 권이 출판되면서 대체되기 시작하였다.[1] 1433년경에 쓰여진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의 《로마 시의 소개》(Descriptio urbis Romae)와 1444년에 필사본으로 출간되었다가 1481년부터 인쇄판이 나온 플라비오 비온도의 《로마의 성립》(Roma instaurata)이 그것이다.[1]3. 2. 르네상스 시대의 새로운 안내서
15세기 르네상스 시대에는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의 《로마 시의 소개》(Descriptio urbis Romae)와 플라비오 비온도의 《로마의 성립》(Roma instaurata) 등 새로운 관점의 로마 안내서들이 등장하면서 《미라빌리아 우르비스 로마이》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알베르티의 《로마 시의 소개》는 1433년경에 쓰여졌고, 비온도의 《로마의 성립》은 1444년에 필사본으로 출간되었다가 1481년부터 인쇄본으로 나왔다.[6]3. 3. 순례자들을 위한 판본
14세기부터 《미라빌리아》의 재가공본인 《로마 도시의 역사와 묘사(Historia et descriptio urbis Romae)》가 《로마 도시의 교회 면죄부(Indulgentiae ecclesiarum urbis Romae)》[6], 《로마 도시의 교회 정착지(Stationes ecclesiarum urbis Romae)》[7] 등 로마의 교회에 초점을 맞춘 다른 자료들과 함께 묶여 순례자들을 위한 안내서로 활용되었다.[8]3. 3. 1. 인쇄본의 등장
1475년경 《로마의 기적 또는 로마 도시의 역사와 묘사(Mirabilia Romae velpotius Historia et descriptio urbis Romae)》라는 제목으로 최초의 중요한 인쇄본이 편집되었다.[6] 1500년 희년을 맞아 로마 인쇄업자들은 라틴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로 된 판본을 쏟아냈다. 초기 판본에는 고대 역사에 대한 기발한 설명과 초상 조각상의 대상에 대한 잘못된 식별이 포함되었지만,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이 축적한 지식으로 인해 로마의 과거를 점점 더 현실적이고 사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었다. 이제 가이드에는 고대 기념물과 기독교 기념물이 모두 포함되었지만, 최근의 예술 작품과 건축물을 설명하는 데는 미치지 못했다.참조
[1]
논문
Miedema 1996
[2]
논문
Internullo 2020
[3]
문서
The oldest manuscript appears to be that in the Bibliothèque Municipale, Cambrai, 554. See Internullo 2020, p. 165.
[4]
논문
Internullo 2020
[5]
간행물
Les ornements, la cité, le patrimoine
Rue d'Ulm
1998
[6]
문서
The earliest copy, datable to the 12th century, is in the [[British Library]], Ms. Cottonianus Faust. B. VII.
[7]
문서
Datable to the 8th century, an early copy exists in the Universitätsbibliothek, Würzburg, M. p. Th. f. 62.
[8]
논문
Accame and Dell’Oro 2004
[9]
서적
Roma Sotterranea
1864
[10]
문서
The ''memoria Caesaris, id est Agulia'' (memorial of Caesar, that is, the Needle) referred to by our pilgrim author is the Vatican [[obelisk]]. A misreading of dedicatory inscription led to the belief that it stood above [[Julius Caesar]]'s sarcophagus. Cf. Francis Morgan Nichols' translation of the ''Mirabilia'' with notes (1889). In the Middle Ages the church of Sanctus Stephanus de Agulia stood nearby. It was demolished in 1776.
[11]
문서
여기서 바늘의 정체는 책 속에서 "카이사르의 기념비, 그것이 바늘이다" (memoria Caesaris, id est Agulia)라는 구절로 확인되며 이는 곧 바티칸의 [[오벨리스크]]를 가리킨다. 1889년 프랜시스 모건 니콜의 번역본에 달린 주에서는 오벨리스크의 비문을 오독하여 [[율리우스 카이사르]] 황제의 석관 위에 세워졌다고 오해한 것으로 보인다고 소개되어 있다. 당시 바티칸 언덕의 오벨리스크 근처에는 상투스 스테파누스 데 아굴리아 교회가 세워져 있었으며 1776년에 철거됐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