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 화친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일 화친 조약은 1854년 미국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으로, 일본의 쇄국 정책을 종식시키고 개항을 이끌어낸 중요한 사건이다. 17세기부터 쇄국 정책을 유지하며 외부와의 교류를 제한했던 일본은 미국의 페리 제독의 무력 시위와 개항 요구에 굴복하여, 시모다와 하코다테 두 항구를 개항하고 미국 선박에 연료와 식량을 공급하는 것을 허용했다. 이 조약은 일본 내부적으로 막부의 권위 약화와 존왕양이 운동을 촉발하여 메이지 유신의 배경이 되었으며, 대외적으로는 불평등 조약 체제의 시작을 알렸다. 결과적으로 일본은 근대 국가로의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후 제국주의적 침략의 길을 걷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4년 조약 - 미류수호조약
미류수호조약은 미국이 류큐를 일본 본토 진출의 거점으로 삼기 위해 1854년 류큐 왕국과 체결한 조약으로, 양국 간 평화와 우호 관계, 주권 존중, 외교 및 통상 관계 수립 등을 내용으로 하지만, 복잡한 배경으로 인해 실효 여부에 논란이 있다. - 1854년 조약 - 영일 화친 조약
영일 화친 조약은 1854년 에도 막부와 영국이 체결한 조약으로, 크림 전쟁 중 러시아의 수교 추진에 대응하여 영국이 협상을 진행, 일본이 시모다와 하코다테를 개항하고 땔감과 물을 공급하게 되었으나 불평등 조항도 포함되어 영일수호통상조약 체결의 계기가 되었다. - 나카구 (요코하마시)의 역사 - 사쿠라기초 사고
사쿠라기초 사고는 1951년 게이힌 선 사쿠라기초역에서 발생한 열차 화재 사고로, 가선 공사 중 단선된 전차선에 열차가 진입하여 106명의 사망자와 92명의 부상자를 낸 대참사이며, 전시 설계 전동차의 구조적 결함과 미흡한 안전 설비, 늦장 대응 등이 피해를 키워 철도 차량의 방화 성능 강화 및 안전 설비 개선의 계기가 되었다. - 나카구 (요코하마시)의 역사 - 1964년 하계 올림픽 배구
1964년 하계 올림픽 배구는 고마자와 올림픽 공원 종합 운동장 실내 경기장과 요코하마 문화 체육관에서 남자부 10개국과 여자부 6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개최되었으며,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금메달을, 남자부에서는 소련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미일 화친 조약 | |
---|---|
조약 정보 | |
명칭 | 가나가와 조약 |
다른 이름 | 니치베이와신조야쿠 (일미화친조약) 일본-미국 평화 및 우호 조약 |
로마자 표기 | Nichi-Bei Washin Jōyaku |
조인 | 1854년 3월 31일 |
조인 장소 | 요코하마, 일본 |
효력 발생 | 1855년 9월 30일 |
발효 조건 | 미국 의회 비준, 프랭클린 피어스 대통령 서명, 고메이 천황 서명 |
서명 국가 | 일본 미국 |
언어 | 영어 일본어 |
보관 | 외무성 외교사료관 |
조약 내용 | |
주요 내용 | 영구적인 평화와 우호 시모다와 하코다테 개항 연료 및 물 공급 허용 영사 주재 허용 |
관련 조약 | 미일수호통상조약 영일화친조약 러일화친조약 일란화친조약 |
추가 정보 | |
현재 상태 | 폐지 |
폐지일 | 1899년 7월 17일 (미일통상항해조약 발효) |
위키 소스 | 일본국미리견합중국화친조약 |
국립국회도서관 링크 | 법령전서 |
2. 일본의 쇄국
17세기 초부터 에도 막부는 외부 세력의 영향, 특히 기독교 확산을 막고, 다이묘 세력을 억제하여 막부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쇄국 정책을 시행했다.
19세기 초, 쇄국 정책은 도전에 직면했다. 1844년 네덜란드 국왕 빌럼 2세는 일본에 서신을 보내 외부 강제에 앞서 스스로 쇄국 정책을 끝낼 것을 촉구했다. 1846년 제임스 비들 제독이 이끄는 미국 원정대가 일본에 도착해 무역 항구 개방을 요청했으나, 결국 철수해야 했다.[48]
2. 1. 쇄국 정책의 배경과 목적
에도 막부는 17세기 초부터 외부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쇄국 정책을 시행했다. 외국과의 무역은 네덜란드와 중국에만 제한되었으며, 나가사키에서 정부의 엄격한 독점 하에 이루어졌다.[44] 쇄국 정책은 당시 국내 평화, 사회적 안정, 상업적 발전, 그리고 문해율 확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4]쇄국 정책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았다.
1. '''기독교 확산 억제''': 17세기 초까지 가톨릭교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었다. 에도 막부는 서구 열강과의 교역이 일본 내부의 불안을 더욱 가중시킬 것을 우려하여 외국인을 추방하고 국제 여행을 금지했다.[45][46][5][6]
2. '''다이묘 세력 억제''': 막부는 외국 무역과 그로 인해 축적되는 부가 강력한 다이묘의 등장을 초래해 도쿠가와 가문을 위협할 것을 우려했다. 특히 아편 전쟁 동안 중국이 겪은 혼란을 목격한 후 이러한 우려는 더욱 커졌다.[47][44][7]
2. 2. 쇄국 정책의 내용과 한계
17세기 초부터 에도 막부는 외부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쇄국 정책을 시행했다. 외국과의 무역은 나가사키에서 네덜란드와 중국에만 제한되었으며, 정부의 엄격한 독점 하에 이루어졌다.[44]쇄국 정책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았다.
- '''기독교 확산 억제''': 17세기 초까지 가톨릭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었다. 에도 막부는 서구 열강과의 교역이 일본 내부의 불안을 더욱 가중시킬 것을 우려하여 외국인을 추방하고 국제 여행을 금지했다.[45][46]
- '''다이묘 세력 억제''': 막부는 외국 무역과 그로 인해 축적되는 부가 강력한 다이묘의 등장을 초래해 도쿠가와 가문을 위협할 것을 두려워했다. 특히 아편 전쟁 동안 중국이 겪은 혼란을 목격한 후 이러한 우려는 더욱 커졌다.[47][44]
19세기 초, 쇄국 정책은 도전에 직면했다. 1844년 네덜란드 국왕 빌럼 2세는 일본에 서신을 보내 외부 강제에 앞서 스스로 쇄국 정책을 끝낼 것을 촉구했다. 1846년 제임스 비들 제독이 이끄는 미국 원정대가 일본에 도착해 무역 항구 개방을 요청했으나, 결국 철수해야 했다.[48]
3. 페리 원정
1853년, 밀러드 필모어 미국 대통령의 명령에 따라 매튜 C. 페리 제독이 함대를 이끌고 일본으로 파견되었다. 이는 필요시 포함 외교를 통해 일본 항구를 미국 무역에 개방시키기 위한 목적이었다.[49]
일본은 나가사키 데지마의 네덜란드 상인을 통해 국제 정세를 파악하고 있었으며, 페리의 항해 계획을 사전에 경고받았다.[51] 아편 전쟁으로 인한 중국의 상황을 보며 일본은 경제적, 정치적 주권을 지키기 위해 이 잠재적 위협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에 대해 내부적으로 많은 논쟁을 벌였다.
1853년 7월 8일, 페리 제독은 네 척의 군함을 이끌고 가나가와현 우라가에 도착하여 에도 만 입구에 정박했다. 그는 나가사키로 이동하라는 일본의 요구를 거부하고, 에도(현 도쿄)로 진군해 필요시 불태워버리겠다고 위협한 후, 7월 14일에 요코스카시 구리하마에 상륙해 대통령의 서신을 전달했다.[52]
페리는 우라가에서 상륙을 거부한 데 그치지 않고, 함대에 에도 만을 측량하라고 명령했고, 이로 인해 일본 관리들과 미국인들 간의 대치 상황이 벌어졌다. 페리는 물에 대포를 발사해 군사력을 과시했다.[54]
페리의 서신은 일본 막부 내부에서 격렬한 논쟁을 일으켰다. 도쿠가와 이에요시 쇼군이 사망하고, 도쿠가와 이에사다가 뒤를 이었다. 아베 마사히로는 미국의 요구를 군사력으로 저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느꼈지만, 다이묘들에게 의견을 묻는 이례적인 조치를 취했다.[55]
1854년 2월 11일, 페리 제독은 8척의 군함을 이끌고 일본에 재방문하여 조약 체결을 요구했다. 협상은 3월 8일에 시작되어 약 한 달 동안 진행되었다. 미국 측은 기술 시연을, 일본 측은 스모 경기를 개최했다.[57] 일본 측은 대부분의 요구를 수용했지만, 상업 협정은 추후로 연기했다.
조약은 영어, 네덜란드어, 중국어, 일본어로 작성되었으며, 1854년 3월 31일 요코하마 역사자료관 인근 카이코 히로바(개항 광장)에서 체결되었다.[56] 조약 서명 기념 행사에서는 일본 측이 가부키 공연을, 미국 측이 군악대 음악과 블랙페이스 민스트럴쇼를 선보였다.[58]
3. 1. 미국의 개항 요구 배경
1853년 미국 해군의 매튜 C. 페리 제독은 밀러드 필모어 대통령의 명령을 받아 일본 항구를 미국과의 무역을 위해 개방하도록 강요하기 위해 파견되었다.[9] 당시 미국은 캘리포니아 금광 개발 이후 태평양 항로 개척과 청과의 무역 확대가 필요했다.[37] 증기선 연료 보급을 위한 기항지로 일본 항구가 필요했으며, 고래기름을 목적으로 한 포경 활동 중 표류한 미국 포경선 선원 구조 및 인도 문제도 미일 화친 조약 체결의 배경이 되었다.[37]모리슨 호 사건이나 아편 전쟁에서의 청의 패배를 본 에도 막부는 1842년 이국선 타격령을 급수 급여령으로 개정했다. 외국 선박이 일본에 기항을 요청하면 식량이나 땔감을 제공하고 신속하게 퇴거시키되, 상륙은 금지하는 내용이었다. 막부는 나가사키의 네덜란드 상관을 통해 여러 외국에 이 방침을 전달하려 했으나, 대일 무역을 독점하던 네덜란드는 1844년 일본에 개국을 권하는 국왕 빌렘 2세의 친서만 전달하고, 1851년까지 막부의 방침 변경을 알리지 않았다.
1845년 미국의 맨해튼 호가 일본 어부 22명을 구조하여 우라가에 입항했다. 표류민 인도는 나가사키에 한정되었으나, 예외적으로 우라가에서도 인정되었다. 1846년 제임스 비들 제독이 범선 2척으로 에도 만에 왔으나, 존 C. 칼훈 국무장관의 친서는 전달되지 않았다. 1849년 제임스 글린 함장의 프레블 호가 나가사키에 내항하여, 네덜란드 상관을 통해 미국 표류민 14명을 인도받았다.[30]
로주 수석 아베 마사히로는 별단 풍설서를 통해 외국 세력이 일본에 접근하고 있음을 알았다. 1850년 별단 풍설서에는 북태평양 포경선주들의 로비로 미국 의회에서 일본 개국 논의가 있다는 내용이, 1852년 보고에는 다음 해 봄 이후 페리가 이끄는 미국 증기 군함이 에도성에 올 것이라는 내용이 보고되었다. 막부는 페리 내항 지점을 나가사키 또는 우라가로 상정하고, 나가사키 중심의 네덜란드 통사 배치를 바꾸고, 우라가 봉행소 체제를 강화했다.
필모어 대통령의 서한에는 일본과의 무역을 통해 캘리포니아에서 생산된 금과 같은 미국 상품의 수출 시장을 개척하고, 미국 선박의 일본 항구 연료 보급, 일본 해안에서 난파된 미국 선원 보호 및 인도적 대우를 받도록 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10] 미국은 명백한 운명이라는 개념과 서구 문명 및 기독교의 혜택을 아시아 국가에 강요하려는 욕구도 가지고 있었다.[11]
3. 2. 페리 제독의 무력 시위와 일본의 대응
매튜 C. 페리 제독은 1853년 미국 해군 함대를 이끌고 에도 만에 진입하여 무력 시위를 통해 일본을 압박했다.[52][54] 일본은 나가사키의 데지마에 있는 네덜란드 상인을 통해 국제 정세를 파악하고 있었으나,[51] 서구 열강과의 군사력 격차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아편 전쟁 이후 청나라의 상황을 보며, 일본은 경제적, 정치적 주권을 지키기 위한 대응 방안을 고심했다.[51] 도쿠가와 이에요시 쇼군 사망 이후, 아베 마사히로가 이끄는 로주 회의는 미국의 요구를 군사력으로 저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55] 그러나 막부는 쇄국 정책 유지와 미국의 요구 사이에서 갈등했으며, 다이묘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이례적인 조치를 취했다.[55] 이는 막부 역사상 처음으로 의사결정을 공론화한 사례였고, 막부를 약하고 우유부단한 기관으로 보이게 하였다.[55]
다이묘들로부터 받은 총 61개의 회신 중, 19명은 미국의 요구를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19명은 반대했다. 나머지 답변 중 14명은 전쟁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고, 7명은 임시로 양보할 것을 제안했으며, 2명은 결정에 따르겠다고 답했다.[56]
4. 미일 화친 조약 체결
1854년 페리 제독이 이끄는 미국 함대가 재차 일본을 방문하면서, 결국 일본은 미국의 압력에 굴복하여 미일 화친 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당시 일본의 실질적인 통치자는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였고, 일본 천황은 외국과의 교류에서 배제된 상태였다. 페리는 전권대사 하야시 아키라(林韑)가 이끄는 막부 대표단과 조약을 체결했고, 이후 고메이 천황의 마지못한 승인을 얻었다.[60] 이 조약은 1855년 2월 21일에 비준되었다.[61]
조약 체결 과정과 내용은 '협상 과정'과 '조약의 주요 내용'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특히 조약 체결 과정에는 불평등한 요소들이 있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조약 체결의 불평등성'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협상 과정
1853년 7월 8일(가에이 6년), 필모어 미국 대통령의 명령을 받은 페리 제독은 함대를 이끌고 일본 우라가 앞바다에 나타났다. 일본에서는 이 함대를 흑선이라고 불렀다. 페리는 대통령의 국서를 전달하는 것이 목적임을 알렸다. 막부는 전투를 피하면서 함대의 나가사키 회항을 요구했지만, 페리는 "요구를 거부한다면, 강력한 무력으로 미국 대통령의 국서를 전달하기 위해 상륙하겠다"라고 답변했다.[29] 결국 7월 12일, 막부는 구리하마에서 국서를 받기로 페리에게 알렸다. 7월 14일, 페리는 구리하마에 상륙하여, 급히 설치된 접견소에서 대통령의 개국·통상을 요구하는 친서 및 페리의 신임장과 서한을 교환했다. 막부 측 대표는 우라가 봉행의 토다 우지사카에였다. 7월 15일에는 미시시피 호를 에도 만 깊숙이 침입시켜 막부를 경악시켰다. 7월 17일 아침, 페리는 다음 해 재방문을 예고하고 에도 만을 떠나 류큐로 향했다.[31]1854년 2월 13일(가에이 7년 1월 16일), 페리는 다시 일본을 방문하여 7척의 군함이 에도 만(도쿄 만)에 침입하여 요코하마 앞바다에 정박했다. 증기선은 포하탄 호(기함)가 더해져 3척이 되었고, 함대는 후에 2척이 더해져 총 9척이 되었다. 막부는 함대를 우라가 앞바다로 되돌릴 것을 요구했지만, 페리는 거부했다. 2월 22일부터 우라가 湊의 다테우라에 세워진 접견소에서, 미국의 국서에 대한 답변을 어디에서 할 것인가에 대해 교섭이 시작되었다. 페리 측은 에도에서의 답변을 강력하게 요구했고, 에도가 안 된다면 시나가와나 가와사키에서의 답변을 요구했다. 교섭은 난항을 겪었지만, 2월 27일, 요코하마 촌으로 결정되었다.[32]
막부는 당초 전쟁을 피하면서 요구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하지 않을 방침이었다. 그러나 3월 4일, 난파선 승무원 구조와 식량·물·땔감의 보급만 인정하게 되었고, 통상 시작에 대해서는 해방 참여의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강력한 반대 때문에 보류하게 되었다.[32]
3월 4일(2월 6일), 막부는 무사시 국구라키 군 요코하마 촌 자 고마가타(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나카구의 가나가와현청 부근, 현요코하마 개항 자료관 소재지)에 접견소를 설치하고, 약 1개월에 걸친 협의 끝에, 3월 31일(3월 3일)에 총 12개 조로 이루어진 미일 화친 조약을 체결, 조인했다. 일본 측 실무 담당자는 대학두 하야시 후쿠사이였다.
페리가 영문판에 서명하자, 하야시는 "우리는 외국어로 쓰인 어떤 문서에도 서명할 수 없다"라고 말하고, 서명하지 않고 영문판 1통을 돌려주었다. 이도 가쿠히로, 이자와 마사요시, 우노데 쵸에이 3명의 접견 담당의 서명·날인이 있는 일본어판 1통을 건넸다. 네덜란드어판은 통역 모리야마가 서명한 일본의 것과 통역 포트만이 서명한 미국의 것이 교환되었고, 한문판은 통역 마쓰자키 만타로의 서명·날인이 있는 일본의 것과, 통역 윌리엄스가 서명한 미국의 것이 교환되었다. 쌍방이 같은 판에 서명한 것은 1통도 없었다. 게다가, 정문을 어느 언어로 할 것인가의 교섭은, 미일 간에 한 번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조약에도 정문에 관한 기재가 전혀 없었다.
이 조약의 제11조는 일본어와 영어에서 내용이 달랐고, 영문 제11조는 개국 이외의 아무것도 아니지만, 일본어 제11조에서는 막부는 개국했다고 말할 수 없었다.[33] 막부 측이 양보한 것은 시모다, 하코다테의 2항의 개항뿐이었고, 개국에 강력하게 반대하는 세력을 억누를 수 있었다.[33]
그 후, 이즈 국시모다(현시즈오카현시모다시)의 료센지로 교섭 장소를 옮겨, 6월 17일(5월 22일)에 화친 조약의 세칙을 정한 '''시모다 추가 조약(시모다 조약)'''(총 13개 조)을 체결했다. 페리 함대는 6월 25일(6월 1일)에 시모다를 떠나, 귀로 류큐에 들러, 류큐 왕국과도 통상 조약을 체결하고 있다.
4. 2. 조약의 주요 내용

미일 화친 조약(가나가와 조약)은 총 12개의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36]
조항 | 내용 |
---|---|
제1조 | 미국과 일본 제국 간의 영구적인 평화 보장 |
제2조 | 시모다와 하코다테 항구 개항 |
제3조 | 난파된 미국 선원에 대한 구호 제공 |
제4조 | 난파된 미국 선원의 감금 및 학대 금지 |
제5조 | 조약 항구 내 외국 거주자의 자유로운 이동 보장 (단, 나가사키의 네덜란드인 및 중국인과는 달리 시모다에서는 7리 이내, 하코다테는 별도로 정해진 제한 조건 있음)[59] |
제6조 | 무역 거래 허용 |
제7조 | 무역 거래를 위한 통화(금화, 은화, 물품) 교환 허용 및 교환할 수 없었던 물품은 반출 허용 |
제8조 | 미국 선박에 대한 물품 조달은 일본 관리가 알선 |
제9조 | 일본이 다른 외국 정부와 협상하여 유리한 조건을 제공할 경우, 미국에도 동일하게 제공 (최혜국 대우) |
제10조 | 시모다와 하코다테 외 다른 항구 사용 금지 (단, 조난 및 악천후 제외) |
제11조 (일본어) | 양국 정부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한하여, 본 조약 조인일로부터 18개월 이후 경과한 후에, 미국 정부는 시모다에 영사를 둘 수 있다. |
제11조 (영어) | 양국 정부 중 어느 한쪽이 필요하다고 간주하는 경우에는, 본 조약 조인일로부터 18개월 이후 경과한 후에, 미국 정부는 시모다에 영사를 둘 수 있다. |
제12조 | 양국은 18개월 이내에 조약을 비준하고 준수 |
4. 3. 조약 체결의 불평등성
당시 일본의 실질적인 통치자는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였으며, 일본 천황은 외국과의 교류에서 배제되었다.[19] 페리는 전권대신 하야시 아키라(林韑)를 대표로 하는 막부 대표들과 조약을 체결했으며, 이후 고메이 천황의 승인을 받았다.[60] 조약은 일본어, 영어, 네덜란드어, 한문으로 작성되었으며, 정본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언어별로 내용에 차이가 발생했다. 특히 제11조의 경우, 일본어본에는 '양국 정부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한하여'라고 명시되어 있지만, 영어본에는 '양국 정부 중 어느 한쪽이 필요하다고 간주하는 경우에는'이라고 되어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33]이후 1854년 시모다 추가 조약(시모다 조약)과 1857년 미일 추가 조약(시모다 협약)이 체결되어 미국의 권익이 더욱 강화되었다.
5. 조약의 결과 및 영향
미일 화친 조약으로 인해 일본은 쇄국정책을 포기하고 개항하게 되었으며, 이는 일본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도쿠가와 막부는 이 조약이 쇼군이나 막부의 원로인 노중들에 의해 서명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즉각적인 군사 충돌을 피했다는 방어적인 입장을 유지했다.[62]
5. 1. 국제적 영향
미국은 페리가 일본의 쇄국정책을 깨고, 미국 시민 보호 및 향후 상업 협정 체결의 기반을 마련했기 때문에 조약에 만족했다. 반면 일본은 강제로 무역을 시작해야 했으며, 이를 수치스럽게 여기는 시각도 많았다.[62]대외적으로 이 조약은 1858년 미국과 일본 간 체결된 미일 수호 통상 조약으로 이어졌다. 이 조약은 외국인 거류지 설치, 외국인 치외법권 인정, 외국 상품에 대한 최소 수입세 도입을 허용했다. 일본은 이 시기 아시아와 서구 간 관계를 특징짓는 불평등 조약 체제에 불만을 품었다.[63] 미국과의 화친 조약 체결은 이후 영국(1854년 10월 영일 화친 조약), 러시아(1855년 2월 7일 러일 화친 조약), 프랑스(1858년 10월 9일 불일수호통상조약)와의 유사한 조약 체결로 이어졌다.
5. 2. 일본 국내의 영향
군사 활동에 대한 기존 제한 중단 결정은 각 번의 재무장으로 이어져 막부의 권위를 더욱 약화시켰다.[64] 외교 정책에 대한 불만과 외세에 대한 막부의 유화적 태도에 대한 대중적 분노는 존왕양이(尊王攘夷) 운동을 촉발했다. 이는 정치 권력이 에도에서 교토의 황실로 다시 이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고메이 천황의 조약 반대는 도막운동에 힘을 실어주었고, 궁극적으로 메이지 유신으로 이어졌다.[65]이 시기 이후 일본은 외국과의 무역이 증가하고 군사력이 강화되었으며, 경제와 기술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당시 일본의 서구화는 방어적 조치였지만, 이후 현대화와 일본 전통 사이에서 균형을 찾았다는 평가를 받는다.[65]
5. 3. 한국에 미친 영향
미일 화친 조약은 조선에도 서구 열강의 개항 압력이 거세질 것임을 예고했다. 일본의 개항은 조선의 개항(강화도 조약, 1876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6. 조약 이후의 역사적 평가와 교훈
미일 화친 조약은 일본이 강제로 무역을 시작해야 했고, 이를 수치스럽게 여기는 시각도 많았지만, 결과적으로 일본의 근대화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외적으로 이 조약은 미일 수호 통상 조약으로 이어져 외국인 거류지 설치, 치외 법권 인정, 외국 상품에 대한 최소 수입세 도입을 허용하는 등 불평등 조약 체제를 시작하게 했다.[63] 또한, 영국, 러시아, 프랑스와의 유사한 조약 체결로 이어졌다.
내부적으로는 군사 활동 제한 중단 결정으로 각 번이 재무장하게 되어 막부의 권위가 약화되었다.[64] 외교 정책에 대한 불만과 외세에 대한 유화적 태도는 존왕양이 운동을 촉발했고, 이는 메이지 유신으로 이어져 일본은 근대 국가로 발전하게 되었다.[65]
그러나 일본은 근대화 과정에서 제국주의 침략의 길을 걸으며 대한제국을 비롯한 주변국에 고통을 안겨주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역사적 교훈을 바탕으로 평화롭고 공정한 국제 질서 구축을 위해 노력하며, 특히 일본과의 관계에서 과거사 문제 해결과 미래 지향적인 협력 관계 구축을 위해 힘쓰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ommodore Perry and the Opening of Japan
https://billofrights[...]
2021
[2]
웹사이트
Despatchers from U.S. Consuls in Kanagawa, Japan, 1861–1897
https://link.gale.co[...]
1861-12-26
[3]
문서
Perry
[4]
Youtube
Samurai, Daimyo, Matthew Perry, and Nationalism: Crash Course World History #34
https://www.youtube.[...]
[5]
서적
Modern Japan
[6]
간행물
Asia in Western and World History: A guide for teaching
[7]
문서
Beasley, pp. 74–77
[8]
문서
Beasley, p. 78
[9]
웹사이트
Letters from U.S. President Millard Fillmore and U.S. Navy Commodore Matthew C. Perry to the Emperor of Japan (1852–1853)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1852-11-13
[10]
문서
Hall, p. 207.
[11]
문서
Beasley, p. 88.
[12]
문서
Beasley, p. 89.
[13]
문서
Kitahara, M. (1986), pp. 53–65
[14]
문서
Hall, p. 211.
[15]
문서
Beasley, pp. 90–95.
[16]
문서
Kitahara (1986), pp. 53–65.
[17]
서적
The Whites are Enemies of Heaven: Climate Caucasianism and Asian Ecological Protection
Duke University Press
2020
[18]
뉴스
From Washington; The Japanese Treaty-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The President and Col. Rinney, &c.,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855-10-18
[19]
문서
Cullen, pp. 173–185.
[20]
문서
Diplomatic Record Office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Japan) exhibit.
[21]
문서
Beasley, pp. 96–97
[22]
문서
Edstrom p. 101.
[23]
문서
Hall, pp. 211–213.
[24]
문서
Kitahara (1983), pp. 103–110.
[25]
문서
日本学術振興会『条約目録』1936年
https://dl.ndl.go.jp[...]
[26]
문서
日米和親条約
[27]
웹사이트
高校講座 日本史 第26回 第4章 近代国家の形成と国民文化の発展 開国と開港
https://www.nhk.or.j[...]
[28]
뉴스
19世紀後半、黒船、地震、台風、疫病などの災禍をくぐり抜け、明治維新に向かう(福和伸夫)
https://news.yahoo.c[...]
2020-08-24
[29]
문서
加藤祐三『幕末外交と開国』
[30]
문서
1848年6月7日、捕鯨船ラゴダ号からの脱走者15人が松前半島西岸の上ノ国町に上陸、1人は仲間割れで絞殺、1人は病死。1848年7月2日、ラナルド・マクドナルドが捕鯨船プリマス号から密入国を企て、利尻島北部野塚に上陸。いずれも長崎に移送され尋問された。
[31]
문서
西川武臣『ペリー来航』中公新書、p.66-67
[32]
문서
西川武臣『ペリー来航』中公新書、p.78-83
[33]
문서
西川武臣『ペリー来航』中公新書p.88
[34]
웹사이트
United States Treatie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1776-1949 Volume9 pp.351-354
https://tile.loc.gov[...]
미국의회도서관
1972-03
[35]
웹사이트
United States Treatie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1776-1949 Volume9 pp.355-356
http://www.loc.gov/l[...]
미국의회도서관
1972-03
[36]
문서
日米和親条約の原文より。
[37]
서적
近代日本政治史
南窓社
[38]
서적
清末・幕末に於けるS・ウェルズ・ウィリアムズ生涯と書簡
高城書房
[39]
서적
小・中学校の「日本史」を20場面で完全理解: 「勉強のコツ」シリーズ
[40]
웹사이트
航海秘話シリーズ第4回幕末の密航(その1)
http://www.kanda-zat[...]
[41]
웹사이트
ペリー来航、関東大震災…横浜の歴史見つめてきたタブノキ、保全へ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3-09-02
[42]
백과사전
미일화친조약 [美日和親條約]
두산백과
[43]
서적
한 권으로 보는 일본사 101 장면
가람기획
1998-11-20
[44]
Youtube
Samurai, Daimyo, Matthew Perry, and Nationalism: Crash Course World History #34
https://www.youtube.[...]
CrashCourse
[45]
문서
Modern Japan
[46]
문서
Asia in Western and World History: A guide for teaching
[47]
문서
[48]
문서
[49]
웹인용
Letters from U.S. President Millard Fillmore and U.S. Navy Commodore Matthew C. Perry to the Emperor of Japan (1852–1853)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1852-11-13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Perry
[54]
문서
1986
[55]
문서
[56]
문서
[57]
문서
1986
[58]
서적
The Whites are Enemies of Heaven: Climate Caucasianism and Asian Ecological Protection
Duke University Press
2020
[59]
뉴스
From Washington; The Japanese Treaty-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The President and Col. Rinney, &c.,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855-10-18
[60]
문서
[61]
문서
Diplomatic Record Office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Japan) exhibit.
[62]
문서
[63]
문서
[64]
문서
[65]
문서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