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리아의 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가리아의 언어는 불가리아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불가리아어는 불가리아의 유일한 공용어이며, 슬라브어파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불가리아에는 튀르키예어, 로마니어를 포함한 소수 민족 언어도 사용되며, 과거에는 프랑스어가,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시대에는 러시아어가 중요한 외국어였으나, 현재는 영어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외국어이다.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불가리아어 사용자가 가장 많았으며, 튀르키예어와 로마니어가 그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가리아의 언어 - 루마니아어
루마니아어는 고대 로마 시대 속어 라틴어에서 기원하여 다키아 지역에서 발전,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공용어이고,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를 가진 로망스어이다. - 불가리아의 언어 - 마케도니아어
마케도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북마케도니아의 공용어이며 불가리아어와 가장 가까운 친족 관계를 가지고 발칸어 연합의 특징을 공유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불가리아의 언어 | |
---|---|
언어 정보 | |
국가 | 불가리아 |
공용어 | 불가리아어 |
소수 언어 | 튀르키예어, 로마니어 |
외국어 | 영어 (25%) http://ec.europa.eu/public_opinion/archives/ebs/ebs_386_en.pdf 러시아어 (23%) 독일어 (8%) |
수화 | 불가리아 수화 |
키보드 | 불가리아 |
![]() |
2. 불가리아어
불가리아어는 불가리아의 유일한 공용어이다. 불가리아 인구의 대다수가 사용하며 사회 모든 계층에서 사용된다. 슬라브어이며, 가장 가까운 친족 언어는 마케도니아어이다.
불가리아어는 키릴 문자로 표기되며, 이 문자는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세르비아어, 마케도니아어에서도 사용된다.
2. 1. 특징
불가리아어는 불가리아의 유일한 공용어이다. 불가리아 인구의 대다수가 사용하며 사회 모든 계층에서 사용된다. 슬라브어이며, 가장 가까운 친족 언어는 마케도니아어이다.불가리아어는 키릴 문자로 표기되며, 이 문자는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세르비아어, 마케도니아어에서도 사용된다.
3. 소수 민족 언어
'''튀르키예어'''
튀르크인은 불가리아에서 가장 큰 소수 민족 집단을 이룬다. 불가리아의 튀르크인은 14세기 말과 15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발칸 정복 이후 다르다넬스 해협과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아나톨리아에서 온 튀르크계 정착민의 후손이며, 오스만 제국 통치 시대에 튀르크화된 불가리아 개종자이기도 하다.[6][7]
'''로마니'''
로마니족은 불가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소수 민족 집단을 이룬다. 불가리아의 로마니족은 13세기 말[8]에 다르다넬스 해협과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인도에서 온 로마니족 유목민의 후손이며, 14세기 말과 15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발칸 정복 이후와 5세기에 걸친 오스만 제국 통치 시대에도 유입되었다.[8][9]
'''기타'''
다른 소수 민족 언어로는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아르메니아어, 타타르어, 그리스어, 루마니아어 및 아로마니아어가 사용된다(후자 두 언어는 불가리아에서 "블라흐어"로 통칭되는 경우가 많다).
3. 1. 튀르키예어
튀르크인은 불가리아에서 가장 큰 소수 민족 집단을 이룬다. 불가리아의 튀르크인은 14세기 말과 15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발칸 정복 이후 다르다넬스 해협과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아나톨리아에서 온 튀르크계 정착민의 후손이며, 오스만 제국 통치 시대에 튀르크화된 불가리아 개종자이기도 하다.[6][7]3. 2. 로마니어
불가리아의 로마니족은 불가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소수 민족 집단을 이룬다.[8] 불가리아의 로마니족은 13세기 말다르다넬스 해협과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인도에서 온 로마니족 유목민의 후손이며, 14세기 말과 15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발칸 정복 이후와 5세기에 걸친 오스만 제국 통치 시대에도 유입되었다.[8][9]3. 3. 기타 소수 언어
다른 소수 민족 언어로는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아르메니아어, 타타르어, 그리스어, 루마니아어 및 아로마니아어가 사용된다(후자 두 언어는 불가리아에서 "블라흐어"로 통칭되는 경우가 많다).[6][7][8][9]4. 외국어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불가리아에서 가장 인기 있었던 외국어는 프랑스어였다. 1946년부터 1989년까지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시대에는 러시아어가 가장 중요한 외국어였으며, 학교에서 철저하게 교육되어 1975년까지 태어난 대부분의 불가리아인은 러시아어를 어느 정도 구사할 수 있었다.
1989년 11월 10일 이후, 특히 불가리아가 NATO에 가입한 2004년 4월 20일과 EU에 가입한 2007년 1월 1일 이후에는 영어가 가장 중요하고 널리 보급된 외국어가 되었다. 2024년 유로바로미터 조사에 따르면, 불가리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외국어는 영어(29%)이며, 러시아어(14%), 독일어(5%) 순이다.[10] 2012년 조사 이후 러시아어 사용자가 9% 감소했는데,[11] 이는 학교에서 러시아어를 배운 사람들이 고령층에 속하고, 일부는 사망하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언어를 잊어버렸기 때문이다. 미래에 자녀들이 배우는 데 가장 유용할 언어로는 영어가 81%로 압도적이었고, 독일어가 20%, 러시아어와 스페인어가 각각 7%로 그 뒤를 이었다.
4. 1. 역사적 변천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불가리아에서 가장 인기 있었던 외국어는 프랑스어였다. 1946년부터 1989년까지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시대에는 러시아어가 가장 중요한 외국어였으며, 학교에서 철저하게 교육되어 1975년까지 태어난 대부분의 불가리아인은 러시아어를 어느 정도 구사할 수 있었다.1989년 11월 10일 이후, 특히 불가리아가 NATO에 가입한 2004년 4월 20일과 EU에 가입한 2007년 1월 1일 이후에는 영어가 가장 중요하고 널리 보급된 외국어가 되었다. 2024년 유로바로미터 조사에 따르면, 불가리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외국어는 영어(29%)이며, 러시아어(14%), 독일어(5%) 순이다.[10] 2012년 조사 이후 러시아어 사용자가 9% 감소했는데,[11] 이는 학교에서 러시아어를 배운 사람들이 고령층에 속하고, 일부는 사망하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언어를 잊어버렸기 때문이다. 미래에 자녀들이 배우는 데 가장 유용할 언어로는 영어가 81%로 압도적이었고, 독일어가 20%, 러시아어와 스페인어가 각각 7%로 그 뒤를 이었다.
4. 2. 최근 현황 (2024년 유로바로미터 조사)
2024년에 실시된 유로바로미터 조사에 따르면, 불가리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외국어는 영어로, 응답자의 29%가 실용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답했으며, 그 뒤를 러시아어 (14%)와 독일어 (5%)가 이었다.[10] 이는 2012년의 이전 조사 이후 러시아어 사용자가 9% 감소한 것이다.[11] 이는 학교에서 러시아어를 배운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이가 많은 세대 출신이고, 일부는 사망했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 언어를 잊어버렸기 때문이다. 모국어 외에 자녀들이 미래에 배우는 데 가장 유용할 두 가지 언어를 묻는 질문에, 압도적인 다수의 응답자는 영어 (81%)를 선택했고, 독일어가 두 번째 (20%), 러시아어와 스페인어가 공동 세 번째 (각 7%)를 기록했다.5. 인구 조사
2011년 인구 조사에서, 모국어에 대한 선택 질문에 6,642,154명이 응답했으며, 이는 전체 인구의 90%를 약간 넘는 수치이다.[4] 응답자 중 불가리아어 사용자는 5,659,024명(85.20%), 튀르키예어 사용자는 605,802명(9.12%), 로마니 사용자는 281,217명(4.23%)이었다. 그 외 러시아어(0.24%), 아르메니아어(0.08%), 루마니아어(0.08%), 그리스어(0.05%), 아로마니아어 및 루마니아어(0.03%), 우크라이나어(0.03%), 마케도니아어(0.02%), 아랍어(0.02%), 크림 타타르어(0.02%) 사용자 등이 있었다. 기타 언어 사용자는 10,623명(0.16%)이며, 스스로 식별하지 않은 응답자는 47,564명(0.72%)이었다.
모국어 | 화자 수 | 응답자 비율 |
---|---|---|
불가리아어 | 5,659,024 | 85.20% |
튀르키예어 | 605,802 | 9.12% |
로마니 | 281,217 | 4.23% |
러시아어 | 15,808 | 0.24% |
아르메니아어 | 5,615 | 0.08% |
루마니아어 | 5,523 | 0.08% |
그리스어 | 3,224 | 0.05% |
"Vlach" (아로마니아어 및 루마니아어) | 1,826 | 0.03% |
우크라이나어 | 1,755 | 0.03% |
마케도니아어 | 1,404 | 0.02% |
아랍어 | 1,397 | 0.02% |
크림 타타르어 | 1,372 | 0.02% |
기타 | 10,623 | 0.16% |
스스로 식별하지 않음 | 47,564 | 0.72% |
총 반환 | 6,642,154 | 100% |
총 인구 | 7,364,570 |
2001년 인구 조사에서는 민족 집단을 "기원과 언어로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생활 방식과 문화 면에서 서로 가까운 사람들의 공동체"로 정의하고, 모국어를 "개인이 가장 잘 구사하고 일반적으로 가족(가구) 내 의사 소통에 사용하는 언어"로 정의한다.[5]
모국어 | 민족 집단별 | 비율 | 제1 언어별 | 비율 |
---|---|---|---|---|
불가리아어 | 6,655,210 | 83.93% | 6,997,000 | 88.46% |
튀르키예어 | 746,660 | 9.42% | 663,000 | 8.62% |
로마어 | 370,910 | 4.67% | 128,000 | 1.13% |
기타 | 69,000 | 0.87% | 71,000 | 0.89% |
합계 | 7,928,900 | 100% | 7,928,900 | 100% [5] |
5. 1. 2011년 인구 조사
2011년 인구 조사에서, 모국어에 대한 선택 질문에 6,642,154명이 응답했으며, 이는 전체 인구의 90%를 약간 넘는 수치이다.[4] 응답자 중 불가리아어 사용자는 5,659,024명(85.20%), 튀르키예어 사용자는 605,802명(9.12%), 로마니 사용자는 281,217명(4.23%)이었다. 그 외 러시아어(0.24%), 아르메니아어(0.08%), 루마니아어(0.08%), 그리스어(0.05%), 아로마니아어 및 루마니아어(0.03%), 우크라이나어(0.03%), 마케도니아어(0.02%), 아랍어(0.02%), 크림 타타르어(0.02%) 사용자 등이 있었다. 기타 언어 사용자는 10,623명(0.16%)이며, 스스로 식별하지 않은 응답자는 47,564명(0.72%)이었다.모국어 | 화자 수 | 응답자 비율 |
---|---|---|
불가리아어 | 5,659,024 | 85.20% |
튀르키예어 | 605,802 | 9.12% |
로마니 | 281,217 | 4.23% |
러시아어 | 15,808 | 0.24% |
아르메니아어 | 5,615 | 0.08% |
루마니아어 | 5,523 | 0.08% |
그리스어 | 3,224 | 0.05% |
"Vlach" (아로마니아어 및 루마니아어) | 1,826 | 0.03% |
우크라이나어 | 1,755 | 0.03% |
마케도니아어 | 1,404 | 0.02% |
아랍어 | 1,397 | 0.02% |
크림 타타르어 | 1,372 | 0.02% |
기타 | 10,623 | 0.16% |
스스로 식별하지 않음 | 47,564 | 0.72% |
총 반환 | 6,642,154 | 100% |
총 인구 | 7,364,570 |
5. 2. 2001년 인구 조사
2001년 인구 조사에서는 민족 집단을 "기원과 언어로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생활 방식과 문화 면에서 서로 가까운 사람들의 공동체"로 정의하고, 모국어를 "개인이 가장 잘 구사하고 일반적으로 가족(가구) 내 의사 소통에 사용하는 언어"로 정의한다.[5]모국어 | 민족 집단별 | 비율 | 제1 언어별 | 비율 |
---|---|---|---|---|
불가리아어 | 6,655,210 | 83.93% | 6,997,000 | 88.46% |
튀르키예어 | 746,660 | 9.42% | 663,000 | 8.62% |
로마어 | 370,910 | 4.67% | 128,000 | 1.13% |
기타 | 69,000 | 0.87% | 71,000 | 0.89% |
합계 | 7,928,900 | 100% | 7,928,900 | 100% [5] |
참조
[1]
웹사이트
SPECIAL EUROBAROMETER 386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http://ec.europa.eu/[...]
ec.europa.eu
[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Bulgaria
https://www.parliame[...]
2020-08-30
[3]
웹사이트
Bulgaria – Languages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4]
서적
Преброяване на населението и жилищния фонд през 2011 година
https://www.nsi.bg/s[...]
[5]
웹사이트
Population by ethnic group and mother tongue, 2001
http://www.culturalp[...]
2008-12-02
[6]
서적
The Politics of National Minority Participation in Post-communist Europe
M.E. Sharpe
[7]
서적
A concise history of Bulgar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Ethnic Dimensions of poverty in Bulgaria
[9]
간행물
Gypsies in the Ottoman Empire: a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the Balkans
[10]
웹사이트
Special Eurobarometer 540 -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https://europa.eu/eu[...]
EC
2024-05
[11]
웹사이트
Special Eurobarometer 386 -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http://ec.europa.eu/[...]
EC
2012-06
[12]
기타
Комисар Орбан: Българският език се интегрира успешно като официален език на ЕС, Брюксел, 25 май 2007 г.
[13]
웹인용
2011년 불가리아 인구 공식 조사
http://censusresults[...]
2012-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