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톤 루빈시테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톤 루빈시테인은 19세기 러시아의 피아니스트, 작곡가, 지휘자, 교육자였다. 그는 오데사 근교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피아노를 배우고 신동으로 불렸으며, 유럽과 미국에서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쳐 러시아 피아니스트로서는 최초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1862년에는 러시아 최초의 음악 교육 기관인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을 설립하고 초대 원장을 역임하며 러시아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작품으로는 오페라, 교향곡, 피아노 협주곡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특히 종교 오페라와 피아노 리사이틀 형식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연주는 찬반 양론이 있었지만, 많은 음악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제자인 요제프 호프만이 20세기의 가장 훌륭한 피아니스트 중 한 명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무신론자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러시아의 무신론자 - 막심 고리키
    막심 고리키는 '쓰다'라는 뜻의 필명을 사용한 러시아의 소설가, 극작가, 수필가로,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으며 밑바닥 인생을 묘사한 작품과 《어머니》, 《밑바닥에서》 등의 대표작을 남겨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의 창시자로 평가받는다.
  • 러시아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스타니슬라프 부닌
    스타니슬라프 부닌은 러시아 출신 피아니스트로,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 후 일본에서 활동하며 센조쿠 학원 음악대학에서 강의했고, 1988년 서독으로 망명하여 2023년 음악 활동을 재개했다.
  • 러시아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은 러시아의 낭만주의 후기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 쇼팽과 리스트의 영향에서 벗어나 신비주의적이고 전위적인 스타일과 '신비 화음' 체계를 구축했으며, 음악과 빛을 결합한 《미스테리움》을 기획하는 등 20세기 현대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의 클래식 작곡가 - 표트르 차이콥스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는 러시아 낭만주의 작곡가로, 서정적인 선율과 풍부한 감정, 화려한 관현악법으로 사랑받는 〈비창〉, 발레 음악, 오페라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후원과 연금을 받으며 창작에 전념하고 유럽과 미국 순회공연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러시아의 클래식 작곡가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은 러시아의 낭만주의 후기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 쇼팽과 리스트의 영향에서 벗어나 신비주의적이고 전위적인 스타일과 '신비 화음' 체계를 구축했으며, 음악과 빛을 결합한 《미스테리움》을 기획하는 등 20세기 현대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안톤 루빈시테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리야 레핀의 루빈스타인 초상화 (1887년)
일리야 레핀의 루빈스타인 초상화 (1887년)
본명안톤 그리고리예비치 루빈스타인
출생1829년 11월 28일 (구 11월 16일), 비흐바티네츠, 발츠키 군, 포돌리아 현, 러시아 제국
사망1894년 11월 20일 (구 11월 8일) (64세), 페테르고프,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직업피아니스트, 교사, 작곡가, 지휘자
활동 기간해당 사항 없음
영향해당 사항 없음
이름
로마자 표기Anton Grigor'evich Rubinshteyn
음악 경력
장르해당 사항 없음
악기피아노
관련 인물
영향 받은 인물해당 사항 없음

2. 생애

안톤 루빈시테인은 1829년 러시아 제국 포돌리아 현 비흐바티네츠(현재 몰도바 공화국/드네스트르 강 동쪽 공화국의 Вихватинецru)에서 유대계 러시아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5세 때 어머니에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여 알렉산드르 빌루앵에게 사사받았고, 9세에 첫 연주회를 열 정도로 어린 시절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이후 빌루앵과 함께 파리로 건너갔으나 파리 음악원 입학에는 실패했지만, 살 에라르에서의 연주를 계기로 프레데리크 쇼팽, 프란츠 리스트와 교류하였다.

1844년에는 베를린에서 펠릭스 멘델스존자코모 마이어베어의 지원을 받으며 동생 니콜라이와 함께 지크프리트 데른, 아돌프 베른하르트 마르크스에게 작곡과 음악 이론을 배웠다. 이후 유럽과 러시아 각지에서 연주 여행을 하며 피아니스트로서 명성을 쌓았다.

1859년에는 옐레나 파블로브나 여대공의 후원으로 러시아 음악 협회를 창설하고, 1862년에는 러시아 최초의 전문 음악 교육 기관인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을 설립하여 초대 원장을 역임했다. 그는 러시아 음악 협회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을 통해 교향곡, 관현악, 실내악 등 유럽의 음악적 전통을 러시아에 도입하고, 러시아 음악의 전반적인 수준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186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을 사임하고 유럽 전역에서 연주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 1872년부터 1873년까지는 스타인웨이 앤드 선스사의 요청으로 미국 순회 연주를 하기도 했다.

188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 복귀하여 교육 과정과 입학 요건을 강화하는 등 음악원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으나, 1891년 유대인 차별 정책에 반발하여 다시 사임하고 러시아를 떠났다.

만년에는 심장병을 앓았으며, 1894년 페테르부르크 근교 페테르호프에서 사망하여 알렉산드르 넵스키 대수도원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루빈시테인은 오데사에서 북서쪽으로 약 150km 떨어진 드네스트르강 유역의 바이크바티네츠 마을(현재는 몰도바 공화국 트란스니스트리아에 있는 오파틴치)에서 유대인 부모에게서 태어났다.[1] 5세가 되기 전, 친할아버지는 루빈시테인 가문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유대교에서 러시아 정교로 개종할 것을 명령했다. 루빈시테인은 기독교인으로 자랐지만 나중에 무신론자가 되었다.[1]

어려서 어머니에게서 피아노를 배우고, 후에는 알렉상드르 빌루앵의 제자가 되었다. 피아노 신동으로 알려진 그는 아홉 살 때 자선 공연에서 처음으로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2] 그해 늦게 어머니는 그를 빌루앵과 함께 파리로 보냈으나 파리 음악원에 입학하는 데 실패했다.

루빈시테인과 빌루앵은 1년 동안 파리에 머물렀다. 1840년 12월, 루빈시테인은 살 에라르에서 프레데리크 쇼팽프란츠 리스트를 포함한 청중 앞에서 연주했다. 쇼팽은 루빈시테인을 자신의 스튜디오로 초대해 그를 위해 연주했다. 리스트는 빌루앵에게 그를 독일로 데려가 작곡을 공부하라고 조언했지만, 빌루앵은 루빈시테인을 데리고 유럽과 서부 러시아를 순회 공연했다. 1843년 6월 모스크바로 돌아왔다. 안톤과 그의 남동생 니콜라이의 음악 경력을 더 발전시키기 위해 자금을 모으기로 결심한 어머니는 루빈시테인과 빌루앵을 러시아 투어에 보냈고, 그 후 형제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파견되어 차르 니콜라이 1세겨울 궁전의 황실 가족을 위해 연주했다. 안톤은 14살이었고, 니콜라이는 8살이었다.[2]

1844년 봄, 루빈시테인, 니콜라이, 그의 어머니와 누이 루바는 베를린으로 여행을 갔다. 여기서 그는 펠릭스 멘델스존자코모 마이어베어를 만나 그들의 지원을 받았다.[3] 루빈시테인이 빌로잉과 함께 순회 공연을 했을 때 루빈시테인의 연주를 들었던 멘델스존은 그에게 더 이상의 피아노 공부는 필요 없다고 말하고 니콜라이를 테오도어 쿨라크에게 지도를 받도록 보냈다. 마이어베어는 두 형제 모두에게 작곡과 이론 공부를 위해 지크프리트 데른을 소개했다.[3]

1846년 여름, 루빈시테인의 아버지가 위독하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루빈시테인은 베를린에 남고 그의 어머니, 누이, 형제는 러시아로 돌아갔다. 처음에는 데른에게, 그 다음에는 아돌프 베른하르트 마르크스에게 계속 공부하면서 진지하게 작곡을 했다. 17세가 된 그는 더 이상 신동으로 통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그는 리스트가 자신을 제자로 받아주기를 바라며 빈에서 리스트를 찾았다. 그러나 루빈시테인이 오디션을 치른 후, 리스트는 "재능 있는 사람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자신의 야망을 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 시점에서 루빈시테인은 극심한 가난 속에 살고 있었다. 리스트는 그를 돕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루빈시테인이 다른 잠재적 후원자들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소용이 없었다.[4][5] 빈에서의 1년 동안의 실패와 헝가리 연주 여행 후, 그는 베를린으로 돌아와 레슨을 계속했다.[6]

2. 2. 연주 활동

1844년 베를린에서 펠릭스 멘델스존자코모 마이어베어의 도움을 받아, 마이어베어의 권유로 동생 니콜라이와 함께 지크프리트 데른에게 작곡과 음악 이론을 배웠고, 이후에는 아돌프 베른하르트 마르크스에게도 배웠다.

베토벤과 외모가 매우 닮아 '반 2세'로 불렸다. 러시아를 포함한 유럽미국에서 정력적으로 연주회를 열어, 러시아 피아니스트로서 처음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1854년 4년간의 유럽 연주 여행을 시작했는데,[9] 이는 10년 만의 첫 번째 주요 연주 여행이었다. 당시 24세였던 그는 완성된 피아니스트이자 훌륭한 작곡가로서 대중에게 자신을 선보일 준비가 되었다고 느꼈다. 그는 곧바로 거장으로서의 명성을 되찾았다. 이그나츠 모셸레스는 1855년에 루빈시테인에 대해 "힘과 기량 면에서 그는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다."라고 평가했다.[10]

1867년경, 발라키레프 진영과의 지속적인 긴장과 관련된 문제들로 인해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교수진 내부에 격렬한 불화가 일어났다. 루빈시테인은 사임하고 유럽 전역을 순회하며 연주를 재개했다.[15] 이전 순회 연주와는 달리,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을 점점 더 많이 연주하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주로 자신의 작품을 연주했다.[16]

스타인웨이 앤드 선스(Steinway & Sons) 피아노 회사의 요청으로, 1872년-1873년 시즌에 미국을 순회하며 연주했다. 스타인웨이와의 계약에 따르면 루빈시테인은 당시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1회당 200USD(금으로 지불 – 루빈시테인은 미국 은행과 미국 지폐를 모두 불신했다)에, 모든 경비를 포함하여 200회의 콘서트를 열어야 했다. 루빈시테인은 미국에서 239일 동안 머물면서 215회의 콘서트를 열었는데, 때로는 하루에 두세 번씩 여러 도시에서 공연을 했다.

루빈시테인은 자신의 피아노 연주를 녹음으로 남기지 않았지만, 그의 육성은 축음기에 녹음되어 있으며, 현존하는 실린더 레코드에서는 제자이자 절친한 친구였던 차이콥스키의 육성도 동시에 들을 수 있다.

피아노 소나타나 피아노 변주곡의 전 악장, 전곡을 연주한 뒤 박수를 받는 피아노 리사이틀 형식을 확립한 것은 루빈시테인이다. 그 전까지는 악장의 발췌만을 연주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았다. 이것이 유럽으로 역수입[60]되어 현재에 이른다. 슈만, 쇼팽, 리스트, 베토벤은 그가 가장 잘 연주하는 레퍼토리였으며, 종종 장시간에 걸쳐 연주했다. 남아있는 프로그램을 보면, 전곡 연주에 3시간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그의 연주는 찬반 양론이 커서 "FF(포르티시모) 아니면 PP(피아니시모)밖에 없다"[61]는 평에서부터 "사자와 같은 거대한 표현"[62]까지 다양했다. 유머 감각도 뛰어나, 미국 연주 여행 중에 선보인 "양키 두들 변주곡"과 같은 곡도 남아 있다.

2. 3.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설립 및 교육 활동

1862년, 루빈시테인은 러시아 최초의 음악 학교인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을 설립했다.[12][13] 그는 초대 원장을 맡았으며, 재능 있는 인재들을 영입하여 훌륭한 교수진을 구성했다.

당시 러시아에서는 러시아어로 음악을 가르치는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 루빈시테인이 한 "유행을 선도하는 여인"에게 수업이 외국어가 아닌 러시아어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하자, 그녀는 "뭐라고요, 러시아어로 음악을 한다고요! 참으로 기발한 발상이군요!"라고 외칠 정도였다.[12]

```

> 확실히, 음악 이론이 우리 음악원에서 처음으로 러시아어로 가르쳐진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 지금까지, 만약 누군가 음악 이론을 배우고 싶다면, 외국인에게 레슨을 받거나 독일로 가야만 했다.

```

미하일 체틀린은 5인조로 알려진 러시아 민족주의 음악 그룹이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이 충분히 러시아적이지 않다고 비판한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

> 음악원이라는 아이디어 자체가, 사실, 관습에 쉽게 갇힐 수 있는 아카데미즘 정신을 내포하고 있었지만, 이것은 전 세계의 모든 음악원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제로 음악원은 러시아의 음악 문화 수준을 높였다. 발라키레프와 그의 친구들이 선택한 독창적인 방식이 다른 모든 사람에게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었다.

```

루빈시테인은 작곡 교사로서 제자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행정 업무로 하루를 꽉 채운 후에도 제자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노력하는 데 아낌없는 관대함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또한 엄격했으며, 제자들에게 자신이 쏟는 만큼의 노력을 기대했다. 그는 학생들에게 소심함을 경계하고, 작곡의 어려운 부분에서 멈추지 말고 그냥 지나쳐서 앞으로 나아가라고 끊임없이 경고했다. 또한 작곡할 때 스케치로 작곡하고 피아노로 작곡하는 것을 피하도록 권장했다.[43] 주목할 만한 제자로는 피아니스트 요제프 호프만과 산드라 드루커가 있다.

2. 4. 러시아 음악 협회 창설

1859년, 루빈시테인은 러시아 음악 협회(RMS)를 창설했다.[42] 그는 1867년 협회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사임할 때까지 협회의 프로그램을 지휘했으며, 러시아 음악 협회 재임 전과 후 모두 객원 지휘를 수행했다.[42]

2. 5. 후원

옐레나 파블로브나 여대공은 니콜라이 1세 황제의 제수이자 루빈시테인의 가장 헌신적인 후원자였다.[7] 1852년까지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음악계에서 주도적인 인물이 되었으며, 솔리스트로 활동하고 러시아 수도에 온 뛰어난 기악 연주자 및 성악가들과 협력했다.[7] 루빈시테인은 여대공과 함께 러시아 음악 교육 수준을 높이기 위한 계획을 논의했다. 그 결과, 1859년에는 러시아 음악 협회를, 1862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을 창설했다.

2. 6. 말년

루빈시테인은 피아니스트 및 지휘자로서의 활동을 계속했다. 188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으로 돌아가 전반적인 기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실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내보내고, 많은 교수들을 해고하거나 강등시켰으며, 입학 및 시험 요건을 더욱 엄격하게 만들고, 커리큘럼을 개정했다.[19] 그는 주 2회 교사 수업을 통해 전체 건반 문헌을 지도했으며, 더 재능 있는 피아노 학생들에게 개인 코칭을 제공했다. 1889~90 학년도에는 학생들을 위해 매주 강연회를 열었다. 그는 음악원 입학, 그리고 나중에는 학생들에게 수여되는 연간 상을 순전히 실력에 따라 주는 것이 아니라 민족 할당량에 따라 수여하라는 제국의 요구에 반발하여 1891년에 다시 사임하고 러시아를 떠났다. 이러한 할당량은 유대인에게 불리하도록 설계되었다.[19] 루빈시테인은 드레스덴에 정착하여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다시 콘서트를 시작했다.

루빈시테인은 몇몇 피아니스트를 코치했고, 그의 유일한 개인 피아노 제자인 요제프 호프만을 가르쳤다.

러시아의 민족 정치에 대한 그의 감정에도 불구하고, 루빈시테인은 친구와 가족을 방문하기 위해 때때로 러시아로 돌아왔다. 그는 1894년 1월 14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마지막 콘서트를 열었다.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자, 1894년 여름 페테르호프로 돌아갔다.[19] 그는 그 해 11월 20일, 심장병을 앓다가 그곳에서 사망했다.[19][20]

만년에는 심장병을 앓아, 페테르부르크 근교의 페테르호프에서 사망했다. 페테르부르크의 알렉산드르 넵스키 대수도원에 매장되어 있다.

3. 작품

루빈시테인은 오페라, 교향곡, 피아노 협주곡, 실내악, 피아노 독주곡, 가곡 등 모든 장르에 걸쳐 방대한 작품을 남겼다. 그는 독일 낭만주의 음악의 영향을 받았으며, 보수적인 작풍으로 인해 민족주의적 작곡가 그룹 러시아 5인조와 대립하기도 했다.[56] 대표작으로는 오페라 '악마', 피아노 협주곡 4번, 교향곡 2번 '대양'(1851/1863/1880) 등이 있다.

1850년 무렵, 루빈시테인은 단순히 피아니스트로만 알려지는 것을 원하지 않고, "자신의 교향곡, 협주곡, 오페라, 삼중주 등을 연주하는 작곡가"로 알려지기를 결심했다.[44] 미하일 글린카와 루빈시테인은 러시아 최초의 중요한 고전 작곡가로 여겨지며, 둘 다 베를린에서 지크프리트 데흔에게 사사했다.

루빈시테인은 작품을 서두르는 경향이 있었고, 그 결과 ''대양 교향곡''과 같은 좋은 아이디어가 덜 모범적인 방식으로 발전되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45] 그의 피아노 협주곡 4번은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에 큰 영향을 미쳤다.[45]

루빈시테인의 작품들은 사후 인기를 잃기 시작했지만, 피아노 협주곡은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유럽 레퍼토리에 남아 있었고, 주요 작품들은 러시아 콘서트 레퍼토리에 자리를 유지했다. 최근 그의 작품은 러시아와 해외에서 조금 더 자주 연주되며, 긍정적인 비평을 받고 있다. 그의 피아노 소품은 현재도 러시아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3. 1. 주요 작품 목록

안톤 루빈시테인은 다작 작곡가로, 20편 이상의 오페라, 5개의 피아노 협주곡, 6개의 교향곡, 첼로 협주곡 2곡, 바이올린 협주곡 1곡, 수많은 피아노 독주곡, 실내악곡, 톤 시(tone poem) 등을 작곡했다.[44] 그의 잘 알려진 작품으로는 오페라 ''악마'', 피아노 협주곡 4번, 교향곡 2번 ''대양'' 등이 있다.

루빈시테인은 독일에서 교육받았기 때문에 독일 낭만주의적이고 보수적인 작풍을 보였으며, 러시아 5인조와 대립했다.[56] 로베르트 슈만펠릭스 멘델스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46]

그는 작품을 서두르는 경향이 있었고, 악보에 아티큘레이션과 강약을 대략적으로만 쓰는 버릇이 있어 연주자에 따라 해석이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58] 그의 피아노 소품은 현재도 러시아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루빈시테인의 사후, 그의 작품들은 인기를 잃기 시작했지만, 피아노 협주곡은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유럽 레퍼토리에 남아 있었고, 주요 작품들은 러시아 콘서트 레퍼토리에 자리를 유지했다. 최근 그의 작품은 러시아와 해외에서 조금 더 자주 연주되며, 긍정적인 비평을 받고 있다.

3. 1. 1. 오페라


  • 드미트리 돈스코이 1849/50년
  • 악마 1871년 - 레르몬토프의 시 "악마(Демон)"를 기반으로 함[56]
  • 네로 1875-6년
  • 상인 칼라시니코프 1877-9년 - 레르몬토프의 시 "상인 칼라시니코프의 노래"를 기반으로 함[56]

3. 1. 2. 종교 오페라

루빈시테인은 20편 이상의 오페라를 작곡한 다작 작곡가였다. 특히 레르몬토프의 낭만시를 바탕으로 한 ''악마''와 그 후속작인 ''상인 칼라시니코프''가 유명하다.[44] 그는 모든 장르에 걸쳐 방대한 작품을 남겼지만, 사후에는 인기가 점차 줄어들었다.[47]

그의 종교 오페라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작품 번호초연 연도비고
바벨탑8018701막
잃어버린 낙원541855년?대본은 1855년? 리뷰 작성, 존 밀턴을 자유롭게 참고, 라이프치히: 바르톨프 센프 출판, 1860년경
술라미스-1883성서적 표현, 함부르크에서 초연
모세1121894리가에서 초연
그리스도1171895브레멘에서 초연
카인--미완성


3. 1. 3. 교향곡

안톤 루빈시테인은 로베르트 슈만펠릭스 멘델스존의 영향을 받아[46] 독일 낭만주의 음악 전통에 기반한 6개의 교향곡을 작곡했다.[44] 그의 교향곡들은 러시아 5인조의 민족주의적 경향과는 대조적이었다.[56]

  • 제1번 바장조 작품번호 40 (1859)
  • 제2번 다장조 작품번호 42 "대양" (1851/1863/1880): 두 번의 개정을 거쳐 총 7악장, 약 70분으로 확대된 대작이다.[58]
  • 제5번 사단조 작품번호 107 "러시아적" (1880): 민족색이 강한 작품이다.[57]


루빈시테인은 작품을 서두르는 경향이 있어, 그의 ''대양 교향곡''과 같은 좋은 아이디어가 덜 모범적인 방식으로 발전되었다는 평가도 있다.[45]

3. 1. 4. 피아노 협주곡


  • 피아노 협주곡 1번 E단조 Op. 25 (1850): 스승인 Виллуан, 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알렉산드르 빌로앙ru에게 헌정.[44]
  • 피아노 협주곡 4번 D단조 Op. 70 (1864): 페르디난트 다비드에게 헌정.[45]

3. 1. 5. 피아노곡

안톤 루빈시테인은 모든 장르에 걸쳐 방대한 작품을 남겼지만, 현재는 그의 피아노곡, 몇몇 협주곡, 가곡을 제외하고는 거의 연주되지 않는다.[56] 그는 독일에서 배운 경력 때문에, 독일 낭만주의적이고 보수적인 작풍을 가졌으며, 이는 민족주의적 작곡가 그룹인 러시아 5인조와 대립했다.[56]

1850년 무렵, 루빈시테인은 자신이 단순히 피아니스트로만 알려지는 것을 원하지 않고, "자신의 교향곡, 협주곡, 오페라, 삼중주 등을 연주하는 작곡가"로 알려지기를 결심했다.[44] 그는 20편 이상의 오페라, 5개의 피아노 협주곡, 6개의 교향곡과 수많은 피아노 독주곡을 작곡했다.[44]

루빈시테인은 작품을 서두르는 경향이 있었고, 때로는 좋은 아이디어가 덜 모범적인 방식으로 발전되기도 했다.[45] 그의 음악은 5인조의 민족주의를 전혀 보여주지 않으며, 로베르트 슈만펠릭스 멘델스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46]

그의 주요 피아노곡은 다음과 같다.

제목작품 번호작곡 연도비고
2개의 멜로디작품 31852* 제1번 「바장조 멜로디」
돌섬 (카멘니 오스트로프)작품 101853-54* 제22번 「천사의 꿈」
온디네작품 1
피아노 소나타 (4곡)
3개의 카프리스작품 21
3개의 세레나데작품 22
6개의 연습곡작품 231849-50* 제2번 「스타카토 에튀드」
6개의 전주곡작품 24
2개의 소품작품 30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야회작품 441860
성격적 묘사작품 50
페테르호프의 앨범작품 751866
환상곡 마단조작품 77
여러 민족의 무곡집작품 821868
주제와 변주작품 88
9개의 잡곡집작품 931872-73* 제8번 「양키 두들에 의한 변주곡」
차려입은 무도회작품 1031879
음악의 야회작품 109
드레스덴의 추억작품 118
폴카 다장조작품 121
3개의 뱃노래
왈츠 카프리스 내림마장조1870
러시아 세레나데
왈츠 내림가장조



그는 악보에 강약과 아티큘레이션(음표들을 이어서 연주할지, 끊어서 연주할지 등을 나타내는 기호)을 대략적으로만 쓰는 버릇이 있어, 연주자에 따라 해석이 크게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그의 피아노 소품은 현재도 러시아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4. 연주 스타일 및 평가

루빈시테인의 연주는 "FF(포르티시모) 아니면 PP(피아니시모)밖에 없다"[61]는 평에서부터 "사자와 같은 거대한 표현"[62]이라는 평까지, 찬반 양론이 엇갈렸다. 많은 동시대인들은 그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과 매우 흡사하다고 느꼈고, 이그나츠 모셸레스는 루빈스타인의 외모가 베토벤을 떠올리게 한다고 썼다. 프란츠 리스트는 루빈스타인을 "반 II"라고 불렀다.[21]

그의 연주는 때로는 너무 과격하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 클라라 슈만은 그의 연주에 대해 "완벽하게 맹렬한 소리가 나거나, 아니면 부드러운 페달을 밟은 채 속삭이는 소리가 난다"며 비판했다.[22] 반면, 바이올리니스트 앙리 뷔외탕은 루빈시테인의 연주에 대해 "그의 피아노에 대한 힘은 상상할 수 없는 것이고, 그는 당신을 다른 세계로 데려간다"고 평했다.[24]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동료 학생 마트베이 프레스만은 루빈시테인의 연주에 대해 "그의 힘, 우아함, 아름다움, 격정적이고 불타는 기질, 따뜻함과 매력으로 당신을 사로잡았다"고 회상했다. 그는 루빈시테인의 ''크레센도''는 음향의 힘에 제한이 없었고, ''디미누엔도''는 거대한 홀의 가장 먼 구석에서도 들리는 ''피아니시모''에 도달했다고 덧붙였다.[26]

루빈시테인은 즉흥 연주에도 능숙했다. 작곡가 카를 골드마르크는 루빈시테인이 베토벤8번 교향곡 마지막 악장의 동기를 바탕으로 즉흥 연주를 했던 독주회에 대해 기록했다. 루빈시테인은 그 동기를 대위법, 카논, 4성부 푸가로 발전시키고, 부드러운 노래로 변형시켰다가, 다시 베토벤의 원래 형식으로 돌아가 화려한 연주로 마무리했다.[9]

프레스만은 루빈시테인의 "톤"에 대해 "놀라울 정도로 풍부하고 깊었다"고 말했다. 그는 루빈시테인과 함께 피아노가 마치 오케스트라처럼 들렸다고 덧붙였다.[26] 해럴드 C. 숀버그는 루빈시테인의 피아노 톤을 위대한 피아니스트들 중 가장 관능적인 것으로 평가했다.[32]

루빈시테인은 피아노 음악의 역사를 다룬 7번의 연속적인 역사적 독주회로 유명했다. 이 프로그램들은 각각 엄청난 규모였다.[34]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는 12세 때 루빈시테인의 역사적인 연주회를 처음 관람하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36]

루빈시테인은 유머 감각도 뛰어났는데, 미국 연주 여행 중에는 '양키 두들 변주곡'과 같은 곡을 선보이기도 했다.

5. 유산 및 영향

루빈시테인은 러시아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가 창설한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러시아 최초의 음악 학교로,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를 비롯한 많은 유명 작곡가를 배출했다.[12][13] 국제 콩쿠르 제도와 국제 마스터 클래스 제도는 그의 발명으로, 현재까지도 음악계에 남아있다.

그의 음악은 펠릭스 멘델스존로베르트 슈만의 영향을 받았으며, 독일 낭만파의 수법을 따랐다.[46] 이러한 이유로 5인조와 같은 민족주의 악파로부터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미하일 글린카와 함께 러시아 최초의 주요 고전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차이콥스키를 비롯한 많은 러시아 음악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그의 제자 요제프 호프만은 20세기의 가장 훌륭한 건반 예술가 중 한 명이 되었다.

20세기 전반에 걸쳐 그의 작품은 잊혀졌으나, 최근 그의 작품들이 재조명되고 연주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오페라 <악마>, 피아노 협주곡 4번, 교향곡 2번 <대양> 등이 있다.

6. 루빈시테인의 목소리

다음은 토마스 에디슨을 대신하여 율리우스 블로크(Julius Block, 1858–1934)가 1890년 1월 모스크바에서 녹음한 것이다.[53] 루빈스타인은 축음기에 대해 칭찬하는 말을 하는 것으로 들린다.

인물발언 내용
안톤 루빈스타인참으로 훌륭한 기계입니다.
율리우스 블로크드디어.
엘리자베타 라브로프스카야역겹군요. 감히 저를 교활하다고 부르시다니요?
바실리 사포노프(노래)
표트르 차이콥스키이 트릴은 더 나아질 수 있습니다.
라브로프스카야(노래)
차이콥스키블로크는 좋은 친구지만 에디슨이 더 낫습니다.
라브로프스카야(노래) 아-오, 아-오.
사포노프페터 유리겐손 in 모스크바.de
차이콥스키지금 누가 말하는 거죠? 사포노프의 목소리 같은데요.
사포노프(휘파람)


7. 한국과의 관계

안톤 루빈시테인과 그의 동생 니콜라이 루빈시테인은 한국에서 러시아 음악 발전에 기여한 주요 인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안톤 루빈시테인이 1862년에 창설한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은 러시아 최초의 전문적인 음악 교육 기관이었으며,[55] 1859년에 그가 창설한 러시아 음악 협회와 함께 한국의 초기 서양음악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

참조

[1] 참조 Taylor
[2] 참조 Sachs
[3] 참조 Sachs
[4] 참조 Sachs
[5] 참조 Schonberg
[6] 참조 Sachs
[7] 참조 Sachs
[8] 참조 Taylor
[9] 참조 Schonberg
[10] 참조 Sachs
[11] 참조 Taylor
[12] 참조 Brown
[13] 참조 Sachs
[14] 인용
[15] 참조 Sachs
[16] 참조 Taylor
[17] 참조 Schonberg
[18] 참조 Sachs
[19] 참조 Sachs
[20] 참조 Schonberg
[21] 참조 Schonberg
[22] 참조 Schonberg
[23] 인용 My Long Life in Music
[24] 인용 Ysaÿe
[25] 참조 Schonberg
[26] 인용
[27] 인용
[28] 참조 Schonberg
[29] 인용
[30] 참조 Schonberg
[31] 참조 Schonberg
[32] 참조 Schonberg
[33] 참조 Schonberg
[34] 참조 Schonberg
[35] 간행물 Anton Rubinstein in America (1872-1873) https://www.jstor.or[...] 2003
[36] 문서 Martyn
[37] 서적 Rachmaninoff's Recollections George Allen and Unwin Ltd. 1934
[38] 문서 Martyn
[39] 문서 Sachs
[40] 문서 Cooke
[41] 문서 Sachs
[42] 서적 Tchaikovsky: The Man Behind the Music Dodd, Mead & Company 1965
[43] 문서 Brown
[44] 문서 Letter to Rubinstein's mother 1850-12-28
[45] 문서 Garden
[46] 문서 Brown
[47] 문서 Taylor
[48] 문서 Schonberg
[49] 문서 Sachs
[50] 문서 Bowen
[51] 문서 Schonberg
[52] 문서 Bowen
[53] 웹사이트 Endorsement of Thomas Edison's 'Phonograph#REDIRECT http://en.tchaikovsk[...]
[54] 문서 このことを根に持っており、[[フェルッチョ・ブゾーニ]]がパリ音楽院への進学を相談したところ、「あんなのいらない」と吐き捨てた話はとくに有名。
[55] 문서 ただし、彼は18曲のオペラと1曲のバレエを遺した。
[56] 문서 リムスキー=コルサコフの交響曲第1番参照。
[57] 문서 ニコライ・ルビンシテインの要請で和声法の教本を書いたのはチャイコフスキー。
[58] 문서 長すぎるため、SPやLPに収録できないといった問題もあったが、LPが70分越えの長時間に対応すると受容が進んだ。
[59] 웹사이트 Anton Rubinstein https://www.naxos.co[...] naxos 2023-04-05
[60] 문서 ショパンの24の前奏曲の全曲演奏で鳴らしたコルトーは幼少時にルビンシテインのレッスンを受けた。
[61] 문서 クララ・ヴィークの評価
[62] 문서 フランツ・リストの評価
[63] 문서 後期エチュードの初録音者。
[64] 문서 ピアノ協奏曲第4番の音源の入手は容易。
[65] 문서 ソナタ全集を吹き込めたのは彼だけ。
[66] 문서 スタッカート・エチュードの世界初録音者。
[67] 서적 Anton Rubinstein: A Life in Music. Illinois University Press https://archive.org/[...]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