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나흐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나흐족은 체첸인과 잉구시인을 포괄하는 민족 명칭으로, 러시아의 민족학자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우리 민족"을 의미하는 "바이나흐"와 "민족"을 의미하는 "나흐"에서 유래되었으며, 1928년에 두 민족을 통합하는 용어로 처음 사용되었다. 바이나흐족은 전통적으로 씨족 중심의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탑 건축, 독특한 양탄자 직조, 그리고 독자적인 신화와 종교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수니파 이슬람교를 주로 믿으며, 나흐 신화는 프하르마트 전설과 케제노야엠 호수 전설 등 다양한 이야기를 포함한다. 유전학적으로는 J2a4b* 하플로그룹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바이나흐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북동 코카서스어족과의 관련성, 고대 가르가레아인과의 연관성 등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첸인 - 람잔 카디로프
람잔 카디로프는 러시아 체첸 공화국의 수장으로, 체첸 전쟁 참여 및 아버지의 보좌관 활동을 거쳐 2007년부터 권위주의 통치, 인권 문제, 언론 탄압 등의 비판 속에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지하며 러시아군을 지원하고 있다. - 체첸인 - 무라드 마르고슈빌리
- 러시아의 민족 - 이누이트
이누이트는 북극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을 통해 생활하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지닌 민족으로, 현대 사회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 러시아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바이나흐족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민족 명칭 | 바이나흐족 |
주요 거주 지역 | 러시아 북캅카스 체첸 공화국 인구시 공화국 다게스탄 공화국 조지아 북동부 튀르키예 |
인구 | 약 180만 ~ 200만 명 |
언어 | 체첸어 인구시어 |
종교 | 이슬람교 수니파 |
하위 집단 | 체첸인 인구시인 바츠비인 |
역사 | |
기원 | 캅카스 토착민 |
문화적 특징 | 고유의 언어와 전통문화 보유 |
주요 사건 | 캅카스 전쟁 체첸 전쟁 |
현대 | 러시아 연방 내 자치 공화국에 거주 정치적, 문화적 정체성 유지 노력 |
문화 | |
언어 | 바이나흐어파에 속하는 체첸어와 인구시어 사용 |
종교 | 대부분 이슬람교 수니파 신앙 |
전통 사회 | 씨족 기반 사회 구조 장로들의 영향력 강함 엄격한 가부장적 사회 |
전통 문화 | 독특한 음악과 춤 전통 공예 발달 구전 설화 전통 |
사회 | |
사회 구조 | 씨족 및 친족 관계 중심 |
경제 활동 | 전통적 농업 및 목축업 현대 사회 진출 |
교육 | 러시아어 교육 모국어 교육 병행 노력 |
정치 | |
정치적 상황 | 러시아 연방 내 자치 공화국에 거주 |
자치 정부 | 체첸 공화국과 인구시 공화국 |
정치적 이슈 | 독립 운동 과거 자치권 확대 요구 |
인구 통계 | |
인구 분포 | 러시아 북캅카스 지역에 집중 거주 |
인구 증가율 | 상대적으로 높은 출산율 유지 |
도시화 | 도시 지역으로 이주 증가 |
인구 변동 | 전쟁과 이주로 인한 변동 경험 |
기타 | |
관련 민족 | 압하스인 아바르인 다게스탄인 |
외부 링크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바이나흐족 |
2. 명칭
체첸인들은 스스로를 '녹치'(Nokhchiy, Нохчий|녹치ce)라고 부르며, 인구시인들은 스스로를 '갈가이'(Ghalghai, ГIалгIай|갈가이inh)라고 부른다.[79] 오르스토이는 체첸인과 인구시인 사이의 역사적인 민족 영토적 사회(하위 집단)이다. 키스트인은 조지아에 거주하는 체첸 하위 민족이며, 바츠인은 조지아에 있는 소규모의 낙흐어파 사용 공동체이다.
2. 1. 바이나흐와 나흐
"바이나흐"와 "나흐"는 체첸과 잉구시 민족을 통합하는 용어로, 20세기 초 러시아 민족학자 니콜라이 야코블레프(Николай Феофанович Яковлев)와 인구시 민족학자 자우르벡 말사고프(Заурбек Куразович Мальсагов)에 의해 만들어졌다.[1] "바이나흐"(우리 민족)와 "나흐"(민족)라는 용어는 1928년에 처음 사용되었으며,[1] 196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2]1770년대 요한 안톤 굴덴슈테트는 나흐족을 총칭하는 최초의 기록된 집합적 용어인 "키스트인"을 소개했다.[3] 율리우스 폰 클라프로트는 키스트라는 용어가 잉구셰티야의 키스틴 사회에만 적용된다고 보았고, 대신 타타르어 용어 "Mizdschegi"를 사용했다.[3]
2. 2. 나흐치
'나흐치'라는 용어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걸쳐 나타났는데, 이는 인구시인들이 체첸인들을 지칭하는 타칭(exonym)이었다.[4] 19세기 후반부터 일부 러시아 장교, 역사가, 언어학자들은 체첸인과 인구시인 모두를 지칭하는 데 이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4] 오늘날에는 체첸인과 판키시 키스트인들만이 '녹치(Nokhchi)'라는 형태로 사용한다.[4]1859년 아돌프 베르게는 체첸인과 인구시인 모두를 지칭하는 데 이 용어를 사용한 두 번째 인물이었다.[4] 북카프카스어를 연구한 저명한 러시아 언어학자 페터 폰 우슬라르도 1888년에 두 민족을 "낙추이(Nakhchuy)"/"낙치(Nakhchiy)"라고 언급했다.[5] 이러한 분류는 포토,[6] Вейденбаум, Евгений Густавович|Veidenbaum|Evgeny Veidenbaumru,[7] Ган, Карл Фёдорович|Gan|Karl Ganru,[8] Дубровин, Николай Фёдорович|Dubrovin|Nikolay Dubrovinru[9] 등 19세기 많은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우말라트 라우다예프에 따르면, 인구시의 한 하위 집단인 나즈라니 사람들이 이 민족명을 가끔 사용했다.[10]
'나흐치'의 어원은 '사람들'을 뜻하는 '나흐(Nakh)'에 접미사 '-치(-chi)' 또는 영토를 의미하는 '-추오(Chuo)'가 결합된 것으로 추정된다.[14] 체첸 연구자 아흐마드 술레이마노프는 "낙"과 "낙치"는 동일하지 않으며, 서로 다른 기반과 기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14]
2. 3. 갈가이
갈갈가이(ГIалгIай|ˈʁəlʁɑjinh)는 잉구시인들의 자칭 민족명이다.[30] 이는 대부분 "탑" 또는 "요새"를 의미하는 "ghāla"(''гIала'')와 사람의 복수형 접미사 "gha"(''гIа'')와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탑의 사람들/주민들"로 번역되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이 민족명이 더욱 오래된 기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일부 학자들은 이를 고대의 가르가레아인과 1세기 고대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인 스트라보의 저서에 언급된 겔라이와 관련짓는다. 조지아 자료에서는 글리글비 형태로, 현대 연구자들은 1세기 미리안 1세의 군대가 다리알 협곡을 통과할 당시 다리알 협곡에 거주했던 것으로 언급한다. 또한 18세기판 ''조지아 연대기''에서 크비리케 3세 통치 시대에 언급된다. 러시아 자료에서는 16세기 후반 "Kolkans"/"Kalkans", "Kolki"/"Kalki", "Kalkan people" 형태로 처음 알려진다.[31] 저명한 조지아 역사가이자 언어학자인 이바네 자바키시빌리는 잉구시어, 체첸어, 바츠어에 대한 일반적인 명칭 또는 분류로 갈갈가이(Ghilghuri 또는 Ghlighvika)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3. 역사
9세기에서 10세기에 걸쳐, 페르시아 역사가 이븐 알파키흐와 알발라주리는 '두르주크'라 불리는 씨족 연합체를 언급하며, "코스로에스 아누시르바놈(6세)이 두르주키아에 12개의 문과 돌로 만든 요새를 건설했다"고 기록했다.[32]
1239년, 바투 칸의 침략으로 알라니아의 수도 마가스와 북캅카스 고지대의 알란 연합체가 파괴되었다. 마가스는 현재 인구시의 새 수도가 위치한 곳과 거의 같은 장소에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33]
13세기에서 14세기에는 타타르-몽골 군대와 티무르 군대에 맞서 독립 전쟁을 벌였다.
14세기에서 16세기에는 바이나흐 테이프들의 연합체인 심시르 국가가 존재했으며, 몽골 침략 이후 이슬람교가 이 지역에 확산되기 시작했다.[35] 이슬람의 확산은 아랍어와 아랍 문자의 유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36]
17세기부터 현재까지 체첸은 독립을 위한 투쟁을 계속하고 있다. 인구시는 오세티야인과의 갈등을 겪고 있으며, 바츠비와 키스트는 조지아에 동화되었다.
1829년에서 1859년 사이에는 카프카스 이마마트가, 1917년에서 1922년 사이에는 북캅카스 산악 공화국이, 1919년에서 1920년 사이에는 북캅카스 에미르국이, 1921년에서 1924년 사이에는 산악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존재했다.
4. 사회 구조
나흐족은 전통적으로 씨족 중심의 평등 사회였다. 개인들은 가옥을 의미하는 "차(Tsa)"라는 가족 집단으로 통합되었다. 여러 차(Tsa)는 "가르(Gar)"(가지) 또는 "네흐(Nekh)"(길)의 일부를 이루며, 가르(Gar) 집단은 다시 테입(teip)이라고 불리는 바이나흐족의 부족 조직 단위를 이룬다. 테이프는 자체 장로회의를 가지고 있으며,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측면에서 사람들을 통합한다.[37]
일부에서는 대부분의 테입이 샤하르(shahars) 및 투크훔(tukkhum)이라고 불리는 연합을 형성했다고 보았으나, 달갓(Dalgat)을 포함한 여러 역사가와 민족학자들은 이에 대해 강하게 이의를 제기하며, 대부분의 체첸인들은 투크훔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37]
국가적 규모의 문제는 메흐-켈리(Mehk-Khel), 즉 인민 평의회를 통해 해결되었다. 평의회 대표는 각 테입 평의회에서 선출되었으며, 국민의 운명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메흐-켈리는 서로 다른 시기에 서로 다른 장소에서 모일 수 있었으며, 테를로이-모흐크(Terloy-Mokhk)와 아크히-모흐크(Akkhi-Mokhk)의 갈라인-초즈(Galain-Chozh) 지역에서 모이곤 했다.[46]
체첸-인구시 사회는 항상 평등주의적이고, 계층이 없으며, 계급이 없는 사회였다. 전통적으로 공식적인 정치 조직이나 정치적·경제적 계급이 존재하지 않았다.[38] 레프 톨스토이와 같은 많은 관찰자들은 러시아 정복 이전의 토착 체첸 정부의 민주적인 성격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바이나흐 사람들, 특히 체첸인들은 민주주의와 매우 유사한 토착 시스템을 가진 세계에서 몇 안 되는 민족 중 하나로 묘사될 수 있다.[39]
체첸과 인구시 시스템은 전형적인 서구 민주 공화국과 유사하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 시스템에는 입법 기관(메흐-켈(Mehk-Khel)), 행정부와 유사한 기관(메흐-케타쇼(Mehk-Khetasho)), 그리고 사법부를 갖춘 중앙 정부가 있었다. 아닷(adat) 및 기타 기관은 헌법 역할을 했다. 세 가지 주요 국가 의회의 구성원들은 모두 선출되었다.[40]
소련 시대와 람잔 카디로프 정권 시대에는 테이프-의회 시스템이 강력하게 비판을 받았는데, 이들은 이 시스템을 불안정 요소이자 질서 유지를 방해하는 요소로 간주했다.[41]
체첸 사회의 민주적이고 평등주의적인 성격, 자유와 평등의 가치는 러시아 지배에 대한 저항에 기여한 요인으로 언급되어 왔다.[42][43][44][45]
5. 정치 구조
체첸-인구시 사회는 전통적으로 계급이 없는 평등주의 사회였으며, 이는 그들의 정치 구조에도 반영되었다.[38] 개인들은 "차(Tsa)"라고 불리는 가족 집단으로 통합되었고, 여러 차(Tsa)는 "가르(Gar)" 또는 "네흐(Nekh)"를 이루었다. 가르(Gar) 집단은 다시 테입(teip)이라고 불리는 부족 조직 단위를 형성했다. 테입(teip)은 자체 장로회의를 통해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으로 사람들을 통합했다.[46]
국가적 규모의 문제는 인민 평의회인 메흐-켈리(Mehk-Khel)를 통해 해결되었다. 각 테입(teip) 평의회에서 선출된 대표들은 국민의 운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쟁을 시작하거나 막을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 메흐-켈리(Mehk-Kheli)는 서로 다른 시기에 서로 다른 장소에서 모였으며, 그중 하나는 테를로이-모흐크(Terloy-Mokhk)와 아크히-모흐크(Akkhi-Mokhk)의 갈라인-초즈(Galain-Chozh) 지역이었다.[46]
레프 톨스토이와 같은 많은 관찰자들은 러시아 정복 이전 체첸 정부의 민주적인 성격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토니 우드에 따르면, 특히 체첸인들은 민주주의와 매우 유사한 토착 시스템을 가진 세계에서 몇 안 되는 민족 중 하나로 묘사될 수 있다.[39]
체첸과 인구시 시스템은 전형적인 서구 민주 공화국과 유사하게 입법 기관(메흐-켈(Mehk-Khel)), 행정부와 유사한 기관(메흐-케타쇼(Mehk-Khetasho)), 그리고 사법부를 갖추고 있었다. 헌법 역할은 아닷(adat) 및 기타 기관이 했다. 세 가지 주요 국가 의회의 구성원들은 모두 선출되었다.[40]
소련 시대와 람잔 카디로프 정권 시대에는 테이프-의회 시스템이 체첸과 인구시에 설치된 연방 및 지방 행정부로부터 강력한 비판을 받았다.[41]
6. 탑 건축
바이나흐 탑은 중세 나흐족 건축의 특징적인 요소로, 체첸과 잉구셰티야를 제외하고는 거의 볼 수 없다. 바이나흐 탑은 주거, 방어, 또는 복합적인 용도로 사용된 여러 층으로 된 구조물이다. 나흐 탑 건축과 건축 기술은 15~17세기에 정점에 달했다.[46]
주거용 탑은 돌 블록의 중앙 기둥으로 지탱되는 2층 또는 3층 구조였으며, 평평한 셰일 지붕으로 덮여 있었다. 이러한 탑들은 기원전 8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선사 시대 산악 정착지와 비슷한 특징을 가진다고 비교되어 왔다.
군사용("전투용") 탑은 높이가 25미터 이상[46] 이었으며, 4층 또는 5층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밑면은 대략 6m 너비의 정사각형이었다. 2층으로의 접근은 사다리를 통해 이루어졌다. 방어자들은 총안을 통해 적에게 사격했다. 탑의 꼭대기에는 바닥이 없는 작은 돌출 발코니인 ''마시쿨(mashikul)''이 있었다. 이러한 탑들은 일반적으로 계단식으로 지어진 피라미드 모양의 지붕으로 덮여 있었고, 뾰족한 정상석으로 마무리되었다.
주거용 및 군사용 탑의 기능을 결합한 건물은 두 유형의 중간 크기였으며, 총안과 ''마시쿨(mashikuls)''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 나흐 탑은 태양 기호나 건축가의 손, 동물 등의 종교적 또는 상징적인 암각화로 드물게 장식되었다. 군사용 탑에는 종종 골고다 십자가가 새겨져 있었다.
7. 전통 경제
바이나흐족은 전통적으로 농업, 운송 수단 제작, 양탄자 직조 등의 경제 활동을 영위해 왔다.
카프카스 산맥의 산악 지형은 경작 가능한 토지가 부족했기 때문에, 바이나흐족은 가파른 경사면에 계단식 논밭을 조성하여 농업에 활용했다. 저지대의 검은 토양을 운반하고, 관개 시설을 구축하여 농업 생산성을 높였다.[47]
바이나흐 장인들이 만든 마차는 카프카스 지역뿐만 아니라 러시아 제국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1722년 러시아 군대는 바이나흐족의 마차 616대를 1308RUB에 구입했는데, 이는 당시 세 마을 총독 연봉을 합친 것보다 많은 금액이었다.[50][51]
바이나흐족은 "이스팅"(인구시어) 또는 "이스탕"(체첸어)이라고 불리는 얇은 펠트 카펫을 생산했다.[52][53][54] 이들은 독특한 무늬와 높은 품질로 유명했으며, 18세기에는 체첸과 인구시 여성들이 양탄자와 술 제작에 능숙하다는 기록이 있다.[55]
바이나흐 양탄자는 무늬에 따라 코르자 이스탕(Khorza istang|코르자 이스탕ce, Khoza isting|코자 이스팅inh), 킨자 욜루 이스탕(Khinja yolu istang|킨자 욜루 이스탕ce, Chachakh isting|차차크 이스팅inh), 무지 양탄자, 쿠즈(Kuuz|쿠즈ce, Kuvz|쿠브즈inh), 팔스(Pals|팔스ce) 등으로 나뉜다.
7. 1. 농업 구조

카프카스 산맥의 산악 지역은 경작 가능한 토지가 부족하여 바이나흐족은 거주 지역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했다. 그들은 가파른 경사면을 평평하게 만들고 계단식 논밭을 조성하여 농업에 적합하게 만들었다. 농업에 부적합한 불모의 바위산 경사면에는 계단식 논밭의 기초를 다듬었다. 당나귀와 소가 끄는 수레에 저지대(lowland)의 검은 토양을 싣고 와서 인공적으로 만든 계단식 논밭에 채웠다.[47] 최대 수확을 위해 산간 계류와 연결된 작은 인공 수로로 구성된 관개 시스템 전체가 조직적으로 운영되었다. 이러한 수로는 타아톨(Taatol)이라고 불렸으며, 에팔라(Epala)라고 불리는 작은 돌 수로와 아파리(Aparri)라고 불리는 매우 작은 나무 수로도 건설했다. 이고르 디아코노프(Igor Diakonov)와 세르게이 스타로스틴(Sergei Starostin) 등 일부 학자들은 에팔라와 아파리는 우라르투의 관개 수로 이름인 "필리(pili)"와 후리의 "필리/아(pilli/a)"에 해당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48]
저지대에도 일부 관개 시설이 건설되었지만, 그 구조는 덜 복잡했다.
7. 2. 운송 수단
바이나흐 장인들이 만든 마차는 이 지역과 그 너머에서 높이 평가되었다. 바이나흐 장인들의 제품은 카프카스 지역 주민들에게 힘을 가져다주었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의 기존 산업에도 영향을 미쳤다. 러시아는 비경쟁적인 국내 생산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바이나흐 제조업체에 높은 세금을 부과했다. 이에 대해 테렉 코사크들이 러시아 정부에 보낸 편지에서 불만을 제기했다.[49] 1722년 러시아 군대는 세 마을의 총독 연봉이 겨우 50RUB이었던 시기에 1308RUB에 616대의 차량을 구입했다.[50][51]7. 3. 양탄자 직조
고대부터 인구시와 체첸인들은 "이스팅"(인구시어) 또는 "이스탕"(체첸어)이라고 불리는 얇은 펠트 카펫을 생산해왔다.[52][53][54] 인구시와 체첸 양탄자는 독특한 무늬와 높은 품질로 구별된다. 18세기에 이 지역을 방문한 야곱 라인에그는 체첸과 인구시 여성들이 숙련되게 양탄자와 술을 제작하는 것을 알아챘다.[55]
바이나흐 양탄자는 무늬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여러 종류로 나뉜다.
- 다채로운 장식이 있는 양탄자 (Khorza istang|코르자 이스탕ce), (Khoza isting|코자 이스팅inh)
- 술이 있는 양탄자 (Khinja yolu istang|킨자 욜루 이스탕ce), (Chachakh isting|차차크 이스팅inh)
- 장식이 없는 무지 양탄자
- 두꺼운 바닥 양탄자 (Kuuz|쿠즈ce), (Kuvz|쿠브즈inh)
- 고가의 벽걸이 양탄자 (Pals|팔스ce)
8. 종교
중세 시대에 바이나흐 사회는 비잔티움의 영향으로 동방 정교회가 전파되었으나, 티무르의 침략 이후 토착 신앙으로 복귀했다.[56] 16~17세기부터 이슬람교(수니파 샤피이파)가 확산되었다.[56]
체첸인은 카디리파 수피즘을 따르는 경우가 많고, 인구시인은 낙쉬반디파 수피즘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57] 바츠인은 정교회 기독교인이다.[56]
9. 신화
현대까지 바이나흐 신화는 단편적으로만 전해진다. 이러한 단편들은 애니미즘, 나르트 서사시, 우주 기원, 농경 관련 신앙 등을 포함한다.[58]
나흐 신화의 주요 예시는 프하르마트 전설, 갈란초즈 호수, 프카갈베리(토끼 기수) 난쟁이족과 나르트족의 전쟁, 케제노야엠 호수, 태양, 달, 별의 기원 신화 등이다.[59]
프로메테우스와 유사한 프하르마트는 신 셀라에 의해 카즈벡 산 정상에 묶이는 벌을 받았다. 난쟁이족과 나르트족의 전쟁은 그리스 신화의 "두루미와 피그미의 전쟁"과 비교된다.[60] 황금 양털 신화는 나흐의 11년 주기력 전통과 관련이 있는데, 숫양 가죽을 참나무 틀 "자르"에 11년간 놓아 "다쇼 에르탈"이라는 황금 양털을 만들었다.[61]
케제노야엠 호수 전설은 성경의 소돔과 고모라, 그리스 신화의 바우키스와 필레몬, 이슬람의 롯과 유사하다. 부유한 도시 사람들이 탐욕에 빠지자 최고신 델라(Dela)는 거지를 보내 시험했다. 가난한 가정만이 거지를 대접했고, 거지는 현관에 물웅덩이가 생기면 떠나라고 조언했다. 가난한 가족은 따랐지만, 부자들은 탐욕 때문에 보물을 버리지 못하고 물에 잠겼다. 호수는 '슬픔과 잔혹함의 호수'라는 뜻의 쿠잔암(Kouzan-am)/케제노야엠(Kezenoyam)이라 불리게 되었다.
쿠잔암 근처에서는 기원전 4만 년 전 인류 거주 흔적이 발견되었고,[62] 동굴 벽화, 유물 등으로 약 8,000년간 지속적인 거주가 증명되었다.[62]
갈라인암 호수 전설에 따르면, 두 여성이 빨래를 하려던 신성한 물은 바이나흐 최고신 데라(Dela)의 딸 투쇼리(Tusholi)의 것이었다. 투쇼리는 두 여성을 돌로 만들었지만, 더러워진 물에서 살 수 없어 황소로 변신해 마을들을 파괴했다. 갈라인차즈(Galain-Chazh)에서 황소가 길들여졌고, 밭을 갈았지만 폭우로 밭이 덮여 새로운 호수가 생겼고, 투쇼리는 그곳으로 사라졌다.
고대 나흐족의 우주론에서 최고신 델라(Dela)는 3년에 걸쳐 지구를 창조했다. 지구는 하늘보다 세 배 컸으며 황소 뿔 위에 있었다. 바이나흐 신들의 영역은 구름 위에 있었고, 이슈타르-델라(Ishtar-Deela)는 7년 동안 창조된 지하 세계 델리-말키(Deeli-Malkhi)의 지배자였다. 나흐족은 해가 서쪽으로 져서 저승으로 가 동쪽에서 떠오른다고 믿었다. 델리-말키는 악한 자들의 영역이 아니었으며, 심판도 없었다.
델라-말크(Dela-Malkh)는 태양신으로, 12월 25일 태양 축제가 열렸다.[62]
별과 별자리 이름도 신화와 관련이 있다.
- 은하수는 흩어진 짚의 길 (Ča Taqina Tača|italic=yesce)
- 큰곰자리는 일곱 형제의 일곱 별 (Vorx Vešin Vorx Seda|italic=yesce)
- 쌍둥이자리 (Kovreģina Seda|italic=yesce)
- 시리우스, 베텔게우스, 프로키온은 삼각별 (Qokogseda|italic=yesce)
- 오리온자리는 저녁별 (Märkaj Seda|italic=yesce)
- 염소자리는 지붕탑 (Neģara Bjovnaš|italic=yesce)
- 금성은 딜바트(Dilbat)로, 낮 시간에 따라 저녁별 (Sadov Seda|italic=yesce)과 새벽별 (Saxül Seda|italic=yesce)로 불린다.
10. 유전학
올레그 발라놉스키(Oleg Balanovsky)를 비롯한 여러 유전학자들이 2011년에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주로 중동, 캅카스, 지중해 지역에 분포하는 Y-DNA 하플로그룹 '''J2a4b*'''(J2의 하위 분류)가 나흐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63] J2a4b*는 인구시의 남성 Y 염색체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인구시의 비율은 87.4%로 체첸(51~58%, 지역에 따라 다름. 가장 낮은 비율은 말고베크, 가장 높은 비율은 다게스탄과 아흐호이-마르타놉스키 구)보다 훨씬 높았다. 발라놉스키 등은 논문에서 형제와 같은 캅카스 인구 집단 간의 차이는 유전적 부동(genetic drift)에 기인할 수 있으며, 인구 규모가 더 작은 인구시에서 체첸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추측했다.[63] 체첸과 인구시는 현재까지 보고된 J2a4b*의 빈도가 가장 높다(다른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는 지중해와 조지아에서 10~20% 사이로 나타난다).
11. 기원 가설
요하나 니콜스를 비롯한 역사 언어학자들은 나흐어족과 그들의 먼 친척을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온 신석기 시대 이주와 연결시켰다.[64][65]
이고르 디아코노프와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나흐어가 후로-우라르투어와 먼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는데, 이들은 이를 북동 코카서스 어족의 가지(알라로디아어족)로 포함시켰다.[66][67][68] 여러 연구들은 그 연결이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69][70]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그 어족들이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심하거나,[71][72] 연결이 가능하지만 증거가 결정적이지는 않다고 생각한다.[73][74] 나흐-우라르투어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데, 카시안(2011)은 우라르투어와 나흐어의 공통 어휘가 우라르투어에서 나흐어로의 집중적인 차용의 역사를 반영한다고 제시했다.[75]
암자드 자이무카에 따르면, 그리스 작가 스트라보가 언급한 소아시아 동부에서 북 코카서스로 이주한 집단인 신화 속의 가르가레아인[76]은 원시 나흐어에서 "친족"을 의미하는 나흐어 어근 "gergara"와 관련이 있다.[77] 그러나 스트라보와 다른 고대 그리스 작가들이 가르가레아인을 그리스인으로 간주했기 때문에 자이무카의 이론은 가능성이 적다.[78]
나흐어족 언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역사적 또는 선사 시대 민족들은 다음과 같다.
- 소페네: 그루지아 학자 I. A. 자바슈빌리와 기오르기 멜리키슈빌리에 따르면, 우라르투의 수파니 지역은 고대 나흐족인 초브(Tzov)가 점령했으며, 그들의 국가는 고대 그루지아 역사에서 초베나(Tsobena)로 불린다.[80][81][82] 소페네는 기원전 8세기부터 7세기까지 우라르투 왕국의 일부였다. 기원전 8세기 초에 이 지역을 자신의 왕국에 합병한 아르기슈티 1세 왕은 많은 주민들을 새로 건설한 에레부니 도시로 이주시켰다. 그러나 자바슈빌리와 멜리키슈빌리의 이론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 가르가레인족: 자이무카는 바이나흐족이 가르가레이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 가르가레이는 스트라보(기원전 1세기)의 지리학[83]과 플리니우스(기원후 1세기)의 자연사[84]에 언급된 신화 속의 부족이다. 스트라보는 "... 아마존족이 가르가레이 근처, 카프카스 산맥 북쪽 기슭에 산다"라고 썼다.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 또한 가르가레이가 카프카스 북쪽에 살았다고 언급하지만, 그들을 게가르(Gegar)라고 부른다.[85] 일부 학자들(P. K. 우슬라르, K. 밀러, N. F. 야코블레프, E. I. 크룹노프, L. A. 엘니키이, I. M. 디아코노프, V. N. 감레켈리)은 가르가레이가 바이나흐족의 초기 형태라고 제안했다. 자이무카는 "가르가레인"이 많은 나흐어 어근 중 하나이며, 원시 나흐어에서 "친족"을 의미하는 gergara와 같다고 지적한다.[86]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가르가레이는 그루지아어 용어 ''Dzurdzuk''(스트라보가 언급했듯이 남카프카스의 두르두카 호수에서 이주해온 것으로 여겨지는, 현대 체첸과 인구시에 정착하기 위해 산을 넘어 북쪽으로 이주한 나흐족에게 적용된 용어)과 사실상 동일해진다. 자이무카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스트라보는 가르가레인들이 아이올리아 그리스인이었고, 그들의 고향 가르가라를 현대 터키 서쪽 끝의 트로이아에 위치시켰다.[87]
- 차나르족과 차나리아: 차나르족은 현대 헤비 주변 지역에 살았던 조지아 북부 동중앙의 민족이었다. 차나리아는 그들의 국가였으며, 조지아에 대한 아랍 침략을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들의 언어는 지명, 지리적 위치 및 기타 증거를 바탕으로 블라디미르 미노르스키와 암자드 자이무카를 포함한 많은 역사가들이 나흐어라고 생각한다.[88] 그러나 그들의 언어가 나흐어였다는 이론에 반대하는 의견도 있다. 다른 학자들은 그들이 오세티아어와 같은 사르마티아어를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차나르족 또한 결국 조지아에 동화되었다.
- 드발족과 드발레티: 드발족은 현대 남오세티아와 인근 지역, 그리고 북오세티아 남부(글리그비의 남서쪽, 말크의 남동쪽)에 살았던 역사적 민족이었다. 그들은 조지아 왕국에 통합되어 많은 훌륭한 조지아 서예가와 역사가들을 배출했다. 또한 드발레티의 성 니콜라스와 같은 정교회 성인도 배출했다. 드발족의 언어는 많은 역사가들이 나흐어라고 생각하지만,[88][90][91][92][93][94] 오세티아어와 가까운 친척 관계라는 주장도 있다.[94] 또 다른 이론은 드발족이 카르벨리아(조지아) 출신이라고 주장한다.[95] 나흐어 이론을 뒷받침하는 다양한 증거(다양한 학자들이 다른 주장을 사용합니다)에는 이전 드발족 영토에 존재하는 나크어 지명,[94] 나크-스반 접촉의 증거로 간주되는 것,[88] 그리고 체첸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외래 기원의 드발족 씨족 등이 포함된다. 드발족은 조지아인과 오세티아인에게 동화되었으며, 드발어는 18세기까지 완전히 멸종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며, 드발족은 가장 최근에 사라진 것으로 알려진 나흐족이다.
- 두르즈크족과 두르즈케티: 두르즈크는 9세기에서 18세기까지 주로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랍 자료에서 사용된 중세 민족 명칭으로,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두르즈크족을 현대 체첸인과 인구시인의 조상으로 파악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두르즈크족을 산악 인구시에 위치시키고 인구시인과 동일시하며,[96][97][98][99] 다른 연구자들은 중세 시대에 체첸의 인구가 남카프카스 사람들에게 "두르즈크"(또는 "주르즈크")라는 이름으로 알려졌고,[100] 인구시의 인구는 "글리그비"[101][102][103]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고 믿는다. 그루지아 역사가 V. N. 감레켈리는 "두르즈크"가 동쪽의 디도에트-다게스탄과 서쪽의 테렉 강 협곡 사이에 확실하고 모든 참고 자료를 통해 일관되게 위치한다고 주장한다.[104] 두르즈크족은 특히 두르즈케티와 같은 수많은 왕국을 건설했으며, 아랍인부터 스키타이인, 튀르크계 민족, 몽골 침략자에 이르기까지 침략자들에게 저항하는 능력과 자유에 대한 엄청난 열정으로 유명했다. 또한 다양한 당사자들의 용병으로 고용된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조지아 문자를 사용하는 문자 언어를 가지고 있었지만(하지만 그들이 그 언어를 사용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이러한 글의 대부분은 소실되었고, 몇몇 조각만 남아 있다. 14세기 두르즈케티에 대한 두 번째 몽골 침략과 두 차례의 침략으로 인한 파괴(암자드 자이무카가 언급했듯이 그들의 과거에 대한 기억의 파괴 포함[88]) 이후, 그들은 자신의 문화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참조
[1]
서적
КУЛЬТУРНАЯ РАБОТА В ЧЕЧНЕ И ИНГУШИИ В СВЯЗИ С УНИФИКАЦИЕЙ АЛФАВИТОВ
Serdalo
[2]
서적
Be Alans. Intellectuals and Politics in the North Caucasus in the 20th Century. -M.: New literary review.
[3]
서적
Reise in den Kaukasus und nach Georgien unter nommen in den Jahren 1807 and 1808
https://archive.org/[...]
In den Buchhandlungen des Hallischen Waisenhauses
[4]
서적
Чечня и Чеченцы
[5]
서적
Этнография Кавказа. Языкознание. Ч. II. Чеченский язык
[6]
서적
Кавказская война в отдельных очерках, эпизодах, легендах и биографиях
[7]
서적
Путеводитель по Кавказу
[8]
서적
Путешествие в страну пшавов, хевсур, кистин и ингушей.
Кавказский вестник, № 6.
[9]
서적
История войны и владычества русских на Кавказе. Том I, Книга 1
[10]
서적
Сборник сведений о кавказских горцах Вып. VI
[11]
서적
Родовой быт и обычное право чеченцев и ингушей / Подготовка издания и предисловие
Институт мировой литературы имени А. М. Горького.
[12]
웹사이트
"Вайнахи и аланы" Руслан Арсанукаев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названий и самоназваний Чеченцев и Ингушей
https://ignorik.ru/d[...]
[13]
웹사이트
Предание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чеченцев
https://chechenlaw.r[...]
[14]
서적
Топонимия Чечено-Ингушетии.
[15]
서적
Этимолог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чеченского языка
[16]
서적
Язык, история и культура вайнахов
[17]
서적
Из истории развития шерстяного промысла чеченцев в XIX – начале XX в
[18]
서적
Чечня и Чеченцы
[19]
서적
Известия груз. летописей и историков о Сев. Кавказе и России
[20]
서적
Этническая история Терско-Сулакского междуречья (на примере семьи Башир-шейха Аксайского)
[21]
서적
Travels through the southern provinces of the Russian Empire, in the years 1793 and 1794
[22]
서적
Travels in the Caucasus and Georgia, performed in the years 1807 and 1808, by command of the Russian government.
[23]
서적
News in the Caucasus
[24]
학술지
Chronicle of the exodus of Chechens from Nakhchuvan (translation and commentary)
2019
[25]
서적
Chechnya and Chechens
[26]
서적
Nakhchoyn Juz
[27]
서적
История войны и владычества русских на Кавказе. Том I, Книга 1
СПб
[28]
서적
Чеченское племя
Сборник сведений о кавказских горцах
[29]
서적
Armenian geography of the 7th century AD
[30]
서적
[31]
서적
Славян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XVII век
https://books.google[...]
ОЛМА Медиа Групп
[32]
서적
[33]
웹사이트
Maghas – 'The Sun City' – New Capital of Ingushetia
http://geo.1septembe[...]
[34]
서적
Чечня и Ингушетия в XVIII – начале XIX века
"Джангар", АПП
[35]
서적
Чечено-Ингушетия в период феодальной раздроб-ленности (ХШ-XV вв.). История Чечено-Ингушетии, 7 8 кл., Грозный, 1991
[36]
서적
Эпиграфические памятники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XVTII-XIX вв.), part. 2
М
[37]
서적
Ancestral life and common law of the Chechens and Ingush / Preparation of the publication and foreword by U. B. Dalgat
nstitute of World Literature named after A. M. Gorky.
[38]
웹사이트
The Ingush (with notes on the Chechen): Background information
http://linguistics.b[...]
2022-03-19
[39]
서적
Chechnya: The Case for Independence
[40]
웹사이트
The Chechen Nation: A Portrait of Ethnical Features
http://www.shamsali.[...]
2018-04-09
[41]
웹사이트
The Chechen Nation: A Portrait of Ethnical Features
http://www.shamsali.[...]
2018-04-09
[42]
서적
Chechnya: From Past to Future
[43]
서적
Chechnya: The Case for Independence
[44]
서적
An Encyclopedia by Brockgaus and Efron
[45]
서적
Caucasian Wars
[46]
서적
The Diversity of the Chechen Culture: From Historical Roots to the Present.
[47]
서적
История народов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ен до конца XVIII
М
[48]
서적
Hurro-Urartian and East Caucasian Languages
Ancient Orient. Ethnocultural Relations. Moscow
[49]
서적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законов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c 1649 г.
[50]
서적
Истоки дружбы
Грозный
[51]
서적
Русскодагестанские отношения (XVII – первая четверть XVIII в.), Документы и материалы
Махачкала
[52]
웹사이트
Искусство ингушей в памятниках материальной культуры
https://dzurdzuki.co[...]
ИНГИК
[53]
웹사이트
Топографическое, статистическое, этнографическое и военное описание Кавказа
https://www.vostlit.[...]
Эль-Фа
[54]
서적
Iz istorii razvitii︠a︡ shersti︠a︡nogo promysla chechent︠s︡ev v XIX--nachale XXv. : istoriko-ėtnograficheskoe issledovanie
https://www.worldcat[...]
Respublikanskiĭ poligrafkombinat im. Revoli︠u︡t︠s︡ii 1905 g
2009
[55]
서적
Чечено-Ингушетия накануне первой русской буржуазно-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революции
Грозный
[56]
웹사이트
Who are the Chechens?
http://socrates.berk[...]
[57]
웹사이트
Shattering the Al Qaeda-Chechen Myth: Part 1
http://www.jamestown[...]
2003-10-02
[58]
간행물
Вайнахская мифология
[59]
서적
Героический эпос чеченцев и ингушей
М.
[60]
서적
Мифы о «заячьих всадниках»
[61]
서적
О традиционном отсчете времени у чеченцев
[62]
서적
The Chechens: a hand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08-14
[63]
논문
Parallel Evolution of Genes and Languages in the Caucasus Region
[64]
웹사이트
The Ingush (with notes on the Chechen): Background information
http://ingush.berkel[...]
2007-02-10
[65]
논문
Peering Into the Past, With Words
2000-05-19
[66]
서적
The Pre-History of the Armenian People
Delmar
[67]
서적
Hurro-Urartian as an Eastern Caucasian Language
R. Kitzinger
[68]
논문
Long-Range Linguistic Relations: Cultural Transmission or Consanguinity?
https://archive.org/[...]
[69]
논문
Comparative Notes on Hurro-Urartian, Northern Caucasian and Indo-European
http://www.pies.ucla[...]
[70]
논문
The Urartian substratum in Armenian
http://science.org.g[...]
[71]
논문
On Hurro-Urartian as an Eastern Caucasian language
https://glottolog.or[...]
[72]
논문
About the vocalic system of Armenian words of substratic origins
https://www.academia[...]
[7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ncient Anatolia
https://www.academia[...]
[74]
백과사전
https://www.britanni[...]
[75]
웹사이트
Some considerations on Hurrian-North Caucasian lexical matches
https://cyberleninka[...]
[76]
서적
Geography
[77]
서적
Chechens
[78]
서적
Delphi Complete Works of Strabo - Geography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16-02-13
[79]
서적
Chechen-English and English-Chechen Dictionary
Taylor&Francis
2003
[80]
서적
Введение в историю грузинского народа. кн.1
Тбилиси
[81]
서적
Чечня и Ингушетия В XVIII- начале XIX века
[82]
서적
Сочинение И. Гербера Описание стран и народов между Астраханью и рекою Курой находящихся
М
[83]
서적
Geography
[84]
서적
Чечня и Ингушетия В XVIII– начале XIX века
[85]
서적
Известия древних писателей греческих и латинских о Скифии и Кавказе
СПб
[86]
서적
Chechens
[87]
서적
The Geography of Strabo
https://books.google[...]
H.G. Bohn
1856
[88]
서적
The Chechens: A Handbook
Routledge Curzon
[89]
서적
Description of the Georgian Kingdom
Bakhushti Bagrationi
[90]
서적
Двалы и Двалетия в I–XV вв. н. э.
Тбилиси
[91]
서적
К изучению древней восточномалоазийской этнонимики. ВДИ
[92]
인물
[93]
인물
[94]
서적
Essays on the history of Alans (in Russian)
http://iratta.com/20[...]
IR
[95]
웹사이트
http://www.nplg.gov.[...]
2018-01-00 # 추정 날짜
[96]
서적
Reise in den Kaukasus und nach Georgien unter nommen in den Jahren 1807 and 1808.
Halle und Berlin
[97]
서적
From the cultural past of the Ingush// Notes of the College of Orientalists at the Asian Museum of the USSR Academy of Sciences
[98]
서적
Trade routes of Transcaucasia in the era of the Sassanids. According to Tabula Peutingiriana // VDI
[99]
서적
The North Caucasus in Russian-Iranian and Russian-Turkish relations in the 18th century.
[100]
서적
On the issue of Nakh ethnonymy // Caucasian ethnographic collection. II.
"Metsniereba"
[101]
서적
Aus den Hochregionen des Kaukasus. Wanderungen, Erlebnisse, Beobachtungen
[102]
서적
In the gorges of Argun and Fortanga
[103]
서적
To the ethnography of the inhabitants of the Caucasian Alps
[104]
서적
Dval and Dvaletia in the I-XV centuries.
[105]
서적
The Vainakhs
[106]
서적
The Vainakh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