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형생성문법의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형생성문법은 노엄 촘스키가 제시한 언어학 이론으로, 1957년 출판된 그의 저서 《통사 구조》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이 이론은 언어의 문법을 생성 규칙, 변형 규칙, 음운 형태론 규칙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형식적 모델로 설명하며, 언어의 문법성을 판단하고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촘스키는 언어학 연구에 심리주의적 관점을 도입하고, 심리언어학, 언어 철학,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지나치게 직관에 의존하고, 경험적 증거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받았다. 《통사 구조》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인지 과학 작품으로 선정되었으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엄 촘스키의 작품 - 언어에 대한 지식
- 노엄 촘스키의 작품 - 영어의 음성체계
"영어의 음성 체계"는 촘스키와 할레가 1968년에 발표한 음운론 저서로, 영어 음운론 연구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변별적 자질, 강세 규칙, 조음 자질 기반 자질 체계를 제시하여 단어의 음운적 성분을 분석하고 영어 강세 규칙을 예측하려 시도했지만, 규칙의 예외가 많고 실제 발음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비판도 있으며, 생성 음운론 발전에 토대가 되어 다양한 음운론 이론에 영향을 미쳤다. - 논리철학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논리철학 - 이성
이성은 인간의 사고, 추론, 판단 능력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고대 그리스어 로고스에서 유래되었으며, 지식, 진리, 행복 추구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이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변형생성문법의 이론 - [서적]에 관한 문서 | |
---|---|
도서 정보 | |
이름 | 통사 구조 |
원제 | Syntactic Structures |
저자 | 노엄 촘스키 |
삽화가 | 해당사항 없음 |
표지 미술가 | 해당사항 없음 |
언어 | 영어 |
시리즈 | 해당사항 없음 |
주제 | 자연어 통사론 |
출판사 | Mouton & Co. |
출판일 | 1957년 2월 |
영어 출판일 | 해당사항 없음 |
미디어 유형 | 인쇄물 |
쪽수 | 117쪽 |
ISBN | 해당사항 없음 |
OCLC | 해당사항 없음 |
이전 작품 | 언어 이론의 논리적 구조 (미출판 등사 또는 마이크로필름 버전) |
다음 작품 | 통사론의 양상 |
2. 배경
촘스키는 어린 시절부터 언어에 관심을 가졌다. 12살 때 아버지에게서 히브리어 문법을 배웠고,[18]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입학 첫 해에는 아랍어를 공부했다.[19] 1947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언어학과 창립자인 젤리그 해리스를 만났다. 해리스는 저명한 언어학자로, 레너드 블루필드의 연구 방식을 따랐다.[20] 촘스키는 해리스의 저서 《구조 언어학 방법론》(1951) 교정 작업에 참여하며 언어학의 형식적 이론을 접했고,[21] 곧 언어학을 전공하기로 결심했다.[22][23]
촘스키는 해리스의 방법을 히브리어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며, 논리학, 철학, 수학을 공부했다.[24] 그는 언어에 대한 해리스의 견해가 넬슨 굿맨의 철학적 시스템과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25] 또한 윌러드 반 오르만 콰인[26]과 루돌프 카르나프의 저술에 영향을 받았는데,[27][28] 콰인은 관찰을 통해 문장의 의미를 완전히 검증할 수 없다는 것을 보였고,[29] 카르나프는 의미를 언급하지 않는 기호와 규칙을 사용하는 언어의 형식적 이론을 개발했다.[30]
이후 촘스키는 히브리어 문법을 구축하며 해리스의 방법을 다른 방식으로 정리했다.[31] 그는 문장 형태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재귀 규칙을 제시하고, 문법의 단순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며 가능한 문법 규칙 집합에서 "일반화"를 찾았다.[32][33] 1949년, 학부 논문 《현대 히브리어의 형태음운론》을 완성하고, 1951년에 수정 및 확장하여 석사 논문으로 출판했다.
1951년, 촘스키는 하버드 대학교의 주니어 펠로우가 되어[34] 전적인 형식적 언어학 이론을 구축하려 시도했다.[35] 이는 기존 언어 연구 전통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었다.[36] 1953년, 첫 논문을 발표하며 논리의 기호 기반 언어를 인간 언어의 구문 설명에 적용하려 했다. 촘스키는 펠로우십 기간 동안 약 1,000페이지 분량의 타자본 원고 《언어 이론의 논리적 구조》(''LSLT'')를 작성했다.[38]
1955년, MIT에서 기계 번역 프로젝트에 언어학자로 참여했고,[39] 같은 해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박사 논문 《변형 분석》을 제출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논문은 《LSLT》의 9번째 장에 해당한다.[40]
2. 1. 언어학 이론에서의 위치
《통사 구조》는 출판 당시 변형생성문법의 최첨단을 보여주는 저서였다.[4] 이 책은 루이 옐름슬레우의 《언어 이론 개론》에 영향을 받았으며,[4] 형식 문법의 단말 기호와 비단말 기호 개념을 도입했다. 옐름슬레우는 언어 이론이 모든 가능한 프랑스어 텍스트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42] 이를 통해 주어진 언어의 모든 문법적 문장을 예측할 수 있다고 보았다.[43] 또한 그는 언어의 알고리즘적 설명이 유한한 수의 원시 요소로부터 무한한 수의 산물을 생성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4] 촘스키는 옐름슬레우의 영향을 받아 "언어 L의 언어학적 분석의 근본적인 목표는 L의 문장인 문법적 시퀀스를 L의 문장이 아닌 비문법적 시퀀스와 구분하는 것이다. 따라서 L의 문법은 L의 모든 문법적 시퀀스를 생성하고 비문법적인 시퀀스는 생성하지 않는 장치가 될 것이다."라고 언급하였다.}}}}[41] 촘스키는 닫힌 루프와 같은 재귀적 장치가 문법이 무한한 수의 문장을 생성하도록 허용할 것이라고 말했다.[44]20세기 초중반, 블룸필드 학파는 '미국 구조주의자'라는 별명을 가졌지만, 이들은 구조주의의 기본 원칙, 즉 언어적 형태는 의미를 통해 설명되며 언어학은 사회학의 영역에 속한다는 것을 거부했다.[4] 촘스키는 해리스 및 다른 미국 언어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의미론에서 통사론으로의 인과 관계가 없다는 데 동의했다.[4]
촘스키는 옐름슬레우의 '임의성' 원칙의 의미를 변경했는데, 이는 생성적 계산이 단지 언어학자를 위한 도구일 뿐 현실의 구조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했다.[4][11]
3. 출판
1957년에 ''모튼''(Mouton)이라는 출판사에 의해 출판되었으며, 1966년에 범한서적에서 이승환, 이혜숙 번역으로 한국어 번역판이 발간되었다.[47] 촘스키는 1955년에 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지만, 초기에는 자신의 이론과 언어에 대한 견해를 출판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48] 학술 언어학 저널인 ''WORD''에 제출한 논문이 즉시 거절되기도 했다.[49][50]
Mouton & Co.는 헤이그에 본사를 둔 네덜란드 출판사로, 1954년부터 슬라브 연구에 관한 작품을 출판하며 학문적 명성을 얻었다.[51] 이들은 로만 야콥슨과 모리스 할레의 ''언어의 기초''를 1956년에 출판하며 'Janua Linguarum'(언어의 문) 시리즈를 시작했다.[54] 촘스키는 야콥슨과 할레와 모두 학문적 교류가 있었으며, 1956년에는 할레와 공동으로 음운론에 관한 논문을 작성하여 야콥슨 헌정 논문집에 게재하기도 했다.[55]
''Janua Linguarum'' 시리즈의 편집자였던 코르넬리스 반 스호네벨드는 촘스키에게 학부생을 위한 언어학 입문 강의 노트를 출판할 것을 제안했고, 촘스키는 이를 수락했다.[57] 1956년 8월, 촘스키는 원고를 완성하여 반 스호네벨드에게 보냈고, 반 스호네벨드는 상업적 목적을 위해 책 제목을 ''통사 구조''로 변경할 것을 제안했다.[60] 이러한 과정을 거쳐 1957년 2월, 마침내 촘스키의 ''통사 구조''가 출판되었다.
출판 직후, 로버트 벤자민 리스는 저명한 학술지 ''Language''에 ''통사 구조''에 대한 매우 긍정적인 서평을 게재했다.[61][62] 이 서평은 ''통사 구조''를 언어학계에 널리 알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이 책은 곧 언어학 연구에 "혁명"을 일으켰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63]
''통사 구조''는 ''Janua Linguarum'' 시리즈의 네 번째 책이자 가장 많이 팔린 책으로, 1978년까지 13번이나 재판되었다.[70] 1962년에는 러시아어 번역본, 1963년에는 일본어 번역본, 1969년에는 프랑스어 번역본, 1973년에는 독일어 번역본이 출판되었으며, 한국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체코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스웨덴어로도 번역되었다.
3. 1. 한국어판 출판 정보
1966년 이승환, 이혜숙 번역으로 범한서적에서 한국어 번역판이 발간되었다.4. 내용
4. 1. 통사적 연구의 목표
촘스키는 "언어 구조에 대한 형식화된 이론"을 구축하고자 "엄격한 공식화"와 "정확하게 구성된 모델"을 강조한다.[73] 촘스키에게 언어학자의 목표는 특정 언어의 문법을 구축하는 것인데, 그는 문법을 연구 대상 언어의 모든 문장을 생성하는 장치로 정의한다. 또한, 언어학자는 일반적인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문법 아래의 추상적인 개념을 찾아야 한다. 이 방법은 주어진 코퍼스에 대해 가능한 최상의 장치 또는 문법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언어 이론은 소리, 단어 및 문장 구조 등 언어 분석의 모든 수준에 대한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공해야 한다.[74]4. 2. 문법성
촘스키는 언어학자가 언어의 "문법적인 시퀀스" 또는 문장과 "비문법적인 시퀀스"를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5] "문법적인" 문장은 직관적으로 "모국어 화자에게 용인되는" 문장으로,[75] "정상적인 문장 억양"으로 발음되며, "훨씬 더 빠르게 기억"되고 "훨씬 더 쉽게 학습"된다.[76]촘스키는 문장이 문법적인지 여부를 결정하지 않는 세 가지 방식을 제시했다. 첫째, 문법적인 문장은 코퍼스에 포함될 필요가 없다. 둘째, 의미가 있을 필요가 없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확률적일 필요가 없다. 촘스키는 색깔 없는 녹색 아이디어는 격렬하게 잠든다라는 예시를 통해 이 세 가지 요점을 모두 보여주었다.[77] 그는 이 문장이 모국어 화자에게 본능적으로 "문법적"이지만,[77] 당시 알려진 어떤 코퍼스에도 포함되지 않았으며 의미가 있지도 않고
촘스키는 "문법은 자율적이며 의미와 독립적"이라고 결론 내리며, "확률 모델은 구문 구조의 기본 문제에 대한 특별한 통찰력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2]
한편, 영국의 언어학자 마커스 토말린은 "색깔 없는 녹색 아이디어가 맹렬하게 잠든다"와 유사한 문장이 수십 년 전 루돌프 카르나프에 의해 제시되었다고 언급했다.[78][79] 이 독일 철학자는 1934년에 "Piroten karulieren elatisch"라는 의사 문장을 제시했는데,[80] 미국의 언어학자 리스 헤이트너에 따르면, 카르나프의 문장은 구문 구조와 음운 구조의 자율성을 보여주었다.[81]
4. 3. 문법 모델과 변형
변형생성 문법도 참조"기초 언어학 이론"이라는 제목의 세 번째 장에서 노엄 촘스키는 주어진 "문법적" 문장의 집합을 적절하게 설명하는 장치 또는 모델이 유한해야 한다고 가정한다. 그는 언어를 마르코프 과정으로 취급하는 유한 상태 문법, 통신 이론 모델[83]을 고려한다.[84] "구조 구문"이라는 제목의 네 번째 장에서 그는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인 구조 구문 문법을 논의한다.[85] "구조 구문 기술의 한계"라는 제목의 다섯 번째 장에서 촘스키는 이 두 모델 모두 언어학적 기술의 목적에 부적절하다고 주장하며, 변형생성 문법(TGG)을 소개한다.[94]

촘스키의 변형 문법은 구조 규칙, 변형 규칙, 음운 형태론 규칙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86] 구조 규칙은 어휘 범주를 확장하고 대체를 위해 사용된다. 이것들은 형태소의 열을 생성한다. 변형 규칙은 "주어진 구조를 가진 주어진 열에 작용하여 새로운 파생 구조를 가진 새로운 열로 변환한다."[6] 그것은 "열을 재정렬하거나 형태소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87] 변형 규칙에는 의무적 또는 선택적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문법의 "터미널 열"에 적용되는 의무적 변환은 "언어의 핵심"을 생성한다.[86] 핵심 문장은 단순하고 능동적이며 서술적이고 긍정적인 문장이다. 수동, 부정, 의문 또는 복합 문장을 생성하려면 특정 순서로 하나 이상의 선택적 변형 규칙을 핵심 문장에 적용해야 한다. 문법의 최종 단계에서 음운 형태론 규칙은 단어의 열을 음소의 열로 변환한다.[87] 촘스키는 이 변형 규칙의 아이디어를 영어 조동사 시스템에 적용한다.[88]
4. 3. 1. 용어 차용
"변형(transformation)"이라는 용어는 젤리그 해리스의 연구에서 빌려왔다. 해리스는 촘스키의 초기 지도교수였다. 해리스는 "변형"이라는 용어를 언어의 문장 간의 동등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했다. 반면에 촘스키는 이 용어를 문장의 기본 구조에 적용되는 형식적인 규칙을 설명하는 데 사용했다.[89]촘스키는 또한 "생성(generative)"이라는 용어를 수학자 에밀 포스트의 이전 연구에서 빌려왔다.[90] 포스트는 "초기 공리적 문장으로부터 기계적으로 추론을 [도출]"하고자 했다.[91] 촘스키는 논리적 추론에 대한 포스트의 연구를 인간 언어의 문자열 (문자 또는 소리의 시퀀스) 집합을 설명하는 데 적용했다. 그는 유한한 규칙 집합이 특정 인간 언어의 잠재적으로 무한한 수의 문장 집합을 "생성"한다(즉, "재귀적으로 열거한다"[92])고 말할 때, 그것이 이러한 문장에 대한 명시적이고 구조적인 설명을 제공한다는 의미이다.[93]
4. 4. 문법의 정당화
촘스키는 자신의 "근본적인 관심"은 "문법의 정당화 문제"라고 언급한다.[94] 그는 언어 이론과 물리학의 이론 사이에 유사점을 제시한다. 특정 언어의 유한한 발화 말뭉치를 "관찰"에 비유하며, 문법 규칙을 법칙에 비유하고, 음소, 구 등과 같은 "가설적 구성물"을 사용하여 표현된다고 보았다.[94]촘스키에 따르면 "문법의 정당화"를 위한 기준은 "충족성의 외부 조건", "일반성의 조건", "단순성"이다. 주어진 언어의 주어진 말뭉치에 대해 가능한 최상의 문법을 선택하기 위해 촘스키는 "평가 절차"(위에서 언급한 기준을 사용)를 선호한다. 그는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사용되었으며, 말뭉치로부터 해당 언어의 올바른 문법을 자동으로 기계적으로 생성한다고 여겨지는 "발견 절차"[96]를 거부한다.[95] 또한 "결정 절차"(경쟁하는 문법 집합에서 언어에 가장 적합한 문법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간주)도 기각한다.[97] 따라서 촘스키는 모든 데이터를 매우 상세하게 경험적으로 다루는 것보다 약간의 "경험적 부적절성"을 감수하더라도 "설명적 깊이"를 선호한다.[98]
4. 5. 영어에서의 변형 문법 적용
촘스키는 영어의 부정문, 수동태, 그리고 예/아니오 및 의문사 의문문 형성에 변형 분석을 적용하여 이론의 유용성을 입증하려 했다.[99] 변형 분석이 영어 문법의 다양한 현상을 단순하고 정돈된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99]4. 6. 구성적 동음이의성과 언어 분석 수준
변형생성문법 제8장 "언어 이론의 설명력"에서 촘스키는 언어 이론이 유효한 문법 문장을 생성하는 것에 만족해서는 안 되며, 언어 표현의 서로 다른 수준에서 다른 구조적 현상들도 설명해야 한다고 기술한다. 특정 언어 수준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갖지만, 그 수준 내에서는 구조적으로 구별할 수 없는 두 항목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구성적 동음이의성"이라고 한다. 관련된 모호성은 더 높은 수준의 언어 분석을 설정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이 더 높은 수준에서 두 항목은 두 개의 다른 구조적 해석을 갖는 것으로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다.촘스키는 구 구조 수준까지 문장을 분석하는 문법은 구 구조 수준에서 많은 구성적 동음이의성을 포함하며, 여기서 발생하는 모호성은 더 높은 수준에서 설명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그는 새로 고안한 "변형 수준"이 자연스럽고 성공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변형 문법만큼 성공적으로 이러한 모호성을 설명할 수 없는 구 구조 문법은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4. 7. 통사론에서의 의미의 역할
촘스키는 "통사론과 의미론"에서 지금까지의 분석이 "완전히 형식적이며 비의미적"이라고 언급한다.[102] 그는 문법이 의미에 의존한다는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 여러 반례를 제시하며, 의미와 문법 형식 사이의 관계가 불완전하고, 정확하지 않으며, 모호하다고 결론 내린다.[103] 따라서 의미를 문법 기술의 기초로 사용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쓸모없다고 주장한다.[103]촘스키는 의미론과 음운론 사이의 유사한 관계를 고려하여, 의미를 기반으로 음소 구별 이론을 구축하려면 방대하고 광대한 자료에 대한 복잡하고 철저하며 힘든 조사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104] 반면, 음소 구별은 쌍 테스트를 통해 직관적인 방식으로, 완전히 비의미적인 용어로 쉽게 설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104]
또한, 촘스키는 엄격한 형식적, 비의미적 통사론적 틀이 궁극적으로 병렬적인 독립적 의미론적 이론을 지원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05]
5. 수사적 스타일
랜디 앨런 해리스는 《통사 구조》가 언어 과학의 "새로운 개념에 차분하고 끈기 있게 호소한다"고 썼다. 그는 이 책이 "명료하고, 설득력 있으며, 통사적으로 대담하고, 이성의 차분한 목소리... [전체] 분야의 상상력과 야망에 직접적으로 말하고 있다"고 평했다.[106] 촘스키는 형식적 언어 모델에 대한 논리적 호소와 더불어 과학의 에토스에 호소하며, 복잡한 영어 보조 동사 시스템 분석을 통해 이론의 우아함을 강조했다. 이러한 분석은 단순한 구 구조 규칙과 변형 규칙을 결합하여 전적으로 형식적 단순성에 기반을 두었으며, 여러 언어학자들은 이를 "아름답다", "강력하다", "우아하다" 등으로 묘사했다.[108][109][110]
반면, 과학 수사학 박사 레이먼드 오엔브링은 촘스키가 변형 규칙의 "참신함을 과장했다"고 생각한다. 그는 젤리그 해리스가 이미 변형 규칙의 버전을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모든 공로를 가져가는 것 같다."고 말한다.[114]
6. 반응
6. 1. 언어학에 미친 영향
찰스 F. 보겔린(Charles F. Voegelin)은 《통사 구조》가 언어 연구의 기존 방식에 근본적인 도전을 제기했으며, 언어학 내에서 "코페르니쿠스 혁명"을 일으킬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115] 마틴 조스(Martin Joos)는 촘스키식 언어 이론을 레너드 블루필드(Leonard Bloomfield) 전통 내의 "이단"이라고 칭했다.[116] 폴 포스탈(Paul Postal)은 1964년에 미국에서 널리 퍼져 있는 통사론적 개념의 대부분이 촘스키의 구조 문법 이론의 "변형"이라고 언급했다.[117] 1965년까지 언어학자들은 《통사 구조》가 "새로운 시대를 열었"고,[118] "놀라운 영향"을 미쳤으며,[119] 토머스 쿤(Thomas Kuhn)의 "혁명"을 일으켰다고 평가했다.[120] 존 라이언스(John Lyons)는 1966년에 "촘스키의 《통사 구조》보다 현재의 언어 이론에 더 큰 영향을 미친 작품은 없다"고 썼다.[121] R. H. 로빈스(R. H. Robins)는 1967년에 촘스키의 《통사 구조》 출판이 "최근 몇 년 동안 일어난 기술 언어학과 언어 이론의 방향 전환에서 가장 급진적이고 중요한 변화"라고 기술했다.[122]프레데릭 뉴마이어(Frederick Newmeyer)는 《통사 구조》가 두 가지 이유로 "혁명적"이라고 평가한다. 첫째, 영어 문법의 일부를 형식적으로 다루면서 형식적이지만 비경험론적 언어 이론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통사론을 언어 이론의 중심에 두어, 형태론과 음운론의 중요성을 상대적으로 낮추었다.[123]
노버트 혼스타인(Norbert Hornstein)은 《통사 구조》가 언어 연구 방법론을 데이터와의 접촉을 기반으로 한 추상적이고 합리주의적인 이론 수립으로 전환시켰으며, 이는 "일반적인 과학적 관행"이라고 평가했다.[124]
6. 2. 다른 분야에 미친 영향
생성 문법의 ''통사 구조''(Syntactic Structures)는 언어 분석에 있어서 심리주의적 관점을 도입하여 심리언어학 연구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59년, 촘스키는 B. F. 스키너의 ''언어 행동''(Verbal Behavior)에 대한 비판적 논평을 통해, 스키너가 주장한 인간의 언어 습득을 외부 자극과 강화에 대한 조건반응으로 보는 행동주의 모델에 반대했다.[126] 촘스키는 인간이 마음 속의 별개의 구문적, 의미적 요소들을 사용하여 언어를 생산하며, 생성 문법은 이러한 근본적인 심리언어학적 현실에 대한 일관된 추상적 설명이라고 주장했다.[125] 촘스키의 주장은 심리언어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쳐 이후 수년간 이 분야의 방향을 바꾸었다.[127]''통사 구조''는 언어 철학자들과 언어학자들 사이에 학제간 대화를 시작했다. 미국의 철학자 존 설은 이 책을 당시의 "놀라운 지적 성과"라고 불렀다. 그는 이 책을 "케인스나 프로이트의 작업"에 비유했다. 그는 이 책이 "언어학의 혁명"을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철학"과 "심리학"에 "혁명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128] 촘스키와, 맹렬하게 반심리주의적인 언어 철학자인 윌러드 반 오먼 콰인은 촘스키의 언어 이론의 장점에 대해 여러 번 논쟁했다.[129] 많은 철학자들이 자연 언어가 선천적이며 구문적으로 규칙에 의해 지배된다는 촘스키의 아이디어를 지지했다. 그들은 또한 의미를 발화에 연결하는 규칙이 인간의 마음에 존재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규칙에 대한 연구는 철학적 의미론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130][131]
언어에 대한 형식적이고 논리적인 처리를 통해 언어학과 새로운 분야인 컴퓨터 과학을 더 가깝게 만들었다. 컴퓨터 과학자 도널드 커누스 (튜링상 수상자)는 1961년에 ''통사 구조''를 읽고 영향을 받았다고 회고했다.[132] ''통사 구조''보다 1년 전에 출판되었고, 그 아이디어를 많이 담고 있는 촘스키의 "세 가지 모델" 논문 ()은 컴퓨터 과학 내에서 형식 언어 이론의 발전에 매우 중요했다.[133]
2011년, 프랑스의 신경과학자 그룹은 실제 뇌 메커니즘이 ''통사 구조''에서 촘스키가 제안한 방식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뇌의 특정 영역이 구문 정보를 추상적인 방식으로 처리한다는 것을 시사했다. 이들은 의미 정보를 처리하는 다른 뇌 영역과는 독립적이다. 더욱이, 뇌는 단지 단어의 문자열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의 계층적 구조를 분석한다. 이러한 관찰은 ''통사 구조''에서 촘스키의 이론적 주장을 입증했다.[134]
2015년, 뉴욕 대학교의 신경과학자들은 인간의 뇌가 언어를 처리하기 위해 "계층적 구조 구축"을 사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했다. 그들은 참가자들의 뇌에서 자기적, 전기적 활동을 측정했다. 그 결과 "[인간의] 뇌가 그들이 들은 구문의 세 가지 구성 요소, 즉 단어, 구, 그리고 문장을 뚜렷하게 추적했다." 이것은 "[언어 구조의 신경 처리]에 대한 계층 구조, 즉 단어, 구, 문장을 동시에 반영했다." 이러한 결과는 뇌 내의 "내부 문법 메커니즘"에 대한 ''통사 구조''에서의 촘스키의 가설을 뒷받침했다.[135]
6. 2. 1. 심리학
생성 문법의 ''통사 구조''(Syntactic Structures)는 언어 분석에 있어서 심리주의적 관점을 도입하여 심리언어학 연구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59년, 촘스키는 B. F. 스키너의 ''언어 행동''(Verbal Behavior)에 대한 비판적 논평을 통해, 스키너가 주장한 인간의 언어 습득을 외부 자극과 강화에 대한 조건반응으로 보는 행동주의 모델에 반대했다.[126] 촘스키는 인간이 마음 속의 별개의 구문적, 의미적 요소들을 사용하여 언어를 생산하며, 생성 문법은 이러한 근본적인 심리언어학적 현실에 대한 일관된 추상적 설명이라고 주장했다.[125] 촘스키의 주장은 심리언어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쳐 이후 수년간 이 분야의 방향을 바꾸었다.[127]6. 2. 2. 철학
''통사 구조''는 언어 철학자들과 언어학자들 사이에 학제간 대화를 시작했다. 미국의 철학자 존 설은 이 책을 당시의 "놀라운 지적 성과"라고 불렀다. 그는 이 책을 "케인스나 프로이트의 작업"에 비유했다. 그는 이 책이 "언어학의 혁명"을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철학"과 "심리학"에 "혁명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128] 촘스키와, 맹렬하게 반심리주의적인 언어 철학자인 윌러드 반 오먼 콰인은 촘스키의 언어 이론의 장점에 대해 여러 번 논쟁했다.[129] 많은 철학자들이 자연 언어가 선천적이며 구문적으로 규칙에 의해 지배된다는 촘스키의 아이디어를 지지했다. 그들은 또한 의미를 발화에 연결하는 규칙이 인간의 마음에 존재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규칙에 대한 연구는 철학적 의미론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130][131]6. 2. 3. 컴퓨터 과학
언어에 대한 형식적이고 논리적인 처리를 통해 언어학과 새로운 분야인 컴퓨터 과학을 더 가깝게 만들었다. 컴퓨터 과학자 도널드 커누스 (튜링상 수상자)는 1961년에 ''통사 구조''를 읽고 영향을 받았다고 회고했다.[132] ''통사 구조''보다 1년 전에 출판되었고, 그 아이디어를 많이 담고 있는 촘스키의 "세 가지 모델" 논문 ()은 컴퓨터 과학 내에서 형식 언어 이론의 발전에 매우 중요했다.[133]6. 2. 4. 신경과학
2011년, 프랑스의 신경과학자 그룹은 실제 뇌 메커니즘이 ''통사 구조''에서 촘스키가 제안한 방식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뇌의 특정 영역이 구문 정보를 추상적인 방식으로 처리한다는 것을 시사했다. 이들은 의미 정보를 처리하는 다른 뇌 영역과는 독립적이다. 더욱이, 뇌는 단지 단어의 문자열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의 계층적 구조를 분석한다. 이러한 관찰은 ''통사 구조''에서 촘스키의 이론적 주장을 입증했다.[134]2015년, 뉴욕 대학교의 신경과학자들은 인간의 뇌가 언어를 처리하기 위해 "계층적 구조 구축"을 사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했다. 그들은 참가자들의 뇌에서 자기적, 전기적 활동을 측정했다. 그 결과 "[인간의] 뇌가 그들이 들은 구문의 세 가지 구성 요소, 즉 단어, 구, 그리고 문장을 뚜렷하게 추적했다." 이것은 "[언어 구조의 신경 처리]에 대한 계층 구조, 즉 단어, 구, 문장을 동시에 반영했다." 이러한 결과는 뇌 내의 "내부 문법 메커니즘"에 대한 ''통사 구조''에서의 촘스키의 가설을 뒷받침했다.[135]
7. 비판
찰스 호켓은 1964년 언어학회(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회장 연설에서 ''통사 구조''(Syntactic Structures)를 "현대 언어학의 4가지 주요 돌파구" 중 하나로 평가했지만,[136][137] 곧 촘스키 언어학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으로 선회했다.[138] 1968년 저서 ''예술의 상태''(The State of the Art)에서 촘스키의 주요 오류는 그가 언어를 잘 정의되고 안정적인 형식적인 시스템으로 취급하고 이러한 이상화된 추상화에서 시작한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139] 호켓은 이러한 이상화는 불가능하다고 믿으며, 우리의 언어 능력이 실제로는 잘 정의된 근본적인 시스템이라는 경험적 증거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인간의 언어 능력을 발생시키는 근원, 예를 들어 물리적 유전자 전달과 문화적 전달 자체가 제대로 정의되지 않았다고 보았다.[139] 또한 호켓은 통사론이 의미 연구와 완전히 독립적이라는 촘스키의 가설에 반대했다.[140]
제프리 샘슨은 촘스키의 가정이 통사론을 과학적 설명의 범위 내로 가져왔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촘스키 언어학이 지나치게 직관에 기반하며, 객관적인 언어 데이터보다 모국어 화자의 주관적인 내성적인 판단에 의존한다고 비판했다.
제프리 K. 풀럼은 ''통사 구조''가 유한 상태 장치가 영어의 모든 문법적인 문장을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명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141] 또한 ''통사 구조''의 독창성이 과장되었으며, 에밀 포스트와 젤리그 해리스의 이전 연구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141] 특히 풀럼은 언어에서 가능한 문장을 생성하기 위해 형식적인 공리적 시스템을 하향식 구문 분석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은 1947년 젤리그 해리스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이는 ''통사 구조''가 출판되기 10년 전이라고 지적하며, ''통사 구조''에서 이 사실이 축소되었다고 주장했다.[141]
1982년, 풀럼과 제럴드 개즈더는 문맥 자유 구 구조 문법에 대한 촘스키의 비판이 수학적으로 결함이 있거나 부정확한 평가에 기반한다고 주장하며, 순수한 구 구조 처리가 언어학적 현상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142][143]
7. 1. 잘못된 이상화
찰스 호켓은 1968년 저서 ''예술의 상태''(The State of the Art)에서 촘스키의 주요 오류는 그가 언어를 잘 정의되고 안정적인 형식적인 시스템으로 취급하고 이러한 이상화된 추상화에서 시작한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139] 호켓은 이러한 이상화는 불가능하다고 믿으며, 우리의 언어 능력이 실제로는 잘 정의된 근본적인 시스템이라는 경험적 증거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인간의 언어 능력을 발생시키는 근원, 예를 들어 물리적 유전자 전달과 문화적 전달 자체가 제대로 정의되지 않았다고 보았다.[139] 또한 호켓은 통사론이 의미 연구와 완전히 독립적이라는 촘스키의 가설에 반대했다.[140]7. 2. 비경험론
제프리 샘슨은 촘스키 언어학이 모국어 화자의 직관에 지나치게 의존하며, 객관적인 제3자에 의해 관찰된 언어 데이터의 중요성이 떨어진다고 비판했다.[40][141][142][143] 샘슨은 촘스키가 직관에 기반한 연구를 한다고 주장한다.7. 3. 《언어학 이론의 논리적 구조》의 영향
제프리 샘슨은 《통사 구조》가 촘스키의 《언어학 이론의 논리적 구조》(LSLT)에 대한 언급을 통해 권위를 얻었지만, LSLT는 오랫동안 출판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40] 제프리 K. 풀럼은 《통사 구조》가 유한 상태 장치의 한계에 대한 엄격한 증명을 LSLT에 암시하지만, 실제로는 LSLT가 유효한 증명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41]7. 4. 독창성
찰스 호켓은 1964년 언어학회(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회장 연설에서 ''통사 구조''(Syntactic Structures)를 "현대 언어학의 4가지 주요 돌파구" 중 하나로 평가했지만,[136][137] 곧 촘스키 언어학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으로 선회했다.[138] 제프리 K. 풀럼은 ''통사 구조''의 "독창성"이 "과장되었다"고 언급하며, 에밀 포스트와 젤리그 해리스의 선행 연구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141] 특히 풀럼은 언어에서 가능한 문장을 생성하기 위해 형식적인 공리적 시스템을 하향식 구문 분석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은 1947년 젤리그 해리스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이는 ''통사 구조''가 출판되기 10년 전이라고 지적하며, ''통사 구조''에서 이 사실이 축소되었다고 주장했다.[141]7. 5. 변형의 필요성
찰스 호켓은 언어학회(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회장 연설에서 ''통사 구조''를 현대 언어학의 주요 돌파구 중 하나로 평가했다.[136][137] 그러나 이후 촘스키 언어학의 강력한 비판자가 되었으며, 촘스키가 언어를 잘 정의되고 안정적인 형식적인 시스템으로 취급하는 것은 불가능한 이상화라고 주장했다.[139] 그는 인간의 언어 능력이 잘 정의된 근본적인 시스템이라는 경험적 증거가 없다고 비판했다.[139] 또한 촘스키의 통사론이 의미 연구와 독립적이라는 가설에 반대했다.[140]제프리 샘슨은 촘스키의 가정이 통사론을 과학적 설명의 범위 내로 가져왔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촘스키 언어학이 지나치게 직관에 기반하며, 객관적인 언어 데이터보다 모국어 화자의 주관적인 내성적인 판단에 의존한다고 비판했다.[40]
제프리 K. 풀럼은 ''통사 구조''가 유한 상태 장치가 영어의 모든 문법적인 문장을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명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141] 또한 ''통사 구조''의 독창성이 과장되었으며, 에밀 포스트와 젤리그 해리스의 이전 연구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141]
1982년, 풀럼과 제럴드 개즈더는 문맥 자유 구 구조 문법에 대한 촘스키의 비판이 수학적으로 결함이 있거나 부정확한 평가에 기반한다고 주장하며, 순수한 구 구조 처리가 언어학적 현상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142][143]
8. 수상
미네소타 대학교 인지과학 센터는 2000년 20세기 인지 과학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개의 작품 목록을 정리했다. ''Syntactic Structures''는 이 목록에서 1위를 차지하며,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지 과학 작품으로 선정되었다.[144]
''Syntactic Structures''는 마틴 세이모어-스미스가 쓴 ''역대 가장 영향력 있는 책 100권''에 포함되었다.[145] 또한 타임지가 선정한 1923년 이후 최고의 영어 논픽션 도서 100권 목록에도 포함되었다.[146]
9. 에피소드
저명한 컴퓨터 과학자 도널드 커누스는 신혼여행 동안 이 책을 읽고 큰 영향을 받았다고 2003년 저서 ''Selected Papers on Computer Languages'' 서문을 통해 밝혔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Western linguistics: An historical introduction
Wiley-Blackwell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Syntactic Structures
Mouton de Gruyter
2020-02-26
[10]
서적
[11]
서적
Prolegomena to a Theory of Languag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9
[12]
서적
[13]
웹사이트
The Cognitive Science Millennium Project
http://www.cogsci.um[...]
2004-08-21
[14]
문서
See [[Syntactic Structures#Reception|the "Reception" section]] of this article.
[15]
간행물
Human nature and the origins of language
http://radicalanthro[...]
2020-02-25
[16]
간행물
Sociobiology and you
https://www.thenatio[...]
2020-02-25
[17]
문서
See [[Syntactic Structures#Criticisms|the "Criticisms" section]] of this article.
[18]
서적
[19]
웹사이트
Noam Chomsky interviewed by David Samuels
https://chomsky.info[...]
2016-11-16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논문
Review of Prolegomena to a Theory of Language by Louis Hjelmslev, translated by Francis J. Whitfield
1954
[42]
서적
Prolégomènes à une théorie du langage
Les éditions de minuit
1971
[43]
서적
Prolégomènes à une théorie du langage
Les éditions de minuit
1971
[44]
서적
[45]
논문
Immediate constituents
1947
[46]
서적
Why Only Us: Language and Evolution
MIT Press
2015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논문
Three Models for the Description of Language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웹사이트
On Syntactic Structures
http://facultyoflang[...]
2017-01-27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웹사이트
Chomsky Was Right, NYU Researchers Find: We Do Have a "Grammar" in Our Head
http://www.nyu.edu/a[...]
[136]
서적
[137]
문서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142]
서적
[143]
문서
Versions of such non-transformational phrase structure grammars include Generalized phrase structure grammar (GPSG),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 (HPSG) and Lexical functional grammar (LFG).
[144]
웹사이트
See the list of the 100 most influential works in cognitive science from the 20th century online here
https://web.archive.[...]
[145]
서적
[146]
간행물
All-TIME 100 Nonfiction Books : Syntactic Structures
https://entertainmen[...]
2016-08-17
[147]
웹사이트
Visual Syntactic Structures
http://www.emaki.net[...]
Emaki Productions
[148]
서적
Syntactic Structures
Mouton
[149]
서적
영어 문법의 이해
한신문화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