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민 종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민 종교는 프랑스 철학자 장 자크 루소가 1762년 저서 《사회 계약론》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현대 사회의 도덕적, 정신적 기반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루소는 시민 종교를 국가를 통합하는 사회적 접착제로 보았으며, 신의 존재, 내세, 미덕에 대한 보상과 악덕에 대한 처벌, 종교적 관용의 배제를 교리로 제시했다. 시민 종교는 사회적, 정치적 지위가 민간 신앙보다 우위에 있으며, 정치 지도자들이 실천하고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시민 종교는 정치 연설에서의 신에 대한 언급, 종교 텍스트 인용, 과거 지도자 숭배, 국가 기념일, 국기 게양, 충성 서약, 기념물 건립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고대 사회에서도 시민 종교가 존재했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다양한 국가에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자크 루소 - 일반 의지
    일반 의지는 루소가 《사회 계약론》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공동체의 공공선을 추구하는 구성원들의 총체적인 의지를 뜻하며 만인의 의지와 구별되지만, 개념의 복잡성으로 다양한 해석과 비판, 개인의 자유 억압 가능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장자크 루소 - 부퐁 논쟁
    18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페르골레시의 오페라 공연을 계기로 시작된 부퐁 논쟁은 이탈리아 오페라 부파와 프랑스 전통 오페라 간의 우위를 다툰 지식인 논쟁으로, 프랑스 대중의 취향 변화와 오페라 형식 갱신에 영향을 미쳤다.
  • 종교사회학 - 분파
    분파는 기존 종교에서 분리되어 사회와 긴장 관계를 유지하며 교리, 신념, 관습의 차이에 따라 나뉘는 집단을 의미하며, 사회적 갈등과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종교사회학 - 토템
    토템은 특정 집단의 표상 또는 상징으로 기능하는 동물, 식물, 사물 등을 지칭하며, 토테미즘은 원시 사회 및 고대 문명에서 나타나는 사회 구조 및 종교 의식과 관련된 신앙 형태이다.
  • 고대 로마의 종교 - 게니우스 로키
    게니우스 로키는 고대 로마에서 장소의 수호신을 뜻하는 말로, 현대에는 장소의 고유한 분위기나 역사적 의미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건축 및 도시 설계의 철학적 근거가 되고, 아시아 전통 신앙이나 현대 판타지 작품에서도 나타난다.
  • 고대 로마의 종교 - 폰티펙스 막시무스
    폰티펙스 막시무스는 고대 로마의 최고 사제직으로 종교 의례, 달력 관리, 법률 제정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로마 제정 시대에는 황제가 겸임하다가 기독교 공인 이후 교황에게 그 권한이 이관되었다.
시민 종교
개요
시민 종교의 예시를 나타내는 피라미드 그림
시민 종교의 예시를 나타내는 피라미드 그림
유형사회학, 정치학
관련 주제미국 예외주의, 공민권, 사회 계약, 국민 정체성, 정교 분리, 국가 교회, 정치 신학, 국가 사회주의
정의
시민 종교국가의 종교적 가치 표현
국민에게 공유된 믿음과 의례 제공
사회 통합 기능 수행
특징
신성시 대상국가, 민족, 역사적 사건, 영웅
상징물 (국기, 국가, 기념물)
의례 및 상징국가 기념일, 국기 게양식, 애국가 제창
국가적 중요 행사 (전쟁 기념, 독립 기념)
가치 및 신념애국심, 충성심, 희생정신
국가의 번영과 안전 기원
이론적 배경
주요 학자장 자크 루소
에밀 뒤르켐
로버트 벨라
루소의 견해사회 계약론 기반, 국가의 도덕적 기반 강조
뒤르켐의 견해사회 통합 기능을 수행하는 집단적 의례 강조
벨라의 견해미국의 역사와 가치를 종교적 관점에서 분석
사례
미국'미국 예외주의'와 결합된 독특한 형태
대통령 취임식, 국기 맹세, 독립 기념일 등
'우리'와 '그들'의 이분법적 사고 강조
프랑스세속주의 원칙 하에 시민 의식 강조
기타 국가국가주의적 성향과 결합된 형태
비판
배타성 및 갈등특정 집단 배제, 사회적 갈등 심화 가능성
국가주의적 광신주의로 변질될 위험
종교 자유 침해개인의 종교적 신념과 충돌 가능성
참고 문헌
서적Wimberley, R. C., & Swatos, W. H., Jr. (1998). Does civil religion exist?. Sociology of religion, 59(3), 291-297.
Bruce, S., & Yearley, S. (2006). The Sage dictionary of sociology. Sage.
외부 링크

2. 용어의 기원

장 자크 루소는 1762년 출간된 그의 저서 ''사회 계약론''에서 '시민 종교'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루소는 시민 종교를 사회적 결속을 강화하고 국가를 통합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았다.

에밀 뒤르켐은 시민 종교를 분석하였고, 공립 학교가 시민 종교를 구현하는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뒤르켐은 이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이 개념에 큰 비중을 두었다.

2. 1. 루소의 정의

장자크 루소는 사회 계약론 4권 8장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현대 사회에 필요한 도덕적, 정신적 기반을 설명하기 위해 시민 종교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루소에게 시민 종교는 국가의 신성한 권위와 함께 국가를 통합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 유대의 한 형태였다.[14][15][16][17] 루소는 시민 종교의 교리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의 존재
  • 사후 세계
  • 선인들의 행복과 악인들에 대한 벌
  • 종교적 비관용의 배제


루소는 이러한 교리가 사회 구성원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고취하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했다.

2. 2. 젠틸레의 구분

이탈리아 역사학자 에밀리오 젠틸레는 시민 종교를 정치 종교와 함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17]

3. 종교 사회학적 관점

시민 종교는 사회적, 정치적 지위 면에서 어느 정도 민간 신앙보다 우위에 있는데, 이는 시민 종교가 정의상 사회 전체, 또는 적어도 사회의 한 부분에 스며들게 하고, 종종 해당 사회의 지도자들에 의해 실천되기 때문이다. 시민 종교는 국교보다는 덜한데, 국교는 공식적인 성직자를 두고, 그들을 세운 정부와 비교적 고정되고 공식적인 관계를 맺기 때문이다. 시민 종교는 일반적으로 비종교인인 정치 지도자들이 실천하며, 그들의 리더십은 특별히 영적인 것이 아니다.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워싱턴 국립 대성당은 종종 정치 지도자들의 국가 장례식에 사용된다.

3. 1. 특징

시민 종교는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종종 사회 지도자들에 의해 실천된다. 국교와는 달리, 시민 종교는 공식적인 성직자나 고정된 교리를 갖지 않으며, 비종교인인 정치 지도자들에 의해 주도되기도 한다. 시민 종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14][15][16][17]

  • 정치 연설과 공공 기념물에서의 신(들)에 대한 언급
  • 정치 지도자들이 공적인 자리에서 종교 텍스트를 인용하는 것
  • 과거 정치 지도자들에 대한 숭배
  • 이러한 지도자들의 삶을 도덕적 이상을 가르치는 데 활용하는 것
  • 국가의 전쟁 참전 용사 및 사상자들에 대한 숭배
  • 정치 지도자들이 소집하는 종교적 모임
  • 공공 건물에 종교적 상징물을 사용하는 것
  • 예배를 위해 공공 건물을 사용하는 것
  • 건국 신화 및 기타 국가 신화
  • 그리고 이와 유사한 종교적 또는 준 종교적 관행들

4. 실천적 정치 철학

장자크 루소는 사회 계약론 4권 8장에서 시민 종교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루소는 시민 종교가 국가의 신성한 권위와 함께 국가를 통합하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유대의 한 형태라고 생각했다.[14][15][16][17] 루소는 시민 종교의 교리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시했다.

# 신의 존재

# 내세

# 선인들의 행복과 악인들에 대한 벌

# 종교적 비관용의 배제

에밀리오 젠틸레는 시민 종교를 정치 종교와 구분하기도 했다.

시민 종교는 사회 전체에 스며들어 해당 사회의 지도자들에 의해 실천되기 때문에 민간 신앙보다 우위에 있다. 시민 종교는 공식적인 성직자가 없고, 정치 지도자들이 실천하며, 그들의 리더십은 특별히 영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국교보다는 덜하다.

신문과 잡지의 정치 및 사회 문제 전문 논평가들은 "시민 종교" 또는 "시민적 종교"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종교와 반드시 관련되지 않는, 모든 국가에서 행해지는 일종의 애국심의 의례적 표현을 지칭하기도 한다.

4. 1. 형태

시민 종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1]

  • 정치 연설과 공공 기념물에서 신(들)을 언급하는 것
  • 정치 지도자들이 공적인 자리에서 종교 텍스트를 인용하는 것
  • 과거 정치 지도자들을 숭배하는 것
  • 이러한 지도자들의 삶을 도덕적 이상을 가르치는 데 활용하는 것
  • 국가의 전쟁 참전 용사 및 사상자들을 숭배하는 것
  • 정치 지도자들이 소집하는 종교적 모임
  • 공공 건물에 종교적 상징물을 사용하는 것
  • 예배를 위해 공공 건물을 사용하는 것
  • 건국 신화 및 기타 국가 신화


그리고 이와 유사한 종교적 또는 준 종교적 관행들을 포괄한다.

파리개선문은 프랑스 전쟁에서 사망한 사람들을 기린다.


신문과 잡지에 글을 쓰는 정치 및 사회 문제 전문 논평가들은 때때로 "시민 종교" 또는 "시민적 종교"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모든 국가에서 행해지는 일종의 애국심의 의례적 표현을 지칭하기도 하는데, 이것이 반드시 전통적인 의미의 종교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관행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

  • 특정 공공 모임에서 국가를 부르는 군중
  • 특정 국경일에 국기를 게양하거나 전시하는 퍼레이드
  • 충성 서약을 낭독하는 것 (예: 미국, 바하마, 필리핀, 대한민국)
  • 대통령 취임식이나 군주 대관식과 관련된 의식
  • 신화화된 국가 건국자 및 기타 위대한 지도자 또는 과거의 위대한 사건(예: 전투, 대규모 이주)에 대한 과장되고 편향되고 단순화된 이야기를 다시 말하기 (이와 관련하여 낭만적 민족주의도 참조)
  • 과거의 위대한 지도자 또는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는 기념물
  • 전사자 기념비 또는 그들을 기억하기 위한 연례 행사
  • 국가, 지배적인 국가 인종/민족 집단, 국가 헌법 또는 군주 또는 국가 원수에 대한 경외심의 표현
  • 국적과 동일시되는 것으로 인식되지만 외국에 거주하는 사람 또는 존경과/또는 충성을 받을 만하다고 인식되는 외국에 대한 연대감의 표현
  • 현재 국가의 적으로 인식되거나 과거에 국가에 해를 끼친 또 다른 국가 또는 외국 인종 집단에 대한 증오의 표현
  • 최근 사망한 정치 지도자의 관을 공개적으로 전시.

5. 역사

장 자크 루소는 1762년 출간된 그의 저서 ''사회 계약론'' 4권 8장에서 '시민 종교'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며, 현대 사회에 필수적인 도덕적, 정신적 기반을 묘사하고자 했다. 루소에게 시민 종교는 국가를 통합하는 사회적 접착제 역할을 하며, 신성한 권위를 부여하는 기능을 했다. 루소는 그의 저서에서 시민 종교의 교리를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제시했다.[1]

#

# 사후 세계

# 미덕에 대한 보상과 악덕에 대한 처벌

# 종교적 관용의 배제[2]

이탈리아 역사학자 에밀리오 젠틸레는 시민 종교의 개념과 발달 과정을 연구했으며, 시민 종교와 정치 종교라는 두 가지 유형의 정치 종교를 제안했다.[6]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의례적으로 머리를 가린 채 유피테르 신전에서 공적인 제사를 지내고 있다.

5. 1. 고대 사회

고대와 선사 시대의 거의 모든 통치 시대는 정치에 종교를 스며들게 했다. 종종 파라오나 중국 황제와 같은 지도자들은 신성의 현현으로 여겨졌다. 부족의 세계관은 종종 범신론적이었으며, 부족은 주변 자연의 연장선이었고 지도자들은 동물 계층과 중요한 자연 현상(예: 폭풍)에서 파생된 역할과 상징을 가지고 있었다.[3]

아테네 폴리스의 종교는 올림포스 신에 초점을 맞춘 세속적인 다신교였으며 시민 축제에서 기념되었다. 종교는 국가의 문제였으며 아테네의 에클레시아는 종교 문제에 대해 심의했다. 아테네에서는 무신론과 외국의 신의 도입이 금지되었으며 사형에 처해졌다. 예를 들어, 아테네 에클레시아는 소크라테스가 폴리스가 인정한 신이 아닌 다른 신을 숭배했다는 혐의로 그에게 사형을 선고했다.[4]

로마 역시 시민 종교를 가지고 있었으며,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공식적으로 고전 이교주의의 충실한 관행을 부활시키려 했다. 그리스와 로마의 종교는 본질적으로 지역적인 특성을 띠었다. 로마 제국은 로마의 경건함에 대한 이상을 주입하고, 정복된 영토의 신들을 그리스와 로마의 판테온혼합하여 제국의 분열된 영토를 통합하려 했다. 이 캠페인에서 아우구스투스는 아라 파키스와 같은 기념물을 세웠으며, 평화의 제단에는 로마 황제와 그의 가족이 신을 숭배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그는 또한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와 같은 작품의 출판을 장려했는데, 이는 로마전설적인 조상인 "경건한 아이네아스"를 로마의 종교성의 역할 모델로 묘사했다. 리비우스와 같은 로마 역사가들은 초기 로마인들에 대한 이야기를 군사적 용맹과 시민적 미덕에 대한 도덕적으로 개선하는 이야기로 전했다. 로마의 시민 종교는 나중에 황제의 ''게니우스''를 숭배하는 황제 숭배를 통해 황제의 인물에 집중하게 되었다.[5]

5. 2. 루소와 뒤르켐

장자크 루소는 사회 계약론 4권 8장에서 시민 종교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루소에게 시민 종교는 국가를 통합하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유대의 한 가지 형태였다.[14][15][16][17] 루소는 시민 종교의 교리로 다음을 제시했다.

  • 신의 존재
  • 내세
  • 선인들의 행복과 악인들에 대한 벌
  • 종교적 비관용의 배제


프랑스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은 시민 종교를 사회 결속의 중요한 요소로 보았으며, 공립학교가 시민 종교를 구현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6. 사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갈리폴리 상륙 작전이 있었던 4월 25일을 ANZAC 데이로 기념한다. 마이클 글래드윈은 ANZAC 데이가 호주인들에게 일종의 대체 종교 또는 '시민 종교'로 기능하며, 그 자체의 신비, 초월, 신성함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8] ANZAC 데이는 소박한 용기, 인내, 고통 속에서의 희생, 그리고 전우애와 같은 가치를 강조하며, 호주의 역사적 경험을 기리는 상징과 의례를 제공한다.[8]

19세기 말 프랑스는 세속 국가를 건설하면서 시민 종교를 장려했다. 프랑스 정부는 깃발 숭배, 국경일 제정, 기념물 건립 등을 통해 국가 종교를 장려했다.[9] 7월 14일은 국경일로 제정되었고, 1889년에는 프랑스 혁명 100주년 기념식이 거행되었다.[9]

소련마르크스-레닌주의를 시민 종교로 삼았으며, 성서와 마르크스, 레닌, 스탈린의 많은 동상을 갖추었다.[10] 블라디미르 푸틴 시대에는 스탈린이 국가를 강력하게 만든 지도자였다는 기억이 부분적으로 복원되기도 했다.[10]

1937년에 건설된 러시아 두브나의 레닌 동상. 높이는 이다.


미국은 시민 종교가 강하게 나타나는 국가 중 하나이다. 시민 종교는 국가 수준에서 민족주의를 기념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며, 추수감사절, 재향 군인의 날, 현충일 등이 시민 종교의 "축일"로 여겨진다. 국기에 대한 경례와 "신이여, 미국을 축복하소서"를 부르는 것은 시민 종교 의식에 포함된다.[1] 미국 독립 혁명은 애국심을 형성해 온 시민 종교의 주요 원천이었으며, 조지 워싱턴은 모세와 같은 지도자로, 토머스 제퍼슨토머스 페인은 예언자로, 보스턴 학살 희생자와 네이선 헤일은 순교자로 기념된다.[3] 미국 독립 선언서 첫 문장에서는 "자연의 하나님"이 언급된다.[4]

6. 1. 오스트레일리아

제프리 설은 1965년 갈리폴리 상륙 작전 50주년을 기념하며, "두 세대 간의 호주인들은 1915년 4월 25일, 또는 적어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에 우리가 국가가 되었다는 것을 연단과 설교를 통해 끊임없이 들어왔다"라고 언급했다. 이 날짜는 현재 ANZAC 데이로 기념된다.[7]

마이클 글래드윈은 ANZAC 데이가 호주인들에게 "일종의 대체 종교 또는 '시민 종교'로 기능하며, 그 자체의 신비, 초월, 신성함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캐롤린 홀브룩은 1990년 이후 ANZAC 데이 기념 행사가 다양한 호주인들을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국가 기원의 이야기"로 "재포장"되었다고 언급했다. 글래드윈에 따르면, "ANZAC 데이의 강조점은 더 이상 군사적 기술이 아니라 소박한 용기, 인내, 고통 속에서의 희생, 그리고 전우애의 가치에 있다. ANZAC 데이는 호주의 역사적 경험의 초월적인 요소를 기리기 위해 보편적으로 인식되는 상징과 의례를 제공하며, 이는 ANZAC 데이를 준종교, 또는 적어도 '시민 종교'로 만든다."[8]

6. 2. 프랑스

19세기 말, 프랑스는 세속 국가를 건설하면서 시민 종교를 장려했다. 프랑스 정부는 깃발 숭배, 국경일 제정, 기념물 건립 등을 통해 국가 종교를 장려했다.[9] 1882년에는 7월 14일이 국경일로 제정되었고, 1889년에는 프랑스 혁명 100주년 기념식이 거행되었다.[9]

6. 3. 소련



소련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시민 종교로 삼았으며, 성서와 마르크스, 레닌, 스탈린의 많은 동상을 갖추었다.[10] 스탈린은 레닌 숭배와 자신의 숭배를 직접 감독했는데, 이는 러시아 농민들이 차르에게 보여주었던 역사적인 반종교적 숭배를 이용한 것이었다.[10] 1991년 공산주의 붕괴 이후 레닌의 아이콘은 보관되었다. 스탈린 동상은 1950년대 탈스탈린화 과정에서 철거되었고, 백과사전과 역사책에서 그의 언급이 삭제되었다. 그러나 블라디미르 푸틴 시대인 21세기에는 스탈린이 국가를 강력하게 만든 지도자였다는 기억이 부분적으로 복원되었다. 예를 들어, 학교 교과서는 "스탈린 시대의 대규모 공포를 커져가는 독일 및 일본의 군사적 위협에 직면하여, 그리고 서방 민주주의 국가들의 무관심 또는 이중적인 태도 속에서 국가의 급속한 근대화에 필수적인 것"으로 묘사하도록 개정되었다.[10]

6. 4. 미국

미국은 시민 종교가 강하게 나타나는 국가 중 하나이다.

시민 종교는 미국, 특히 국가 수준에서 민족주의를 기념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사회학자들은 시민 종교의 "축일"이 추수감사절, 재향 군인의 날, 현충일이라고 보고한다. 시민 종교의 의식에는 국기에 대한 경례와 "신이여, 미국을 축복하소서"를 부르는 것이 포함된다. 군인과 참전 용사들은 국가를 보존하기 위해 기꺼이 생명을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는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벨라는 참전 용사 숭배에 주목했다. 역사가 콘래드 체리는 현충일 기념식을 "죽은 자에 대한 현대적 숭배"라고 부르며, 이는 "시민 종교적 교리를 확증한다"고 말한다.[1]

미국 독립 혁명은 그 이후로 애국심을 형성해 온 시민 종교의 주요 원천이었다. 사회학자 로버트 벨라에 따르면:[2]

Behind the civil religion at every point lie biblical archetypes: Exodus, Chosen People, Promised Land, New Jerusalem, Sacrificial Death and Rebirth. But it is also genuinely American and genuinely new. It has its own prophets and its own martyrs, its own sacred events and sacred places, its own solemn rituals and symbols. It is concerned that America be a society as perfectly in accord with the will of God as men can make it, and a light to all nations.|시민 종교의 저변에는 출애굽, 선택된 백성, 약속의 땅, 새 예루살렘, 희생적 죽음과 부활과 같은 성경적 원형이 존재한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진정으로 미국적이며 진정으로 새롭다. 그것은 자체의 예언자와 순교자, 자체의 신성한 사건과 장소, 자체의 엄숙한 의식과 상징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미국이 인간이 할 수 있는 한 하나님의 뜻에 완벽하게 일치하는 사회가 되어 모든 국가에 빛이 되기를 바란다.영어

알바네세는 미국 독립 혁명이 애국심, 국가 탄생의 기억과 의미를 형성해 온 미국 시민 종교의 주요 원천이라고 주장한다. (남북 전쟁에서처럼) 전투가 중심이 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사건과 사람들이 특정 미덕(또는 악덕)의 상징으로 기념되었다. 역사학자들이 지적했듯이, 독립 혁명은 모세와 같은 지도자(조지 워싱턴), 예언자(토머스 제퍼슨, 토머스 페인)와 순교자(보스턴 학살, 네이선 헤일), 악마(베네딕트 아놀드), 신성한 장소(밸리 포지, 벙커 힐), 의식(보스턴 차 사건), 상징(새 국기), 신성한 휴일(7월 4일)과 모든 문장이 현재의 법률 사건에서 주의 깊게 연구되고 적용되는 신성한 경전(미국 독립 선언서, 미국 헌법, 미국 권리 장전)을 만들어냈다.[3]

미국 헌법에는 하나님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미국 독립 선언서의 첫 문장에서는 "자연의 하나님"에 대한 언급이 특별히 이루어진다.[4]

참조

[1] 간행물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Religion
[2] 웹사이트 Civil Religion https://www.mtsu.edu[...] 2001-09-11
[3] 서적 The Nationalization of the Masses: Political Symbolism and Mass Movements in Germany from the Napoleonic Wars Through the Third Reich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23-02-26
[4] 서적 Fascism: The nature of fasc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2-26
[5] 서적 The Mass Psychology of Ethnonationalism https://books.google[...] Springer US 2023-02-26
[6] 서적 Canadian Review of Studies in Nationalism: Revue Canadienne Des Études Sur Le Nationalism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rince Edward Island. 2023-02-26
[7] 잡지 The Digger Tradition and Australian Nationalism
[8] 웹사이트 Anzac Day as Australia's alternative religion? https://news.csu.edu[...] Charles Sturt University 2016-04-21
[9] 서적 Histoire 1ère Bordas
[10] 잡지 Confronting the Stalinist Past: The Politics of Memory in Russia https://csis-prod.s3[...] 2018-02-25
[11] URL https://epgp.inflibn[...]
[12] 웹사이트 Blood Sacrifice and the Nation: Revisiting Civil Religion http://www.asc.upenn[...] 1996
[13] 문서 Address Before the Young Men's Lyceum of Springfield, Illinois January 27, 1838 http://showcase.neti[...]
[14] 저널 http://www.robertbel[...] 2010-03-28
[15] 서적 Cambridge Scholars Press
[16] 서적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서적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