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산업은 어업과 수산제조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수산동식물을 채취하거나 양식하는 어업과 이를 원료로 가공하는 수산제조업으로 나뉜다. 수산업은 크게 레크리에이션, 전통, 상업 분야로 구분되며, 전 세계 어획량의 대부분은 대양과 바다에서 이루어진다. 수산업은 다양한 어종에 의존하며, 소규모 어업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수산업은 환경 문제, 기후 변화, 국제 관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수산업 | |
---|---|
기본 정보 | |
![]() | |
정의 | 물고기를 기르거나 수확하는 것 |
관련 산업 | 수산업 |
어업의 구분 | |
어업 방식 | 원양어업 근해어업 연안어업 내수면 어업 양식업 재배어업 |
어법 | 낚시 어업 그물 어업 주낙 어업 작살 어업 가마우지 어업 어량 어업 포경 |
어구 | 어구 어망 낚싯대 작살 문어 단지 |
어업 문제 | |
문제점 | 남획 밀어 포경 문제 배타적 경제 수역 책임 있는 어업 |
일본의 어업 민속 | |
민속 | 해인 배의 영혼 에비스 어장 세이만도만 어촌 역사 문화재산 백선 |
국제 관련 단체 및 기관 | |
국제 기구 |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해양 관리 협의회 동남아시아 어업 개발 센터 |
일본 관련 단체 및 기관 | |
일본 기구 | 어업협동조합 수산청 어업조정위원회 수산시험장 수산고등학교 수산전문학교 수산학부 수산회사 생협 (기타 수산 관련 협동조합) |
관련 법규 | |
법규 | 어업법 어업권 수산자원 보호법 TAC법 외국인 어업 규제법 어업 주권법 한일어업협정 국제연합 해양법 협약 |
관련 카테고리 | |
관련 카테고리 | 어업 수산업 어구 어항 낚시 |
2. 수산업의 정의
일반적으로 수산업은 어업과 수산제조업을 말한다. 여기서 어업은 수산동식물을 채포(採浦) 또는 양식하는 사업을, 수산제조업은 수산동식물을 직접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식료·사료·비료·호료(糊料)·유지 또는 피혁을 생산하는 사업을 말한다. 어업은 작업 장소에 따라 근해어업, 원양어업, 국내의 어로 근거지로부터 출항하여 당일에 귀항할 수 있는 연안어업 및 양식업으로 나뉜다. 또한 어장(漁場)의 조성·개량 및 경영 합리화를 위해 어민이 협동하여 하는 '협업(協業)', 가족 노동에 의존하는 어가어업(漁家漁業)으로 구분한다. 수산제조업은 수산동식물을 원료로 하여 통조림을 제조하는 통조림제조업, 수산동식물을 원료로 하여 어유(漁油)·간유(肝油)를 제조하는 어간유제조업, 수산식물을 원료로 하여 한천(寒天)을 제조하는 한천제조업, 그리고 수산물을 동결시키는 냉동업(冷凍業)으로 나누는데, 일반적으로 통조림제조업과 냉동업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수산업은 크게 세 가지 주요 분야로 나눌 수 있다.[21]
FAO에 따르면, "...어업은 어류를 채취하는 활동이다. 여기에는 야생 어류의 포획 또는 양식을 통한 어류의 양식이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관련된 사람들, 어종 또는 어류의 종류, 수역 또는 해저, 어업 방법, 선박의 종류, 활동의 목적 또는 상기 특징들의 조합"의 관점에서 정의된다.[3] 이 정의에는 종종 특정 지역의 포유류와 어류 어민의 조합이 포함되며, 후자는 유사한 어구 유형으로 유사한 종을 어획한다.[4][5]
3. 수산업의 분야
어업은 어장에서 물고기를 잡는 산업이며, 양식업은 물고기, 조개류, 해조류 등을 인공적으로 기르는 산업이다. 배양어업은 자연 생태계에서 수산 자원을 늘리기 위해 인위적으로 개입하는 방식이다. 수산물 가공 및 유통과 관련된 산업으로는 수산가공업, 창고업, 운송업, 유통업 등이 있다.
3. 1. 상업 분야
상업 분야는 판매를 목적으로 야생에서 직접 잡거나 수산물을 가공한 양식과 관련한 기업과 개인으로 구성되어 있다.[21] 어업은 어장에서 어획하는 산업으로 상업적 어업, 레크리에이션 어업, 자급적 어업으로 나눌 수 있다.
세계 어획량의 약 90%는 내수면이 아닌 대양과 바다에서 나온다. 대부분의 해양 어업은 해안 근처에 위치하는데, 이는 연안 용승과 육상 유출수로 인해 풍부한 영양분이 있기 때문이다.[10] 그러나 해산 주변의 공해와 호수와 강의 내륙에서도 생산적인 야생 어업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어업은 야생 어업이지만, 양식 어업이 증가하고 있다. 양식은 굴 양식장과 같은 해안 지역[11]이나 연어 양식에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호수, 연못, 탱크 및 기타 울타리에서 내륙에서 양식이 이루어진다.
전 세계적으로 경골어류, 연체동물, 갑각류, 극피동물에 대한 상업적 어업이 있으며, 켈프와 같은 수생 식물도 포함된다. 그러나 세계 어업의 대부분은 매우 소수의 종에 의존한다. 이러한 종 중 일부는 청어, 대구, 멸치, 참치, 가자미, 숭어, 오징어, 새우, 연어, 게, 바닷가재, 굴 및 가리비이다.
2022년 소규모 어업은 세계 어획량의 약 40%를 차지하고 포획 어업 노동력의 90%를 지원하며, 여성이 40%를 차지한다. 5억 명의 사람들이 소규모 어업에 생계를 의존하고 있다.[12]
2022년 내수면 어업은 1,130만 톤을 생산했으며, 주로 아시아(63.4%)와 아프리카(29.4%)에서 어획되었으며, 식량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생산국은 인도(190만 톤), 방글라데시(130만 톤), 중국(120만 톤), 미얀마(90만 톤), 인도네시아(50만 톤)이다.[12]
3. 2. 전통 분야
전통 분야는 원주민들이 전통에 따라 제품을 만들어 내는 수산업과 관련한 기업 및 개인으로 구성되어 있다.[21] 어업은 어장에서 어획하는 산업으로 상업적 어업, 레크리에이션 어업, 자급적 어업으로 나눌 수 있다.
3. 3. 휴양 분야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또 판매가 목적이 아닌 수산물과 관련한 생계 목적과 관련한 기업과 개인으로 구성되어 있다.[21]
4. 수산업의 특성
한국을 비롯한 일본 등의 경우, 어업 경영체로는 어가(漁家), 소수의 기업체 및 관계조합(수산업협동조합 등)이 있다. 어가에 의한 어업은 연안어업이 주요 부분을 차지하지만, 규모의 영세성과 낮은 생산성으로 인해 주요 생산은 수산 기업체(관계조합을 포함)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한국과 일본뿐만 아니라 선진 외국에서도 공통된 현상으로,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수산업의 한 가지 특징이 된다. 수산기업체는 그 규모에서 볼 때 독점기업체로부터 소규모 자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수산업 종사자는 어업 근로자와 임금 노동자로 나뉘는데, 어업 종사자는 일반 노동자와 구분되는 두 가지 특징이 있다. 그것은 바로 선장제와 임금의 비율제이다.
2016년 총 어획량은 사상 최고치인 1억 7100만 톤에 달했으며, 이 중 88%는 비교적 안정적인 어획량, 감소된 폐기물 및 지속적인 양식 성장 덕분에 직접적인 인간 소비에 사용되었다. 이 생산량으로 인해 2016년 1인당 소비량은 사상 최고치인 20.3kg에 달했다.[18] 1961년 이후 연간 세계 어류 소비량 증가율은 인구 증가율의 두 배였다. 최근 몇 년 동안 양식의 연간 성장률은 감소했지만, 특히 아프리카와 아시아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두 자릿수의 상당한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18]
FAO는 2018년 2030년까지의 주요 추세를 다음과 같이 예측했다.[18]
- 세계 어류 생산량, 소비량 및 무역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률은 둔화될 것이다.
- 중국의 어획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자원이 적절히 관리된다면 다른 지역의 생산량 증가로 세계 어획량은 약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보다 느리게 성장하고 있지만, 세계 양식 생산량의 확대는 수요-공급 격차를 메울 것으로 예상된다.
- 가격은 명목상으로는 모두 상승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하락할 것이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다.
- 모든 지역의 식용 어류 공급량은 증가할 것이지만, 아프리카에서는 1인당 어류 소비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식량 안보 측면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 어류 및 어류 제품의 무역량은 지난 10년보다 느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수출되는 어류 생산량의 비율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4. 1. 선장제
선장제(船長制, seaman system, ferryman system)는 어업 종사자가 선장을 중심으로 선주(船主)에게 고용되는 제도이다. 한국과 일본에서 두드러지는데, 어업 작업의 낙후성과 어군 발견 등 기술 습득에 길드(guild)적 조직이 필요하여 인적 연관(人的連關)이 중요하기 때문이다.[1] 선주는 선장을 고용하고, 선장은 자신의 연고 관계에 따라 어업 종사자를 선정하여 해상 및 육상 작업의 효율을 높인다.[1]4. 2. 비율 임금제
어업 경영체로는 어가 (漁家), 소수의 기업체 및 관계 조합 (수산업협동조합 등)이 있다. 어가에 의한 어업은 연안어업이 주요 부분을 차지하지만, 규모의 영세성과 낮은 생산성으로 주요 생산은 수산 기업체(관계 조합 포함)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수산 기업체는 독점 기업체로부터 소규모 자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수산업에 종사하는 자, 특히 어업 근로자는 임금 노동자로서 어업 종사자라고 불린다. 이들은 선장제(船長制)와 임금의 비율제라는 특징을 가진다. 선장제는 어업 종사자가 선장을 중심으로 선주(船主)에게 고용되는 제도이다. 선주는 선장을 고용하고, 선장은 다시 자기 연고 관계에 따라 어업 종사자를 골라 해상 및 육상 작업을 한다.
임금 제도의 비율 임금제는 어획물 판매액에서 일정 기간 동안의 항해 경비를 제외한 나머지를 선주와 어부단(漁夫團)이 일정한 비율로 분배하거나, 판매액을 즉시 선주와 어업 종사자 집단이 나누어 갖는 방식이다. 선장, 기관장, 갑판장 등 특정 직책을 가진 사람들은 직책에 상당한 보수를 받는다.
선주가 원양어업처럼 자본 집약적인 기업을 운영할 때는 어업 종사자, 즉 선원들은 고정급(固定給)을 받아 위험 부담을 피할 수 있다. 모선어업(母船漁業)은 물론 다랑어·참치 어업에서도 고정급제와 비율 임금제가 병용되고 있다.
5. 수산업의 분류
수산업법에서는 수산업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 '''어업''': 어장에서 물고기를 잡는 산업으로, 상업적 어업, 레크리에이션 어업, 자급적 어업 등으로 나뉜다.
- '''어획물 운반업''': 어업 현장에서부터 육지의 시장까지 어획물이나 그 제품을 운반하는 사업이다.
- '''수산 가공업''': 수산동식물을 원료로 하거나 재료로 사용하여 식품, 사료, 비료, 가죽 등을 만들거나 가공하는 사업이다.
5. 1. 어업
어업(漁業)은 어장에서 물고기를 잡는 산업으로, 크게 상업적 어업, 레크리에이션 어업, 자급적 어업으로 나눌 수 있다. 어업은 바닷물 또는 민물, 야생 어업 또는 양식 어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12] 알래스카의 연어 어업, 로포텐 제도의 대구 어업, 동태평양의 참치 어업, 중국의 새우 양식장 어업 등이 그 예이다.
세계 어획량의 약 90%는 바다에서 나오며, 1990년대 중반 이후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10] 대부분의 해양 어업은 해안 근처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얕은 바다에서의 어획이 쉽고 연안 용승과 육상 유출수로 인해 영양분이 풍부하여 어류가 대륙붕 근처에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산 주변의 공해와 호수, 강 등 내륙에서도 야생 어업이 이루어진다.
양식 어업은 굴 양식장과 같은 해안 지역이나[11] 연어 양식과 같이 호수, 연못 등 내륙에서 이루어진다.
전 세계적으로 경골어류, 연체동물, 갑각류, 극피동물, 켈프와 같은 수생 식물에 대한 상업적 어업이 이루어진다. 세계 어업은 청어, 대구, 멸치, 참치, 가자미, 숭어, 오징어, 새우, 연어, 게, 바닷가재, 굴, 가리비 등 소수의 종에 크게 의존한다.
2022년 소규모 어업은 세계 어획량의 약 40%, 포획 어업 노동력의 90%를 지원하며, 이 중 여성의 비율은 40%이다. 5억 명의 사람들이 소규모 어업에 생계를 의존하고 있으며, 그중 5,300만 명이 자급적 어업에 종사하고 있고, 이 중 45%는 여성이다.[12]
2022년 내수면 어업은 1,130만 톤을 생산했으며, 주로 아시아(63.4%)와 아프리카(29.4%)에서 어획되어 식량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생산국은 인도(190만 톤), 방글라데시(130만 톤), 중국(120만 톤), 미얀마(90만 톤), 인도네시아(50만 톤)이다.[12]
5. 1. 1. 면허 어업
- 포획채취어업: 정치망어업, 마을어업
- 양식업: 해조류 양식어업, 패류 양식어업, 어류등 양식어업, 복합 양식어업, 협동 양식어업, 외해 양식어업
5. 1. 2. 허가 어업
허가 어업에는 포획채취어업과 양식어업이 있다. 포획채취어업은 근해어업, 연안어업, 구획어업, 원양어업으로 나뉜다. 양식어업에는 육상해수양식어업, 종묘생산어업이 있다.5. 1. 3. 신고 어업
맨손어업, 나잠어업, 투망어업이 있다.5. 2. 어획물 운반업
어업장으로부터 양육시까지 어획물 또는 그 제품을 운반하는 사업이다.5. 3. 수산 가공업
수산 가공업은 수산동식물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식료, 사료, 비료, 가죽 등을 제조하거나 가공하는 사업이다.종류 | 내용 |
---|---|
등록 대상 | 어유가공업, 냉동냉장업, 선상수산물가공업 |
신고 대상 | 수산피혁가공업, 해조류가공업 |
5. 3. 1. 등록 대상
어유가공업, 냉동냉장업, 선상수산물가공업5. 3. 2. 신고 대상
수산피혁가공업, 해조류가공업6. 수산물의 종류
수산업에서 '물고기'는 연체동물, 갑각류 등 경제적 가치를 위해 채취되는 모든 수생 동물을 포함하는 집합적인 용어이다.[3] 진정한 물고기는 대부분 경골어류이며, 수산업이나 양식업에서 채취되는 다른 무척추동물 수생 생물과 구별하기 위해 '경골어류'라고도 한다.[9]
6. 1. 민물 수산물
잉어, 붕어, 메기, 미꾸라지 등은 매운탕 재료로 흔히 쓰이며, 보양식으로도 쓰인다.[1] 올갱이와 같은 민물 연체동물도 채집 대상이다.[2]6. 2. 해산물
바다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을 해산물이라 한다. 참치, 명태는 원양어업의 대표적인 생산물이다. 회나 초밥에 이용되는 어류는 거의 대부분 양식하여 생산한다.7. 일본의 수산업
일본에서는 예전에 어업이 수산업의 중심이었지만, 연안 해역의 어업 자원 고갈, 어장 오염, 인접 국가들과의 어업 협정 등으로 어획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낮아지고 있다.[1]
현대 일본에서는 어업 대신 수산물 가공 및 수산물 냉동 등의 산업이 중심이 되고 있지만, 인건비 절감을 위해 해외로 이전하며 공동화가 진행되고 있다.[1]
8. 수산업 관련 업종
일본에서는 과거 어업이 수산업의 중심이었으나, 연안해역의 어업 자원 고갈, 어장 오염, 인접 국가들과의 어업 협정 등으로 어획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낮아지고 있다.
현대 일본에서는 어업을 대신하여 수산물 가공 및 수산물 냉동 등의 산업이 중심이 되고 있지만, 인건비 절감을 위해 해외로 이전하며 공동화가 진행되고 있다.
9. 국제 관계 및 수산업
어획 과잉은 지속 가능한 수준을 넘어선 어획으로 인해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어족 자원과 고용을 감소시키고 있다.[13][14] 2014년 추산에 따르면 세계 어업은 매년 2700억달러를 세계 GDP에 추가했지만, 지속 가능한 어업을 완전히 시행하면 그 수치가 최대 500억달러 증가할 수 있다.[15] 개발도상국의 5억 명이 넘는 사람들의 생계가 직간접적으로 어업과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2022년 기준으로 세계 어업 종사자의 77%는 아시아에, 16%는 아프리카에, 5%는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 있었다.[16]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국제적 관심은 "물속의 생명"이라는 지속가능발전목표 14에 반영되어 해안 생태계 보존과 어업 및 양식업을 포함한 해안 지역 사회의 더욱 지속 가능한 경제 활동 지원에 초점을 맞춘 국제 정책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19]
일본에서는 예전에는 어업이 수산업의 중심이었지만, 연안해역의 어업자원 고갈, 어장 오염, 인접 국가들과의 어업 협정 등으로 어획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낮아지고 있다. 현대 일본에서는 어업 대신 수산물 가공 및 수산물 냉동 등의 산업이 중심이 되고 있지만, 인건비 절감을 위해 해외로 이전하며 공동화가 진행되고 있다.
10. 환경 문제 및 기후 변화
국제연합(UN)은 "물속의 생명"이라는 지속가능발전목표 14를 통해 해안 생태계 보존과 어업 및 양식업을 포함한 해안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경제 활동 지원에 초점을 맞춘 국제 정책 목표를 설정하여, 환경 문제 및 기후 변화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19]
일본의 경우, 과거에는 어업이 수산업의 중심이었으나, 연안해역의 어업 자원 고갈, 어장 오염, 인접 국가들과의 어업 협정 등으로 인해 어획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낮아지고 있다.
현대 일본에서는 어업 대신 수산물 가공 및 수산물 냉동 등의 산업이 중심이 되고 있지만, 인건비 절감을 위한 해외 이전으로 공동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참조
[1]
논문
The "How To" guide for wild capture fisheries
http://agris.fao.org[...]
FRDC Project 2000/145
2002
[2]
웹사이트
fishery
2021-08-09
[3]
서적
FAO Fishery Glossary; "Fishery"
http://www.fao.org/f[...]
FAO
2020-01-21
[4]
논문
A Framework for a Coastal/Marine Ecological Classification Standard
http://www.csc.noaa.[...]
NatureServe
2004
[5]
서적
NOAA Fisheries Glossary: "Fishery"
https://www.st.nmf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0-01-21
[6]
웹사이트
Open Access Fisheries Journals Medical Journals
https://www.iomcworl[...]
2022-07-06
[7]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8]
서적
Integrated Principles of Zoology
McGraw-Hill Publishing Co
[9]
웹사이트
Finfish – an overview ScienceDirect Topics
https://www.scienced[...]
2022-07-06
[10]
웹사이트
Scientific Facts on Fisheries
http://www.greenfact[...]
GreenFacts Website
2009-03-02
[11]
웹사이트
Mussel Farming
http://www.seafood.c[...]
New Zealand Seafood Industry Council
[12]
서적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24
https://openknowledg[...]
FAO
2024-06-07
[13]
웹사이트
Overfishing
http://www.eoearth.o[...]
Encyclopedia of earth
2010
[14]
간행물
Fisheries and Aquaculture in our Changing Climate
https://web.archive.[...]
FAO
2009-12
[15]
뉴스
Prince Charles calls for greater sustainability in fisheries
http://www.londonmer[...]
London Mercury
2014-07-13
[16]
서적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24
https://openknowledg[...]
FAO
2024-06-07
[17]
서적
Inland Fisheries Management in North America
American Fisheries Society
2010
[18]
서적
In brief,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8
http://www.fao.org/3[...]
FAO
[19]
간행물
Work of the Statistical Commission pertaining to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undocs.org/A[...]
United Nations
2017-07-06
[20]
웹사이트
水産業とは
https://kotobank.jp/[...]
[21]
웹사이트
http://www.frdc.com.[...]
Australian governm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