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브로폴 변경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브로폴 변경주는 러시아 남부에 위치한 연방 주체로, 북캅카스 연방관구에 속한다. 로스토프주, 크라스노다르 지방 등과 경계를 접하며, 캅카스산맥 북쪽 경사면을 포함한다. 기후는 대륙성이며, 모스크바 시간대를 사용한다. 역사는 1773년 푸가초프의 난 이후 자포로제 시치가 폐지된 후, 1937년 오르조니키제 크라이로 개칭되었다가 1943년 스타브로폴 변경주가 되었다. 정치적으로는 주지사가 선출되며, 스타브로폴 변경주 헌장이 기본법이다. 행정 구역은 26개의 구와 10개의 시/읍으로 구성되며, 스타브로폴이 최대 도시이다. 경제적으로는 농업, 특히 관개 농업이 발달했으며, 스타브롤렌 등의 기업이 주요하다. 인구는 2021년 기준 약 290만 명으로, 러시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아르메니아인, 다르긴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다민족 지역이다. 종교적으로는 러시아 정교회가 가장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타브로폴 변경주 - 스타브로폴 소비에트 공화국
스타브로폴 소비에트 공화국은 위키백과 문서 작성 지침, 목차 구성 방법, 사회자유주의적 관점, 한국적 관점을 고려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 스타브로폴 변경주 - 쿠반강
쿠반강은 캅카스산맥에서 발원하여 아조프해로 흘러드는 906km 길이의 강으로, 쿠반 지역의 주요 수자원이며 농업용수, 어업, 수력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하구 삼각주는 람사르 협약에 따른 보호 습지이자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이며, 역사적으로 쿠반 코사크의 근거지였다. - 북캅카스 - 다게스탄 공화국
다게스탄 공화국은 북캅카스 산맥 남쪽과 카스피해 연안에 위치한 러시아 연방의 공화국으로, 30개 이상의 민족이 공존하는 다민족 국가이며 이슬람교가 주요 종교이고 풍부한 천연자원에도 불구하고 부정부패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복잡한 역사를 거쳐 현재까지 독특한 정체성을 유지하고 세계적인 종합격투기 선수들을 배출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 북캅카스 - 인구셰티야 공화국
인구셰티야 공화국은 러시아 연방의 구성주로 카프카스 산맥에 위치하며 북오세티야 공화국, 체첸 공화국, 조지아와 국경을 접하고, 인구시인이 대다수이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러시아 연방에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마르슈트카가 주요 교통수단인 온대성 기후 지역이다.
스타브로폴 변경주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국가 | 러시아 |
지위 | 지방 (크라이) |
연방 관구 | 북캅카스 연방 관구 |
경제 지구 | 북캅카스 경제 지구 |
행정 중심지 | 스타브로폴 |
면적 | 66,160 제곱킬로미터 |
설립일 | 1924년 10월 17일 |
차량 번호판 코드 | 26, 126 |
ISO 3166-2 | RU-STA |
웹사이트 | 스타브로폴 지방 공식 웹사이트 |
정치 | |
정치 체제 | 크라이 |
수장 직함 | 지사 |
수장 |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로프 |
입법부 | 의회 |
인구 | |
총 인구 (2021년) | 2,907,593명 |
인구 순위 | 14위 |
도시 인구 (2010년) | 60.6% |
농촌 인구 (2010년) | 39.4% |
민족 구성 (2021년) | 79.4% 러시아인 4.7% 아르메니아인 2% 다르긴인 1.3% 로마인 0.8% 그리스인 0.8% 노가이족 6.8% 기타 4.2% 미신고 |
상징 | |
지방가 | 스타브로폴 지방 찬가 |
지방가 파일 | [[File:Stavropol Krai.ogg]] |
남부 러시아 찬가 (비공식) | [[File:Anthem of Southern Russia (Stavropol Krai).ogg]] |
2. 지리
- 북캅카스 지역의 작은 지역은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북오세티야 공화국-알라니아 공화국, 잉구셰티야 공화국, 체첸 공화국입니다.
*노란색은 남부 연방관구이고, 그 아래는 북캅카스 연방관구 (밝은 회색)입니다.]]
스타브로폴 변경주는 로스토프주, 크라스노다르 지방, 칼미크 공화국, 다게스탄 공화국, 체첸 공화국,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에 접해 있다. 북캅카스 연방관구에 속한다.
이 지방은 전 캅카스의 중앙 부분과 캅카스산맥 북쪽 경사면의 대부분을 포함합니다. 로스토프주, 크라스노다르 지방, 칼미크 공화국, 다게스탄 공화국, 체첸 공화국, 북오세티야 공화국-알라니아 공화국,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과 경계를 접하고 있습니다.
스타브로폴 지방의 대부분 지역은 덥고 습한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산악 지대 제외). 겨울은 러시아의 다른 지역보다 짧고 따뜻하지만, 여전히 춥고 눈이 많이 내린다. 1월 평균 기온은 -2°C에서 -6°C 사이이다. 여름은 덥고, 7월 평균 기온은 20°C에서 25°C 사이이다. 극한 기온은 겨울에는 -35°C에서 여름에는 40°C까지 나타난다. 연평균 강수량은 400mm에서 600mm이다.
역사적으로 쿠반이라고 불린 지방이다.
서부에는 쿠반 강, 로스토프주, 칼미크 공화국과의 경계에는 마니치 강이 흐른다.
==== 시간대 ====
스타브로폴 변경주는 모스크바 시간대 (MSK)에 놓여 있다. UTC와의 시차는 +0300 (MSK)이다. 이 지역은 모스크바 시간대의 표준시를 사용하고 있다. UTC+3 시간을 사용하며, 서머타임은 없다. 2011년 3월까지 표준시는 UTC+3, 서머타임은 UTC+4였으며, 같은 해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는 연중 UTC+4였다.
2. 1. 시간대
스타브로폴 변경주는 모스크바 시간대 (MSK)에 놓여 있다. UTC와의 시차는 +0300 (MSK)이다. 이 지역은 모스크바 시간대의 표준시를 사용하고 있다. UTC+3 시간을 사용하며, 서머타임은 없다. 2011년 3월까지 표준시는 UTC+3, 서머타임은 UTC+4였으며, 같은 해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는 연중 UTC+4였다.3. 역사
1773년 푸가초프의 난 이후 1775년 가 폐지되었다. 1786년에는 Земля Войска Донскогоru (zemlya Voyska Donskogo, 1786년 - 1870년)가 설치되었다. 1787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1787년-1791년)이 발발하자 구 자포로제의 시치 우크라이나 코사크에서 흑해 코사크 군이 편성되었고, 1792년 흑해 코사크 군은 쿠반으로 이주하였다. 1860년에는 이들이 쿠반 코사크 군이 되었다.
1924년 10월 17일 북캅카스 지방으로 설립되었다.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37년 3월 그리고리 오르조니키제를 기념하여 Орджоникидзевский крайru (Ordzhonikidze Krai)로 개칭되었고, 1943년 1월 12일 북캅카스 지방이 분할되면서 스타브로폴 지방이 되었다.
4. 정치
소련 시기, 스타브로폴 변경주의 최고 권력은 세 명의 인물이 공유했다. 스타브로폴 변경주 공산당 위원회 제1서기(실질적으로 가장 큰 권한을 가짐), 변경주 소비에트 의장(입법권), 변경주 집행위원회 의장(행정권)이 그들이다.
1970년부터 1978년까지, 스타브로폴 변경주 출신인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변경주 공산당 위원회 제1서기직을 역임했다. 그는 1978년 CPSU 중앙위원회 서기로 승진하여 모스크바로 떠났고, 7년 후에는 당 서기장이자 국가 지도자가 되었다. 이 지역은 또한 짧은 기간 동안 소련의 지도자였던 유리 안드로포프의 고향이기도 하다.
1991년 이후, CPSU는 모든 권력을 잃었고, 변경주 행정부 수장, 궁극적으로는 주지사가 선출된 지역 의회와 함께 임명/선출되었다.
스타브로폴 변경주 헌장은 이 지역의 기본법이다. 스타브로폴 변경주 입법부는 이 지역의 상설 입법 (대표) 기관인 지역 의회이다. 입법부는 법률, 결의안 및 기타 법적 행위를 통과시키고, 입법부가 통과시킨 법률 및 기타 법적 행위의 시행 및 준수를 감독함으로써 그 권한을 행사한다. 최고 행정 기관은 변경주 정부로, 지구 행정부, 위원회, 그리고 이 지역의 개발을 촉진하고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위원회와 같은 지역 행정 기관을 포함한다. 변경주 행정부는 최고 공무원이자 러시아 헌법에 따라 변경주 헌장의 준수를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 주지사의 활동을 지원한다.
5. 행정 구역
스타브로폴 변경주는 행정적으로 26개의 구(''라이온'')와 10개의 시/읍으로 나뉜다. 각 구는 다시 9개의 구 중요 도시, 7개의 도시형 촌락, 284개의 농촌 오크루크 및 스타니차 오크루크로 세분된다.
스타브로폴 변경주에는 다음과 같은 군이 있다.
- 알렉산드롭스키 군 (Александровский)
- 안드로폽스키 군 (Андроповский)
- 아파나센콥스키 군 (Апанасенковский)
- 아르즈기르스키 군 (Арзгирский)
- 블라고다르넨스키 군 (Благодарненский)
- 부됴놉스키 군 (Будённовский)
- 게오르기옙스키 군 (Георгиевский)
- 그라촙스키 군 (Грачёвский)
- 이파톱스키 군 (Ипатовский)
- 이조빌넨스키 군 (Изобильненский)
- 키롭스키 군 (Кировский)
- 코추베옙스키 군 (Кочубейский)
- 크라스노그바르데이스키 군 (Красногвардейский)
- 쿠르스키 군 (Курский)
- 레보쿰스키 군 (Левокумский)
- 미네랄로보츠키 군 (Минераловодский)
- 넵테쿰스키 군 (Нефтекумский)
- 노보알렉산드롭스키 군 (Новоалександровский)
- 노보셀리츠키 군 (Новоселицкий)
- 페트롭스키 군 (Петровский)
- 프레드고르니 군 (Предгорный)
- 시파콥스키 군 (Шпаковский)
- 소베츠키 군 (Советский)
- 스텝놉스키 군 (Степновский)
- 트루놉스키 군 (Труновский)
- 투르크멘스키 군 (Туркменский)
스타브로폴은 스타브로폴 변경주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398,539명이다.
퍄티고르스크는 인구 142,511명으로, 스타브로폴 변경주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다.
키슬로보츠크는 인구 128,553명으로, 스타브로폴 변경주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다.
네빈노미스크는 인구 118,360명으로 스타브로폴 변경주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다.
예센투키는 인구 100,996명으로 스타브로폴 변경주에서 다섯번째로 크다.
미네랄니예보디와 게오르기옙스크는 각각 76,728명, 72,153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그 외 주요 도시로는 제레즈노보츠크 등이 있다.
5. 1. 군
스타브로폴 변경주는 행정적으로 26개의 구(''라이온'')와 10개의 시/읍으로 나뉜다. 각 구는 다시 9개의 구 중요 도시, 7개의 도시형 촌락, 284개의 농촌 오크루크 및 스타니차 오크루크로 세분된다.스타브로폴 변경주에는 다음과 같은 군이 있다.
- 알렉산드롭스키 군 (Александровский)
- 안드로폽스키 군 (Андроповский)
- 아파나센콥스키 군 (Апанасенковский)
- 아르즈기르스키 군 (Арзгирский)
- 블라고다르넨스키 군 (Благодарненский)
- 부됴놉스키 군 (Будённовский)
- 게오르기옙스키 군 (Георгиевский)
- 그라촙스키 군 (Грачёвский)
- 이파톱스키 군 (Ипатовский)
- 이조빌넨스키 군 (Изобильненский)
- 키롭스키 군 (Кировский)
- 코추베옙스키 군 (Кочубейский)
- 크라스노그바르데이스키 군 (Красногвардейский)
- 쿠르스키 군 (Курский)
- 레보쿰스키 군 (Левокумский)
- 미네랄로보츠키 군 (Минераловодский)
- 넵테쿰스키 군 (Нефтекумский)
- 노보알렉산드롭스키 군 (Новоалександровский)
- 노보셀리츠키 군 (Новоселицкий)
- 페트롭스키 군 (Петровский)
- 프레드고르니 군 (Предгорный)
- 시파콥스키 군 (Шпаковский)
- 소베츠키 군 (Советский)
- 스텝놉스키 군 (Степновский)
- 트루놉스키 군 (Труновский)
- 투르크멘스키 군 (Туркменский)
5. 2. 주요 도시
스타브로폴은 스타브로폴 변경주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398,539명이다.퍄티고르스크는 인구 142,511명으로, 스타브로폴 변경주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다.
키슬로보츠크는 인구 128,553명으로, 스타브로폴 변경주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다.
네빈노미스크는 인구 118,360명으로 스타브로폴 변경주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다.
예센투키는 인구 100,996명으로 스타브로폴 변경주에서 다섯번째로 크다.
미네랄니예보디와 게오르기옙스크는 각각 76,728명, 72,153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그 외 주요 도시로는 제레즈노보츠크 등이 있다.
6. 경제
스타브롤렌, 아르네스트, 콘체른 에노르고메라, 네비노미스키 아조트, 스타브로폴스키 그레스 등이 스타브로폴 변경주의 주요 기업이다.[7]
=== 농업 ===
스타브로폴 변경주에서는 관개 농업이 발달했다. 2001년 초 기준으로 총 3,361km의 관개수로가 있었으며, 이 중 959km는 라이닝 처리되어 물 손실을 줄였다.[8]
주요 관개 수로로는 네빈노미스크 수로, 대 스타브로폴 수로, 테레크-쿠마 수로 및 쿠마-마니치 수로가 있다.[8] 네빈노미스크 수로는 쿠반강–예고를리크강 관개 시스템의 간선이다. 대 스타브로폴 수로는 쿠반강에서 스타브로폴 변경주 동쪽으로 물을 수송한다. 테레크-쿠마 수로 및 쿠마-마니치 수로는 테레크강에서 쿠마강을 거쳐 동 마니치강으로 물을 수송한다.[8]
6. 1. 농업
스타브로폴 변경주에서는 관개 농업이 발달했다. 2001년 초 기준으로 총 3,361km의 관개수로가 있었으며, 이 중 959km는 라이닝 처리되어 물 손실을 줄였다.[8]주요 관개 수로로는 네빈노미스크 수로, 대 스타브로폴 수로, 테레크-쿠마 수로 및 쿠마-마니치 수로가 있다.[8] 네빈노미스크 수로는 쿠반강–예고를리크강 관개 시스템의 간선이다. 대 스타브로폴 수로는 쿠반강에서 스타브로폴 변경주 동쪽으로 물을 수송한다. 테레크-쿠마 수로 및 쿠마-마니치 수로는 테레크강에서 쿠마강을 거쳐 동 마니치강으로 물을 수송한다.[8]
7. 인구
2021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변경주의 인구는 2,907,593명[9]으로,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의 2,786,281명[10]에서 증가했으며, 1989년 소비에트 연방 인구 조사에서 기록된 2,410,379명[11]보다 더 증가했다. 변경주의 인구는 전통적인 코사크의 땅이었던(''코사크의 역사'' 참조) 쿠반강과 쿠마강의 유역에 집중되어 있다. 현대 러시아에서 쿠반 코사크는 현재 일반적으로 민족 러시아인으로 간주되지만, 그 기원은 우크라이나에 있다(역사적으로 그들의 방언은 체르카시의 방언에서 파생되었다). 다른 주목할 만한 민족 집단으로는 아르메니아인(대부분 기독교 함세니), 아르메노-타트인, 폰토스 그리스인, 우크라이나인, 투르크멘인뿐만 아니라 북캅카스 연방관구 출신의 토착 집단, 특히 체첸, 잉구셰티야, 다게스탄 출신도 있다.
'''2022년 주요 통계:'''[12][13]
- 출생: 25,332명 (인구 1,000명당 9.1명)
- 사망: 33,865명 (인구 1,000명당 12.2명)
'''합계 출산율 (2022년):'''[14]
여성 1인당 1.29명
'''기대 수명 (2021년):'''[15]
전체 — 71.66세 (남성 — 67.68세, 여성 — 75.43세)
연도 | 1897년 | 1926년 | 1939년 | 1959년 | 1970년 | 1979년 | 1989년 | 2002년 | 2010년 | 2021년 |
---|---|---|---|---|---|---|---|---|---|---|
인구 | 873,301 | 674,559 | 1,950,887 | 1,882,911 | 2,305,780 | 2,539,219 | 2,857,188 | 2,735,139 | 2,786,281 | 2,907,593 |
출처: 인구 조사 데이터
슬라브계 러시아인이 80% 이상을 차지하지만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도 일정 수 거주한다. 그 외 다르긴인, 타트족(코카서스) 등 30개 이상의 민족이 거주하는 다민족 지역이다.
7. 1. 민족 구성
스타브로폴 변경주는 러시아에서 가장 다민족적인 지역 중 하나로, 2010년 인구 조사에서 140개 이상의 민족 집단이 확인되었다.[16]주민의 대다수는 러시아인 (81,6 %)이다.[16] 그 외에도 아르메니아인(5,5 %), 우크라이나인 (1,7 %), 그리스인(1,2%), 기타(1,5%)가 거주한다.[16]
200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2,000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민족은 33개에 달한다.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 | 2002년 인구 수 ([http://www.perepis2002.ru/index.html?id=17 *]) | 2010년 인구 | 전체 인구 비율 |
---|---|---|---|
러시아인 | 2,231,8 (81,6 %) | 2,309,460 | 79.4% |
아르메니아인 | 149,2 (5,5 %) | 135,384 | 4.7% |
우크라이나인 | 45,9 (1,7 %) | 9,895 | 0.3% |
다르긴인 | 40,2 (1,5 %) | 58,785 | 2.0% |
그리스인 | 34,1 (1,2 %) | 23,943 | 0.8% |
노가이인 | 20,7 | 22,569 | 0.8% |
집시 | 19,1 | 38,045 | 1.3% |
카라차이인 | 15,1 | 15,649 | 0.5% |
아제르바이잔인 | 15,1 | 13,996 | 0.5% |
투르크멘족 (트루흐멘인) | 13,9 | 15,100 | 0.5% |
체첸인 | 13,2 | 13,779 | 0.5% |
타타르족 | 13,0 | 8,354 | 0.3% |
벨라루스인 | 11,3 | ||
조지아인 | 8,8 | ||
독일인 | 8,0 | ||
오세트인 | 7,8 | ||
튀르키예인 | 7,5 | 12,724 | 0.4% |
아바르인 | 7,2 | 10,288 | 0.4% |
한국인 | 7,1 | ||
카바르딘인 | 6,6 | ||
레즈긴인 | 6,6 | ||
쿠미크인 | 5,7 | ||
타바사란인 | 5,5 | ||
아바진인 | 3,3 | ||
유대인 | 2,9 | ||
라크인 | 2,6 | ||
예지디족 | 2,4 | ||
몰도바인 | 2,1 | ||
체르케스인 | 2,1 | ||
모르도바인 | 1,9 | ||
카자흐족 | 1,8 | ||
인구시인 | 1,8 | ||
아굴인 | 1,5 | ||
추바시인 | 1,4 | ||
베트남인 | 1,3 | ||
폴란드인 | 1,3 | ||
쿠르드족 | 1,3 | ||
우즈벡족 | 1,2 | ||
우드무르트인 | 1,1 |
슬라브계 러시아인이 80% 이상을 차지하지만,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도 일정 수 거주한다. 그 외 다르긴인, 타트족(코카서스) 등 30개 이상의 민족이 거주하는 다민족 지역이다.
7. 2. 종교
2012년 설문 조사[17]에 따르면 스타브로폴 변경주 인구의 46.9%가 러시아 정교를 따르고, 7%는 비교파 일반 기독교인이며, 2%는 이슬람교 신자이고, 1%는 교회에 속하지 않는 정교회 신자이거나 비러시아 정교회 단체의 구성원이며, 인구의 1%는 로도베리 또는 지역 토착 신앙을 따른다. 또한, 인구의 19%는 "종교는 없지만 영적인" 상태라고 밝히고, 16%는 무신론자이며, 7.1%는 다른 종교를 따르거나 질문에 답변하지 않았다.[17]8. 상징
9. 출신 인물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1918–2008): 작가, ''수용소군도''의 저자, 노벨 문학상 수상자.
- 유리 안드로포프(1914–1984): 소련 공산당의 네 번째 서기장.
- 미하일 고르바초프(1931–2022): 소련의 마지막 대통령.
- 요세프 트럼펠도르(1880–1920): 초기 시오니스트 활동가이자 유대인 군단의 조직자.
- 표도르 쿨라코프(1918–1978): 스타브로폴 변경주의 전 소련 주지사.
- 미하일 레르몬토프(1814–1841): 러시아 시인, 소설가, 극작가, 화가.
- 피오트르 미하일로비치 스카르진스키(1744–1805): 러시아 소장. 그는 러시아 기병대에서 복무했으며, 1787–1791년의 러시아-튀르크 전쟁 동안 부잔 코사크를 지휘했으며, 오차코프 공격과 킨번 요새 방어에서 영웅적인 면모를 보였다. 그는 성 게오르기 훈장을 받았다.
참조
[1]
문서
Law #14
[2]
문서
Charter of Stavropol Krai, Article 18
[3]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09-01
[4]
문서
October 17, 1924 is the date of establishment of North Caucasus Krai, which underwent several renamings and administrative changes before stabilizing in its present borders.
[5]
문서
Charter of Stavropol Krai, Article 8
[6]
웹사이트
Vladimir Vladimirovich Vladimirov
http://www.stavregio[...]
Official website of Stavropol Krai
[7]
웹사이트
Stavropol Territory Industries
https://www.investin[...]
2018-11-07
[8]
웹사이트
Общая информация О водных ресурсах края
http://mpr.stavkray.[...]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registered births, deaths, marriages and divorces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13]
웹사이트
Birth rate, mortality rate, natural increase, marriage rate, divorce rate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14]
웹사이트
Суммарный коэффициент рождаемости
https://rosstat.gov.[...]
2023-08-10
[15]
웹사이트
Демографический ежегодник Росс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of Russia
2022-06-01
[16]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12-30
[17]
웹사이트
Arena: Atlas of Religions and Nationalities in Russia
http://sreda.org/en/[...]
Sreda
2012
[18]
웹사이트
2012 Arena Atlas Religion Maps
http://c2.kommersant[...]
Ogonek
2012-08-27
[19]
서적
Lermontov, Mikhail Yurevich
[20]
웹사이트
Пионеры русского виноделия на Кавказе: Скаржинский
https://alcoexper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