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쿠라모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쿠라모치는 벚꽃 잎으로 감싼 떡으로, 일본의 전통 과자 중 하나이다. 1717년 도쿄 스미다구의 조메이지 절 문지기였던 야마모토 신로쿠가 벚꽃 잎을 활용하여 판매한 것이 시초로 알려져 있다. 사쿠라모치는 크게 간토 스타일(조메이지)과 간사이 스타일(도묘지) 두 종류로 나뉘며, 벚꽃 잎의 절임과 떡, 팥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벚나무 - 센본자쿠라
센본자쿠라는 일본의 벚꽃 명소 또는 벚꽃 관련 작품의 제목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벚꽃 명소와 축제, 하츠네 미쿠의 노래, 만화 《BLEACH》의 무기, 경주마의 이름 등으로 사용된다. - 벚나무 - 양벚나무
양벚나무는 잎자루에 붉은색 샘이 있고, 흰색 꽃이 피며 식용 열매를 맺는 낙엽활엽수로, 관상수, 목재, 약재 등으로 활용된다. - 화과자 - 이마가와야키
이마가와야키는 일본의 대표적인 간식으로, 둥근 모양의 반죽에 팥소 등의 속을 넣어 구운 과자이며,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고 타이완과 한국에도 유사한 형태의 간식이 존재한다. - 화과자 - 양갱
양갱은 중국에서 유래된 과자로, 일본에서 팥 등으로 재료를 대체하여 현재의 형태로 발전했고, 한천의 발명으로 널리 퍼졌으며, 한국에 전래되어 다과나 선물용으로 즐겨지고, 무시요칸, 네리요칸, 미즈요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사쿠라모치 - [음식]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원산지 | 일본 |
| 주요 재료 | 달콤한 분홍색 찹쌀떡 팥소 절인 벚꽃 잎 |
| 기타 | 전통적으로 히나마쓰리와 하나미 때 섭취함 |
2. 역사

사쿠라모치는 에도 시대 교호 2년(1717년), 도쿄 스미다의 무코지마 지역에서 처음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다.[6][7] 1691년부터 조메이지 절의 문지기로 일했던 야마모토 신로쿠[8]는 절 앞에 야마모토야라는 찻집을 열었다.
원래 조메이지 묘지에서 조상의 묘를 참배하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이 떡은, 야마모토가 절 경내를 청소하면서 모은 벚꽃 잎으로 감쌌다.[9] 이 떡은 도쿠가와 요시무네 쇼군의 명에 따라 스미다강을 따라 심어진 벚꽃 나무에 매료된 많은 하나미 구경꾼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
야마모토야는 오늘날까지 영업을 하고 있으며, 흔히 조메이지라고 불린다. 연중 판매되는 이 사쿠라모치는 밀가루, 팥은 홋카이도산, 벚나무 잎은 시즈오카현 마쓰자키정산 오시마 벚나무 잎을 사용하며, 에도 시대 이후 거의 변하지 않은 레시피를 사용한다.
분세이 시대(1818-1830년) 문헌에는 벚꽃 떡집에 대한 내용이 실려 있다. 교쿠테이 바킨 외 편찬의 『토엔 소설』, 기타무라 노부요리가 저술한 『게요 쇼란』(1830년), 미타무라 엔교가 저술한 『벚꽃 떡』등에서 당시 상황을 엿볼 수 있다.
그 외에도, 벚꽃 떡은 하세가와 셋탄, 우타가와 쿠니요시, 우타가와 히로시게 2세, 마사오카 시키 등의 다양한 그림이나 시문에도 등장한다.
고문서에 나타나는 "사쿠라모치"는 다음과 같다.
| 문서명 | 연도 | 내용 |
|---|---|---|
| 키쿄야 과자 목록 | 덴나 3년(1683년) | 오타 난포의 저서 "이화일언"에 등장하는 교토 과자점 키쿄야의 카와치 다이죠가 과자 목록에 실었다고 한다[29]。 찐 과자이며, 후대의 사쿠라모치와는 다른 종류인 것으로 보인다. |
| 남자 보물기 | 겐로쿠 6년, 1693년 | "벚꽃"이라고 적힌 곳에 벚꽃의 다섯 잎 꽃잎을 본뜬 사쿠라모치의 그림이 실려 있으며, 그 옆에 "안을 넣는다"라고 적혀 있다[32]。 |
| 다도 헌립 지남 | 겐로쿠 9년, 1696년 | (내용 없음) |
2. 1. 기원
에도 시대 교호 2년(1717년), 도쿄 스미다의 무코지마 지역에서 사쿠라모치가 처음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다.[6][7] 겐로쿠 4년(1691년)부터 조메이지 절의 문지기를 하고 있던 야마모토 신로쿠[8]는 교호 2년(1717년)에 절 앞에 '야마모토야'(山本屋)라는 찻집을 열어 사쿠라모치를 판매하기 시작했다.[16]원래 조메이지 묘지에서 조상의 묘를 참배하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이 떡은, 야마모토가 절 경내를 청소하면서 모은 벚꽃 잎으로 감쌌다.[9] 창업한 해에 정 이품 쇼군인 도쿠가와 요시무네에 의해 스미다 강변에 벚나무가 심어지면서, 꽃놀이객이 증가하여 사쿠라모치는 더욱 발전해 갔다. 스미다 강의 벚나무 낙엽을 간장 통에 절여 떡에 감았다고 전해지지만,[17] 처음에는 벚나무 잎 간장이었다고도 한다.
분세이 시대(1818-1830년)의 벚꽃 떡집에 대한 내용이 문헌에 실려 있다. 교쿠테이 바킨 외 편찬의 『토엔 소설』에서 야시로 히로카타가 쓴 내용에서 번창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벚꽃 떡 1개의 '판매가 4 문'은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쌀 가격으로 환산했을 경우 약 63JPY, 목수의 임금으로 환산했을 경우 약 322JPY이다.[18][19] 기타무라 노부요리가 저술한 분세이 13년(1830년) 자서 『게요 쇼란』에는 내용이 바뀌어 만들어졌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미타무라 엔교가 저술한 『벚꽃 떡』에는 "시노바즈(不忍)의 새로운 제방은 분세이 3년에 축조되었으므로, 그 전에 조메이지의 벚꽃 떡이 있었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분세이 3년(1820년)보다 전에 조메이지의 벚꽃 떡이 있었다고 추측하고 있다.
그 외에도, 벚꽃 떡은 다양한 그림이나 시문에도 등장한다.
- 하세가와 셋탄의 그림 "벚꽃 떡집" 『도토 사이지키』 덴포 9년(1838년)[21]는 "스미다 강 명물 벚꽃 떡" 가게의 그림이다.
- 우타가와 쿠니요시의 "여러 새들의 싸구려 판매"(덴포 13년경, 1842년경)에는 스미다 강 명물 벚꽃 떡을 만드는 두 마리의 갈매기가 그려져 있다. 이 벚꽃 떡은 현대의 것과는 달리, 팥소를 사용하지 않았다.
- 우타가와 히로시게 2대 그림, 키오(喜翁, 우타가와 토요쿠니 3대 필) "에도 자랑 36경 무코지마 제방의 꽃과 벚꽃 떡"(겐지 원년, 1864년)에는 벚꽃이 핀 스미다 제방을 배경으로, 두 여성이 벚꽃 떡 봉투를 든 장대의 양쪽 끝을 잡고 걸어가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 메이지 21년 여름에 마사오카 시키가 조메이지 경내 야마모토야 2층에 묵었을 때, 칠초집에 있는 "꽃 향기를 어린 잎에 담아 향기로운 벚꽃 떡(모치히)을 집으로 가져가세요"(메이지 21년, 1888년)라는 노래를 지었다.
고문서에 나타나는 "사쿠라모치"는 다음과 같다.
| 문서명 | 연도 | 내용 |
|---|---|---|
| 키쿄야 과자 목록 | 덴나 3년(1683년) | 미나카타 쿠마구스에 따르면, 사쿠라모치가 알려진 것은 덴나 3년(1683년)이다. 오타 난포의 저서 "이화일언"에 등장하는 교토 과자점 키쿄야의 카와치 다이죠가 과자 목록에 실었다고 한다[29]。덴나 3년에는 키쿄야 과자 목록이 출판되었고[30], 키쿄야는 에도에 점포를 열었다[31]。이것은 찐 과자이며, 후대의 사쿠라모치와는 다른 종류인 것으로 보인다. 옛날의 제조법에서는 떡을 벚꽃 잎으로 감싸서 찜통으로 찌는 방법이 있었다. |
| 남자 보물기 | 겐로쿠 6년, 1693년 | "벚꽃"이라고 적힌 곳에 벚꽃의 다섯 잎 꽃잎을 본뜬 사쿠라모치의 그림이 실려 있으며, 그 옆에 "안을 넣는다"라고 적혀 있다[32]。 |
| 다도 헌립 지남 | 겐로쿠 9년, 1696년 | (내용 없음) |
2. 2. 발전
에도 교호 2년(1717년)[6][7], 도쿄 스미다의 무코지마 지역에서 사쿠라모치가 처음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6][7] 시모사 국 초시 출신으로 겐로쿠 4년(1691년)부터 조메이지(長命寺)의 문지기를 하던 야마모토 신로쿠는 교호 2년(1717년)에 문 앞에 '야마모토야'(山本屋)라는 찻집을 열고 사쿠라모치를 판매하기 시작했다.[16]원래 조메이지 묘지에서 조상의 묘를 참배하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수제 과자였던 사쿠라모치는, 야마모토가 절 경내를 청소하면서 모은 벚꽃 잎으로 감싸 만들었다.[9] 처음에는 벚나무 잎 간장이었다고도 한다.[17] 도쿠가와 요시무네 쇼군의 명에 따라 스미다강을 따라 벚꽃 나무가 심어지면서, 꽃놀이객이 증가하여 사쿠라모치는 더욱 발전해 갔다.
분세이 시대(1818-1830년)의 문헌에는 벚꽃 떡집에 대한 내용이 실려 있어, 당시 사쿠라모치가 얼마나 번성했는지 알 수 있다. 교쿠테이 바킨 등이 편찬한 『토엔 소설』에는 야시로 히로카타가 쓴 벚꽃 떡집의 번성했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벚꽃 떡 1개의 판매 가격은 4문이었는데,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쌀 가격으로는 약 63엔, 목수의 임금으로는 약 322엔[18][19]에 해당한다.
기타무라 노부요리가 저술한 『게요 쇼란』(분세이 13년, 1830년)에는 벚꽃 떡의 재료가 칡가루로 바뀌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20] 미타무라 엔교는 『벚꽃 떡』에서 분세이 3년(1820년)보다 전에 조메이지의 벚꽃 떡이 있었다고 추측하고 있다.
그 외에도, 벚꽃 떡은 다양한 그림이나 시문에도 등장한다.
- 하세가와 셋탄의 그림 "벚꽃 떡집" (덴포 9년, 1838년)[21]에는 "스미다 강 명물 벚꽃 떡" 가게의 그림이 있다.
- 우타가와 쿠니요시의 "여러 새들의 싸구려 판매"(덴포 13년경, 1842년경)에는 스미다 강 명물 벚꽃 떡을 만드는 두 마리의 갈매기가 그려져 있다. 이 벚꽃 떡은 팥소를 사용하지 않았다.
- 우타가와 히로시게 2대 그림, 키오(우타가와 토요쿠니 3대 필) "에도 자랑 36경 무코지마 제방의 꽃과 벚꽃 떡"(겐지 원년, 1864년)에는 벚꽃이 핀 스미다 제방을 배경으로, 두 여성이 벚꽃 떡 봉투를 든 장대의 양쪽 끝을 잡고 걸어가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 마사오카 시키는 메이지 21년(1888년) 여름, 조메이지 경내 야마모토야 2층에 묵었을 때, "꽃 향기를 어린 잎에 담아 향기로운 벚꽃 떡(모치히)을 집으로 가져가세요"라는 노래를 지었다.
3. 종류
사쿠라모치에는 크게 조메이지와 도묘지 두 종류가 있다.[4][8] 그 기원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두 종류 모두 ''와가시'' 상점과 슈퍼마켓에서 흔히 구할 수 있다.
- 간토풍(조메이지풍): 간토 지방, 특히 도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쿠라모치로, ''조메이지 모치''라고도 불린다. 밀가루 반죽을 얇게 구워 팥소를 감싼 크레이프와 유사한 형태이다.
- 간사이풍(도묘지풍): 간사이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쿠라모치로, 오사카의 도묘지에서 유래하여 ''도묘지 모치''라고도 불린다. 찐 찹쌀을 건조시켜 거칠게 빻은 도묘지코를 사용한 반죽으로 앙금을 감싼 만두와 유사하며, 오하기와 다소 비슷하다.[4][8]
그 외에도 일본 각지에 다른 형태의 "사쿠라모치"가 존재한다.
- 나가하치 사쿠라모치: 벚나무 잎의 산지인 이즈에서 만들어진다. 쌀가루와 찹쌀가루로 만든 껍질로 팥소를 찹쌀떡처럼 감싼 것과, 상신분(上新粉) 껍질로 고운 팥소를 반으로 접어 감싼 것 두 종류가 있다. 이즈에서 만들어진 소금에 절인 벚나무 잎 2장을 사용하여 내용물을 거의 완전히 감싸는 것이 특징이다.
- 히토히라 사쿠라모치: 가마쿠라에서 만들어지는 반으로 접은 사쿠라모치이다.
- 미도리 사쿠라모치: 시마네현 운난시(구 미토야정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옅은 녹색을 띤 사쿠라모치이다. 어의황(ぎょいこう)이라는, 꽃잎이 녹색을 띤 벚나무를 힌트로 만들어졌다.
3. 1. 간토풍 (조메이지풍)

간토풍 "벚꽃떡"은 밀가루 등을 사용한 반죽을 얇게 구워 팥소를 감싼 크레이프 모양의 평냄비 과자[10]이다. 도쿄도 스미다구에 있는 조메이지의 문전 벚꽃떡 전문점이 발상지이다.
간토 지방 외에도 도호쿠 지방 (미야기현 제외), 호쿠리쿠 지방 (후쿠이현 제외), 나가노현, 산인 지방 등에서 주류를 이루는 경향이 보인다[11][12]。
시마네현 마쓰에에서는 메이지 시대에 벚꽃떡이 퍼졌을 당시에는 떡 앙금 방식이었지만, 마쓰에 번의 전 가로인 아리사와 소칸이 어용 과자사 "오모타카야"에 관동풍 벚꽃떡을 만들게 한 것으로 인해 퍼졌다고 전해진다[13]。
- 잎은 1개에서 3개를 사용한다.
- 겉껍질의 반죽은 떡을 구운 것이다.
- 겉껍질은 주로 반으로 접고, 그 외에 원통형이나 특히 보자기 접기도 있다.
- 속을 잎으로 덮거나, 겉껍질에 맞춰 잎으로 감싼다.
- 앙금은 팥소를 사용한다.
- 밀가루를 물에 개어 가열하여 굳힌 반죽을 만들고, 앙금 소를 사이에 둔 반죽에 벚꽃 잎을 덮은 구성이다.[14][15]
재료는 소금에 절인 벚나무 잎, 반죽에 사용할 가루, 팥소이다. 가루는 밀가루면 되지만, 찹쌀가루나 멥쌀가루를 첨가하거나, 또는 쌀가루를 사용해도 좋다. 여기에 설탕, 밀가루, 미진분(味甚粉), 상남분(上南粉) 등을 조절한다. 벚나무 잎을 물에 담가 잎의 소금을 뺀다. 반죽용 가루를 찹쌀가루나 찹쌀가루로 조금씩 물과 섞어 둔다. 녹인 반죽을 얇게 펴서 굽는다. 구운 후, 뜨거운 기운을 식힌다. 굽는 정도는 주변의 물기가 없어지고 마를 정도로, 떡이 촉촉하게 완성되도록 한다. 팥소를 둥글게 빚어 구운 껍질로 감싼다. 벚나무 잎을 꺼내어, 맑은 물로 씻어 물기를 제거한다. 벚나무 잎을 떡의 겉면에 감싸듯이 붙인다. 색소는 가루 상태에서 섞어두면 색이 균등하게 나타난다.[14][15]
참고로, 조메이지마에 (長命寺前)의 점포에서 판매되는 사쿠라모치는 껍질에 착색하지 않고 흰색 그대로이며, 3장의 벚나무 잎을 가장자리가 겹치도록 가로로 나란히 하여 감싸고 있다.
시모사 국 초시 출신으로 겐로쿠 4년(1691년)부터 조메이지(長命寺)의 문지기를 하고 있던 야마모토 신로쿠가, 교호 2년(1717년)에 문 앞에 '야마모토야'(山本屋)를 창업하여 판매한 것이 시작이라고 여겨진다.[16] 창업한 해에 정 이품 쇼군인 도쿠가와 요시무네에 의해 스미다 강변에 벚나무가 심어지면서, 이를 계기로 꽃놀이객이 증가하여 발전해 갔다.
원래는 묘 참배객을 대접하기 위한 수제 과자였으며, 벚꽃 잎은 낙엽 청소로 나온 벚나무 잎을 사용한다는 생각을 떠올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스미다 강의 벚나무 낙엽을 간장 통에 절여 떡에 감았다고 전해지지만[17], 처음에는 벚나무 잎 간장이었다고도 한다.
문헌 등에 분세이 시대(1818-1830년)의 벚꽃 떡집에 대한 내용이 실려 있다. 교쿠테이 바킨 외 편찬의 『토엔 소설』에서 야시로 히로카타가 쓴 내용에서 번창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벚꽃 떡 1개의 '판매가 4 문'은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쌀 가격으로 환산했을 경우 약 63엔, 목수의 임금으로 환산했을 경우 약 322엔[18][19]이다. 기타무라 노부요리가 저술한 분세이 13년(1830년) 자서 『게요 쇼란』에는 내용이 바뀌어 만들어졌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미타무라 엔교가 저술한 『벚꽃 떡』에는 "시노바즈(不忍)의 새로운 제방은 분세이 3년에 축조되었으므로, 그 전에 조메이지의 벚꽃 떡이 있었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분세이 3년(1820년)보다 전에 조메이지의 벚꽃 떡이 있었다고 추측하고 있다.
그 외에도, 벚꽃 떡은 다양한 그림이나 시문에도 등장한다.
- 하세가와 셋탄의 그림 "벚꽃 떡집" 『도토 사이지키』 덴포 9년(1838년)[21]는 "스미다 강 명물 벚꽃 떡" 가게의 그림이다.
- 우타가와 쿠니요시의 "여러 새들의 싸구려 판매"(덴포 13년경, 1842년경)에는 스미다 강 명물 벚꽃 떡을 만드는 두 마리의 갈매기가 그려져 있다. 이 벚꽃 떡은 현대의 것과는 달리, 팥소를 사용하지 않았다.
- 우타가와 히로시게 2대 그림, 키오(喜翁, 우타가와 토요쿠니 3대 필) "에도 자랑 36경 무코지마 제방의 꽃과 벚꽃 떡"(겐지 원년, 1864년)에는 벚꽃이 핀 스미다 제방을 배경으로, 두 여성이 벚꽃 떡 봉투를 든 장대의 양쪽 끝을 잡고 걸어가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 메이지 21년 여름에 마사오카 시키가 조메이지 경내 야마모토야 2층에 묵었을 때, 칠초집에 있는 "꽃 향기를 어린 잎에 담아 향기로운 벚꽃 떡(모치히)을 집으로 가져가세요"(메이지 21년, 1888년)라는 노래를 지었다.
3. 2. 간사이풍 (도묘지풍)
칸사이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쿠라모치로, 오사카의 불교 사찰 도묘지에서 유래하여 ''도묘지 모치''라고도 불린다. 오하기와 다소 비슷하다.[4][8]

찐 찹쌀을 건조시켜 거칠게 빻은 도묘지코를 사용한 반죽으로 앙금을 감싼 만두 모양의 떡 과자이다.[10] 오사카부후지이데라시에 있는 도묘지가 도묘지코(도묘지쌀)의 발상지이다.
간사이 지방 외에도 홋카이도, 미야기현, 후쿠이현, 고신에쓰 지방(나가노현 제외), 도카이 지방, 산요 지방, 시코쿠 지방, 규슈 지방 등에서 주류를 이루는 경향이 있다.[11][12]
간사이풍 벚꽃떡과 마찬가지로 도묘지코로 떡을 만들고, 위아래를 동백 잎 2장으로 감싼 동백떡이 있다. 벚꽃떡 직전 시기(초봄)의 화과자로, 헤이안 시대부터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벚꽃떡과는 별개의 것이다. 가게에 따라서는 계피로 착색하고 향을 내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생 야쓰하시와 비슷하다.
간사이풍 벚꽃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특징 |
|---|
| 잎은 1장 또는 2장을 사용한다. |
| 떡은 둥근 모양에서 납작한 모양이다. |
| 떡은 탄력과 찰기가 있다. |
| 떡의 표면은 알갱이가 있는 형태이다. |
| 떡을 잎의 결을 따라 감싸거나, 양쪽에서 잎을 합쳐 덮고 있다. |
| 도묘지코를 쪄서 떡을 만들고, 여기에 앙금을 채워 벚꽃 잎으로 감싼 구성이다.[22][15] |
도쿄 제과 학교에서는 간토풍 벚꽃떡이 기원이라고 생각하지만, 근거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24] 오사카에서는 북호리에의 토사야에 덴포(1830~1844년) 시대에 등장했다고 한다.[23]
4. 재료
사쿠라모치는 크게 간토풍과 간사이풍으로 나뉘며, 각각 사용하는 재료에 차이가 있다.
두 가지 방식 모두 벚꽃 잎 절임을 사용하며, 벚꽃색은 인위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가정에서는 찹쌀밥으로 대체 가능하다. 규슈에서는 찹쌀밥을 사용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간토 지방에서는 고운 팥소를, 간사이 지방에서는 팥 알갱이가 있는 팥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4. 1. 벚꽃 잎
벚나무 생잎에는 소금에 절인 향이 없으며, 벚꽃 잎을 소금에 절여 향을 낸다. 벚꽃 잎은 향을 더하고, 잎으로 감싸 내용물의 건조를 방지한다.[25] 잎이 부드럽고 털이 적은 오시마 벚나무 잎을 소금에 절여 사용한다.[25] 이 소금에 절인 벚꽃 잎은 전국 점유율의 70% 정도가 이즈 반도의 마쓰자키정에서 생산된다. 떡의 크기와 외관상의 균형으로 인해, 관동 지방에서는 큰 잎, 긴키 지방에서는 작은 잎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벚꽃떡 특유의 향기는 이 벚꽃 소금 절임 잎에 포함된 향기 성분인 쿠마린에 의한 것이다. 벚꽃 잎을 그대로 먹어도 되지만, 전국 화과자 협회의 견해에 따르면 과자 본래의 맛을 느끼기 위해 벚꽃 잎은 먹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26] 그대로 먹는 경우에는 쿠마린은 식품 첨가물로는 인정되지 않으며 간독성도 있으므로 과다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27][28] 또한 벚꽃떡 본래의 색상은 잎에서 우러난 색소 성분인 카로테노이드에 의한 것이다.
위에 언급한 쿠마린 및 테르펜의 방향, 테아닌이 미량 함유되어 있어, 나라 시대 무렵에는 매화의 봉오리와 함께 입 냄새 예방 효과로 입에 머금는 풍습이 있었다.
1970년대 무렵에는 비닐로 만든 인조 잎과 쿠마린 이외의 향료를 사용한 벚꽃떡이 나타났지만, 현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4. 2. 떡과 팥소
관동풍 "벚꽃떡"은 밀가루 등을 사용한 반죽을 얇게 구워 팥소를 감싼 크레이프 모양의 평냄비 과자이다.[10] 도쿄도 스미다구에 있는 조메이지 문전의 벚꽃떡 전문점이 발상지이다.- 겉껍질의 반죽은 떡을 구운 것이다.
- 겉껍질은 주로 반으로 접고, 그 외에 원통형이나 보자기 접기도 있다.
- 속을 잎으로 덮거나, 겉껍질에 맞춰 잎으로 감싼다.
- 앙금은 팥앙금을 사용한다.
- 밀가루를 물에 개어 가열하여 굳힌 반죽을 만들고, 앙금 소를 사이에 둔 반죽에 벚꽃 잎을 덮은 구성이다.[14][15]
재료는 소금에 절인 벚나무 잎, 반죽에 사용할 가루, 팥소이다. 가루는 밀가루면 되지만, 찹쌀가루나 멥쌀가루를 첨가하거나, 쌀가루를 사용해도 좋다. 여기에 설탕, 밀가루, 미진분(味甚粉), 상남분(上南粉) 등을 조절한다. 벚나무 잎을 물에 담가 잎의 소금을 뺀다. 반죽용 가루를 찹쌀가루나 찹쌀가루로 조금씩 물과 섞어 둔다. 녹인 반죽을 얇게 펴서 굽는다. 구운 후, 뜨거운 기운을 식힌다. 굽는 정도는 주변의 물기가 없어지고 마를 정도로, 떡이 촉촉하게 완성되도록 한다. 팥소를 둥글게 빚어 구운 껍질로 감싼다. 벚나무 잎을 꺼내어, 맑은 물로 씻어 물기를 제거한다. 벚나무 잎을 떡의 겉면에 감싸듯이 붙인다. 색소는 가루 상태에서 섞어두면 색이 균등하게 나타난다.[14][15]
간사이풍 "벚꽃떡"은 찐 찹쌀을 건조시켜 거칠게 빻은 도묘지코를 사용한 반죽으로 앙금을 감싼 만두 모양의 떡 과자이다.[10] 오사카부 후지이데라시에 있는 도묘지가 도묘지코(도묘지쌀)의 발상지이다.
재료는 소금에 절인 벚꽃 잎, 도묘지코(道明寺粉), 팥 앙금이다. 찰벼를 물에 담가 불린 후 물기를 빼고 쪄서 햇볕에 말려 건조시킨 다음, 돌절구 등으로 빻아 부수면 도묘지코가 만들어진다. 알갱이 크기에 따라 도묘지떡의 식감이 달라진다. 잎의 소금기는 물로 뺀다. 물을 흡수시킨 도묘지코를 찐다. 설탕은 찐 후에 섞거나, 물에 녹여 흡수시킨다. 떡을 얇게 펴서 앙금을 채워 모양을 잡고, 벚꽃 잎으로 감싼다. 색소는 가루나 설탕물에 섞는다.
- 벚꽃 떡의 재료인 흰 찹쌀로 흰 떡을 만들지만, 벚꽃색은 원래의 색이 아닌 후천적으로 입힌 경우도 있다.
- 가정 등에서 재료를 구하기 어려운 경우, 찹쌀을 되직하게 밥을 지어 대체할 수도 있다.
- 규슈에서는 찹쌀로 지은 밥으로 만들기도 한다.
- 예전에는 간토 지방에서는 고운 팥소를, 간사이 지방에서는 팥 알갱이가 살아있는 팥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참조
[1]
웹사이트
Sakuramochi (pink-colored rice cake filled with red bean paste wrapped with a cherry blossom leaf)
https://local-cuisin[...]
2024-04-01
[2]
웹사이트
Japan Tourism / Sakura Mochi Heralds the Coming of Spring
https://japannews.yo[...]
2023-03-14
[3]
웹사이트
Only In Spring! Seasonal Japanese Desserts You Should Try
http://favy-jp.com/t[...]
[4]
서적
Oishisou!! The Ultimate Anime Dessert Cookbook
Insight Editions
2022-06-14
[5]
서적
Cherry
Reaktion Books
2021-03-16
[6]
웹사이트
TOPページ{{!}}長命寺櫻もち
https://sakura-mochi[...]
2023-09-29
[7]
웹사이트
Sakuramochi: A Spring Delicacy {{!}} April 2021 {{!}} Highlighting Japan
https://www.gov-onli[...]
2024-04-01
[8]
웹사이트
Sakuramochi {{!}} Traditional Dessert From Tokyo {{!}} TasteAtlas
https://www.tasteatl[...]
2024-04-01
[9]
웹사이트
Japan Tourism / Sakura Mochi Heralds the Coming of Spring
https://japannews.yo[...]
2023-03-14
[10]
웹사이트
桜餅、関東風と関西風はどちらが好き?葉は食べる?
https://allabout.co.[...]
2022-03-05
[11]
웹사이트
【桜餅】あなたは“関東風”? “関西風”?
https://weathernews.[...]
2018-03-24
[12]
웹사이트
【桜餅】といえばどっち派?全国各地で「関西風」が優勢
https://weathernews.[...]
2022-04-03
[13]
문서
島根PR情報誌シマネスクVol.43
http://www1.pref.shi[...]
[14]
웹사이트
和菓子のレシピ、桜餅(さくら餅)
http://www.sueki.jp/[...]
末廣屋喜一郎&伝統の和菓子文化普及委員会
2004-02-29
[15]
문서
레시피/桜餅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長命寺 桜もち
http://www.wagashi.o[...]
全国和菓子協会
[17]
서적
東京五つ星の手みやげ
http://www.tokyo-sho[...]
東京書籍
[18]
문서
江戸時代の貨幣価値換算表
https://web.archive.[...]
[19]
문서
江戸時代の1両は今のいくら?
https://web.archive.[...]
[20]
문서
嬉遊笑覧
https://dl.ndl.go.jp[...]
[21]
문서
「桜餅」歳時記のかおり 三月、『香りと言葉』2008年3月号、月刊「e船団」、船団の会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和菓子のレシピ、道明寺
http://www.sueki.jp/[...]
末廣屋喜一郎&伝統の和菓子文化普及委員会
2004-04-24
[23]
간행물
桜餅
http://www.mypaedia.[...]
平凡社,日立システムアンドサービス
[24]
웹사이트
和菓子ヒストリー『桜餅』
http://www.tokyoseik[...]
東京製菓学校
2010-03-26
[25]
웹사이트
「桜餅」の葉っぱ シェア7割の産地とは
https://weathernews.[...]
ウェザーニュース
[26]
뉴스
桜餅の葉っぱ、どうする? 全国和菓子協会の見解は「食べないで!」
Jタウンネット
2019-04-21
[27]
웹사이트
FDA CFR21 189-C-130(クマリン)アメリカ食品医薬品局
https://web.archive.[...]
財団法人 日本食品化学研究振興財団
1989-01-12
[28]
웹사이트
厚生労働省行政情報-通知-食品衛生法施行規則及び食品、添加物等の規格基準の一部改正について
https://web.archive.[...]
財団法人 日本食品化学研究振興財団
1971-03-17
[29]
웹사이트
御菓子司 鶴屋寿 歴史 桜餅発祥の地「京都」。
http://www.sakuramoc[...]
御菓子司 鶴屋寿
[30]
웹사이트
お菓子の歩み (明治末期迄)
http://kyotokashioro[...]
京都府菓子卸商業組合
[31]
웹사이트
和菓子のあゆみ 京の菓子と江戸の菓子
http://www2u.biglobe[...]
GLN(GREEN & LUCKY NET)からこんにちは
2006-03-16
[32]
문서
新板増補男重宝記
https://dl.ndl.go.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