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월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귤(Vaccinium vitis-idaea)은 진달래과에 속하는 상록 활엽 관목으로, 유라시아 북부와 북아메리카의 한대 지역에 분포한다. 붉은색 열매는 잼, 주스, 시럽 등으로 가공되어 식용되며, 스웨덴식 미트볼, 핀란드와 노르웨이의 순록 또는 무스 스테이크와 함께 곁들여 먹기도 한다. 월귤은 잎 크기에 따라 두 가지 변종으로 나뉘며, 전통 의학에서 식욕 촉진 및 수렴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현재 미시간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코네티컷에서는 지역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상 희귀식물 - 한란
    한란은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겨울에 꽃을 피우는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녹색 바탕에 붉은색 줄무늬가 있는 꽃이 피고 관상 가치가 높아 동양란으로 인정받지만, 한국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상 희귀식물 - 문주란
    문주란은 수선화과 여러해살이풀로, 여름에 흰색 향기로운 꽃을 피우며,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온난 지역에 분포하고, 독성이 있어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 산앵도나무속 - 블루베리
    블루베리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푸른 열매로, 전 세계에서 재배되며 생과나 가공품으로 이용되고 안토시아닌이 풍부하여 항산화 효과와 다양한 건강 효능을 가진다.
  • 산앵도나무속 - 넌출월귤
    넌출월귤은 덩굴성 관목으로, 7월에 연분홍색 꽃을 피우고 9-10월에 붉은색 장과 열매를 맺으며, 온대 북반구의 서늘한 기후에서 자라는 크랜베리 식용 식물이다.
  • 과일 - 배나무
    배나무는 꽃눈 형성이 잘 되고 잎은 달걀 모양이며 흰색 꽃이 피고 이과 열매가 맺는 식물로, 주요 품종은 초주로, 코스이, 호스이 등이 있으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재배되고 요리 및 선물용으로 사용되며 혈액 정화, 피로 회복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 과일 - 매실나무
    매실나무는 중국 남부 원산의 장미과 낙엽 교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여름에 청매와 황매로 나뉘는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재배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월귤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
진정쌍떡잎식물군
진달래목
진달래과
아과산앵도나무아과
산앵도나무속
월귤 (V. vitis-idaea)
학명
학명Vaccinium vitis-idaea
명명자L.
발표 년도1753년
이명
이명 목록Vaccinium vitis-idaea L. subsp. minus (Lodd., G.Lodd. et W.Lodd.) Hultén (1937년)
Vaccinium vitis-idaea L. var. minus Lodd., G.Lodd. et W.Lodd. (1825년)
Vaccinium minus (Lodd., G.Lodd. et W.Lodd.) Vorosch. (1963년)
Rhodococcum vitis-idaea (L.) Avrorin (1959년)
Rhodococcum minus (Lodd., G.Lodd. et W.Lodd.) Avrorin (1722년)
Myrtillus exigua Bubani
Rhodococcum vitis-idaea Avrorin
Vaccinium jesoense Miq.
Vitis-idaea punctata Moench
Vitis-idaea punctifolia Gray
Vaccinium vitis-idaea var. minus Lodd., G.Lodd. & W.Lodd.
Vitis-idaea punctata var. minor (Lodd., G.Lodd. & W.Lodd.) Moldenke
분포 및 서식지
분포북반구
서식지툰드라, 산림 지대
보존 상태
IUCNLC (최소 관심)
NatureServeG5 (안정)
일반 정보
한국어 이름월귤
코케모모 (일제강점기)
영어 이름lingonberry
cowberry
foxberry
mountain cranberry
lowbush cranberry
partridgeberry
일본어 이름코케모모 (苔桃)
히로하코케모모
오오바코케모모

2. 분포 및 생태

월귤은 가장 추운 해에도 잎을 겨울 내내 유지하는데, 이는 활엽수로서는 드문 일이다. 비록 자연 서식지에서는 눈 덮개로 인해 심한 추위로부터 보호받는 경우가 많다. 매우 튼튼하여 -45°C 이하의 온도도 견딜 수 있지만, 여름이 더운 곳에서는 잘 자라지 못한다. 약간의 그늘(숲의 수관과 같은)과 항상 습한 산성 토양을 선호한다. 영양분이 부족한 토양은 견딜 수 있지만, 알칼리성 토양은 견디지 못한다.

자생지는 유라시아 북부와 북아메리카의 주변 북방림(북반구의 한대림)으로, 북반구 북부의 온대에서 북극권에 가까운 지역까지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큐슈에 분포한다. 아고산에서 고산눈잣나무 등의 침엽수림 아래, 암석지 등에 자생한다. 숲에서 생육하기 때문에, 그늘지고 습도가 높으며, 토양이 산성인 곳을 좋아한다. 많은 진달래과의 식물과 마찬가지로, 영양분이 적은 토지에서도 견딜 수 있지만, 알칼리성 토양에서는 생육할 수 없다. 내한성이 뛰어나 -40°C 이하에서도 견딜 수 있는 한편, 여름이 더운 곳에서는 생육하기 어렵다.

3. 형태

월귤은 지하 줄기를 뻗어 빽빽한 클론 군락을 형성한다.[6] 가늘고 부서지기 쉬운 뿌리는 지하 줄기에서 자란다. 줄기는 단면이 둥글고 높이가 10cm에서 40cm이다. 잎은 어긋나게 자라며, 타원형이고 길이는 5mm에서 30mm이며 가장자리가 약간 물결 모양이고, 때로는 끝이 움푹 들어간 모양이다.

은 종 모양이고 흰색에서 옅은 분홍색이며 길이는 3mm에서 8mm이다.[7] 5~10세부터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8] 이 꽃은 ''Andrena lapponica''를 포함한 여러 곤충 종과 여러 종의 호박벌에 의해 수분된다.[8]

열매는 붉은 장과이며, 지름은 6mm에서 10mm이고, 신맛이 나며, 늦여름에서 가을에 익는다.[9] 시즌 초반에는 쓴맛이 나지만, 겨울 동안 가지에 두면 단맛이 난다.[10] 세포학적 분석 결과 2n = 24이다.[11]

상록 활엽수의 작은 관목으로, 수고는 10cm~20cm 정도이며, 줄기의 아랫부분은 땅을 기고, 잘 분기되어 직립한 줄기는 빽빽하게 밀집되어 있다.

은 어긋나기하고, 잎몸은 길이 1cm~3cm의 장타원형에서 도란형으로, 가죽질이고 광택이 있으며, 뒷면은 옅은 녹색이다. 한랭지에 생육하는 활엽수이지만, 겨울에도 잎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지중의 뿌리줄기를 뻗어 개체가 확대된다.

개화 시기는 초여름(6~7월경)이다. 가지 끝에 총상 화서를 만들고, 엷은 홍색을 띤 흰색 을 피운다. 화관은 길이 약 6mm의 종 모양이며, 얕게 4갈래로 갈라져 뒤로 젖혀진다. 결실 시기는 8~10월이며, 열매는 직경 7mm 정도의 구형으로, 가을에 붉게 익는다.

월귤과 크랜베리는 자주 혼동되지만, 꽃이 희고, 화관이 부분적으로 수술과 암술머리를 둘러싸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크랜베리의 꽃은 분홍색이고, 화관이 뒤로 젖혀져 있다). 또한 열매도 구형이며, 크랜베리만큼 서양배 모양이 아니다. 월귤과 마찬가지로 과수로 이용되는 진달래속 식물로는, 블루베리, 빌베리, 해클베리 등이 있다. 월귤은 링곤베리영어, 푸오르카fi라고 불린다.

4. 종류

월귤(''Vaccinium vitis-idaea'')은 크랜베리와 비교했을 때, 수술과 암술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흰색 꽃잎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V. myrtillus와는 꽃잎이 뒤로 젖혀지는 분홍색 꽃을 가지며, 열매는 더 둥글고 덜 배 모양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Vaccinium vitis-idaea''와 ''V. myrtillus'' 사이의 잡종 식물인 ''Vaccinium × intermedium'' Ruthe는 유럽에서 드물게 발견된다.

월귤은 잎 크기에 따라 두 개의 지역 변종 또는 아종으로 나뉘며, 하나는 유라시아에, 다른 하나는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이름분포 지역잎 길이
V. vitis-idaea var. vitis-idaea (카우베리)유라시아10mm - 30mm
V. vitis-idaea var. minus (린곤베리)북아메리카5mm - 18mm[9]


5. 용도

야생에서 채집한 월귤은 핀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발트해 국가, 폴란드, 슬로바키아, 카렐리아, 러시아 등 북부, 중앙, 동부 유럽에서 인기 있는 과일이다.[28] 특유의 시큼한 맛 때문에 월귤잼, 주스, 콩포트, 시럽 등으로 조리하거나 당화해서 먹는다.

생 월귤은 86%가 물이고, 13%는 탄수화물, 1%는 단백질이며, 지방은 거의 없다.[27] 100g 기준 54kcal를 제공하며, 비타민 C, 비타민 B, 무기질을 소량 함유하고 있다.[27]

월귤 잼을 토스트에 얹은 모습


핀란드 탐페레의 전통 음식 ''무스타마카라''와 함께 제공되는 월귤 잼


스웨덴에서는 스웨덴식 미트볼을 삶거나 으깬 감자, 그레이비 소스와 함께 월귤 잼을 곁들여 먹는다. 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에서는 순록과 무스 스테이크에 그레이비와 월귤 소스를 곁들이는 것이 전통이다. 보존된 월귤은 미트볼뿐만 아니라 감자 팬케이크와 함께 먹기도 한다.

알래스카 원주민들은 월귤을 로즈힙 펄프, 설탕과 섞어 잼을 만들거나 소스로 요리하고, ভবিষ্যতের জন্য 보관한다.[29] 다켈족은 잼을 만들고,[30] 코유콘족은 겨울에 사용하기 위해 얼린다.[31] 이누이트족은 주스를 희석하고 달게 하여 음료를 만들거나, 봄을 위해 얼려 보관하며, 잼과 젤리를 만든다.[32] 이누피아크족은 냉동 생선 알과 함께 휘저어 먹거나, 통조림 우유와 물개 기름을 섞어 으깨 먹는 등 두 가지 디저트를 만든다. 생선 알, 생선 (화이트피시, 시피시, 파이크) 및 블러버를 넣고 요리하기도 한다.[33]

타나나 애서배스칸족은 설탕과 밀가루를 넣고 끓여 걸쭉하게 만들거나, 생으로 또는 설탕, 기름과 섞어 먹는다. 설탕이나 말린 생선 알과 함께 기름에 튀기거나, 파이, 잼, 젤리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월귤을 단독으로 또는 기름에 보존하여 자작나무 껍질 바구니에 담아 땅속에 보관하거나 얼리기도 한다.[34]

붉게 익은 월귤은 생으로 먹거나 , 과실주 등으로 만들 수 있다. 아이누어에서 유래한 '프렙'이라고 불리며, 사할린 아이누는 에노노카(사할린 아이누어: enonoka)라고 부른다.[49][50] 북유럽, 특히 스칸디나비아 국가에서는 공유지에서 야생 월귤을 수확하는 것이 허용된다. 단맛과 적당한 산미가 있어 설탕 등을 넣고 졸여 잼, 콤포트(설탕조림), 주스, 시럽, 젤리, 아이스크림 재료로 가공한다. 장기 보존에는 설탕절임이 적합하며, 월귤 콤포트는 고기 요리에 곁들이기도 한다.

월귤에는 유기산, 비타민 C, β-카로틴, 비타민 B류 외에도 칼륨, 칼슘, 마그네슘, 이 들어 있다.

잎에는 알부틴[51], 메틸알부틴 등 색소 침착 예방 및 자외선으로 인한 기미, 주근깨 개선에 효과가 있는 화학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일본과 북아메리카에서는 우바우르시(일본에는 자생하지 않음) 대용 약초로 이용된다.

6. 문화

알래스카 원주민들은 월귤 열매를 로즈힙 펄프 및 설탕과 섞어 잼을 만들거나, 소스로 요리하고, ভবিষ্যতের 사용을 위해 보관한다.[29] 다켈족은 이 열매로 잼을 만든다.[30] 코유콘족은 겨울에 사용하기 위해 월귤 열매를 얼린다.[31] 이누이트족은 월귤 주스를 희석하고 달게 하여 음료를 만들고, 봄철을 위해 얼려 보관하며, 잼과 젤리를 만든다.[32] 이누피아크족은 월귤로 두 가지 디저트를 만드는데, 하나는 열매를 냉동 생선 알과 함께 휘저어 먹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생 열매를 통조림 우유 및 물개 기름과 함께 으깨는 것이다. 또한, 생선 알, 생선 (화이트피시, 시피시 또는 파이크) 및 블러버를 넣고 요리한 월귤 요리도 만든다.[33]

타나나 애서배스칸족은 월귤을 설탕과 밀가루를 넣고 끓여 걸쭉하게 만들거나, 생 열매를 그냥 먹거나 설탕, 기름 또는 이 둘을 섞어 먹는다. 또한, 설탕이나 말린 생선 알과 함께 기름에 튀기거나, 파이, 잼, 젤리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그들은 월귤을 단독으로 또는 기름에 보존하여 자작나무 껍질 바구니에 담아 땅속에 보관하거나 얼려서 보관한다.[34]

7. 보존

이 식물은 미시간에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21] ''minus'' 아종은 특별 관심 종으로 지정되었으며, 코네티컷에서는 지역적으로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다.[22][23]

8. 기타

니히타왁 크리족은 ''minus'' 아종의 열매를 사용하여 고슴도치 깃털에 색을 입히고, 단단하고 잘 익은 열매를 끈에 꿰어 목걸이로 착용한다.[36] 캐나다 서부 이누이트는 ''minus'' 아종을 담배 첨가물 또는 대체물로 사용한다.[39]

참조

[1] IUCN "''Vaccinium vitis-idaea''" 2016
[2] 웹사이트 "''Vaccinium vitis-idaea''. NatureServe Explorer 2.0" https://explorer.nat[...]
[3] 웹사이트 "''Vaccinium vitis-idaea'' L. " http://www.theplantl[...]
[4] 간행물 Economic Evaluation of Lingonberry Production in Oregon https://web.archive.[...] Oregon State University Extension Service 2003-12
[5] 웹사이트 10 things to know about Sweden's food culture http://www.sweden.se[...] Sweden.se 2013-08-26
[6] 웹사이트 Vaccinium vitis-idaea {{!}} Landscape Plants {{!}} Oregon State University https://landscapepla[...] 2024-11-02
[7]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erbs and their Medicinal and Culinary Uses Dorset Press
[8] 논문 Vaccinium Vitis-Idaea L. https://www.jstor.or[...] 1955
[9] 문서 "Flora of North America: ''Vaccinium vitis-idaea''" http://www.efloras.o[...]
[10] 서적 The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Wildflowers, Eastern Region Knopf
[11] 논문 Nuclear DNA contents and ploidy levels of North American Vaccinium species and interspecific hybrids Elsevier BV
[12] 서적 Advances in new crops http://www.hort.purd[...] Timber Press
[13] 문서 Gray's Manual of Botany: [[Asa Gray]]
[14] PLANTS
[15] 서적 Altnord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Brill 1962
[16] 서적 Plants and their names : a concise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Dictionary of Plant Names Hamlyn Books
[18] 사전 idaein http://www.merriam-w[...]
[19] 웹사이트 Raspberries http://www.botanical[...] Botanical-online 2019-01-19
[20] 서적 Dictionary of American Regional English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11-16
[21] 웹사이트 Plants Profile for Vaccinium vitis-idaea (ligonberry) https://plants.usda.[...] 2018-01-07
[22] 문서 "Connecticut's Endangered, Threatened and Special Concern Species 2015" http://www.ct.gov/de[...] State of Connecticut Department of Energ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Bureau of Natural Resources 2017-01-07
[23] 웹사이트 NatureServe Explorer 2.0 https://explorer.nat[...] 2022-12-08
[24] 뉴스 Plant wonders: Healthy lingonberries can be grown in the garden, too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21-05-24
[25]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Vaccinium vitis-idaea Koralle Group AGM / RHS Gardening https://www.rhs.org.[...] Apps.rhs.org.uk 2021-03-16
[26]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7-07
[27] 웹사이트 Lingonberry, raw - Nutrition Information and Facts https://frida.foodda[...] 2015-09-17
[28] 웹사이트 Picking flowers, berries, mushrooms, etc. http://www.swedishep[...] Naturvårdsverket 2016-03-13
[29] 문서 Edible and Poisonous Plants of Alaska University of Alaska 1953
[30] 문서 Plants of Carrier Country Fort St. James, BC. Carrier Linguistic Committee 1973
[31] 문서 Make Prayers to the Raven—A Koyukon View of the Northern Forest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32] 문서 Edible Plants of the Arctic Arctic 6:15-34 1953
[33] 문서 Nauriat Niginaqtuat = Plants That We Eat Kotzebue, Alaska. Maniilaq Association Traditional Nutrition Program 1983
[34] 문서 Upper Tanana Ethnobotany Anchorage. Alaska Historical Commission 1985
[35] 문서 Notes Sur L'ethnobotanique D'anticosti Archives de Folklore 1:60-71 1946
[36] 서적 Wild Plant Use by the Woods Cree (Nihithawak) of East-Central Saskatchewan National Museums of Canada 1985
[37] 논문 Ethnobotany of The Eskimos of Nelson Island, Alaska 1980
[38] 논문 Plants Used by the Eskimo of the Northern Bering Sea and Arctic Regions of Alaska 1939
[39] 간행물 Notes on Ethnobotany in Inuktitut 1978
[40] 학위논문 Upper North Wakashan and Southern Tsimshian Ethnobotany: The Knowledge and Usage of Plant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993
[41] 웹사이트 "''Vaccinium vitis-idaea'' (Ericaceae)" https://web.archive.[...] Dr. Duke's Phytochemical and Ethnobotanical Databases 2011-05-22
[42] Harvp Maiz-Tome 2016
[43] YList Vaccinium vitis-idaea L. コケモモ(標準) 2022-12-20
[44] YList Vaccinium vitis-idaea L. subsp. minus (Lodd., G.Lodd. et W.Lodd.) Hultén コケモモ(シノニム) 2022-12-20
[45] YList Vaccinium vitis-idaea L. var. minus Lodd., G.Lodd. et W.Lodd. コケモモ(シノニム) 2022-12-20
[46] YList Vaccinium minus (Lodd., G.Lodd. et W.Lodd.) Vorosch. コケモモ(シノニム) 2022-12-20
[47] YList Rhodococcum vitis-idaea (L.) Avrorin コケモモ(シノニム) 2022-12-20
[48] YList Rhodococcum minus (Lodd., G.Lodd. et W.Lodd.) Avrorin コケモモ(シノニム) 2022-12-20
[49] 서적 366日誕生花の本 日本ヴォーグ社 1990-11-30
[50] 웹사이트 植物編 §099 コケモモ Vaccinium Vitis-Idaea L. アイヌと自然デジタル図鑑 https://ainugo.nam.g[...]
[51] 웹사이트 スーパーフード「コケモモ」から7種の植物性アルブチンを抽出 美白だけじゃない!エイジングケア化粧品原料を開発 〜未利用若葉を活用して産地・環境に配慮した化粧品事業を推進〜 https://www.saticine[...] サティス製薬 2021-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