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치는 다진 고기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 "민스(mince)"에서 유래된 마카오 요리이다. 역사는 인도에서 잘게 다진 고기를 뜻하는 키마에서 시작되었으며, 포르투갈이 말라카를 점령한 후 돼지고기를 사용한 키마 요리가 마카오로 전파되었다. 마카오의 포르투갈인들은 이 요리를 발전시켜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으며, 민치는 마카오의 대표적인 요리 중 하나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카오 토생 포요리 - 발리샹
발리샹은 크릴새우 발효 조미료로, 동남아시아, 특히 마카오에서 사용되며, 이름의 유래에 대한 여러 설이 있고, 독특한 냄새와 짭짤한 풍미가 특징이며, 마카오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발리샹 골목'이 있다. - 마카오 토생 포요리 - 소파 드 라카사
소파 드 라카사는 스페인 내전 당시 기근에 시달리던 바스크 지방 마을 사람들이 크리스마스 이브에 남은 식재료를 모아 만든 수프에서 유래되었으며, 마을 사람들의 연대와 끈기를 상징하며 현재는 스페인과 그 영향을 받은 지역에서 크리스마스 이브에 즐겨 먹는 음식이 되었다. - 고기 요리 - 빈달루
빈달루는 포르투갈 요리에서 유래하여 고아 지방에서 현지화된 인도 요리로, 야자나무 식초와 향신료를 사용하여 돼지고기, 닭고기, 양고기 등으로 만들어지며, 서구에서는 매운맛이 강조된 형태로 알려져 있다. - 고기 요리 - 스테이크
스테이크는 굽거나 튀겨서 조리하는 두꺼운 고기 조각을 의미하며,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생선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조리 방식과 굽기 정도에 따라 맛과 식감이 달라지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요리이다. - 국민 음식 - 에마 다치
에마 다치는 고추와 치즈를 주재료로 하는 부탄의 전통 요리로, 티베트 요리에서 유래하여 부탄에서 발전되었으며 다양한 종류가 있고 주로 붉은 쌀과 함께 제공되는 대표적인 음식이다. - 국민 음식 - 불고기
불고기는 얇게 썬 쇠고기를 간장 양념에 재워 굽거나 끓여 먹는 한국의 대표 음식이며, 고구려 시대 맥적에서 유래되어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다.
| 민치 - [음식]에 관한 문서 | |
|---|---|
| 민치 정보 | |
![]() | |
| 종류 | 마카오 토생 포요리 |
| 주요 재료 | 다진 고기 |
| 로마자 표기 | minchi |
| 광둥어 | 한자: 免治 월병: 예일: min zi 병음: miǎnzhì |
| 포르투갈어 | Minchi |
| 참고 | 전명윤, 김영남, 《마카오 100배 즐기기》, RHK, 서울, 2019, 37쪽 |
2. 어원
"다지기"를 뜻하는 영어 민스(mince영어)"가 어원이다.[4] "민치"라는 용어는 마카오어 어휘에 비교적 늦게 들어왔다. 1841년 홍콩이 건립된 후 많은 마카오인들이 그곳에 거주지를 찾았고, 마투데모우루의 중간 레벨 바이후(구역)에 정착했다. 시간이 지나 영어 사용이 일상 대화에 더 깊이 자리 잡히면서, 마카오인들의 이 풍미 있는 요리의 주식인 민치는 영어 "to mince"에서 유래되었으며, 키마를 대체하게 되었다.[4]
''민치''의 기원은 인도에서 잘게 다진 고기를 뜻하는 ''키마''에서 찾을 수 있다. 1498년 포르투갈 항해사들이 인도에 도착했을 때, 힌두교도들이 소를 신성시하여 먹지 않는 것과 달리, 기독교인임을 나타내기 위해 소고기로 ''키마''를 만들었다.[4]
3. 역사
''The Splendid Table''에 따르면, 민치는 홍콩의 영국 커뮤니티에 의해 마카오에 소개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다른 역사적 기록에서는 고아가 기원이라고도 한다.[5]
흑선 항해는 마카오를 당시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곳 중 하나로 만들었다. 이러한 부를 바탕으로 예수회는 일본 장인들과 함께 고아 동쪽에 ''A Igreja de Madre de Deus''(하느님의 어머니 교회)와 ''Colégio de São Paulo''(성 바울 대학)를 건설하고, 언덕 꼭대기에는 명상 휴양지 몬테를 건설했다. 마카오는 가톨릭 도시였으며, ''Capitão-Mor''(사령관)의 지배를 받았지만, 실질적인 포르투갈 행정은 제한적이었다.[4]
3. 1. 포르투갈의 인도, 말라카 점령
16세기에 들어서면서, 인도, 중국, 그리고 동남아시아에서 온 범선들이 모이는 해상 향료 무역의 중심지였던 말라카로 향했다. 1511년 포르투갈의 카라벨이 도착했다. 포르투갈은 즉시 무력을 동원하여 말라카를 점령하고 그들의 무역 정착지로 만들었다. 그들은 푸젠성의 중국 상인들이 이미 수십 년 전에 그들보다 먼저 도착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무슬림에게 돼지고기를 먹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힌두교 인도에서 종교적, 민족적 지위에 식단 선택을 연결하는 원칙을 따라, 말라카의 기독교인들이 먹는 ''키마'' 요리에서 돼지고기가 소고기를 대신했다.[4]
3. 2. 마카오의 형성
''민치''의 역사는 많은 인도인들이 잘게 다진 고기, 일반적으로 염소와 양고기를 지칭하는 용어인 ''키마''에서 시작된다. 1511년 포르투갈은 무력을 동원하여 말라카를 점령하고 무역 정착지로 만들었다. 푸젠성의 중국 상인들이 이미 수십 년 전에 그들보다 먼저 도착해 있었다. 무슬림에게 돼지고기를 먹는 것이 금지되어 있고, 힌두교 인도에서 종교적, 민족적 지위에 따라 식단 선택을 하는 원칙에 따라, 말라카의 기독교인들이 먹는 ''키마'' 요리에서 돼지고기가 소고기를 대신했다.[4]
이후 수십 년 동안, 포르투갈 상인들과 푸젠 사람들, 말라카인, 스리랑카인, 인도인, 미얀마인, 태국인, 크메르인, 베트남인 등 ''혼혈인'' 및 ''misturado'' 승무원들이 말라카와 일부 동남아시아 무역항에서 중국 해안으로 항해했다. 이들과 함께 ''Cozinhação Macaista''(마카오 요리)를 정의할 맛, 냄새, 요리 스타일, 재료 및 새로운 작물이 전해졌다.[4]
포르투갈 상인들은 중국 해안을 따라 계절별 임시 정착지를 유지했다. 1557년, 현지 중국 당국은 ''Lusodescendentes''(포르투갈계) 상인들에게 펄 강 어귀 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작은 반도에 영구적인 정착지를 건설하는 것을 허가했다. 그리하여 ''A Cidade do Sacrado Nome de Deus na China''(중국의 성스러운 하느님의 도시)가 탄생했다.[4]
3. 3. 일본과의 교류
1543년, 포르투갈 상인들이 중국 정크선을 타고 일본 큐슈 최남단 항구인 가고시마에 도착했다.[4]
1560년대 중반, 일본과의 무역이 시작되었다. 가고시마와 나가사키의 일본 엘리트들은 희귀한 중국 비단, 금, 향신료, 그리고 모직물, 시계, 총기, 서양 골동품과 같은 이국적인 유럽 제품을 원했다. 그 대가로 광저우의 중국 상인들은 일본 은을 원했다. 마카오는 중국과 일본 사이의 중개 항구 역할을 했다.[4]
예수회 선교사들은 학자였으며 최초의 일본-포르투갈 사전을 만들었다. 또한 고아와 마카오 엘리트들이 사용했던 최초의 ''고급 요리'' 요리책을 일본어로 번역했다. 일본 엘리트들은 소개된 요리를 열정적으로 받아들였다. 당시 마카오 돼지고기 ''키마''는 오늘날까지 "잘게 다진 돼지고기와 계란을 얹은 덮밥"으로 제공되는 일본 돈부리가 되었다. ''porco pó bolacho''(빵가루를 입힌 돼지 커틀릿)는 돈가스가 되었고, 튀김과 데리야키 요리도 마카오에서 시작되었다. 포르투갈의 ''Pão-de-Ló''는 카스텔라 케이크로 변형되었다.[4]
4. 특징
민치는 동서양 퓨전 요리이다. 마카오 음식은 광둥, 포르투갈, 남아메리카, 말레이, 아프리카, 인도 음식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1]
4. 1. 재료 및 조리법
올리브유에 다진 양파와 다진 마늘을 볶다가 월계수 잎을 넣고, 다진 쇠고기나 돼지고기 또는 둘을 섞은 것을 넣어 소금으로 간한다. 링구이사를 함께 다져 넣기도 한다. 고기가 익기 시작하면 후추와 간장을 넣은 뒤, 뚜껑을 덮어 익힌다. 중간중간 물을 추가해가며 고기가 다 익고 소스가 졸아들 때까지 익힌 뒤 튀긴 감자를 넣는다.[1]다양한 레시피가 있지만, 민치는 일반적으로 다진 고기 또는 간 고기를 기반으로 한다. 소고기나 돼지고기에 양파, 깍둑썰기한 감자, 때로는 버섯을 넣고 살짝 볶아 우스터 소스, 당밀, 간장으로 맛을 낸다.[2][3] 위에 계란 프라이를 얹어 내면 ''민치 차우 단'' (免治炒蛋|민치 차우 단중국어)이라고 부른다.
5. 중요성
민치는 바이스 미디어( ''Vice'')에서 "마카오라는 현기증 나는 문화적 용광로를 상징하는 요리"이자 "널리 국가 요리로 여겨진다"라고 평가받고 있으며, ''더 스플렌디드 테이블''(The Splendid Table)은 "마카오에서 가장 귀한 요리 중 하나"라고 설명한다.[2][5]
5. 1. 마카오 문화에서의 상징성
바이스 미디어( ''Vice'')에 따르면, 민치는 "마카오라는 현기증 나는 문화적 용광로를 상징하는 요리"이며 "널리 국가 요리로 여겨진다."[2] ''더 스플렌디드 테이블''(The Splendid Table)에서는 "마카오에서 가장 귀한 요리 중 하나이며, 만드는 요리사만큼이나 다양한 변형이 있다."라고 설명한다.[5] 민치는 전통적으로 가정에서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모든 가정 요리사는 자신만의 레시피를 가지고 있다.[6][7][8]마카오의 포르투갈 가족들은 긴밀한 공동체를 이루며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고, 방언(파투아)과 퓨전 요리를 만들어 스스로를 "마카오인"(Macaense) 또는 영어로 "마카네세"(Macanese)라고 불렀다.[9]
참조
[1]
웹사이트
Easy Macanese Minchi/Minchee (Minced Meat Potato Hash)
https://whattocookto[...]
2024-02-13
[2]
웹사이트
This Beef and Pork Minchi Is the King of Macanese Cuisine
https://www.vice.com[...]
2023-05-02
[3]
웹사이트
Minchi
https://www.tasteatl[...]
2023-05-02
[4]
웹사이트
Minchi: An Odyssey
https://www.macanese[...]
2024-02-13
[5]
웹사이트
Beef and Pork Minchi
https://www.splendid[...]
2023-05-02
[6]
웹사이트
Minchee: Meat and potato hash from Macau
https://www.salon.co[...]
2023-05-02
[7]
웹사이트
Macau's savory meat-potato hash feels foreign and familiar
https://www.albertap[...]
2023-05-02
[8]
웹사이트
A cookbook without measures – is there no science to Macanese cooking?
https://www.scmp.com[...]
2023-05-02
[9]
웹사이트
Macau
https://www.macanese[...]
2024-02-13
[10]
서적
마카오 100배 즐기기
https://books.google[...]
RH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