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다 새우 양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다 새우 양식은 수 세기 동안 동남아시아와 중국에서 시작되어, 1930년대 일본에서 산업적으로 발전했다. 1960년대 후반부터 기술 발전과 수요 증가로 인해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현재 50개 이상의 국가에서 이루어진다. 양식 방법은 조방형, 반집약형, 집약형으로 구분되며, 부화장, 육성장, 성장 양식장의 세 단계를 거친다. 주요 양식 종으로는 흰다리새우와 블랙타이거가 있으며, 질병, 환경 파괴, 사회적 문제 등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지속 가능한 양식을 위한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십각류 - 새우 양식
    새우 양식은 상업적 목적으로 새우를 사육하는 산업으로, 아시아에서 주로 생산되며, 단일 양식으로 인한 질병, 생태학적 문제, 동물 복지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양식업 - 수산양식
    수산 양식은 수생 생물을 인공적으로 사육하여 식량 생산, 해양 생태계 복원, 경제적 이익 창출 등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며, 다양한 품종과 여러 방식이 사용되지만,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 양식업 - 양어장
    양어장은 양식 시설에서 수확 크기로 키울 유생 및 어린 물고기, 조개류 등을 생산하는 시설로, 비수기 생산, 품종 개량, 야생 의존도 감소에 기여하지만 근친 교배, 유전적 다양성 감소, 유전자 변형 식품 논란 등의 문제점도 안고 있다.
  • 일본의 경제 - 삼포 개항
    삼포 왜란은 1510년 제포에 거주하던 왜인들이 조선 관리의 부당한 처사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무력 충돌로, 부산포 첨사 이우증이 살해되는 등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했으며, 조선은 왜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대마도주의 강화 요청에도 강경하게 대응했다.
  • 일본의 경제 - 전국 기업 단기 경제 관측 조사
    전국 기업 단기 경제 관측 조사는 기업의 경기 체감과 경영 마인드를 파악하여 금융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통해 기업의 주관적 판단과 실적 및 계획치를 조사하고 결과를 공표한다.
바다 새우 양식
새우 양식
새우 성장 웅덩이
새우 성장 웅덩이
블랙타이거새우
블랙타이거새우
개요
종류새우 또는 징거미새우의 양식
추가 정보
비고용어는 때때로 혼란스러울 수 있음. "새우"와 "징거미새우"의 구별이 모호하기 때문임.
FAO는 예를 들어 P. monodon을 "블랙타이거새우"라고 부르지만, P. vannamei를 "흰다리새우"라고 부름.
최근 양식 문헌에서는 "징거미새우"라는 용어를 장지마새우과의 담수 형태에만 사용하고 "새우"는 해양 보리새우류에만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

2. 역사와 지리

새우는 수 세기 동안 동남아시아중국에서 전통적인 저밀도 방식을 사용하여 양식되었다.[88] 인도네시아에서는 15세기부터 탐박이라 불리는 기수 연못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작은 규모의 연못을 사용해 단일한 품종으로 양식하거나 밀크피쉬와 같은 다른 종들과 복합양식하는 방식이었다.[88] 또한, 벼가 자랄 수 없는 건기에는 을 양식장으로 활용하는 식으로 벼와 새우를 번갈아가며 길렀다.[88] 이런 경작은 보통 해안가, 강둑에서 이루어졌으며, 맹그로브 지역이 자연적으로 새우가 풍부해 양식업자들에게 선호되었다.[89] 야생 새우 유생은 연못에 갇혀 수확하기 적절한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유기체를 먹고 자랐다.[90]

산업적인 새우 양식의 시초는 1930년대 일본 농업인들이 최초로 보리새우를 부화시켜 양식한 것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1] 1960년대까지 일본에서 소규모의 산업이 발달하였다.[91] 상업적인 새우 양식은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에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는데, 기술적인 진보는 좀 더 빽빽한 양식을 가능하게 했고, 늘어나는 시장의 수요는 전 세계의 열대, 아열대 지역에 새우 양식장을 확산시켰다.[91] 1980년대 초반의 불안해진 야생 개체의 채집량을 동반한 증가하는 소비자들의 수요는 미친 듯이 성장하는 산업을 만들어냈다. 타이완은 일찍 양식을 시작했으며 1980년대에는 주요 생산국이 되었으나, 1988년부터 형편없는 관리와 질병으로 인해 생산량이 급감하였다.[92] 태국에서는 1985년부터 대규모의 생산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93] 남아메리카에서는 에콰도르가 새우 양식을 처음으로 시작했으며, 1978년부터 생산량이 극적으로 늘어났다.[94] 브라질은 1974년부터 새우 양식에 적극적이었지만, 1990년대에 그제서야 거래가 폭증했으며 이후 몇 년 안에 주요 생산국이 되었다.[95] 오늘날 50개가 넘는 나라에서 바다 새우를 양식한다.

2. 1. 초기 역사

새우는 수 세기 동안 동남아시아중국에서 전통적인 저밀도 방식을 사용하여 양식되었다.[88] 인도네시아에서는 15세기부터 탐박이라 불리는 기수 연못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작은 규모의 연못을 사용해 단일한 품종으로 양식하거나 밀크피쉬와 같은 다른 종들과 복합양식하는 방식이었다.[88] 또한, 벼가 자랄 수 없는 건기에는 을 양식장으로 활용하는 식으로 벼와 새우를 번갈아가며 길렀다.[88] 이런 경작은 보통 해안가, 강둑에서 이루어졌으며, 맹그로브 지역이 자연적으로 새우가 풍부해 양식업자들에게 선호되었다.[89] 야생 새우 유생은 연못에 갇혀 수확하기 적절한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유기체를 먹고 자랐다.[90]

산업적인 새우 양식의 시초는 1930년대 일본 농업인들이 최초로 보리새우를 부화시켜 양식한 것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1] 1960년대까지 일본에서 소규모의 산업이 발달하였다.[91] 상업적인 새우 양식은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에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는데, 기술적인 진보는 좀 더 빽빽한 양식을 가능하게 했고, 늘어나는 시장의 수요는 전 세계의 열대, 아열대 지역에 새우 양식장을 확산시켰다.[91] 1980년대 초반의 불안해진 야생 개체의 채집량을 동반한 증가하는 소비자들의 수요는 미친 듯이 성장하는 산업을 만들어냈다. 타이완은 일찍 양식을 시작했으며 1980년대에는 주요 생산국이 되었으나, 1988년부터 형편없는 관리와 질병으로 인해 생산량이 급감하였다.[92] 태국에서는 1985년부터 대규모의 생산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93] 남아메리카에서는 에콰도르가 새우 양식을 처음으로 시작했으며, 1978년부터 생산량이 극적으로 늘어났다.[94] 브라질은 1974년부터 새우 양식에 적극적이었지만, 1990년대에 그제서야 거래가 폭증했으며 이후 몇 년 안에 주요 생산국이 되었다.[95] 오늘날 50개가 넘는 나라에서 바다 새우를 양식한다.

2. 2. 산업적 양식의 시작

새우는 수 세기 동안 동남아시아중국에서 전통적인 저밀도 방식을 사용하여 양식되었다.[88] 인도네시아에서는 15세기부터 탐박이라 불리는 기수 연못을 사용하였는데,[88] 이들은 작은 규모의 연못을 사용해 단일한 품종으로 양식하거나 밀크피쉬와 같은 다른 종들과 복합양식했고, 벼가 자랄 수 없는 건기에 을 양식장으로 활용하는 식으로 벼와 새우를 번갈아가며 길렀다.[88] 이런 경작은 보통 해안가, 강둑에서 이루어졌으며, 맹그로브 지역이 자연적으로 새우가 풍부해 양식업자들에게 선호되었다.[89] 야생 새우 유생은 연못에 갇혀 수확하기 적절한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유기체를 먹고 자랐다.[90]

산업적인 새우 양식의 시초는 1930년대 일본 농업인들이 최초로 보리새우를 부화시켜 양식하면서 시작되었고, 1960년대까지 일본에서 소규모의 산업이 발달하였다.[91] 상업적인 새우 양식은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에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는데, 기술적인 진보는 좀 더 빽빽한 양식을 가능하게 했고, 늘어나는 시장의 수요는 전 세계의 열대, 아열대 지역에 새우 양식장을 확산시켰다.[91] 1980년대 초반의 불안해진 야생 개체의 채집량을 동반한 증가하는 소비자들의 수요는 미친 듯이 성장하는 산업을 만들어냈다. 타이완은 일찍 양식을 시작했으며 1980년대에는 주요 생산국이 되었지만, 1988년부터 형편없는 관리와 질병으로 인해 생산량이 급감하였다.[92] 태국에서는 1985년부터 대규모의 생산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93] 남아메리카에서는 에콰도르가 새우 양식을 처음으로 시작했으며, 1978년부터 생산량이 극적으로 늘어났다.[94] 브라질은 1974년부터 새우 양식에 적극적이었지만, 1990년대에 그제서야 거래가 폭증했으며 이후 몇 년 안에 주요 생산국이 되었다.[95] 오늘날 50개가 넘는 나라에서 바다 새우를 양식한다.

2. 3. 주요 생산국의 변화

새우는 수 세기 동안 동남아시아중국에서 전통적인 저밀도 방식으로 양식되었다.[88] 인도네시아에서는 15세기부터 탐박이라 불리는 기수 연못을 사용하였으며, 단일한 품종으로 양식하거나 밀크피쉬와 같은 다른 종들과 복합양식했고, 건기에는 을 양식장으로 활용했다.[88] 맹그로브 지역은 자연적으로 새우가 풍부해 양식업자들에게 선호되었다.[89] 야생 새우 유생은 연못에 갇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유기체를 먹고 자랐다.[90]

산업적인 새우 양식은 1930년대 일본 농업인들이 최초로 보리새우를 부화시켜 양식하면서 시작되었고, 1960년대까지 일본에서 소규모의 산업이 발달하였다.[91]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에 상업적인 새우 양식이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다. 기술적인 진보로 좀 더 빽빽한 양식이 가능해졌고, 늘어나는 시장의 수요는 전 세계의 열대, 아열대 지역에 새우 양식장을 확산시켰다. 타이완은 1980년대에 주요 생산국이었으나, 1988년부터 형편없는 관리와 질병으로 인해 생산량이 급감하였다.[92] 태국에서는 1985년부터 대규모의 생산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93] 남아메리카에서는 에콰도르가 새우 양식을 처음으로 시작했으며, 1978년부터 생산량이 극적으로 늘어났다.[94] 브라질은 1974년부터 새우 양식에 적극적이었지만, 1990년대에 그제서야 거래가 폭증했으며 이후 몇 년 안에 주요 생산국이 되었다.[95] 오늘날 50개가 넘는 나라에서 바다 새우를 양식한다.

2. 4. 한국의 새우 양식

새우는 수 세기 동안 동남아시아와 중국에서 전통적인 저밀도 방식을 사용하여 양식되었다.[88] 인도네시아에서는 15세기부터 탐박이라 불리는 기수 연못을 사용하였다.[88] 맹그로브 지역이 자연적으로 새우가 풍부해 양식업자들에게 선호되었다.[89] 야생 새우 유생은 연못에 갇혀 수확하기 적절한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유기체를 먹고 자랐다.[90]

산업적인 새우 양식의 시초는 일본인 농업인들이 최초로 보리새우를 부화시켜 양식한 193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60년대까지 일본에서 소규모의 산업이 발달하였다.[91] 상업적인 새우 양식은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에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다. 타이완은 일찍 양식을 시작했으며 1980년대에는 주요 생산국이 되었지만, 1988년부터 형편없는 관리와 질병으로 인해 생산량이 급감하였다.[92] 태국에서는 1985년부터 대규모의 생산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93] 남아메리카에서는 에콰도르가 새우 양식을 처음으로 시작했으며, 1978년부터 생산량이 극적으로 늘어났다.[94] 브라질은 1974년부터 새우 양식에 적극적이었지만, 1990년대에 그제서야 거래가 폭증했으며 이후 몇 년 안에 주요 생산국이 되었다.[95] 오늘날 50개가 넘는 나라에서 바다 새우를 양식한다.

3. 양식 방법

새우 양식이 야생 어업의 공급량을 초월하는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등장했을 때, 오래된 자급 농업 방식은 세계 시장을 지탱하기 위해 더욱 생산적인 방식으로 급격하게 대체되었다. 산업적인 양식은 처음에는 낮은 밀도를 벌충하기 위해 웅덩이의 크기를 늘리는, '조방형' 양식이라고 불리는 전통 방식을 따랐다. 몇 헥타르 정도의 작은 웅덩이 대신 100 헥타르에 이르는 큰 웅덩이들이 쓰였고 어떤 지역에서는 넓은 맹그로브 지대가 제거되었다. 기술적인 진보는 같은 넓이에서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좀 더 집약적인 양식을 가능하게 했고, 예전처럼 드넓은 지역을 양식장으로 바꿀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새우가 인공 사료를 섭취하며 웅덩이가 적극적으로 관리되는 반집약적, 집약적 양식장이 등장했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양식장은 반집약적 형태이다.

1980년대 중반까지 대부분의 양식장은 야생의 후기유생을 양식했으며, 보통 현지에서 잡았다. 후기유생 어획은 많은 나라에서 중요한 경제 부문이 되었다. 이후 업계는 어장의 고갈에 대응하고 유생을 꾸준히 공급하기 위해 부화장에서 새우를 기르기 시작했다.

조방 양식장이 주로 웅덩이의 자연적인 생산성에 의존하는 반면, 좀 더 집약적으로 관리되는 양식장은 인공 사료에만 의존하거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유기체에 인공 사료를 곁들일 수 있다. 웅덩이의 먹이사슬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에 기반하여 생겨난다. 영양제와 미네랄 보충제가 플랑크톤의 성장을 자극하여 새우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데 사용된다. 낭비되는 인공사료와 새우의 배설물은 웅덩이의 부영양화를 야기할 수 있다.

인공사료는 특별히 규격화되고 과립화된, 급격하게 분해되는 펠렛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사료는 새우가 먹기 전에 대부분 분해되어 70%까지 낭비된다.[91] 사료는 하루에 두 번에서 다섯 번 정도 급여한다. 물가나 보트 위에서 수작업으로, 아니면 웅덩이 전체에 분포한 기계 급여기로 급여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현대적인 양식장에서는, 킬로그램 등의 어떤 단위 만큼의 새우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사료의 양을 의미하는 사료전환율(FCR)이 1.2-2.0 정도라고 주장하지만, 이것은 언제나 실제에 적용되지 않는 최적의 수치이다. 양식장에서 이윤을 뽑아내기 위해선 사료전환율을 2.5 이하로 맞출 필요가 있다. 웅덩이의 환경의 최적화가 모자란 오래된 양식장에서는 비율이 어렵지 않게 4:1을 넘어갈 수 있다.[103] 낮은 FCR은 양식장에 더 높은 이윤을 가져다준다.

3. 1. 생애 주기

바다 새우는 해양 서식지와 유사한 환경에서만 성숙되며 산란한다. 암컷은 10만~50만 개의 알을 낳고, 알들은 하루가 지나면 작은 노플리우스가 된다.[96]
새우의 노플리우스
노플리우스들은 몸 속의 난황을 섭취하며, 이후 조에아로 변태한다. 이 두 번째 유충 단계에 있는 새우들은 야생의 조류를 섭취하며, 며칠 후 다시 변태하여 마이시스 유생이 된다. 이 단계에서 새우의 형태로 변화하며, 조류와 동물성 플랑크톤을 섭취한다. 마이시스는 사나흘 후에 마지막으로 변태하여, 성체의 특징을 가지는 후기유생이 된다.[96] 전체 과정은 부화 후 12일 정도가 소요된다. 야생에서는 후기유생은 영양이 풍부하고 염도가 낮은 하구로 이동하며, 완전히 성숙되면 다시 바다로 돌아온다.[96][9]

3. 2. 공급망

새우 양식은 통제된 환경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집약 양식, 균일한 크기의 새우 생산, 포식자 통제, 기후 조절을 통한 성장 가속화 등의 이점을 제공한다.[91] 양식 과정은 부화장, 육성장, 성장 양식장의 세 단계로 나뉜다.

  • 부화장: 새우를 번식시키고 유생 또는 후기유생을 생산하여 양식장에 판매한다. 대규모 양식장은 자체 부화장을 운영하며, 소규모 양식장에 유생이나 후기유생을 공급한다.[91] 동남아시아에는 가족 경영의 소규모 부화장이 많으며, 낮은 기술 수준과 작은 수조를 사용한다.[91] 질병에 취약하지만, 규모가 작아 빠르게 생산을 재개할 수 있다.[91] 녹조 부화장은 중간 규모로, 녹조를 첨가하여 유생에게 먹이를 공급한다.[91] 갤버스턴 부화장은 대규모 산업 부화장으로, 외부와 단절된 환경에서 정밀하게 새우를 사육한다.[91] 부화장에서는 조류, 알테미아 유생, 인공 먹이 등을 공급하며, 새우의 성장 단계에 따라 크릴 등의 동물성 단백질을 포함시키기도 한다.[91]

새우 부화장의 탱크

  • 육성장: 많은 양식장에서 후기유생을 3주 동안 아성체로 키우는 육성장을 운영한다.[98] 일반적인 유생 양식장에서는 입방미터 당 150~200마리의 새우를 고단백질 식단으로 사육하며, 출하 양식장으로 옮기기 전에 염도를 조절한다.[98] 유생 양육은 사료 효율, 크기 균일성, 기반시설 활용도, 수확량 증가 등에 기여하지만, 이동 중 일부 후기유생이 죽는 문제가 있다.[91]

  • 성장 양식장: 후기유생은 성장 양식장에서 3~6개월 동안 판매 가능한 크기로 성장한다.[100] 수확은 그물을 사용하거나 웅덩이의 물을 빼서 이루어진다.[100] 웅덩이 크기와 기술 수준은 다양하며, 전통적인 저밀도 방식, 반집약형 방식, 집약형 방식으로 나뉜다.[100][101]
  • 전통적인 저밀도 방식: 해안가, 특히 맹그로브 영역에 위치하며, 넓은 웅덩이에서 낮은 밀도로 새우를 양식한다.[100] 조수를 이용해 물을 교환하고, 새우는 자연 유기체를 먹고 자란다.[100] 생산 단가가 낮고 노동 집약적이지 않지만, 생산량은 헥타르 당 50~500kg으로 낮다.[100]
  • 반집약형 방식: 펌프를 사용하여 물갈이를 하고, 웅덩이를 만조 수위보다 높은 곳에 지을 수 있다.[100] 사육 밀도는 헥타르 당 10,000~30,000마리이며, 인공사료와 영양제를 공급한다.[100] 헥타르 당 500~5,000kg의 새우를 생산하며, 생산 단가는 생새우 1kg 당 2~6달러이다.[100]
  • 집약형 방식: 작은 웅덩이에서 고밀도로 새우를 양식하며, 집중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101] 산소 공급, 물갈이, 특별 배합 사료 공급 등이 이루어지며, 연간 헥타르 당 5,000~20,000kg, 초집약적인 경우 100,000kg까지 생산할 수 있다.[101] 생산 단가는 생새우 1kg 당 4~8달러이다.[101]


대부분의 농장은 한 해에 한두 번 생산하며, 열대 지방에서는 세 번도 가능하다.[97] 바다 새우 양식장은 염수 공급을 위해 해변이나 그 근처에 위치하며, 내륙 양식은 염수 공수와 토지 경쟁 문제를 야기한다.[97] 태국은 1999년에 내륙 새우 양식장을 금지했다.[97]

{{multiple image

| align = right

| direction = vertical

| width = 220

| image1 = Shrimp pond with aerator.jpg

| caption1 = 외륜 기포발생기가 있는 인도네시아의 새우 양식장. 웅덩이는 양식 준비 단계에 있다. 플랑크톤이 뿌려지고 성장하여 물을 초록색으로 만들며, 후기유생 상태의 새우는 이후에 투입된다.

| image2 = Paddlewheel aerator.jpg

| caption2 = 1마력의 외륜 기포발생기. 첨벙거리면서 증발이 더 잘 일어나 웅덩이의 염도를 높일 수 있다.

| image3 = Turbo aerator.jpg

| caption3 = 표면 아래 1미터까지 외륜이 돌아가는 2마력의 '강력 기포발생기'. 수심은 웅덩이의 침전물이 물에 도로 섞이는 것을 마긱 위해 1.5m 이상 되어야 한다.

}}

3. 3. 양식 유형

새우 양식이 야생 어획량을 넘어서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등장하면서, 과거의 자급 농업 방식은 더 생산적인 방식으로 빠르게 대체되었다. 산업적 양식은 처음에는 '조방형' 양식이라 불리는 전통 방식을 따랐는데, 낮은 밀도를 보완하기 위해 웅덩이 크기를 몇 헥타르에서 최대 100 헥타르까지 늘렸다. 어떤 지역에서는 넓은 맹그로브 숲이 제거되기도 했다. 이후 기술 발전으로 같은 면적에서 생산량을 늘리는 더 집약적인 양식이 가능해졌고, 더 많은 토지를 양식장으로 바꿀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새우에게 인공 사료를 먹이고 웅덩이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반집약적, 집약적 양식장이 등장했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양식장은 반집약적 형태이다.

1980년대 중반까지 대부분의 양식장은 현지에서 잡은 야생 후기유생을 사용했다. 후기유생 어획은 많은 나라에서 중요한 경제 부문이 되었다. 그러나 어장 고갈에 대응하고 유생을 꾸준히 공급하기 위해, 업계는 부화장에서 새우를 기르기 시작했다.

4. 양식종

섬네일


새우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양식되는 새우는 대부분 보리새우과에 속하며,[105] 그 안에서도 보리새우속에 속한다. 이들은 이윤을 남기기에 너무 작거나, 밀도가 높아지면 성장을 멈추거나, 질병에 취약하여 양식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시장을 장악한 두 종은 다음과 같다.

  •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는 서양권 국가들에서 주로 양식되는 종으로, 멕시코에서 페루에 이르는 태평양 해안에 서식하며 최대 23 센티미터까지 성장한다. 라틴아메리카에서 생산량의 95%를 차지하며, 기르기 쉽지만 타우라바이러스에 취약하다.
  • 블랙타이거 (''P. monodon'')는 인도양과 태평양의 일본에서 호주에 이르는 영역에 서식하며, 최대 36 센티미터까지 자랄 수 있는 가장 큰 양식 새우이다. 아시아에서 양식되며, 백점병에 취약하고 기르기 까다로워 2001년부터 흰다리새우로 조금씩 대체되고 있다.


오늘날 이 두 종의 새우가 전 세계 양식 새우 생산량의 80%를 차지한다.[107]

태국의 양식 관찰 탱크 안에 들어있는 보리새우


그 외 양식되는 종은 다음과 같다.

  • 서방청새우 (''P. stylirostris'')는 1980년대 후반 IHHN 바이러스로 거의 절멸하기 전까지 서반구에서 인기 있었으나, 일부 개체가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게 되면서 1997년부터 다시 양식되기 시작했다.
  • 대하 (''P. chinensis'')는 중국 해안과 한국 서해안에 서식하며 중국에서 양식된다. 최대 18 센치미터까지 자라며, 섭씨 16도까지의 찬물에서도 버틸 수 있지만, 1993년 질병으로 거의 절멸한 이후 중국 내에서만 주로 소비된다.
  • 보리새우 (''P. japonicus'')는 주로 일본대만에서 양식되지만, 호주에서도 양식된다. 일본에서 주로 소비되며, 살아있는 보리새우는 kg당 220달러에 이르기도 한다.
  • 인도흰새우(''P. indicus'')는 인도양 해안가에서 서식하며 인도, 이란, 중동, 아프리카 해안가에서 널리 번식한다.
  • 바나나새우 (''P. merguiensis'')는 오만에서 인도네시아와 호주에 이르는 인도양 해안에 서식하며, 높은 밀도에서도 성장할 수 있다.


젓새우나 중하속과 같은 다른 새우들도 양식될 수 있지만, 이들의 양식 생산량은 연간 25,000 톤에 불과하여 보리새우과에 비해 규모가 매우 작다.

5. 질병

이 세상에는 새우에게 치명적인 다양한 바이러스성 전염병이 존재한다.[108] 새우를 빽빽하게 사육하는 단일양식장의 경우 이러한 바이러스가 급격하게 퍼져나가 모든 새우를 죽일 수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대부분 물 자체를 벡터삼아 전파되기 때문에, 어떠한 바이러스라도 야생의 새우를 대량으로 죽일 수 있다.[21]

노랑머리병은 태국에서 '후아 릉'이라 불리며, 동남아시아에서 블랙타이거새우를 감염시킨다.[109] 1990년에 태국에서 최초로 보고되었다. 이 질병은 감염성이 높으며 2~4일 안에 대량 폐사를 초래할 수 있다. 감염된 새우는 먹이활동을 비정상적으로 활발히 하다 급격하게 줄어들며 두흉부가 노란 색을 띄고, 이후 빈사 상태의 새우들은 죽기 전에 수면 가까이에 모인다.[110]

조기치사증후군 (EMS) 은 장염비브리오균과 연관이 있으며 세계적으로 널리 양식되는 블랙타이거새우와 흰다리새우를 감염시킨다. 이 박테리아는 사람에 감염되어도 식중독으로 끝나지만, 양식업자의 경제 사정에는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 박테리아는 따듯하고 염분이 높은 대양의 해수에서 좀 더 잘 확산된다.[111]

백점병은 특정한 속에 속한 바이러스들에 의해 발병한다. 1993년에 일본의 젓새우 양식장에서 최초로 발병이 보고되었으며,[112] 아시아와, 이후 아메리카에 퍼져나갔다. 숙주가 다양하며 사망률이 높아, 하루 안에 모든 개체를 죽일 수도 있다. 증상은 갑각의 흰점과 붉은 간췌장 등이 있다. 감염된 새우는 죽기 전에 무기력해진다.[113]

타우라증후군은 1992년에 에콰도르의 타우라 강의 새우 양식장에서 최초로 보고되었다. 제일 일반적으로 양식되는 새우 중 하나인 흰다리새우를 감염시킨다. 질병은 주로 감염된 생물과 친어의 수출을 통해 급격하게 퍼진다. 원래 아메리카 대륙에서만 존재했지만 흰다리새우가 아시아로 수입되면서 아시아에도 퍼졌다. 근처의 양식장에 질병을 퍼뜨리는 경로로 새가 지목되었다.[114]

전염성피하및조혈기괴사증 (IHHN) 은 서방청새우에 대해 90%의 치사율로 대량 폐사를 초래할 수 있으며 흰다리새우에 심각한 기형을 초래한다. 태평양의 야생, 양식 새우에서 발병하지만, 아메리카 대륙의 대서양 해안의 야생 새우는 발병하지 않는다.[115]

또한 새우에게 치명적인 수많은 박테리아 질병이 있다. 제일 흔한 것은 비브리오속의 종들이 일으키는 비브리오증이다. 새우는 쇠약해지고 방향성을 잃으며, 갑각에 상처를 입을 수 있다. 사망률은 70%를 넘을 수 있다. 또다른 박테리아 질병은 간췌장괴사염 (NHP) 이 있다. 외골격의 연화와 악취 등의 증상이 있다. 이러한 박테리아 감염의 대부분은 사육 밀도가 지나치게 빽빽한 웅덩이, 고온, 수질 저하, 박테리아가 늘어나기 쉬운 요소와 같은 악조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항생제를 이용해 치료한다.[116] 수입국들은 다양한 항생제를 함유한 새우의 수입을 반복적으로 금지해왔다. 이러한 항생제 중 하나로는 1994년부터 유럽 연합이 금지한 클로람페니콜이 있지만, 여전히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117]

이러한 사망률이 높은 질병들은 수조가 감염되면 한 해 전체의 수입을 날려먹을 수 있는 양식업자들에게 굉장히 생생한 위협으로 다가온다. 대부분의 질병이 아직 효과적으로 다뤄지지 못하기 때문에, 업계의 노력은 질병의 발생을 조기에 진압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능동적인 수질 관리는 질병이 퍼지기 쉬운 상태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야생 유생을 사용하는 대신 고립된 환경에서 길러졌으며 질병을 옮기지 않는다는 것이 보장된 무특이병원체 친어가 점점 널리 사용되고 있다.[118] 질병이 양식장의 건강한 개체들에게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토양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웅덩이를 플라스틱으로 감싸고 웅덩이의 물갈이를 최소화하는 것과 같은 방식을 동원해, 반집약적인 양식장의 웅덩이의 환경을 좀 더 세세하게 통제하는 경향이 생겨났다.[119]

6. 경제

2005년 전 세계 양식 새우 생산량은 250만 톤으로, 전체 새우 생산량(양식 및 자연산 어획 포함)의 42%를 차지했다.[120] 주요 수입국은 미국(2003~2009년 연간 50~60만 톤),[121] 일본(연간 약 20만 톤),[122][123] 유럽 연합(2006년 약 50만 톤, 스페인, 프랑스 등)이다. EU는 곰새우와 북쪽분홍새우 등 도화새우속의 냉수성 새우도 2006년에 20만톤 가량 수입했다.

미국의 2003년 새우 1kg당 수입 가격은 8.80달러, 일본은 8.00달러였던 반면, EU는 평균 5.00달러로 낮았다. 이는 EU가 양식산 온수성 새우보다 작은 냉수성 새우를 더 많이 수입하고, 지중해 지역에서 무게가 더 나가지만 단가가 낮은 머리 달린 새우를 선호하기 때문이다.[124]

전 세계 양식 새우 생산량의 75%는 중국,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등 아시아 국가에서 생산된다.[125] 나머지 25%는 브라질, 에콰도르, 멕시코 등 서반구 국가에서 생산된다.[125] 수출은 태국이 시장의 30% 이상을 점유하며,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가 각각 10%를 차지하고, 베트남, 방글라데시, 에콰도르 등이 뒤따른다.[126] 태국은 생산량 대부분을 수출하지만, 중국은 대부분 자국에서 소비하며, 멕시코도 자국 시장이 크다.[127]

align="bottom"|주요 생산국별 양식 새우 생산량.[125]
지역국가연간 1,000 톤 단위 생산량 (반올림)
19858687888919909192939495969798992000010203040506070809
아시아중국4083153199186185220207'88'64788996130152192267337432468546640710725796
태국1012195090115161185223264259238225250274309279264330360401494523507539
베트남8131927283236373945554645525590150181232276327349377381411
인도네시아25294262828411612011710712112512797121138149160191239280340330408337
인도13141520283540476283707067837997103115113118131132998097
방글라데시1115151718192021282932424856585955565658636564678
필리핀29303544474847778691897741383941423737373941434851
미얀마00000000001222556719304949484846
사우디 아라비아0000<1<1<1<1<1<1<1<1122245991112151821
대만17458034221522161081113655799109108875
말레이시아<1<1112233467810101216272626313335355169
아메리카브라질<1<1<1<112222223471625406090766365657665
에콰도르30446974707610511383891061081331441205045637790118149150150179
멕시코<1<1<1<1345812131613172429334846466290112112130126
온두라스<11233346897109778111317182127262715
콜롬비아<1<1113679798577911121417181922201818
베네수엘라000<1<1<11112345569111214231821181610
이탤릭체 항목은 FAO 데이터베이스의 대략적인 추정치를 나타냅니다. 굵은 숫자는 몇몇 인지 가능한 질병 발생을 나타냅니다.



새우 생산량은 질병,[129] 수입 규제,[130] 무역 분쟁[132] 등으로 반복적인 영향을 받았다. 1990년대 후반, NGO와 소비국들의 비판,[137] 항생제 함유 새우 수입 금지,[132] 미국의 태국 새우 수입 금지(2004년),[132] 반덤핑 관세 부과(2002년) 등으로 경제적 환경이 변화했다.[133][134] 특히 1999년 에콰도르에서 발생한 백점병은 13만 명의 노동자를 실직시켰다.[135]

새우 양식은 고용 창출을 통해 지역 해안 인구의 빈곤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138] 새우 양식장의 노동 집약도는 의 3분의 1에서 3배에 달하며,[140][141] 보조 산업도 무시할 수 없다. 새우 양식장 노동자들은 다른 직종보다 1.5~3배 높은 소득을 얻을 수 있다.[143] 1994년 태국 농부들은 새우 양식으로 수입이 10배 증가했고,[145] 2003년 인도 안드라프라데시 주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146]

|thumb|위에서 아래로: ''Litopenaeus vannamei''의 갑각 조각; 크기가 66 (17 g)인 수확한 건강한 ''L. vannamei''; Taura 증후군 바이러스 (TSV)에 감염된 죽은 ''L. vannamei''. 건강한 새우의 색상은 플랑크톤의 색상, 연못 바닥의 토양 유형 및 사용된 추가 영양소에 따라 결정됩니다. 아래 새우의 흰색은 TSV 감염으로 인한 것입니다.]]

새우는 상업화를 위해 크기별로 등급이 매겨져 다양한 형태로 판매된다.

6. 1. 한국의 새우 수입

7. 환경 및 사회적 영향

wikitext

모든 종류의 새우 양식장은 위치에 관계없이 심각한 생태학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5] 조방 양식의 경우, 넓은 영역의 맹그로브숲이 파괴되어 생물 다양성이 감소한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전 세계 맹그로브 숲의 약 35%가 사라졌는데, 새우 양식은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65] 맹그로브 숲은 해안선을 안정시키고 침식을 방지하며, 다양한 어종의 산란장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맹그로브 숲 파괴는 심각한 환경 문제로 이어진다.[5] 많은 국가에서 맹그로브 숲을 보호하고 있지만, 방글라데시, 미얀마, 베트남과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전히 맹그로브 숲이 새우 양식장으로 전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67]

|thumb|두 개의 의사 컬러 이미지는 1987년에서 1999년 사이에 온두라스의 태평양 연안을 따라 자연 맹그로브 습지가 새우 양식장으로 광범위하게 전환된 것을 보여준다. 새우 양식장은 직사각형 줄로 나타난다. 이전 이미지(하단)에서 맹그로브 습지는 여러 강 하구에 걸쳐 뻗어 있으며, 하나의 새우 양식장이 왼쪽 상단 사분면에 이미 보인다. 1999년(상단 이미지)까지 이 지역의 많은 부분이 새우 양식장 블록으로 바뀌었다.]]

|thumb|right|수확 후 인도네시아의 양식장 새우 양식장 바닥에서 독성 슬러지가 흘러나온다. 여기에 묘사된 액체에는 토양에 포함된 황산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산화에 의해 생성된 황철석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연못 오염은 새우의 성장을 저해하고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플랑크톤의 성장이 급격히 감소한다.[62] 석회 처리는 맹그로브 토양과 같이 산성 황산염 토양의 연못에서 물의 산성화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63] [64]]]

집약적 양식은 맹그로브 숲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영양분이 풍부한 폐수를 자연환경으로 방출하여 생태적 균형을 교란시킨다.[4] 폐수에는 다량의 화학 비료, 살충제, 항생제가 포함되어 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항생제 내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68]

새우 양식장 웅덩이를 장기간 사용하면 바닥에 노폐물과 배설물이 축적되어 슬러지가 쌓인다.[70] 슬러지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 토양에 염분, 산성, 독성 화학 물질이 축적되어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황무지가 된다. 인도의 한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토지를 복구하는 데 약 30년이 걸린다.[5] 태국은 토양 염분화로 인해 1999년부터 내륙 새우 양식을 금지했다.[10]

새우 양식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새우 종과 질병을 확산시킬 수 있다.[71] 이에 따라 많은 단체에서 소비자에게 양식 새우 구매를 자제하도록 로비하고, 지속 가능한 양식 방법 개발을 지지하고 있다.[71] 세계 은행, 아시아 태평양 지역 수산 양식 센터 네트워크(NACA), WWF, FAO는 새우 양식 개선 관행을 연구하고 제안하기 위한 공동 프로그램을 설립했다.[72]

새우 양식 산업은 1999년부터 변화하고 있으며, 모범 관리 사례 채택, 교육 프로그램 도입, 맹그로브 보호법 제정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74][75][76] 현대 새우 양식장은 폐수 처리 시설을 갖추고, 저밀도 다종경작과 맹그로브 재조림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78]

바이오플락(Biofloc) 방식으로 오염물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양식장의 물을 갈아줄 필요가 없다. 하지만 미생물은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별도의 노하우가 필요한 방식이다. 국내에서는 서해수산연구소 소속 장인권 박사가 연구 중이다.[167][168]

새우 양식은 많은 경우 지역 해안 인구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1980년대와 1990년대의 호황기에는 많은 국가에서 이 산업이 규제되지 않아 산업의 매우 빠른 확장이 때때로 지역 주민에게 해로운 중대한 변화를 야기했다.[169] 갈등은 토지, 물과 같은 공유 자원에 대한 경쟁, 부의 재분배로 인한 변화라는 두 가지 근본적인 원인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방글라데시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 많은 갈등을 야기하는 중요한 문제는 토지 사용권이다. 새우 양식으로 새로운 산업이 해안 지역으로 확장되어 이전에 공공 자원을 독점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일부 지역에서 급속한 확장은 지역 어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연속적인 새우 양식장으로 인해 지역 해안 인구가 해안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문제는 공유 자원의 악화(예: 연못의 염도를 조절하기 위한 과도한 담수 사용으로 인해 지하수위가 낮아지고 염수 유입으로 담수 대수층이 염화되는 현상)를 야기하는 열악한 생태적 관행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169]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국가는 일반적으로 더 강력한 정부 규제를 도입하고 토지 구획 입법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멕시코와 같은 일부 후발 주자는 사전 예방적 법률을 통해 일부 문제를 피할 수 있었다.[170] 멕시코의 상황은 정부가 강력하게 규제하는 시장으로 인해 독특하다. 1990년대 초 자유화 이후에도 대부분의 새우 양식장은 여전히 현지인 또는 지역 협동조합(에히도/ejidoes)이 소유하고 통제하고 있다.[171]

부의 분배 변화로 인해 사회적 긴장이 발생했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은 혼합되어 있으며 문제는 새우 양식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부의 분배 변화는 지역 사회 내의 권력 구조 변화를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어떤 경우에는 일반 인구와 신용, 보조금, 허가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새우 양식업자가 될 가능성이 더 높고 더 많은 혜택을 받는 지역 엘리트 간의 격차가 커진다.[172] 반면에 방글라데시에서는 지역 엘리트가 주로 도시 엘리트가 통제하는 새우 양식에 반대했다.[173] 토지가 소수의 손에 집중되면 특히 토지 소유자가 비거주자인 경우 사회적, 경제적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172]

일반적으로, 새우 양식장은 제한된 원격 엘리트나 대규모 회사가 아닌 현지인이 소유할 경우 지역 사회에 가장 잘 수용되고, 가장 쉽게 도입되며, 가장 큰 이점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지 소유주는 환경을 유지하고 이웃과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데 직접적인 관심을 갖고 있으며, 대규모 토지 재산 형성을 방지하기 때문이다.[174] 새우 양식은 제대로 관리된다면 많은 지역의 지역 해안 인구의 빈곤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상당한 고용 기회를 제공한다.[51] 새우 양식장의 노동 집약도 추정치는 동일한 지역이 으로 사용되었을 때보다 약 1/3[53]에서 3배 더 많은[54]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에 따라 크게 다르고 조사된 양식장 유형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집약적인 새우 양식은 광범위한 농업보다 단위 면적당 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광범위한 새우 양식장은 훨씬 더 넓은 토지 면적을 차지하며, 종종 농업 토지 이용이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55] 사료 생산 또는 저장, 취급 및 무역 회사와 같은 지원 산업도 비록 모두 새우 양식 전용은 아니더라도 무시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새우 양식장 노동자는 다른 고용보다 더 나은 임금을 받을 수 있다. 한 연구의 전 세계 추정치는 새우 양식장 노동자가 다른 직업보다 1.5~3배 더 많이 벌 수 있다는 것이다.[56] 인도의 한 연구에서는 약 1.6의 임금 인상률을 보였으며,[54] 멕시코의 한 보고서에 따르면 1996년 새우 양식장에서 가장 낮은 급여를 받는 직업은 해당 국가의 평균 근로자 임금의 1.22배를 받았다.[57]

NGO들은 대부분의 이윤이 현지 인구가 아닌 대규모 재벌 기업으로 흘러 들어간다고 자주 비판해 왔다. 이것이 대부분의 새우 양식장이 대기업 소유인 에콰도르와 같은 특정 지역에서는 사실일 수 있지만,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태국에서는 대부분의 양식장이 소규모 지역 기업가 소유이지만, 사료 생산자부터 식품 가공업체 및 무역 회사에 이르기까지 새우 양식과 관련된 산업을 수직적으로 통합하는 추세가 있다. 1994년의 한 연구에 따르면 태국의 한 농부는 쌀 재배에서 새우 양식으로 전환하여 소득을 10배 증가시킬 수 있었다고 한다.[58] 2003년 인도의 한 연구에서는 안드라 프라데시 주의 동고다바리 지역의 새우 양식에 대한 비슷한 수치를 제시했다.[59]

현지 인구가 새우 양식으로부터 혜택을 받는지 여부는 충분히 훈련된 사람의 가용성에 달려 있다.[60] 광범위한 양식장은 수확 기간 동안 주로 계절적 일자리를 제공하는 경향이 있으며, 많은 훈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에콰도르에서는 이러한 많은 직책이 이주 노동자에 의해 채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61] 더 집약적인 양식장은 더 정교한 직업에 연중 노동력이 필요하다.

7. 1. 환경적 영향

모든 종류의 새우 양식장은 위치에 관계없이 심각한 생태학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5] 조방 양식의 경우, 넓은 영역의 맹그로브숲이 파괴되어 생물 다양성이 감소한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전 세계 맹그로브 숲의 약 35%가 사라졌는데, 새우 양식은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65] 맹그로브 숲은 해안선을 안정시키고 침식을 방지하며, 다양한 어종의 산란장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맹그로브 숲 파괴는 심각한 환경 문제로 이어진다.[5] 많은 국가에서 맹그로브 숲을 보호하고 있지만,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전히 맹그로브 숲이 새우 양식장으로 전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67]

|thumb|두 개의 의사 컬러 이미지는 1987년에서 1999년 사이에 온두라스의 태평양 연안을 따라 자연 맹그로브 습지가 새우 양식장으로 광범위하게 전환된 것을 보여준다. 새우 양식장은 직사각형 줄로 나타난다. 이전 이미지(하단)에서 맹그로브 습지는 여러 강 하구에 걸쳐 뻗어 있으며, 하나의 새우 양식장이 왼쪽 상단 사분면에 이미 보인다. 1999년(상단 이미지)까지 이 지역의 많은 부분이 새우 양식장 블록으로 바뀌었다.]]

|thumb|right|수확 후 인도네시아의 양식장 새우 양식장 바닥에서 독성 슬러지가 흘러나온다. 여기에 묘사된 액체에는 토양에 포함된 황산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산화에 의해 생성된 황철석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연못 오염은 새우의 성장을 저해하고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플랑크톤의 성장이 급격히 감소한다.[62] 석회 처리는 맹그로브 토양과 같이 산성 황산염 토양의 연못에서 물의 산성화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63] [64]]]

집약적 양식은 맹그로브 숲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영양분이 풍부한 폐수를 자연환경으로 방출하여 생태적 균형을 교란시킨다.[4] 폐수에는 다량의 화학 비료, 살충제, 항생제가 포함되어 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항생제 내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68]

새우 양식장 웅덩이를 장기간 사용하면 바닥에 노폐물과 배설물이 축적되어 슬러지가 쌓인다.[70] 슬러지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 토양에 염분, 산성, 독성 화학 물질이 축적되어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황무지가 된다. 인도의 한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토지를 복구하는 데 약 30년이 걸린다.[5] 태국은 토양 염분화로 인해 1999년부터 내륙 새우 양식을 금지했다.[10]

새우 양식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새우 종과 질병을 확산시킬 수 있다.[71] 이에 따라 많은 단체에서 소비자에게 양식 새우 구매를 자제하도록 로비하고, 지속 가능한 양식 방법 개발을 지지하고 있다.[71] 세계 은행, 아시아 태평양 지역 수산 양식 센터 네트워크(NACA), WWF, FAO는 새우 양식 개선 관행을 연구하고 제안하기 위한 공동 프로그램을 설립했다.[72]

새우 양식 산업은 1999년부터 변화하고 있으며, 모범 관리 사례 채택, 교육 프로그램 도입, 맹그로브 보호법 제정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74][75][76] 현대 새우 양식장은 폐수 처리 시설을 갖추고, 저밀도 다종경작과 맹그로브 재조림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78]

바이오플락(Biofloc) 방식으로 오염물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양식장의 물을 갈아줄 필요가 없다. 하지만 미생물은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별도의 노하우가 필요한 방식이다. 국내에서는 서해수산연구소 소속 장인권 박사가 연구 중이다.[167][168]

7. 2. 사회적 영향

새우 양식은 많은 경우 지역 해안 인구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1980년대와 1990년대의 호황기에는 많은 국가에서 이 산업이 규제되지 않아 산업의 매우 빠른 확장이 때때로 지역 주민에게 해로운 중대한 변화를 야기했다.[169] 갈등은 토지, 물과 같은 공유 자원에 대한 경쟁, 부의 재분배로 인한 변화라는 두 가지 근본적인 원인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방글라데시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 많은 갈등을 야기하는 중요한 문제는 토지 사용권이다. 새우 양식으로 새로운 산업이 해안 지역으로 확장되어 이전에 공공 자원을 독점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일부 지역에서 급속한 확장은 지역 어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연속적인 새우 양식장으로 인해 지역 해안 인구가 해안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문제는 공유 자원의 악화(예: 연못의 염도를 조절하기 위한 과도한 담수 사용으로 인해 지하수위가 낮아지고 염수 유입으로 담수 대수층이 염화되는 현상)를 야기하는 열악한 생태적 관행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169]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국가는 일반적으로 더 강력한 정부 규제를 도입하고 토지 구획 입법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멕시코와 같은 일부 후발 주자는 사전 예방적 법률을 통해 일부 문제를 피할 수 있었다.[170] 멕시코의 상황은 정부가 강력하게 규제하는 시장으로 인해 독특하다. 1990년대 초 자유화 이후에도 대부분의 새우 양식장은 여전히 현지인 또는 지역 협동조합(에히도/ejidoes)이 소유하고 통제하고 있다.[171]

부의 분배 변화로 인해 사회적 긴장이 발생했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은 혼합되어 있으며 문제는 새우 양식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부의 분배 변화는 지역 사회 내의 권력 구조 변화를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어떤 경우에는 일반 인구와 신용, 보조금, 허가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새우 양식업자가 될 가능성이 더 높고 더 많은 혜택을 받는 지역 엘리트 간의 격차가 커진다.[172] 반면에 방글라데시에서는 지역 엘리트가 주로 도시 엘리트가 통제하는 새우 양식에 반대했다.[173] 토지가 소수의 손에 집중되면 특히 토지 소유자가 비거주자인 경우 사회적, 경제적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172]

일반적으로, 새우 양식장은 제한된 원격 엘리트나 대규모 회사가 아닌 현지인이 소유할 경우 지역 사회에 가장 잘 수용되고, 가장 쉽게 도입되며, 가장 큰 이점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지 소유주는 환경을 유지하고 이웃과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데 직접적인 관심을 갖고 있으며, 대규모 토지 재산 형성을 방지하기 때문이다.[174] 새우 양식은 제대로 관리된다면 많은 지역의 지역 해안 인구의 빈곤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상당한 고용 기회를 제공한다.[51] 새우 양식장의 노동 집약도 추정치는 동일한 지역이 으로 사용되었을 때보다 약 1/3[53]에서 3배 더 많은[54]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에 따라 크게 다르고 조사된 양식장 유형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집약적인 새우 양식은 광범위한 농업보다 단위 면적당 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광범위한 새우 양식장은 훨씬 더 넓은 토지 면적을 차지하며, 종종 농업 토지 이용이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55] 사료 생산 또는 저장, 취급 및 무역 회사와 같은 지원 산업도 비록 모두 새우 양식 전용은 아니더라도 무시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새우 양식장 노동자는 다른 고용보다 더 나은 임금을 받을 수 있다. 한 연구의 전 세계 추정치는 새우 양식장 노동자가 다른 직업보다 1.5~3배 더 많이 벌 수 있다는 것이다.[56] 인도의 한 연구에서는 약 1.6의 임금 인상률을 보였으며,[54] 멕시코의 한 보고서에 따르면 1996년 새우 양식장에서 가장 낮은 급여를 받는 직업은 해당 국가의 평균 근로자 임금의 1.22배를 받았다.[57]

NGO들은 대부분의 이윤이 현지 인구가 아닌 대규모 재벌 기업으로 흘러 들어간다고 자주 비판해 왔다. 이것이 대부분의 새우 양식장이 대기업 소유인 에콰도르와 같은 특정 지역에서는 사실일 수 있지만,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태국에서는 대부분의 양식장이 소규모 지역 기업가 소유이지만, 사료 생산자부터 식품 가공업체 및 무역 회사에 이르기까지 새우 양식과 관련된 산업을 수직적으로 통합하는 추세가 있다. 1994년의 한 연구에 따르면 태국의 한 농부는 쌀 재배에서 새우 양식으로 전환하여 소득을 10배 증가시킬 수 있었다고 한다.[58] 2003년 인도의 한 연구에서는 안드라 프라데시 주의 동고다바리 지역의 새우 양식에 대한 비슷한 수치를 제시했다.[59]

현지 인구가 새우 양식으로부터 혜택을 받는지 여부는 충분히 훈련된 사람의 가용성에 달려 있다.[60] 광범위한 양식장은 수확 기간 동안 주로 계절적 일자리를 제공하는 경향이 있으며, 많은 훈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에콰도르에서는 이러한 많은 직책이 이주 노동자에 의해 채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61] 더 집약적인 양식장은 더 정교한 직업에 연중 노동력이 필요하다.

8. 지속 가능한 양식

새우 양식이 사회적인 구조를 어지럽혀왔지만, 상업적인 산업과 영세 양식업자가 다 같이 잘 되는 길이 있다.[86] 예를 들어 닫힌 계에서 새우를 양식하는 방식은 미국에서 널리 전파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에도 도입되고 있다.[86] 이러한 체계는 실내에 적당한 크기의 수조를 배치해 효율적으로 물을 순환시킨다.[86] 여과섭식동물을 투입하기도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버려질 수중의 영양소를 먹어서 처리한다.[86] 이러한 방식은 대규모의 고밀도 양식보다 환경적으로 더욱 안전하다.[86] 아쉽게도 이러한 방식은 자본집약적이며 작은 규모의, 영세한 양식업자가 사용하기 힘들다.[86] 하지만 이는 태국의 좀 더 거대한 새우 산업의 훌륭한 대체 방식이 될 수 있다.[86]

또 다른 대체 방식은 전통 방식으로 돌아가 새우를 지나치게 빽빽하게 기르지 않고 해로운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86] 전통 방식은 공동체를 먹여살리는 소규모의 양식업자나 독립적인 먹을거리를 만들어내는 데 이상적인 선택지일 수 있다.[86]

8. 1. 문제점 인식

새우 양식이 사회 구조를 붕괴시키기도 했지만, 상업 산업과 개별 양식업자 모두 성공할 수 있는 길이 있다. 예를 들어, 폐쇄형 새우 양식 시스템이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로 확산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적당한 크기의 실내 수조에서 진행되며 물을 효율적으로 순환시킨다. 경우에 따라 여과섭식동물인 조개류나 다른 물고기를 시스템에 도입하여 물 속의 영양분을 섭취하게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배출될 영양분이다. 이 옵션은 대규모 집약적 양식 방식보다 환경적으로 안전하다.[86]

불행히도 이 시스템은 자본 집약적이어서 소규모 독립 새우 양식업자가 도입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이는 태국의 대형 새우 산업에 훌륭한 대안이 될 것이다.[86]

또 다른 대안은 과도한 밀식과 유해 화학 물질 사용 없이 전통적인 새우 양식 방식을 따르는 것이다. 이는 자급자족을 위한 소규모 새우 양식업자와 독립적인 식량원을 창출하는 데 이상적인 옵션이 될 것이다.[86]

8. 2. 개선 노력

새우 양식이 사회적인 구조를 어지럽혀왔지만, 상업적인 산업과 영세 양식업자가 다 같이 잘 되는 길이 있다.[86] 예를 들어 닫힌 계에서 새우를 양식하는 방식은 미국에서 널리 전파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에도 도입되고 있다.[86] 이러한 체계는 실내에 적당한 크기의 수조를 배치해 효율적으로 물을 순환시킨다.[86] 여과섭식동물을 투입하기도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버려질 수중의 영양소를 먹어서 처리한다.[86] 이러한 방식은 대규모의 고밀도 양식보다 환경적으로 더욱 안전하다.[86] 아쉽게도 이러한 방식은 자본집약적이며 작은 규모의, 영세한 양식업자가 사용하기 힘들다.[86] 하지만 이는 태국의 좀 더 거대한 새우 산업의 훌륭한 대체 방식이 될 수 있다.[86]

또 다른 대체 방식은 전통 방식으로 돌아가 새우를 지나치게 빽빽하게 기르지 않고 해로운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86] 전통 방식은 공동체를 먹여살리는 소규모의 양식업자나 독립적인 먹을거리를 만들어내는 데 이상적인 선택지일 수 있다.[86]

8. 3. 한국의 노력

새우 양식은 사회 구조를 붕괴시키기도 했지만, 상업 산업과 개별 양식업자 모두 성공할 수 있는 길이 있다.[86] 폐쇄형 새우 양식 시스템은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로 확산되고 있는데, 적당한 크기의 실내 수조에서 물을 효율적으로 순환시킨다.[86] 경우에 따라 조개류나 다른 물고기와 같은 여과섭식동물을 시스템에 도입하여 물 속의 영양분을 섭취하게 한다.[86] 이 방식은 대규모 집약적 양식 방식보다 환경적으로 안전하지만, 자본 집약적이어서 소규모 독립 새우 양식업자가 도입하기는 어렵다.[86] 하지만 이는 태국의 대형 새우 산업에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86] 과도한 밀식과 유해 화학 물질 사용 없이 전통적인 새우 양식 방식을 따르는 것은 자급자족을 위한 소규모 새우 양식업자와 독립적인 식량원을 창출하는 데 이상적인 옵션이 될 것이다.[86]

9. 참고 문서

참조

[1] 문서 Rönnbäck (2001)
[2] 문서 Lewis et al. (2003)
[3] 웹사이트 The Secrets of the Gei Wai https://web.archive.[...] WWF Hong Kong 2015-10-02
[4] 웹사이트 About Shrimp Farming http://www.shrimpnew[...] 2004-08
[5] 문서 ISAN (2000)
[6] 문서 Hossain & Lin (2001)
[7] 문서 McClennan (2004)
[8] 웹사이트 Brazil's Shrimp Farming History https://web.archive.[...] 2003-02-10
[9] 문서 IAA (2001), chapter 2
[10] 웹사이트 Bio-physical,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salt-affected soils http://www.fao.org/a[...] FAO Land and Water Development Division 2005-08-23
[11] 서적 Principles of Recirculating System Design http://www.hboi.edu/[...] 2016-12-24
[12] 서적 Receiving and Acclimation of Postlarvae http://www.hboi.edu/[...] 2016-12-24
[13] 문서 Tacon (2002)
[14] 문서 Tacon (2002)
[15] 간행물 Insights into Eyestalk Ablation Mechanism to Induce Ovarian Maturation in the Black Tiger Shrimp
[16] 문서 Avalle et al. (2003)
[17] 문서 FishStat database http://faostat.fao.o[...]
[18] 뉴스 Species of Farm-Raised Shrimp ShrimpNews 2004-08
[19] 문서 Pérez Farfante & Kensley (1997)
[20] 문서 Josueit (2004)
[21] 서적 Crustacean diseases http://library.enaca[...] 2016-12-24
[22] 문서 Non-Native Species Summaries: Yellowhead Virus (YHV) http://nis.gsmfc.org[...] Gulf States Marine Fisheries Commission
[23] 서적 Yellowhead disease http://www.oie.int/f[...]
[24] 웹사이트 Thailand's shrimp export set to decline by half http://investvine.co[...] 2013-07-16
[25] 서적 White spot disease https://web.archive.[...] 2012-01-13
[26] 문서 Non-Native Species Summaries: White Spot Syndrome Baculovirus Complex (WSBV) http://nis.gsmfc.org[...] Gulf States Marine Fisheries Commission
[27] 서적 Taura syndrome http://www.oie.int/f[...]
[28] 서적 Infectious hypodermal and haematopoietic necrosis https://web.archive.[...] 2012-01-13
[29] 서적 Shrimp health management http://www.hboi.edu/[...]
[30] 뉴스 The Rise and Fall of Chloramphenicol ShrimpNews 2005-05
[31] 웹사이트 The Rationale to use SPF broodstock https://web.archive.[...] Ceatech USA, Inc. 2005-08-23
[32] 문서 McClennan (2004)
[33] 문서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FAO
[34] 문서 U.S. Shrimp Imports by Volume http://www.ers.usd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0-02
[35] 문서 Market information: shrimps and crabs http://www.pic.or.jp[...] PIC
[36] 웹사이트 Japanese Shrimp Imports http://swr.nmfs.noaa[...] NOAA,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Southwest Regional Office 2010-02-23
[37] 문서 Josueit (2004)
[38] 데이터베이스 FAO databases FIGIS 2012-01-13
[39] 웹사이트 Shrimp Production http://www.foodmarke[...] FoodMarket 2005-06-23
[40] 문서 McClennan (2004)
[41] 웹사이트 Annual Reports on World Shrimp Farming http://www.shrimpnew[...] B. Rosenberry 2005-08-18
[42] 문서 Josueit (2004)
[43] 문서 Briggs et al. (2003)
[44] 문서 Lewis et al. (2003)
[45] 웹사이트 U.S. Bans Shrimp: Thailand Must Adjust http://www.krc.co.th[...] Thai Farmers Research Center 2005-08-19
[46] 뉴스 USA Shrimp Fishermen Dump Their Case on the World's Shrimp Farmers https://web.archive.[...] ShrimpNews 2007-02-15
[47] 웹사이트 Amended Final Determinations and Issuance of Antidumping Duty Orders http://www.trade.gov[...] U.S. Department of Commerce 2010-02-23
[48] 문서 McClennan (2004)
[49] 웹사이트 Annual Reports on World Shrimp Farming http://www.shrimpnew[...] B. Rosenberry 2005-08-18
[50] 문서 McClennan (2004)
[51] 문서 Lewis et al. (2003)
[52] 문서 World Bank et al. (2002)
[53] 문서 Barraclough & Finger-Stich (1996)
[54] 문서 IAA (2001) chapter 6
[55] 문서 Hempel et al. (2002)
[56] 문서 World Bank et al. (2002)
[57] 문서 Lewis et al. (2003)
[58] 문서 Barraclough & Finger-Stich (1996)
[59] 문서 Kumaran et al. (2003)
[60] 문서 Barraclough & Finger-Stich (1996)
[61] 문서 McClennan (2004)
[62] 문서 Tanavud et al. (2001)
[63] 문서 Wilkinson (2002)
[64] 문서 Fitzpatrick et al. (2006)
[65] 문서 Valiela et al. (2001)
[66] 문서 Lewis et al. (2003)
[67] 문서 Lewis et al. (2003)
[68] 뉴스 Shrimp's success hurts Asian environment, group say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04-06-21
[69] 웹사이트 Antibiotic Use in Aquaculture: Center for Disease Control Rebuttal http://www.nationala[...] National Aquaculture Association (NAA) 1999-12-20
[70] 문서 NACA/MPEDA (2003)
[71] 웹사이트 Unsustainable versus sustainable shrimp production http://www.wrm.org.u[...] World Rainforest Movement 2007-08-20
[72] 문서 World Bank et al. (2002)
[73] 문서 Rönnbäck (2003)
[74] 웹사이트 Codes and Certification https://web.archive.[...] Network of Aquaculture Centres in Asia-Pacific 2005-08-19
[75] 문서 Boyd et al. (2002)
[76] 웹사이트 Responsible Aquaculture Program http://www.gaallianc[...] 2005-08-19
[77] 문서 McClennan (2004)
[78] 문서 Lewis et al. (2003)
[79] 웹사이트 Your Shrimp Cocktail Is Ruining the Planet - Global - The Atlantic Wire http://www.theatlant[...]
[80] 문서 Barraclough & Finger-Stich (1996)
[81] 문서 McClennan (2004)
[82] 문서 DeWalt (2000)
[83] 문서 Hempel et al. (2002)
[84] 문서 Barraclough & Finger-Stich (1996)
[85] 문서 World Bank et al. (2002)
[86] 웹사이트 Sustainable Alternatives of Shrimp Aquaculture http://mangroveactio[...] 2019-12-23
[87] 문서 New (2002)
[88] 문서 Rönnbäck (2001)
[89] 문서 Lewis et al. (2003)
[90] 웹인용 The Secrets of the Gei Wai http://www.wwf.org.h[...] WWF Hong Kong 2015-10-02
[91] 웹인용 About Shrimp Farming http://www.shrimpnew[...] 2004-08
[92] 문서 ISAN (2000)
[93] 문서 Hossain & Lin (2001)
[94] 문서 McClennan (2004)
[95] 웹인용 Brazil's Shrimp Farming History http://lists.iatp.or[...] 2003-02-10
[96] 문서 IAA (2001)
[97] 웹인용 Bio-physical,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salt-affected soils http://www.fao.org/a[...] FAO Land and Water Development Division 2005-08-23
[98] 서적 Principles of Recirculating System Design http://www.hboi.edu/[...] 2016-12-24
[99] 서적 Receiving and Acclimation of Postlarvae http://www.hboi.edu/[...] 2016-12-24
[100] 문서 Tacon (2002)
[101] 문서 Tacon (2002)
[102] 웹사이트 http://www.plosone.o[...]
[103] 문서 Avalle et al. (2003)
[104] 웹사이트 FishStat database http://faostat.fao.o[...]
[105] 웹사이트 Species of Farm-Raised Shrimp https://web.archive.[...] ShrimpNews 2007-02-15
[106] 문서 Pérez Farfante & Kensley (1997)
[107] 문서 Josueit (2004)
[108] 서적 Crustacean diseases http://library.enaca[...] 2016-12-24
[109] 간행물 Non-Native Species Summaries: Yellowhead Virus (YHV) http://nis.gsmfc.org[...] Gulf States Marine Fisheries Commission 2003
[110] 서적 Yellowhead disease http://www.oie.int/f[...]
[111] 웹인용 Thailand’s shrimp export set to decline by half http://investvine.co[...] 2013-07-16
[112] 서적 White spot disease http://www.oie.int/f[...] 2012-01-13
[113] 간행물 "Non-Native Species Summaries: ''White Spot Syndrome Baculovirus Complex'' (WSBV)" http://nis.gsmfc.org[...] Gulf States Marine Fisheries Commission 2003
[114] 서적 Taura syndrome http://www.oie.int/f[...]
[115] 서적 Infectious hypodermal and haematopoietic necrosis http://www.oie.int/f[...] 2012-01-13
[116] 서적 Shrimp health management http://www.hboi.edu/[...]
[117] 뉴스 The Rise and Fall of Chloramphenicol https://web.archive.[...] ShrimpNews 2005-05
[118] 웹사이트 The Rationale to use SPF broodstock https://web.archive.[...] Ceatech USA, Inc. 2005-08-23
[119] 문서 McClennan (2004)
[120] 문서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FAO
[121] 웹사이트 U.S. Shrimp Imports by Volume http://www.ers.usd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0-02
[122] 웹사이트 Market information: shrimps and crabs http://www.pic.or.jp[...] PIC 2010-02-23
[123] 웹사이트 Japanese Shrimp Imports http://swr.nmfs.noaa[...] NOAA,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Southwest Regional Office 2010-02-23
[124] 문서 Josueit (2004)
[125] 데이터베이스 FAO databases FIGIS 2012-01-13
[126] 웹사이트 Shrimp Production http://www.foodmarke[...] FoodMarket 2001
[127] 문서 McClennan (2004)
[128] 뉴스 Annual Reports on World Shrimp Farming http://www.shrimpnew[...] B. Rosenberry 2005-08-18
[129] 문서 Josueit (2004)
[130] 문서 Briggs et al. (2003)
[131] 문서 Lewis et al. (2003)
[132] 웹인용 U.S. Bans Shrimp: Thailand Must Adjust http://www.krc.co.th[...] Thai Farmers Research Center 2005-08-19
[133] 웹사이트 Amended Final Determinations and Issuance of Antidumping Duty Orders http://www.trade.gov[...] U.S. Department of Commerce 2005-01-26
[134] 뉴스 USA Shrimp Fishermen Dump Their Case on the World's Shrimp Farmers https://web.archive.[...] ShrimpNews 2005-01
[135] 문서 McClennan (2004)
[136] 뉴스 Annual Reports on World Shrimp Farming http://www.shrimpnew[...] B. Rosenberry 2005-08-18
[137] 문서 McClennan (2004)
[138] 문서 Lewis et al. (2003)
[139] 문서 World Bank et al. (2002)
[140] 문서 Barraclough & Finger-Stich (1996)
[141] 간행물 chapter 6
[142] 간행물 Hempel et al. (2002)
[143] 간행물 World Bank et al. (2002)
[144] 간행물 Lewis et al. (2003)
[145] 간행물 Barraclough & Finger-Stich (1996)
[146] 간행물 Kumaran et al. (2003)
[147] 간행물 Barraclough & Finger-Stich (1996)
[148] 간행물 McClennan (2004)
[149] 간행물 Tanavud et al. (2001)
[150] 간행물 Fitzpatrick et al. (2006)
[151] 간행물 Wilkinson (2002)
[152] 간행물 Valiela et al. (2001)
[153] 간행물 Lewis et al. (2003)
[154] 간행물 Lewis et al. (2003)
[155] 뉴스 Shrimp's success hurts Asian environment, group say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04-06-21
[156] 웹인용 Antibiotic Use in Aquaculture: Center for Disease Control Rebuttal http://www.nationala[...] National Aquaculture Association (NAA) 1999-12-20
[157] 간행물 NACA/MPEDA (2003)
[158] 웹사이트 Unsustainable versus sustainable shrimp production http://www.wrm.org.u[...] World Rainforest Movement 2001-10
[159] 간행물 World Bank et al. (2002)
[160] 간행물 Rönnbäck (2003)
[161] 웹사이트 Codes and Certification https://web.archive.[...] Network of Aquaculture Centres in Asia-Pacific (NACA)
[162] 간행물 Boyd et al. (2002)
[163] 웹인용 Responsible Aquaculture Program http://www.gaallianc[...] Global Aquaculture Alliance
[164] 간행물 McClennan (2004)
[165] 간행물 Lewis et al. (2003)
[16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theatlant[...] 2018-07-28
[167] 웹인용 더농부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2019-08-10
[168] 웹인용 더농부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2019-08-10
[169] 간행물 Barraclough & Finger-Stich (1996)
[170] 간행물 McClennan (2004)
[171] 간행물 DeWalt (2000)
[172] 간행물 Hempel et al. (2002)
[173] 간행물 Barraclough & Finger-Stich (1996)
[174] 간행물 World Bank et al. (2002)
[175] 간행물 New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