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소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다소목은 아프로테리아상목에 속하는 포유류로, 듀공과, 매너티과, 프로라스토무스과, 프로토시렌과 등을 포함한다. 바다소류는 빈치류에 속하며, 장비목, 바위너구리목 등과 함께 테티테리아 계통군을 이룬다. 바다소류는 해초류 등을 먹고, 듀공과 매너티과로 나뉘며, 현존하는 종은 듀공, 매너티 등이 있다. 바다소류는 서식지 파괴, 어업 혼획, 기후 변화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국제 협약과 법률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한국에서는 바다소목 화석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일본에서는 여러 바다소류 화석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바다소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학명 | Sirenia Illiger, 1811 |
이명 | Halobioidea Ameghino, 1889 Herbivorae Gray, 1821 Phycoceta Haeckel, 1866 Sirenoidea van Beneden, 1855 Sireniformes Kinman, 1994 Trichechiformes Hay, 1923 |
분포 | alt=해우류 분포, 아마존, 아프리카, 듀공 분포 (스텔러바다소는 노란색 원으로 표시)]] |
화석 범위 | 초기 에오세 – 홀로세, |
사운드 파일 | alt=해우류 다양성, 아프리카매너티, 스텔러바다소, 듀공, 아마존매너티]] |
하위 분류 | |
과 | 듀공과 (Dugongidae) 매너티과 (Trichechidae) †프로라토스토무스과 (Prorastomidae) †프로토시렌과 (Protosirenidae) |
2. 분류
- 듀공과(Dugongidae)
- 매너티과(Trichechidae)
- †프로라스토무스과(Prorastomidae)[101]
- †과[102]
다음은 현존하는 분류군과 영문명이며, Shoshani(2005)에 따른다[98]。국명은 카와타 등(2018)에 따른다[99]。
바다소목은 아프로테리아상목에 속하며, 분자 계통발생학적으로 잘 뒷받침되는 포유류 계통군 중 하나이다.[8] 바다소류는 빈치류에 분류되며, 장비목(코끼리), 바위너구리목(바위너구리), Embrithopoda, Desmostylia, 아프리카곤충류와 함께 분류된다.[9][6][7] 이 계통군은 1945년 조지 게이로드 심슨에 의해 고환 위치와 유사한 태아 발달 등 해부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처음 확립되었다.[9]
바다소류, 장비목, Desmotylia는 테티테리아 계통군으로 함께 묶인다. 형태학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테티테리아, 기제목, 바위너구리목은 이전에는 원유제류로 함께 묶이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분자 데이터에 의해 무효화되었다.
다음은 분자 증거를 바탕으로 한 바다소류의 아프리카수류 내 위치를 보여주는 계통도이다.[9]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수류
|-
|
{| class="wikitable"
|-
! 빈치류
|-
|
{| class="wikitable"
|-
! 바위너구리목
| 바위너구리과

|-
! 테티테리아
|-
|
{| class="wikitable"
|-
! '''바다소목'''
|-
|
매너티과 ![]() |
듀공과 ![]() |
|-
! 장비목
| 코끼리과
|}
|-
! 아프리카곤충류
|-
|
{| class="wikitable"
|-
! 관치목
| 땅돼지과
|-
! 아프리카곤충류
|-
|
{| class="wikitable"
|-
! 코끼리땃쥐목
| 코끼리땃쥐과
|-
! 아프리카뒤쥐목
|-
|
{| class="wikitable"
|-
| 황금두더지과
|-
! 텐렉목
|-
|
물갈쥐과 ![]() |
텐렉과 ![]() |
|}
|}
|}
|}
|}
|}
2. 1. 하위 분류
- 듀공과(Dugongidae)[10]
- * 속 ''듀공''
- **''D. dugon''
- * 속 †''Anisosiren''
- **†''A. pannonica''
- * 속 †''Indosiren''
- **†''I. javanense''
- * 속 †''Bharatisiren''
- **†''B. indica''
- * 속 †''Callistosiren''[11]
- **†''C. boriquensis''
- * 속 †''Crenatosiren''
- **†''C. olseni''
- * 속 †''Corystosiren''
- **†''C. varguezi''
- * 속 †''Dioplotherium''
- **†''D. allisoni''
- **†''D. manigualti''
- * 속 †''Domningia''
- **†''D. sodhae''
- * 속 †''Kutchisiren''
- **†''K. cylindrica''
- * 속 †''Nanosiren''
- **†''N. garciae''
- **†''N. sanchezi''
- * 속 †''Rytiodus''
- **†''R. capgrandi''
- **†''R. heali''
- * 속 †''Xenosiren''
- **†''X. yucateca''
- * 속 †''Caribosiren''
- **†''C. turneri''
- * 속 †''Halitherium''
- **†''H. alleni''
- **†''H. schinzii''
- * 속 †''Paralitherium''
- **†''P. tarkanyense''
- * 속 †''Priscosiren''[12]
- **†''P. atlantica''
- * 속 †''Sirenavus''
- **†''S. hungaricus''
- * 속 †''Metaxytherium''
- **†''M. albifontanum''
- **†''M. arctodites''
- **†''M. crataegense''
- **†''M. floridanum''
- **†''M. krahuletzi''
- **†''M. medium''
- **†''M. serresii''
- **†''M. subapenninum''
- * 속 †''Dusisiren''
- **†''D. dewana''
- **†''D. jordani''
- **†''D. reinharti''
- **†''D. takasatensis''
- * 속 †''Hydrodamalis''
- **†''H. cuestae''
- **†''H. gigas''
매너티과(Trichechidae)[13]
- 속 ''매너티속''
- *''T. manatus''
- *''T. senegalensis''
- *''T. inunguis''
- 속 †''Anomotherium''
- **†''A. langewieschei''
- 속 †''Miosiren''
- **†''M. canhami''
- **†''M. kocki''
- 속 †''Potamosiren''
- **†''P. magdalenensis''
- 속 †''Ribodon''
- **†''R. limbatus''
† 프로토시렌과(Protosirenidae)[14]
- 속 †''Ashokia''
- **†''A. antiqua''
- 속 †''Libysiren''
- **†''L. sickenbergi''
- 속 †''Protosiren''
- **†''P. eothene''
- **†''P. fraasi''
- **†''P. minima''
- **†''P. sattaensis''
- **†''P. smithae''
† 프로라스토무스과(Prorastomidae)[15]
- 속 †''Pezosiren''
- **†''P. portelli''
- 속 †''Prorastomus''
- **†''P. sirenoides''
2. 1. 1. 듀공과 (Dugongidae)
- 듀공아과 (Dugonginae)
- ** 듀공속 (''Dugong'')
듀공 (''Dugong dugon'')
- † 스텔러바다소아과 (Hydrodamalinae)
- ** † ''Dusisiren''
- ** † 스텔러바다소속 (''Hydrodamalis'')
† ''Hydrodamalis cuestae''
† 스텔러바다소 (''Hydrodamalis gigas'')
- † ''Nanosiren''
- † ''Sirenotherium''
2. 1. 2. 매너티과 (Trichechidae)
- 매너티과(Trichechidae)
- * † Miosireninae
- ** †''Anomotherium''
†''Anomotherium langewieschei''
- ** †'' Miosiren''
†''Miosiren canhami''
†''Miosiren kocki''
- * 매너티아과 (Trichechinae)
- ** † ''Potamosiren''
† ''Potamosiren magdalenensis''
- ** 매너티속 (''Trichechus'')
서인도제도매너티 (''Trichechus manatus'')
* 앤틸리스매너티 (''Trichechus manatus manatus'')
* 플로리다매너티 (''Trichechus manatus latirostris'')
아프리카매너티 (''Trichechus senegalensis'')
아마존매너티 (''Trichechus inunguis'')
''Dwarf Manatee'' (화석종)
- * † ''Ribodon''
- ** † ''Ribodon limbatus''
2. 1. 3. †프로라스토무스과 (Prorastomidae)
†프로라스토무스과(Prorastomidae)는 멸종된 과이다.[101]- † ''Pezosiren''
- † ''Prorastomus''
2. 1. 4. †프로토시렌과 (Protosirenidae)
† ''Protosiren''[102]2. 2. 계통 분류
바다소목은 아프로테리아상목에 속하며, 분자 계통발생학적으로 잘 뒷받침되는 포유류 계통군 중 하나이다.[8] 바다소류는 빈치류에 분류되며, 장비목(코끼리), 바위너구리목(바위너구리), Embrithopoda, Desmostylia, 아프리카곤충류와 함께 분류된다.[9][6][7] 이 계통군은 1945년 조지 게이로드 심슨에 의해 고환 위치와 유사한 태아 발달 등 해부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처음 확립되었다.[9]바다소류, 장비목, Desmotylia는 테티테리아 계통군으로 함께 묶인다. 형태학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테티테리아, 기제목, 바위너구리목은 이전에는 원유제류로 함께 묶이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분자 데이터에 의해 무효화되었다.
다음은 분자 증거를 바탕으로 한 바다소류의 아프리카수류 내 위치를 보여주는 계통도이다.[9]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수류
|-
|
{| class="wikitable"
|-
! 빈치류
|-
|
{| class="wikitable"
|-
! 바위너구리목
| 바위너구리과
|-
! 테티테리아
|-
|
{| class="wikitable"
|-
! '''바다소목'''
|-
|
매너티과 |
듀공과 |
|-
! 장비목
| 코끼리과
|}
|-
! 아프리카곤충류
|-
|
{| class="wikitable"
|-
! 관치목
| 땅돼지과
|-
! 아프리카곤충류
|-
|
{| class="wikitable"
|-
! 코끼리땃쥐목
| 코끼리땃쥐과
|-
! 아프리카뒤쥐목
|-
|
{| class="wikitable"
|-
| 황금두더지과
|-
! 텐렉목
|-
|
물갈쥐과 |
텐렉과 |
바다소는 흔히 '''바다소류'''라고 불리며, 일반명칭인 '''사이렌'''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그리스 신화의 사이렌에서 유래되었다.[4][5]
앞다리는 지느러미 모양이며, 뒷다리는 퇴화하여 보이지 않는다.[103] 꼬리 끝은 평평하며, 듀공과는 반달 모양, 매너티과는 부채 모양을 하고 있어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100] 듀공과에서는 경추가 7개인 반면, 매너티과에서는 6개이다.[100] (포유류는 경추가 7개가 일반적이지만, 매너티과는 몇 안 되는 예외이다.) 앞어금니는 퇴화했고, 송곳니도 없다.[100]
|}
|}
|}
|}
|}
|}
3. 어원
4. 형태
바다소목의 앞다리는 회전과 속도 감소를 돕는 주걱 모양의 지느러미이다.[27] 매너티와 달리 듀공은 지느러미에 손톱이 없다.[34] 뒷다리는 내부적이고 흔적 기관이다.[30] 꼬리 지느러미는 듀공의 경우 쐐기 모양이고 돌고래의 꼬리 지느러미와 유사한 반면, 매너티의 꼬리 지느러미는 주걱 모양이다.[27] 지느러미는 동물을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긴 스트로크로 위아래로 움직이거나 방향을 바꾸기 위해 비틀 수 있다.[27]
바다소류는 골질비대증을 보이는데, 이는 갈비뼈와 다른 긴 뼈가 단단하고 골수가 거의 또는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바다소류는 동물계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뼈를 가지고 있으며,[35] 이는 밸러스트 탱크 역할을 하여 부레의 부력을 상쇄하고 물 표면 바로 아래에 매달리는 데 도움을 준다.[35]
4. 1. 신체적 특징
바다소목의 앞다리는 회전과 속도 감소를 돕는 주걱 모양의 지느러미이다.[27] 매너티와 달리 듀공은 지느러미에 손톱이 없다.[34] 뒷다리는 내부적이고 흔적 기관이다.[30] 꼬리 지느러미는 듀공의 경우 쐐기 모양이고 돌고래의 꼬리 지느러미와 유사한 반면, 매너티의 꼬리 지느러미는 주걱 모양이다.[27] 지느러미는 동물을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긴 스트로크로 위아래로 움직이거나 방향을 바꾸기 위해 비틀 수 있다.[27]
바다소류는 골질비대증을 보이는데, 이는 갈비뼈와 다른 긴 뼈가 단단하고 골수가 거의 또는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바다소류는 동물계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뼈를 가지고 있으며,[35] 이는 밸러스트 탱크 역할을 하여 부레의 부력을 상쇄하고 물 표면 바로 아래에 매달리는 데 도움을 준다.[35]
4. 2. 골격 및 치아
바다소목의 앞다리는 지느러미 모양이며, 뒷다리는 퇴화하여 보이지 않는다.[103] 꼬리 끝은 평평하며, 듀공과는 반달 모양, 매너티과는 부채 모양을 하고 있어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100] 경추는 듀공과에서는 7개인 반면, 매너티과에서는 6개이다.[100] 포유류는 경추가 7개가 일반적이지만, 매너티과는 몇 안 되는 예외이다. 앞어금니는 퇴화했고, 송곳니도 없다.[100]
5. 생태
현생종은 듀공과와 매너티과 2과로 나뉘는데, 듀공은 인도양, 태평양의 연안부 얕은 해역에 서식하고, 매너티는 대서양, 플로리다 등 얕은 연안역과 아마존강 등 대서양으로 흘러드는 강에 서식하고 있다.[104][100] 일본의 난세이 제도에 소수의 듀공이 서식하고 있는데, 이는 듀공 분포역의 북쪽 한계이다.[105] 멸종된 스텔러바다소는 베링 해를 중심으로 서식했다.[106]
따뜻한 지역의 얕은 바다에 자라는 거머리말 등 해초류나 하천에 자라는 담수성 현화식물을 주된 먹이로 한다.[100] (거머리말은 조류가 아니라 외떡잎식물의 현화식물이며, 육상의 풀과 가까운 식물이다[100].) 멸종된 스텔러바다소는 한랭한 바다에서 다시마 등의 해조류를 주식으로 했다.[100]
듀공은 조잡한 치열과 해초의 제한적인 질소 함량 때문에 먹이에 제약을 받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듀공은 "경작 방목"이라는 전략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목은 해초 군집의 구성을 변화시키고 특정 종을 선호하게 만든다. 초기 성장 속도가 빠른 종은 성장 속도가 느린 종보다 우위를 점하게 된다. 종종, 이러한 "개척자" 종은 질소 함량이 높고 섬유질 함량이 낮아 듀공이 선호하는 먹이가 될 수 있다. 듀공은 선호하는 해초의 풍부함을 보장하기 위해, 한 달 이상 해초 밭에 지속적인 방목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방목은 영양가가 낮고 덜 선호되는 종을 희생하여 듀공이 선호하는 종의 존재를 최대화한다. 또한, 이러한 방목 방식은 해초 숲의 빠른 회복을 장려한다. 듀공은 굽이치는 단일 경로로 먹이를 먹으며, 이는 해초가 깎이지 않은 부분을 남겨둔다. 생존한 근경을 가진 이러한 깎이지 않은 구역은 해초의 확장과 복원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해초는 먹힘에 반응하여 질소 수치를 증가시키고 리그닌을 감소시킨다. 경작 방목은 듀공이 영양적으로 우수한 해초를 늘릴 뿐만 아니라 해초의 전체적인 영양 품질을 향상시킨다. 듀공은 해초를 미성숙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최고의 영양 수준을 보장한다.[50]
바다소류는 대부분 단독 생활을 하지만, 암컷이 발정기에 접어들면 무리를 짓는다. 이 무리는 보통 암컷 한 마리와 수컷 여러 마리로 구성된다. 바다소류는 ''K''-선택자로, 수명이 긴 편임에도 불구하고 암컷은 일생에 걸쳐 몇 번만 출산하며 새끼에게 상당한 양육을 제공한다.[34][46]
듀공은 일반적으로 1~2일 동안 12마리 미만의 무리로 모인다. 혼탁한 물에서 모이기 때문에 생식 행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수컷은 종종 상처를 입은 채로 발견되며, 듀공의 엄니는 수컷에게 먼저 자라는데, 이는 짝짓기 행동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서로에게 달려드는 모습도 관찰되었다.[34] 암컷이 처음으로 출산하는 나이는 6세에서 17세 사이로 추정되나, 논란의 여지가 있다.[34] 출산 간격 또한 불분명하며, 2년에서 7년으로 추정된다.[46]
매너티는 2~5세에 성적으로 성숙할 수 있다.[51] 임신 기간은 약 1년이며, 그 후 1~2년 동안 젖을 먹인다.[52] 서인도 매너티와 아프리카 매너티는 일년 내내 번식할 수 있으며, 암컷은 여러 수컷과 짝짓기를 한다.[52] 아마존 매너티는 번식기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강 수위가 상승하기 시작할 때 짝짓기를 하는데, 이는 지역마다 다르다.[53]
5. 1. 분포
현생종은 듀공과와 매너티과 2과로 나뉘는데, 듀공은 인도양, 태평양의 연안부 얕은 해역에 서식하고, 매너티는 대서양, 플로리다 등 얕은 연안역과 아마존강 등 대서양으로 흘러드는 강에 서식하고 있다.[104][100] 일본의 난세이 제도에 소수의 듀공이 서식하고 있는데, 이는 듀공 분포역의 북쪽 한계이다.[105]멸종된 스텔러바다소는 베링 해를 중심으로 서식했다.[106]
5. 2. 먹이
바다소는 주로 해초를 먹기 때문에 "바다 소"라고 불린다. 듀공은 시력이 좋지 않아 후각을 사용하여 해초를 찾기 위해 해저를 뒤진다.[42] 그들은 뿌리를 포함한 식물 전체를 섭취하지만 불가능할 경우 잎만 먹기도 한다.[46] 서인도 매너티는 분열된 윗입술을 사용하여 잘피, 물배추, 말, 매너티 풀, 거북이 풀과 같은 60종 이상의 담수 및 염수 식물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체 매너티는 일반적으로 체중의 10~15%, 즉 하루에 50kg까지 먹으며, 매너티는 하루에 여러 시간 동안 풀을 뜯어야 한다.[43] 반대로 아프리카 매너티의 식단의 10%는 물고기와 연체동물이다.[44] 매너티는 그물에서 소량의 물고기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벌크 피딩과 달리 듀공은 영양 섭취를 극대화하기 위해 질소가 많은 풀을 목표로 하며, 주로 초식동물이지만 때때로 무척추 동물, 예를 들어 해파리, 멍게, 조개류를 먹기도 한다. 호주 모턴 만에 있는 듀공 개체군과 같은 일부 듀공 개체군은 잡식성이며, 해초 공급이 부족할 때 다모류 또는 해양 조류와 같은 무척추 동물을 먹는다. 서부 및 동부 호주의 다른 듀공 개체군에서는 듀공이 대형 무척추 동물을 적극적으로 찾는다는 증거가 있다.[46]
아마존 매너티 개체군은 수위가 낮아지기 시작하는 7~8월 건기 동안 호수로 제한되며 이 기간 동안 단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들의 큰 지방 저장량과 낮은 신진대사율(일반적인 태반 포유류 신진대사율의 36%에 불과)은 그들이 거의 또는 전혀 음식을 먹지 않고 최대 7개월 동안 생존할 수 있게 해준다.[47]
입 주위 강모는 물체를 감지하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음식을 잡고 조작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위, 아래 입술의 6개의 뚜렷한 강모 영역 중 입 주위 영역은 뚜렷한 길이 대 직경 비율을 가지고 있어 경계를 정의한다. 거대 진동모는 음식의 크기를 감지하는 데 사용되고 미세 진동모는 음식을 조작하는 데 사용된다. 먹이를 먹는 동안 잎과 바람직하지 않은 부분을 떼어내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바다소류는 정교한 얼굴 근육과 입 주위 강모를 사용하여 수생 식물을 획득, 조작, 섭취한다. 주둥이는 근육수압골격, 근육 압력과 근육 수축에 의존하여 음식을 조작하고 이동시키는 생물학적 구조로 구성된다. 매너티는 큰 위쪽 입 주위 강모를 사용하여 잡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큰 위쪽 강모가 밀려나고 아래턱이 떨어져 식물을 닫아 쓸어 넣는 동안 근육수압골격을 조여주는 플레어를 수행한다. 식물 섭취에 사용되는 주요 강모는 U2 및 L1 영역이다. 듀공과 트리케키드는 먹이를 먹는 동안 U1 및 U2 강모 영역을 사용하는 방식이 다르다. 듀공은 U2 강모에 대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움직이는 반면, 트리케키드는 잡는 동작인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서로 다른 먹이 행동을 통해 듀공은 트리케키드보다 근경 소비를 포함한 저서성 먹이 활동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48]
먹이 섭취는 매너티가 입으로 음식을 가져오기 위해 사용하는 입 주변 강모의 주기적 움직임(섭식 주기) 길이를 관찰하여 측정했다. 평균 섭식 주기 길이는 매너티의 체구와 섭취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달랐다. 평균 섭식 주기 길이에서 파생된 음식 섭취 속도는 다른 연구에서 보고된 저작 속도와 비슷했다. 매너티는 평평한 잎을 가진 식물보다 튜브형 줄기와 많은 가지를 가진 식물을 더 빨리 섭취했다. 입 주변 강모를 사용한 먹이 섭취 시간은 섭취하는 식물의 종에 따라 달랐으며, 이는 평균 섭식 주기 길이에 반영되었다. 따라서 플로리다 매너티는 섭취하는 식물의 특성에 따라 섭식 행동을 적응시킨다. 그들은 식물 종에 따라 다른 먹이 섭취 전략과 효율성을 보였으며, 튜브형 줄기와 많은 가지를 가진 식물에 대해 더 빠른 섭취가 관찰되었다.
따뜻한 지역의 얕은 바다에 자라는 거머리말 등 해초류나 하천에 자라는 담수성 현화식물을 주된 먹이로 한다.[100] (거머리말은 조류가 아니라 외떡잎식물의 현화식물이며, 육상의 풀과 가까운 식물이다[100].)
멸종된 스텔러바다소는 베링해를 중심으로 서식했으며[106], 한랭한 바다에서 다시마 등의 해조류를 주식으로 했다.[100]
5. 2. 1. 섭식 행동
듀공은 조잡한 치열과 해초의 제한적인 질소 함량 때문에 먹이에 제약을 받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듀공은 "경작 방목"이라는 전략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목은 해초 군집의 구성을 변화시키고 특정 종을 선호하게 만든다. 초기 성장 속도가 빠른 종은 성장 속도가 느린 종보다 우위를 점하게 된다. 종종, 이러한 "개척자" 종은 질소 함량이 높고 섬유질 함량이 낮아 듀공이 선호하는 먹이가 될 수 있다. 듀공은 선호하는 해초의 풍부함을 보장하기 위해, 한 달 이상 해초 밭에 지속적인 방목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방목은 영양가가 낮고 덜 선호되는 종을 희생하여 듀공이 선호하는 종의 존재를 최대화한다. 또한, 이러한 방목 방식은 해초 숲의 빠른 회복을 장려한다. 듀공은 굽이치는 단일 경로로 먹이를 먹으며, 이는 해초가 깎이지 않은 부분을 남겨둔다. 생존한 근경을 가진 이러한 깎이지 않은 구역은 해초의 확장과 복원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해초는 먹힘에 반응하여 질소 수치를 증가시키고 리그닌을 감소시킨다. 경작 방목은 듀공이 영양적으로 우수한 해초를 늘릴 뿐만 아니라 해초의 전체적인 영양 품질을 향상시킨다. 듀공은 해초를 미성숙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최고의 영양 수준을 보장한다.[50]5. 3. 번식
바다소류는 대부분 단독 생활을 하지만, 암컷이 발정기에 접어들면 무리를 짓는다. 이 무리는 보통 암컷 한 마리와 수컷 여러 마리로 구성된다. 바다소류는 ''K''-선택자로, 수명이 긴 편임에도 불구하고 암컷은 일생에 걸쳐 몇 번만 출산하며 새끼에게 상당한 양육을 제공한다.[34][46]듀공은 일반적으로 1~2일 동안 12마리 미만의 무리로 모인다. 혼탁한 물에서 모이기 때문에 생식 행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수컷은 종종 상처를 입은 채로 발견되며, 듀공의 엄니는 수컷에게 먼저 자라는데, 이는 짝짓기 행동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서로에게 달려드는 모습도 관찰되었다.[34] 암컷이 처음으로 출산하는 나이는 6세에서 17세 사이로 추정되나, 논란의 여지가 있다.[34] 출산 간격 또한 불분명하며, 2년에서 7년으로 추정된다.[46]
매너티는 2~5세에 성적으로 성숙할 수 있다.[51] 임신 기간은 약 1년이며, 그 후 1~2년 동안 젖을 먹인다.[52] 서인도 매너티와 아프리카 매너티는 일년 내내 번식할 수 있으며, 암컷은 여러 수컷과 짝짓기를 한다.[52] 아마존 매너티는 번식기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강 수위가 상승하기 시작할 때 짝짓기를 하는데, 이는 지역마다 다르다.[53]
6. 진화
바다소목의 진화는 모든 바다소목에서 발견되는 여러 특징의 출현으로 특징지어진다. 콧구멍은 크고 후퇴되어 있으며, 상악골은 전두골과 접촉하고, 시상 능선이 없으며, 유돌부가 상측두개창 (두개골 상단의 구멍)을 채우고, 물방울 모양의 고실외골 (고막을 잡고 있는 뼈 고리)이 있으며, 뼈는 골비후성 (밀도가 높고 부피가 큼)이다.
바다소목은 화석 기록에서 처음으로 초기 에오세에 나타났으며, 세분화되어 지질 시대 동안 다양화되었다. 그들은 강, 하구 및 연안 해역에 서식했다.[25] 바다소목은 고래목과 같은 다른 해양 포유류와 달리,[23] 신세계에 살았다. 서유럽에서는 최초이자 가장 오래된 바다소목 유해가 새로운 고생물학적 지역인 스페인 카탈루냐 아메르 (라 셀바)의 산타 브리히다에서 발견되었다.[24] 발견된 가장 초기의 수생 바다소목 중 하나는 4천만 년 전의 ''프로라토스투스''이고, 최초의 알려진 바다소목인 사지 동물 ''페조시렌''은 5천만 년 전에 살았다.[25] 튀니지에서 약 ''프로라토스투스''와 같은 시기에 속하는 측두골 추체부의 고대 바다소목 화석이 발견되었다.[26] 이것은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바다소목 화석이며, 바다소목이 아프리카에서 기원했을 수 있다는 분자 데이터를 뒷받침한다.[26] 초기 바다소목 과인 프로라토스토미과와 프로토시렌과는 돼지 같은 양서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에오세 말에 멸종되었다. 이 시기에 듀공과의 출현으로 바다소목은 물갈퀴와 같은 앞다리가 있고 뒷다리가 없으며, 수중에서 앞뒤로 움직이는 강력한 수평 꼬리지느러미가 있는 수생 유선형 몸체를 포함하여 현대 목의 특징을 진화시켰다.[27]
마지막으로 나타난 바다소목 과인 매너티과는 후기 에오세 또는 초기 올리고세에 초기 듀공과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1994년, 이 과는 Trichechinae 아과 (''Potamosiren'', ''Ribodon'', ''Trichechus'')뿐만 아니라[28] Miosireninae (''Anomotherium''와 ''Miosiren'')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아프리카 매너티와 서인도 매너티는 아마존 매너티보다 서로 더 가깝게 관련되어 있다.
듀공과는 듀공아과와 Hydrodamalinae 및 측계통군인 Halitheriinae로 구성된다. 현대 듀공의 엄니는 원래 파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지만, 현재는 사회적 상호 작용에 사용된다. ''듀공'' 속은 아마도 인도-태평양에서 기원했을 것이다.
해양 포유류에는 고래류, 기각류, 멸종된 빈주목, 그리고 바다소목의 4가지 대표적인 그룹이 있다.[108](이 외에도 수달 등도 바다에서 사는 포유류로 여겨진다. 화석종에서는 유모목의 거대한 나무늘보류에 해생으로 생각되는 종이 몇몇 확인되었다). 언뜻 보면 물개나 돌고래류와 모습이 비슷하지만, 바다소목과 이들 기각류나 고래류 사이에는 계통적인 유연관계가 없고,[100] 수렴 진화이다.
바다소목은 시신세 초기에 근제류의 일종에서 분기된 것으로 생각되지만, 마찬가지로 근제류에서 파생된 것으로 생각되는 장비목(코끼리목)과 근연 관계이다.[100]。장비목, 바다소목, 빈주목은 테티스 해 주변에서 초기 방산을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테티스수류(Tethitheria)"라는 상위 클레이드로 묶인다.[100]。
바다소목의 가장 오래된 화석은 자메이카의 시신세 지층에서 발견된 페조시렌 (페조시렌) ''Pezosiren''이다. 페조시렌은 수생에 적응하면서도 사지를 가지고 육상에서의 체중 부하를 견디는 관절을 남겼다고 보인다.[109]
매너티과의 동료는 신세 후기부터 이빨의 수평 교환을 진화시켰다.[100]이는 식물로 하는 담수성 현화 식물에 많이 포함된 이산화 규소에 의한 치아 마모에 대한 적응이다.[100]。이 수평 교환은 코끼리처럼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니라 평생 지속된다.[100]。
바다소목의 분포역은 주로 열대에서 아열대에 한정되어 있으며, 진화사에서 그다지 번성하지 않았지만, 이는 먹이로 하는 잘피류의 생식 상황에 따른 제한이 있었기 때문이다.[100]
그 중, 듀공과의 한 계열은, 신세 이후 지구의 한랭화 때, 분포역이 좁아진 잘피류로부터, 늘어난 다시마류 등에 식성을 넓혀, 몸을 대형화함으로써, 차가운 바다에 적응했다.[100] 과거 북태평양에 분포했지만, 베링해 일부 해역까지 분포역을 좁힌 끝에 남획으로 1760년대에 멸종한 스텔러바다소는 이 타입의 바다소류의 마지막 종이었다.[100] 척추동물의 역사에서 해조류라는 매우 역사가 오래된 풍부한 단백질원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이 한랭 적응형 바다소류 외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100](그 외에는 바다 이구아나가 있을 정도이다). 또한, 스텔러바다소의 동료는 치아의 퇴화[100]와 앞발의 손가락 소실 등 매너티과에도 다른 듀공과에도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6. 1. 진화 과정
듀공의 꼬리 지느러미는 쐐기 모양으로 돌고래의 꼬리 지느러미와 유사하며, 매너티의 꼬리 지느러미는 주걱 모양이다.[27] 지느러미는 동물을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긴 스트로크로 위아래로 움직이거나 방향을 바꾸기 위해 비틀린다. 앞다리는 회전과 속도 감소를 돕는 주걱 모양의 지느러미이다.[27] 매너티와 달리 듀공은 지느러미에 손톱이 없다.[34] 몸은 물 속에서 기생 항력을 줄이기 위해 방추형이며, 뒷다리는 흔적 기관으로 남아있다.[30] 주둥이는 바닥 먹이에 도움이 되도록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다.[30] 바다소류는 물속에서 2~3분가량 잠수할 수 있다.[31]매너티는 다치성 동물로, 턱 뒤쪽에서 지속적으로 이빨을 교체한다. 성체는 앞니, 송곳니, 앞 어금니가 없고 8~10개의 뺨 이빨이 있다. 이빨은 뒤쪽에서 들어와 앞쪽에서 빠지는 방식으로 무제한 공급되며, 이는 치열 뒤의 치아 캡슐에 의해 지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빨은 그들이 먹는 수생 풀에 의해 끊임없이 마모된다. 듀공의 이빨은 수평 치아 교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다시 자라지 않는다.[33] 듀공은 사춘기의 수컷에게서 두 개의 엄니가 나타나며, 암컷의 경우 상악골 기저부에 도달한 후 나중에 나타난다.[34]
바다소류는 골질비대증을 나타내는데, 이는 갈비뼈와 다른 긴 뼈가 단단하고 골수가 거의 또는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바다소류는 동물계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뼈를 가지고 있으며, 밸러스트 탱크 역할을 하여 부력을 상쇄하고 물 표면 바로 아래에 매달리는 데 도움을 준다.[35] 바다소류의 폐는 엽이 없으며,[38] 가로막과 함께 척추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어 동물이 부력을 제어하고 물 속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36][37]
현존하는 바다소류는 2.5~4m까지 자라며 최대 1,500kg까지 나갈 수 있다. 스텔라바다소는 지금까지 살았던 가장 큰 바다소류로, 길이가 9m,[38] 무게는 8~10t에 달할 수 있었다.[39] 듀공의 뇌는 최대 300g으로, 이는 동물의 체중의 약 0.1%이다.[34] 바다소류의 몸은 짧은 털(진동모)로 드문드문 덮여 있지만, 주둥이에서는 더 밀집되어 있어 환경에 대한 촉각적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40]

해양 포유류에는 고래류, 기각류, 멸종된 빈주목과 바다소목의 4가지 대표적인 그룹이 있다.[108] 바다소류와 기각류나 고래류 사이에는 계통적인 유연관계가 없고,[100] 수렴 진화의 결과이다.
바다소류는 시신세 초기에 근제류의 일종에서 분기되었으며, 장비목(코끼리목)과 근연 관계이다.[100] 장비목, 바다소목, 빈주목은 테티스 해 주변에서 초기 방산을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테티스수류(Tethitheria)"라는 상위 클레이드로 묶인다.[100]
바다소류의 가장 오래된 화석은 자메이카의 시신세 지층에서 발견된 페조시렌 (페조시렌) ''Pezosiren''이며, 수생에 적응하면서도 사지를 가지고 육상에서의 체중 부하를 견디는 관절을 남긴것으로 보인다.[109]
매너티과의 동료는 신세 후기부터 이빨의 수평 교환을 진화시켰다.[100]이는 식물에 많이 포함된 이산화 규소에 의한 치아 마모에 대한 적응이다.[100]
바다소류의 분포역은 주로 열대에서 아열대에 한정되어 있으며, 진화사에서 그다지 번성하지 않았지만, 이는 먹이로 하는 잘피류의 생식 상황에 따른 제한이 있었기 때문이다.[100]
그 중, 듀공과의 한 계열은, 신세 이후 지구의 한랭화 때, 분포역이 좁아진 잘피류로부터, 늘어난 다시마류 등에 식성을 넓혀, 몸을 대형화함으로써, 차가운 바다에 적응했다.[100] 과거 북태평양에 분포했지만, 베링해 일부 해역까지 분포역을 좁힌 끝에 남획으로 1760년대에 멸종한 스텔러바다소는 이 타입의 바다소류의 마지막 종이었다.[100]
6. 2. 매너티과의 진화
바다소류는 근제류의 일종에서 분기된 것으로 생각되지만, 장비목(코끼리목)과 근연 관계이다.[100]。장비목, 바다소목, 빈주목은 테티스 해 주변에서 초기 방산을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테티스수류(Tethitheria)"라는 상위 클레이드로 묶인다.[100]。분자 계통 분석에 기초한 바다소목의 계통 위치는 다음과 같다.{|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상목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식충류
|-
|
{| class="wikitable"
|-
| 땅돼지목
|-
| 땅돼지과
|-
|
|-
|
{| class="wikitable"
|-
| 관치목
|-
| 관치과
|-
| 아프리카뒤쥐목
|-
|
황금두더지과 |
텐렉과 |
|}
|}
|-
| 근제류
|-
|
{| class="wikitable"
|-
| 바위너구리목
|-
| 바위너구리과
|-
| 테티스수류
|-
|
{| class="wikitable"
|-
| 장비목
|-
| 코끼리과
|-
| '''바다소목'''
|-
|
듀공과 |
매너티과 |
|}
|}
|}
|}
매너티과의 동료는 신세 후기부터 이빨의 수평 교환을 진화시켰다.[100]。이는 식물로 하는 담수성 현화 식물에 많이 포함된 이산화 규소에 의한 치아 마모에 대한 적응이다.[100]。이 수평 교환은 코끼리처럼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니라 평생 지속된다.[100]。
6. 3. 스텔러바다소의 진화
바다소류는 시아노세 초기에 근제류의 일종에서 분기된 것으로 보이며, 장비목(코끼리목)과 근연 관계이다.[100]。장비목, 바다소목, 빈주목은 테티스 해 주변에서 초기 방산을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테티스수류(Tethitheria)"라는 상위 클레이드로 묶인다.[100]듀공과의 한 계열은, 신세 이후 지구의 한랭화 때, 분포역이 좁아진 잘피류로부터, 늘어난 다시마류 등에 식성을 넓혀, 몸을 대형화함으로써, 차가운 바다에 적응했다.[100] 과거 북태평양에 분포했지만, 베링해 일부 해역까지 분포역을 좁힌 끝에 남획으로 1760년대에 멸종한 스텔러바다소는 이 타입의 바다소류의 마지막 종이었다.[100] 척추동물의 역사에서 해조류라는 매우 역사가 오래된 풍부한 단백질원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이 한랭 적응형 바다소류 외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100] 또한, 스텔러바다소는 이빨의 퇴화[100]와 앞발의 손가락 소실 등 매너티과에도 다른 듀공과에도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7. 인간과의 관계
7. 1. 위협과 보존
바다소목은 IUCN 적색 목록의 멸종 위기종으로, 서식지 파괴, 선박 충돌, 어업 혼획,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생존에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44][64][60][61] 1768년에 멸종된 스텔러바다소는 인간의 사냥으로 인해 사라졌다.[62]매너티의 고기, 기름, 뼈, 가죽은 상업적 가치가 있어 밀렵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44] 특히 나이지리아, 카메룬 등 일부 국가에서는 아프리카 매너티가 불법으로 거래되기도 한다.[44] 서아프리카 일부 지역 주민들은 매너티 기름이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믿어 사냥을 하기도 한다.[44] 아마존 매너티는 사냥으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으며, 새끼 매너티가 불법으로 애완동물로 거래되기도 한다.[63][64] 듀공의 신체 부위는 인도양 전역에서 약재로 사용된다.[46] 쿠바에서는 밀렵, 얽힘, 오염 등으로 인해 카리브해에서 가장 큰 매너티 서식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체수가 번성하지 못하고 있다.[65]

인간이 초래한 환경 문제도 바다소목을 위협한다. 선박과의 충돌은 특히 서인도 매너티에게 심각한 위협이며, 사망 원인의 절반 가량을 차지한다.[69] 수력 발전 댐 건설로 인한 수로 교통 증가는 선박 충돌 위험을 더욱 높인다.[69] 해안 도시화로 인한 해초 개체수 감소와 오염 또한 바다소목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이다.[68] 플로리다에서는 발전소 배출로 인해 따뜻한 물이 제공되지만, 새로운 발전소 건설은 이러한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인간의 샘 사용 증가 또한 따뜻한 물 서식지를 감소시킨다.[69]
어업 활동 중 혼획 또한 바다소목에게 위협이 된다. 아프리카 매너티는 논에 들어가 작물을 파괴하기도 하여, 지역 주민과의 갈등으로 인해 의도적으로 살해되기도 한다.[44][64][60][61][70] 적조와 같은 유해 조류 번식은 바다소목에게 독성 물질을 노출시켜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69] 플라스틱 등 해양 쓰레기 역시 바다소목에게 얽힘, 섭취 등의 피해를 입혀 생존을 위협한다.[73]

전염병 또한 바다소목의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바이러스, 기생충, 박테리아 감염 등이 보고되었으며, 특히 헤르페스바이러스와 파필로마바이러스가 플로리다 매너티에서 발견되었다.[75][76][77][78] 결핵균증은 사육 플로리다 매너티와 아마존 매너티에게서, 살모넬라증은 듀공에게서 사망 원인으로 보고되었다.[82][83][84][76]
기후 변화는 해수 온도, 해수면, 염분 등 해양 환경에 영향을 미쳐 바다소목의 서식 환경을 악화시킨다.[88] 특히 겨울철 추위는 낮은 대사율과 단열 기능이 부족한 바다소목에게 추위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생존을 위협한다.[89] 해수 온도 상승은 유해 조류 번식을 유발하여 해초 성장을 방해하고, 바다소목의 먹이 경쟁을 심화시킨다.[94]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바다소류는 1972년 미국 해양 포유류 보호법 및 1973년 미국 멸종 위기종 보호법, CITES 등 국제 협약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95] 듀공은 생물다양성 협약, 이동성 종 보호 협약, 산호 삼각지대 이니셔티브에 등재되어 보호받는다.[61] 플로리다에서는 1978년 플로리다 매너티 보호법을 통해 매너티 서식지에서 선박 속도 제한 등의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96]
7. 2. 한국에서의 화석
한국에서는 바다소목 화석이 발견된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약 30곳에서 바다소류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홋카이도에서 20곳 정도가 발견되어 한랭 적응 계열의 바다소류가 많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홋카이도에서 발견된 주요 바다소 화석은 다음과 같다.- 키타히로시마바다소: 홋카이도 이시카리진흥국 관내 키타히로시마시에서 발견되었으며, 세계에서 유일한 스텔러바다소 화석이었으나 이후 보소반도에서도 발견되었다. 정식 명칭은 스텔러바다소 키타히로시마 표본이며, 체장은 약 7m, 약 100만 년 전의 화석이다.
- 타키카와바다소: 1980년 8월 홋카이도 소라치 종합진흥국 관내 타키카와시를 흐르는 소라치가와에서 발견되었으며, 홋카이도의 바다소 화석 연구의 시초가 되었다. 체장은 8m 이상이며, 약 500만 년 전의 화석이다.
- 피리카바다소: 1983년 여름 홋카이도 히야마진흥국 관내 이마카네정 미리카 지구에서 발견되었으며, 복원된 것으로는 세계 최대의 바다소 화석이다. 체장은 8m 이상이며, 약 120만 년 전의 스텔러바다소속 화석이다.
- 쇼산베츠바다소: 1967년 홋카이도 루모이진흥국 관내 쇼산베츠촌에서 발견된 일본 최초의 바다소 화석이다. 출산 직전의 태아를 동반한 임신 개체의 화석으로, 어미는 약 3.6m, 태아는 약 1.5m이며, 약 1,100만 년 전의 화석이다.
이 외에도 야마가타현에서 발견된 야마가타다이바다소(약 800만 년 전, 체장 약 3.8m), 후쿠시마현에서 발견된 아이즈타카사토바다소(약 800만 년 전, 체장 약 3.7m) 등이 있다. 2003년에는 삿포로시에서 1,000만 년 - 750만 년 전의 바다소 화석(갈비뼈와 흉골)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한랭 적응형 바다소 화석이다.
8. 각주
9. 참고 문헌
10. 외부 링크
참조
[1]
논문
Evolution of Manatees: A Speculative History
https://www.jstor.or[...]
1982
[2]
논문
The evolutionary history of manatees told by their mitogenomes
2021-02-11
[3]
뉴스
The giant cow that swam the ocean
https://www.bbc.com/[...]
BBC
2020-10-29
[4]
간행물
Sirenia Illiger, 1811
ITIS
[5]
웹사이트
What are sirenians?
http://www.sirenian.[...]
2012-07-20
[6]
논문
The Chromosomes of Afrotheria and Their Bearing on Mammalian Genome Evolution
https://www.research[...]
[7]
논문
The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and a classification of mammals
[8]
서적
The Rise of Placental Mammals: Origin and Relationships of the Major Extant Clades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9]
논문
Afrotherian mammals: a review of current data
http://phylodiversit[...]
2017-01-02
[10]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Dugongidae
https://paleobiodb.o[...]
Fossilworks
2017-01-01
[11]
논문
Fossil Sirenia of the West Atlantic and Caribbean region. XI. ''Callistosiren boriquensis'', gen. et sp. nov
[12]
논문
Fossil Sirenia of the West Atlantic and Caribbean region. X. ''Priscosiren atlantica'', sp. nov
[13]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Trichechidae
https://paleobiodb.o[...]
Fossilworks
2017-01-01
[14]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Protosirenidae
https://paleobiodb.o[...]
Fossilworks
2017-01-01
[15]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Prorastomidae
https://paleobiodb.o[...]
Fossilworks
2017-01-01
[16]
서적
Population genetics and conservation of the Florida manatee: past, present, and future
http://worldcat.org/[...]
[17]
웹사이트
Amazonian Manatee
https://www.edgeofex[...]
2022-07-25
[18]
논문
Distribution and Habitat Use of Antillean Manatees (<I>Trichechus manatus manatus</I>) in the Drowned Cayes Area of Belize, Central America
http://dx.doi.org/10[...]
2008-01-01
[19]
논문
Estimating occupancy and detection probability of the Amazonian manatee (Trichechus inunguis), in Central Amazon, Brazil
2021-07-01
[20]
웹사이트
West African manatee {{!}} mammal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2-21
[21]
웹사이트
Dugong dugon -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https://marinemammal[...]
2022-07-25
[22]
서적
Steller's sea cow (Hydrodamalis gigas) of Late Pleistocene age from Amchitka, Aleutian Islands, Alaska.
http://worldcat.org/[...]
[23]
논문
Whale Origins as a Poster Child for Macroevolution
[24]
문서
Finding of sirenian remains in the Lutetian (Middle Eocene) of Santa Brígida (Amer, La Selva, Girona)
https://www.academia[...]
[25]
논문
The Earliest Known Fully Quadrupedal Sirenian
2001
[26]
논문
Cranial Remain from Tunisia Provides New Clues for the Origin and Evolution of Sirenia (Mammalia, Afrotheria) in Africa
2013-01-16
[27]
서적
Return to the Sea: The Life and Evolutionary Times of Marine Mammals
University of California
[28]
웹사이트
Trichechinae
Fossilworks
2017-07-28
[29]
간행물
Manatee
http://animals.natio[...]
2017-01-16
[30]
서적
Mammalogy: Adaptation, Diversity, Ecology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1]
논문
Diving behaviour of dugongs, ''Dugong dugon''
[32]
간행물
Dugong
http://animals.natio[...]
2017-01-16
[33]
웹사이트
Evolution of Sirenia
http://www.sirenian.[...]
sirenian.org
2007-03-10
[34]
서적
Fauna of Australia
CSIRO
[35]
서적
Sealife: A Complete Guide to the Marine Environment
https://archive.org/[...]
Smithsonian Institution
[36]
논문
Hydrostasis in the Sirenia: Quantitative Data and Functional Interpretations
[37]
논문
Diaphragm structure and function in the Florida manatee (''Trichechus manatus latirostris'')
Wiley-Liss, Inc.
[38]
서적
Life on Earth: An Encyclopedia of Biodiversity, Ecology and Evolution
https://archive.org/[...]
ABC-CLIO
[39]
논문
The Weight of the Steller Sea Cow
1972-11
[40]
논문
Tactile Hairs on the Postcranial Body in Florida Manatees: A Mammalian Lateral Line?
http://www.tamug.edu[...]
[41]
논문
Corneal avascularity is due to soluble VEGF receptor-1
[42]
논문
Dugong dugon Dugong
[43]
논문
Proximate Nutrient Analyses of Four Species of Submerged Aquatic Vegetation Consumed by Florida Manatee (''Trichechus manatus latirostris'') Compared to Romaine Lettuce (''Lactuca sativa var. longifolia'')
[44]
간행물
''Trichechus senegalensis''
2021-08-11
[45]
논문
Evidence for carnivory in manatee (''Trichechus manatus'')
[46]
서적
Dugong: status reports and action plans for countries and territories
https://portals.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47]
논문
Apparent Dry-Season Fasting in Amazonian manatees (Mammalia: Sirenia)
[48]
논문
Orofacial morphology and feeding behaviour of the dugong, Amazonian, West African and Antillean manatees (Mammalia: Sirenia): functional morphology of the muscular-vibrissal complex
2006-02-28
[49]
논문
Food-Handling Ability and Feeding-Cycle Length of Manatees Feeding on Several Species of Aquatic Plants
2000-08
[50]
논문
Impacts of dugong foraging on seagrass habitats: observational and experimental evidence for cultivation grazing
https://www.int-res.[...]
1995-08-10
[51]
논문
Reproduction in Female Manatees Observed in Sarasota Bay, Florida
[52]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53]
논문
Seasonal Breeding in the Amazonian Manatee, ''Trichechus inunguis'' (Mammalia: Sirenia)
[54]
논문
Strandings of Antillean manatees, Trichechus manatus manatus, in northeastern Brazil
https://www.academia[...]
[55]
논문
Marine mammal captivity in the northeastern Caribbean, with notes on the rehabilitation of stranded whales, dolphins and manatees.
[56]
서적
Manate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57]
논문
Digesta passage rates in the Florida manatee (Trichechus manatus latirostris)
2007-08-06
[58]
문서
Evaluation of the Nutrition of Florida Manatees (Trichechus manatus latirostris)
https://ufdcimages.u[...]
University of Florida
2012-08
[59]
서적
Manatee Rescue, Rehabilitation, and Release Efforts as a Tool for Species Conservation
https://bvearmb.do/b[...]
Sirenian Conservation: Issues and Strategies in Developing Countries
[60]
간행물
''Trichechus manatus''
2008
[61]
간행물
''Dugong dugon''
2015
[62]
간행물
''Hydrodamalis gigas''
2021-08-11
[63]
논문
Amazonian Manatees, ''Tricheus inunguis'', in Peru: Distribution, Exploitation, and Conservation Status
https://swfsc.noaa.g[...]
[64]
간행물
''Trichechus inunguis''
2016
[65]
논문
Status and conservation of manatees in Cuba: historical observations and recent insights
2017
[66]
뉴스
Antillean Manatee Conservation in Cuba
http://sea2shore.org[...]
2018-07-22
[67]
논문
Occurrence of the Endangered Antillean manatee Trichechus manatus manatus in a marine protected area, Isla de la Juventud, Cuba
2017-04
[68]
논문
Long-term performance of seagrass restoration projects in Florida, USA
http://dx.doi.org/10[...]
2019-10-29
[69]
논문
Manatees as Sentinels of Marine Ecosystem Health: Are They the 2000-pound Canaries?
http://dx.doi.org/10[...]
2004-05-13
[70]
웹사이트
African manatee (''Trichechus senegalensis'')
http://www.arkive.or[...]
Wildscreen
2017-01-24
[71]
웹사이트
Red Tide Current Status
https://web.archive.[...]
2023-01-12
[72]
웹사이트
2018 Manatee Mortalities
[73]
학술지
The impact of debris on the Florida manatee
http://dx.doi.org/10[...]
1991-10
[74]
학술지
Debris ingestion by the Antillean Manatee ( Trichechus manatus manatus )
http://dx.doi.org/10[...]
2015-12
[75]
학술지
Infectious and Non-Infectious Diseases in Manatees in Brazil
https://seer.ufrgs.b[...]
2020-11-22
[76]
학술지
A Fatal Case of Salmonellosis in a Dugong
1981
[77]
학술지
Case report on helminth parasites of a necropsied Antillean manatee (Trichechus manatus manatus) in Belize
https://linkinghub.e[...]
2020
[78]
학술지
Ascaridoid nematodes of sirenians—a new species in the Senegal manatee
https://www.cambridg[...]
1983
[79]
학술지
Viral Papillomatosis in Florida Manatees (Trichechus manatus latirostris)
https://linkinghub.e[...]
2002
[80]
학술지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PCR assay for measurement of trichechid herpesvirus 1 load in the Florida manatee ( Trichechus manatus latirostris )
2017
[81]
학술지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novel mucosotropic papillomaviruses from a Florida manatee (Trichechus manatus latirostris)
2015-12-01
[82]
학술지
BACTERIA ISOLATED FROM DUGONGS ( DUGONG DUGON ) SUB-MITTED FOR POSTMORTEM EXAMINATION IN QUEENSLAND, AUSTRALIA, 2000–2011
http://www.bioone.or[...]
2013
[83]
학술지
Cutaneous mycobacteriosis in a captive Amazonian manatee Trichechus inunguis
http://www.int-res.c[...]
2018-03-05
[84]
학술지
Mycobacteriosis in Two Captive Florida Manatees (Trichechus Manatus Latirostris)
http://www.bioone.or[...]
2003
[85]
학술지
First record of a 'fish' blood fluke (Digenea: Aporocotylidae) from a marine mammal: Cardicola dhangali n. sp.
2019
[86]
학술지
Viral Papillomatosis in Florida Manatees (Trichechus manatus latirostris)
http://dx.doi.org/10[...]
2002-02
[87]
학술지
Human responses to Florida red tides: Policy awareness and adherence to local fertilizer ordinances
http://dx.doi.org/10[...]
2014-09
[88]
학술지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warmwater megafauna: the Florida manatee example (Trichechus manatus latirostris)
http://dx.doi.org/10[...]
2013-10-02
[89]
학술지
Status and threats analysis for the Florida manatee (''Trichechus manatus latirostris''), 2012
2015
[90]
웹사이트
Manatee Habitat
https://myfwc.com/wi[...]
2023-08-07
[91]
학술지
IAAAM 2012
http://www.vin.com/d[...]
2015-03-30
[92]
학술지
Cold-related Florida manatee mortality in relation to air and water temperatures
2019-11-21
[93]
학술지
IAAAM Archive
http://www.vin.com/d[...]
2015-03-30
[94]
학술지
Evidence of a dietary shift by the Florida manatee (Trichechus manatus latirostris) in the Indian River Lagoon inferred from stomach content analyses
http://dx.doi.org/10[...]
2022-05
[95]
웹사이트
Marine Mammals
https://web.archive.[...]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17-01-26
[96]
웹사이트
The 2016 Florida Statutes
http://www.leg.state[...]
Online Sunshine
2017-01-26
[97]
간행물
Rescue, rehabilitation and release of Florida manatees: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urvival
2009-12
[98]
서적
Order Sirenia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99]
학술지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100]
학술지
"〔提言〕哺乳類の日本語分類群名,特に目名の取扱いについて —文部省の“目安”にどう対応するか—"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01]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Prorastomidae
http://www.fossilwor[...]
Fossilworks
2017-01-01
[102]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Protosirenidae
http://www.fossilwor[...]
Fossilworks
2017-01-01
[103]
서적
標準現職図鑑全集20 動物Ⅱ
保育社
1968
[104]
서적
ネイチャー・ハンドブック 世界哺乳類図鑑
新樹者
2005
[105]
서적
フィールドベスト図鑑12 日本の哺乳類
株式会社学習研究社
2002
[106]
간행물
Hydrodamalis gigas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107]
논문
Afrotherian mammals: a review of current data
https://doi.org/10.1[...]
2024-07-31
[108]
서적
海の哺乳類
丸善出版
2011
[109]
논문
The earliest known fully quadrupedal sirenian
https://doi.org/10.1[...]
2001
[110]
논문
Confirming the Phylogeny of Mammals by Use of Large Comparative Sequence Data Sets
http://mbe.oxfordjou[...]
2008
[111]
논문
New material of ''Palaeoamasia kansui'' (Embrithopoda, Mammalia) from the Eocene of Turkey and a phylogenetic analysis of Embrithopoda at the species level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