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칸센 955형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칸센 955형 전동차는 일본의 고속철도 기술 개발을 위해 제작된 시험 차량이다. 1994년 12월에 최초로 공개되어, 1995년 5월부터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에서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 1996년 7월에는 443.0km/h의 일본 최고 속도 기록을 달성했으며, 이 기록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2002년 2월에 시험 운행이 종료되면서 퇴역했다. 현재 선두차 2량이 보존 및 전시되어 있으며, 955-1 차량은 철도종합기술연구소 풍동기술센터에, 955-6 차량은 리니어·철도관에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카이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700계 전동차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고속화를 위해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신칸센 700계 전동차는 0계 및 100계 전동차를 대체하여 1999년부터 최고 속도 285km/h로 운행되었으며, 노조미, 히카리, 히카리 레일스타 등으로 운행된 다양한 모델이 있다. - 도카이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 - 신칸센 N700계 전동차
신칸센 N700계 전동차는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하여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수송력 증강과 속도 향상을 목표로 틸팅 시스템을 통해 곡선 구간에서의 속도 저하를 최소화하고 승차감을 개선한 고속철도 차량으로, 최고 영업 속도 300km/h로 노조미, 히카리, 코다마 등 다양한 등급으로 운행되며 산요·규슈 신칸센 직통 운행을 위한 8량 편성 모델도 존재한다. - 철도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철도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신칸센 955형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서비스 | 1994–2002 |
제작사 | 히타치 제작소 가와사키 중공업 미쓰비시 중공업 일본차량제조 |
제작 연도 | 1994년 |
퇴역 연도 | 2002년 |
편성량수 | 6량 |
보존 차량 수 | 2량 |
폐차 차량 수 | 4량 |
운영사 | 도카이 여객철도 |
노선 | 도카이도 신칸센 |
차체 | 알루미늄 합금 |
차량 길이 | 선두차: 27.15 m, 중간차: 25 m |
차량 폭 | 3,100 mm |
차량 높이 | 3,300 mm |
최고 속도 | 443 km/h (공칭) |
견인력 | 500 kW 모터 (차량당 4개) |
총 출력 | 12 MW |
전력 공급 | 25 kV AC, 60 Hz 가공선 |
집전 방식 | 팬터그래프 |
궤간 | 1,435 mm (표준궤) |
기술 정보 | |
주전동기 | 삼상 유도 전동기 MT903, MT904, MT905, MT906 |
제어 방식 | PWM 컨버터 + GTO-VVVF 인버터 제어 |
제어 장치 | TCI902형 주변환장치 |
제동 장치 | 회생 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 브레이크 |
기타 | |
자동 열차 제어 장치 | ATC-1형 |
2. 역사
1994년 12월 22일에 300X가 처음 공개되었다.[25] 1995년 1월,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시험 운행이 지연되었으나,[4][25] 같은 해 5월부터 마이바라-교토 구간에서 본격적인 시험 운행이 시작되었다.[4][26] 1996년 7월 11일에는 신칸센 952형·953형 전동차가 426.6km/h를 기록했지만, 7월 26일에 300X는 의 최고 속도를 기록했다.[3] 2002년 2월 1일 시험 운행이 종료되면서 선두부를 제외한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6][27]
2. 1. 개발 배경
1992년 3월 도카이도 신칸센에서 최고 속도 270km/h로 향상시킨 300계가 "노조미"로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300계 개발은 국철 시대부터 진행되었던 볼스터리스 대차와 VVVF 인버터 제어 개발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13]1990년, 300계 시제차가 완성된 직후, 더 나은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레일·차륜 방식에 의한 이상적인 고속 철도 개발을 위해 신칸센 955형 전동차(300X)가 제작되었다.[13]
955형은 영업 운전에 투입하는 것을 처음부터 고려하지 않고 순수한 시험차(JR 도카이에서는 유일)로 설계되었으며, 곡선이나 경사에서 고속 시험 주행에 적합하지 않은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에서 고속 주행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가속력을 높였다.[13]
2. 2. 시험 운행 및 기록
1994년 12월 22일에 300X가 처음 공개되었다.[25] 1995년 1월,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시험 운행이 지연되었으나,[4][25] 같은 해 5월부터 마이바라-교토 구간에서 본격적인 시험 운행이 시작되었다.[4][26]시험은 속도 향상 시험과 조건 변경 및 요소 기술 개발 확인 시험 두 가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10] 초기에는 도카이도 신칸센 시즈오카역-하마마츠역 구간에서 270km까지 성능 확인 시험이 이루어졌고, 1995년 5월부터 마이바라-교토 구간에서 본격적인 주행 시험이 시작되었다.[19]
1995년 9월 21일, 마이바라-교토 구간에서 354.1km/h의 최고 속도를 기록했다.[5][26] 이 시기에는 350km/h 부근에서의 안정성 확인 시험 등이 실시되었다.
1996년 4월 이후에는 350km/h를 초과하는 속도 향상 시험이 단계적으로 시작되었고,[19] 7월 11일에는 426.6km/h의 최고 속도를 기록하며, JR 동일본의 952/953계 "STAR21"이 세운 의 기록을 경신했다.[5]
1996년 7월 26일 새벽, 마이바라-교토 구간에서 초전도 리니어를 제외한 일본 국내 최고 속도 기록인 ''''''를 달성했다.[3][20][21] 이후 700계, N700계 기술 개발 및 디지털 ATC 시험 등에 활용되었다.
2002년 1월 16일 모든 주행 시험을 종료하고,[10] 2월 1일 폐차되었다.[6][27] 1995년부터 2002년까지 7년간 총 600회의 주행 시험이 실시되었다.[10]
슬래브 궤도 주행 시험을 위해 산요 신칸센에 진입한 적이 있으며, 분기기 통과 시 평가 시험을 위해 신요코하마-도쿄 구간 왕복 운행 및 영업 시간 중 시즈오카역에서 회차하는 운행을 한 적도 있었다.
3. 구조
신칸센 955형 전동차는 6량 편성으로, 각 차량의 번호는 955-1부터 955-6까지이며 중량은 모두 36톤이다. 2호차와 5호차에는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었다.[3]
차량 번호 | 1 | 2 | 3 | 4 | 5 | 6 |
---|---|---|---|---|---|---|
제원 | Mc | M | Mc | |||
차량 번호 | 955-1 | 955-2 | 955-3 | 955-4 | 955-5 | 955-6 |
중량 (t) | 36 |
차량 사이에는 고무 다이어프램이 설치되었다.
3. 1. 개요
신칸센 955형 전동차 (300X)는 4개의 다른 제조업체에서 제작되었으며, 여러 가지 차체 제작 방식이 사용되었다.[2] 차체는 알루미늄 합금제 차체 마운트 구조를 채택했지만, 차세대 차량 제조 시의 데이터 수집을 위해 차량마다 다른 제조 방법을 사용했다.[11]선두차 형상은 도쿄 방향과 하카타 방향에서 달랐는데, 각각 라운드 웨지형, 커스프형으로 불렸으며 비교를 위해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경량화를 위해 측창은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했다.[11]
3. 2. 구동 방식
주 회로는 PWM 컨버터 +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이다. 소자는 GTO 사이리스터 (4,500V - 4,000A)를 채용하여, 연속 정격 출력 405 kW의 주 전동기를 구동한다.[14] 주 변압기는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제 코일을 사용했다. 6량 편성으로 전 차량 전동차이다. 전기품은 미쓰비시 전기, 도시바, 후지 전기 3사가 제작했다.[14][15][16]3. 3. 대차
대차는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이 장착된 볼스터리스 대차를 채용했다. 300계와 동일한 코일 스프링 + 원통 적층 고무 병용식으로, 일반용은 TDT9038A, 차체 경사용은 TDT9038B로 불린다.[11] 3, 6호차 대차에는 철도종합기술연구소에서 개발된 유압 실린더식 차체 경사 장치(최대 경사: 3도)를 탑재했다.[17] 대차 지지 위치가 높아(공기 용수철 지지 높이: 레일면상 1700mm) 차내 바닥 일부가 솟아 있었다.[13] 축거는 300계 대비 500mm 연장된 3000mm였다.[13] 이는 철도종합기술연구소의 대차 시험 결과, 횡동 한계 속도가 대폭 확대된 것을 확인했기 때문이다.[13]3. 4. 집전 장치
팬터그래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와인 잔형 대형 팬터그래프 커버가 장착되었다. 이 타입의 팬터그래프 커버는 700계 9000번대에서 "300X"에서 시제작된 타입에서 각부를 생략한 타입을 채용했지만, 시험 과정에서 커버가 소음원이 되고 있음이 판명되어 양산차에서는 채용되지 않았다. 955형의 시험 주행 과정에서는 싱글 암 팬터그래프 등도 시도되었고, 그 외 다양한 형태의 커버가 시험되고 있다.3. 5. 기타
차량 처면 하부를 오일 댐퍼로 연결하는 차체간 댐퍼를 장비하여 차체의 요 방향 진동을 줄이고 있다.[12] 공기 압축기는 저소음 스크롤 방식을 사용한다.[12]4. 객차 구성
신칸센 955형 전동차는 6량 편성으로 운행했고 등록 차호는 A0호이다.[28] 각 차량별 제원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호차 | 1 | 2 | 3 | 4 | 5 | 6 |
---|---|---|---|---|---|---|
명칭 | Mc | M | M | M | M | Mc |
번호 | 955-1 | 955-2 | 955-3 | 955-4 | 955-5 | 955-6 |
무게 (톤) | 36 | 36 | 36 | 32 | 36 | 36 |
제조사 | 미쓰비시 중공업 | 닛폰차량제조 | 가와사키 중공업 | 닛폰차량제조 | 히타치 제작소 | |
비고 | 팬터그래프 존재 [29] | 팬터그래프 존재 [29] |
1호차는 미쓰비시 중공업, 2호차와 4호차는 닛폰차량제조, 3호차는 가와사키 중공업, 5호차와 6호차는 히타치 제작소에서 제작했다.[28] 2호차와 5호차에는 팬터그래프가 있었다.[29]
4. 1. 차량별 특징
; 955-1: 博多|하카타일본어 방면 제어 전동차이다.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풍동 실험과 전산유체역학(CFD)을 통해 커스프형 선두 형상으로 제작되었다.[18] 차체는 항공기 기술을 바탕으로 초두랄루민을 리벳 결합하여 제작한 세미 모노코크 구조이다.[18][11] 미쓰비시 중공업 나고야 항공 우주 시스템 제작소에서 제작을 담당했다.[18] 이 차량에는 객실 좌석이 설치되지 않았다.[1][2]
; 955-2
: 중간 전동차로 팬터그래프를 탑재했다. 차체는 알루미늄 중공 대형 압출 형재를 사용했으며, 이후 700계에 채택된 더블 스킨 구조이다. 4호차(955-4)와 함께 일본 차량 제조에서 제작했다. 다른 차량보다 창문이 큰 것이 특징이다. 이 차량은 편성 내에서 유일하게 객실 좌석이 설치된 차량이었다.[2] 신오사카 방면에는 2+2인용 3열, 도쿄 방면에는 2+1인용 3열 좌석이 배치되었다.[12]
; 955-3
: 중간 전동차이다. 차체는 알루미늄 대형 압출 형재를 스폿 용접으로 제작한 싱글 스킨 구조로, 300계와 동일하다.[11] 가와사키 중공업 차량 컴퍼니에서 제작했다.[2]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으며,[12] 바닥 아래에 집중형 공조 장치 1기를 탑재했다.[11] 측면 미닫이문(플러그 도어 구조)이 설치되어 있다.[12]
; 955-4
: 중간 전동차이다. 차체는 알루미늄 중공 대형 압출 형재를 사용한 더블 스킨 구조이다. 질량 변경 시험용 차량으로, 측면 창문은 한쪽에 6개만 설치되었다.[12] 편성 중 가장 가벼운 차량이며, 측면에 하중 반입구가 있다.[12] 열차 무선과 열차 무선 안테나가 집중 배치되어 있다.[12] 2호차와 유사하게 일본 차량에서 제작했다.[1]
; 955-5
: 중간 전동차로 팬터그래프를 탑재했다. 차체는 래핑 알루미늄 허니컴 패널을 사용했으며, 500계와 동일하다. 6호차(955-6)와 함께 히타치 제작소에서 제작했다. 이 차량에는 좌석이 없었다.[1][2] 측면 미닫이문(플러그 도어 구조)이 설치되어 있다.[12]
; 955-6
: 도쿄 방면 제어 전동차이다. 선두 형상은 라운드 웨지형이며, 차체는 래핑 알루미늄 허니컴 패널을 사용했다. 히타치 제작소에서 제작했다.[1]
4. 2. 편성표
955形일본어 전동차는 6량 편성으로 운행했으며 등록 차호는 A0호이다.호차 | 1 | 2 | 3 | 4 | 5 | 6 |
---|---|---|---|---|---|---|
명칭 | Mc | M | M | M | M | Mc |
번호 | 955-1 | 955-2 | 955-3 | 955-4 | 955-5 | 955-6 |
무게 (톤) | 36 | 36 | 36 | 32 | 36 | 36 |
제조사 | 미쓰비시 중공업 | 닛폰차량제조 | 가와사키 중공업 | 닛폰차량제조 | 히타치 제작소 | |
비고 | 팬터그래프 존재 [29] | 팬터그래프 존재 [29] |
'''범례'''
- MTr: 주 변압기, CI: 주 변환 장치, APU: 보조 전원 장치, CP: 공기 압축기, BT: 축전지
각 차량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955-1: 1호차. 하카타(博多) 방면 제어 전동차. 공기 저항 감소를 위해 풍동 실험과 CFD로 선두 형상은 커스프형으로 제작되었다.[18] 차체는 항공기 기술 기반 초두랄루민을 리벳 결합으로 제작한 세미 모노코크 구조이다.[18][11] 미쓰비시 중공업 나고야 항공 우주 시스템 제작소가 담당했다.[18]
- 955-2: 2호차. 중간 전동차로 팬터그래프 탑재. 차체는 알루미늄 중공 대형 압출 형재 사용(후에 700계에 채용). 더블 스킨 구조. 4호차 955-4와 함께 일본 차량 제조가 제조. 창문이 다른 호차보다 크다.
- 955-3: 3호차. 중간 전동차. 차체는 알루미늄 대형 압출 형재를 스폿 용접으로 제작, 싱글 스킨 구조(300계와 동일).[11] 제조 담당은 가와사키 중공업.
- 955-4: 4호차. 중간 전동차. 차체는 알루미늄 중공 대형 압출 형재 사용. 더블 스킨 구조. 질량 변경 시험용 차량이며, 측면 창문은 한쪽에 6개소뿐이다.[12] 편성 중 가장 가벼우며, 측면에는 하중 반입구가 있다.[12] 열차 무선과 열차 무선 안테나를 집중 배치.[12] (후년에 팬터그래프 탑재)
- 955-5: 5호차. 중간 전동차로 팬터그래프 탑재. 차체는 래핑 알루미늄 허니컴 패널 사용(500계와 동일). 955-6과 함께 히타치 제작소가 제조.(후년에 신형 팬터그래프 2번 탑재)
- 955-6: 6호차. 도쿄 방면 제어 전동차. 선두 형상은 라운드 웨지형. 차체는 래핑 알루미늄 허니컴 패널 사용.
5. 보존 및 전시 차량
955-1 차량은 시가현 마이바라시에 있는 철도 종합 기술 연구소 풍동기술센터 야외에 보존되어 있다.[7] 10월 14일 (철도의 날) 전후 주말에만 공개되지만, 야외에 있어 멀리서 보면 인접한 JR도카이도 본선 (비와코선)의 열차 안 등 부지 밖에서도 상시 확인할 수 있다.[22]
955-6 차량은 처음에는 JR 도카이의 하마마쓰 공장에 보관되어 있다가, 2010년에 신설된 리니어·철도관으로 이전되었다.[8] 현재 아이치현 나고야시 미나토구의 리니어·철도관에 보존되어 있다.
중간 차량은 모두 해체되어 현존하지 않는다.
참조
[1]
서적
Neko Publishing
[2]
서적
Kotsu Shimbunsha
2005-12
[3]
서적
JRR
1998-07
[4]
서적
JTB Can Books
[5]
서적
High Speed in Japan: Shinkansen – The World's Busiest High-speed Railway
Platform 5 Publishing
[6]
서적
JRR
2011-03
[7]
서적
Sanei Mook
2009-04
[8]
웹사이트
http://jr-central.co[...]
JR Central
2010-07-21
[9]
간행물
鉄道ファン
交友社
1995-07
[10]
간행물
JREA
日本鉄道技術協会
2002-12
[11]
간행물
車両技術
日本鉄道車輌工業会
1995-06
[12]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
鉄道図書刊行会
1995-10
[13]
간행물
『レイルマガジン』통권138호
[14]
간행물
三菱電機技報
https://www.giho.mit[...]
三菱電機
1996-01
[15]
간행물
東芝レビュー
東芝
1995-03
[16]
간행물
富士時報
https://web.archive.[...]
富士電機
1995-01
[17]
간행물
『レイルマガジン』통권138호
[18]
간행물
300X시험차량
http://www.mhi.co.jp[...]
三菱重工業
1995
[19]
간행물
運転協会誌
日本鉄道運転協会
1996-10
[20]
뉴스
JR7社14年のあゆみ
交通新聞社
2001-04-02
[21]
뉴스
JR東海300X 国内最高速再び更新
交通新聞社
1996-07-29
[22]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3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3-07-01
[23]
웹사이트
地球環境保全への貢献
https://company.jr-c[...]
2023-11-29
[24]
서적
Kotsu Shimbunsha
2005-12
[25]
서적
JTB Can Books
[26]
서적
High Speed in Japan: Shinkansen - The World's Busiest High-speed Railway
Platform 5 Publishing
[27]
서적
JRR
2011-03
[28]
서적
Neko Publishing
[29]
서적
JRR
199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