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주의 철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성주의 철학은 여성의 경험, 젠더, 성 역할, 사회 구조 등을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분야이다. 여성은 역사적으로 불평등한 대우를 받아왔고, 철학 역시 이러한 경향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나, 근대에 들어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문제의식이 대두되며 여성주의 철학이 발전했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여성의 권리 옹호》와 시몬 드 보부아르의 《제2의 성》은 여성주의 철학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으며, 여성 참정권 운동과 함께 성장했다. 여성주의 철학은 젠더, 여성성, 성 역할, 노동, 권력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자유주의, 마르크스주의, 급진주의 등 다양한 사조로 분화되어 철학적 성차별주의를 비판하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페미니스트 인식론, 윤리학, 현상학, 미학 등 하위 분야를 통해 지식, 윤리, 경험, 예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여성주의적 관점을 탐구하며, 여러 사상가들의 기여와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세계의 역사에서 여성은 오랫동안 불평등한 처우를 받아왔으며, 가부장제와 종교는 이러한 불평등을 심화시켰다. 철학 역시 이러한 틀에서 벗어나지 않아 여성을 학문의 주체로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23][25] 근대에 이르러 사회적 배제와 불평등을 사회구조의 문제로 파악하기 시작하는 사상이 생겨났고, 사회계약론과 같은 계몽주의 사상은 자연권으로서 인권을 주장하였다. 이는 미국 독립 선언과 프랑스 혁명 시기의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 등을 통해 선포되었다. 그러나 18세기 말 인권이 보편적 가치라고 확신한 이들 조차 어린이, 광인, 수형자 또는 외국인, 그리고 여성을 정치 참여가 불가한 존재로 여겼다.[26]
여성주의 철학은 철학 일반이 다루는 모든 범주에 대해 여성주의 관점에서 비판과 재구성을 수행한다. 여성주의 철학은 젠더에 대한 중심적인 관심사로 통합되며, 여성의 정의에 대한 일종의 헌신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3] 여성주의 철학자들은 분석철학과 대륙철학 전통 모두에서 발견되며, 여성주의자로서 다양한 여성주의 운동 및 이념에 속할 수도 있다.[2]
페미니스트 인식론은 객관적, 보편적 또는 가치 중립적인 지식과 합리성에 대한 전통적인 철학적 개념에 도전하며, 지식을 생성하는 데 있어 관점, 사회적 상황 및 가치의 중요성을 주장한다. 페미니스트 윤리학은 전통적인 도덕적 사고에서 객관성, 합리성 및 보편성에 대한 강조가 여성의 윤리적 현실을 배제한다고 주장하며, 배려 윤리를 발전시켜왔다.[3] 페미니스트 현상학은 인지 능력과 사회 질서 내에서의 규범성 구성이 개인의 현실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조사하며, 성별화된 신체적 경험, 상호주관성을 다룬다.[8] 페미니스트 미학은 예술과 미학적 이론화에서 성별과 성의 역할에 관한 문제를 다루며,[10] 페미니스트 형이상학은 주로 성별과 성의 구분의 존재론과 사회적 구성의 본질에 초점을 맞춘다.[12] 페미니스트 과학 철학은 과학 지식의 생산과 방법론이 편견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는 데 도전하며, 과학의 관행을 가치 중립이 아닌 가치 풍부한 것으로 인식한다.[16]
여성주의는 사회적 상황, 종교 신념, 성/젠더 역할 등에 대한 다양한 생각에 따라 여러 사조를 보인다. 철학과 관련이 깊은 사조로는 개인주의적 여성주의, 급진적 여성주의, 마르크스주의 여성주의,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생태여성주의, 실존주의 여성주의, 보수여성주의, 분석여성주의, 아나코 여성주의, 자유주의적 여성주의, 포스트구조주의적 여성주의, 포스트모던 여성주의, 해체주의 여성주의 등이 있다.
여성주의 철학의 발전에 기여한 주요 사상가들은 다음과 같다.
2. 역사
장자크 루소는 《에밀》에서 여성을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로 묘사하였으나,[27]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의 권리 옹호》에서 루소의 주장을 비판하며 여성의 권리를 옹호하였다.[29][30] 여성주의 철학은 참정권 운동과 함께 발전하였으며, 프랑스에서 여성의 참정권이 처음 논의된 것은 1900년 국민회의였고, 1945년이 되어서야 여성 참정권이 보장되었다.[31] 러시아는 1917년,[32] 미국은 1965년,[33][34] 영국은 1928년에[35] 여성에게 참정권이 인정되었다.
시몬 드 보부아르의 《제2의 성》은 사회적 성(Gender) 개념을 제시하며 여성주의 철학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37][38] 보부아르는 여성이 생물학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만들어진다"고 주장하였다.[42] 보부아르 이후 여성주의는 여러 사상으로 분화되었으며, 제2세대 여성주의는 참정권 운동과는 다른 흐름을 형성하였다.[43] 오늘날 여성주의는 자유주의적 여성주의, 마르크스주의 여성주의, 급진적 여성주의,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생태여성주의 등 다양한 갈래로 나뉘며, 여러 철학 사조와 영향을 주고받는다.[44][28]
3. 주요 논점
여성주의 철학의 대표적인 주제는 다음과 같다.[45]
여성주의 철학은 다음의 세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여성주의적 관심사와 관점에 대해 명확히하고 이론화하기 위해 철학적 방법론과 이론을 활용한다. 둘째, 철학적 전통 내의 성차별주의와 남성중심주의를 조사한다. 셋째, 철학적 전통에 대한 비판적 탐구와 젠더에 대한 관심에 비추어 기존 질문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과 새로운 질문 및 연구 분야로 철학에 기여한다.[3]
여성주의 철학은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제2 물결 여성주의 담론과 관련하여 그 이름이 붙여졌으며, 제2 물결 동안 많은 이론은 주로 직장과 교육에서의 성 평등에 초점을 맞추었다.[5] 제3 물결 여성주의 운동에서 등장한 여성주의 철학의 중요한 프로젝트는 교차성의 다양한 경험, 즉 다양한 인종 집단의 여성과 사회 경제적 계층, 그리고 국제 여성주의의 전 세계 여성의 경험을 통합하는 것이었다.
3. 1. 한국 사회와 여성주의 철학
4. 하위 분야
5. 사조
6. 주요 사상가
7. 페미니스트 철학에 대한 비판
페미니스트 철학의 비판자는 정치적 혹은 문화적 운동으로서의 페미니즘을 비판하고 있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비판받는 것은 "페미니스트 철학"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되고 있는 철학적 입장의 일부에 대한 것이다.
페미니스트 철학을 어떤 형태로든 비판하고 있는 저술가나 사상가에는 수잔 허크, 폴 그로스, 노먼 레비트, 에스터 빌라 등이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철학자 마이클 엘드레드는 젠더 문제에 관해 현상학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연구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남성성과 여성성은 각각 남성과 여성에게 떼려야 뗄 수 없이 귀속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스스로를 "누구"라고 현전시킬 때 가지는 성질 중 하나이며,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열려 있다. "여성적"인 존재는, 따라서 당신-나 사이에 생기는 "틈새(interstitial)"적인 만남의 양태 중 하나로 생각될 수 있으며, 스스로가 무엇인지를 규정하는 자기 현전에서 발견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독일의 변증법 철학이나 하이데거에 의한 그리스의 존재론에 대한 회귀적 질문에서 계승된 것이다. 하이데거는 그 질문을 통해 (인간) 존재가 취할 수 있었던, 숨겨진 다른 가능한 역사적 양태를 구하고, 이미 확립된 서양의 "실체적" 현전 양태와는 다른 가능성을 모색했다.
참조
[1]
웹사이트
Feminist Philosophy
https://iep.utm.edu/[...]
2020-09-14
[2]
서적
Feminism and Philosophy: Perspectives on Difference and Equality
Indiana University Press
1991
[3]
서적
The Blackwell Guide to Feminist Philosophy
Blackwell Publishing
2007
[4]
웹사이트
philosophical feminism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1-21
[5]
서적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2-11-21
[6]
서적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https://www.research[...]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7]
논문
Feminine and Feminist Ethics and Service Learning Site Selection: The Role of Empathy
2014
[8]
논문
Sexual Experience: Foucault, Phenomenology, and Feminist Theory
2011
[9]
서적
Time in Feminist Phenomenology
Indiana University Press
2011
[10]
논문
Philosophical aspects of understanding the trend of feminist aesthetics
http://st-hum.ru/con[...]
2015
[11]
서적
Beyond feminist aesthetics: Feminist literature and social chan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12]
논문
Substantivity in feminist metaphysics
2017
[13]
Podcast
Always/Already Podcast: Episode 12 – Living alterities: phenomenology, embodiment, and race
https://alwaysalread[...]
2014-11-23
[14]
논문
On the apparent antagonism between feminist and mainstream metaphysics
2017
[15]
논문
XV-Going Beyond the Fundamental: Feminism in Contemporary Metaphysics
2014
[16]
서적
Conflicts in feminism
Routledge
1990
[17]
논문
Feminist philosophy of science: history, contributions, and challenges
2010
[18]
서적
Feminism and Philosophy: Perspectives on Difference and Equality
Indiana University Press
1991
[19]
웹사이트
Barely encountering you
http://www.arte-fact[...]
2005
[20]
웹사이트
Metaphysics of Feminism: A Critical Note on Judith Butler's Gender Trouble
http://www.arte-fact[...]
2008
[21]
서적
Phänomenologie der Männlichkeit
Roell, Dettelbach
1999
[22]
서적
Feminism and Philosophy: Perspectives on Difference and Equality
Indiana University Press
1991
[23]
간행물
한국여성연구소
1999
[24]
문서
고전시대의 여성 철학자
[25]
서적
짧고 깊은 철학 50
https://books.google[...]
흐름출판
2014
[26]
서적
인권의 발명
돌베개
2009
[27]
서적
Emile
Dent and Sons
1972
[28]
논문
젠더와 섹슈얼리티, 그리고 페미니즘
철학연구회
2003
[29]
서적
The Vindications: The Rights of Men and The Rights of Woman
Broadview Press
1997
[30]
서적
Revolutionary Feminism: The Mind and Career of Mary Wollstonecraft
St. Martin's
1992
[31]
서적
프랑스 여성
시스마북스
2008
[32]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17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3]
뉴스
Suffrage Wins in Senate; Now Goes to States
http://sourcebooks.f[...]
뉴욕타임즈
1919-06-05
[34]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Federal Voting Rights Laws: The Effect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www.justice.g[...]
U.S. Department of Justice
[35]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modern world, Volume 7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36]
뉴스
고법 "서울YMCA 여성회원자격제한은 성차별"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02-10
[37]
서적
The Second Sex
Random House: Alfred A. Knopf
2009
[38]
서적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 2
휴머니스트
2006
[39]
문서
Gender의 언어학적 의미
[40]
서적
길을 찾아 - 꺼지지 않는 불꽃처럼
웅진닷컴
2004
[41]
서적
103인의 현대 사상
민음사
2003
[42]
간행물
(제목 없음)
한국여성연구소
1999
[43]
간행물
(제목 없음)
한국여성연구소
1999
[44]
간행물
(제목 없음)
한국여성연구소
1999
[45]
문서
여성학의 일반적인 주제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