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절망선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녕, 절망선생》은 쿠메타 코지가 쓰고 그린 만화로, 극단적인 절망주의자 이토시키 노조무가 초긍정적인 여학생 후우라 카후카를 만나면서 2학년 헤반 학생들과 겪는 이야기를 다룬다. 2000년대를 배경으로 다이쇼 시대를 연상시키는 미적 요소와 시사, 패러디, 자학 개그 등을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만화는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연재되었으며, 30권의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혐한 논란과 도라에몽 표절 논란이 있었으며, 2007년 코단샤 만화상 소년 부문을 수상했다. 미디어 믹스로 TV 애니메이션, OVA, 웹 라디오 등이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메타 코지의 만화 - 제멋대로 카이조
제멋대로 카이조는 쿠메타 코지가 그린 만화로, 주인공 카츠 카이조가 과학부에서 다양한 괴인들과 싸우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총 26권으로 발매되고 OVA로 제작되었다. - 분쿄구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사나이 오이동
마쓰모토 레이지의 만화 《사나이 오이동》은 1970년대 도쿄의 가난한 하숙집에서 극빈 생활을 하는 오이동의 삶과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자전적 작품으로, 긍정적이고 강인한 주인공과 따뜻한 관계를 통해 삶의 의미를 보여주며 작가의 초기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분쿄구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는 이름 없는 고양이가 구샤미 선생 댁에서 인간 군상을 관찰하며 인간의 어리석음과 위선을 풍자하는 이야기로, 탈선 문학의 전통을 잇는 작품이다. - 풍자 책 - 좀비 서바이벌 가이드
좀비 서바이벌 가이드는 맥스 브룩스가 좀비 아포칼립스에 대비하는 지침서로, 좀비 바이러스 특성, 신체적 특징, 심각성 분류, 생존 기술 및 조언을 제공하며, 역사 속 공격 기록과 "발발 저널" 부록, 유머와 자기 계발 요소가 특징이고, 《[[월드워 Z]]》와 세계관을 공유하며 코믹 북과 영화로 각색되었다. - 풍자 책 - 우신예찬
《우신예찬》은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가 1509년에 집필한 풍자 문학 작품으로, 어리석음의 여신 모리아가 인간 사회의 어리석음을 비판하고 권위자들의 허위와 가톨릭 교회의 부패를 풍자하며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안녕, 절망선생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일본어 | さよなら絶望先生 |
로마자 표기 | Sayonara Zetsubō Sensei |
장르 | 블랙 코미디 풍자 |
만화 정보 | |
작가 | 구메타 코지 |
출판사 | 고단샤 |
영어 출판사 | 델 레이 만화 (이전) 고단샤 USA |
레이블 | 소년 매거진 코믹스 |
잡지 | 주간 소년 매거진 |
연재 시작 | 2005년 4월 27일 |
연재 종료 | 2012년 6월 13일 |
권수 | 30권 |
챕터 목록 | 안녕, 절망선생 챕터 목록 |
애니메이션 정보 | |
종류 | TV 시리즈 |
감독 | 신보 아키유키 |
프로듀서 | 아쓰시 모리야마 |
작가 | 겐이치 가네마키 |
음악 | 하세가와 도모키 |
제작사 | 샤프트 |
라이선스 | 노조미 엔터테인먼트 |
방송국 | TVK CTC TV Saitama Sun TV Tokyo MX TV Aichi KBS Kids Station |
방영 시작 | 2007년 7월 7일 |
방영 종료 | 2007년 9월 22일 |
에피소드 수 | 12 |
에피소드 목록 | 안녕, 절망선생 에피소드 목록#안녕, 절망선생 |
속 안녕, 절망선생 | |
종류 | TV 시리즈 |
감독 | 신보 아키유키 미야모토 유키히로.}} |
프로듀서 | 아쓰시 모리야마 |
작가 | 샤프트 유이치로 오구로 |
음악 | 하세가와 도모키 |
제작사 | 샤프트 |
라이선스 | 노조미 엔터테인먼트 |
방송국 | TVK CTC TV 사이타마 선 TV 도쿄 MX TV 아이치 KBS BS11 Digital Kids Station |
방영 시작 | 2008년 1월 5일 |
방영 종료 | 2008년 3월 29일 |
에피소드 수 | 13 |
에피소드 목록 | 안녕, 절망선생 에피소드 목록#속 안녕, 절망선생 |
옥 안녕, 절망선생 | |
종류 | OVA |
감독 | 신보 아키유키 미야모토 유키히로 |
프로듀서 | 아쓰시 모리야마 히로아키 모리타 마사유키 하류 |
작가 | 샤프트 신보 아키유키 |
음악 | 하세가와 도모키 |
제작사 | 샤프트 |
라이선스 | 노조미 엔터테인먼트 |
출시 시작 | 2008년 10월 17일 |
출시 종료 | 2009년 2월 17일 |
상영 시간 | 24–25분 |
에피소드 수 | 3 |
에피소드 목록 | 안녕, 절망선생 에피소드 목록#옥 안녕, 절망선생 |
참 안녕, 절망선생 | |
종류 | TV 시리즈 |
감독 | 신보 아키유키 미야모토 유키히로 |
프로듀서 | 미야모토 준노스케 |
작가 | 샤프트 신보 아키유키 |
음악 | 하세가와 도모키 |
제작사 | 샤프트 |
라이선스 | 노조미 엔터테인먼트 |
방송국 | TVK CTC TV 사이타마 선 TV 도쿄 MX TV 아이치 KBS BS11 Digital |
방영 시작 | 2009년 7월 4일 |
방영 종료 | 2009년 9월 26일 |
에피소드 수 | 13 |
에피소드 목록 | 안녕, 절망선생 에피소드 목록#참 안녕, 절망선생 |
참 안녕, 절망선생 번외지 | |
종류 | OVA |
감독 | 신보 아키유키 미야모토 유키히로 |
프로듀서 | 미야모토 준노스케 |
작가 | 샤프트 신보 아키유키 |
음악 | 하세가와 도모키 |
제작사 | 샤프트 |
라이선스 | 노조미 엔터테인먼트 |
출시 시작 | 2009년 11월 17일 |
출시 종료 | 2010년 2월 17일 |
상영 시간 | 26–28분 |
에피소드 수 | 2 |
에피소드 목록 | 안녕, 절망선생 에피소드 목록#참 안녕, 절망선생 번외지 |
안녕, 절망선생 스페셜 | |
종류 | OVA |
감독 | 신보 아키유키 |
프로듀서 | 미야모토 준노스케 |
작가 | 샤프트 신보 아키유키 |
음악 | 하세가와 도모키 |
제작사 | 샤프트 |
출시일 | 2012년 1월 31일 |
상영 시간 | 27분 |
에피소드 수 | 1 |
2. 줄거리
《안녕, 절망선생》은 작가 쿠메타 코지의 전작인 《제멋대로 카이조》와 유사하게 일본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부조리하게 풍자하는 코미디 학원물 만화이다. 등장인물들은 각각 가정 폭력, 히키코모리, 불법 입국자, 재일 외국인, 강박증 등 현대 일본 사회가 가진 다양한 문제점을 약간씩 비틀린 시선으로 보여준다.
《안녕, 절망선생》은 작가의 전작인 《제멋대로 카이조》와 마찬가지로 일본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부조리하게 풍자하는 코미디 학원물 만화이다. 등장인물 각각은 가정 폭력, 히키코모리, 불법 체류자, 재일동포, 강박증 등 현대 일본 사회가 가진 다양한 문제점들을 조금씩 비틀린 시선으로 보여준다.
자세한 등장인물 목록은 안녕, 절망선생의 등장인물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 작품은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었다.
쿠메타 코지가 쓰고 그린 만화로, 2005년 4월 27일부터[2] 2012년 6월 13일까지[3] 코단샤의 소년 만화 잡지인 ''주간 소년 매거진''에 연재되었다. 이후 코단샤는 이 만화의 내용을 총 30권의 단행본으로 묶어 2005년 9월 16일부터[4] 2012년 8월 17일까지[5] 출간했다.
이야기는 세상에 절망한 주인공 이토시키 노조무가 벚꽃이 만발한 어느 날 목을 매 자살하려 하면서 시작된다. 하지만 이를 목격한 초긍정적인 소녀 후우라 카후카의 구출을 빙자한 방해로 자살에 실패한다. 카후카는 이렇게 희망 넘치는 세상에서 자살하려는 사람이 있을 리 없다며, 노조무가 단지 키를 늘리려고 한 것이라고 엉뚱하게 해석한다. 이후 새로 부임한 학교에 첫 수업을 하러 간 노조무는, 카후카가 자신이 맡게 된 2학년 へ|헤일본어반 학생 중 한 명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노조무는 학생들에게 '절망선생'(Zetsubou-sensei|제츠보 센세이일본어)으로 불리는데, 이는 그의 이름을 일본어로 다르게 읽으면 '절망(絶望)'이 되기 때문이다. 이름처럼 그는 삶의 여러 측면을 숙명론적으로 바라보며 체념적인 태도를 보이고, 수업 중에도 종종 패배주의적인 주장을 하거나 자살을 위협한다. 그의 극단적인 부정적 견해는 항상 모든 것을 긍정적으로만 해석하는 카후카에 의해 반박되지만, 카후카의 시각 역시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거나 아이러니하게 냉소적일 때가 많다.
2학년 헤반 학생들은 노조무의 태도에 크게 감명받지는 않지만, 그의 불평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 토론하며 다양한 사례를 제시한다. 반의 많은 여학생들은 노조무에게 관심을 보이지만, 그의 무관심에 실망하며 때로는 공개적으로 반항하거나 그를 소유물처럼 다루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무자비한 슬랩스틱 폭력이 동반되기도 한다. 학생들 중 키츠 치리는 반 전체와 세상에 대해 완고하고 독재적인 태도를 보이며, 때때로 피에 굶주린 듯한 난동을 부린다. 학생들이 노조무에게 가하는 고통은 종종 카후카에 의해 조작되는데, 그녀는 다른 여학생들의 열정과 질투를 부추겨 재앙과 같은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각 에피소드는 대체로 독립적인 이야기로 구성되며, 삶의 특정 측면, 일본 문화, 또는 일본어의 관용구 등을 주제로 삼는다. 주제를 극단적인 상황까지 밀어붙이거나(예: 관료가 민간 기업으로 재취업하는 amakudari|아마쿠다리일본어 관행을 이야기하다 노조무가 자신의 전생까지 '강하'하는 것)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예: 맞선인 omiai|오미아이일본어를 단순히 눈을 마주치는 행위로 결혼을 성사시키는 것) 방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때로는 노조무가 학생들에게 일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여겨지는 것들의 부정적인 측면을 생각해보도록 도전하기도 한다. 이러한 심도 깊으면서도 엇나간 분석과 학생들의 개성적인 반응은 보통 전체 내용을 관통하는 펀치라인이나, 드물게는 넌센스 개그 또는 팬 서비스로 마무리된다.
이처럼 《안녕, 절망선생》은 다이쇼 시대를 연상시키는 복고풍 세계관 속에서, 사소한 일에도 "절망했다!"를 외치는 노조무와 개성 넘치는 2학년 헤반 학생들이 벌이는 소동을 그린다.
3. 작품 해설
작품은 코미디 스케치 형식을 특징으로 하며, 대부분 고등학교 교사 이토시키 노조무와 그의 반 학생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느슨한 연속성을 가진 독립적인 이야기로 구성된다. 주인공 이토시키 노조무는 '절망선생'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데, 이는 그의 이름 한자를 다르게 읽으면 '절망(絶望)'이 되는 점에서 착안한 것이다. 이름처럼 그는 삶의 여러 측면을 숙명론적으로 바라보며 체념적인 태도를 보인다. 수업 중에도 종종 다양한 패배주의적 주장을 펼치거나 자살을 시도하는 등 교사로서의 권위나 직업윤리와는 거리가 먼 모습을 보인다. 그의 부정적인 시각은 항상 긍정적인 면모를 보이는 학생 후우라 카후카에 의해 반박되지만, 카후카의 긍정적인 시각 역시 현실과 동떨어져 있거나 역설적으로 냉소적인 경우가 많다.
절망선생의 학생들은 그의 태도에 크게 감명받지는 않지만, 그의 불평 주제에 맞춰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며 집단 토론에 참여한다. 그를 무시하는 듯하면서도 반의 많은 여학생들은 그에게 관심을 보이며, 그의 무관심에 실망하기도 한다. 때로는 여학생들이 그의 권위에 공개적으로 반항하거나 그를 소유물처럼 취급하며, 서로에게 무자비한 슬랩스틱 폭력을 가하기도 한다. 특히 키츠 치리는 반 전체와 세상에 대해 완고하고 독재적인 태도를 보일 뿐 아니라, 폭력적인 난동을 부리는 경향이 있다. 절망선생이 학생들에게 고통받는 상황은 종종 후우라 카후카에 의해 조장되는데, 그녀는 다른 여학생들의 열정과 질투를 부추겨 파국적인 결과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각 챕터나 에피소드는 삶의 특정 단면, 일본 문화, 또는 일본어의 특정 구절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주로 해당 주제를 극단적인 상황까지 밀어붙이거나(예: 공공 부문에서 민간 부문으로 자리를 옮기는 관행인 아마쿠다리에 대한 논의가 노조무가 전생까지 '내려가는' 결과로 이어짐),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방식(예: 노조무 가족에게 오미아이(맞선)는 단순히 눈을 마주치는 행위로 성사되는 결혼)을 사용한다. 때로는 노조무가 학생들에게 일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여겨지는 것의 부정적인 측면을 생각해보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이러한 심도 깊고 비틀린 분석과 학생들의 개성적인 반응은 보통 전체 내용에 기반한 반전 개그나, 드물게는 부조리 유머 또는 팬 서비스로 마무리된다.
작품의 구상은 전작 《제멋대로 카이조》 연재 중인 2003년경부터 시작되었다. 풍자나 자학을 중심으로 하는 작풍은 전작에서 이어지며, 주인공의 입버릇인 "절망했다!" 역시 원래는 전작의 메인 히로인 나토리 하미의 대사였다. "즈간본", "도욘도", "니욘타카", "분바분바", "메르메르", "부룬탓타" 등 독특한 의성어의 사용, 페이지 전체를 활용해 캐릭터를 그리는 기법, 캐릭터의 특성 등도 전작의 영향을 받았다. 전작에 비해 성적인 농담은 줄었지만, 북한 등 정치적인 소재는 여전히 다루고 있다. 또한 개성 강한 여학생 캐릭터가 늘어나면서 하렘물이나 모에 만화의 요소가 강해졌는데, 작가 자신도 이를 인지하고 작중에서 자조적인 개그 소재로 활용하기도 한다.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2000년대 현대 사회를 배경으로 하면서도 근대 문학풍의 레트로적인 분위기가 혼재하는 독특한 세계관이다. 작품 속 일본은 쇼와 연호가 계속 이어지고 있는 설정이며(단, 299화에서 실제로는 '헤 조'라는 특정 집단만 '쇼와' 연호를 사용했다는 설정이 밝혀짐), 배경이나 문화 묘사뿐 아니라 주인공 설정에서 다자이 오사무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각 화의 부제는 대부분 근현대 문학 작품의 제목이나 구절을 패러디한 것이며, 제목 등에는 쇼와 모던체 폰트가 자주 사용된다(해당 폰트 판매원과 콜라보 프로모션도 진행됨). 주요 무대 역시 도쿄부의 고이시카와 구로 설정되어 있다(고단샤의 소재지가 구 고이시카와 구에 해당). 단, 신주쿠구, 네리마구 등 실제 도쿄도의 지명도 등장한다.
미적인 측면에서도 다이쇼 시대의 자유주의, 낭만주의, 예술(참조: 일본 문학, 한신칸 모더니즘)을 연상시키는 요소가 많다. 이토시키 노조무와 이토시키 마토이가 항상 기모노와 하카마(19세기 후반 일본 학교 교복의 구식 스타일)를 입는 것이 대표적이며, 시대착오적인 건축물, 차량, 기술 등 다이쇼 시대를 암시하는 스타일 선택에서도 드러난다. 반면 여성 캐릭터들의 패션은 메이지 시대와 단절된 다이쇼 시대의 모던 걸 트렌드를 따른다. 각 화의 제목 페이지는 카루타 카드처럼 그려지며, 실루엣 처리된 기리에(切り絵, 오려낸 그림) 스타일의 삽화가 특징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필름을 모방한 흐릿하고 거친 시각 효과와 오쿠리가나에 히라가나 대신 가타카나를 자주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분위기를 더욱 강조했다. 또한 애니메이션은 히로히토 천황이 여전히 살아있는 것처럼 날짜를 언급하여, 예를 들어 헤이세이 20년(아키히토 천황 재위 20년, 그레고리력 2008년)을 "쇼와 83년"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작품은 거의 한 화 완결 형식으로, 특정 키워드나 사건에 초점을 맞춰 시사 뉴스, 일상적인 이야기, 자학 개그, 메타 픽션 개그 등을 전개한다. 복선이나 나열 방식도 많이 사용하며, 아는 사람만 이해할 수 있는 소소한 이야기나 패러디를 곳곳에 숨겨둔다. 이 때문에 한 컷당 정보량이 매우 많아 구석구석 읽지 않으면 놓치기 쉬운 내용도 많다. 순수한 개그 만화라기보다는, 스토리 개그, 초현실주의, 학원 코미디 형식을 빌린 풍자적인 칼럼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아사히 신문》[37], 《주간 문춘》[38], 《SPA!》, 《요미우리 신문》 등 여러 매체에서 작품의 특징이 소개된 바 있다. 또한 심리학자 키쿠치 사토시의 저서 《"자기 기만"의 심리학》에서도 이 작품을 다루었다. 마이니치 방송의 프로그램 "통쾌! 아카시야 텔레비전"의 퀴즈 코너에서는 "이토시키 노조무가 주인공인 만화 제목 '안녕 ○○ 선생', ○○에 들어갈 말은?"이라는 문제가 출제되었으나, 자막에 '이토시키 노조'''미'''(のぞ'''み''')'라고 잘못된 표기가 나가는 해프닝이 있었다. 이 일은 관련 라디오 프로그램인 안녕 절망 방송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매거진 드래곤》 창간호에는 번외편 '야간 키요 비행'(후기에서는 '키요히코의 밤'으로 불림)이 게재되었고, 제2호에서는 표지를 장식하며 번외편 '라쿠텐 대상'이 실렸다(단행본 미수록).국가 출판사 언어 제목 비고 대만 동립출판사 번체자 중국어 {{lang|zh|絕望先生|} } || 24권까지 간행 (2011.6 기준), 《신소년쾌보》 연재 중 (2008.1호~)
|-
| 대한민국 || 학산문화사 || 한국어 || 안녕, 절망선생|한국어 || 22권까지 간행 (2011.3 기준)
|-
| 미국 || 델 레이 북스 || 영어 || Sayonara, Zetsubou-Sensei|영어 || 1권까지 간행 (2009.4 기준)
|-
| 프랑스 || 피카 에디션 || 프랑스어 || Sayonara Monsieur Désespoir|프랑스어 || 1권까지 간행
|-
| 태국 || Vibulkij (비공식 추정) || 태국어 || - || 정보 출처 필요[39]
|}
주인공 이토시키 노조무는 《안녕, 절망선생》 연재 전에 작가 쿠메타 코지의 대변자로서 야스히코 요시카즈의 만화 《왕도의 개》 백천사판(2005년 2월 28일 간행)의 띠지에 "절망했다"라는 문구와 함께 등장한 바 있다.
2011년에는 쿠메타 코지의 화업 20주년을 기념하여 라이벌 잡지인 《주간 소년 선데이》(22·23 합병호)에 특별 단편이 게재되었다. 같은 날 발매된 《매거진》에는 쿠메타의 《선데이》 시절 대표작인 《제멋대로 카이조》의 특별편이 실렸다.
본지 2011년 34호에 게재된 제268화 "페이의 확충"은 《도라에몽》의 에피소드 "돈이 필요 없는 세상"(텐토우무시 코믹스 제13권 수록)과 내용이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었다[40]。잡지 게재 후 쇼가쿠칸 도라에몽 룸에 문의하여 저작권자인 후지코 프로로부터 단행본 수록 허가를 받았으나, 작가의 판단에 따라 해당 화는 단행본에 수록되지 않고 결번 처리되었다.
4. 등장인물
《안녕, 절망선생》은 주로 고등학교 교사 이토시키 노조무와 그의 반인 2학년 헤(へ)반 학생 32명 사이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노조무는 학생들에게 '절망 선생'(絶望先生|제츠보 센세이일본어)으로 불리는데, 이는 그의 이름 한자를 변형하여 '절망'으로 읽는 데서 유래했다. 이름처럼 그는 삶의 여러 측면을 숙명론적으로 바라보며 체념적인 태도를 보인다. 이 때문에 수업을 자주 중단하고 다양한 패배주의적 주장을 펼치거나 자살을 위협하기도 한다. 그의 부정적인 시각은 항상 긍정적인 면모를 보이는 학생 '''후우라 카후카'''에 의해 반박되지만, 카후카의 긍정성은 때로는 현실과 동떨어져 있거나 역설적으로 냉소적인 면을 보이기도 한다.
노조무의 학생들은 그의 태도에 크게 동요하지 않으면서도, 그의 불평 주제와 관련된 토론에 참여하며 다양한 사례를 제시한다. 반의 많은 여학생들은 노조무에게 관심을 보이지만, 그의 무관심에 실망하기도 한다. 때로는 여학생들이 그의 권위에 공개적으로 반항하고 그를 소유물처럼 취급하며, 이는 종종 무자비한 슬랩스틱 폭력으로 이어진다. 특히 '''키츠 치리'''는 반 전체와 세상에 대해 완고하고 독재적인 태도를 보이며, 때때로 피에 굶주린 듯한 난동을 부리기도 한다. 노조무가 학생들에게 고통받는 상황은 종종 카후카에 의해 조장되는데, 그녀는 다른 여학생들의 열정과 질투를 부추겨 재앙과 같은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야기는 봄, 희망에 부푼 소녀 후우라 카후카가 벚나무에서 목을 매려던 남자 '''이토시키 노조무'''를 만나면서 시작된다. 공교롭게도 노조무는 카후카가 다니는 고등학교의 새로운 학급 담임 선생님이었다. 노조무가 맡게 된 2학년 헤(へ)반에는 노조무나 카후카 못지않게 개성이 강한 문제아들이 모여 있다. 작품은 레트로풍의 세계관 속에서 사소한 일에도 "절망했다!"고 외치는 노조무와 헤반 학생들이 벌이는 일상의 소동을 그린다.
5. 미디어 믹스
5. 1. 애니메이션
샤프트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으로, 감독은 신보 아키유키, 작화감독은 모리오카 히데유키가 맡았다. TV 애니메이션은 총 3기까지 제작되었으며, 오리지널 비디오 애니메이션(OVA)는 수주 한정 생산의 OAD(오리지널 애니메이션 DVD) 형태로 출시되었다.
=== TV 시리즈 ===
==== 안녕, 절망선생 (1기) ====
12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첫 번째 TV 시리즈는 2007년 7월 7일부터 9월 23일까지 TV 카나가와 등 일본 내 여러 방송사를 통해 방영되었다.[12]
50분 분량의 특별 DVD 요약 에피소드 さよなら絶望先生 序〜絶望少女撰集|사요나라 제츠보 센세이 조 ~제츠보 쇼조 센슈|안녕, 절망선생 서: 절망 소녀 선집일본어이 2008년 1월 1일에 출시되었고,[14] 두 번째 DVD 요약 에피소드는 2008년 8월 27일에 출시되었다.[15]
==== 속 안녕, 절망선생 (2기) ====
【俗・】さよなら絶望先生|조쿠 사요나라 제츠보 센세이|속 안녕, 절망선생일본어이라는 제목의 13개 에피소드로 구성된 두 번째 시즌은 2008년 1월 5일부터 3월 29일까지 방영되었다.[16][17]
==== 참 안녕, 절망선생 (3기) ====
懺・さよなら絶望先生|잔 사요나라 제츠보 센세이|참: 안녕, 절망선생일본어이라는 제목의 13개 에피소드로 구성된 세 번째 시즌은 2009년 7월 4일부터 9월 26일까지 방영되었다.[21]
=== OVA ===
==== 옥 안녕, 절망선생 ====
獄・さよなら絶望先生|고쿠 사요나라 제츠보 센세이|옥 안녕, 절망선생일본어이라는 제목의 3개 에피소드로 구성된 오리지널 비디오 애니메이션(OAD) 시리즈이다. 각각 2008년 10월 17일, 12월 10일, 2009년 2월 17일에 출시되었다.[19][20] TV 애니메이션 2기인 『속 안녕, 절망선생』의 속편에 해당한다.
==== 참 안녕, 절망선생 번외지 ====
懺・さよなら絶望先生 番外地|잔 사요나라 제츠보 센세이 반가이치|참: 안녕, 절망선생 번외지일본어라는 제목의 2개 에피소드로 구성된 OAD 시리즈이다. 각각 2009년 11월 17일과 2010년 2월 17일에 출시되었다.[23][24] TV 애니메이션 3기인 『참 안녕, 절망선생』의 속편에 해당한다.
=== 특별 에피소드 ===
일본에서 발매된 블루레이 디스크 박스 세트를 모두 구매한 사람들에게 특별 에피소드가 제공되었으며, 2012년 1월 31일에 출시되었다.[25][26]
=== 북미 지역 라이선스 ===
북미 지역에서는 미디어 블래스터스(Media Blasters)가 2010년 2월에 첫 번째 시즌의 판권을 획득했으나,[27] 2013년 3월에 권리를 포기했다.[28] 이후 애니메이션 엑스포(Anime Expo) 2019에서 노조미 엔터테인먼트(Nozomi Entertainment)가 판권을 획득했다고 발표했으며,[29] 2021년 5월에는 일본 내 대본 부족으로 출시가 지연되었음을 밝히며, TV 시리즈 3개 시즌과 OVA 2개를 포함한 전체 프랜차이즈를 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0]
5. 2. 웹 라디오
애니메이션 방영과 연동하여 인터넷 라디오 방송인 さよなら絶望放送|안녕 절망방송일본어이 프론티어 웍스 제작으로 2007년 8월 28일부터 2011년 8월 31일까지 애니메이트 TV를 통해 송신되었다.[31] 이 방송은 타하라 히로타카가 기획하고 사토 후토시가 연출을 맡았다.
진행은 애니메이션에서 각각 이토시키 노조무와 히토 나미 역을 맡은 성우 카미야 히로시와 신타니 료코가 공동으로 담당했다. 각 에피소드는 두 캐릭터의 짧은 드라마로 시작하여, 작품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청취자들이 보낸 메일에 답하는 코너로 구성되었다.[31] 방송 내에서 사용하는 호출 부호 때문에 'SZBH'라는 약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180회 방송까지 총 15만 3천 통이 넘는 메일을 받았다.
총 6회의 특별 방송이 진행되었다.방송명 약칭 방송일 비고 ときめきナーミンナイト|두근거림 나민 나이트일본어 TMNN 2007년 11월 27일 신타니 료코 단독 진행, 카미야 히로시 게스트 출연 さよなら絶望放送撰集・如|안녕 절망방송 선집: 뇨일본어 2008년 2월 26일 2기 돌파 기념 Lets リリキュラジオ!|Lets 릴리큐 라디오!일본어 LLLR 2008년 5월 27일 3기 돌파 기념 時をかけるラジオ|시간을 달리는 라디오일본어 2008년 11월 24일 캐릭터 사노스케의 마라톤 기획 포함 没・さよなら絶望放送|몰: 안녕 절망방송일본어 2008년 12월 31일 ザ・神谷浩史ショー|카미야 히로시 쇼일본어 TKHS 2009년 4월 15일
두 차례의 특별 라디오 이벤트도 열렸다.이벤트명 개최일 게스트 비고 賊・さよなら絶望放送~SZBH海賊盤|속 안녕 절망방송: SZBH 해적판일본어 2008년 3월 18일 고바야시 유, 오쓰키 겐지, 나라사키 세 번째 DJCD로 발매 後悔録音イベント≪日比谷公園大音楽堂〜谷怨〜≫|후회 녹음 이벤트: 히비야 공원 대음악당: 곡원일본어 2009년 3월 24일 노나카 아이, 미즈시마 타카히로 아홉 번째 DJCD로 발매
관련 CD는 킹 레코드를 통해 총 21개가 발매되었다. 이 중 10개는 새롭게 녹음된 에피소드를 포함한 DJCD이며,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CD는 인기 에피소드를 모은 베스트 앨범 형식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안녕 절망방송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단행본
작품은 대체로 한 화 완결 형식으로, 특정 키워드나 사건을 중심으로 시사 뉴스, 흔한 이야기, 자학 개그, 메타 개그 등을 전개한다. 패러디가 많고 한 컷당 정보량이 많아 구석구석 읽어야 발견할 수 있는 내용도 많다. 순수한 개그 만화라기보다는 초현실주의, 학원 코미디 형식을 빌린 아이러니컬한 칼럼에 가깝다는 평도 있다. 현대 사회와 근대 문학풍의 레트로적인 분위기가 혼재하는 독특한 세계관이 특징인데, 이는 단행본의 디자인이나 다양한 추가 콘텐츠 등에서도 잘 나타난다. 단행본은 잡지 연재본과 비교하여 수정 및 가필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추가 콘텐츠가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에서는 학산문화사가 한국어판을 『안녕, 절망선생』이라는 제목으로 정식 발간했다. 이 외에도 대만, 미국, 프랑스 등 여러 국가에서 번역 출판되었다.[6][9] 각 국가별 판본은 일본 특유의 사물이나 이야기에 대한 주석이 붙는 등 현지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한편, 단행본 27권에는 연재 당시 268화였던 에피소드가 도라에몽의 특정 에피소드("돈이 필요 없는 세상", 텐토우무시 코믹스 제13권 수록)와 내용이 유사하다는 지적[40]에 따라, 저작권자의 허락에도 불구하고 작가의 판단으로 수록되지 않았다.
6. 1. 구성
단행본 표지는 화지풍 가공이 되어 있으며, 각 권마다 바탕색과 무늬가 다르다. 겉표지는 제16권까지 이토시키 노조무, 제17권 이후는 해당 권의 표지를 장식한 여자 학생들의 전신 그림이며, 뒤표지에는 일본 전통 의상을 입은 등장인물의 그림을 담았다. 장정은 하이브의 쿠모치 마사시와 도바시 세이코(제4권 이후)가 담당했다.
잡지 연재본과 단행본 사이에는 여러 차이점이 존재한다. 단행본에서는 각 화 시작 부분에 그림자 그림 카드 스타일의 표지 그림이 추가되고, 마지막 부분에는 새로운 등장인물 소개나 추가 에피소드가 붙는다. 또한, 105화 이후 배경에 그려지던 '신 스티커'는 단행본에서 삭제된다. 일부 화의 수록 순서가 변경되거나(예: 130화와 129화의 순서 변경), 159화처럼 결말이 수정된 경우도 있다. 최종화(301화)의 컬러 페이지는 그대로 수록되었으며, 목차에는 없지만 최종화 뒤에 「하나의 가능성으로서의 30X화」가 추가로 실렸다. 그 외에도 컷, 배경, 시사 관련 내용, 오탈자 등이 수정되거나 가필되었다.
단행본은 본편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추가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작품의 특징 중 하나이다. 애니메이션에서도 이러한 콘텐츠를 활용한 기획이 많았다.6. 2. 목록
978-4-06-937273-5 (OAD 부속 초회 한정판)제 16집 2009년 8월 25일 2009년 2월 17일 978-4-06-384096-4 (통상판)
978-4-06-937274-2 (OAD 부속 초회 한정판)제 17집 2009년 10월 25일 2009년 5월 15일 978-4-06-384120-6 제 18집 2010년 1월 25일 2009년 8월 17일 978-4-06-384170-1 (통상판)
978-4-06-358302-1 (DVD 부속 초회 한정판)제 19집 2010년 3월 25일 2009년 11월 17일 978-4-06-384208-1 (통상판)
978-4-06-358306-9 (OAD 부속 초회 한정판)제 20집 2010년 5월 25일 2010년 2월 17일 978-4-06-384246-3 (통상판)
978-4-06-358313-7 (OAD 부속 초회 한정판)제 21집 2010년 10월 25일 2010년 5월 17일 978-4-06-384307-1 제 22집 2011년 1월 25일 2010년 8월 17일 978-4-06-384344-6 제 23집 2011년 5월 25일 2010년 11월 17일 978-4-06-384396-5 제 24집 2011년 8월 25일 2011년 2월 17일 978-4-06-384443-6 제 25집 2011년 11월 25일
(역자 교체)2011년 4월 15일 978-4-06-384483-2 제 26집 2012년 3월 15일 2011년 7월 15일 978-4-06-384519-8 제 27집 - 2011년 10월 17일 978-4-06-384566-2 (통상판)
978-4-06-358367-0 (CD 부속 한정판)제 28집 - 2012년 2월 17일 978-4-06-384629-4 제 29집 - 2012년 5월 17일 978-4-06-384673-7 제 30집 - 2012년 8월 17일 978-4-06-384705-5
단행본 27권에는 268화가 수록되지 않았는데, 이는 도라에몽의 특정 에피소드와 유사하다는 논란이 있었기 때문이다.
잡지 연재본과 단행본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존재한다.
7. 논란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서술을 피하기 위해 본문 내용을 생략함)
7. 1. 혐한 논란
작품 내에서 혐한 관련 소재가 자주 등장한다. 일부에서는 작가 쿠메타 코지의 개인적인 혐한 성향이 반영되어, '일본이 너무 착해서 문제'라는 식의 주장을 펼치거나 명백한 사실까지 왜곡하며 무분별하게 비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8. 평가
만화는 누계 발행 부수 500만 부 이상을 기록했다.[32]
작품성과 대중성을 인정받아 2007년 제31회 코단샤 만화상 소년 부문을 수상했다.[33][34] 《안녕, 절망선생》은 특정 키워드나 사건에 초점을 맞춰 시사 문제나 일상적인 소재를 자학 개그, 메타픽션적 개그로 풀어내는 독특한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복자와 나열을 많이 사용하며, 아는 사람만 아는 소소한 이야기나 패러디를 담아 한 컷당 정보량이 매우 많다. 순수한 개그 만화라기보다는, 스토리 개그, 초현실주의, 학원 코미디 형식을 취한 아이러니컬한 칼럼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전작 마음대로 개조에 비해 성적인 농담은 줄었지만, 정치적 풍자는 여전히 나타나며, 개성 강한 여학생 캐릭터가 늘어나 모에 만화의 요소가 강해졌다는 특징도 있다.
이러한 독특한 작풍은 여러 매체에서 주목받았다. 『아사히 신문』[37], 『주간 문춘』[38], 『SPA!』, 『요미우리 신문』 등 일본의 주요 언론 매체에서 작품이 소개된 바 있으며, 키쿠치 사토시의 저서 『"자기 기만"의 심리학』에서도 본작을 다루었다. 또한 마이니치 방송의 프로그램 "통쾌! 아카시야 텔레비전"의 퀴즈 코너에서 작품 관련 문제가 출제되는 등 대중적인 인지도 또한 보여주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 Ghost of a Chance - RIGHT TURN ONLY!!
https://www.animenew[...]
2012-11-20
[2]
웹사이트
http://www.shonenmag[...]
Kodansha
[3]
웹사이트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2-06-13
[4]
웹사이트
https://kc.kodansha.[...]
Kodansha
[5]
웹사이트
https://kc.kodansha.[...]
Kodansha
[6]
웹사이트
Del Rey Adds ''Gakuen Prince'', ''Samurai 7'', ''Zetsubo Sensei''
http://www.animenews[...]
2008-04-19
[7]
웹사이트
Sayonara, Zetsubou-Sensei: The Power of Negative Thinking Vol. 1 (Advance Review)
http://activeanime.c[...]
2009-02-21
[8]
웹사이트
Sayonara, Zetsubou-Sensei: The Power of Negative Thinking Vol. 8
http://activeanime.c[...]
2011-01-31
[9]
웹사이트
Kodansha USA Adds Phoenix Wright, Monster Hunter, Deltora Quest
https://www.animenew[...]
2010-12-11
[10]
웹사이트
Sayonara, Zetsubou-Sensei 9
http://www.randomhou[...]
Random House
[11]
웹사이트
Sayonara, Zetsubou-Sensei 14
http://www.randomhou[...]
Random House
[12]
웹사이트
https://akiba-souken[...]
Kakaku.com
[13]
웹사이트
https://mediaarts-d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14]
웹사이트
https://www.kinokuni[...]
Books Kinokuniya
[15]
웹사이트
https://www.kinokuni[...]
Books Kinokuniya
[16]
웹사이트
"Sayonara, Zetsubou-Sensei's 2nd Season in 2008 Confirmed"
https://www.animenew[...]
2007-10-09
[17]
웹사이트
https://akiba-souken[...]
Kakaku.com
[18]
웹사이트
https://mediaarts-d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19]
웹사이트
"Sayonara, Zetsubou-Sensei Manga to Bundle 2 Anime DVDs"
https://www.animenew[...]
2008-07-08
[20]
웹사이트
Japanese Animation DVD Ranking, December 9-15
https://www.animenew[...]
2008-12-16
[21]
웹사이트
https://akiba-souken[...]
Kakaku.com
[22]
웹사이트
https://mediaarts-d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3]
웹사이트
Sayonara Zetsubō Sensei Manga Bundles Original Anime (Updated)
https://www.animenew[...]
2009-08-16
[24]
웹사이트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10-02-18
[25]
웹사이트
New Zetsubō Sensei Episode Offered to BD Box Buyers
https://www.animenew[...]
2011-03-07
[26]
웹사이트
http://king-cr.jp/sp[...]
King Records
[27]
웹사이트
Media Blasters Confirms ''Sayonara, Zetsubou-Sensei'' License
http://www.animenews[...]
2010-02-18
[28]
웹사이트
Media Blasters No Longer Has Rights to Bakuman, Kenshin, Berserk Anime (Updated)
https://www.animenew[...]
2013-03-08
[29]
웹사이트
Right Stuf, Nozomi Ent. Add Sayonara, Zetsubou-Sensei, A.D. Police, El-Hazard Anime
https://www.animenew[...]
2019-07-06
[30]
웹사이트
Nozomi Ent. to Release All of 'Sayonara, Zetsubou-Sensei' Anime Franchise
https://www.animenew[...]
2021-05-11
[31]
웹사이트
"Sayonara Zetsubō Hōsō'' official page"
http://www.animate.t[...]
[32]
웹사이트
https://mantan-web.j[...]
2011-04-20
[33]
웹사이트
Kodansha Manga Awards Page
http://www.kodansha.[...]
[34]
웹사이트
Ookiku Furikabutte wins Kodansha's Manga Award
https://www.animenew[...]
2007-05-09
[35]
웹사이트
さよなら絶望先生:連載7年で“さよなら” 人気マンガが301話で幕
https://mantan-web.j[...]
MANTANWEB
2012-06-13
[36]
뉴스
個性的アニメ勢揃い!異彩を放つシャフトの神アニメランキングTOP10
https://moemee.jp/?p[...]
2018-08-17
[37]
간행물
コミックガイド
2006-04-16
[38]
간행물
漫画専科
2006-08-31
[39]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siambookcente[...]
2009-02-28
[40]
서적
定本 消されたマンガ
彩図社
2016-05-11
[41]
웹인용
코단샤 만화상 페이지
http://www.kodansha.[...]
2012-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