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불워리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워드 불워리턴은 1803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소설가, 극작가, 정치인이다. 그는 다양한 장르의 소설을 썼으며, 특히 역사 소설, 미스터리, 공상 과학 소설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대표작으로는 《폼페이 최후의 날》, 《리엔치》, 《다가오는 종족》 등이 있다. 불워리턴은 정치 활동도 활발히 하여 영국 국회의원과 식민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작가로서의 명성과 사회적 지위를 바탕으로 오컬트, 신지학 등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의 작품은 오페라, 연극 등으로 각색되었으며, 후대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턴가 - 제2대 리턴 백작 빅터 불워리턴
빅터 불워리턴은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 태어나 보수당 소속으로 영국 상원 의원, 해군성, 인도 차관, 벵골 총독을 역임했으며, 만주 사변 진상 조사 보고서를 발표하고 여성 참정권을 옹호하다 사망했다. - 지구공동설 - 에드먼드 핼리
에드먼드 핼리는 핼리 혜성의 주기성을 예측하고 아이작 뉴턴의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출판을 지원했으며, 항성의 고유 운동을 발견하는 데 기여한 영국의 천문학자, 수학자, 지도 제작자, 지구물리학자이자 기상학자이며 왕립 천문학자로서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지구공동설 - 아가르타
아가르타는 지구 내부에 있다고 전해지는 전설적인 왕국으로, 공동 지구설과 연관되어 서양 밀교, 오컬트, 뉴에이지 사상에서 언급되며, 과학적, 역사적으로 논쟁의 대상이 된다. - 19세기 잉글랜드 귀족 - 에이다 러브레이스
에이다 러브레이스는 영국의 귀족이자 수학자로, 찰스 배비지의 해석기관 연구를 통해 최초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여겨지는 베르누이 수 계산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해석기관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선구자이다. - 19세기 잉글랜드 귀족 - 조지 타운센드
조지 타운센드는 7년 전쟁 퀘벡 전투 지휘, 하원 의원 선출, 타운센드 자작 작위 계승, 아일랜드 총독 역임, 타운센드 후작 작위 승작 등을 거친 영국의 군인이자 정치인, 귀족이다.
| 에드워드 불워리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존칭 접두사 | 각하 |
| 이름 | 초대 리턴 남작 |
| 본명 | 에드워드 조지 얼 리턴 불워 |
| 출생일 | 1803년 5월 25일 |
| 출생지 | 잉글랜드 런던 |
| 사망일 | 1873년 1월 18일 |
| 사망지 | 잉글랜드 토키 |
| 국적 | 영국 |
| 배우자 | 로지나 도일 휠러(1827년 결혼) |
| 자녀 | 2명 (로버트 포함) |
| 부모 | 윌리엄 얼 불워, 엘리자베스 바버라 워버턴-리턴 |
| 모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트리니티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홀 |
| 경력 | |
| 소속 정당 | 휘그당(1831–1841), 보수당(1851–1866) |
| 군주 | 빅토리아 |
| 총리 | 더비 백작 |
| 관직 | 식민지부 장관 |
| 임기 시작 | 1858년 6월 5일 |
| 이전 | 스탠리 경 |
| 임기 종료 | 1859년 6월 11일 |
| 다음 | 뉴캐슬 공작 |
| 칭호 | 추밀고문관 (PC) |
| 의회 경력 | |
| 하원 의원 | 링컨 하트퍼드셔 |
| 임기 | 1832년 12월 10일 – 1841년 6월 29일 1852년 7월 7일 |
| 사임일 | 1866년 7월 14일 |
| 임명일 | 1866년 7월 14일 |
| 퇴임일 | 1873년 1월 18일 |
2. 생애
에드워드 조지 얼 불워리턴(Edward George Earle Bulwer-Lyttoneng, 1803년 5월 25일 ~ 1873년 1월 18일)은 19세기 영국의 소설가, 극작가, 정치가이다.[65][66] 그는 휘그당과 보수당 소속으로 하원 의원을 지냈으며(1831~1841, 1852~1866), 제2차 더비 백작 내각(1858~1859)에서 식민부 장관을 역임했다.[66] 작가로서는 『폼페이 최후의 날』(1834), 『리슐리외』(1839), 『다가올 종족』(1870) 등 역사 소설, 사회 소설, 오컬트 소설, 희곡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많은 작품을 남겼다.
1838년 7월 18일 하트퍼드셔 네브워스의 초대 준남작 작위를 받았고,[65] 1866년 7월 14일에는 연합 왕국 귀족 작위인 '''하트퍼드셔 네브워스의 초대 리턴 남작'''으로 승작되어 귀족원 의원이 되었다.[65][66]
2. 1. 초기 생애

에드워드 조지 얼 리턴 불워(Edward George Earle Lytton Bulwereng)는 1803년 5월 25일 런던 베이커 스트리트에서 태어났다.[65][66] 그의 아버지는 노퍽의 헤이든 홀(Heydon Hall)과 우드 댈링(Wood Dalling)을 기반으로 한 지주이자 육군 장군인 윌리엄 얼 불워(William Earle Bulwereng)였고, 어머니는 허트퍼드셔 커브워스 하우스(Knebworth House)의 상속녀인 엘리자베스 바바라 리튼(Elizabeth Barbara Lyttoneng, 결혼 전 성 워버턴-리튼)이었다. 그에게는 윌리엄 얼 리튼 불워(1799–1877)와 헨리(1801–1872) 두 명의 형이 있었다. 아버지는 리턴이 네 살 때인 1807년 7월 사망했고, 어머니는 남편의 격한 성격 때문에 아이들의 후견인을 법원에 요청하기도 했다.[67] 아버지 사후 어머니는 아이들과 함께 런던으로 이주했다. 리턴은 어린 시절 대부분을 외가인 네브워스 하우스에서 독서하며 보냈고, 이 저택은 그의 귀족주의적, 낭만주의적 신념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정규 학교 교육보다는 가정교사에게 배우거나 독학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튼 칼리지 입학을 스스로 거절하기도 했다.
15세였던 1818년경, 일링의 학교 교사 월링턴의 격려로 초기 시집 Ismael and Other Poems|이시마엘과 다른 시들eng을 출판했다. 1820년 여름, 케임브리지 대학교 입학 준비 중 호수 지방에서 '루시'라는 소녀와 사랑에 빠졌으나, 그녀는 아버지의 강요로 다른 사람과 결혼한 뒤 곧 사망했다. 리턴은 이 경험이 작가가 되기로 결심한 계기가 되었으며, 그의 삶과 작품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회고했다.[67]
1822년, 리턴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하여 존 올드조 등을 만났으나, 곧 같은 대학의 트리니티 홀로 옮겼다.[66] 케임브리지 재학 중 바이런의 전 연인이었던 캐롤라인 람과 잠시 교제하기도 했다. 그는 뛰어난 재능에도 불구하고 오만한 태도로 인해 친구가 적었다고 전해진다. 1825년에는 영어 시 부문에서 총장 금메달을 수상했고,[7] 이듬해인 1826년 문학사(BA) 학위를 취득했으며, 시집 Weeds and Wildflowers|잡초와 야생화eng를 사적으로 인쇄했다. 그는 괴테와 실러 등 독일 문학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1826년 육군 장교 임명을 구매했으나 복무하지 않고 1829년에 팔았다.[8]
1827년 8월 29일, 그는 아일랜드인 여성 로지나 도일 휠러(Rosina Doyle Wheeler, 1802–1882)와 결혼했다.[74] 로지나는 리턴의 친구였던 캐롤라인 람의 보호 아래 있었으며, 두 사람은 파티에서 만나 결혼에 이르렀다.[67] 그러나 리턴의 어머니는 이 결혼을 반대하여 아들에게 주던 용돈을 삭감했고, 부부는 사치스러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리턴이 글쓰기로 생계를 꾸려야 했다.[67] 두 사람 사이에는 딸 에밀리 엘리자베스(1828–1848)와 아들 로버트(1831–1891)가 태어났다. 로버트는 훗날 인도 총독이 되었다. 리턴의 바쁜 생활, 불륜, 가부장제적 태도와 여성 권리를 중시하는 로지나의 성향 차이 등으로 인해 결혼 생활은 순탄치 않았고 잦은 다툼 끝에[9][67][74] 1833년 별거, 1836년 법적으로 분리되었다.[9][67] 이후 로지나는 1839년 남편의 위선을 풍자한 소설 Cheveley, or the Man of Honour|체벌리, 또는 명예로운 남자eng를 출판하며 갈등은 더욱 깊어졌다.[9][69]
결혼 후 리턴은 본격적인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1827년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에 영향을 받은 소설 Falklandeng를 출판했고, 1828년에는 벤저민 디즈레일리의 작품에 영향을 받은 댄디 소설 Pelham|펠햄eng을 발표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66] 1830년에는 범죄자를 다룬 뉴게이트 소설의 시초로 평가받는 Paul Cliffordeng를 출판했다. 이 시기 그는 디즈레일리와 친구가 되었고, 마거릿 가디너, 블레싱턴 백작부인의 문예 살롱에 드나들며 다른 문인들과 교류했다. 초기 작품들은 사회 규범에 도전하는 내용으로 주목받았으나, 영국 비평가들의 비판을 받으며 문단 내에서 논쟁적인 인물로 자리 잡게 되었다.
1831년 4월 30일, 리턴은 세인트아이브스 선거구에서 휘그당 소속으로 하원 의원에 당선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66] 1832년부터는 링컨 선거구 의원으로 활동했다. 이 시기에도 그는 꾸준히 작품을 발표하여 Eugene Aram (novel)|유진 아람eng(1832), Godolphin (novel)|고돌핀eng(1833), 『폼페이 최후의 날』(1834), Rienzi, the Last of the Roman Tribuneseng(1835), Ernest Maltraverseng(1837) 등을 출판했다.[66] 또한 극작가로서도 활동하여 The Duchess de la Vallièreeng(1836)을 시작으로, The Lady of Lyonseng(1838), 『리슐리외』(1839), Money (play)|머니eng(1840) 등의 희곡을 발표하며 성공을 거두었다.[66] 1838년에는 준남작 작위를 받았다. 그러나
2. 2. 결혼과 가정 생활
1827년 8월, 그는 아일랜드 출신의 미녀 로지나 도일 휠러(Rosina Doyle Wheeler, 1802–1882)와 결혼했다.[74] 로지나는 아일랜드 지주 아버지와 페미니스트 철학자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나, 부모의 불화와 무관심 속에서 불행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69] 이 결혼은 리턴의 어머니의 뜻에 어긋나는 것이었고, 어머니는 아들에게 주던 용돈을 끊어버렸다. 이로 인해 리턴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글쓰기에 매진해야 했다.부부는 딸 에밀리 엘리자베스 불워-리턴(Emily Elizabeth Bulwer-Lytton, 1828–1848)과 아들 에드워드 로버트 불워-리턴(Edward Robert Bulwer-Lytton, 1831–1891) 두 자녀를 두었다. 아들 로버트는 훗날 인도 총독(1876–1880)이 되었다.[9]
결혼 초기 관계는 좋았으나, 리턴의 바쁜 생활, 격한 성격, 불륜, 그리고 가부장제를 신봉하는 그와 여권론자였던 로지나의 가치관 충돌은 결혼 생활에 지속적인 긴장을 가져왔다.[9][67][74] 리턴의 어머니가 로지나를 평생 경멸했던 점도 부부 관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었다.
결국 1833년, 부부는 격렬한 다툼 끝에 별거에 들어갔고, 1836년에는 법적으로 분리되었다.[9][67] 1833년부터 1834년까지 함께한 이탈리아 여행을 기점으로 결혼 생활은 사실상 끝이 났다.[67] 리턴은 어머니의 유산을 상속받아 막대한 재산을 얻었지만, 이혼을 받아내기 위해 로지나의 생활비를 제한하는 등 금전적으로 압박했다. 로지나 역시 이혼에는 동의했으나 리턴이 제시한 조건이 생활을 유지하기에 턱없이 부족하여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70]
별거 후 리턴은 계속해서 애인을 두었고, 로라 디콘(Laura Deacon)과의 사이에서 딸 셋을 낳았으며 디콘의 이름은 그의 유언에도 등장한다. 유언에는 이 외에도 십여 명의 여성이 유산 상속인으로 언급되는데, 이들 모두 리턴의 혼외자일 것으로 추정된다. 로지나 또한 애인을 만들었다.
로지나는 남편의 위선을 폭로하는 소설 Cheveley, or, The man of honoureng(체벌리, 또는 명예로운 남자, 1839)를 출판하며 리턴에게 반격했다.[9][69] 이 소설은 노골적으로 남편을 연상시키는 주인공을 공격적이고 위압적인 바람둥이로 묘사하여 큰 파장을 일으켰다.[69] 그녀는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결혼 생활에 대한 불만과 로맨틱 러브가 여성을 불평등한 관계로 이끄는 현실을 비판하는 소설을 꾸준히 발표했다.[69][70] 1858년 6월, 리턴이 허트퍼드셔의 국회의원 후보로 출마했을 때, 로지나는 선거 유세장에 나타나 그를 공개적으로 맹비난했다.[9]
이에 리턴은 로지나의 출판사를 위협하고, 생활비 지원을 끊었으며, 자녀들을 만나지 못하게 하는 방식으로 보복했다.[9] 심지어 그는 로지나를 정신 이상으로 몰아 정신병원에 강제로 입원시켰다. 그러나 로지나 친구들의 항의와 비판적인 여론에 밀려 몇 주 만에 퇴원해야 했다.[9][74][70] 이 사건은 당시 문단과 사교계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리턴의 평판에도 상당한 타격을 입혔다. 로지나는 이 경험을 바탕으로 회고록 A Blighted Lifeeng(망가진 삶, 1880)을 출판하여 자신의 억울함을 알렸다.[10][11] 그녀는 이후에도 오랫동안 남편의 부도덕함을 비판하는 활동을 이어갔다.
부부의 불화는 자녀들에게도 불행한 영향을 미쳤다. 두 사람 모두 부모로서 자기중심적인 면모를 보였고, 로지나는 아이들을 친구에게 맡긴 채 유럽을 떠돌았다. 리턴의 친구 존 포스터가 아들 로버트의 학업과 사생활을 돌보았다. 딸 에밀리는 아버지에게 순종하도록 엄격한 교육을 받았으나, 10대에 의문스러운 죽음을 맞이했다.[71] 후대의 조사에 따르면, 에밀리는 소아마비를 앓았으며, 아버지와의 갈등 및 자신의 성 문제에 대한 죄책감 등으로 인해 런던의 싸구려 숙소에서 아편 팅크를 과다 복용하여 자살한 것으로 추정된다.[71] 아들 로버트 역시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으며, 인도 총독 재임 시절 기근 대처 실패로 수많은 희생자를 발생시켜 "인도의 네로"라는 비판을 받았다.[74] 로지나는 리턴보다 9년 더 살았다.
2. 3. 어머니의 죽음과 성씨 변경
1843년 12월 어머니 엘리자베스가 사망하자[66] 불워리턴은 "노동과 연구의 소진이 큰 불안과 슬픔으로 완성되었다"고 술회했으며, 1844년 1월 무렵에는 건강이 매우 악화되었다.[12][13] 그는 어머니로부터 네브워스 하우스를 상속받았고,[66] 저택 내 어머니의 방 벽난로 위에는 "미래 세대가 사랑하는 어머니가 사용했던 방을 보존해 주기를 바란다"는 그의 요청이 새겨져 있다. 이 방은 오늘날까지 거의 원형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14]1844년 2월 20일, 그는 어머니의 유언에 따라 왕실의 인가를 받아 성을 '불워(Bulwer)'에서 '불워-리턴(Bulwer-Lytton)'으로 바꾸고 리턴 가문의 문장을 사용하게 되었다.[65] 그의 어머니 역시 남편 사후인 1811년에 성을 '불워-리턴'으로 변경한 바 있다. 그의 형들은 기존의 '불워' 성씨를 계속 사용했다.
2. 4. 말년
1859년 식민부 장관에서 물러난 후 정치 활동은 점차 줄어들었다. 그러나 작가로서의 활동은 꾸준히 이어져 1862년에는 소설 『A Strange Story』를, 1870년에는 SF 유토피아 소설 『다가올 종족』을 발표했으며, 유작 중 하나인 『케넬름 칠링리(Kenelm Chillingly)』 등도 이 시기에 집필했다.[66]1866년 7월, 제3차 더비 백작 내각이 출범하면서 연합 왕국 귀족 작위인 리턴 남작에 서임되어 귀족원 의원이 되었다.[66]

한편, 1867년 로버트 웬트워스 리틀이 설립한 영국 로지크루시안 협회는 불워리턴을 '그랜드 후원자(Grand Patron)'로 내세웠다. 하지만 불워리턴 본인은 협회 측에 편지를 보내 자신이 승인한 적 없는 칭호 사용에 대해 "극도로 놀랐다"며 불만을 표하며 이를 부인했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소설 『자노니(Zanoni)』(1842) 등이 로지크루시안 사상과 여러 비전(秘傳)적 개념을 다루었기 때문에, 많은 오컬트 및 비전 집단에서는 여전히 그를 자신들의 중요한 인물로 여기고 있다.
불워리턴은 오랫동안 귀 질환으로 고통받았으며, 생애 마지막 2~3년은 잉글랜드 남서부 휴양지 토키(Torquay)에서 건강을 관리하며 보냈다.[17] 난청을 치료하기 위해 수술을 받았으나, 수술 후 귀에 농양이 생겨 터지면서 극심한 고통을 겪었다.[17] 결국 1873년 1월 18일, 70세 생일을 몇 달 앞두고 세상을 떠났다.[17][66] 정확한 사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귀의 감염이 뇌에 영향을 미쳐 발작을 일으킨 것으로 추정된다.[17]
그의 개인적인 바람과는 달리, 사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는 영예를 얻었다.[18] 그의 미완성 역사서 『아테네: 그 흥망성쇠(Athens: Its Rise and Fall)』는 사후에 출판되었다.
3. 정치 경력

불워는 제러미 벤담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정치에 입문했다. 1831년 세인트 아이브스 선거구에서 영국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832년에는 링컨 선거구에서 당선되어 이후 9년간 영국 의회에서 활동했다. 그는 개혁 법안을 지지했고, 신문 인지세 감축을 이끌어내며 언론의 자유를 옹호했다. 휘그당이 실각한 1834년 이후, 그는 ''위기 시대의 전직 각료에게 보내는 편지''라는 팸플릿을 발간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보여주었다.[19] 당시 영국 총리였던 멜버른 경은 그에게 해군성 직위를 제안했으나, 불워는 작가 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이를 거절했다.
1838년 허트퍼드 카운티 크네브워스 하우스의 준남작위(영국 준남작위)를 받았다.[20] 1841년 의회를 떠나 주로 여행을 하며 지냈다. 1852년 곡물법을 둘러싸고 러셀 경과 의견이 달라지자 보수당 소속으로 허트퍼드셔 선거구에 출마하며 정계에 복귀했다. 1866년까지 허트퍼드셔 의원으로 활동했고, 같은 해 허트퍼드 카운티 크네브워스의 '''리턴 남작'''으로 귀족이 되었다.
1858년에는 데비 경이 이끄는 보수당 정부에서 식민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오랜 친구인 벤자민 디즈레일리와 함께 일했다. 식민부 장관 시절인 1859년, 정부가 물러나기 직전 퀸즐랜드로 이름 붙여질 새 식민지의 초대 총독으로 조지 퍼거슨 보웬 경을 임명했다.[21][22] 귀족원에서는 비교적 활동이 적었다.
3. 1. 브리티시컬럼비아 식민지
프레이저 협곡 골드 러시 소식이 런던에 전해지자, 당시 식민부 장관이었던 불워리턴은 육군성에 "뛰어난 규율과 지성을 갖춘" 150명(나중에는 172명으로 증가)의 왕립 공병대를 이끌 "인간에 대한 지식을 갖춘 훌륭한 판단력을 가진 사람"을 야전 장교로 추천해 줄 것을 요청했다.[23] 육군성은 리처드 클레멘트 무디를 선택했고, 무디를 "뛰어난 친구"라고 묘사한 불워리턴은 무디의 군 경력, 포클랜드 제도 총독으로서의 성공, 그리고 그의 아버지 토마스 무디 대령 경이 식민지부에서 세운 뛰어난 기록을 고려하여 그의 지명을 받아들였다.[24] 무디는 영국 질서를 확립하고 새롭게 설립된 브리티시컬럼비아 식민지를 대영 제국의 "가장 서쪽의 방벽"[25]과 "태평양 연안에 두 번째 영국을 건설"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23] 불워리턴은 "단순한 경찰력이 아닌, 최고의 영국 문화를 대표하는 사람들"을 식민지에 파견하고 싶어했으며, "예의, 고상한 품성, 세련된 세상 지식"을 갖춘 사람들을 찾았다.[26] 그는 정부가 전형적인 "영국 신사이자 영국 장교"라고 생각한 무디를 왕립 공병대 콜롬비아 파견대의 수장으로 파견하기로 결정하고, 그에게 열정적인 편지를 썼다.[28]과거 HBC의 캠친에 있던 포트 댈러스는 제임스 더글러스 총독에 의해 1858년 그의 이름을 따서 리턴으로 개명되었다.[29]
4. 문학 작품 활동
에드워드 불워리턴의 문학 경력은 1820년 시집 출판으로 시작되어 19세기 대부분에 걸쳐 이어졌다. 그는 역사 소설, 미스터리, 로맨스, 오컬트, 공상 과학 소설 등 다양한 장르에서 글을 썼으며, 때로는 익명으로 작품을 발표하며 왕성한 활동을 보였다.[9]
초기 소설 ''폴클랜드''(1827)는 평범한 성공을 거두었으나, 1828년 발표한 ''펠햄''은 그에게 대중적인 명성을 안겨주었다.[9] 이후 ''폼페이 최후의 날''(1834), ''리엔치, 로마 마지막 호민관''(1835), ''어니스트 말트래버스''(1837), ''해롤드, 색슨족 최후의 날''(1848) 등 꾸준히 작품을 발표했다.[9] 특히 ''폼페이 최후의 날''은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사라진 로마 제국의 도시 폼페이를 배경으로 한 역사 소설로 널리 알려졌다.
그는 오컬트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공포 소설 ''The Haunted and the Haunters''(1859)나 ''A Strange Story''(1862) 등을 집필했으며, 후자는 브램 스토커의 ''드라큘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받는다.[33] 또한, 초기 공상 과학 소설로 분류되는 ''Vril: The Power of the Coming Race''(1871)을 통해 지구 공동설과 같은 주제를 다루며 장르 발전에 기여했다.[34][35]
소설 외에도 희곡 작가로서 활동하여 ''머니''(1840)와 같은 작품을 성공시키기도 했다.[39] 그의 작품들은 당대에 큰 인기를 누렸으며, 일부 소설과 희곡은 리하르트 바그너의 ''리엔치''[48]나 다른 작곡가들의 오페라로 각색되기도 했다.[49][50][51] 또한 찰스 디킨스에게 ''위대한 유산''의 결말 수정을 조언한 일화도 있다.[40]
4. 1. 주요 작품

에드워드 불워리턴의 문학 경력은 1820년 시집 출판으로 시작되어 19세기 대부분에 걸쳐 이어졌다. 그는 역사 소설, 미스터리, 로맨스, 오컬트, 공상 과학 소설 등 다양한 장르의 글을 썼으며, 때로는 익명으로 작품을 발표하며 호화로운 생활을 유지했다.[9]
1827년 소설 ''폴클랜드''는 평범한 성공을 거두는 데 그쳤다. 그러나 1828년 발표한 ''펠햄''은 그에게 대중적인 명성을 안겨주며 재치 있고 멋쟁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게 했다.[9] 이 소설은 복잡한 줄거리와 유머러스하면서도 은밀한 당대 멋쟁이들의 묘사로 가십거리를 좋아하는 독자들이 실제 인물들과 연관 짓게 만들었다. ''펠햄''은 벤저민 디즈레일리의 첫 소설 ''Vivian Grey''(1827)와 유사점이 있었다.[9] 같은 해 발표된 ''The Disowned''의 악당 리처드 크로포드는 1824년 런던에서 처형된 은행가이자 위조범 헨리 폰틀로이를 모델로 삼았다.[30]
그는 ''England and the English''[31]와 ''고돌핀''(1833)으로 인기의 정점을 찍었다. 이후 ''The Pilgrims of the Rhine''(1834), ''폼페이 최후의 날''(1834), 콜라 디 리엔초를 다룬 ''Rienzi, Last of the Roman Tribunes''(1835),[9] ''어니스트 말트래버스''(1837), ''Alice; or, The Mysteries''(1838), ''레일라; 또는 그라나다 포위''(1838), ''Harold, the Last of the Saxons''(1848) 등을 발표했다.[9] 특히 ''폼페이 최후의 날''은 밀라노에서 본 카를 브률로프의 그림 ''폼페이 최후의 날''에서 영감을 받아 집필한 역사 소설로,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사라진 로마 제국의 도시 폼페이를 배경으로 한다.[32]
그의 시 ''New Timon''은 앨프리드 테니슨을 풍자했고, 테니슨은 이에 맞대응하기도 했다. 불워리턴은 공포 소설 ''The Haunted and the Haunters; or, The House and the Brain''(1859)과 초자연적 주제를 다룬 ''A Strange Story''(1862)도 썼는데, 후자는 브램 스토커의 ''드라큘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33]
오컬트에 대한 관심은 그의 작품에 많은 영감을 주었으며, 특히 ''Vril: The Power of the Coming Race''(1871)은 공상 과학 소설 장르의 초기 발전에 기여했다.[34] 이 작품은 지하 세계에 사는 종족이 지상으로 돌아오기를 기다린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초기 공상 과학 소설의 주제 중 하나인 지구 공동설을 대중화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은 나치 신비주의에 영감을 주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35] 작중 등장하는 용어 '브릴(vril)'은 보브릴이라는 육류 추출물 제품명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36] '브릴'은 1870년대 이후 신지학자들과 오컬트주의자들에게 받아들여졌고, 1945년 이후에는 비밀 나치주의 사상과 연관되기도 했다.[38]
그의 희곡 ''머니''(1840)는 1840년 런던 헤이마켓 극장에서 초연되었고, 미국에서는 1841년 뉴욕 올드 파크 극장에서 처음 공연되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재공연되었다.[39]
불워리턴은 찰스 디킨스에게 ''위대한 유산''의 결말을 독자들이 더 받아들이기 쉽게 수정하도록 조언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원래 결말에서는 주인공 핍과 에스텔라가 헤어진 채로 끝난다.[40]
그의 소설 여러 편은 오페라로 각색되기도 했다. 리하르트 바그너는 ''리엔치''를 바탕으로 오페라 ''리엔치, 마지막 호민관''(1842)을 작곡했는데, 이 오페라는 원작 소설보다 더 유명해졌다.[48] 윌리엄 헨리 프라이의 ''레오노라''(1846)는 불워리턴의 희곡 ''리옹의 여인''을 바탕으로 한 미국 최초의 유럽식 그랜드 오페라였고,[49] 프레데릭 코웬의 첫 오페라 ''폴린''(1876) 역시 마찬가지였다.[50] 에리코 페트렐라의 가장 성공적인 오페라 ''조네''(1858)는 ''폼페이 최후의 날''을 원작으로 하여 19세기 후반까지 전 세계적으로 공연되었다.[51]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아롤도''(1857)는 ''색슨족의 마지막 사람, 해럴드''(1848)에서 등장인물 이름을 따왔지만, 내용은 거의 차용하지 않았다.[52]
초판 발행 직후 ''폼페이 최후의 날'', ''리엔치'', ''어니스트 말트래버스''는 뉴욕에서 성공적인 연극으로 각색되어 공연되었다. 이 연극들은 19세기 유명 극작가 루이자 메디나가 각색했으며, 특히 ''폼페이 최후의 날'' 연극은 당시 뉴욕에서 29회 연속 공연이라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53]
=== 소설 ===
| 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 1827 | 폴클랜드 | Falkland영어 | [9][78]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28 | 펠햄, 혹은 신사의 모험 | Pelham: or The Adventures of a Gentleman영어 | [9][78]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29 | The Disowned | The Disowned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29 | 데버루 | Devereux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30 | 폴 클리포드 | Paul Clifford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32 | 유진 아람 | Eugene Aram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33 | 고돌핀 | Godolphin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33 | 방종한 아스모데우스 | Asmodeus at Large영어 | |
| 1834 | 폼페이 최후의 날 | The Last Days of Pompeii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34 | The Pilgrims of the Rhine | The Pilgrims of the Rhine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35 | 리엔치, 로마 마지막 호민관 | Rienzi, the last of the Roman tribunes영어 | [9][78]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35 | The Student | The Student영어 | |
| 1837 | 어니스트 말트래버스; 또는 엘레우시니아 | Ernest Maltravers; or The Eleusinia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38 | 앨리스, 또는 미스터리 | Alice; or, The Mysteries영어 | 어니스트 말트래버스 속편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38 | Calderon, the Courtier | Calderon, the Courtier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38 | 레일라; 또는 그라나다 포위 | Leila; or, The Siege of Granada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38 | Zicci: a Tale | Zicci: a Tale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41 | Night and Morning | Night and Morning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42 | 자노니 | Zanoni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43 | 최후의 남작 | The Last of the Barons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46 | 루크레티아; 또는, 밤의 아이들 | Lucretia; or, The Children of Night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48 | 해롤드, 색슨족 최후의 날 | Harold, the Last of the Saxons영어 | [9][78]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49 | 캑스턴가 사람들: 가족 그림 | The Caxtons: A Family Picture영어 | [9][78]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53 | 나의 소설, 또는 영국 생활의 다양성 | My Novel, or Varieties in English Life영어 | [9][78]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58 | 그가 무엇을 할까? | What Will He Do With It?영어 | [9][78]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59 | 유령과 유령들; 혹은 집과 뇌 | The Haunted and the Haunters; or, The House and the Brain영어 | 단편 소설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61–1862 | 이상한 이야기 | A Strange Story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71 | 브릴: 다가오는 종족의 힘 | The Coming Race영어 (재출판: Vril: The Power of the Coming Race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73 | 케넬름 칠링리 | Kenelm Chillingly영어 |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73 | 파리지앵 | The Parisians영어 | [9][78]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
| 1873 | 파우사니아스, 스파르타인 | Pausanias, the Spartan영어 | 미완성 |
=== 시 ===
4. 2. 기타 작품
불워리턴의 소설 여러 편은 오페라로 각색되었다. 리하르트 바그너는 그의 소설을 바탕으로 리엔치, 마지막 호민관 (1842)을 작곡했는데, 이 오페라는 원작 소설보다 더 유명해졌다.[48] 윌리엄 헨리 프라이가 작곡한 레오노라 (1846)는 미국 최초의 유럽 스타일 "그랜드" 오페라로 평가받으며, 불워리턴의 희곡 리옹의 여인을 원작으로 한다.[49] 프레데릭 코웬의 첫 오페라인 폴린 (1876) 역시 같은 희곡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50] 베르디의 경쟁자로 알려진 에리코 페트렐라의 가장 성공적인 오페라 조네 (1858)는 불워리턴의 소설 폼페이 최후의 날에 기반하며, 1880년대까지 전 세계에서, 1910년까지 이탈리아에서 공연되었다.[51] 베르디의 오페라 아롤도 (1857)는 불워리턴의 소설 ''색슨족의 마지막 사람, 해럴드'' (1848)에서 등장인물 이름을 가져왔지만, 내용은 크게 다르다.[52]불워리턴의 소설 《폼페이 최후의 날》, 《리엔치》, 《어니스트 말트래버스》는 초판 발행 직후 뉴욕에서 성공적인 연극으로 각색되었다. 이 연극들은 19세기 미국의 성공적인 극작가 중 한 명인 루이자 메디나가 썼다. 특히 《폼페이 최후의 날》 연극은 당시 뉴욕에서 29회 연속 공연이라는 최장기 공연 기록을 세웠다.[53]
문학 및 정치 활동 외에도 불워리턴은 1831년 《New Monthly》의 편집자가 되었으나 이듬해 사임했다. 1841년에는 과학 관련 내용을 다루는 잡지 《Monthly Chronicle》을 창간했다. 그는 평생 동안 시, 산문, 연극 등 다양한 장르의 글을 썼으며, 그의 마지막 소설 《Kenelm Chillingly》는 1873년 그가 사망했을 때 Blackwood's Magazine에 연재 중이었다.
아래는 그의 주요 시 작품 목록이다.
| 제목 | 연도 | 비고 |
|---|---|---|
| 《이스마엘》 | 1820 | [9][78] |
| 《실러의 시와 발라드》 | 1844 | 번역 작품 |
| 《뉴 티몬》 | 1846 | 알프레드 테니슨을 비판하기 위해 익명으로 출판[9][78] |
| 《아서 왕》 | 1848–1849 | [9][78] |
영국 등지에서 유명한 쇠고기 농축액 보브릴(Bovril)의 상품명은 불워리턴의 소설 《다가올 종족》에 등장하는 '브릴(Vril)'이라는 단어와 라틴어로 소를 뜻하는 Bos|보스lat, 속격 bovis|보비스lat의 앞 두 글자를 결합하여 만들어졌다. 이는 개발자가 제품의 강장 효과를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4. 3. 희곡
불워리턴은 소설뿐만 아니라 희곡 분야에서도 활동하며 여러 작품을 남겼다. 그의 희곡 중 일부는 당대에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으며, 후대에 영화나 오페라로 각색되기도 했다.대표적인 희곡으로는 1840년에 발표된 머니(''Money'')가 있다. 이 작품은 1840년 12월 8일 런던의 Theatre Royal, Haymarket에서 처음 상연되었고, 이듬해인 1841년 2월 1일에는 미국 뉴욕의 올드 파크 극장에서도 공연되었다. 이후에도 1872년 프린스 오브 웨일스 극장과 1869년 샌프란시스코의 새로운 캘리포니아 극장 개관 기념 공연 등 여러 차례 무대에 올랐다.[39]
다른 주요 희곡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5. 유산 및 영향
불워리턴의 작품들은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가장 유명한 인용구는 희곡 『리슐리외』에 나오는 "펜은 칼보다 강하다"이다.[41]
> 위대한 자들에 의해 통치되는 세상에서, 펜은 칼보다 강하다
그는 소설 『다가오는 종족』에서 "무소불위의 달러"라는 구절을 대중화했으며,[41] 1830년 소설 『폴 클리포드』에서 "씻지 않은 자들"(the Great Unwashed영어)이라는 비하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이 용어의 창시자로 여겨진다.[42]
> 그는 분명히 목욕을 하고 "깨끗하게 사는" 사람이었다.(이는 '씻지 않은 자들' 씨가 그에게 제기한 두 가지 특별한 혐의였다).[42]
불워리턴의 이름을 딴 지명은 세계 여러 곳에 있다.
| 국가 | 지역 | 지명 |
|---|---|---|
| 오스트레일리아 | 퀸즐랜드 브리즈번 교외 | 라이튼[55] |
| 오스트레일리아 | 모레톤 섬 | 불워 마을[56] |
| 오스트레일리아 | 모레톤 섬 | 불워 섬 (구 섬)[57] |
| 캐나다 | 퀘벡 주 몽세르프-라이튼 | 라이튼 읍[58] |
| 캐나다 |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 라이튼[58] |
| 미국 | 아이오와 주 | 라이튼[58] |
| 뉴질랜드 | 기즈번 | 라이튼 로드 (이후 라이튼 고등학교 설립)[59] |
| 뉴질랜드 | 펠로러스 사운드 외곽 와이히나우 만 | 불워[59] |
| 영국 | 런던 피너 | 라이튼 로드[60] |
불워리턴은 어릴 적부터 영적인 것에 매료되었고, 오컬트와 불로불사의 묘약에 관심을 가졌으며, 불멸은 엘리트 계층에게만 주어지는 것이라고 믿었다.[74] 그는 오컬트에 관한 방대한 장서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메스메리즘, 수치료, 골상학 등 당시 최신의 오컬트 과학 유행을 섭렵했다.[74]
그의 오컬트 관련 소설들은 후대 사상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자노니』(1842년)는 비밀 오컬트 조직인 장미십자회의 생존자를 주인공으로 하며, 그가 발명한 경계의 수호자라는 개념은 오컬티스트인 헬레나 P. 블라바츠키와 루돌프 슈타이너, 그리고 영화감독 데이비드 린치의 드라마 「트윈 픽스」 등에 영감을 주었다.[74] 이 소설은 윌리엄 고드윈과 메리 셸리의 초기 "장미십자회 소설"과 생제르맹 백작의 이야기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74]
마지막 소설 중 하나인 『다가오는 종족』(1870년, 원제: The Coming Race영어, 별칭: Vril영어)은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과 네안데르탈인 발견 등에서 영감을 받은 SF 소설이다.[74] 이 작품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인류보다 우수하고 유전적인 마법의 힘 '브릴'(Vril)을 조종하는 지하 종족 '브릴=야'(Vril-ya)를 묘사한다. 브릴=야는 귀족적 공화정을 이루고 있으며, 브릴을 사용하지 못하는 인간을 열등하게 여기고 적대 시 멸망시키는 존재로 그려진다.[74] 이 소설은 영적 진화와 오컬트적 우생학이라는 측면에서 해석될 수 있으며, 블라바츠키의 신지학 사상에 영적 진화 개념을 도입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74]
블라바츠키는 어머니가 번역한 리턴의 오컬트 소설을 읽고 깊은 영향을 받아, 인류 진화를 이끌 초인 조직 "마스터"와 접촉한다고 주장하며 신지학을 창시했다.[74] 황금 새벽단 역시 『자노니』의 영향을 받았으며, 알레이스터 크로울리는 이 책을 마술사들에게 추천했다.[74] 연구자 줄 에반스(Jules Evans)는 "초인적인 존재의 비밀 결사"라는 아이디어가 앨저넌 블랙우드, 다이앤 포춘을 거쳐 『스타워즈』, 『듄』, 『해리 포터』 같은 후대 판타지 소설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한다.[74]
신지학협회 설립 멤버이자 영매인 에마 하딩 브리튼은 자신이 리턴 등이 속한 오컬티스트 그룹의 영매였다고 주장했으며,[75] 황금 새벽단의 모이나 메이더스(Moina Mathers영어)는 리턴이 황금 새벽단 설립의 계기가 된 암호 문서를 쓴 케네스 R. H. 매켄지(Kenneth R. H. Mackenzie영어)의 절친한 친구였다고 주장했으나, 연구자들은 리턴의 명성 때문에 그의 역할이 과장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65]
1960년 루이 포웰스(Louis Pauwels)와 자크 베르지에(Jacques Bergier)의 『마법사의 아침(The Morning of the Magicians영어)』(한국어판 제목: 『신기학대전 - 마법사가 미래의 문을 열다』) 출간 이후, 『다가올 종족』은 히피 문화에서 재조명받으며 새로운 인기를 얻었다.[74] 브릴=야라는 영적 초인종 개념은 히피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갔고, 스스로를 브릴=야로 여기는 이들도 있었다.[74] 소설가로서의 인기는 시들었지만, 그의 영향력은 뉴에이지 운동 속에 남아있다.[74]
메이지 유신 이후 서구 문물이 유입되면서 리턴의 소설은 디즈레일리의 정치 소설과 함께 메이지 시대 일본에서 가장 먼저 번역된 서양 소설 중 하나였다.[76] 일본 최초로 번역된 서양 소설은 리턴의 연애 소설 『어니스트 말트라버스』(Ernest Maltravers영어)와 그 속편 『앨리스』(Alice영어)를 니와 준이치로(丹羽純一郎)가 번역하여 1878년(메이지 11년)에 출간한 『[https://iss.ndl.go.jp/api/openurl?ndl_jpno=41016265 화류춘화(花柳春話)]』이다.[77] 1879년(메이지 12년)에는 가와타케 모쿠아미가 리턴의 희곡 『머니』(Money영어)를 번안하여 가부키 연극 『인간만사 금세중(人間万事金世中)』을 상연했다.
그의 손자인 제2대 리튼 백작 빅터 불워-리튼은 만주사변 이후 국제연맹이 파견한 리튼 조사단의 단장으로 활동하여 한국과 동아시아 역사에도 이름을 남겼다.
6. 평가
에드워드 불워리턴은 작가와 정치인으로서 다방면에 걸쳐 활동했지만, 그의 작품과 사상은 동시대 영국 사회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작가로서 불워리턴은 초기 작품을 통해 명성을 얻었다. 벤저민 디즈레일리의 영향을 받은 댄디 소설 『펠햄』(1828)은 큰 반향을 일으켰고[66], 범죄자를 다룬 소설 『폴 클리포드』(Paul Clifford, 1830)는 Newgate novel|뉴게이트 소설영어이라는 장르의 시초가 되었다.[66] 이러한 작품들은 기존의 사회 도덕 규범에 도전하는 내용으로 주목받았지만, 동시에 영국 비평가들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았다. 이로 인해 그는 영국 문단과 갈등을 겪으며 평생 문단의 주변부에 머물게 되었다.[66] 이후 그는 대중적인 명성을 얻으면서 사회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가치관, 즉 평온한 전원생활, 소박한 가치, 가족 유대의 중요성 등을 작품에 담아내며 독자들에게 위안을 주고자 했다.[66] 그는 역사 소설 『폼페이 최후의 날』(1834), 오컬트 소설 『자노니』(Zanoni, 1842), SF 유토피아 소설 『다가올 종족』(1870)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왕성한 집필 활동을 이어갔다.[66][66] 또한 극작가로서도 재능을 발휘하여 『The Lady of Lyons』(1838), 『리슐리외』(1839), 『머니』(Money, 1840) 등의 희곡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66] 그러나 그는 자신의 재능을 인정하지 않는 영국 비평가와 독자들을 공공연히 비판하고 외국 비평가들을 칭송하는 등 영국 문단과의 불편한 관계를 이어갔다.[66]
정치인으로서 불워리턴은 처음에는 휘그당 소속으로 하원의원이 되었으나[66], 농업 보호주의를 지지하며 곡물법 폐지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면서 보수당으로 당적을 옮겼다.[66] 그는 뛰어난 지성과 발상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대중 연설에는 능숙하지 못해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는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66] 특히 농업 중심의 귀족주의적 사회 질서를 옹호하고 민주주의의 확산에 비판적인 태도를 보인 그의 정치적 견해는 당대에도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66]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차 더비 백작 내각에서 식민부 장관(1858-1859)을 역임하며 캐나다의 Colony of British Columbia (1858–1866)|브리티시 컬럼비아 식민지영어 창설을 지원하고, 오스트레일리아의 퀸즐랜드주를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분리시키는 등 식민 행정 분야에서 일정한 업적을 남겼다.[66]
개인적으로는 뛰어난 재능에도 불구하고 다소 오만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이로 인해 친구가 적고 고독한 면모를 보였다.[66] 그는 댄디로서 사교계에 알려졌지만, 주류 사교계와는 거리를 두는 경향이 있었다.[66] 또한 서양 점성술이나 수정 구슬 점과 같은 오컬트에 깊은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66]
7. 작품 목록
=== 소설 ===
- Falkland (1827)[9] [https://www.gutenberg.org/ebooks/7761 온라인]
- Pelham; or, Adventures of a Gentleman (1828)[9] [http://www.gutenberg.org/ebooks/7623 온라인]
- The Disowned (1829) [https://www.gutenberg.org/ebooks/7639 온라인]
- Devereux (1829) [https://www.gutenberg.org/ebooks/7630 온라인]
- Paul Clifford (1830) [http://www.gutenberg.org/ebooks/7735 온라인]
- Eugene Aram (1832) [http://www.gutenberg.org/ebooks/7614 온라인]
- Godolphin (1833) [https://www.gutenberg.org/ebooks/7756 온라인]
- Asmodeus at Large (1833)
- 폼페이 최후의 날(The Last Days of Pompeii) (1834) [http://www.gutenberg.org/ebooks/1565 온라인]
- The Pilgrims of the Rhine (1834) [https://www.gutenberg.org/ebooks/8206 온라인]
- 리엔치, 최후의 로마 호민관(Rienzi, the last of the Roman tribunes) (1835)[9] [http://www.gutenberg.org/ebooks/1396 온라인]
- The Student (1835)
- 어니스트 말트래버스; 또는 엘레우시니아(Ernest Maltravers; or The Eleusinia) (1837) [http://www.gutenberg.org/ebooks/7649 온라인]
- 앨리스, 또는 미스터리 (Alice; or, The Mysteries) (1838), 어니스트 말트래버스의 속편 [http://www.gutenberg.org/ebooks/9774 온라인]
- Calderon, the Courtier (1838) [https://www.gutenberg.org/ebooks/9762 온라인]
- 레일라; 또는 그라나다 포위(Leila; or, The Siege of Granada) (1838) [http://www.gutenberg.org/ebooks/9761 온라인]
- 지치: 이야기(Zicci: a Tale) (1838) [http://www.gutenberg.org/ebooks/7608 온라인]
- Night and Morning (1841) [http://www.gutenberg.org/ebooks/9755 온라인]
- 자노니(Zanoni) (1842) [http://www.gutenberg.org/ebooks/2664 온라인]
- 바론 최후의 날(The Last of the Barons) (1843) [http://www.gutenberg.org/ebooks/7727 온라인]
- 루크레티아, 또는 밤의 아이들 (Lucretia; or, The Children of Night) (1846) [http://www.gutenberg.org/ebooks/7691 온라인]
- 헤롤드, 색슨족 최후의 날(Harold, the Last of the Saxons) (1848)[9] [http://www.gutenberg.org/ebooks/7684 온라인]
- 캑스턴가: 가족 사진(The Caxtons: A Family Picture) (1849)[9] [http://www.gutenberg.org/ebooks/7605 온라인]
- 나의 소설, 또는 영국 생활의 다양성(My Novel, or Varieties in English Life) (1853)[9] [https://www.gutenberg.org/ebooks/7714 온라인]
- What Will He Do With It? (1858)[9] [https://www.gutenberg.org/ebooks/7671 온라인]
- The Haunted and the Haunters; or, The House and the Brain (단편 소설, 1859) [http://www.gutenberg.org/ebooks/17953 온라인]
- A Strange Story (1861–1862) [http://www.gutenberg.org/ebooks/7701 온라인]
- 다가오는 종족(The Coming Race) (1871), 재출판: 브릴: 다가오는 종족의 힘(Vril: The Power of the Coming Race) [http://www.gutenberg.org/ebooks/1951 온라인]
- 케넬름 칠링리(Kenelm Chillingly) (1873) [https://www.gutenberg.org/ebooks/7658 온라인]
- 파리지앵(The Parisians) (1873)[9] [https://www.gutenberg.org/ebooks/7749 온라인]
- Pausanias, the Spartan (미완성, 1873)
=== 시 ===
- 이스마엘 (Ismael) (1820)[9][78]
- 실러의 시와 발라드 (The Poems and Ballads of Schiller) (1844), 번역, 베르나르 타우흐니츠(Bernhard Tauchnitz) 출판
- 뉴 티몬 (The New Timon) (1846), 알프레드 테니슨 비판, 익명 출판[9][78]
- 아서 왕 (King Arthur) (1848–1849)[9][78]
=== 희곡 ===
- 라 발리에르 공작 부인 (The Duchess de la Vallière) (1837)
- 리옹의 여인 (The Lady of Lyons) (1838)[63]
- 리슐리외 (Richelieu; Or the Conspiracy) (1839), 1935년 영화 추기경 리슐리외로 각색됨
- 돈 (Money) (1840)
-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나쁘지 않거나, 한 인물에 대한 여러 측면: 5막의 희극 (Not So Bad As We Seem, or, Many Sides to a Character: A Comedy in Five Acts) (1851)
- 정당한 상속자 (The Rightful Heir) (1868), 이전 희곡 ''바다 선장 (The Sea Captain)'' 기반
- 월폴, 또는 모든 사람은 자기 가격을 가지고 있다 (Walpole, or Every Man has his Price)
- 던리 (Darnley) (미완성)
참조
[1]
논문
Lytton, Edward George Earle Lytton Bulwer [formerly Edward George Earle Lytton Bulwer], first Baron Lytton
2004-09-23
[2]
간행물
London Gazette
1866-07-13
[3]
뉴스
Dickens, Browning and Lear: what's in a reputation?
https://www.theguard[...]
2018-03-28
[4]
서적
Encyclopedia of the Romantic Era, 1760–1850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웹사이트
An Appreciation of Lord Bulwer-Lytton
https://io9.gizmodo.[...]
2011-03-10
[6]
뉴스
wonderfully-terrible-writers-discovered
https://www.nytimes.[...]
2022-06-00
[7]
논문
[8]
웹사이트
History of Parliament Online article
http://www.historyof[...]
[9]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A Blighted Life
http://en.wikisource[...]
The London Publishing Office
[11]
서적
Life of Rosina, Lady Lytton, with Numerous Extracts from her Ms. Autobiography and Other Original Documents, published in vindication of her memory
https://archive.org/[...]
Swan Sonnenschein, Lowrey & Co
[12]
서적
Pamphlets and Sketches
https://archive.org/[...]
George Routledge and Sons
[13]
서적
The Herald of Health, and The Water-cure journal
http://babel.hathitr[...]
R. T. Trall & Co
1863-04-00
[14]
문서
Knebworth House Antique Photographs
http://www.knebworth[...]
[15]
서적
Ésotérisme, Gnoses et Imaginaire Symbolique
Peeters
[16]
웹사이트
The Stadium History of Fulham FC
https://www.fulham-f[...]
2020-07-23
[17]
서적
Bulwer Lytton: The Rise and Fall of a Victorian Man of Letters
https://archive.org/[...]
Hambledon Continuum
[18]
웹사이트
Famous people / organisations
http://www.westminst[...]
[19]
서적
Pamphlets and Sketches
https://archive.org/[...]
George Routledge and Sons
[20]
간행물
London Gazette
1838-07-03
[21]
웹사이트
Number 4 – Draft letter from Sir Edward Bulwer Lytton, Secretary of State for the Colonies to Governor Bowen
http://www.archives.[...]
2015-04-05
[22]
웹사이트
Annual report
https://trove.nla.go[...]
Queensland State Archives
2014-00-00
[23]
서적
The West Beyond the West: A History of British Columbia
University of Toronto
[24]
웹사이트
Entry for Richard Clement Moody in Dictionary of Canadian Biography
http://www.biographi[...]
[25]
서적
McGowan's War
New Star Books
[26]
서적
The Imposition of British Culture as Portrayed in the New Westminster Capital Plan of 1859 to 1862
Simon Fraser University
[27]
서적
The Imposition of British Culture as Portrayed in the New Westminster Capital Plan of 1859 to 1862
Simon Fraser University
[28]
서적
Rambling Recollections, Vol. 1
Macmillan and Co., London
[29]
뉴스
Toff and prof to duke it out in literary slugfest
https://www.cbc.ca/n[...]
CBC News
2008-08-17
[30]
논문
Fauntleroy, Henry (1784–1824)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0-12
[31]
웹사이트
Lord Beaconsfield's correspondence with his sister, 1832-1852
https://www.loc.gov/[...]
[32]
서적
Pompeii Awakened: A Story of Rediscovery
https://archive.org/[...]
I.B. Tauris
[33]
서적
The Coming Race
https://books.google[...]
Wesleyan University Press
[34]
웹사이트
May Day, 1871: The Day "Science Fiction" Was Invented
https://io9.gizmodo.[...]
2011-04-29
[35]
서적
The Occult Roots Of Nazism
I.B. Tauris
[36]
웹사이트
Bovril
http://www.unilever.[...]
2012-04-10
[37]
뉴스
'The Coming Race' and 'Vril-Ya' Bazaar and Fete, in joint aid of The West End Hospital, and the School of Massage and Electricity
https://memories.roy[...]
2019-08-27
[38]
서적
Vril. Eine okkulte Urkraft in Theosophie und esoterischem Neonazismus
Wilhelm Fink
2013
[39]
서적
The Cambridge Guide to American Theatre
2007
[40]
서적
John Forster's biography of Dickens
[41]
서적
The Coming Race
https://archive.org/[...]
William Blackwood and Sons
1871
[42]
서적
Paul Clifford
https://books.google[...]
Baudry's European Library
2016-06-07
[43]
서적
The Coming Race
https://books.google[...]
Wesleyan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A to Z of Fantasy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45]
서적
Paul Clifford
https://books.google[...]
Baudry's European Library
[46]
웹사이트
Edward Bulwer-Lytton - Infopédia
https://www.infopedi[...]
2021-08-15
[47]
뉴스
Who really wrote 'it was a dark and stormy night'?
https://www.mprnews.[...]
2015-10-27
[48]
서적
The Wagner Compendium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49]
서적
A Short History of Music in America
https://archive.org/[...]
Thomas Y. Crowell
[50]
서적
The Rise of English Opera
https://archive.org/[...]
J. Lehmann
[51]
서적
Annals of Opera, 1597–1940
https://archive.org/[...]
Rowman and Littlefield
[52]
서적
The Operas of Verdi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3]
서적
Plays by Early American Women, 1775-1850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4]
서적
Dawn to the West: Japanese Literature of the Modern Era
Holt, Rinehart and Winston
[55]
QPN
2015-09-02
[56]
QPN
2017-12-28
[57]
QPN
2020-10-27
[58]
웹사이트
Lytton
http://www.toponymie[...]
Commission de toponymie du Québec
2012-05-16
[59]
서적
History of the school, 1961–1985: Lytton High School
Thomas Adams Printing
1986
[60]
서적
The London Encyclopaedia
Macmillan
[61]
웹사이트
Disraeli: Portrait of a Romantic (TV Mini-Series 1978) - IMDb
http://www.imdb.com/[...]
2021-02-08
[62]
서적
QUEEN VICTORIA ON SCREEN film and television depictions from the silent era to today.
https://www.worldcat[...]
MCFARLAND
2020
[63]
웹사이트
The Lady of Lyons; Or, Love and Pride
http://www.gutenberg[...]
2001-01-01
[64]
웹사이트
Lord Brudenell
https://api.parliame[...]
2019-05-29
[65]
웹사이트
Edward George Bulwer-Lytton, 1st Baron Lytton of Knebworth
http://thepeerage.co[...]
2019-05-28
[66]
DNB
Lytton, Edward George Earle Lytton Bulwer-
[67]
웹사이트
Sir Edward G. D. Bulwer-Lytton: A Brief Biography
https://victorianweb[...]
2024-06-02
[68]
웹사이트
19th Century Fortune-Telling: From the Drawing Room to the Court Room
https://www.mimimatt[...]
2016-01-11
[69]
웹사이트
Lytton, Rosina Anne Doyle Bulwer
https://www.dib.ie/b[...]
2024-06-02
[70]
웹사이트
Getting Even: The Mighty Pen of Lady Bulwer Lytton
https://librarycompa[...]
2017-03-26
[71]
웹사이트
Breaking open the mausoleum to solve a Victorian mystery – Henry Lytton Cobbold of Knebworth House charts life and death of tragic Emily Bulwer-Lytton in new book
https://www.thecomet[...]
2017-03-26
[72]
웹사이트
Women and Girls in Science: Mary Anne Atwood, alchemical thinker and spiritualist
https://blogs.kent.a[...]
2020-02-11
[73]
웹사이트
A Suggestive Inquiry Into Hermetic Mystery by Mary Anne Atwood
https://roseobscurit[...]
null
[74]
웹사이트
7. Edward Bulwer-Lytton and the Coming Race(エドワード・ブルワー=リットンと来るべき種族)
https://medium.com/s[...]
2021-12-31
[75]
웹사이트
A Trout In The Milk: Plotting The Orphic Circle
https://ehbritten.bl[...]
2009-03-25
[76]
백과사전
세계대백과사전(영국문학)
평범사
[77]
논문
清末政治小説の術語、概念の形成と明治政治小説との関わり
https://dl.ndl.go.jp[...]
名古屋大学
2007-11-15
[78]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 (sixth edition), pp. 147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79]
웹사이트
The Lady of Lyons; Or, Love and Pride
http://www.gutenberg[...]
2014-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