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범아메리카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범아메리카주의는 아메리카 대륙 국가들 간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협력을 증진하려는 사상과 운동을 의미한다. 1776년 미국 독립과 1804년 아이티 독립 이후, 스페인계 아메리카 국가들의 독립 투쟁이 범아메리카주의에 영향을 미쳤으며, 19세기에는 일련의 미주 회의를 통해 상호 방어, 관세 인하 등을 논의했다. 1823년 미국은 먼로 독트린을 통해 유럽의 아메리카 대륙 간섭을 막고, 라틴 아메리카 독립을 지지했으나, 미국의 개입주의적 성격으로 인해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20세기에는 미주 기구(OAS) 창설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이 이루어졌으며, 경제적으로는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간의 교역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범아메리카주의 - 팬아메리칸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은 팬아메리칸스포츠기구(PASO)가 주관하는 아메리카 대륙의 종합 경기대회로, 4년마다 개최되며 1951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처음 시작되어 참가 국가와 종목이 꾸준히 증가해왔고 파라 팬아메리칸 게임과 주니어 팬아메리칸 게임도 추가되었으며, 미국이 역대 종합 우승을 많이 차지했다.
  • 범아메리카주의 - 그란콜롬비아
    그란 콜롬비아는 시몬 볼리바르가 베네수엘라, 누에바그라나다, 키토를 통합하려 했던 공화국으로, 쿠쿠타 헌법을 통해 공식 출범했으나 내부 갈등으로 인해 1830년 해체되었다.
  • 범국민주의 - 범아시아주의
    범아시아주의는 아시아 국가들의 연대와 공동 발전을 목표로 19세기 말 일본에서 시작된 사상 및 운동으로, 초기에는 서구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을 표방했으나 일본 제국주의 팽창의 이데올로기로 변질되었고, 현대에는 아시아적 가치 재해석과 함께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 범국민주의 - 범아프리카주의
    범아프리카주의는 아프리카인과 디아스포라의 연대 및 통합을 추구하는 이념이자 운동으로, 공통된 유산을 강조하며 노예제도, 인종차별, 식민주의에 대한 투쟁을 통해 형성되었고 아프리카 탈식민화 운동에 기여했으며 현대에는 소셜 미디어, 아프로센트리즘, 힙합 문화 등을 통해 연대와 정체성을 강화하는 운동으로 지속되고 있다.
범아메리카주의
개요
유형국제 관계
목표아메리카 대륙 국가 간의 정치, 외교, 경제, 사회 협력 강화
관련 기구미주 기구
범미 보건 기구
역사적 배경
기원19세기 초 아메리카 국가들의 독립 운동과 상호 협력 필요성 대두
먼로 독트린미국의 유럽 세력에 대한 불간섭 선언 (1823)에 영향 받음
제1차 국제 아메리카 회의1889년 ~ 1890년 워싱턴 D.C.에서 개최
창시자시몬 볼리바르
이념적 기반
핵심 가치상호 협력
비간섭
주권 존중
공동 번영
주요 내용
정치 협력민주주의 증진, 갈등 해결, 평화 유지 노력
경제 협력자유 무역, 투자 증진, 경제 개발 지원
사회 협력교육, 보건, 문화 교류 확대
비판적 시각
미국의 영향력미국의 패권주의적 개입에 대한 비판 존재
불균등한 발전회원국 간 경제적 불균형 심화에 대한 우려
관련 용어
영어Pan-Americanism
일본어汎アメリカ主義 (Han Amerika Shugi)
스페인어Panamericanismo
참고 자료
관련 기구미주 기구
범미 보건 기구
관련 인물시몬 볼리바르

2. 역사

18세기 미국이 독립한 후, 1804년 아이티에서 아이티 혁명이 일어나고, 1810년에는 라틴 아메리카에서도 독립 전쟁이 발발하면서 특히 남아메리카에서는 연대감이 고조되었다. 남아메리카 북부의 시몬 볼리바르와 남부의 호세 데 산 마르틴 등 실제로 협력한 사례도 있었다. 중앙 아메리카에서는 프란시스코 모라산이 단기간 중앙 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의 원수를 역임했다. 남아메리카 초기 범아메리카주의자들은 여러 식민지가 협력하여 영국에 승리한 미국 독립 전쟁의 영향도 받았다. 미국에서는 19세기 초 헨리 클레이와 토머스 제퍼슨이 범아메리카주의의 원칙을 제기했고, 직후 대통령 제임스 먼로가 먼로 독트린을 내세워 유럽 국가들의 미주 간섭을 견제했다.

19세기 남아메리카에서는 군국주의의 바람이 불어 여러 국가와 지역 간의 분쟁이 발생했지만, 이 시기에도 범아메리카주의는 존속하여 파나마 (1826년), 리마 (1847년), 산티아고 (1856년), 리마 (1864년)에서 미주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들은 공동 방어를 목적으로 했으며, 현재의 범아메리카 회의는 1889년부터 1890년에 걸쳐 워싱턴 D.C.에서 처음 개최되었고, 도미니카 공화국을 제외한 모든 미주 국가가 참가했다. 분쟁 조정 및 관세 조정 조약이 채택되었고, 미주 국제 공화국 연합 (후의 미주 기구)이 설립되었다. 그 후의 회의는 남아메리카 국가의 도시에서 개최되었다[28]

초기 목표였던 무역 자유화는 달성되지 않았지만, 일부 영역에서는 협력이 이루어졌다.

20세기에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이 선린 정책을 통해 문화 외교를 추진하며 미주 공화국 간의 평화로운 상업 및 문화 관계 발전을 도모했다.[15] 루스벨트는 "진정한 범아메리카주의의 본질적인 자질은 선린 관계를 구성하는 것과 같아야 한다"고 말했다.[6]

1948년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열린 아홉 번째 회의에서 미주 기구(OAS)와 보고타 협약이 창설되었다.[6] OAS는 평화 강화, 평화로운 분쟁 해결, 침략에 대한 공동 조치 조직, 정치적, 경제적 문제 해결, 전반적인 경제 및 사회 발전을 목표로 했다. 보고타 협약은 국가들이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UN 안전 보장 이사회에 회부하기 전에 자체적으로 분쟁을 해결하도록 규정했다.[6]

2. 1. 초기 범아메리카주의

1776년 미국 독립과 1804년 아이티 독립 이후, 1810년부터 스페인계 아메리카 국가들의 독립 투쟁이 이어졌다. 특히 남아메리카에서는 북쪽의 시몬 볼리바르, 남쪽의 호세 데 산 마르틴의 지도 아래 협력적인 노력이 이루어졌다.[1] 프란시스코 모라산은 엘살바도르, 파나마, 온두라스, 니카라과 간의 연합이었던 중앙 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의 수장이었다.[2] 초기 범아메리카주의자들은 억압받고 식민지화된 사회가 단결하여 독립을 쟁취한 미국 독립 전쟁에서 영감을 받았다.[3]

미국에서는 19세기 초 헨리 클레이와 토머스 제퍼슨이 라틴 아메리카 독립을 옹호하며 범아메리카주의 원칙을 제시했다.[4] 1823년, 제임스 매디슨과 미국 정부는 먼로 독트린을 통해 유럽아메리카 대륙의 문제에 간섭하는 것을 막고, 새롭게 독립한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 대한 유럽의 추가적인 정복이나 재정복을 중단하는 새로운 정책을 선언했다.[4]

19세기 남아메리카에서는 군사 민족주의가 두드러지면서, 범아메리카주의 목표는 미국에게 실현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다.[1]

사건내용
대 콜롬비아 해체1830년 베네수엘라에콰도르가 대 콜롬비아에서 탈퇴했다.[1]
중앙 아메리카 연방 공화국 붕괴1838년 중앙 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은 내전으로 붕괴되었다.[2]
우루과이 분쟁아르헨티나브라질우루과이를 놓고 끊임없이 싸웠다.
파라과이 전쟁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는 파라과이 전쟁 (1865–1870)에서 파라과이를 꺾기 위해 연합했다.[5]
태평양 전쟁칠레태평양 전쟁 (1879–1883)에서 페루볼리비아를 물리쳤다.[5]



그러나 그 기간 동안 범아메리카주의는 일련의 미주 회의 형태로 존재했다.[1]

회의내용
1826년 파나마 회의시몬 볼리바르가 스페인의 옛 식민지 대표들을 모아 국제 회의를 열었다. 멕시코, 페루, 콜롬비아 및 중앙 아메리카만 대표를 파견했다.[1] 미국 국가 간 상호 방어, 노예제 폐지, 상업 무역, 그리고 어떤 외국도 다른 국가의 주권을 방해할 수 없다는 내용 등 31개의 조약으로 마무리되었다.[1]
1847년 페루 리마 회의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 칠레만이 대표를 파견했다. 상호 방어, 관세 인하, 전쟁 규칙 등 4개의 조약이 체결되었지만, 각국의 의회는 조약을 비준하는 것을 거부했다.[6]
1856년 칠레 산티아고 회의미국의 팽창주의를 억제하려 했으며, 에콰도르, 페루 및 기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즉시 서명했다.[7]
1864년 페루 리마 회의볼리비아, 페루, 콜롬비아, 칠레,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과테말라, 에콰도르, 엘살바도르가 모두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두 개의 조약을 작성했다. 하나는 참여한 9개 국가 간의 동맹을 창설하는 연합 및 동맹 조약이었고, 다른 하나는 필수 중재, 상호 무역, 항해 및 우편 교환을 다루는 평화 유지 조약이었다. 대부분의 의회 조약과 마찬가지로, 후자는 국가에 의해 비준되지 않았다.[6]


2. 2. 19세기 범아메리카주의의 시련과 지속

19세기 남아메리카에서는 군사 민족주의가 두드러지면서 범아메리카주의의 이상은 실현되기 어려워 보였다. 1830년 베네수엘라에콰도르가 대 콜롬비아에서 탈퇴했고, 중앙 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은 내전으로 1838년 붕괴되었다. 아르헨티나브라질 제국우루과이를 놓고 시스플라티나 전쟁을 벌였고, 파라과이 전쟁 (1865–1870)에서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가 연합하여 파라과이를 꺾었다. 칠레태평양 전쟁 (1879–1883)에서 페루볼리비아를 물리쳤다.[1][2][5]

그러나 이 기간 동안에도 범아메리카주의는 여러 차례의 미주 회의를 통해 유지되었다. 시몬 볼리바르는 스페인의 옛 식민지 대표들을 모아 국제 회의를 만들고자 했다.[1] 1826년 파나마 회의에서는 미국 국가 간 상호 방어, 노예제 폐지, 상업 무역, 그리고 어떤 외국도 다른 국가의 주권을 방해할 수 없다는 내용 등 31개의 조약이 체결되었다.[1]

1847년에는 에콰도르 등 옛 식민지를 스페인이 되찾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페루 리마에서 회의가 열렸다.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 칠레만이 대표를 파견했고,[6] 미국-멕시코 전쟁 중이었던 멕시코와 미국은 대표를 보내지 않았다. 이 회의에서는 상호 방어, 관세 인하, 전쟁 규칙 등 4개의 조약이 체결되었지만, 각국 의회는 조약 비준을 거부했다.[6]

1856년에는 칠레 산티아고에서 세 번째 회의가 열렸다. 미국이 에콰도르로부터 갈라파고스 제도를 경제적으로 합병하려는 시도와, 미국인 윌리엄 워커가 니카라과에서 필리버스터 원정을 벌여 노예제를 다시 도입하고 영어를 공식 언어로 만들면서 미국의 팽창주의가 시작되었다.[7] 1856년 9월 15일, 산티아고 대륙 조약은 라틴 아메리카에서 미국의 팽창을 억제하려 했으며, 에콰도르, 페루 및 기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즉시 서명했다.[7][8]

1864년 11월 12일 페루 리마에서 열린 회의는 국방, 경계, 상업, 우편 서비스, 인구 데이터 및 중재를 통한 분쟁 해결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볼리비아, 페루, 콜롬비아, 칠레,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과테말라, 에콰도르, 엘살바도르가 참석했다.[6] 회의에서는 두 개의 조약이 작성되었는데, 하나는 참여한 9개 국가 간의 동맹을 창설하는 연합 및 동맹 조약이었고, 다른 하나는 필수 중재, 상호 무역, 항해 및 우편 교환을 다루는 평화 유지 조약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의회 조약과 마찬가지로, 후자는 국가에 의해 비준되지 않았다.[6]

2. 3. 20세기 범아메리카주의의 부활과 발전

1889년부터 1890년까지 워싱턴 D.C.에서 최초의 현대적 범아메리카 회의인 제1차 미주 국가 국제 회의가 열렸다.[9] 제임스 G. 블레인이 제안한 이 회의에는 도미니카 공화국을 제외한 모든 미주 국가가 참여했다.[9] 이 회의에서 분쟁 중재관세 조정에 대한 조약이 채택되었고, 범아메리카 연합의 전신인 미주 공상국이 설립되었다.[9]

이후 회의는 멕시코시티(1901), 리우데자네이루(1906), 부에노스아이레스(1910) 등 다양한 남아메리카 도시에서 개최되었다.[10] 1933년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칠 번째 회의는 몬테비데오 조약이 채택된 중요한 회의였다.[6] 이 회의에서는 켈로그-브리앙 조약을 포함한 5개의 평화 협정에 즉시 서명해야 한다고 발표했으며, 어떤 국가도 다른 국가의 내정 또는 외정에 간섭할 수 없다는 내용의 국가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협약이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6]

20세기에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이 선린 정책을 통해 문화 외교를 추진하며 미주 공화국 간의 평화로운 상업 및 문화 관계 발전을 도모했다.[15] 루스벨트는 "진정한 범아메리카주의의 본질적인 자질은 선린 관계를 구성하는 것과 같아야 한다"고 말했다.[6]

1948년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열린 아홉 번째 회의에서 미주 기구(OAS)와 보고타 협약이 창설되었다.[6] OAS는 평화 강화, 평화로운 분쟁 해결, 침략에 대한 공동 조치 조직, 정치적, 경제적 문제 해결, 전반적인 경제 및 사회 발전을 목표로 했다. 보고타 협약은 국가들이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UN 안전 보장 이사회에 회부하기 전에 자체적으로 분쟁을 해결하도록 규정했다.[6]

3. 먼로 독트린과 범아메리카주의

1776년 미국 독립1804년 아이티 독립 이후, 1810년부터 스페인계 아메리카 국가들의 독립 투쟁이 이어졌다. 특히 남아메리카에서는 시몬 볼리바르와 호세 데 산 마르틴의 지도 아래 협력적인 노력이 이루어졌다.[1] 초기 범아메리카주의자들은 억압받고 식민지화된 사회가 단결하여 독립을 쟁취한 미국 독립 전쟁에서 영감을 받았다.[3]

미국에서는 19세기 초 헨리 클레이와 토머스 제퍼슨이 라틴 아메리카 독립을 옹호하며 범아메리카주의 원칙을 제시했다. 1823년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과 미국 정부는 먼로 독트린을 통해 유럽아메리카 대륙의 문제에 간섭하는 것을 막고, 새롭게 독립한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 대한 유럽의 추가적인 정복이나 재정복을 중단하는 새로운 정책을 선언했다.[4]

그러나 19세기 남아메리카에서는 군사 민족주의가 두드러지면서 범아메리카주의 목표는 실현되기 어려워 보였다. 베네수엘라에콰도르1830년 대 콜롬비아에서 탈퇴했고, 중앙 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은 내전으로 1838년 붕괴되었다.[1][2]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범아메리카주의는 일련의 미주 회의 형태로 유지되었다. 시몬 볼리바르1826년 파나마 회의를 소집하여 미주 국가 간 상호 방어, 노예제 폐지, 상업 무역 등의 내용을 담은 조약을 체결했다.[1] 이후에도 1847년 리마 회의, 1856년 산티아고 회의 등 여러 차례 회의가 개최되었지만, 각국의 비준 거부 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6][7][8]

1889년-1890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제1차 미주 국가 국제 회의는 현대적 범아메리카 회의의 시작으로 평가된다. 이 회의에서는 분쟁 중재관세 조정에 대한 조약이 채택되었으며, 범아메리카 연합의 전신인 미주 공상국이 설립되었다.[9] 이후 멕시코시티(1901), 리우데자네이루(1906), 부에노스아이레스(1910)에서 회의가 이어졌다. 1933년 몬테비데오 조약은 국가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협약을 제안했으며,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6]

20세기에 들어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선린 정책에 따라 문화 외교를 통해 미주 공화국 간의 평화로운 상업 및 문화 관계 발전을 도모하며 범아메리카주의를 옹호했다.[15]

1948년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열린 아홉 번째 회의에서 미주 기구(OAS)와 보고타 협약이 창설되었다.[6] OAS는 평화 강화, 평화로운 분쟁 해결, 침략에 대한 공동 조치 조직 등을 목표로 했다.

3. 1. 먼로 독트린의 전개와 미국의 패권주의

1823년 제임스 먼로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먼로 독트린은 원래 아메리카 대륙에서 유럽의 새로운 확장을 막으려는 미국의 의지를 나타냈다.[16]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미국은 이 독트린을 이용하여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 자국의 전략적 이익을 추구하고 영향력을 확대했다.

19세기 내내 먼로 독트린은 텍사스 합병(1845년), 미국-멕시코 전쟁(1845-1848년) 등 미국의 팽창 정책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되었다.[17] 미국의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정책은 점차 확장주의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고, 이는 범아메리카주의의 이상과 충돌했다.[18]

1904년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먼로 독트린에 루스벨트 수정 조항을 추가하여,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나쁜 행동"이 있을 경우 미국이 개입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16] 이는 미국의 패권주의적 외교 정책을 강화하고,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주권을 침해하는 결과를 낳았다.

미국은 범아메리카주의를 내세워 대륙의 협력과 통합을 추구했지만, 실제로는 먼로 독트린과 루스벨트 수정 조항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했다.[19] 이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과의 갈등을 야기했고, 범아메리카주의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3. 2. 라틴 아메리카의 대응

1823년 12월 먼로 독트린이 발표된 후,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 사이에서는 다양한 반응이 나타났다. 멕시코는 미국이 멕시코와 남아메리카의 독립을 옹호하고 유지할 의도가 있다고 밝히며 이 메시지를 승인했다.[1] 멕시코는 미국이 유럽으로부터 자국의 주권을 지키려 노력하는 것에 감사했다.[1]

중앙 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은 먼로 독트린에 대해 중립적이거나 완만한 승인을 보였다. 미국과 영국이 자국의 독립을 인정하고 유럽 국가들의 정복 시도로부터 보호할 것이라고 인정했다.[1]

아이티는 미국이 라틴 아메리카와 더 나은 관계를 맺은 것에 대해 축하했지만, 미국이 아이티를 인정하지 않은 것에 불만을 품었다. 아이티는 다른 라틴 아메리카 공화국들과 다르지 않으며, 다른 국가들보다 더 안정적이고, 끔찍한 분쟁을 통해 그들의 힘과 주권을 증명했다고 주장했다.[1]

콜롬비아의 부통령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산탄데르는 미국을 콜롬비아의 강력한 동맹국이라고 부르며 미국이 라틴 아메리카를 보호하기 위해 높은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에 감사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주로 영국이 미국의 이차적인 지원과 함께 아메리카 국가들의 권리를 옹호할 것이라고 예상했다.[1]

칠레는 먼로 독트린이 미국 외에는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브라질은 미국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고, 라플라타 연합 주는 먼로 독트린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1]

시몬 볼리바르는 먼로 독트린이 미국이 아메리카 대륙을 확장하고 지배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것이므로 범아메리카주의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볼리바르는 먼로 독트린이 미국의 이익에도 부합할 것이라고 믿었다.[20]

4. 협력 분야

범아메리카주의에서 당초 목표했던 상업적 교류 자유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협력은 건강 (범아메리카 보건 기구, 1902년 설립), 지리학 및 역사 (범아메리카 지리학 및 역사 연구소, 1928년), 아동 보호 및 아동 권리 (국제 아메리카 아동 보호 연구소, 1927년), 여성의 권리 (미주 여성 위원회, 1928년), 원주민 정책 (미주 원주민 연구소, 1940년), 농업 (미주 농업 과학 연구소), 대륙 방위 연합 (미주 상호 원조 조약, 1947년), 경제 원조 (미주 개발 은행, 1959년), 사회 기반 시설 공사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평화 유지 활동 (도미니카 공화국 침공 이후의 미주 평화군, 1965년) 및 인권 (미주 인권 재판소, 1979년)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다.

미국 국가들은 분쟁 중재, 평화적 분쟁 해결, 군사적 불개입, 각 기구 회원국 간의 평등, 상호 관계에서의 다수결 의결, 외교적 망명 인정, 사법 국제법 규정(부스타만테 강령, 1928년), 미주 인권 시스템(미국 인간의 권리와 의무 선언, 1948년, 미주 인권 위원회, 1959년, 그리고 2001년 미주 기구의 미주 민주 헌장)과 같이 국가 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일련의 외교적 및 정치적 규칙을 채택했지만, 이러한 규칙이 항상 준수되거나 이행된 것은 아니었다.[1]

4. 1. 보건

협력은 건강 분야(범아메리카 보건 기구, 1902년 설립)로 확대되었다.[1]

4. 2. 지리 및 역사

범아메리카주의에서 의도했던 상업적 교류 자유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협력은 여러 분야로 확대되었다. 그중 1928년에는 범아메리카 지리학 및 역사 연구소가 설립되어 지리학 및 역사 분야의 협력이 이루어졌다.[1]

4. 3. 인권

범아메리카주의를 통해 상업적 교류 자유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여러 분야에서 협력이 확대되었다. 특히 인권 분야에서는 다음과 같은 발전이 있었다.

  • 미주 여성 위원회(1928년): 여성의 권리 증진을 위해 설립되었다.
  • 미주 원주민 연구소(1940년): 원주민 정책 수립을 위해 설립되었다.
  • 미주 인권 재판소(1979년): 인권 침해 사건을 다루기 위해 설립되었다.


미주 국가들은 분쟁 중재, 평화적 분쟁 해결, 군사적 불개입, 회원국 간의 평등, 다수결 의결, 외교적 망명 인정, 사법 국제법 규정(부스타만테 강령, 1928) 등 국가 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외교적, 정치적 규칙을 채택했다. 또한, 미주 인권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발전했다.

  • 미국 인간의 권리와 의무 선언(1948년): 미주 지역의 인권 기준을 제시하였다.
  • 미주 인권 위원회(1959년): 인권 침해 감시 및 권고 역할을 수행한다.
  • 미주 기구의 미주 민주 헌장(2001년): 민주주의 증진을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칙이 항상 준수되거나 이행된 것은 아니었다.

4. 4. 경제

범아메리카주의에서 의도했던 상업적 교류 자유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협력은 경제 원조(미주 개발 은행, 1959년 설립), 사회 기반 시설 공사(범아메리카 고속도로) 등의 분야로 확대되었다.[1]

4. 5. 기타 분야

범아메리카주의에서 의도했던 상업적 교류 자유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여러 분야에서 협력이 이루어졌다. 주요 협력 분야는 다음과 같다.

분야내용
건강범아메리카 보건 기구 설립 (1902년)
지리학, 역사범아메리카 지리학 및 역사 연구소 설립 (1928년)
아동 보호, 아동 권리국제 아메리카 아동 보호 연구소 설립 (1927년)
여성의 권리미주 여성 위원회 설립 (1928년)
원주민 정책미주 원주민 연구소 설립 (1940년)
농업미주 농업 과학 연구소 설립
대륙 방위 연합미주 상호 원조 조약 체결 (1947년)
경제 원조미주 개발 은행 설립 (1959년)
사회 기반 시설 공사범아메리카 고속도로 건설
평화 유지 활동도미니카 공화국 침공 이후 미주 평화군 창설 (1965년)
인권미주 인권 재판소 설립 (1979년)



미국 국가들은 분쟁 중재, 평화적 분쟁 해결, 군사적 불개입, 각 기구 회원국 간의 평등, 상호 관계에서의 다수결 의결, 외교적 망명 인정, 사법 국제법 규정 (부스타만테 강령, 1928년), 미주 인권 시스템 (미국 인간의 권리와 의무 선언, 1948년; 미주 인권 위원회, 1959년; 2001년 미주 기구의 미주 민주 헌장) 등 국가 간 관계를 규정하는 외교적, 정치적 규칙을 채택했지만, 이러한 규칙이 항상 준수되거나 이행된 것은 아니었다.

5. 경제적 영향

미국, 캐나다, 멕시코 간의 경제적 상호 의존성은 매우 높다. 2019년 미국의 전체 수입 중 캐나다와 멕시코로부터의 수입이 각각 15.1%, 14.6%를 차지했으며,[21] 이 중 상당 부분은 식품이었다.[22] 2021년 캐나다 전체 수출의 76%가 미국으로 향했으며,[23] 주요 수출 품목은 목재, 자동차 및 항공기 부품, 알루미늄, 밀, 식물성 기름 등이었다.[24] 멕시코 또한 2021년 전체 수출의 76.4%를 미국에 수출했으며,[25] 컴퓨터, 자동차, 원유 등이 주요 품목이었다. 2017년에는 미국의 전체 수출 중 12%가 캐나다, 10%가 멕시코로 수출되었다.[26]

6. 회의 목록

참조

[1] 서적 Pan-Americanism: its beginnings Arno Press 1970
[2] 서적 The failure of union: Central America 1824 - 1960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1961
[3] 간행물 The Meaning of Pan-Americanism https://www.jstor.or[...] 1954
[4] 서적 Latin America, the United States, and the inter-American system Westview Press 1980
[5] 간행물 Bringing War Back in: Victory and State Formation in Latin America https://www.jstor.or[...] 2021
[6] 서적 Inter-American conferences, 1826-1954 : History and problems The University Press of Washington D.C. 1965
[7] 간행물 As confederações como dispositivo de equilíbrio de poder: o Tratado Continental de Santiago (1856) http://www.revistapa[...] 2019-02-03
[8] 간행물 The Continental Treaties of 1856: An American Union "Exclusive of the United States" https://www.jstor.or[...] 1940
[9] 서적 Essays in Pan-Americanism University of California
[10] 서적 Pan-American Visions: Woodrow Wilson in the Western Hemisphere, 1913–1921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1] 서적 Dissonant Divas in Chicana Music: The Limits of La Ond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2
[12] 서적 Beyond the Black and White TV: Asian and Latin American Spectacle in Cold War America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22
[13] 서적 In All His Glory: The Life and Times of William S. Paley and the Birth of Modern Broadcasting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Trade Publications 2002
[14] 뉴스 Radio: La Cadena https://content.time[...] Time 1942-06-01
[15] 문서 "Executive Order 8840 Establishing the Office of Coordinator of Inter-American Affairs" http://www.presidenc[...]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1941-07-30
[16] 간행물 Santiago Pérez Triana (1858-1916) and the Pan-Americanization of the Monroe Doctrine https://doaj.org/art[...] 2018
[17] 서적 Monroe Doctrine: Concise History of Its Origin and Growth George B. Reed
[18] 간행물 Denaturalizing the Monroe Doctrine: The Rise of Latin American Legal Anti-Imperialism in the Face of the Modern US and Hemispheric Redefinition of the Monroe Doctrine https://www.proquest[...] 2020-09
[19] 간행물 The Liberal Traditions in the Americas: Rights, Sovereignty, and the Origins of Liberal Multilateralism https://www.jstor.or[...] 2012-02
[20] 간행물 Framing Pan-Americanism: Simón Bolívar's Findings https://www.jstor.or[...] 2003
[21] 웹사이트 What Are the Top US Imports? https://www.investop[...] 2022
[22] 웹사이트 Food Products Exports By United States https://wits.worldba[...] 2020
[23] 웹사이트 Canada Exports By Country https://oec.world/en[...] 2021
[24] 웹사이트 Canada Country Economic Profile https://oec.world/en[...] 2021
[25] 웹사이트 Mexico Country Economic Profile https://oec.world/en[...] 2021
[26] 웹사이트 What Are the Top U.S. Exports? https://www.investop[...] 2018
[27] 웹사이트 汎アメリカ主義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7-21
[28] 서적 Pan-American Visions: Woodrow Wilson in the Western Hemisphere, 1913–1921 University of Arizon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