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만수르 칼라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 만수르 칼라운은 킵차크 초원 출신의 투르크계 노예로, 맘루크 왕조의 술탄(1279-1290)이다. 1,000 디나르에 팔려 '알 알피'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바이바르스의 후계자들을 폐위시키고 술탄이 되었다. 그는 일 칸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십자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영토를 확장했다. 또한, 카이로에 병원을 건설하고 해상 무역을 장려하는 등 내정에도 힘썼다. 칼라운은 맘루크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지만, 바이바르스의 아들을 폐위시킨 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의 사후 아들 알 아쉬라프 할릴이 술탄이 되어 십자군과의 싸움을 종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맘루크 술탄 - 바이바르스
바이바르스는 맘루크 왕조의 술탄으로서 몽골군을 격파하고 십자군을 물리치는 등 이슬람 세계의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와 기마 전령 시스템 구축을 통해 국력을 신장시켰다. - 맘루크 술탄 - 샤쟈르 알두르
샤자르 알두르는 13세기에 이집트와 시리아를 통치한 맘루크 왕조의 인물로, 노예 출신에서 술탄으로 즉위했으나 권력 다툼으로 인해 살해당했다. - 이집트의 섭정 - 이브라힘 파샤
이브라힘 파샤는 1789년 오스만 제국에서 태어나 이집트 군인이자 정치가로 활동하며, 아라비아와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 군사적 업적을 세우고 시리아 총독을 역임했으며, 1848년 사망했다. - 이집트의 섭정 - 알하피즈
알하피즈는 파티마 왕조의 칼리파로, 권력 투쟁과 분열 속에서 통치했으며, 섭정으로 권력을 잡았지만 암투가 지속되었다.
알 만수르 칼라운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알-말리크 알-만수르 |
별칭 | 카심 아미르 알-무미닌 (kassim amir al-mu'minin) |
이름 (아랍어) | 'الملك الْمَنْصُور سيف الدّين قَلَاوُونَ بن عبد الله الألفي العلائي الصَّالِحِي |
로마자 표기 | al-Malik al-Manṣūr Sayf ad-Dīn Qalāwūn ibn ʿAbd Allāh al-ʾAlfī al-ʿAlāʾī aṣ-Ṣāliḥī |
통치 | |
통치 시작 | 1279년 11월 |
통치 종료 | 1290년 11월 10일 |
선임자 | 솔라미쉬 |
후임자 | 알-아슈라프 할릴 |
개인 정보 | |
출생 | 약 1222년 |
사망 | 1290년 11월 10일 |
사망 장소 | 카이로, 이집트 |
매장지 | 칼라운 복합 건물 |
종교 | 수니 이슬람 |
가족 | |
배우자 | 파티마 하툰 쿠트쿠티야 하툰 시트 아슐룬 하툰 |
자녀 | 아스-살리흐 알리 알-아슈라프 할릴 안-나시르 무함마드 아미르 아흐마드 가지야 하툰 다르 무크타르 알-자우하리 다르 안바르 알-카밀리 |
왕조 | |
왕가 | 칼라운 왕조 |
가문 | 바흐리 맘루크 |
2. 생애
칼라운은 킵차크족 출신의 투르크인 노예였다. 제5대 술탄 바이바르스에게 발탁되어 그의 부하가 되었다. 칼라운은 몽골과의 전투와 시리아, 팔레스타인 방면의 전투에서 무공을 쌓아 바이바르스에게 중용되었고, 바라카와 자신의 딸을 결혼시켜 외척이 되었다.
1277년 바이바르스가 사망하고 1279년 칼라운은 쿠데타를 일으켜 바라카를 강제로 퇴위시켰다. 이후 사라미슈를 허수아비 술탄으로 옹립했지만, 이는 칼라운 자신이 술탄이 되기 위한 준비 기간이었다. 칼라운은 반대파를 숙청하고 사라미슈마저 폐위시키며 스스로 술탄으로 즉위했다.
칼라운은 바이바르스의 아들들을 연달아 폐위했기 때문에 국내에서 찬탈자라는 평판을 받았다. 그는 자신의 인기를 얻기 위해 대외 전쟁에 힘을 쏟았다. 1280년 일 한국의 군주 아바카가 이끄는 군대를 격파하여 지배권을 확립했다. 또한 십자군과의 전투에서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항상 승리했다. 내정에 있어서도 1284년 만수르 종합병원을 건설하고, 마디나의 무함마드 무덤 위에 돔을 쌓았는데, 이것이 예루살렘의 바위의 돔이었다. 알레포나 다마스쿠스의 성채를 재건하는 등 건축 사업에도 힘을 쏟았다.
1290년, 십자군의 마지막 거점이었던 아콘 공략을 준비하던 중 병사했다. 그의 아들 할릴이 제위를 이었고, 할릴은 아콘 공략을 완수하여 십자군과의 싸움을 종결지었다.
2. 1. 초기 생애와 권력 상승
칼라운은 킵차크 초원 출신의 투르크계 노예였다. 어린 시절 노예 상인에게 팔려 아이유브 왕조 치하의 이집트로 오게 되었으며, 1000디나르라는 비싼 값에 팔려 '알 알피(천 명의 가치가 있는 자)'라는 별명을 얻었다.[23][24][25] 알 살리흐 아이유브 술탄에게 발탁되어 맘루크 군단에 편입되었다.살리흐 사후, 칼라운은 바이바르스, 아이바크 등과 함께 투란 샤 암살 계획에 가담했다.[26] 맘루크 왕조 건국 후, 바흐리야 군단의 유력자 아크타이가 아이바크에게 살해되자, 칼라운은 바이바르스와 함께 시리아로 망명했다.[27][28]
바이바르스가 술탄으로 즉위한 후, 칼라운은 그에게 충성을 다하며 군사적 역량을 쌓았다. 1266년에는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 공격을 지휘하여 아다나, 아야스, 마시사 등 여러 도시를 파괴하는 등 공을 세웠다.
바이바르스는 자신의 아들 바라카와 칼라운의 딸을 결혼시켜 칼라운을 외척으로 삼았다.[30]
2. 2. 술탄 즉위
1277년 바이바르스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 바라카가 술탄위를 계승했다.[30] 그러나 1279년 7월, 칼라운을 비롯한 장군들은 바라카를 폐위시켰다.[30] 칼라운은 바라카의 동생 살라미쉬를 허수아비 술탄으로 옹립하고, 자신은 섭정으로서 정무와 군사를 통괄하며 실권을 장악했다.[31] 예배 때 낭독되는 후트바|Khutbahar에는 살라미쉬의 이름 다음으로 칼라운의 이름이 들어갔다.[32] 칼라운 휘하의 맘루크와 그의 지지자들이 정부 요직에 배치되었고, 칼라운의 정적들은 추방되거나 그의 파벌로 흡수되었다.[30]같은 해 11월 27일,[32] 칼라운은 동료 바흐리야 군단에 의해 맘루크 왕조의 술탄으로 선출되었다. 즉위 당시 칼라운은 이미 50대 중반을 넘긴 나이였다.[33] 즉위 후, 칼라운은 자힐리야 군단(바이바르스 휘하의 맘루크)을 대신하여 체르케스계 맘루크를 중용하여 친위 세력을 강화했다.[33] 이들은 카이로 시내의 무카탐 요새 안의 탑에 거주했기 때문에 부르지(탑) 맘루크라고 불렸다.[34] 칼라운이 체르케스인을 기용한 이유는 이들이 노예 시장에 저렴하게 많이 공급되었고, 억센 체격과 용감한 기질을 갖추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34] 칼라운의 통치 말기에 부르지 맘루크의 수는 3,700명에 달했다.[35]
2. 3. 몽골과의 전쟁
칼라운 즉위 직후 다마스쿠스의 총독 샴스 앗딘 순쿠르가 반란을 일으켰다. 이 반란에는 바이바르스 휘하의 일부 병력과 폐위된 사라미슈도 가담했다.[36] 칼라운은 반란을 진압했으나, 순쿠르는 일 칸국의 아바카 칸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맘루크 왕조 내부 분열을 기회로 여긴 아바카는 1280년 10월 시리아를 침공하여 알레포를 파괴했다.[37]1281년 5월, 칼라운은 영지 부여를 조건으로 순쿠르와 화해했다.[38] 이후 몽골군의 시리아 진군 소식을 듣고, 순쿠르의 병력을 포함한 맘루크 군단과 하마의 아이유브 왕조 왕족 등을 소집하여 요격에 나섰다. 아바카가 이끄는 본대, 아바카의 동생 몽케 티무르 부대,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 군으로 구성된 몽골군은 계속 진군하여 1281년 10월 31일 하마와 호무스 (힘스) 사이 평원에서 양군이 대치했다(제2차 호무스 전투).[39] 맘루크 군은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많은 장교와 군수 물자를 잃었다.[40] 전투 승리 후 추격 중 순쿠르가 몽골과 내통한 서한이 칼라운에게 전달되었지만, 칼라운은 서한을 물에 넣어 글자를 지우고 누구의 눈에도 띄지 않도록 했다.[41]
승리 후 칼라운은 다마스쿠스를 거쳐 이집트로 귀환하여 카이로에서 개선했다.
아바카 사후 일 칸국의 칸으로 즉위한 아흐마드 테구데르는 이슬람교로 개종한 몽골인이었고, 맘루크 왕조에 동맹을 제안했다. 칼라운은 당황하면서도 동맹 요청을 수락했다.[20] 1284년 아흐마드 테구데르는 폐위되었고, 비이슬람교도인 아르군이 일 칸국의 칸이 되었지만, 아르군 재위 중 맘루크 왕조 군대가 일 칸국 영토를 침입한 횟수는 단 한 번이었다.[42]
2. 4. 십자군과의 전쟁
칼라운은 십자군 국가들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여 맘루크 왕조의 영토를 확장했다. 1285년 "난공불락"의 호스피탈 기사단 요새 마르가트를 약탈하고 그곳에 맘루크 수비대를 설치했다.[43] 또한 마라클레아 성을 점령하고 파괴했다. 1287년에는 라타키아를 점령했다.[46]1289년 3월 17일, 칼라운은 이슬람 상인에게 해를 입혔다는 명분을 내세워 트리폴리를 포위했다.[47][48] 맘루크 군은 목재 망루와 투석기를 투입하고, 지하에 터널을 파서 성채를 공격했다. 같은 해 4월 27일, 맘루크 군은 트리폴리를 함락하여 주민들을 납치·살해하고, 마을을 파괴함으로써[49] 십자군 트리폴리 백국을 멸망시켰다. 1289년 트리폴리의 함락은 이 지역에서 증가하는 제노바의 영향력에 반대하는 베네치아와 피사의 지원을 받았다. 전투에 종군한 아부 알 피다는 쌓여있는 시체의 부패 냄새에 질렸다고 기록했다.[50][44]
트리폴리 함락 이후, 칼라운은 아크레의 십자군 세력의 요청에 응하여 일시적인 휴전 협정을 맺었다.[17] 그러나 이슬람교도와의 공존 관계가 성립되어 있다고 생각했던 중동의 기독교 세력은, 칼라운의 철저한 공격에 충격을 받았다.[47]
2. 5. 죽음
1290년, 십자군의 마지막 거점이었던 아콘 공략을 준비하던 중 진중에서 병사했다. 사인은 병사 또는 질식사로 여겨진다.[52] 그의 사후, 아들 할릴이 술탄위를 계승하여 칼라운이 달성하지 못했던 십자군 국가 정복을 완수했다.[55]3. 통치 정책
칼라운은 중앙 집권적인 통치 체제를 확립하고, 맘루크 왕조의 안정적인 통치를 위한 기반을 다졌다. 그는 문서청을 재상(大臣)의 관할 하에서 독립시켜 별도의 정청으로 개편하여 행정 효율성을 높였다.[56] 말년에는 기독교도들을 정부 요직에서 배제했다.[57]
칼라운은 킵차크 출신으로, 이전 맘루크 술탄 바이바르스와 같은 부르지 오글리 부족 출신이었다. 둘 다 1220년대와 1230년대 몽골의 킵차크 영토 침공 중에 노예로 팔렸을 가능성이 높다. 그는 1000디나르라는 이례적으로 높은 가격에 구매되었고, 이로 인해 "알-알피"("천"이라는 뜻)라는 별명을 얻었다.
칼라운은 처음에는 거의 아랍어를 하지 못했지만, 권력과 영향력이 커지면서 술탄 바이바르스 아래에서 에미르가 되었다. 바이바르스의 아들인 알-사이드 바라카가 칼라운의 딸과 결혼했다. 바이바르스는 1277년에 사망했고 바라카가 뒤를 이었다. 1279년 초, 바라카와 칼라운이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을 침공했을 때 이집트에서 반란이 일어나 바라카는 귀국 후 퇴위할 수밖에 없었다. 그의 동생 술라미쉬가 계승했지만, 실제 권력자는 아타베그로 활동한 칼라운이었다. 술라미쉬는 겨우 일곱 살이었기에 칼라운은 이집트에 성인 통치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1279년 말 술라미쉬는 콘스탄티노플로 유배되었다. 그 결과 칼라운은 "알-말리크 알-만수르"("승리한 왕")라는 칭호를 얻었다.
다마스쿠스의 총독 순쿠르 알-아슈카르는 칼라운의 권력 상승에 동의하지 않고 스스로 술탄이라고 선언했다. 그러나 순쿠르의 지도자 주장은 1280년 칼라운이 전투에서 그를 격파하면서 무산되었다. 1281년, 일 칸국의 수장 아바카 칸이 시리아를 침공했을 때, 칼라운과 순쿠르는 편의상 화해했다. 칼라운과 순쿠르는 함께 제2차 호므스 전투에서 아바카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격퇴했다.
알-사이드 바라카, 술라미쉬 및 그들의 형제 하디르는 옛 십자군 성인 알-카라크로 유배되었다. 바라카는 1280년에 그곳에서 사망했고(칼라운이 그를 독살했다는 소문이 있었다), 하디르는 1286년 칼라운이 직접 장악할 때까지 성을 지배했다.
바이바르스가 이전에 그랬던 것처럼 칼라운은 남아있는 십자군 국가, 수도 기사단 및 독립을 유지하려는 개별 영주들과 토지 통제 조약을 체결했다. 그는 티레와 베이루트를 예루살렘 왕국과 분리된 것으로 인정했는데, 당시 예루살렘 왕국은 아크레를 중심으로 하고 있었다. 이 조약은 항상 칼라운에게 유리했고, 티레와의 조약에 따라 도시는 새로운 요새를 건설하지 않고, 맘루크와 다른 십자군 간의 분쟁에서 중립을 유지하며, 칼라운은 도시 세금의 절반을 징수할 수 있었다.
1281년 칼라운은 또한 나폴리의 샤를 1세에 대한 저항을 강화하기 위해 비잔틴 제국의 미하일 8세와 동맹을 협상했는데, 샤를 1세는 비잔틴 제국과 예루살렘 왕국 모두를 위협하고 있었다. 1290년, 그는 제노바 공화국 및 시칠리아 왕국과 무역 동맹을 체결했다.
3. 1. 건설 및 개발 사업
칼라운은 카이로 시내에 종합 병원, 마드라사(신학교) 등으로 구성된 거대한 복합 시설을 건설했으며[15], 그 중심부에는 예루살렘의 바위의 돔을 본뜬 묘당이 있었다.[58] 이 복합 시설의 중심인 만수르 종합병원(알-마리스탄 알-만수리)은 칼라운이 건설한 시설 중 가장 유명하다.[59] 병원에는 격리 병동, 실험실, 약국, 욕실, 조리장, 저장실이 있었고, 연간 수백만 디르함의 수입을 얻는 와크프(기증 재산)가 있었다.[59] 칼라운이 산통으로 다마스쿠스의 누리 병원에 입원했을 때 영감을 받아, 회복 후 카이로에도 이와 비슷한 종합 병원을 짓겠다고 결심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59] 병원은 신분에 관계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었고, 입원 환자뿐만 아니라 외래 환자도 치료했다.[60] 이러한 이유로 칼라운은 병을 낫게 하는 인물로 존경받았고, 환자들은 그의 묘당에 있는 옷을 만지며 병이 낫기를 빌었다.[61]1283년에는 이집트의 옛 곡창 지대인 부하이르 지방을 재개발했다. 국내의 아미르(Amir)와 그 휘하의 기사들에게 일, 보상, 식량을 할당했고, 10일간의 공사로 타이리야 운하를 완성했다.[62]
또한 칼라운 통치 기간 동안 알레포, 바알베크, 다마스쿠스의 성채가 보수되었다.
3. 2. 대외 무역
칼라운은 인도양과 지중해를 통한 해상 무역을 추진하여[15] 맘루크 왕조의 경제 기반을 형성했다고 평가받는다.[63]히즈라력 680년(1281년/82년)에 칼라운은 팔레스타인, 시리아 연안, 킬리키아, 아나톨리아의 여러 도시와 평화 통상 협정을 체결했다.[64]
1283년 실론 섬에서 무역을 요청하는 사절이 방문했고, 칼라운은 사절을 후대하고 귀국할 때 답례 사절을 동행시켰다.[65][66] 1288년 5월, 인도, 신드, 예멘의 라술 왕조, 중국에 이집트에서의 상업 안전을 보장하는 조서를 발포했다.[64] 동시에 유럽 세계와의 무역을 추진하기 위해 이탈리아, 이베리아 반도에 존재하는 왕국과 도시 국가와 통상 협정을 맺었고, 특히 베네치아 공화국은 이집트와의 무역에 강한 의욕을 보였다.[67]
무역 촉진과 병행하여 대상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무역로의 치안을 강화했다.[67] 무역로에서 약탈을 상습적으로 행하는 베두인을 엄하게 처벌하고,[67] 때로는 회유했다.[64] 또한 항구 관리인에게는 방문한 상인에게 성실하게 대응하고 뇌물을 요구하지 않도록 명령했다.[67]
4. 평가
칼라운은 노예 출신으로 술탄의 자리에 올라 맘루크 왕조의 전성기를 이끈 뛰어난 통치자로 평가받는다. 군사적 업적뿐만 아니라 내정에도 힘써 백성들의 지지를 얻었으며, 그의 통치 기간은 맘루크 왕조 역사상 중요한 시기로 기록된다.[2] 특히, 맘루크 왕조의 중앙 집권화를 강화하고, 이슬람 세계에서 맘루크 왕조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킵차크족 출신의 투르크인 노예였다. 제5대 술탄 바이바르스에게 발탁되어 그의 부하가 되었다. 칼라운 자신도 역량이 있었지만, 바이바르스가 그와 같은 투르크 출신이라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바이바르스는 칼라운을 시중으로 삼고, 몽골과의 전투나 시리아, 팔레스타인 방면의 전투에서 무공을 쌓게 하여 중용하였다. 마침내 바이바르스의 아들 바라카와 자신의 딸을 결혼시켜 외척이 되는 등 두각을 나타냈다.
1277년에 바이바르스가 사망하자, 외척 관계였던 바라카가 뒤를 이었지만, 1279년 칼라운은 쿠데타를 일으켜 바라카를 강제로 퇴위시켰다. 새로운 술탄으로 바라카의 남동생 사라미슈를 옹립했지만, 이는 칼라운 자신이 술탄이 되기 위한 준비 기간을 벌기 위한 괴뢰 군주에 지나지 않았다. 바라카를 폐위하고 100일 후, 바이바르스 일파 등 자신의 반대파를 숙청하면서 사라미슈도 폐위시키고 스스로 술탄으로 즉위했다.
칼라운은 은혜를 주었던 바이바르스의 아들들을 연달아 폐위했기 때문에 국내에서 찬탈자라는 평판을 받았다. 이 때문에 그는 자신의 인기를 얻기 위해 대외 전쟁에 힘을 쏟았다. 1280년, 시리아 탈환을 목표로 하는 일 칸국의 군주 아바카 칸이 이끄는 군대를 격파하여 지배권을 확립했다. 또한, 십자군의 침공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대응해 싸워 항상 승리했다. 더불어 내정에도 힘써 1284년에는 만수르 종합병원을 건설하고, 마디나에 있는 무함마드의 무덤 위에 돔을 쌓았는데, 이것이 예루살렘의 바위의 돔이었다. 알레포나 다마스쿠스의 성채 재건 등 건축 사업에도 힘을 쏟는 등, 대외 전쟁의 승리와 선정으로 국민들의 인기를 얻었다.
살라딘과 대등한 영웅으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바이바르스의 아들을 폐위시킨 일에 대해서는 현재에도 비판이 많으며, 일설에는 바이바르스의 급사가 칼라운에 의한 독살이라는 설도 있다. 맘루크 왕조는 세습제가 아니고 당시에 실력자가 술탄에 즉위하는 것이 흔하게 이루어졌지만, 칼라운이 좋은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해 선정을 행했기 때문에 그의 일족은 고손 앗 살리프가 1390년에 폐위될 때까지 한 세기에 걸쳐 왕조를 지배하게 된다.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장남 | 살리흐 | 1280년 10월 후계자로 지명되었으나, 칼라운보다 먼저 사망.[54] |
차남 | 아슈라프 할릴 | 맘루크 왕조 술탄. 칼라운은 할릴의 거친 성격과 살리흐 독살 의혹 때문에 후계자 지명을 꺼렸음.[55] |
삼남 | 나시르 무함마드 | 맘루크 왕조 술탄. 일 칸국ar 출신 어머니 시트 아슐룬 카툰(Sitt Ashlun Khatun, Ašlūn)의 영향으로 몽골식으로 자랐음.[14] |
딸 | 가지야 카툰 | 바이버스 술탄의 아들 아스-사이드 바라카와 1277년 6월 8일 결혼. 1288년 8월 사망. |
딸 | 다르 무크타르 알-자우하리 | 무크타르 알-자우하리의 아내. |
딸 | 다르 안바르 알-카밀리 | 안바르 알-카밀리의 아내. |
첫 번째 부인 | 룸 살리(Umm Salih) | 파티마 카툰. 킵차크 칸국 출신 맘루크 지휘관 사이프 앗딘 카르문의 딸.[10] 1283~84년 사망.[9] |
부인 | 쿠트쿠티야 카툰 | 알 아슈라프 할릴의 어머니.[12][13] |
부인 | 시트 아슐룬 카툰 | 일 칸국 몽골의 저명인사 수크타이 빈 카라진 빈 지간 누완의 딸.[14] 안 나시르 무함마드의 어머니.[14] |
부인 | 아미르 샴스 앗딘 순쿠르 알-타크리티 알-자히리의 딸. 1288~89년 결혼 후 곧 파기. | |
아들 | 아미르 아흐마드 | 형 알 아슈라프 할릴 통치 기간에 사망. |
참조
[1]
서적
The Citadel of Cairo
https://books.google[...]
Brill
2021
[2]
서적
The Living Stones of Cairo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 in Cairo Press
[3]
서적
The 'Templar of Tyre': Part III of the 'Deeds of the Cypriots'
https://books.google[...]
Ashgate
2003
[4]
서적
Knowledge and Social Practice in Medieval Damascus, 1190-13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문서
Burgoyne, 1987, p. 131
[6]
간행물
The Continued Survey of the Ribāt Kurd/Madrasa Jawhariyya Complex in Ṭarīq Bāb Al-Ḥadīd, Jerusalem
[7]
문서
Crawford, p. 61.
[8]
서적
Early Mamluk Diplomacy, 1260-1290: Treaties of Baybars and Qalāwūn with Christian Rulers
https://books.google[...]
BRILL
[9]
서적
Islamic Monuments in Cairo: The Practical Guid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10]
서적
Egypt and Syria in the Fatimid, Ayyubid and Mamluk Eras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1995
[11]
웹사이트
The Qalawunids: A Pedigree
http://mamluk.uchica[...]
University of Chicago
2021-12-10
[12]
서적
The Historiography of Islamic Egypt: (c. 950 - 1800)
Brill
[13]
서적
Developing Perspectives in Mamluk History: Essays in Honor of Amalia Levanoni
Brill
[14]
서적
Egypt and Syria in the Fatimid, Ayyubid and Mamluk Eras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1995
[15]
서적
長谷部「カラーウーン」『岩波イスラーム辞典』、285頁
[16]
서적
ドーソン『モンゴル帝国史』5巻、267頁
[17]
서적
大原『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46頁
[18]
서적
五十嵐大介『中世イスラーム国家の財政と寄進 後期マムルーク朝の研究』(刀水書房, 2011年1月)、12頁
[19]
서적
ヒッティ『アラブの歴史』下、646頁
[20]
서적
伊藤『モンゴルvs.西欧vs.イスラム 13世紀の世界大戦』、200頁
[21]
서적
佐藤『マムルーク 異教の世界からきたイスラムの支配者たち』、127頁
[22]
서적
ドーソン『モンゴル帝国史』5巻、104頁
[23]
서적
ヒッティ『アラブの歴史』下、645頁
[24]
서적
佐藤『マムルーク 異教の世界からきたイスラムの支配者たち』、125頁
[25]
서적
大原『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223頁
[26]
서적
大原『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10頁
[27]
서적
大原『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16頁
[28]
서적
C.M.ドーソン『モンゴル帝国史』4巻(佐口透訳注, 東洋文庫, 平凡社, 1973年6月)、290頁
[29]
서적
大原『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62頁
[30]
서적
大原『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61頁
[31]
서적
ドーソン『モンゴル帝国史』5巻、102-103頁
[32]
서적
ドーソン『モンゴル帝国史』5巻、103頁
[33]
서적
三浦「東アラブ世界の変容」『西アジア史 1 アラブ』、310頁
[34]
서적
大原『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63頁
[35]
서적
大原『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63,226頁
[36]
서적
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
[37]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38]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39]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0]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1]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2]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3]
서적
モンゴルvs.西欧vs.イスラム 13世紀の世界大戦
[44]
서적
アラブの歴史
[45]
서적
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
[46]
서적
アラブが見た十字軍
筑摩書房
2001-02
[47]
서적
モンゴルvs.西欧vs.イスラム 13世紀の世界大戦
[48]
서적
十字軍大全 年代記で読むキリスト教とイスラームの対立
[49]
서적
十字軍大全 年代記で読むキリスト教とイスラームの対立
[50]
서적
十字軍大全 年代記で読むキリスト教とイスラームの対立
[51]
서적
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
[52]
서적
モンゴルvs.西欧vs.イスラム 13世紀の世界大戦
[53]
서적
アラブが見た十字軍
筑摩書房
2001-02
[54]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55]
서적
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
[56]
서적
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
[57]
서적
アラブの歴史
[58]
간행물
西アジア史 1 アラブ
[59]
서적
アラブの歴史
[60]
서적
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
[61]
서적
アラブの歴史
[62]
서적
マムルーク 異教の世界からきたイスラムの支配者たち
[63]
서적
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
[64]
서적
海域から見た歴史 インド洋と地中海を結ぶ交流史
[65]
서적
海域から見た歴史 インド洋と地中海を結ぶ交流史
[66]
서적
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
[67]
서적
エジプト マムルーク王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