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기 예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기 예수는 기독교에서 예수의 어린 시절을 지칭하며, 성경에는 예수 탄생과 관련된 내용이 일부 기록되어 있다. 공관복음서에는 예수의 어린 시절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지만, 마태오 복음서와 루가 복음서에 예수 탄생과 어린 시절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반면 외경과 위경에서는 예수의 유년 시절을 다룬 다양한 이야기들이 등장한다. 아기 예수는 기독교 전례 축일과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며, 성탄절과 주현절 등 여러 축일로 기념된다. 예술 작품에서는 탄생 장면, 성모자와 함께 묘사되며, 중세 시대부터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를 거쳐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묘사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기 예수 - 프라하의 아기 예수
    프라하의 아기 예수는 14세기 스페인에서 제작되어 기적과 치유의 힘으로 숭배받는 아기 예수상으로, 체코를 넘어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에게 중요한 신앙 대상이다.
  • 아기 예수 - 세부의 아기예수상
    세부의 아기예수상은 1521년 마젤란이 세부에 선물한 아기 예수 조각상으로, 1565년 레가스피에 의해 재발견된 후 축제와 의례를 통해 숭배받으며 필리핀 가톨릭 신앙의 중요한 상징이 되었다.
  • 신약 속 예수의 삶 - 예수의 공생애
    예수의 공생애는 세례 이후 십자가형까지 갈릴리 지역에서 말씀을 전파하고 기적을 행하며 열두 제자를 가르치고 예루살렘에서 수난을 겪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 기간이다.
  • 신약 속 예수의 삶 - 예수의 연대학
    예수의 연대학은 복음서와 세속 기록을 바탕으로 나사렛 예수의 탄생 연도를 기원전 6년에서 기원전 4년 사이로, 설교 시작 시기를 서기 28~29년경으로 추정하는 학문 분야이다.
  • 예수의 강탄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예수의 강탄 - 베들레헴
    베들레헴은 팔레스타인 서안 지구에 위치한 도시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지로 알려진 중요한 순례지이자 관광 도시이며, 고대 유다 왕국의 도시이자 다윗 왕의 고향으로 구약성서에 언급되고, 다양한 문명의 지배를 거쳐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중심지 중 하나이며, 현재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통치 아래 이스라엘의 서안 지구 장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기 예수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아기 예수
다른 이름어린 예수
거룩한 아이
성별남성
종교기독교
주요 신앙기독교
유대교
생애
부모아버지: 요셉
어머니: 마리아
출생기원전 6년경 ~ 기원전 4년경
출생지베들레헴
성장지나사렛
유년 시절
할례생후 8일 만에 할례를 받음
이름이 "예수"로 주어짐
성전 봉헌예루살렘 성전에서 시므온과 안나에게 축복받음
율법에 따라 정결례를 거침
동방 박사 방문별을 보고 찾아온 동방 박사들의 경배와 선물
아기 예수를 찾아 헤롯이 유아 학살을 명령
이집트 피신헤롯의 박해를 피해 이집트로 피신
헤롯 사망 후 이스라엘로 귀환
예루살렘 방문12세에 부모와 함께 예루살렘 방문
성전에서 율법 교사들과 토론
이미지 및 참고자료
아기 예수의 그림
아기 예수의 그림
아기 예수의 그림
아기 예수의 그림
아기 예수의 그림
아기 예수의 그림

2. 성경에서의 묘사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가 그린 유년 시절의 예수


공관복음서에는 예수의 어린 시절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지만, 외경에는 예수의 유년 시절을 다룬 복음서들이 많이 등장한다.

일반적으로 유대인 남자아이는 13세에 바르 미츠바를 통해 종교적 성인으로 인정받으며, 12세부터 그 준비를 시작한다. 남자아이에게는 유월절, 칠칠절, 초막절예루살렘에서 지켜야 하는 의무가 있었다. 특히 유월절에는 예루살렘에 최소 2일 이상 머물러야 했다.

12세의 예수는 부모와 함께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부모와 떨어지게 되었다. 사흘 후, 부모는 예루살렘 성전에서 랍비들과 이야기하는 예수를 발견했고, 학자들은 그의 성경 지식에 놀라움을 표했다. 누가는 이 사건을 통해 예수가 구약성경 지식을 이미 갖추고 있었음을 보여준다.[13]

토마스 복음서에는 공관복음서에 나오지 않는 예수의 유년 시절 이야기가 5세부터 12세까지 기록되어 있으며, 누가복음서와 같이 성전에서의 12세 예수의 이야기로 끝을 맺는다.[13] 토마스 복음서에는 어린 예수가 기적을 행하는 능력을 통제하지 못하고 감정에 따라 이웃에게 복수하거나(징벌 기적), 반대로 영적인 힘을 사용하여 불행한 이웃의 목숨을 구하는(치유 기적) 에피소드들이 기록되어 있다.[14][15][16]

예를 들어, 예수는 물의 흐름을 막는 둑을 만들었는데, 어떤 아이가 장난으로 둑을 무너뜨리자 그를 나무처럼 말라 죽게 했다. 또, 달려온 아이가 예수의 어깨에 부딪히자 그 아이를 죽게 했다. 반면, 친구가 지붕에서 떨어져 죽거나 도끼에 발을 다쳐 죽었을 때는 기적을 일으켜 살려내기도 했다.

토마스 복음서의 내용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내용
제1장이스라엘 사람 토마스가 이방인 형제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유년 시절과 위대한 업적을 알리는 내용[17]
제2장다섯 살 예수가 안식일에 진흙으로 열두 마리 참새를 만들고, 손뼉을 쳐서 날려 보내는 기적을 행함[18]
제6장사가이라는 교사가 예수에게 글을 가르치려 하지만, 오히려 예수가 알파벳의 본질에 대해 질문하며 가르침
제13장목수였던 아버지 요셉이 침대를 만들 때, 짧은 판자를 예수의 도움으로 늘려 완성함[20]
제19장열두 살 예수가 유월절 순례 후 예루살렘 성전에서 교사들과 토론하고, 부모에게 순종하며 지혜와 은혜가 더해짐[21]


2. 1. 공관복음서



공관복음서에는 예수의 어린 시절, 즉 예수의 유아기와 12세 때 예루살렘 성전에서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가 찾아 발견한 사건 사이의 이야기는 언급되지 않는다. 반면 위경에는 예수의 유년 시절을 다룬 복음서들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이 쏟아져 나왔다.

일반적으로 유대인 남자아이는 13세에 바르 미츠바를 하고 종교적으로 성인이 되는데, 그 준비는 12세부터 시작된다. 남자아이의 의무는 유월절, 칠칠절, 초막절예루살렘에서 지키는 것이었다.

특히 중요한 유월절에는 순례자들이 예루살렘으로 가서 최소 2일 이상 머무르는 것이 의무였다. 12세가 된 예수는 부모와 함께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갔다. 가족은 의무를 다하고 돌아가는 길에 예수가 없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예루살렘까지 되돌아갔다. 사흘 후, 부모는 예루살렘 성전에서 랍비들과 이야기하고 있는 예수를 발견했다. 학자들은 예수의 성경 이해에 놀랐다. 부모는 왜 그런 일을 했는지 물었으나, 예수는 왜 자신을 찾았는지 되묻고 부모에게 질문했다.

누가가 기록한 이 사건은 예수가 구약성경 지식을 이미 습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2. 2. 요한 복음서

요한 복음서에는 예수의 어린 시절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그 내용을 유추할 수 있는 부분을 제시한다. 정경으로 인정받은 공관복음서에는 예수의 유아기와 12세 때 예루살렘 성전에서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가 찾아 발견한 사건 사이의 이야기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도 하고 있지 않다.

3. 외경과 위경에서의 묘사

공관복음서에는 예수의 유아기부터 12세 때 예루살렘 성전에서 마리아에게 발견되기까지의 이야기가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외경위경에는 예수의 유년 시절을 다룬 복음서들이 많이 등장한다.

일부 외경에는 예수의 탄생과 유년 시절을 다룬 유년 시절 복음서가 포함되어 있다. 이 이야기들은 어린 시절부터 예수가 놀라운 능력과 지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흔히 알려진 이야기 중 하나는 어린 예수가 또래 아이들과 진흙으로 참새를 만들어 안식일에 그런 행동을 했다고 책망받자 그 새들을 날려 보냈다는 것이다.[5]

3. 1. 토마스 복음서

토마스 복음서는 외경으로, 정경 복음서에는 없는 예수의 어린 시절 이야기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특히 5세부터 12세까지의 예수의 기적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13]

토마스 복음서에 따르면, 어린 예수는 놀라운 능력을 지녔지만, 도덕적 판단력이 미숙하여 감정에 따라 기적을 행했다. 예를 들어, 둑을 무너뜨린 아이를 나무처럼 말라 죽게 하거나, 부딪힌 아이를 죽게 하는 등 징벌적인 기적을 행했다.[18] 반면, 친구를 살리는 치유 기적도 행했다.[14] 이러한 이중적인 모습은 정경 복음서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누가복음은 예수의 탄생과 12세 때 성전에서의 사건 사이의 공백을 "아이는 자라면서 지혜와 키가 자라고 하나님의 은혜가 그 위에 있더라"(2:40, 2:52)라는 구절로 채우고 있다. 토마스 복음서는 이 공백을 채우는 역할을 하며, 예수의 인간적인 성장 과정을 보여준다.[13]

일부 학자들은 정경 복음서에서 이러한 어린 시절 이야기가 의도적으로 삭제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14][15][16] 이는 예수가 완전한 신성을 갖춘 존재로 묘사되어야 한다는 초기 기독교 교회의 입장과 상충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토마스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모습은 미숙하고 감정적이지만, 동시에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이러한 관점은 예수를 보다 친근하고 이해하기 쉬운 존재로 여기게 하며, 그의 가르침에 더욱 공감할 수 있게 한다.

다음은 토마스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의 어린 시절 이야기 중 일부이다.

  • 제2장: 다섯 살 예수가 안식일에 진흙으로 참새를 만들고 날려 보내는 기적을 행한다.[18]
  • 제6장: 예수가 선생에게 글자를 가르치려 하지만, 선생은 예수의 질문에 답하지 못한다.
  • 제13장: 예수가 아버지 요셉의 목수 일을 돕기 위해 짧은 나무판자를 늘리는 기적을 행한다.[20]
  • 제19장: 열두 살 예수가 예루살렘 성전에서 율법 학자들과 토론하며 그들을 놀라게 한다.[21]

3. 2. 야고보 원복음서

야고보 원복음서는 마리아의 탄생과 어린 시절, 그리고 예수의 탄생 이야기를 담고 있다.

3. 3. 기타 외경



일부 외경에는 예수의 탄생과 유년 시절을 다룬 유년 시절 복음서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야기들은 때때로 묘사되곤 한다. 이 이야기들은 어린 시절부터 예수가 놀라운 능력과 지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흔히 알려진 이야기 중 하나는 어린 예수가 그의 또래 아이들이 만든 진흙으로 빚은 참새에 생명을 불어넣은 것이다. 훗날처럼, 안식일에 그러한 행동을 한 것에 대해 책망을 받자 그는 그 새들을 날려 보냈다.[5]

4. 기독교 전통과 축일

산타폴리나레누오보(Sant'Apollinare Nuovo), 라벤나(Ravenna), 어머니이신 하느님의 모자이크, 아기 예수와 함께 옥좌에 앉아 네 천사에게 둘러싸여 있다


그리스도의 유년기와 어린 시절과 관련된 전례 축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4. 1. 성탄절



예수 그리스도 탄생 대축일은 12월 25일이다.[1]

4. 2. 주님 공현 대축일



주님 공현 대축일동방 박사들이 아기 예수를 경배한 사건을 기념하는 축일로, 1월 6일에 지낸다. 율리우스력을 사용하는 경우 그레고리력으로 1월 19일에 해당한다.

4. 3. 주님 봉헌 축일



주님 봉헌 축일은 2월 2일에 기념한다.[1] 이 축일은 예수성전에 봉헌된 사건을 기념한다.[1]

4. 4. 예수 성탄 전야


5. 예술 작품에서의 묘사



3세기 또는 4세기경부터 아기 예수는 그림과 조각에서 자주 묘사되었다. 이러한 묘사는 일반적으로 예수의 탄생 장면으로, 어머니 마리아와 요셉과 함께 나타난다. 성모자는 동방서방 전통에서 상징적인 유형으로 여겨진다. 할례, 성전에서의 예수 소개, 동방박사의 경배, 애굽으로의 도피와 같은 아기 시절의 다른 장면들도 자주 묘사된다.[1]

성 요셉, 파두아의 안토니오, 성 크리스토퍼는 종종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그리스도교 신비주의 전통에서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 리지외의 소화 데레사와 같은 인물들은 아기 예수의 발현을 경험했다고 전해진다.

5. 1. 중세 시대

3세기 또는 4세기경부터 아기 예수는 그림과 조각에서 자주 묘사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그림들은 예수의 탄생을 보여주는 장면으로, 어머니 마리아와 남편 요셉과 함께 묘사된다. 성모자는 동방서방 전통에서 이콘적 유형이다. 아기 시절의 다른 장면들, 즉 할례, 성전에서의 예수 소개, 동방박사의 경배, 애굽으로의 도피 등도 일반적이다.[1] 성장하는 시절을 보여주는 장면은 더 드물지만 전혀 알려지지 않은 것은 아니다.

성 안토니오 데 파두아가 아기 예수를 경배하는 모습. 캔버스에 유채, 1622년, 안토니오 데 페레다.


성모 마리아가 아기 예수에게 글쓰기를 가르치는 모습, 핀투리키오 약 1500년


1300년대부터 유럽 목각 조각에서 아기 예수는 인기 있는 소재였다.[2] 아기 예수는 산테로(santero) 조각가 후안 마르티네스 몬타녜스가 유행을 시작한 후 스페인에서는 ''몬타녜시노(montañesino)''라는 제목으로 잘 알려졌다. 이 아기 예수의 성상들은 종종 콘트라포스토(contrapposto) 양식으로 표현되었는데,[3] 이는 고대 로마 황제 묘사와 유사하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스페인과 포르투갈 귀족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다. 식민지 시대의 아기 예수 이미지는 후기 식민 시대 산테로 문화에 의해 발전된 경건한 관습인 제의(vestments)를 입기 시작했으며, 영혼이나 성령을 상징하는 새 또는 지역과 관련된 다양한 장식품을 들고 있는 구주(globus cruciger)를 들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었다.

5. 2. 르네상스 시대



3세기 또는 4세기경부터 아기 예수는 그림과 조각에서 자주 묘사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그림들은 예수의 탄생 장면으로, 어머니 마리아와 남편 요셉과 함께 묘사된다.

성모자는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의 모습을 묘사한 그림으로, 동방서방 전통에서 이콘적 유형으로 자리잡았다. 아기 시절의 다른 장면들, 즉 할례, 성전에서의 예수 소개, 동방 박사의 경배, 애굽으로의 도피 등도 자주 묘사된다.[1] 성장하는 시절을 보여주는 장면은 드물지만,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성 요셉, 파두아의 안토니오, 성 크리스토퍼는 종종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리스도교 신비주의자인 아빌라의 테레사, 리지외의 테레즈, 그리고 신성한 아기 예수 신자들인 앙헬리카 수녀와 조반니 리조는 아기 예수의 발현을 경험했다고 주장한다.

5. 3. 바로크 시대



3세기 또는 4세기경부터 아기 예수는 그림과 조각에서 자주 묘사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그림들은 예수의 탄생을 보여주는 장면으로, 어머니 마리아와 요셉과 함께 묘사된다.

성모자는 성모 마리아와 함께 아기로 묘사된 그림으로, 동방서방 전통에서 이콘적 유형이다. 아기 시절의 다른 장면들, 즉 할례, 성전에서의 예수 소개, 동방박사의 경배, 애굽으로의 도피 등도 자주 묘사된다.[1] 성장하는 시절을 보여주는 장면은 더 드물지만 전혀 알려지지 않은 것은 아니다.

성 요셉, 파두아의 안토니오, 성 크리스토퍼는 종종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리스도교 신비주의자인 성녀 아빌라의 테레사, 리지외의 테레즈와 신성한 아기 예수의 신자들인 앙헬리카 수녀와 조반니 리조는 아기 예수의 발현을 경험했다고 주장한다.

5. 4. 현대



3세기 또는 4세기경부터 아기 예수는 그림과 조각에서 자주 묘사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그림들은 예수의 탄생 장면으로, 어머니 마리아와 남편 요셉과 함께 묘사된다.

성모 마리아와 함께 아기로 묘사된 그림은 ''성모자''로 알려져 있으며, 동방서방 전통에서 이콘적 유형이다. 아기 시절의 다른 장면들, 즉 할례, 성전에서의 예수 소개, 동방박사의 경배, 그리고 애굽으로의 도피 등이 일반적이다.[1] 성장하는 시절을 보여주는 장면은 더 드물지만 전혀 알려지지 않은 것은 아니다.

성 요셉, 파두아의 성 안토니오, 성 크리스토퍼는 종종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리스도교 신비주의자인 성녀 아빌라의 데레사, 리지외의 소화 데레사와 신성한 아기 예수의 신자들인 앙헬리카 수녀와 조반니 리조는 아기 예수의 발현을 경험했다고 주장한다.

참조

[1] 서적 Signs & symbols in Christian art Oxford University Press US
[2] 웹사이트 Christ Child http://www.getty.edu[...]
[3] 웹사이트 Contrapposto https://archive.toda[...] 2015-04-16
[4] 웹사이트 Holy Family https://www.britanni[...]
[5] 웹사이트 Jesus as a Child https://web.archive.[...] 2014-05-13
[6] 서적 Therese and Lisieux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7]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the Holy Child of Remedy http://www.anadesanb[...]
[8] 논문 Devotion to the Infant Jesus https://books.google[...]
[9] 서적 The life of the baron de Renty https://books.google[...] Burns & Oates
[10] 서적 The Life of Jean-Jacques Olier https://books.google[...] Burns & Oates
[11] 웹사이트 Christ Child Society https://www.christch[...]
[12] 웹사이트 Christ Child Society https://socialwelfar[...]
[13] 서적 聖書外典偽典6 教文館
[14] 서적 The lost years of Jesus Fawcett
[15] 논문 イェスの「成長」---『トマスによるイエスの幼時物語』の分析
[16] Youtube 9割が知らない!キリストの本当の姿にがっかり?聖書が隠蔽する驚きの真実 https://www.youtube.[...] 2024-03-24
[17] 서적 聖書外典偽典6 教文館
[18] 서적 聖書外典偽典6 教文館
[19] 서적 聖書外典偽典6 教文館
[20] 서적 聖書外典偽典6 教文館
[21] 서적 聖書外典偽典6 教文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