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불 피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불 피다는 1273년 시리아 다마스쿠스에서 태어난 쿠르드족 출신의 아이유브 왕조 왕자였다. 그는 십자군에 대항하는 군사 원정에 참여했으며, 1310년 하마의 통치자가 되었고, 1312년에는 '말리크 우스-살른'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1320년에는 '말리크 울-무아야드'라는 칭호를 받아 맘루크 왕조 치하 시리아 통치자 중 1인자가 되었다. 아불 피다는 역사와 지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저술을 남겼는데, 주요 저서로는 연대기 형식의 역사서인 '인류 역사의 개요'와 지리서인 '나라들의 안내 목록'이 있다. 그는 1331년 사망할 때까지 알나시르 정권의 중진으로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불 피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이스마일 빈 알리 빈 마흐무드 빈 무함마드 빈 우마르 빈 샤한샤 빈 아유브 빈 샤디 빈 마르완 |
아랍어 이름 | أبو الفداء (아불 피다) |
출생 | 1273년 11월 |
출생지 | 다마스쿠스, 맘루크 술탄국 |
사망 | 1331년 10월 27일 |
사망지 | 하마, 맘루크 술탄국 |
직업 | 지리학자 역사학자 아이유브 왕조 왕자 하마 지역 총독 |
주요 저서 | 타크윔 알 불단 인간 연대기 |
자녀 | 알-아프달 무함마드 |
2. 생애
아불 피다는 1273년 다마스쿠스에서 태어났다.[4] 그의 아버지는 하마 영주의 동생이었으며, 몽골 제국의 침략을 피해 다마스쿠스로 피신해 온 상태였다. 그는 쿠르드계 아이유브 왕조의 후손이었다.[5]
소년 시절에는 쿠란과 과학 공부에 몰두했으나, 12세부터는 군사 활동에 참여하기 시작하여 주로 십자군과의 전투에 참전했다.[6] 그는 마르가트, 트리폴리, 아크레 등 여러 중요한 공성전에 참여하며 군사적 경력을 쌓았다. 이후 맘루크 왕조의 술탄 나스르 무함마드를 섬기게 되었고, 그의 복위를 돕는 등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6]
1310년에는 나스르 무함마드 복위에 기여한 공으로 하마의 통치자로 임명되었으며, 이후 '''말리크 우스 살흐'''(1312년)와 '''알말리크 알무아이야드'''(1320년)라는 칭호를 받으며 맘루크 왕조 치하 시리아에서 높은 지위를 확보했다.[6] 약 20년간 하마를 통치하며 도시 발전에 힘쓰고 문인들을 후원하는 등 영광스러운 시기를 이끌었다.
아불 피다는 1331년 10월 27일에 사망할 때까지 나스르 무함마드 정권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6] 그의 사후 아들이 잠시 지위를 계승했으나, 1341년 나스르 무함마드가 사망하면서 그 지위를 잃었고, 이로써 아이유브 왕조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군사 활동
아불 피다는 1273년 다마스쿠스에서 태어났다.[4] 그의 아버지 말릭 알아프달은 당시 하마를 다스리던 알만수르 무함마드 2세 에미르의 형제였는데, 몽골 제국의 침략을 피해 다마스쿠스로 피신해 왔다.[4] 아불 피다는 살라흐 앗-딘의 아버지인 아이유브의 후손으로, 쿠르드계 아이유브 왕조의 왕족이었다.[5]소년 시절에는 쿠란과 과학 공부에 전념했으나, 12세 무렵부터는 당시 빈번했던 군사 원정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이 원정들은 대부분 십자군에 대항하는 것이었다.[6]
그는 여러 중요한 전투에 참전하며 군사적 경험을 쌓았다.
- 1285년: 맘루크 왕조가 성 요한 기사단의 요새인 마르가트를 공격할 때 참전했다.[6]
- 1289년: 16세의 나이로 트리폴리 공성전에 참가했다.
- 1291년: 18세 때 아크레 공성전에 참여했다. 이 해에 맘루크 왕조의 십인장으로 임명되었다.
- 1292년: 맘루크 왕조의 사십인장으로 승진했다.
- 1293년: 칼라트 아르-룸 공성전에 참가했다.
이후에도 그는 일 칸국이나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과의 전투에서 활약했다. 1298년에는 맘루크 왕조의 술탄 말리크 안나시르(나스르 무함마드)를 섬기기 시작했다.[6] 1299년 8월 20일, 그의 사촌이자 하마의 영주가 갑자기 사망하면서 아불 피다 가문의 하마 통치권은 잠시 중단되었다. 같은 해, 어린 나이에 술탄 자리에서 물러났던 나스르 무함마드가 복위하자 아불 피다는 다시 그를 섬겼다.
1301년에는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을 공격하여 큰 타격을 입혔고, 이후 일 칸국의 가잔 칸이 시리아를 침공했을 때는 타드모르(팔미라)에서 침공군을 격파하는 데 기여했다.
2. 2. 하마 통치와 맘루크 왕조에서의 역할
1298년, 아불 피다는 맘루크 술탄 알나시르 무함마드(Malik al-Nasir)를 섬기기 시작했다.[6] 1299년 알나시르 무함마드가 다시 술탄이 된 후, 아불 피다는 1301년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 공격과 일 칸국의 가잔 칸에 의한 시리아 침공 방어 등에서 활약했다.1309년 알나시르 무함마드가 다시 술탄 지위에서 쫓겨나자, 아불 피다는 그의 복위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성공을 도왔다. 이 공적으로 1310년 10월 14일, 아불 피다는 하마의 통치자로 임명되었다. 이어서 1312년 8월 30일에는 말리크 우스 살흐(Malik us-Salhn)라는 칭호를 하사받으며 하마의 종신 군주가 되었다.[6] 그는 1315년 말라티아 원정에 참여하고 알나시르 무함마드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등, 나스르 무함마드 정권 강화에 기여했다.
1319년부터 1320년까지 이어진 나스르 무함마드의 메카 순례에 동행했으며, 1320년 2월 28일에는 술탄의 지위를 가진 알말리크 알무아이야드(Malik ul-Mu'ayyad)가 되어 맘루크 왕조 치하 시리아 통치자들 가운데 최고 지위에 올랐다.[6]
1310년부터 시작된 그의 하마 통치는 20년간 이어졌으며, 통치자로서의 의무에 충실하여 영광스러운 시기로 평가받는다. 그는 하마에 많은 건축물을 세워 도시 발전에 헌신했으며, 많은 문인들의 후견인이기도 했다.
아불 피다는 1331년 10월 27일에 사망할 때까지 나스르 무함마드 정권의 중요한 인물로서 활약했다.[6] 그의 아들이 지위를 계승했으나, 1341년 나스르 무함마드가 사망하자 지위를 잃었고, 이로써 아이유브 가문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3. 아불 피다의 저작
아불 피다는 학문에도 뛰어나, 특히 중세 이슬람 세계를 대표하는 역사학자와 지리학자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중요한 저작을 남겼다.
대표적인 역사서로는 『인류 역사의 개요』(Tarikhu 'l-mukhtasar fi Akhbari 'l-bashar|타리크 알묵타사르 피 아크바르 알바샤르ar, The Concise History of Humanity or Chronicles영어)가 있다. 이 책은 아담 시대부터 1329년까지의 역사를 연대기 형식으로 기록했다. 책의 전반부는 주로 이븐 알 아시르의 저작을 요약한 것이지만, 13세기 후반 이후의 내용은 아불 피다 자신이 직접 정치 및 군사 활동에 참여하며 겪은 경험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십자군 시대 말기의 상황과 맘루크 왕조 및 시리아 지역의 동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지리학 분야에서는 『나라들의 안내 목록』(Taqwim al-Buldan|타크윔 알불단ar, A Sketch of the Countries영어)이 중요하다. 이 책은 프톨레마이오스나 무함마드 알이드리시와 같은 선대 학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당시 알려진 세계를 중국부터 대서양 제도, 서유럽에서 수단 지역까지 28개 지역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아불 피다는 각 지역과 도시의 위치, 지명 읽는 법, 특징 등을 표 형식으로 정리하여 가독성을 높였다. 비록 그가 중국, 인도, 유럽 등을 직접 방문하지는 않았지만, 선대 학자들의 기록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하여 당시 중동과 이후 유럽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이 책에는 신라와 고려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어, 한국사 연구에도 참고 자료가 된다.[13]
그 외에도 이슬람 법학과 약학 관련 저서가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현재는 소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3. 1. 인류 역사의 개요 (The Concise History of Humanity)
تاريخ أبى الفداء|타리크 아비 알-피다ar, 또는 المختصر في أخبار البشر|알-묵타사르 피 아크바르 알-바샤르ar로도 알려진 『인류 역사의 개요』(The Concise History of Humanity or Chronicles영어)는 아불 피다가 저술한 대표적인 역사서이다. 이 책은 아담 시대부터 1329년까지의 인류 역사를 연대기 형식으로 기록하고 있다.[10]이 책은 이븐 알-아시르가 1231년경까지 저술한 『완전한 역사』(الكامل في التاريخ|알카밀 피 알타리크ar)의 내용을 이어받아, 1315년부터 1329년 사이에 완성되었다.[10]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첫 부분은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의 역사를 다루고, 두 번째 부분은 1329년까지의 이슬람 역사를 서술한다.
책의 전반부, 즉 13세기 전반까지의 내용은 주로 이븐 알-아시르의 저작을 요약한 것이다. 이는 독자적인 연구보다는 선대의 학문적 성과를 집대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던 당시 14세기 이슬람 학계의 경향을 반영한다. 반면, 13세기 후반 이후의 기록은 아불 피다 자신이 직접 정치 및 군사 활동에 참여하며 겪은 경험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십자군 시대 말기의 상황과 맘루크 왕조 및 시리아 지역의 동향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인류 역사의 개요』는 후대의 아랍 역사가들에 의해 내용이 계속 보충되었다. 이븐 알-와르디는 1348년까지의 역사를 추가했고, 이븐 알-쉬나는 1403년까지 내용을 확장했다. 이 책은 이후 라틴어,[11] 프랑스어, 영어로 번역되어 유럽에 소개되었다. 특히 18세기 동양학 연구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으며, 장 가니에르(1670–1740)와 요한 야콥 라이스케(1754) 같은 학자들이 이 책을 주요 이슬람 역사 기록물로 참고했다.
3. 2. 나라들의 안내 목록 (A Sketch of the Countries)
''나라들의 안내 목록''(A Sketch of the Countries영어, Taqwim al-Buldan|타크윔 알불단ar)은 프톨레마이오스와 무함마드 알이드리시와 같은 선배 지리학자들의 저작을 바탕으로 한 지리서이다.[6] 이 책은 다양한 지리적 문제에 대한 긴 서론으로 시작하며, 이후 세계 주요 도시들을 표 형식으로 다루는 28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불 피다는 각 지역과 도시의 경도, 위도, 기후, 지명 표기법, 특징 등을 정리한 표를 도입하여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만들었으며,[6] 이전 학자들의 관찰 내용도 덧붙였다. 그는 이 책에서 중국 취안저우 시의 위도와 경도를 정확하게 기록하기도 했다.[7]이 저서는 당시 중동 지역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1650년대에는 유럽에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6] 18세기와 19세기 유럽의 동양학자들은 이전 자료를 구하기 어려울 때 이 책을 주요 자료로 활용했다.
또한 ''나라들의 안내 목록''은 항해자의 역설을 최초로 설명한 문헌으로도 알려져 있다. 아불 피다는 서쪽으로 세계를 일주 항해하는 사람은 하늘에서 태양이 움직이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정지한 관찰자보다 하루를 덜 계산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대로 동쪽으로 여행하는 사람은 하루를 더 계산하게 된다.[8] 이 현상은 약 2세기 후 마젤란-엘카노 원정대(1519–1522)가 최초의 세계 일주 항해를 마치고 1522년 7월 9일(선박 시간 기준 수요일) 카보베르데에 도착했을 때 확인되었다. 현지인들은 실제 날짜가 7월 10일 목요일이라고 알려주었기 때문이다.[9]
특히 이 책에는 신라에 대한 기록이 포함되어 있어 한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신라: 까눈(qanun|카눈ar)서에 따르면 신라는 (동)경 170°, (북)위 5°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제 1지대 가운데에서도 남부에 있으며, 중국의 동단에 있다. 신라는 중국의 동쪽 상단에 있다. 그것은 위치상 서방(대서양)의 '영원과 행운의 섬'에 필적할 만한 동해의 도서이다. 전자는 후자와는 반대로 경작되었으며, 유익한 물건으로 충만 되어있다.
…
'나라들의 목록'의 같은 쪽수에서 신라를 설명한 후에 고려(Kauli)에 대해서도 언급했지만, 그 위치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다. 그는 신라와 고려가 같은 영토였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한 것 같다."[13]
3. 3. 기타 저작
그 외에도 이슬람 법학과 약학 저서가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현재는 흩어져 전해지지 않는다.참조
[1]
서적
Encyclopaedia Islamica
https://referencewor[...]
2015-10-16
[2]
서적
Gibbs (1986)
[3]
서적
Encyclop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http://www.idref.fr/[...]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7
[4]
서적
Chambers Biographical Dictionary
[5]
서적
The Moslem World
https://books.google[...]
Nile Mission Press
2022-12-05
[6]
백과사전
Abulfeda
[7]
서적
The Travels of Ibn Batūta: With Notes, Illustrative of the History
[8]
서적
Overcoming Ptolemy: The Revelation of an Asian World Region
Lexington Books
2018-10-15
[9]
서적
The Geometry of Biological Tim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1
[10]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n Cultures
1997
[11]
서적
Abulfedae historia anteislamica, arabice: E duobus codicibus bibliothecae regiae Parisiensis, 101 et 615
F.C.W. Vogel
1831
[12]
서적
세계전기대사전
[13]
서적
중동사
대한교과서(주)
2005-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