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비는 백제가 538년 웅진에서 도읍을 옮긴 후 멸망할 때까지 122년간 수도로 삼았던 지역이다. 성왕은 사비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면서 백제의 중흥을 꾀했다. 사비는 금강 평야에 위치하여 농업 생산에 유리하고, 중국 및 일본과의 해상 교역이 용이한 지리적 이점을 가졌다. 사비 시대에는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와 불교 장려를 통해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 사비는 541년과 544년 사비 회의를 통해 가야 연맹 부활을 시도했으나, 신라와의 관계 및 일본과의 갈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660년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면서 사비 시대는 막을 내렸다. 사비는 부소산성과 나성으로 이중 방어 체제를 갖추었으며, 왕궁, 정림사지, 능산리 고분군 등 다양한 유적과 유물을 통해 백제 문화의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여군의 역사 - 낙화암
낙화암은 백제 멸망 당시 많은 궁녀들이 투신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백마강변의 바위 절벽으로, 역사적 사실과 과장된 전설이 혼재된 비극적인 장소이다. - 부여군의 역사 - 부여신궁
부여신궁은 일제강점기 말 일본 제국이 내선일체 선전을 위해 백제 수도 부여에 건설하려던 신사로, 아마테라스 등을 주신으로 모실 예정이었으나 태평양 전쟁 종전으로 완공되지 못했고, 현재 그 자리에는 부여 삼충사가 세워져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백제 - 백제문화단지
백제문화단지는 충청남도 부여군에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재현한 테마파크로 사비궁, 능사, 위례성 등 주요 건축물과 고분공원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체험과 행사를 제공하지만, 일부 복원 과정에서 고증 논란이 있다. - 백제 - 청주백제유물전시관
청주백제유물전시관은 2001년 11월 29일에 개관하여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이 가능한 전시시설이며, 매주 월요일과 명절, 공휴일 다음 날은 휴관한다. - 고대 한국의 도시 - 졸본
- 고대 한국의 도시 - 평양성 (고구려)
평양성은 고구려가 수도를 옮긴 후 수도 역할을 한 성곽으로, 외성, 중성, 내성, 북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려 시대 서경, 조선 시대 평안도 핵심 성으로 기능했고 현재는 북한에서 문화재로 관리된다.
사비 | |
---|---|
기본 정보 | |
한자 | 泗沘 |
한국어 (한글) | 사비 |
로마자 표기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Sabi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Sabi |
개요 | |
설명 | 백제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수도 |
역사 | |
관련 | 부소산성 부여 |
위치 | 백제의 마지막 도읍지 부여 |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한글) | 사비 (泗沘) |
2. 사비 천도
538년(성왕 16년), 백제는 수도를 웅진에서 사비(泗沘) (현재의 부여)로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로 변경했다.[7] 사비는 금강 하류에 위치하여 중국과의 해상 교통이 편리하고 넓은 평야를 끼고 있어 농업 생산에 유리했다.
사비는 백제의 마지막 수도로서, 660년 나·당 연합군에게 함락될 때까지 122년간 백제의 중심지였다.[6] 이 기간 동안 사비는 성왕, 위덕왕, 혜왕, 법왕, 무왕, 의자왕의 통치를 받았다.[5] 무왕은 수도를 익산으로 옮기려 했으나 실패했다.[6]
541년과 544년에는 백제, 가야, 일본 등이 참여하는 국제회의인 사비회의(泗沘會議)가 열렸다.[13] 541년 제1차 회의에서 백제는 가야에게 신라의 공격을 방어해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실제로는 한강 유역 회복을 위해 신라의 도움이 필요했기에 강력한 약속을 할 수 없었다. 근초고왕 시대를 언급하며 멸망한 세 나라를 부흥시켜 가야에 돌려주겠다고 약속했다.[9][10][11]
544년 제2차 회의에서 백제 성왕은 낙동강에 6개 성을 건설하고 일본군과 백제군을 주둔시키겠다고 제안했지만, 가야는 이에 대해 심사숙고하겠다고만 답하고 해산했다. 이후에도 백제와 일본은 사신을 교환하며 관계를 유지했지만, 548년 독성산성 전투 이후 백제는 고구려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14]
2. 1. 천도 배경
백제 성왕은 웅진(현재의 공주)이 지리적으로 협소하고 고구려의 침입에 방어하기 어렵다는 점을 인식했다.[1] 또한 웅진 시대에는 귀족 세력의 발호로 왕권이 약화되고 사회가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1]성왕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 왕권 강화와 국가 중흥을 위해 사비(현재의 부여)로 도읍을 옮기는 천도를 단행하였다.[1] 사비는 넓은 평야와 금강을 끼고 있어 농업 생산력을 증대하고, 교통과 군사적 요충지로서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1]
2. 2. 천도 과정
538년(성왕 16년), 성왕은 사비(泗沘중국어, 소부리라고도 한다)로 도읍을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 하였다.[1][3][5] 이는 백제가 부여의 후계 국가임을 천명하고, 새로운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상징적인 조치였다.웅진이 너무 협소하고 성왕 즉위 당시 피살사건이 있었기 때문에 성왕은 옆에 있는 부여로 천도하였다. 사비 천도 이후, 백제는 왕궁, 관청, 사찰, 방어 시설 등을 건설하며 새로운 수도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나갔다.
2. 3. 관련 사료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에는 사비 천도와 관련된 기록이 남아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성왕 16년조 : "16년 봄, 사비(泗沘)[소부리(所夫里)라고도 한다.]로 도읍을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 일컬었다."[1]
- 《삼국사기》 〈신라본기〉 태종무열왕 7년조 : "(7월) 12일 신라군이 의자의 도성을 포위하려고 소부리(所夫里)의 들판에 나아갔다."[2]
- 《삼국사기》 〈지리지〉 백제 : "26세 성왕에 이르러 소부리(所夫里)로 도읍을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 일컬었는데, 31세 의자왕에 이르기까지 122년을 지냈다."[3]
- 《삼국사기》 〈지리지〉 백제 웅천주조 : "웅천주(熊川州)에 소부리군(所夫里郡)[사비(泗沘)라고도 한다.]이 있었다."[4]
- 《삼국유사》 〈왕력〉 성왕조 : "사비(泗沘)로 도읍을 옮기고 남부여(南扶余)라 일컬었다."[5]
- 웅진이 너무 협소하고 성왕 즉위 당시 피살사건이 있어, 부여로 사비천도를 하였다.[6]
3. 사비의 지리적 특징
사비는 현재 부소산 남쪽 기슭, 부여 시내 북쪽에 위치해 있었다.[4] 이곳은 금강 평야에 자리 잡고 있어,[5] 자연적인 요새 역할을 하여 외적의 침입을 막는 데 유리했다. 넓은 농경지가 주변에 펼쳐져 있어 식량 생산에도 유리했고, 황해와 가까워 중국 및 일본과 해상 무역을 하기에도 좋은 조건이었다.[6]
4. 사비 시대의 역사
538년 성왕이 웅진에서 사비로 수도를 옮긴 후, 660년 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120여 년간 사비는 백제의 수도였다.[6] 사비는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군에게 공격받아 멸망했다.[6]
사비 시대에는 성왕, 위덕왕, 혜왕, 법왕, 무왕, 의자왕이 백제를 다스렸다.[5] 무왕은 수도를 익산으로 옮기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6]
541년과 544년에는 백제, 안라, 대가야 등 가야 지역 국가들과 일본 세력이 참여하는 사비회의(泗沘會議)가 열렸다. 529년의 안라회의도 참조.
548년 1월, 고구려-예(濊) 연합군이 공격했지만, 신라가 3,000명의 군사를 지원하여 이를 막아냈다. 이 전투는 독성산성 전투()로 알려져 있다.
4. 1. 백제의 중흥
538년 성왕이 웅진에서 사비로 천도한 후, 660년 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120여 년간 사비는 백제의 수도였다.[6] 이 시기 백제는 성왕, 위덕왕, 무왕, 의자왕 등 4명의 왕이 통치했다.
성왕은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불교를 장려하여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며, 무왕은 익산 천도를 시도하는 등 왕권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다.[6]
541년과 544년에는 백제, 안라, 대가야 등 가야 지역 국가들과 일본 세력이 참여하는 사비회의(泗沘會議)가 열렸다. 이 회의에서 백제는 신라의 공격으로부터 가야를 보호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실제로는 한강 유역 회복을 위해 신라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었다.[13] 544년 제2차 사비회의에서 백제 성왕은 낙동강 유역에 성을 쌓고 일본군과 백제군을 주둔시키겠다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13] 그러나 관산성 전투 (554년)에서 백제가 신라에게 패배하고, 가야가 멸망하면서(562년) 백제의 중흥은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14]
4. 2. 사비 회의(泗沘會議)
541년과 544년에 걸쳐 백제, 안라(安羅), 대가야(加羅), 임나(任那) 등이 참여한 국제회의인 사비 회의가 개최되었다.[13] 이 회의에서 백제는 신라의 공격에 대한 가야의 방어 문제를 논의하고, 가야 연맹 부활을 선언하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했다.[13] 그러나 가야와 일본과의 관계 문제 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13]541년에 열린 제1차 사비 회의에는 백제(百濟), 안라(安羅), 대가야(加羅), 졸마(卒麻), 산반해(散半奚), 다라(多羅), 사기(斯二岐), 자타(子他), 그리고 임나(安羅倭臣官|안라왜신관일본어)가 모였다.[13] 백제는 금관가야 등이 자멸했음을 언급하며 스스로를 방어하겠다고 약속했지만, 한강 유역을 되찾기 위해 신라의 도움이 필요했기에 강력한 약속을 할 수 없었다.[13] 백제는 근초고왕의 치세[9][10][11]를 강조하며 멸망한 세 나라를 부흥시켜 가야에 돌려주겠다고 약속했다.[13] 542년 7월, 백제는 가야 연맹 부활을 선언했지만, 이는 실질적인 조치가 없는 선언이었다.[13]
543년 12월, 백제 성왕은 가야의 반란을 해결하기 위해 정사암 회의()[12]를 열었고, 제2차 사비 회의를 열기로 결정했다.[13] 544년 11월에 열린 제2차 사비 회의에서 성왕은 낙동강에 6개의 성을 건설하고, 일본군과 백제군을 주둔시키며, 백제가 그 비용을 지불하겠다고 제안했다.[13] 또한 "안라왜신관(安羅倭臣官)"에 있는 모든 가야 일본인을 일본으로 보내라고 요구했다.[13] 가야 연맹은 제안을 심사숙고하겠다고 말한 후 해산했다.[13]
이후 백제는 고구려와 신라의 공격에 대비해야 했고, 일본과의 관계도 복잡하게 얽혀 사비 회의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3] 결국 백제는 한강 수복전()(551~553)을 통해 한강을 되찾았지만, 관산성 전투()(554)에서 신라에게 배신당했고, 가야는 562년에 멸망했다.[14]
4. 3. 백제의 멸망
660년,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이 사비성을 공격하여 함락시키면서 백제는 멸망하였다.[6] 의자왕은 항복하였고, 백제는 122년간의 사비 시대를 마감하게 되었다.[8]5. 사비의 도시 구조
사비는 5부 5항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었다.[6] 각 부(部)는 5개의 항(巷)으로 세분화되었다. 왕궁과 그 부속 시설은 부소산의 남쪽 기슭에 위치해 있었으며, 왕궁 남쪽에는 무왕의 명에 따라 634년에 완공된 인공 연못이 있었다.[15] 1980년대부터 시작된 발굴 조사에서 급수 시설, 저장 시설, 연꽃 연못 등을 갖춘 왕궁 터가 발견되었다.[4]
5. 1. 방어 시설
사비는 이중 방어 체제로 둘러싸여 있었다. 외곽은 인근 산으로 인해 방어가 취약한 부분을 보호하는 부소산성이었고, 내곽은 수도 전체를 에워싼 나성이었다.[6]부소산성은 주변 산과 강으로 자연스럽게 보호받지 못하는 도시의 측면을 방어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성벽은 흙다짐 기법으로 지어졌으며, 둘레는 2,495m, 기저부 폭은 5m~6m, 높이는 3m였다. 백제 병사들의 병영을 포함한 건물터와 문터 등이 성내에서 발견되었다. 확인된 두 개의 문터 중 첫 번째는 정문으로 성의 남쪽에 있었고, 두 번째는 동쪽에 있었다.

5. 2. 행정 구역
사비는 5부 5항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었다.[6] 각 부(部)는 5개의 항(巷)으로 세분화되었다.5. 3. 주요 시설
왕궁과 그 부속 시설은 부소산의 남쪽 기슭에 위치해 있었다. 왕궁 남쪽에는 무왕의 명에 따라 634년에 완공된 인공 연못이 있었다.[15] 1980년대부터 시작된 발굴 조사에서 왕궁 터가 발견되었으며, 여기에는 급수 시설, 저장 시설, 연꽃 연못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도시 중앙에 세워진 정림사(定林寺) 터와 나성 동쪽 외곽에 위치한 왕릉도 발견되었다.[4]5. 4. 정림사지 오층석탑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정림사지에 남아있는 유일한 유물이며, 높이는 8.3m이다.[8] 탑 표면에는 당나라의 백제 정복을 기념하는 내용과 당나라 지휘관 유인원이 새긴 한자가 있다.[8]5. 5. 능산리 고분군

부여 성벽 동쪽 외곽에는 7기의 고분이 위치해 있다. 이 고분들은 흙을 파서 만든 둔덕 안에 있으며, 언덕 경사면에 반구 형태로 보인다. 3기의 둔덕이 두 줄로 배열되어 있고, 1기의 둔덕은 북쪽으로 50m 떨어진 곳에 있다.
이 고분들은 회랑이 있는 석실묘로 분류되며, 천장의 형태에 따라 유형이 구분된다. 사비의 왕릉에는 아치형 천장, 육각형 평천장, 사각형 평천장의 세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Busosanseong Fortress in Buyeo
http://www.buyeo.go.[...]
www.buyeo.go.kr
2012-09-07
[2]
웹사이트
Gongju and Buyeo Historic Sites (2010)
http://jikimi.cha.go[...]
jikimi.cha.go.kr
2012-09-07
[3]
웹사이트
Paekche (ancient kingdom)
http://www.britannic[...]
/www.britannica.com
2012-09-07
[4]
웹사이트
Sabi Period (Buyeo)
http://www.baekje-he[...]
2017
[5]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Indiana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History of Baekje
http://www.baekje-he[...]
2017
[7]
문서
Best, 2006, p. 328.
[8]
문서
Best, 2006, p. 396.
[9]
문서
According to Nihon Shoki: 速古王&貴首王 reign
[10]
문서
"[[Korean studies|Theory 1]]. meaning [[Geunchogo of Baekje]] and [[Geungusu of Baekje]]"
[11]
문서
Theory 2. meaning [[Chogo of Baekje]] and [[Gusu of Baekje]]
[12]
문서
Silla also had a unanimous Council named [[Hwabaek|Hwabaek Council]]
[13]
문서
"日本書紀(Nihon Shoki) 卷第十九 天國排開廣庭天皇 欽明天皇 > 欽明天皇 2年 4月 > 夏四月. 安羅次旱岐夷呑奚·大不孫·久取柔利, 加羅上首位古殿奚, 卒麻旱岐, 散半奚旱岐兒, 多羅下旱岐夷他, 斯二岐旱岐兒, 子他旱岐等, 與任那日本府吉備臣[闕名字.], 往赴百濟, 俱聽詔書. 百濟聖明王謂任那旱岐等言, 日本天皇所詔者, 全以復建任那. 今用何策, 起建任那. 盍各盡忠, 奉展聖懷. 任那旱岐等對曰, 前再三廻, 與新羅議. 而無答報. 所圖之旨, 更告新羅, 尙無所 報. 今宜俱遣使, 往奏天皇. 夫建任那者, 爰在大王之意. 祇承敎旨. 誰敢間言. 然任那境接新羅. 恐致卓淳等禍[等謂㖨己呑·加羅. 言卓淳等國, 有敗亡之禍.]. 聖明王曰, 昔我先祖速古王·貴首王之世, 安羅·加羅·卓淳旱岐等, 初遣使相通, 厚結親好. 以爲子弟, 冀可恆 隆. 而今被誑新羅, 使天皇忿怒, 而任那憤恨, 寡人之過也. 我深懲悔, 而遣下部中佐平麻鹵·城方甲背昧奴等, 赴加羅, 會于任那日本府相盟. 以後, 繫念相續, 圖建任那, 旦夕無忘. 今天皇詔稱, 速建任那. 由是, 欲共爾曹謨計, 樹立任那等國. 宜善圖之. 又於任那境, 徵召新羅, 問聽與不. 乃俱遣使, 奏聞天皇, 恭承示敎. 儻如使人未還之際, 新羅候隙, 侵逼任那, 我當往救. 不足爲憂. 然善守備, 謹警無忘. 別汝所噵, 恐致卓淳等禍, 非新羅自强故, 所能爲也. 其㖨己呑, 居加羅與新羅境際, 而被連年攻敗. 任那無能救援. 由是見亡. 其南加羅, 蕞爾狹小, 不能卒備, 不知所託. 由是見亡. 其卓淳, 上下携貳. 主欲自附, 內應新羅. 由是見亡. 因斯而觀, 三國之敗, 良有以也. 昔新羅請援於高麗, 而攻擊任那與百濟, 尙不剋之. 新羅安獨滅任那乎. 今寡人, 與汝戮力幷心, 翳賴天皇, 任那必起. 因贈物各有差. 忻忻而還.\n: 1st Sabi Conference in Emperor Kinmei 2year April (AD 541)"
[14]
문서
Best, 2006, p. 173.
[15]
웹사이트
World Heritage List: Baekje Historic Areas
https://whc.unesco.o[...]
2015
[16]
문서
実際、[[ハングル]]による表記法が確立された以降([[中期朝鮮語]])の文献では「都(京)」を意味する語として、「{{첫가끝|셔ᄫᅳᆯ}}」という語が見られるが、その音声は*{{ipa|sjəβɯl}}と推定されており、*[[有声両唇摩擦音|{{ipa|β}}]]は[[有声両唇破裂音|{{IPA|b}}]]の弱化(衰退)・脱落の過程にあると考えられ([[唇音退化]])、やがて*[[有声両唇軟口蓋接近音|{{ipa|w}}]](厳密には[[両唇接近音|{{IPA|β̞}}]]かもしれない)となり、*{{ipa|sjəwɯl}}となったところで、その*{{ipa|w}}({{IPA|β̞}})が*[[非円唇後舌狭母音|{{ipa|ɯ}}]]と融合して*{{ipa|sjəul}}となり(直前の[[唇音]]の影響による[[円唇化]])、更にその*[[円唇後舌狭母音|{{ipa|u}}]]の円唇性により*{{ipa|sjəul}}の*[[硬口蓋接近音|{{ipa|j}}]]が脱落([[非口蓋化]])し、その母音*[[シュワー#中舌中央母音|{{ipa|ə}}]]も、[[円唇後舌半広母音|{{ipa|ɔ}}]]([[非円唇後舌半広母音|{{IPA|ʌ}}]])への変化を経て、現代語の{{lang|ko|서울}}({{ipa|sɔul}}{{IPA|sʌul}})となったと推定される。参考:{{Cite book |和書 |last= |first= |author1=李崇寧(:ko:이숭녕)|authorlink1=:ko:이숭녕 |others =[[松原孝俊]]監修 |translator=[[石橋道秀]] |year=2006 |title=中世韓国語文法 —15世紀語を主として— |origyear=1981 |publisher=[[花書院]] |location=[[福岡市]] |series=比較社会文化叢書II |pages=9-12 |id= |isbn=4938910861 |quote=【15】また、‘{{lang|ko|[[ㅸ]]}}’音の変化状態から、副詞のみを除きほぼ次の公式が成り立つ。〔中略〕(5) {{첫가끝|ᄫᅳ}}>우: 例: {{첫가끝|셔ᄫᅳᆯ}}(京)>{{lang|ko|셔울}} {{첫가끝|더ᄫᅳᆫ}}(暑)>{{lang|ko|더운}} {{첫가끝|입시ᄫᅳᆯ}}(唇)>{{lang|ko|입시울}}}}
また、参考として'''所夫里'''の[[当て字]]が行われた頃に近いと思われる漢字の発音([[中古音]])を示しておく。'''所'''*{{IPA|ṣïo}}・'''夫'''*{{IPA|(pɪou) pɪu}}・'''里'''*{{IPA|lɪei}}。参照:{{Cite book |和書 |last= |first= |author=藤堂明保 |authorlink=藤堂明保 |coauthors=[[加納喜光]] |translator= |editor=藤堂明保・加納喜光 |others= |title=学研 新漢和大辞典 |origdate= |origyear=1978 |url= |format= |accessdate= |edition=普及版 |date= |year=2005 |publisher=[[学習研究社]] |location= |series= |language= |id= |isbn=9784053000828 |oclc= |doi= |volume= |page= |pages= |chapter= |chapterurl= |quote= |ref=}}
[17]
웹인용
사비성 (泗沘城)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1-10
[18]
웹인용
신편 한국사 > 고대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1. 중국왕조와의 관계 > 2) 대중관계의 전개 > (3) 사비시대 > 백제의 마지막 도읍지 부여
http://contents.hist[...]
국사편찬위원회
2024-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