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쌀가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쌀가루는 쌀을 가루 형태로 만든 것으로, 멥쌀, 찹쌀, 현미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가공 방식에 따라 베타형과 알파형으로 나뉜다. 쌀가루는 떡, 과자, 면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한국 요리에서는 떡, 한과, 고추장 등에,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서양 요리 등 다양한 지역의 음식에도 활용된다. 한국에서는 쌀 소비 촉진을 위해 쌀가루 산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제분 기술 발전과 쌀가루 전용 품종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곡분 - 찹쌀가루
    찹쌀가루는 찹쌀을 빻아 만든 가루로, 떡, 한과, 전 등 다양한 한국 요리에 사용되며 특히 찰떡을 만드는 데 중요하고 죽, 술, 고추장 제조에도 쓰이며 앙금 대중화와 함께 널리 퍼졌다.
  • 곡분 - 병아리콩가루
    병아리콩가루는 벵골콩을 가루로 만든 것으로, 탄수화물과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글루텐이 없고, 다양한 요리와 채식주의 요리, 미용 팩 등에 사용된다.
  • 쌀 - 현미
    현미는 벼에서 겉껍질만 제거하고 쌀겨와 쌀눈을 남겨둔 쌀로, 백미보다 영양소가 풍부하여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아시아 등지에서 섭취되고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 쌀 -
    벼는 벼과에 속하는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자포니카, 인디카, 자바니카의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되며, 볍씨 선별, 비료 사용, 수확 등의 과정을 거쳐 재배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쌀가루
기본 정보
쌀가루
쌀가루
종류곡분
주재료
용도
음식


과자

튀김
기타화장품
사료
접착제
특징
장점글루텐 프리
부드러운 식감
소화 용이
단점밀가루에 비해 가격이 비쌈
밀가루에 비해 보관성이 떨어짐

2. 종류

쌀가루는 원료와 제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쌀가루는 인디카, 자포니카, 야생 쌀 품종으로 만들 수 있다.

갈라퐁을 구워 비빙카로 만드는 모습

2. 1. 원료에 따른 분류

쌀가루는 원료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멥쌀가루''': 찰기가 없는 백미로 만든 가루이다. 米粉|mǐfěn중국어, 米粉|komeko일본어, 쌀가루|ssal-garu한국어 등으로 표기한다.[3] 일본어: 上新粉; 로마자 표기: ''jōshinko''
  • '''찹쌀가루''': 찹쌀 (또는 찰현미)로 만든 가루이다. 糯米粉|nuòmǐ fěn중국어, 白玉粉|shiratamako일본어, 찹쌀가루|chapssal-garu한국어 등으로 표기한다.[1][2] 모치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모치고메코'' (もち米粉일본어 또는 ''모치코'')와 구별된다.[3]
  • '''현미가루''': 현미를 식용 불가한 겉껍질만 제거하여 만든 가루이다. 糙米粉|cāomǐ fěn중국어, 현미가루|hyeonmi-garu한국어 등으로 표기한다.
  • '''백미가루''': 현미가루와 비교하여, 백미로 만든 가루를 특정할 때 사용한다. 白米粉|báimǐ fěn중국어, 백미가루|baengmi-garu한국어 등으로 표기한다.
  • '''흑미가루''', '''적미가루''', '''녹미가루''': 각각 흑미, 적미, 녹미로 만든 가루이다. 흑미가루|heungmi-garu한국어, 홍미가루|hongmi-garu한국어, 녹미가루|nongmi-garu한국어 등으로 표기한다.


쌀가루는 메벼 또는 찹쌀로 만들어지며,[10] 가공법에 따라 상신분(上新粉), 백옥분(白玉粉) 등의 종류로 나뉜다.[10]

쌀가루 종류[11]
colspan="2"메벼로 만든 것찹쌀로 만든 것찹쌀과 메벼를 섞어 만든 것
베타형: 쌀알을 가열하지 않고 생으로 가루로 만든 것건조 상태로 가루로 만든 것쌀가루(신코): 쌀을 백미로 도정한 후 물로 씻어 물기를 빼고 잠시 건조시킨 후 제분한 것이다.찹쌀가루: 찹쌀을 물로 씻어 물기를 빼고 잠시 건조시킨 후 제분한 것이다.(제법은 쌀가루와 동일)떡가루(단고코): 메벼·찹쌀을 백미로 도정하여 물로 씻어 잠시 물에 담근 후 분쇄(제분)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제조사에 따라 메벼와 찹쌀의 배합비가 다르다.
물로 빻는 제법백옥분(시라타마코): 찹쌀을 물로 빻는 제법※으로 가루로 만든 것이다. 찹쌀가루보다 입자가 곱다. 제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므로 일반적으로 고급품으로 취급된다.
알파형: 쌀알을 가열한 후 가루로 만드는 방법유아분(뉴지코): 메벼를 열처리(알파화)하여 제분한 것이다. 유아식·이유식·미음에 사용된다.한매분(칸바이코): 백미로 도정한 찹쌀을 물로 씻어 물에 담갔다가 쪄서 "찹쌀떡"으로 만들고, 그것을 (색이 나지 않도록) 하얗게 구운 후 분쇄(제분)한 것이다.
미진코(미진코): 찹쌀(또는 메벼)을 찐 후, 이를 건조시켜 볶아서 제분한 것이다.
도묘지(도묘지): 찹쌀을 물에 담가 쪄서 건조시켜서 만든 호시이(ほしいい)를 거칠게 부순 것이다.
낙안분(라쿠간코): 찹쌀을 물로 씻어 잠시 건조시킨 후, 찌지 않고 볶아서 제분한 것이다. 또는 도묘지를 더 잘게 부수어 구운 것이다.
상남분(조난코): 찹쌀(드물게는 메벼)을 잘 씻어 물에 담가 쪄서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조금씩 볶아낸 것이다. 도묘지나 미진코보다 입자가 곱다.


  • 백옥분 (한설분)
  • 찹쌀가루 또는 규피분: 찹쌀을 씻은 후 건조시켜 절구에 빻은 것이다.
  • 도묘지코
  • 한매분 (구운 을 부순 가루)
  • 낙안분
  • 미진분
  • 상신분(상용분)
  • 유아분 (유아 곡분)

2. 2. 제분 방식에 따른 분류

쌀가루는 제분 방식에 따라 건식 쌀가루와 습식 쌀가루로 나눌 수 있다.[4] 건식 쌀가루는 쌀을 말린 상태에서 빻아 만들며, 실온 보관이 가능하다.[4] 반면, 습식 쌀가루는 쌀을 물에 불린 후 빻아 만들기 때문에 촉촉하고 부드러운 질감을 가진다.[4] 대한민국에서는 쌀을 물에 담갔다가 물기를 빼고 맷돌로 갈아 만든 습식 쌀가루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체질을 하기도 한다.[4] 습식 쌀가루는 손으로 쥐면 쉽게 부서지는 덩어리를 형성하며, 일반적으로 냉동 보관한다.[4]

습식 제분 쌀가루


쌀가루 종류[11]
colspan="2" |메벼로 만든 것찹쌀로 만든 것찹쌀과 메벼를 섞어 만든 것
베타형: 쌀알을 가열하지 않고 생으로 가루로 만든 것건조 상태로 가루로 만든 것쌀가루(신코): 쌀을 백미로 도정한 후 물로 씻어 물기를 빼고 잠시 건조시킨 후 제분한 것이다. 충분히 건조시킨 후 체로 치면 약간 굵은 "보통 쌀가루", 고운 "상 쌀가루", 더욱 고운 "상용분(마분)"으로 나눌 수 있다.찹쌀가루: 찹쌀을 물로 씻어 물기를 빼고 잠시 건조시킨 후 제분한 것이다.(제법은 쌀가루와 동일) 백옥분보다 입자가 굵다.떡가루(단고코): 메벼·찹쌀을 백미로 도정하여 물로 씻어 잠시 물에 담근 후 분쇄(제분)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제조사에 따라 메벼와 찹쌀의 배합비가 다르다. 원료에 메벼가 들어있기 때문에 (백옥분이나 찹쌀가루에 비해) 쫄깃한 경단의 식감을 내기 쉽다. 간사이 지방 이서에서 많이 사용된다.
물로 빻는 제법백옥분(시라타마코): 찹쌀을 물로 빻는 제법으로 가루로 만든 것이다. 찹쌀가루보다 입자가 곱다. 제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므로 일반적으로 고급품으로 취급된다.
알파형: 쌀알을 가열한 후 가루로 만드는 방법유아분(뉴지코): 메벼를 열처리(알파화)하여 제분한 것이다. 유아식·이유식·미음에 사용된다.한매분(칸바이코): 백미로 도정한 찹쌀을 물로 씻어 물에 담갔다가 쪄서 "찹쌀떡"으로 만들고, 그것을 (색이 나지 않도록) 하얗게 구운 후 분쇄(제분)한 것이다. 이름의 유래는 매화가 필 무렵에 햅쌀로 찹쌀떡을 만들어 가루로 만들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별칭: "미진코"(관동 지방), "구운 미진코".
미진코(미진코): 찹쌀(또는 메벼)을 찐 후, 이를 건조시켜 볶아서 제분한 것이다. 찹쌀을 원료로 하는 것을 "상조분(조하야코)", 메벼를 원료로 하는 것을 "병조분(나미하야코)"이라고 한다. 덧붙여, 관동 지방에서는 "한매분"을 "미진코"라고 한다.
도묘지(도묘지): 찹쌀을 물에 담가 쪄서 건조시켜서 만든 호시이(ほしいい)를 거칠게 부순 것이다. 이름의 유래는 도묘지(오사카)에서 만들어진 데에서 유래한다.
낙안분(라쿠간코): 찹쌀을 물로 씻어 잠시 건조시킨 후, 찌지 않고 볶아서 제분한 것이다. 또는 도묘지를 더 잘게 부수어 구운 것이다. 이름의 유래는 낙안(라쿠간)이라고 불리는 건과자를 만들 때 주원료로 사용되는 데에서 유래한다.
상남분(조난코): 찹쌀(드물게는 메벼)을 잘 씻어 물에 담가 쪄서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조금씩 볶아낸 것이다. 도묘지나 미진코보다 입자가 곱다. 별칭: "가가지분"(가나자와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상미진", "극미진분" 등.


3. 제분 방법

쌀가루는 맷돌을 사용하여 쌀을 갈아 만드는 전통적인 방식부터, 롤러를 이용하는 롤 제분,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는 기류 분쇄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진다.[4]


  • 맷돌 제분: 쌀을 맷돌에 갈아 만드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입자가 굵고 거칠지만 쌀 본연의 맛과 향을 살릴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쌀을 물에 담갔다가 물기를 빼고 맷돌로 갈아 만든 습식 쌀가루(습식 쌀가루|seupsik ssal-garu한국어)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체질을 하기도 한다.[4]
  • 롤 제분: 롤러를 이용하여 쌀을 분쇄하는 방식으로, 입자가 곱고 균일하다.
  • 기류 분쇄: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쌀을 분쇄하는 방식으로, 매우 미세한 입자를 얻을 수 있다.
  • 물 갈기: 물을 이용해 쌀을 가는 방식이다.
  • 고속 분쇄기(핀 밀): 고속으로 회전하는 핀을 이용하여 쌀을 분쇄하는 방식이다.


이 외에도 명칭이 없는 제법이나 특허 제법, 기업 비밀 등 다양한 제분 방법이 존재하며,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한다.

4. 용도

쌀가루는 떡, 과자, 빵 등 다양한 음식에 활용되며, 특히 글루텐 프리 식품의 주요 재료로 사용된다. 쌀가루는 완성된 제품에 독특한 질감과 풍미를 부여하여 , 마카롱, 일부 종류의 과 같은 과자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루 설탕과 유사한 방식으로 과자에 뿌리는 데에도 사용된다.[5]

제분 기술의 발달로 입자가 미세하고 손상 전분이 적은 '''미세 분말 쌀가루'''가 개발되어 밀가루를 대체하기 쉬워졌으며, 이는 국산 쌀 소비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18]

일본에서는 1960년대 이후 쌀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나,[16][17] 2009년 미곡의 새로운 용도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성립되면서 쌀가루의 활용이 장려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쌀가루가 글루텐 프리 빵, 비스킷, 케이크, 머핀 등의 원료로 사용되며,[23] 유럽 셀리악 협회(European Coeliac Society)의 EU 공통 GF 인증(글루텐 20ppm/kg 이하)이 존재한다.[23] 특히 영국에서는 저 글루텐 제품에 대한 요구가 높고, 프랑스에서는 유기농 밀 생산에 대한 관심이 높다.[23]

그 외에도 쌀가루는 화장품,[23] 버섯 재배용 배지, 유아용 점토[24]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사라 베르나르가 지지한 화장품으로 사용된 쌀가루

4. 1. 한국 요리

찹쌀가루찹쌀을 갈아 만든 것으로, 반죽하면 끈기가 있다. 찹쌀가루는 (인절미, 부편 등), 고추장, 한과, 화전, 강정, 경단, 원소병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2][3]

멥쌀가루는 범벅, 죽, 미음, 단수와 같은 죽 요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한국 요리에서 쌀가루는 다양한 종류의 한과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찹쌀가루는 찹쌀떡이나 고추장, 김치에 사용되는 쌀풀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4. 2. 동아시아 요리

일본 요리에서는 찹쌀가루인 '모치고메코'(또는 줄여서 '모치코')를 사용하여 모치, 당고를 만들거나 소스의 걸쭉함을 더하는 데 사용한다.[2][3] 생 찹쌀가루 '시라타마코'는 과자를 만드는 데 자주 사용된다.[3] 멥쌀가루 '조시코'는 주로 과자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3] 찹쌀가루는 주로 화과자(, 양갱, 만주, 센베이, 경단, 말린 과자 등)에 쓰이고, 멥쌀가루는 주로 일부 화과자(가루캉 등), 쌀국수(비펀, 등), 라이스페이퍼, 스낵, 센베이에 쓰인다. 그 외에도 쌀가루 빵이나 쌀가루 면(우동, 라멘, 파스타 풍) 등 멥쌀가루의 이용을 도모하고 있다.

쌀가루 빵


중국 요리에서는 쌀가루를 사용하여 젠두이, 탕위안, 니엔가오, 칭퇀과 같은 음식을 만든다.

중국의 젠두이, 쌀가루와 참깨로 만든 튀김볼

4. 3. 동남아시아 요리

필리핀 요리에서 찹쌀가루 반죽인 ''갈라퐁''은 다양한 종류의 토착 떡과 디저트(''카카닌'')의 기본 재료이다. 요리에 따라 코코넛 밀크 (''가타''), 나무 재 잿물 및 기타 다양한 재료를 ''갈라퐁''에 첨가할 수 있다. ''갈라퐁''은 굽거나, 찌거나, 삶거나, 튀겨서 ''푸토'' 또는 ''비빙카''와 같은 요리를 만들 수 있다.[6]

태국 ''카놈 톰''


타이에는 다양한 쌀가루를 이용한 요리가 있다.

  • 카놈 크록 - 쌀가루와 코코넛 밀크를 섞어 구운, 타코야키와 같은 과자[21]
  • 카놈 부앙 - 쌀가루와 코코넛 크림을 섞어 굳혀 구운, 야츠하시와 같은 과자[21]
  • 카놈 사이 사이 - 앙금을 쌀가루 반죽으로 감싸 바나나 잎으로 싼 다음 찐 과자[21]
  • 카놈 챤 - 쌀가루와 타피오카 가루로 만든 층상 젤리[21]
  • 카놈 턴 - 쌀가루 반죽에 사탕 야자 열매와 주스를 뿌려 찐 것[21]

4. 4. 남아시아 요리

남인도 요리에서는 쌀가루가 도사, 푸투, 차쿨리[7], 골리바제(망갈로르 바지) 및 코리 로티와 같은 요리에 사용된다. 또한 , 기장, 기타 곡물 가루와 때로는 말린 과일 또는 채소를 섞어 아기 음식의 일종인 만니를 만들기도 한다. 쌀가루는 서인도 콘칸 지역에서 바크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방글라데시 요리에서 쌀가루는 일반적인 재료이다. 동인도의 벵골 요리와 아삼 요리에서는 로티와 산데쉬 및 피타 (때로는 찐 것, 튀긴 것 또는 팬에 구워 코코넛 가루, 참깨, 자거 및 차쉬니와 함께 제공되는 쌀 케이크 또는 팬케이크)와 같은 디저트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또한 키르 (인도 아대륙의 흔한 디저트)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스리랑카 요리에서는 쌀가루가 많은 가정용 식품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피투, 아파(호퍼), 인디 아파 (스트링 호퍼), 케움, 코키스, 아티라사 등과 같은 과자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또한 빵 및 기타 제과 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4. 5. 서양 요리

쌀가루는 밀가루 대신 글루텐 프리 , 케이크, 쿠키 등의 양과자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쌀가루로 파스타, 피자 반죽 등을 만들 수 있다.[12] 쌀가루는 완성된 제품에 독특한 질감과 풍미를 부여하며, 가루 설탕과 유사한 방식으로 과자에 뿌리는 데에도 사용된다.[5]

4. 6. 기타



쌀가루는 화장품 산업에서 사용된다. 현미 가루는 버미큘라이트와 혼합하여 버섯 재배를 위한 배지로 사용할 수 있다. 식민지화된 배지의 단단한 케이크는 습한 용기에서 자랄 수 있는데, 이는 식용 버섯 재배자들이 종종 사용하는, 버섯을 재배하는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이다.

유아 교육용 점토로는 쌀가루를 주원료로 한 쌀가루 점토가 있다.[24] 유아가 실수로 입에 넣었을 때를 대비해 안전성을 고려한 제품으로 밀가루 점토가 있지만, 밀가루 점토는 밀 알레르기 위험이 있어 쌀가루로 대체한 것이다.[24]

5. 한국의 쌀가루 산업

한국에서는 쌀 소비 감소와 쌀 자급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쌀가루 산업 육성에 힘쓰고 있다. 2009년에는 '미곡의 새로운 용도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쌀가루 산업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과거에는 2mm 체로 선별한 "망하미", 쌀 찌꺼기 등 낟알로 먹기에 적합하지 않은 쌀을 쌀가루 원료로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밥으로 먹을 수 있는 쌀을 쌀가루로 만드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13] 2008년 사고미 부정 판매 사건에서 사고미가 쌀가루로 유통되었다는 지적이 있었다.[13]

미즈호치카라, 아키타 미즈호노마이(아키타 63호) 등 다양한 쌀가루 전용 품종이 개발되고 있으며, 제분 기술 발전으로 쌀가루의 품질이 향상되고 있다.

고시히카리 쌀가루 면을 사용한 라면 (니가타현 미나미우오누마군 유자와정)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쌀가루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 개발 및 소비 촉진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지역주요 활동
니가타현 (현 전역)밀 소비량의 10%를 쌀가루로 대체하는 R10 프로젝트 추진[19]
홋카이도 비바이시
홋카이도 가미카와 관내 히가시카와정
홋카이도 소라치 관내 구리야마정 4H 클럽
아오모리현 토와다시
아키타현 오가타촌
아이치현 나가쿠테시
오카야마현 FOOD ACTION 미마사카[20]
야마나시현 추오시


6. 쌀가루 관련 사건

2008년에 발생한 사고미 부정 판매 사건에서, 곰팡이가 피는 등 인체에 유해한 사고미가 쌀가루로 유통되었다는 지적이 있었다[13]。 원래 쌀가루의 원료는 2mm 체로 선별한 "망하미"나 쌀 찌꺼기 등 낟알로 먹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사용했지만, 낟알로 먹는 멥쌀은 식량법 등으로 관리되던 것과 달리 "망하미"는 "특정미곡"이라 불리며 품질 관리 시스템이 없어 관리가 허술한 상황이었다[13]。 이 사건은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를 낳았으며,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건을 계기로 쌀 관리 및 유통 시스템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ook's Thesaurus: Rice http://www.foodsubs.[...] Lori Allen 2006-03-02
[2] 서적 A Dictionary of Japanese Food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3-01-29
[3] 서적 Japanese Cooking: A Simple Art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2013-01-29
[4] 간행물 Effect of Different Milling Methods on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of Rice Flours
[5] 서적 The Technology of Cake Making Springer 1997
[6] 서적 Memories of Philippine Kitchens https://books.google[...] Abrams
[7] 웹사이트 easy chakkuli recipe using ready flour https://udupi-recipe[...] Udupi Recipes 2024-03-28
[8] 웹사이트 『米粉』 を生んだ技術で日本の食文化を築き新分野の未来を支える https://www.m-osaka.[...] 2021-01-22
[9] 웹사이트 米粉の種類と用途:東海農政局 https://www.maff.go.[...] 2022-05-23
[10] 웹사이트 全国穀類工業協同組合 http://www.komeko.ne[...]
[11] 웹사이트 [米粉の種類]:北陸農政局 https://www.maff.go.[...] 2021-04-13
[12] 뉴스 米粉VS小麦粉 どっちがおいしい? 天ぷら、ホットケーキ…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0-06-11
[13] 뉴스 事故米騒ぎで露呈した「米粉」普及の障害 http://business.nikk[...] 日経BP 2008-09-30
[14] 웹사이트 青森の郷土料理とは しとぎもち https://www.umai-aom[...] 青森県農林水産部 2020-10-19
[15] 웹사이트 食について学ぼう たべもの事典 米粉(お米の粉)について https://www.glico.co[...] グリコ栄養食品 2020-10-19
[16] 간행물 食料需給表 https://www.e-stat.g[...] 農林水産省
[17] 간행물 食料需給表 https://www.e-stat.g[...] 農林水産省
[18] PDF 『米粉』とは、微細粉の大きさは? なぜ米粉が注目されているの? http://www.pref.naga[...] 長野県公式ホームページ
[19] 웹사이트 新潟県:「米粉のお部屋」は新潟県の米粉情報ページです http://www.pref.niig[...]
[20] 웹사이트 FOOD ACTION 美作 http://www.pref.okay[...]
[21] 서적 暮らしのタイ語単語7000 語研
[22] 뉴스 グルメ大国フランスに、グルテンフリーの波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4-09-10
[23] 웹사이트 平成30年度海外需要創出等支援対策委託事業 米粉の輸出拡大に向けた欧米グルテンフリー市場調査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2-01-18
[24] 웹사이트 粘土遊びの指導法に関する一考察 https://library.yasu[...] 安田女子大学 2019-11-11
[25] 웹인용 쌀가루 https://stdict.korea[...] 2016-08-20
[26] 뉴스 '[똑! 기자 꿀! 정보] 비올 때 먹어야 제맛…바삭바삭 부침개' http://news.kbs.co.k[...] KBS 2016-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