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릴로나이트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크릴로나이트릴은 화학식 CH₂CHCN을 갖는 유기 화합물로, 비닐기와 나이트릴기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프로필렌의 암모산화 반응을 통해 주로 생산되며,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ABS 수지, 합성 고무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아크릴로나이트릴은 인화성이 높고 독성이 있으며, IARC에 의해 발암 물질로 분류되었다. 1999년 터키의 산업 공장 누출 사고, 2015년 미국 테네시주 화재 사고, 2015년 중국 산둥성 폭발 사고 등과 같이 사고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환경과 수생 생물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훈증 - 포스핀
포스핀은 삼각뿔형 분자 구조를 가진 무색의 인화수소 기체로, 불순물에 따라 마늘이나 썩은 생선 냄새가 나며, 약한 염기성과 친핵성을 지니고 반도체 도핑 및 훈증제 등으로 활용되는 독성이 강한 유기인 화합물이다. - 훈증 - 사이안화 수소
사이안화 수소(HCN)는 탄소와 질소의 삼중 결합을 가진 가연성 기체 화합물로, 산업적으로 대량 생산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인체에 매우 유독하여 세포 호흡을 방해할 수 있다. - 상업용 화학물질 - 요소 (화학)
요소는 화학식 CO(NH₂)₂을 가지는 무색무취의 결정성 화합물로, 포유류와 양서류의 소변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비료, 목재 패널 제조, 배기가스 저감, 단백질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1828년 뵐러에 의해 무기물에서 합성된 최초의 유기 화합물이다. - 상업용 화학물질 - 테레프탈산
테레프탈산은 1846년 테레빈유에서 처음 분리된 유기 화합물이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전구체로 사용되고, 파라자일렌을 산화시켜 생산하며, 물과 알코올에 잘 녹지 않고 승화하며 독성이 낮고 생분해성을 갖는 물질이다. - 나이트릴 - 에스시탈로프람
에스시탈로프람은 주요 우울 장애, 불안 장애 등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항우울제이며,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기전을 통해 효과를 나타내고, 렉사프로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된다. - 나이트릴 - CS 가스
CS 가스는 군중 통제용 최루 가스로, 피부와 눈의 습기와 반응하여 작열감, 눈물, 기침 등을 유발하며 화학 무기 금지 조약에 의해 전쟁에서의 사용은 금지되었으나 일부 국가에서 사용되고 독성 및 윤리적 논란이 있다.
아크릴로나이트릴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 | |
![]() | |
IUPAC 명칭 | 프로프-2-엔나이트릴 (Peuropeu-2-ennateu-ril) |
다른 이름 | 아크릴로니트릴 (Akeurillo-niteuril) 2-프로펜나이트릴 (2-Peuropeennaiteu-ril) 시아노에텐 (Sianoeten) 비닐 사이아나이드 (VCN) 사이아노에틸렌 (Saianoetilren) 프로펜나이트릴 (Peuropennaiteu-ril) 비닐 나이트릴 (Binil Naitril) |
식별 | |
약어 | AN |
CAS 등록번호 | 107-13-1 |
화학 물질 데이터베이스 | 7567 7855 |
UNII | MP1U0D42PE |
SMILES | N#CC=C |
InChI | 1/C3H3N/c1-2-3-4/h2H,1H2 |
ChEBI | 28217 |
KEGG | C01998 |
UN 번호 | 1093 |
EC 번호 | 608-003-00-4 |
RTECS 번호 | AT5250000 |
ChEMBL | 445612 |
표준 InChI | 1S/C3H3N/c1-2-3-4/h2H,1H2 |
표준 InChIKey | NLHHRLWOUZZQLW-UHFFFAOYSA-N |
속성 | |
화학식 | C3H3N |
몰 질량 | 53.06 g/mol |
겉모습 | 무색 액체 |
밀도 | 0.81 g/cm³ |
녹는점 | -84 °C (189 K) |
끓는점 | 77 °C (350 K) |
용해도 | 70 g/L (물) |
용해되는 다른 물질 | 에탄올 다이에틸 에테르 클로로폼 |
증기압 | 83 mmHg |
옥탄올-물 분배 계수 (LogP) | 0.19 |
구조 | |
열화학 | |
약리학 | |
폭발성 | |
위험성 | |
외부 MSDS | ICSC 0092 |
주요 위험 | 가연성 반응성 독성 잠재적 직업성 발암 물질 |
NFPA 704 | 건강: 4 화재: 3 반응성: 2 |
인화점 | -1 °C |
자연 발화점 | 471 °C |
폭발 한계 | 3–17% |
PEL (허용 노출 한계) | TWA 2 ppm, C 10 ppm [15분] [피부] |
REL (권장 노출 한계) | Ca TWA 1 ppm, C 10 ppm [15분] [피부] |
IDLH (즉시 생명 또는 건강에 위험한 농도) | 85 ppm |
LC50 (반수 치사 농도) | 500 ppm (쥐, 4시간) 313 ppm (생쥐, 4시간) 425 ppm (쥐, 4시간) |
LCLo (최저 치사 농도) | 260 ppm (토끼, 4시간) 575 ppm (기니피그, 4시간) 636 ppm (쥐, 4시간) 452 ppm (인간, 1시간) |
관련 화합물 | |
관련 작용기 | 아세토나이트릴 프로피오나이트릴 |
작용기 종류 | 나이트릴 |
다른 화합물 | 아크릴산 아크롤레인 |
2. 구조 및 성질
아크릴로나이트릴은 유기 화합물의 일종으로, 화학식은 CH₂CHCN이며, 분자 구조는 비닐기(CH₂=CH-)와 나이트릴기(-C≡N)가 결합된 형태이다. 상업적인 샘플에서는 불순물 때문에 노란색을 띌 수 있지만, 무색의 휘발성 액체이다. 마늘이나 양파와 비슷한 자극적인 냄새가 난다.[4] 반응성이 높고, 적은 양으로도 독성을 나타낸다.[5]
아크릴로나이트릴은 주로 프로필렌을 이용한 촉매 암모산화(SOHIO 공정)를 통해 생산된다. SOHIO 공정은 SOHIO 공정으로도 알려져 있다.[5]
무색 투명하고 특유의 자극취가 있는 액체이다. 분자량은 53.06 g/mol, 녹는점은 -83.55 ℃, 끓는점은 77.6 ℃에서 77.7 ℃이다. 20 ℃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100 mL당 7.3 g이다.[41] 유기 용매의 많은 것들과 임의의 비율로 섞인다.
인화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인화점 0°C),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공기 중에 20 ppm 이상 포함되면 위험하다.[41] 일본에서는 독물 및 극물 취체법에 의해 극물로 지정되어 있다.[39] 빛이나 산소, 알칼리의 작용에 의해 중합을 일으키므로 보존에도 주의를 요한다. 중합 금지제로는 탄산 암모늄 등이 사용된다.[41]
3. 제조
SOHIO 공정에서는 프로필렌, 암모니아, 공기(산화제)를 촉매가 포함된 유동층 반응기에 400–510 °C, 50–200 kPag의 조건에서 통과시킨다. 반응 후 수성 황산으로 급랭시키고, 과량의 프로필렌, 일산화 탄소, 이산화 탄소, 이질소는 대기 중으로 배출하거나 소각한다. 이후 수용액에서 아크릴로나이트릴, 아세토니트릴, 시안산, 황산 암모늄을 분리한다.[5] 초기에는 실리카에 비스무트 인몰리브덴산을 담지한 촉매가 사용되었으나,[11] 이후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졌다.[5]
이 과정에서 아세토니트릴과 시안화 수소는 부산물로 회수된다.[5] 2008-2009년 아세토니트릴 부족은 아크릴로나이트릴 수요 감소로 인해 발생했다.[10]
과거에는 에틸렌 시아노히드린의 탈수 또는 아세틸렌에 시안화 수소를 부가 반응시켜 아크릴로나이트릴을 생산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리그노셀룰로스 바이오매스, 글리세롤, 글루탐산과 같은 재생 가능한 원료를 이용해 아크릴로나이트릴을 생산하는 친환경 화학적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리그노셀룰로스 경로는 바이오매스를 발효하여 프로피온산과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을 생성하고, 이를 탈수 및 암모산화하여 아크릴로나이트릴로 전환한다.[12][9] 글리세롤 경로는 아크롤레인으로의 탈수를 거쳐 암모산화하여 아크릴로나이트릴을 생성한다.[13] 글루탐산 경로는 산화적 탈카르복실화를 통해 3-시아노프로판산을 생성한 후, 탈카르보닐화-제거 반응으로 아크릴로나이트릴을 만든다.[14] 이 중 글리세롤 경로가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받지만, 아직 상업적인 경쟁력은 부족하다.[12][13]
3. 1. 생산량 및 주요 제조사
2017년 세계 아크릴로나이트릴 생산 능력은 약 600만 톤으로 추정된다.[9] 주요 생산 국가는 중국, 미국, 일본, 대한민국, 타이완 등이다.
2009년 말 세계 아크릴로나이트릴 총 생산 능력은 600만 톤을 넘어섰으며, 국가별 생산량은 미국, 중국, 일본, 대한민국, 타이완 순이었다. 중국은 2009년 생산량이 101만 톤이었으나, 설비 개조를 통한 능력 향상이 이어져[42] 2011년 생산량이 111만 톤으로 1위가 되었다.
2013년 말 세계 아크릴로나이트릴 총 생산 능력은 아사히카세이의 한국 및 중국 석유 화학 집단 안칭의 증설로 약 680만 톤이 되었고, 총 생산량은 약 533만 톤이 되었다.[43]
2012년 일본 국내 생산량은 553,908톤, 출하량은 552,452톤이었으며, 2013년 일본 국내 생산량은 517,869톤, 출하량은 526,014톤이었다.[44]
주요 제조사는 다음과 같다:
기업명 | 국가 | 생산 능력 (톤) | 비고 |
---|---|---|---|
이네오스 니트릴 (Ineos Nitriles) | 미국, 독일 | 135만 이상 | BP 계열, 세계 최대 |
아사히카세이 | 일본 | 약 44만 | 한국, 태국 투자처 합하면 125만. 가와사키 공장 15만은 2014년에 가동 중단 예정. 카시미론의 원료. |
미쓰비시 레이온 | 일본 | 24만 | 구 미쓰비시 레이온과 미쓰비시 케미컬에서 다이아니트릭스를 거쳐 재통합. |
스미토모 화학 | 일본 | ||
쇼와 덴코 | 일본 | ||
중국석유화공집단 | 중국 | 지린 시, 다칭 시, 상하이 시, 안칭 시 등에 BP의 기술로 건설한 공장이 있음. | |
상하이 사이커 | 중국 | 시노켐(SINOCHEM)사가 판매 대리점. | |
타이완 플라스틱 그룹 | 타이완 | 28만 | |
중국석화발전공사 | 타이완 | ||
태광산업 | 대한민국 | 25만 | |
동서석유화학 | 대한민국 | ||
BASF | 독일 | ||
DSM | 네덜란드 | ||
어센드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 미국 | 52만 |
4. 반응
아크릴로나이트릴과 양성자성 친핵체의 반응은 다양한 특수 화학 물질을 얻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이 과정을 시아노에틸화라고 한다.[17]
:YH + H2C\dCHCN -> Y\sCH2\sCH2CN영어
전형적인 양성자성 친핵체는 알코올, 티올 및 특히 아민이다.[17] 아크릴로나이트릴은 각종 친핵 시약의 마이클 부가를 받기 쉽다. 즉, '''시아노에틸화''' 반응 시약이다. 특히 방향족 아민의 시아노에틸화에는 초산구리(II)가 촉매로 사용된다[40]。
: Nu + CH2=CH-C#N -> Nu-(CH2)2-C#N (Nu는 친핵체)
또한, 비닐기 부분이 알켄으로서의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디엔과의 디엘스-알더 반응을 일으켜 고리화합물을 만든다.[41] 아크릴로나이트릴과 2-클로로아크릴로나이트릴과 같은 유도체는 딜스-알더 반응에서 다이엔 친전자체이다.
5. 용도
아크릴로나이트릴은 주로 단량체로 사용되어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단독 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나이트릴(SAN),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레이트(ASA), 니트릴 고무와 같은 합성 고무(NBR,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를 포함한 여러 중요한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아크릴로나이트릴의 수소이량화[15][16]는 특정 나일론의 합성에 사용되는 아디포나이트릴을 생성한다. 또한 아크릴아마이드와 아크릴산 제조의 전구체로 사용된다.[5]
아크릴로나이트릴은 주로 아크릴 섬유(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나 합성 수지[41]의 ABS 수지와 AS 수지(SAN)의 원료로 사용된다. 또한 아크릴아미드, 아디포니트릴의 원료로도 중요하다. 그 외에 니트릴 고무용 등으로 사용된다. 세계적으로 용도별 비율은 ABS 수지나 AS 수지용이 40%, 아크릴 섬유용이 약 40%, 아크릴아미드용이 10% 미만이다.
과거에는 아크릴산의 원료이기도 했다. 또한, 감칠맛 조미료의 주성분인 L-글루탐산 나트륨도 과거에는 아크릴로나이트릴로부터의 생성이 시도되었다.[45] 아크릴로나이트릴의 원료인 프로필렌은 석유 유래 원료이며, 이것이 "아지노모토의 원료는 석유"라고 불린 이유이다.
6. 안전성 및 건강 영향
아크릴로나이트릴은 중간 정도의 독성을 가지며, 쥐에 대한 LD50 값은 81mg/kg이다. 폭발성 중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연소 시 시안화 수소와 이산화 질소 같은 유해 물질을 생성한다. 국제 암 연구소(IARC)는 아크릴로나이트릴을 1군 발암 물질로 분류했다.[18] 고농도의 아크릴로나이트릴에 노출된 작업자들은 일반 인구보다 폐암 발생 위험이 더 크다.[19] 아크릴로나이트릴은 담배 연기 속 7가지 독성 물질 중 하나로, 호흡기 발암과 관련이 깊다.[20]
아크릴로나이트릴의 작용 기전은 산화 스트레스 및 DNA 손상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21] 쥐 실험에서 고용량의 아크릴로나이트릴은 암 발생을 증가시켰으며,[22] 인간 제대혈 중간엽 줄기 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23]
아크릴로나이트릴은 실온(20°C)에서 빠르게 증발하여 위험 농도에 도달할 수 있다. 단기 노출 시 피부 자극, 호흡기 및 눈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24] 주요 노출 경로는 배기 가스, 자동차 배기가스, 담배 연기 흡입 등이며, 섭취나 피부 흡수를 통해서도 노출될 수 있다(자원자 및 쥐 연구 결과).[25] 반복 노출 시 피부 과민증, 중추신경계 및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24]
아크릴로나이트릴은 주로 두 가지 경로로 배설된다. 첫째는 글루타티온과의 직접 결합을 통해 대사되어 소변으로 배출되는 것이고, 둘째는 효소에 의해 2-시아노에틸렌 산화물로 전환된 후 티오시안산염을 형성하는 시안화물 최종 생성물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되는 것이다.[25] 따라서 혈액 및 소변 검사를 통해 아크릴로나이트릴 노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18]
2024년 7월, 국제 암 연구소는 아크릴로나이트릴을 '발암 가능성 물질'에서 '인체 발암 물질'로 상향 조정했다. IARC는 과학적 증거를 통해 아크릴로나이트릴과 폐암의 관련성이 충분한 증거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26][27]
7. 사고 사례
1999년 8월 17일 지진 당시, 악사 아크릴릭 소유의 산업용 폴리머 공장에서 대량의 아크릴로나이트릴(약 6500톤)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5000명 이상이 피해를 입었고, 노출된 동물들은 죽었다.[32] 누출 사고는 발생 8시간 후에야 회사 측에 의해 인지되었으며, 의료 종사자들은 아크릴로나이트릴의 건강 영향에 대해 알지 못해 피해자들을 진통제와 수액으로 치료하려 했다.[33] 이 사고로 악사 아크릴릭은 피해 주민 200명에게 고소당했으며,[34] 터키 의학 협회는 해당 지역의 암 발생률이 1999년부터 2002년 4월까지 80% 증가했다고 발표했다.[33] 2003년에는 악사 아크릴릭의 소유주가 아크릴로나이트릴 노출과 관련된 폐암으로 사망했다.[33] 2001년 기준으로, 이 사고는 알려진 가장 큰 아크릴로나이트릴 누출 사고이다.[32]
2015년 미국 테네시주 메리빌에서는 아크릴로나이트릴을 포함한 가연물을 실은 화물 열차가 탈선하여 화재가 발생했다. 아크릴로나이트릴의 유해성 때문에 주변 주민들은 대피해야 했으며, 발화 당시에는 소화 활동도 이루어지지 않았다.[47]
또한, 2015년 8월에는 산둥성 화학 공장 폭발 사고의 원인 물질 중 하나가 아크릴로나이트릴이었다.
8. 환경 영향 및 규제
아크릴로나이트릴은 지구상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지 않는다. 산업 현장에서 1ppm 이하의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공기 중에 최대 일주일 동안 존재하며, 산소 및 하이드록실 라디칼과 반응하여 포르밀 시안과 포름알데히드를 생성하며 분해된다.[35] 아크릴로나이트릴은 수생 생물에 해롭다.[24]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의 대기에서 검출되었다.[37][38][36]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타이탄에서는 이 화합물이 지구의 세포막 및 소포와 유사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조건이 존재하며, 이를 아조토솜이라고 한다.[37][38]
일본에서는 독물 및 극물 단속법 및 독물 및 극물 지정령 (별표 제2)에 의해 '''아크릴로니트릴'''로서 극물로 지정되어 있다.[48] 또한 아크릴로니트릴은 노동 안전 보건법의 관련 법령인 "노동 안전 위생령" (쇼와 47년 정령 제318호) 별표 제3에서 특정 화학 물질 제2류로 규정되어 있으며[49], 특정 화학 물질의 환경으로의 배출량 파악 등 및 관리 개선 촉진에 관한 법률 (화관법)의 특정 제1종 지정 화학 물질로 지정되어 있고[39], 고압 가스 보안법[50], 선박 안전법[39], 대기 오염 방지법[51], 해양 오염 등 및 해상 재해 방지에 관한 법률 (해양 오염 방지법)[52]에도 규정이 있다. 소방법에 규정하는 제4류 위험물 제1석유류에 해당한다.[53]
참조
[1]
웹사이트
Acrylonitrile_msds
https://www.chemsrc.[...]
[2]
문서
PGCH|0014
[3]
문서
IDLH|107131|Acrylonitrile
[4]
웹사이트
Medical Management Guidelines for Acrylonitrile
https://www.atsdr.cd[...]
Agency for Toxic Substances & Disease Registry
2020-06-10
[5]
서적
1 - Polymeric Materials and Properties
https://www.scienced[...]
William Andrew Publishing
2023-11-20
[6]
저널
Contribution à l'étude de l'acide acrylique et de ses dérivés
http://babel.hathitr[...]
1893
[7]
간행물
Acrylonitrile
[8]
웹사이트
The Sohio Acrylonitrile Process
http://portal.acs.or[...]
American Chemical Society National Historic Chemical Landmarks
2013-05-13
[9]
저널
Sustainability: Sweet new route to acrylonitrile
2018-01
[10]
저널
A Solvent Dries Up
[11]
저널
Site isolation and phase cooperation: Two important concepts in selective oxidation catalysis: A retrospective
2014
[12]
저널
Acrylonitrile from Biomass: Still Far from Being a Sustainable Process
[13]
저널
Metrics of acrylonitrile: From biomass vs. petrochemical route
[14]
저널
Biobased synthesis of acrylonitrile from glutamic acid
[15]
서적
A radiation-chemical study of the hydrodimerisation of acrylonitrile
Leeds University, Ph D thesis
1972
[16]
저널
Pulse radiolysis study of acrylonitrile in aqueous solution
1979
[17]
간행물
Amines, Aliphatic
[18]
뉴스
Carcinogenicity of talc and acrylonitrile
https://www.thelance[...]
The Lancet, Volume 25, Issue 8
2024
[19]
웹사이트
Acrylonitrile Fact Sheet (CAS No. 107-13-1)
http://www.epa.gov/c[...]
[20]
문서
Cunningham FH, Fiebelkorn S, Johnson M, Meredith C. A novel application of the Margin of Exposure approach: segregation of tobacco smoke toxicants. Food Chem Toxicol. 2011 Nov;49(11):2921-33. doi: 10.1016/j.fct.2011.07.019. Epub 2011 Jul 23.
[21]
문서
Pu X, Kamendulis LM, Klaunig JE. Acrylonitrile-induced oxidative stress and oxidative DNA damage in male Sprague-Dawley rats. Toxicol Sci. 2009;111(1):64-71. doi:10.1093/toxsci/kfp133
[22]
웹사이트
Acrylonitrile: Carcinogenic Potency Database
http://cpdb.thomas-s[...]
[23]
저널
Cytotoxic effects of acrylonitrile on human umbilical cord mesenchymal stem cells in vitro
http://www.spandidos[...]
2014-01
[24]
웹사이트
CDC – Acrylonitrile – International Chemical Safety Cards
https://www.cdc.gov/[...]
NIOSH
2015-07-31
[25]
웹사이트
Acrylonitrile Fact Sheet: Support Document (CAS No. 107-13-1)
http://www.epa.gov/c[...]
[26]
뉴스
WHO agency says talc is ‘probably’ cancer-causing
https://globalnation[...]
Philippine Daily Inquirer
2024-07-06
[27]
저널
Carcinogenicity of talc and acrylonitrile
https://doi.org/10.1[...]
2024-07-05
[28]
웹사이트
Polyester Held a Winner Over Acrylonitrile in War About Soft‐Drink Bottl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4-11-26
[29]
웹사이트
Cancer Experts Warn of Dangers in Some Plastic Wrap Chemical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4-11-26
[30]
웹사이트
Plastic Beverage Bottles Made From Acrylonitrile Are Banned by the F.D.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4-11-26
[31]
저널
MONSANTO LOSES PLASTIC BOTTLE FIGHT
https://pubs.acs.org[...]
1977-09-26
[32]
웹사이트
ENDÜSTRİYEL BİR ÇEVRE FELAKETİ: AKRİLONİTRİL
https://www.ttb.org.[...]
Turkish Medical Association
2001
[33]
웹사이트
17 Ağustos 1999 Depremi: Akrilonitril Zehirlenmesi
https://tabella.org/[...]
2020-11-30
[34]
웹사이트
İSO'nun şaşırtan çevre ödülü Aksa'nın
https://mbigpara.hur[...]
2005-06-26
[35]
저널
Atmospheric Chemistry of Toxic Contaminants. 3. Unsaturated Aliphatics: Acrolein, Acrylonitrile, Maleic Anhydride
1990-12
[36]
뉴스
This weird moon of Saturn has some essential ingredients for life
https://www.washingt[...]
2017-08-08
[37]
웹사이트
Saturn Moon Titan Has Molecules That Could Help Make Cell Membranes
https://www.space.co[...]
2017-07-28
[38]
간행물
ALMA detection and astrobiological potential of vinyl cyanide on Titan
2017-07-28
[39]
웹사이트
安全データシート アクリロニトリル
https://anzeninfo.mh[...]
厚生労働省
2018-03-17
[40]
문서
シアノエチル化
平凡社
1999
[41]
서적
化学大辞典
共立
[42]
뉴스
調整加工路線 讓丙烯腈更掙錢
『中国石化報』
2010-06-01
[43]
뉴스
13年世界需要が過去最高
化学工業日報社
2014-04-28
[44]
웹사이트
経済産業省生産動態統計年報 化学工業統計編
https://www.meti.go.[...]
経済産業省
[45]
간행물
アミノ酸の製造について
https://doi.org/10.5[...]
有機合成化学協会
1962-07-01
[46]
웹사이트
ICSC 0092 - アクリロニトリル
http://www.ilo.org/d[...]
ICSCデータベース 国際化学物質安全性カード (ICSCs)
[47]
웹사이트
有害物質運ぶ列車が脱線・炎上、住民5000人避難 米テネシー州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15-07-02
[48]
웹사이트
毒物及び劇物取締法施行令(昭和三十年政令第二百六十一号)別表第二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06-28
[49]
웹사이트
労働安全衛生法施行令(昭和四十七年政令第三百十八号)別表第三 特定化学物質(第六条、第九条の三、第十七条、第十八条、第十八条の二、第二十一条、第二十二条関係)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06-05
[50]
웹사이트
一般高圧ガス保安規則(昭和四十一年通商産業省令第五十三号)第2条: 用語の定義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20-12-20
[51]
웹사이트
大気汚染防止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施行について
http://www.env.go.jp[...]
環境庁
2012-02-28
[52]
웹사이트
海洋汚染等及び海上災害の防止に関する法律施行令(昭和四十六年政令第二百一号)別表第一(第一条の二関係)二 Y類物質等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04-26
[53]
웹사이트
Acrylonitrile (stabilized with MEHQ) > 法規情報
https://www.tcichemi[...]
東京化成工業株式会社
[54]
웹사이트
消防法(昭和二十三年法律第百八十六号)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8-06-27
[55]
웹인용
Acrylonitrile_msds
https://www.chemsrc.[...]
[56]
문서
PGCH|0014
[57]
문서
Acrylonitrile
[58]
웹인용
Medical Management Guidelines for Acrylonitrile
https://www.atsdr.cd[...]
Agency for Toxic Substances & Disease Registry
2020-06-10
[59]
간행물
Acrylonitrile
[60]
저널
Contribution à l'étude de l'acide acrylique et de ses dérivés
http://babel.hathitr[...]
1893
[61]
저널
Nitrile acrylique, cyanure de vinyle (propène-nitrile)
http://gallica.bnf.f[...]
18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