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회당 우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당 우파는 시대에 따라 정의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일본 사회당 내에서 전후 민주주의와 의회주의를 긍정하며 사회 변혁을 목표로 하는 세력을 지칭한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이후 사회당 분열 과정에서 강화 조약을 지지한 세력을 시작으로, 구조 개혁론을 지지하는 세력, 무라야마 정권 탄생 이후 반 무라야마 그룹 등을 우파로 지칭했다. 1955년 사회당 재통합 이후 일부 당원들은 민주사회당을 창당했으며, 이후 사회당 우파는 구조 개혁론을 수용하며 자위대의 존재를 용인하는 등 현실적인 노선을 추구했다. 1990년대 이후에는 민주당으로 합류하거나, 입헌민주당, 국민민주당 등 여러 정당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사회당 - 55년 체제
    1955년 체제는 1955년 자유민주당과 일본사회당의 양대 정당 체제로, 장기 집권의 폐해와 정치 개혁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 일본사회당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회당 우파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래 이름일본어:
개요
창립1951년 10월 24일
해산1955년 10월 13일
분리일본사회당
합병일본사회당
본부도쿄, 일본
신문사회신문
청년 조직해당 없음
회원 수정보 없음
이념 및 정치적 성향
이념민주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반공주의
반 계급 투쟁
정치적 위치중도 좌파
기타 정보
국제 관계정보 없음
상징색하늘색 (공식)
주황색 (관례)
웹사이트정보 없음
추가 정보 (일본어 문서 기반)
당수 직함위원장
당수 이름가와카미 조타로
부당수 직함정보 없음
부당수 이름정보 없음
하원 대표 직함서기장
하원 대표 이름아사누마 이네지로
상원 대표 직함정보 없음
상원 대표 이름정보 없음
창당일1950년 1월 16일
해산 사유좌파사회당과의 재통합
후신 정당일본사회당
정치적 이념사회민주주의
사회개량주의
반공주의

2. 정의

사회당 우파는 시대에 따라 그 정의가 변동해 왔다.[1] 1960년대까지는 사회민중당, 일본노농당 계통을 잇는 정치인·활동가를 지칭했다. 구조 개혁 논쟁 이후에는 구조 개혁론을 지지하는 에다 사부로파·와다 히로오파·가와카미 조타로파에 속하는 정치인·활동가를 지칭하게 되었다. 무라야마 정권 탄생 이후에는, 편의상 쿠보 와타루를 비롯한 반 무라야마 그룹을 지칭한다. 무라야마 정권 시대를 제외하고, 우파와 좌파의 분수령은 전후 민주주의를 긍정하고 의회주의를 통한 사회 변혁을 목표로 하는가, 전후 민주주의를 극복하고 절대적인 사회 변혁을 목표로 하는가라는 일본 사회당이 안고 있는 분열된 정체성의 어느 위치에 속하는가 하는 대립이었다.[1]

2. 1. 1960년대까지

사회민중당, 일본노농당 계통을 잇는 정치인·활동가를 지칭했다.[1] 구조개혁 논쟁 이후에는 구조 개혁론을 지지하는 에다 사부로파·와다 히로오파·가와카미 조타로파에 속하는 정치인·활동가를 지칭하게 되었다.[1]

2. 2. 구조 개혁 논쟁 이후

구조 개혁 논쟁 이후에는 에다 사부로파, 와다 히로오파, 가와카미 조타로파에 속하는 정치인·활동가를 지칭하게 되었다.[1] 무라야마 정권 탄생 이후에는 편의상 쿠보 와타루를 비롯한 반 무라야마 그룹을 지칭한다.[1] 무라야마 정권 시대를 제외하고, 우파와 좌파의 분수령은 전후 민주주의를 긍정하고 의회주의를 통한 사회 변혁을 목표로 하는가, 전후 민주주의를 극복하고 절대적인 사회 변혁을 목표로 하는가라는 일본 사회당이 안고 있는 분열된 정체성의 어느 위치에 속하는가 하는 대립이다.[1]

2. 3. 무라야마 정권 탄생 이후

구보 와타루를 비롯한 무라야마 반대 그룹을 지칭한다. 편의상 오자와 이치로와 협력해서라도 자민당을 타도하는 것을 우선시하며, 민주·리버럴 신당 결성도 불사하겠다는 정치인들을 지칭한다.[1]

3. 역사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서명 이후, 일본 사회당은 조약 지지 여부를 두고 온건한 개량 사회주의자와 급진적인 혁명 사회주의자 간의 갈등으로 분열되었다. 그 결과, 일부 당원들은 중도적인 사민주의 정당을 결성했고, 다른 이들은 더 급진적인 사회주의 정당을 결성했다. 두 그룹은 모두 "Nihon Shakaitō"(日本社会党일본어)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영어 번역을 다르게 하여 각각 일본 좌파 사회당과 일본 우파 사회당으로 알려졌다. 국내 정책에서 우파 사회당은 중도좌파 사민주의 정당이었다.

좌파는 1951년부터 1955년까지 혼란을 겪었다. 1955년 초, 좌파 사회당과 우파 사회당은 화해하여 합당, 사회당을 재건했는데, 이는 자유민주당이 자유당과 민주당의 합당을 통해 창설되기 몇 달 전이었다. 우파 사회당은 1955년 사회당 재통합으로 해체되었지만, 전 우파 사회당 일부 당원들은 1960년 사회당에서 탈당하여 민주사회당을 창당했다. 청년 사회주의자는 국제 사회주의 청년 연맹의 정회원 자격을 유지하는 새로 결성된 청년 조직으로, 우파 사회당의 정치적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 여겨진다.

전후 일본 사회당으로 합류하는 무산 정당의 근원은 전전 도시부 노동 운동에 기반을 두고 영국 노동당을 본받으려 했던 사회민중당 (우파), 농민 운동이나 빈곤 구제 운동 활동가들의 일본노농당 (중간파), 마르크스주의자들의 노농당 (좌파)였다. 이들은 단일 무산 정당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사회대중당을 결성했다. 1940년, 일본노농당 출신을 중심으로 고노에의 신체제 운동 · 대정익찬회로의 합류를 추진하여 사회대중당은 해산했다.

250px

3. 1. 결성부터 좌우 분열까지 (1945~1951)

1945년 9월, 일본 사회당은 대정익찬회와 거리를 둔 사회민중당 계열을 중심으로, 일본노농당 계열, 노농당 계열까지 결집하는 신정당으로 탄생했다. 그러나 이후 공직 추방으로 일본노농당 계열 정치인 대부분이 정계에서 추방되었다. 1947년 총선거에서 일본 사회당은 제1당이 되어, 가타야마 데쓰 내각이 탄생했다. 당무와 정권은 가타야마 데쓰 수상, 니시오 스에히로 관방장관 등 사회민중당(니시오 파) 계열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가타야마·아시다 내각 시대에 사회당 중심 인물이었던 니시오 스에히로와 히라노 리키조는 공직 추방을 둘러싸고 대립했고, 니시오 헌금 사건이나 쇼와 전공 의혹 사건(이후 모두 니시오의 무죄 확정) 등으로 당 안팎에서 급속히 지지를 잃어갔다.

또한, 일본 공산당의 지도가 강했던 종전 직후의 노동조합 다수가 민주화 운동(민동)에 의해 현실화되어, 노동조합이 사회당 좌파의 강력한 원군이 되면서 당내 기반도 좌파가 강해졌다.

이 시기의 주요 정치인은 다음과 같다.

인물설명
가타야마 데쓰초대 위원장. 기독교 사회주의 입장을 취했다. 수상 경험자. 재무장 반대와 헌법 옹호를 호소했다.
니시오 스에히로가타야마 데쓰 시대의 서기장. 1942년 익찬선거에서 "나라를 위해서는 피를 흘려라"라고 호소했지만, 비추천을 관철하고 익찬 정치에 반대했다. 1960년, 미일 안전 보장 조약에 찬성하여, 민사당을 결성, 초대 위원장을 맡았다.
마쓰오카 고마키치일본 노동 총동맹·전일본 노동 총동맹 회장을 역임. 전후, 정계에 전향하여 중의원 의장을 맡았다.
미즈타니 조자부로
모리토 다쓰오
히라노 리키조전전에 농민 운동에서 활약. 한때는 재향군인회와 협력하는 등 독자적인 활동으로 알려졌다. 전후 가타야마 내각에서 농림대신을 맡았지만, 공직 추방 처리를 둘러싸고 농상 해임. 이 영향으로 히라노 계열이 사회당을 탈당하여, 사회혁신당을 결성했다.
스즈키 젠코사회혁신당에서 민주자유당으로 전향, 후에 자민당 총재·수상.
야마구치 시즈에매춘 방지법 제정에 진력. 1967년, 자민당으로 이적.
가토 시즈에가토 간주의 아내. 우생 보호법 제정에 진력. 그 후 탈당하여 보수파로 전향, 신생당, 신진당 지지자가 되었다. 여성들을 위한 정치 스쿨 명예회장도 맡았다.


3. 2. 우파 사회당 (1951~1955)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및 (구) 미일 안전 보장 조약 찬반 논쟁으로 일본 사회당은 분열되었다. 강화 조약 찬성, 안보 조약 반대파는 편의상 "우파 사회당"(우사)으로 불렸다.[5] 당초 위원장은 공석이었고, 아사누마 이네지로가 서기장에 취임했다. 후에 공직 추방에서 해제된 가와카미 조타로가 위원장에 취임했다. 이 혼란기에, 군국주의와 결별하면서 재무장도 선택지에 있었던 일본 사회당의 안전 보장 정책은 반군비를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1952년 총선거부터 일본노농당계(가와카미파)가 정계에 복귀하여 우파 사회당에 합류했지만, 당 조직 정비가 미비하여 지명도가 높은 정치가들이 개인 후원회적 선거 활동을 전개하였다. 한편 좌파는 일본 공산당의 지도를 벗어난 노동 운동을 기반으로 조직적인 선거를 전개했다. 그래서 "얼굴의 우사" 등으로 불렸다.

분열 직후 우파 사회당은 29석이었지만, 1952년 총선거에서 57석, 1953년 총선거에서 66석, 1955년 총선거에서 67석으로 증가했다. 1955년 10월 13일, 좌우 사회당은 재통합되었다(사회당 재통일). 우사 위원장 가와카미는 사회당 고문이 되었고, 아사누마는 통일된 사회당의 서기장이 되었다.

이 시기의 주요 정치가는 다음과 같다.

정치인주요 활동 및 경력
가와카미 조타로기독교 사회주의의 입장에서 고베에서 구빈 활동을 시작. 일본노농당의 중심적 존재로, 자신의 전쟁 책임을 인정한 후, 평화 운동에 매진.
아사누마 이네지로와세다 대학 신인회의 학생 운동에서 시작. 일본노농당에서 아소 히사시를 존경. 조직을 중요시하고 인맥 유지 및 형성에 진력하여 전후 사회당 재건에 공헌.
미와 스에오
고노 미쓰루
가스가 잇코후에 제3대 민사당 위원장 역임.
아사누마 미치오아사누마 이네지로의 먼 친척. 우익으로 전향하여 대일본애국당 참여 등을 역임.


3. 3. 구조 개혁 논쟁 이후

1959년 사회당 내에서 니시오 스에히로 제명 문제가 불거지면서, 니시오 파와 가와카미 조타로 파의 절반이 민주사회당을 결성하고 사회당을 탈당했다.[3] 이로써 기존 우파는 가와카미 파의 잔존 그룹이 되었다.[3]

그 후, 이탈리아 공산당의 구조 개혁 이론이 일본에 영향을 주었다.[4] 이 이론은 의회주의를 수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일본 공산당과 일본 사회당에 영향을 미쳤다.[4] 일본 공산당은 구조 개혁론을 봉쇄하고 지역 돌봄 활동 등으로 소화했지만, 사회당 좌파는 단계혁명론과 의회주의, 민주주의 간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구조 개혁론을 수용했다.[4]

1960년 아사누마 이네지로 암살 사건 직후, 구조 개혁 이론은 사회당의 공식 이론으로 채택되었다.[5] 이후 에다 사부로 파, 와다 히로오 파, 가와카미 조타로 파가 우파로 불리게 되었다.[5]

1969년 총선에서 사회당이 참패한 후, 에다 사부로는 공명당, 민주사회당과의 연대를 통해 비자민 정권 수립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당내 좌경화, 특히 사회주의 협회 파의 성장으로 인해 에다의 구상은 좌절되었다.

1977년 사회당 대회에서 사회주의 협회 파가 에다 제명을 주장하면서 에다는 탈당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급사했다. 이후 사회주의 협회에 대한 반발이 커지면서 당내 논쟁이 격화되었다.

이 무렵, 사사키 파가 사회주의 협회 포위망에 참여하면서 우파의 입지가 강화되었다. 이후 사회당은 사공민 노선을 통해 정권 획득을 목표로 했으며, 자위대의 존재를 사실상 용인했다. 그러나 "보수혁신도 아닌 어중간한 이미지"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 시기 주요 정치인들은 다음과 같다.

인물주요 활동 및 경력
에다 사부로사회대중당 지방 의원, 사공공투 반대, 사공민 노선 주장, 사회 시민 연합 결성 후 급사
가토 키요마사자치노, 도 의회 출신, 아스카타 이치오와 대립 후 탈당, 자민당 입당, 치요다구 구청장 역임
타나베 마코토에다 사부로 탈당 후 우파 중심 인물, 가와카미 조타로 위원장 이후 26년 만의 우파 출신 위원장, 카네마루 신과 친분, 중도 정당과의 연대 추진, PKO 법안 채결 시 좌파 제어 실패
하타 카즈사이타마현 지사, "신·현실주의" 표방, 5선 장기 재임
요코미치 타카히로홋카이도 지사, 동연 건설 찬성, 민주당 참여, 오자와 이치로와 자위대 해외 파견 합의
타이라 히데오전 뉴스 캐스터, "새로운 흐름의 회" 출신, MPD·평화와 민주 운동 발기인, 사회민주연합 대표, 신당 호헌 리버럴, 평화·시민 거쳐 사회민주당 합류
우에다 테츠NHK 노조 출신, 중도 우파 "화요회" 소속, 호헌파, 호헌 신당 아카츠키, 스포츠 평화당, 사회당 (2000년), 노인당 도쿄 등 활동
야스츠네 료이치일본 사철 노동조합 총연합회 서기장, 원자탄·수소폭탄 금지 일본 국민 회의 상임 집행위원, 일본 노동조합 총평의회 부의장 역임, 도쿄 사가와 급변 사건으로 실각
우에다 타쿠조일본 공산당 (일본의 목소리) 출신, 부락 해방 동맹 활동가, KGB 스파이, 리크루트 사건 관여, 티그레 설립
치바 요시오1967년 당선 후 1기 재임, 낙선 후 탈당, 우익 단체 다이코샤 정치 연맹 이적


3. 4. 무라야마 정권 이후

소련 붕괴 이후, 좌파 정치인들도 온건한 사회민주주의를 수용하면서 당내 이념 대립은 완화되었다. 오자와 이치로와 협력하여 자민당을 무너뜨리는 것을 우선시하고, 민주·리버럴 신당 결성도 고려하는 정치인들을 우파라고 불렀다. 민주당 결성 후, 다수가 민주당으로 이동하였다. 2018년 현재, 구 사회당 우파 계보를 잇는 의원들은 입헌민주당에 주로 소속되어 있지만, 국민민주당 등 다른 정당에도 소속되어 있다.

이 시기의 주요 정치인은 다음과 같다.

정치인설명
쿠보 와타루무라야마 토미이치 시대의 서기장. 자사사 연립 정권에 속으로는 반대했지만, 서기장으로서 무라야마를 지지했다. 민주·리버럴 신당 결성을 모색하고, 민주개혁연합에 들어갔다.
야마하나 사다오아버지 대부터 좌파였지만, 위원장 취임 후 자민당 반주류파와 손잡고 정권 교체를 실현하여 점차 우파의 대표로 여겨지게 되었다. 당내 반무라야마 그룹의 대표로서, 반무라야마 그룹 국회의원의 탈당계를 제출했지만, 한신·아와지 대지진 때문에 집단 탈당 전술이 실패하여 책임을 지고 혼자 탈당했다.
코바야시 타다시일본교직원조합(닛쿄소) 출신. 보수파로 전향하여 탈당 후 신생당, 신진당, 자유당에서 활동했다. 후에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회장, 교과서 개선의 모임 찬동자 등을 역임했다.
타니하타 타카시우에다 타쿠조 비서 출신, 전 부락해방동맹 오사카부 연합회 부위원장. 후에 자민당으로 전향, 세이와 정책 연구회 소속. 그 후 일본유신회, 유신의 당, 오사카 유신회를 거쳐, 현재는 일본유신회 소속.
이노우에 카즈나리셋츠시 시장에서 중의원 의원으로 전향, 사회당 부위원장, 우정대신을 역임. 그 후 민주당, 자유당, 보수당을 거쳐 자민당에 들어갔다. 동생인 이노우에 신야는 샐러리맨 신당에서 활동했다.


4. 주요 인물

1945년 9월, 일본사회당은 대정익찬회와 거리를 둔 사회민중당 계열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2] 1947년 제2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일본사회당이 제1당이 되어, 가타야마 데쓰 내각이 탄생했다.[2] 가타야마 데쓰 수상, 니시오 스에히로 관방장관 등 사회민중당(니시오 파) 계열 중심으로 당무와 정권이 운영되었다.[2]

가타야마·아시다 내각 시대에 사회당 중심 인물이었던 니시오 스에히로와 히라노 리키조가 공직 추방을 둘러싸고 대립했고, 니시오 헌금 사건이나 쇼와 전공 의혹 사건 등으로 인해 당 안팎에서 급속도로 지지를 잃어갔다.[2]

이 시기의 주요 정치가는 다음과 같다.[2]

인물주요 활동 및 이력
가타야마 데쓰초대 위원장, 기독교 사회주의 입장, 수상 역임, 재무장 반대와 헌법 옹호[2]
니시오 스에히로가타야마 데쓰 시대 서기장, 1960년 미일 안전 보장 조약 찬성, 민사당 창당, 초대 위원장[2]
마쓰오카 고마키치일본 노동 총동맹, 전일본 노동 총동맹 회장 역임, 중의원 의장 역임[2]
미즈타니 조자부로
모리토 다쓰오
히라노 리키조농민 운동 활동, 가타야마 내각 농림대신 역임, 공직 추방 처리 관련 농상 해임, 사회혁신당 결성[2]
스즈키 젠코사회혁신당에서 민주자유당으로 전향, 자민당 총재, 수상 역임[2]
야마구치 시즈에매춘 방지법 제정 진력, 1967년 자민당 이적[2]
가토 시즈에가토 간주 부인, 우생 보호법 제정 진력, 탈당 후 보수파 전향, 신생당, 신진당 지지[2]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서명 이후 일본 사회당은 조약 지지 여부를 두고 분열되었는데, 이때 강화 조약 찬성, (구) 미일 안전 보장 조약 반대파가 '우파 사회당'으로 불렸다. 위원장은 가와카미 조타로가 맡았고, 서기장은 아사누마 이네지로였다.[5]

이 시기 주요 정치인은 다음과 같다.

인물주요 활동 및 경력
가와카미 조타로기독교 사회주의를 바탕으로 고베에서 구빈 활동을 했다. 일본노농당의 중심이었으며, 전쟁 책임을 인정한 후 평화 운동에 힘썼다.
아사누마 이네지로와세다 대학 신인회 학생 운동 출신이다. 일본노농당에서 아소 히사시를 존경했으며, 조직을 중요시하고 인맥 형성에 힘써 사회당 재건에 기여했다.
미와 스에오
고노 미쓰루
가스가 잇코후에 제3대 민사당 위원장이 되었다.
아사누마 미치오아사누마 이네지로의 먼 친척. 우익으로 전향하여 대일본애국당에서 활동했다.



타나베 마코토는 에다 사부로 탈당 후 우파의 중심 인물로, 가와카미 죠타로 위원장 이후 26년 만에 우파 출신 위원장이 되었다.[1]

무라야마 정권 시기에는 소련 붕괴로 인해 소련식 사회주의를 옹호하던 좌파 정치인들도 온건한 사회민주주의를 수용하면서 당내 이념 대립은 거의 없었다.

민주당 결성 이후, 많은 우파 인사들이 민주당으로 이동했다. 2018년 현재, 구 사회당 우파 계열 의원들은 입헌민주당에 주로 소속되어 있지만, 국민민주당 등 다른 정당 소속 의원들도 있다.

이 시기 주요 정치인들은 다음과 같다.

정치인주요 활동 및 경력
쿠보 와타루무라야마 도미이치 시대 서기장, 자사사 연립 정권 반대, 민주·리버럴 신당 결성 모색, 민주개혁연합 참여
야마하나 사다오위원장 취임 후 자민당 반주류파와 연대하여 정권 교체, 반무라야마 그룹 대표, 탈당
고바야시 타다시일본교직원조합(닛쿄소) 출신, 보수파 전향, 신생당, 신진당, 자유당 활동,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회장
타니하타 타카시우에다 타쿠조 비서 출신, 일본유신회, 유신의 당, 오사카 유신회, 일본유신회 소속
이노우에 카즈나리셋쓰시 시장, 중의원 의원, 사회당 부위원장, 우정대신, 민주당, 자유당, 보수당, 자민당


4. 1. 결성부터 좌우 분열까지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서명 이후, 일본 사회당은 조약 지지 여부를 두고 온건한 개량 사회주의 세력과 급진적인 혁명 사회주의 세력 간의 갈등으로 분열되었다. 그 결과, 일부 당원들은 중도적인 사회민주주의 정당을 결성했고, 다른 이들은 더 급진적인 사회주의 정당을 결성했다. 두 그룹 모두 "Nihon Shakaitō"(日本社会党일본어)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영어 번역을 다르게 하여 각각 일본 좌파 사회당과 일본 우파 사회당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국내 정책에서 우파 사회당은 중도좌파 사민주의 정당이었다.

1945년 9월, 일본사회당은 대정익찬회와 거리를 둔 사회민중당 계열을 중심으로, 일본노농당 계열, 노농당 계열까지 결집하는 신정당으로 탄생했다. 그러나 이후 공직 추방으로 인해 일본노농당 계열의 정치가 대부분이 정계에서 추방되었다.[2] 1947년 제2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일본사회당이 제1당이 되어, 가타야마 데쓰 내각이 탄생했다.[2] 가타야마 데쓰 수상, 니시오 스에히로 관방장관 등 사회민중당(니시오 파) 계열 중심으로 당무와 정권이 운영되었다.[2]

가타야마·아시다 내각 시대에 사회당 중심 인물이었던 니시오 스에히로와 히라노 리키조가 공직 추방을 둘러싸고 대립했고, 니시오 헌금 사건이나 쇼와 전공 의혹 사건 (후에 모두 니시오의 무죄 확정) 등으로 인해 당 안팎에서 급속도로 지지를 잃어갔다.[2]

또한, 일본 공산당의 지도가 강했던 종전 직후의 노동조합 다수가 민주화 운동(민동)에 의해 현실화되어, 노동조합이 사회당 좌파의 강력한 원군이 되면서 당내 기반도 좌파가 강해졌다.[2]

이 시기의 주요 정치가는 다음과 같다.[2]

인물주요 활동 및 이력
가타야마 데쓰초대 위원장, 기독교 사회주의 입장, 수상 역임, 재무장 반대와 헌법 옹호[2]
니시오 스에히로가타야마 데쓰 시대 서기장, 1960년 미일 안전 보장 조약 찬성, 민사당 창당, 초대 위원장[2]
마쓰오카 고마키치일본 노동 총동맹, 전일본 노동 총동맹 회장 역임, 중의원 의장 역임[2]
미즈타니 조자부로
모리토 다쓰오
히라노 리키조농민 운동 활동, 가타야마 내각 농림대신 역임, 공직 추방 처리 관련 농상 해임, 사회혁신당 결성[2]
스즈키 젠코사회혁신당에서 민주자유당으로 전향, 자민당 총재, 수상 역임[2]
야마구치 시즈에매춘 방지법 제정 진력, 1967년 자민당 이적[2]
가토 시즈에가토 간주 부인, 우생 보호법 제정 진력, 탈당 후 보수파 전향, 신생당, 신진당 지지[2]



1955년 초, 좌파 사회당과 우파 사회당은 화해하여 합당, 사회당을 재건했는데, 이는 자유민주당이 자유당과 민주당의 합당을 통해 창설되기 몇 달 전이었다.[1] 우파 사회당은 1955년 사회당이 재통합되면서 해체되었지만, 전 우파 사회당의 일부 당원들은 1960년 사회당에서 탈당하여 민주사회당을 창당했다.[1]

4. 2. 우파 사회당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서명 이후 일본 사회당은 조약 지지 여부를 두고 분열되었는데, 이때 강화 조약 찬성, (구) 미일 안전 보장 조약 반대파가 '우파 사회당'으로 불렸다. 위원장은 가와카미 조타로가 맡았고, 서기장은 아사누마 이네지로였다.[5]

이 시기 주요 정치인은 다음과 같다.

인물주요 활동 및 경력
가와카미 조타로기독교 사회주의를 바탕으로 고베에서 구빈 활동을 했다. 일본노농당의 중심이었으며, 전쟁 책임을 인정한 후 평화 운동에 힘썼다.
아사누마 이네지로와세다 대학 신인회 학생 운동 출신이다. 일본노농당에서 아소 히사시를 존경했으며, 조직을 중요시하고 인맥 형성에 힘써 사회당 재건에 기여했다.
미와 스에오
고노 미쓰루
가스가 잇코후에 제3대 민사당 위원장이 되었다.
아사누마 미치오아사누마 이네지로의 먼 친척. 우익으로 전향하여 대일본애국당에서 활동했다.


4. 3. 구조 개혁 논쟁 이후

에다 사부로사회대중당 출신으로, 사공공투에 반대하고 사공민 노선을 주장하다가 오오시바 시게오 등과 함께 탈당을 강요당했다. 이후 사회 시민 연합을 결성했으나,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급사했다.[1] 가토 기요마사는 자치노와 도 의회 출신으로, 아스카타 이치오와 대립하여 탈당한 후 자민당에 입당하여 지요다구 구청장이 되었다.[1]

타나베 마코토는 에다 사부로 탈당 후 우파의 중심 인물로, 가와카미 죠타로 위원장 이후 26년 만에 우파 출신 위원장이 되었다. 가네마루 신과 친분을 맺고 자민당과 협력하는 한편, 중도 정당과의 연대도 추진했다. 그러나 PKO 법안 채결 시에는 좌파의 강경 자세를 제어하지 못했다.[1]

하타 카즈는 사이타마현 지사를 지내며 "지방 자치에 보수도 혁신도 없다"는 "신·현실주의" 현정 운영으로 현민들의 강력한 지지를 받아 5선 20년의 장기 재임을 했다.[1] 요코미치 타카히로는 홋카이도 지사 시절 동연 건설에 반대할 것을 기대받았으나, 현실 대응을 명분으로 찬성했다. 이후 민주당에 참여하여 오자와 이치로와 자위대 해외 파견에 합의했다.[1]

타이라 히데오는 뉴스 캐스터 출신으로 "새로운 흐름의 회"에서 활동했다. MPD·평화와 민주 운동 발기인을 거쳐 사민련 대표가 되었다. 호소카와 내각 이후 신당 호헌 리버럴을 결성하고, 사회민주당으로 합류했다.[1] 우에다 테쓰는 NHK 노조 출신으로 중도 우파 "화요회" 소속이었다. 호헌파로서 활동하며 호헌 신당 아카츠키, 스포츠 평화당 등에서 활동했다.[1]

야스츠네 료이치는 사철총련 서기장 등을 역임했지만, 도쿄 사가와 급변 사건으로 실각했다.[1] 우에다 타쿠조는 일본 공산당 (일본의 목소리) 출신 부락 해방 동맹 활동가로, KGB 스파이로 활동했으며, 리크루트 사건에도 관여했다.[1] 치바 요시오는 우익 단체인 다이코샤 정치 연맹으로 이적했다.[1]

4. 4. 무라야마 정권 이후

무라야마 정권 시기에는 소련 붕괴로 인해 소련식 사회주의를 옹호하던 좌파 정치인들도 온건한 사회민주주의를 수용하면서 당내 이념 대립은 거의 없었다. 언론에서는 오자와 이치로와 협력하여 자민당을 몰아내는 것을 우선시하고, 민주·리버럴 신당 결성도 불사하겠다는 정치인들을 우파로 분류했다.

민주당 결성 이후, 많은 우파 인사들이 민주당으로 이동했다. 2018년 현재, 구 사회당 우파 계열 의원들은 입헌민주당에 주로 소속되어 있지만, 국민민주당 등 다른 정당 소속 의원들도 있다.

이 시기 주요 정치인들은 다음과 같다.

정치인주요 활동 및 경력
쿠보 와타루무라야마 도미이치 시대 서기장, 자사사 연립 정권 반대, 민주·리버럴 신당 결성 모색, 민주개혁연합 참여
야마하나 사다오위원장 취임 후 자민당 반주류파와 연대하여 정권 교체, 반무라야마 그룹 대표, 탈당
고바야시 타다시일본교직원조합(닛쿄소) 출신, 보수파 전향, 신생당, 신진당, 자유당 활동,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회장
타니하타 타카시우에다 타쿠조 비서 출신, 일본유신회, 유신의 당, 오사카 유신회, 일본유신회 소속
이노우에 카즈나리셋쓰시 시장, 중의원 의원, 사회당 부위원장, 우정대신, 민주당, 자유당, 보수당, 자민당


5. 선거 결과

사회당 우파의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 대표! 득표수! 득표율! 의석수! 증감! 순위! 지위
1952년가와카미 조타로4,108,27411.63%57석신규3위야당
1953년4,677,83313.52%66석9석4위
1955년5,129,59413.86%67석1석4위
colspan="8" |
선거대표선거구정당 명부의석순위지위
득표수! 득표율(%)! 의석! 득표수! 득표율(%)! 의석! 획득! 총 의석
1953년가와카미 조타로2,952,80310.547석1,740,4236.443석10석26석4위야당




5. 1. 중의원

선거대표득표수득표율의석수증감순위지위
1952년가와카미 조타로4,108,27411.63%57석신규3위야당
1953년4,677,83313.52%66석9석4위야당
1955년5,129,59413.86%67석1석4위야당


5. 2. 참의원

선거대표선거구정당 명부의석순위지위
득표수득표율(%)의석득표수득표율(%)의석획득총 의석
1953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가와카미 조타로2,952,80310.5471,740,4236.44310264위야당


참조

[1] 서적 Contemporary Politics in Japan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2
[2] 서적 Journal of Social and Political Ideas in Japan - Volumes 3-4 Center for Japanese Social and Political Studies 1965
[3]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 日本社会党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1-10-23
[4] 서적 Contemporary Politics in Japan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2
[5] 서적 画報現代史 補巻第15集 国際文化情報社 1957-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