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1759년 런던에서 태어나 1797년 사망한 영국의 작가이자 여성주의 철학자이다. 그는 여성의 교육과 권리를 옹호하며, 대표 저서인 『여성의 권리 옹호』(1792)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프랑스 혁명에 대한 저술과 소설을 통해 부권적 결혼 제도의 문제점을 비판했으며, 19세기 여성 참정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주의적 여성주의자 - 베티 프리던
    베티 프리던은 《여성의 신비》 저술, 전미 여성 기구 공동 설립 및 초대 회장 역임, 전미 낙태법 폐지 협회 창립 등 20세기 후반 미국 여성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친 작가이자 페미니스트, 여성 운동가이다.
  • 독일어-영어 번역가 - 존 웨슬리
    존 웨슬리는 영국 성공회 사제이자 감리교 운동의 창시자로서, 순회 설교와 속회 조직, 평신도 설교자 임명을 통해 감리교 운동을 확산시키고, 아르미니우스주의를 옹호하며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강조하며 사회 개혁에 힘썼으며, 그의 신학 사상은 여러 교파에 영향을 미쳤다.
  • 독일어-영어 번역가 - 마이클 헨리 헤임
    마이클 헨리 헤임은 미국의 번역가이자 UCLA 교수로서, 러시아어, 체코어, 독일어 등 다양한 언어의 문학 작품을 영어로 번역하여 세계 문학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데 기여했으며, 번역가 지원과 18세기 러시아 작가 연구에도 힘썼다.
  • 차트 - 아소 다로
    아소 다로는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아소 시멘트 사장을 역임하고 1979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여러 요직을 거쳐 제92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며 현재 자유민주당 부총재 및 최고 고문이다.
  • 차트 - 요시다 시게루
    요시다 시게루는 친미·친영 성향으로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과 미일 안보 조약 체결을 주도하고 경제 재건 중심의 '요시다 독트린'을 추진하여 일본 고도 경제 성장의 기반을 마련한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이며 네 차례 총리를 역임했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흰색 드레스를 입은 여성이 왼쪽을 바라보는 반신 초상화
울스턴크래프트, 1797년경
이름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출생일1759년 4월 27일
출생지스피탈필즈, 런던, 잉글랜드
사망일1797년 9월 10일
사망지소머스타운, 런던, 잉글랜드
배우자윌리엄 고드윈(1797년)
파트너헨리 푸젤리
길버트 임레이
자녀프랜시스 "패니" 임레이
메리 셸리
로마자 표기/ˈwʊlstən.krɑːft/
UK: /-krɑːft/
별명여성주의의 어머니
직업
직업작가, 지식인
분야역사철학, 인권옹호
학문적 배경
시대18세기 계몽시대
학파계몽주의, 여성주의
영향받음계몽주의(루소, 페인, 볼테르, …)
영향을 줌여성주의(울프, 골드만, 브라우닝, 모트, 스탠턴, 엘리엇, 용 …)
영국의 여성선거권운동
낭만주의(워즈워스, 콜리지, 오스틴, …)
학력독학
지도 학생마거릿 킹
저서
대표작여성의 권리 옹호
가족
부모에드워드 존 울스턴크래프트 (부)
엘리자베스 딕슨 (모)
형제자매여동생 애버리나, 엘리자 등 7남매
자녀장녀 패니 임레이
차녀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셸리
친인척퍼시 비시 셸리 (사위)
퍼시 플로렌스 셸리 (외손자)
국적 및 거주
국적영국
미국
거주지영국
프랑스 제1공화국
기타 정보
사망 원인산욕열
안장지본머스 세인트피터스 교회

2. 생애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1759년 4월 27일 런던 스피탈필즈에서 잉글랜드계 아일랜드인 가정의 7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163][4][5] 아버지 에드워드 존 울스턴크래프트는 유복한 집안 출신이었으나, 투기로 가산을 탕진하고 가정폭력을 일삼았다.[164] 재정적으로 궁핍해진 가족은 울스턴크래프트의 유년기에 이곳저곳 옮겨 다녀야 했다.[164][6]

울스턴크래프트는 어머니를 보호하고 여동생들을 돌보며 성장했다.[165] 10대 시절 울스턴크래프트는 어머니를 지키기 위해 어머니 침실 문 앞에 누워있곤 했다.[165][7] 1784년에는 산후우울증으로 추측되는 증세에 고통받던 여동생 엘리자를 위해 사회 규범에 도전하며 엘리자가 가정에서 해방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했다.[166][8]

제인 아든, 패니 프랜시스 블러드와의 우정은 울스턴크래프트의 초기 생애에 큰 영향을 미쳤다.[167][168][169] 특히 블러드는 울스턴크래프트가 자신의 마음을 열고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69][11] 울스턴크래프트는 블러드와 함께 여성 유토피아를 꿈꾸기도 했지만, 경제적 현실 때문에 실현되지는 못했다.[172]

1778년, 울스턴크래프트는 독립하여 바스의 사라 도슨의 말벗으로 일했지만, 성마른 도슨과의 생활에 고통받았다.[170] 1780년 어머니가 죽자, 울스턴크래프트는 임종을 지키기 위해 집으로 돌아갔다.[170][12] 어머니가 죽은 뒤, 블러드 가족과 함께 지내던 울스턴크래프트는 블러드를 이상화했음을 깨달았지만, 평생 블러드 및 그 가족과 우정을 유지했다.[171][13]

1785년, 울스턴크래프트는 블러드를 간호하기 위해 리스본으로 떠났지만, 블러드는 결국 사망했다.[173] 블러드의 죽음은 울스턴크래프트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고, 이는 그의 첫 장편소설 『메리, 한 편의 소설』(1788년)의 소재가 되었다.[175]

1790년–91년의 울스턴크래프트. 존 오피 그림.


1788년 울스턴크래프트는 동화인 『실생활 속의 새로운 이야기들』을 출간하였다.[178] 킹스버러 가의 가정교사로 일했으나, 킹스버러 부인과는 사이가 좋지 못했다.[176] 아이들에게는 훌륭한 선생님이었으며, 그 댁 딸인 마거릿 킹은 훗날 울스턴크래프트가 “자신의 정신을 모든 미신으로부터 해방시켰다”고 회고했다.[177] 지위는 있지만 가난한 여성에게 허락된 직업 선택의 폭이 좁음에 불만을 품은 울스턴크래프트는 가정교사 일을 한 지 1년만에 저술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1787년 여동생에게 쓴 편지에서 그는 자신이 “신속(新屬)의 첫 번째(the first of a new genus)”가 되고자 한다고 썼다.[179]

1787년, 가정교사 생활을 청산하고 저술가로서의 삶을 시작하기로 결심한 울스턴크래프트는[21] 런던으로 이주하여 진보 성향의 출판업자 조지프 존슨(출판인)의 도움을 받아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거처와 일자리를 구했다.[22] 존슨의 소개로 울스턴크래프트는 런던 사우스워크(Southwark)의 돌벤 스트리트(Dolben Street)에 거주하게 되었는데, 이곳은 1769년 블랙프라이어스 다리(Blackfriars Bridge)가 개통된 후 발전하고 있는 지역이었다.[25] 그는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배워 자크 네케르의 『종교적 의견의 중요성에 관하여』, 크리스티안 고트힐프 잘츠만의 『아동을 위한 도덕성 제요』 등 여러 서적을 번역했다.[23] 1788년 존슨이 잡지 『분석평론』을 창간하자, 울스턴크래프트는 이 잡지의 주요 기고자로 활동하며 주로 소설에 대한 평론을 기고했다. 또한, 존슨의 주선으로 여러 지식인 및 급진적 사상가들과 교류하게 되었는데, 존슨의 식사자리에 참여하여 토마스 페인, 윌리엄 고드윈 등의 급진적 작가 및 철학자들과 교류했다.[24] 고드윈과의 첫 만남은 서로에게 실망스러웠는데, 울스턴크래프트가 밤새도록 그를 공격하며 거의 모든 주제에 대해 의견을 달리했기 때문이었다.[24] 그러나 울스턴크래프트는 존슨을 친구 이상으로 여겼으며, 편지에서 그를 아버지나 형제와 같은 사람이라고 묘사했다.[24]

런던에 있는 동안 울스턴크래프트는 화가 헨리 퓨젤리와 교제했는데, 퓨젤리는 당시 유부남이었다.[28] 울스턴크래프트는 퓨젤리의 천재성, 영혼의 위대함, 이해의 신속함, 사랑스러운 연민에 매료되었다고 썼다.[28] 그는 퓨젤리 부부에게 플라토닉한 관계를 맺자고 제안하기도 했으나, 퓨젤리의 아내는 이 제안을 거부했고, 퓨젤리와 울스턴크래프트 사이의 관계는 파국을 맞았다.[29] 이 사건으로 받은 수모를 잊기 위해 울스턴크래프트는 혁명기 프랑스로 여행을 갔다. 당시 울스턴크래프트는 에드문드 버크가 프랑스 혁명의 성찰에서 프랑스 혁명을 보수적 논조로 비난한 것에 대한 답서로 『인간의 권리 옹호』(1790년)를 저술하여 다소 유명해져 있었으며, 이를 통해 울스턴크래프트의 이름이 하룻밤 새 널리 알려졌다. 울스턴크래프트는 버크에 대한 가장 유명한 논박서인 『인간의 권리』(1791년)를 쓴 토머스 페인이나 진보적 신학자이자 논객 조지프 프리스틀리와 동렬에서 비교되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인간의 권리 옹호』에서 개요를 갖춘 사상들을 계속 밀어붙여 그의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작품 『여성의 권리 옹호』(1792년)를 저술했다.[185]

사진 상단 3분의 2는 연기가 자욱하고, 전경에는 죽은 경비병들이 흩어져 있으며, 오른쪽 아래에는 백병전과 말이 등장하는 전투 장면이 있다.
8월 10일 튈르리 궁전 공격; 프랑스 혁명의 폭력이 확산됨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스위스 출생으로 영국에서 활동하던 낭만주의 화가 헨리 퓨즐리(Henry Fuseli; 원래 독일어로는 요한 하인리히 퓨슬리 Johann Heinrich Füssli)와 사랑에 빠졌으나, 기혼자인 퓨즐리에 대한 마음을 접고, 당시 진행 중이던 프랑스 혁명의 상황을 관찰하기 위해 홀로 영국을 떠나 프랑스 수도 파리로 간다. 1792년 12월 울스턴크래프트는 파리로 떠났고, 루이 16세가 단두대에서 처형되기 약 한 달 전에 도착했다.[34] 영국과 프랑스는 전쟁 직전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프랑스로 가지 말라고 말렸다.[186] 프랑스는 아수라장이었다. 그는 헬렌 마리아 윌리엄스를 비롯한 다른 영국인들과 함께 당시 파리 내부의 국외거주자 모임에 참석했다.[35]

1792년 12월 26일, 울스턴크래프트는 전 국왕 루이 16세가 국민의회 앞으로 재판을 받으러 가는 것을 보았고, 그녀 자신도 놀랍게도 "루이가 자신의 성격에서 기대했던 것보다 더 큰 품위를 가지고 마차에 앉아 죽음을 맞이하러 가는 것을 보았을 때, 눈물이 저절로 흘러나왔다. 그의 가문의 많은 사람들이 승리했던 곳에서"라고 적었다.[37] 파리 체류 기간 동안 울스턴크래프트는 과격파 자코뱅보다는 온건파 지롱드와 주로 교유했다.[37]

프랑스는 1793년 2월 영국에 선전포고를 했다.[38] 울스턴크래프트는 프랑스를 떠나 스위스로 가려고 했지만 허락을 받지 못했다.[38] 3월 공안위원회와 혁명재판소의 설립은 점점 더 전체주의적인 정권의 증상이었다.[38] 프랑스에서 외국인들의 삶은 매우 어려워졌다.[38] 처음에는 경찰 감시를 받았고, 거주 허가를 받으려면 공화국에 대한 충성을 증명하는 프랑스인 6명의 서면 진술서를 제출해야 했다. 그런 다음 1793년 4월 12일, 모든 외국인은 프랑스를 떠나는 것이 금지되었다.[39] 혁명에 대한 그녀의 동정심에도 불구하고, 울스턴크래프트의 삶은 매우 불편해졌고, 지롱드파가 자코뱅파에게 패배했기 때문에 더욱 그러했다.[39] 자코뱅파가 적들을 몰살하려고 하면서 울스턴크래프트의 프랑스 친구들 중 일부는 단두대에서 목숨을 잃었다.[39]

《여성의 권리》를 갓 집필한 울스턴크래프트는 자신의 사상을 실험해보고자 했고, 활기찬 지적 분위기의 프랑스 혁명 속에서 그녀는 가장 실험적인 낭만적 애정을 시도했습니다. 그녀는 미국인 모험가 길버트 임레이(Gilbert Imlay)를 만나 열렬히 사랑에 빠졌다. 1793년, 파리에서 미국인 길버트 임레이와 사랑에 빠져 동거를 시작하지만, 자신이 경제적으로 부양해야 하는 아버지와 많은 형제자매의 부담을 피하기 위해 결혼은 선택하지 않았다. 울스턴크래프트는 결혼하지 않았음에도 임레이와 동침함으로써 자신의 원칙을 실천했는데, 이는 "존경받는" 영국 여성에게는 용납할 수 없는 행동이었다.[39] 그녀가 결혼에 관심이 있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그는 결혼에 관심이 없었고, 그녀는 그 남자에 대한 이상화에 사랑에 빠진 것으로 보입니다. 《여성의 권리》에서 관계의 성적 측면을 거부했음에도 불구하고, 울스턴크래프트는 임레이가 그녀의 성적 흥미를 깨웠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40]

군주국 영국의 여성을 공격할 수도 있는 혁명가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파리에서는 임레이 부인(Mrs. Imlay)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때 임레이는 프랑스의 식량 부족과 끊임없이 증가하는 인플레이션을 악화시킨 영국의 프랑스 해상봉쇄를 이용하여 미국에서 식량과 비누를 가져오는 선박을 임대하여 영국 왕립 해군을 피해 프랑스인들에게 프리미엄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었다.[41] 임레이의 봉쇄 돌파는 일부 자코뱅파의 존경과 지지를 얻어, 그가 바랐던 대로 테러 시대 동안 그의 자유를 보장했다.[43] 울스턴크래프트를 체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임레이는 파리의 미국 대사관에 그녀와 결혼했다는 허위 진술을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그녀를 미국 시민으로 만들었다.[44] 그녀의 친구들 중 일부는 그렇게 운이 좋지 않았다. 많은 사람들이 체포되었다. 그녀의 자매들은 그녀가 투옥되었다고 믿었다.[45]

울스턴크래프트는 자코뱅파 통치하의 삶을 "악몽 같다"고 불렀다. 공화국에 대한 충분한 헌신을 하지 못했다는 의심을 받지 않기 위해 모든 사람이 자신을 보여주고 열렬히 환호해야 하는 거대한 낮 행렬과, "공화국의 적"을 체포하기 위한 밤의 경찰 급습이 있었다.[39]

울스턴크래프트는 곧 임레이에게서 임신했고, 1794년 5월 14일 그녀는 첫 아이인 패니 임레이를 낳았는데, 아마도 그녀의 가장 친한 친구의 이름을 따서 지었습니다.[46] 울스턴크래프트는 매우 기뻐했고, 친구에게 "제 작은 딸이 매우 씩씩하게 젖을 빨기 시작해서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가 《여성의 권리》 2부를 쓸 거라고 장담합니다"(강조는 그녀의 것)라고 썼습니다.[47] 그녀는 임신과 외국에서 홀로 새 어머니가 된 짐, 그리고 프랑스 혁명의 점점 커지는 소란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글을 계속 썼다. 프랑스 북부 르 아브르에 있는 동안 그녀는 초기 혁명의 역사인 《프랑스 혁명의 역사적이고 도덕적인 관점》을 썼는데, 이 책은 1794년 12월 런던에서 출판되었다.[48] 가정적인 그리고 모성적인 울스턴크래프트에게 불만을 느낀 임레이는 결국 그녀를 떠났다. 그는 르 아브르에 있는 그녀와 패니에게 돌아오겠다고 약속했지만, 그녀에게 편지를 쓰는 데 지연되고 오랫동안 자리를 비운 것은 울스턴크래프트에게 그가 다른 여자를 찾았다는 확신을 주었습니다.

두 사람 사이에 딸이 태어나 파니(Fanny)라고 이름 짓는다. 임레이는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사업 대리인을 구하며, 사실혼 관계인 메리가 그 역할을 맡아 파리를 떠난다. 북유럽에서 메리가 받은 임레이의 편지는 매우 냉담했고, 임레이에게 버려졌음을 알게 된다. 1795년 10월, 런던으로 돌아온 메리는 폭우가 쏟아지는 밤, 런던 서부 교외 퍼트니 브리지(Putney Bridge)에서 템스강으로 투신 자살을 시도하지만 구조된다.

제임스 노스코트의 윌리엄 고드윈 초상화. 1802년 캔버스에 유화. 런던 국립초상화랑 소장.


울스턴크래프트는 1795년 4월 임레이를 찾아 런던으로 귀국했지만, 임레이는 재결합을 거부했다.[203][58] 5월에는 아편팅크를 이용해 자살을 시도했으나, 임레이가 그녀를 살렸다.[203] 이후 스칸디나비아로 사업차 떠났던 울스턴크래프트는 1796년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에서의 짧은 체류 동안 쓴 편지』를 출간했다.[204][59] 잉글랜드로 돌아온 후, 울스턴크래프트는 임레이와의 관계가 끝났음을 인정하고 템스강에 투신하여 두 번째 자살을 시도했지만, 지나가던 사람에 의해 구조되었다.[206][61]

이후 울스턴크래프트는 조지프 존슨의 모임에 다시 참여하며 메리 헤이스, 엘리자베스 인치발드, 사라 시던스 등과 교류했고, 윌리엄 고드윈과 다시 만나 교제를 시작했다.[208] 고드윈은 그녀의 책을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전해진다.[209][154] 울스턴크래프트는 고드윈의 아이를 임신했고, 아이의 법적 지위를 위해 1797년 3월 29일 결혼했다.[210][64] 두 사람은 소머스타운으로 이주하여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며 서신으로 소통하는 행복하고 안정된 생활을 했다.[211][65][66][67]

윌리엄 고드윈의 『여성의 권리 옹호의 저자에 관한 회고록』(1798년) 속표지.


1797년 8월 30일, 울스턴크래프트는 딸 메리 셸리를 낳았으나, 출산 중 태반 파열로 인한 감염으로 산욕열을 앓게 되었다.[213][68] 며칠간의 고통 끝에 9월 10일 패혈증으로 3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14][69] 고드윈은 큰 슬픔에 빠졌고,[215][70] 그녀는 세인트팽크라스 구교회 묘지에 안장되었다.[216][71]

1789년 1월, 고드윈은 아내에 대한 사랑과 존경을 담아 『여성의 권리 옹호의 저자에 관한 회고록』을 출간했지만, 이 책은 울스턴크래프트의 사생활을 폭로하여 논란을 일으켰다.[217] 1851년 울스턴크래프트의 외손자 퍼시 플로렌스 셸리는 외할머니의 유해를 본머스 세인트피터스 교회의 가족묘역에 이장했다.[220]

2. 1. 어린 시절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1759년 4월 27일 런던 스피탈필즈에서 잉글랜드계 아일랜드인 가정의 7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163][4][5] 아버지 에드워드 존 울스턴크래프트는 유복한 집안 출신이었으나, 투기로 가산을 탕진하고 가정폭력을 일삼았다.[164] 재정적으로 궁핍해진 가족은 울스턴크래프트의 유년기에 이곳저곳 옮겨 다녀야 했다.[164][6]

울스턴크래프트는 어머니를 보호하고 여동생들을 돌보며 성장했다.[165] 10대 시절 울스턴크래프트는 어머니를 지키기 위해 어머니 침실 문 앞에 누워있곤 했다.[165][7] 1784년에는 산후우울증으로 추측되는 증세에 고통받던 여동생 엘리자를 위해 사회 규범에 도전하며 엘리자가 가정에서 해방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했다.[166][8]

제인 아든, 패니 프랜시스 블러드와의 우정은 울스턴크래프트의 초기 생애에 큰 영향을 미쳤다.[167][168][169] 특히 블러드는 울스턴크래프트가 자신의 마음을 열고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69][11] 울스턴크래프트는 블러드와 함께 여성 유토피아를 꿈꾸기도 했지만, 경제적 현실 때문에 실현되지는 못했다.[172]

1778년, 울스턴크래프트는 독립하여 바스의 사라 도슨의 말벗으로 일했지만, 성마른 도슨과의 생활에 고통받았다.[170] 1780년 어머니가 죽자, 울스턴크래프트는 임종을 지키기 위해 집으로 돌아갔다.[170][12] 어머니가 죽은 뒤, 블러드 가족과 함께 지내던 울스턴크래프트는 블러드를 이상화했음을 깨달았지만, 평생 블러드 및 그 가족과 우정을 유지했다.[171][13]

1785년, 울스턴크래프트는 블러드를 간호하기 위해 리스본으로 떠났지만, 블러드는 결국 사망했다.[173] 블러드의 죽음은 울스턴크래프트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고, 이는 그의 첫 장편소설 『메리, 한 편의 소설』(1788년)의 소재가 되었다.[175]

2. 2. 성년기

1788년 울스턴크래프트는 동화인 『실생활 속의 새로운 이야기들』을 출간하였다.[178] 킹스버러 가의 가정교사로 일했으나, 킹스버러 부인과는 사이가 좋지 못했다.[176] 아이들에게는 훌륭한 선생님이었으며, 그 댁 딸인 마거릿 킹은 훗날 울스턴크래프트가 “자신의 정신을 모든 미신으로부터 해방시켰다”고 회고했다.[177]

지위는 있지만 가난한 여성에게 허락된 직업 선택의 폭이 좁음에 불만을 품은 울스턴크래프트는 가정교사 일을 한 지 1년만에 저술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1787년 여동생에게 쓴 편지에서 그는 자신이 “신속(新屬)의 첫 번째(the first of a new genus)”가 되고자 한다고 썼다.[179] 런던으로 이사가서 진보 성향의 출판업자 조지프 존슨의 도움으로 거처와 일자리를 구했다.[180] 그는 불어와 독어를 배우고 번역 일을 했다.[181] 자크 네케르의 『종교적 의견의 중요성에 관하여』, 크리스티안 고트힐프 잘츠만의 『아동을 위한 도덕성 제요』가 울스턴크래프트가 옮긴 책들 중 유명하다. 또한 존슨의 정기간행물 『분석평론』 지에 주로 소설 평론을 투고했다. 울스턴크래프트의 지적 우주는 이 시기에 크게 팽창했는데, 이는 평론을 위해 읽은 책들 뿐 아니라 런던에서 새로 사귀게 된 사람들 덕분이기도 했다. 그는 존슨의 식사자리에 참여하며 급진적 작가 토머스 페인, 철학자 윌리엄 고드윈 등과 만나 교류했다. 울스턴크래프트와 고드윈의 첫 만남은 페인의 소식을 들으러 온 고드윈에게 울스턴크래프트가 거의 모든 주제에서 의견이 불일치하자 그날 밤 내내 공격을 퍼부었기 때문에 다소 좋지 못했다. 그러나 존슨의 경우 친구 이상의 존재로서 편지에 그를 아버지나 오라비 같은 사람이라고 쓰곤 했다.[182]

런던에 있는 동안 울스턴크래프트는 화가 헨리 퓨젤리와 사귀게 되었는데, 퓨젤리는 유부남이었다. 퓨젤리에게 홀딱 빠진 울스턴크래프트는 퓨젤리의 “천재성, 그 영혼의 위엄성, 그 이해의 신속함, 사랑스러운 연민”을 상찬했다.[183] 울스턴크래프트는 퓨젤리 부부에게 플라토닉한 관계를 맺자고 제안하기도 했으나, 퓨젤리의 처는 질겁하면서 거부했고, 퓨젤리와 울스턴크래프트 사이의 관계도 깨졌다.[184] 이 사건으로 받은 수모를 잊기 위해 울스턴크래프트는 혁명기 프랑스로 여행을 갔다. 당시 울스턴크래프트는 에드문드 버크가 프랑스 혁명의 성찰에서 프랑스 혁명을 보수적 논조로 비난한 것에 대한 답서로 『인간의 권리 옹호』(1790년)를 저술하여 다소 유명해져 있었으며, 이를 통해 울스턴크래프트의 이름이 하룻밤 새 널리 알려졌다. 울스턴크래프트는 버크에 대한 가장 유명한 논박서인 『인간의 권리』(1791년)를 쓴 토머스 페인이나 진보적 신학자이자 논객 조지프 프리스틀리와 동렬에서 비교되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인간의 권리 옹호』에서 개요를 갖춘 사상들을 계속 밀어붙여 그의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작품 『여성의 권리 옹호』(1792년)를 저술했다.[185]

2. 3. 작가로서의 삶

1787년, 가정교사 생활을 청산하고 저술가로서의 삶을 시작하기로 결심한 울스턴크래프트는[21] 런던으로 이주하여 진보 성향의 출판업자 조지프 존슨(출판인)의 도움을 받아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거처와 일자리를 구했다.[22] 존슨의 소개로 울스턴크래프트는 런던 사우스워크(Southwark)의 돌벤 스트리트(Dolben Street)에 거주하게 되었는데, 이곳은 1769년 블랙프라이어스 다리(Blackfriars Bridge)가 개통된 후 발전하고 있는 지역이었다.[25] 그는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배워 자크 네케르의 『종교적 의견의 중요성에 관하여』, 크리스티안 고트힐프 잘츠만의 『아동을 위한 도덕성 제요』 등 여러 서적을 번역했다.[23] 1788년 존슨이 잡지 『분석평론』을 창간하자, 울스턴크래프트는 이 잡지의 주요 기고자로 활동하며 주로 소설에 대한 평론을 기고했다. 또한, 존슨의 주선으로 여러 지식인 및 급진적 사상가들과 교류하게 되었는데, 존슨의 식사자리에 참여하여 토마스 페인, 윌리엄 고드윈 등의 급진적 작가 및 철학자들과 교류했다.[24] 고드윈과의 첫 만남은 서로에게 실망스러웠는데, 울스턴크래프트가 밤새도록 그를 공격하며 거의 모든 주제에 대해 의견을 달리했기 때문이었다.[24] 그러나 울스턴크래프트는 존슨을 친구 이상으로 여겼으며, 편지에서 그를 아버지나 형제와 같은 사람이라고 묘사했다.[24]

런던에 있는 동안 울스턴크래프트는 화가 헨리 퓨젤리와 교제했는데, 퓨젤리는 당시 유부남이었다.[28] 울스턴크래프트는 퓨젤리의 천재성, 영혼의 위대함, 이해의 신속함, 사랑스러운 연민에 매료되었다고 썼다.[28] 그는 퓨젤리 부부에게 플라토닉한 관계를 맺자고 제안하기도 했으나, 퓨젤리의 아내는 이 제안을 거부했고, 퓨젤리와 울스턴크래프트 사이의 관계는 파국을 맞았다.[29]

2. 4. 프랑스 혁명과 사랑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스위스 출생으로 영국에서 활동하던 낭만주의 화가 헨리 퓨즐리(Henry Fuseli; 원래 독일어로는 요한 하인리히 퓨슬리 Johann Heinrich Füssli)와 사랑에 빠졌으나, 기혼자인 퓨즐리에 대한 마음을 접고, 당시 진행 중이던 프랑스 혁명의 상황을 관찰하기 위해 홀로 영국을 떠나 프랑스 수도 파리로 간다. 1792년 12월 울스턴크래프트는 파리로 떠났고, 루이 16세가 단두대에서 처형되기 약 한 달 전에 도착했다.[34] 영국과 프랑스는 전쟁 직전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프랑스로 가지 말라고 말렸다.[186] 프랑스는 아수라장이었다. 그는 헬렌 마리아 윌리엄스를 비롯한 다른 영국인들과 함께 당시 파리 내부의 국외거주자 모임에 참석했다.[35]

1792년 12월 26일, 울스턴크래프트는 전 국왕 루이 16세가 국민의회 앞으로 재판을 받으러 가는 것을 보았고, 그녀 자신도 놀랍게도 "루이가 자신의 성격에서 기대했던 것보다 더 큰 품위를 가지고 마차에 앉아 죽음을 맞이하러 가는 것을 보았을 때, 눈물이 저절로 흘러나왔다. 그의 가문의 많은 사람들이 승리했던 곳에서"라고 적었다.[37] 파리 체류 기간 동안 울스턴크래프트는 과격파 자코뱅보다는 온건파 지롱드와 주로 교유했다.[37]

프랑스는 1793년 2월 영국에 선전포고를 했다.[38] 울스턴크래프트는 프랑스를 떠나 스위스로 가려고 했지만 허락을 받지 못했다.[38] 3월 공안위원회와 혁명재판소의 설립은 점점 더 전체주의적인 정권의 증상이었다.[38] 프랑스에서 외국인들의 삶은 매우 어려워졌다.[38] 처음에는 경찰 감시를 받았고, 거주 허가를 받으려면 공화국에 대한 충성을 증명하는 프랑스인 6명의 서면 진술서를 제출해야 했다. 그런 다음 1793년 4월 12일, 모든 외국인은 프랑스를 떠나는 것이 금지되었다.[39] 혁명에 대한 그녀의 동정심에도 불구하고, 울스턴크래프트의 삶은 매우 불편해졌고, 지롱드파가 자코뱅파에게 패배했기 때문에 더욱 그러했다.[39] 자코뱅파가 적들을 몰살하려고 하면서 울스턴크래프트의 프랑스 친구들 중 일부는 단두대에서 목숨을 잃었다.[39]

《여성의 권리》를 갓 집필한 울스턴크래프트는 자신의 사상을 실험해보고자 했고, 활기찬 지적 분위기의 프랑스 혁명 속에서 그녀는 가장 실험적인 낭만적 애정을 시도했습니다. 그녀는 미국인 모험가 길버트 임레이(Gilbert Imlay)를 만나 열렬히 사랑에 빠졌다. 1793년, 파리에서 미국인 길버트 임레이와 사랑에 빠져 동거를 시작하지만, 자신이 경제적으로 부양해야 하는 아버지와 많은 형제자매의 부담을 피하기 위해 결혼은 선택하지 않았다. 울스턴크래프트는 결혼하지 않았음에도 임레이와 동침함으로써 자신의 원칙을 실천했는데, 이는 "존경받는" 영국 여성에게는 용납할 수 없는 행동이었다.[39] 그녀가 결혼에 관심이 있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그는 결혼에 관심이 없었고, 그녀는 그 남자에 대한 이상화에 사랑에 빠진 것으로 보입니다. 《여성의 권리》에서 관계의 성적 측면을 거부했음에도 불구하고, 울스턴크래프트는 임레이가 그녀의 성적 흥미를 깨웠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40]

군주국 영국의 여성을 공격할 수도 있는 혁명가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파리에서는 임레이 부인(Mrs. Imlay)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때 임레이는 프랑스의 식량 부족과 끊임없이 증가하는 인플레이션을 악화시킨 영국의 프랑스 해상봉쇄를 이용하여 미국에서 식량과 비누를 가져오는 선박을 임대하여 영국 왕립 해군을 피해 프랑스인들에게 프리미엄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었다.[41] 임레이의 봉쇄 돌파는 일부 자코뱅파의 존경과 지지를 얻어, 그가 바랐던 대로 테러 시대 동안 그의 자유를 보장했다.[43] 울스턴크래프트를 체포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임레이는 파리의 미국 대사관에 그녀와 결혼했다는 허위 진술을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그녀를 미국 시민으로 만들었다.[44] 그녀의 친구들 중 일부는 그렇게 운이 좋지 않았다. 많은 사람들이 체포되었다. 그녀의 자매들은 그녀가 투옥되었다고 믿었다.[45]

울스턴크래프트는 자코뱅파 통치하의 삶을 "악몽 같다"고 불렀다. 공화국에 대한 충분한 헌신을 하지 못했다는 의심을 받지 않기 위해 모든 사람이 자신을 보여주고 열렬히 환호해야 하는 거대한 낮 행렬과, "공화국의 적"을 체포하기 위한 밤의 경찰 급습이 있었다.[39]

울스턴크래프트는 곧 임레이에게서 임신했고, 1794년 5월 14일 그녀는 첫 아이인 패니 임레이를 낳았는데, 아마도 그녀의 가장 친한 친구의 이름을 따서 지었습니다.[46] 울스턴크래프트는 매우 기뻐했고, 친구에게 "제 작은 딸이 매우 씩씩하게 젖을 빨기 시작해서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가 《여성의 권리》 2부를 쓸 거라고 장담합니다"(강조는 그녀의 것)라고 썼습니다.[47] 그녀는 임신과 외국에서 홀로 새 어머니가 된 짐, 그리고 프랑스 혁명의 점점 커지는 소란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글을 계속 썼다. 프랑스 북부 르 아브르에 있는 동안 그녀는 초기 혁명의 역사인 《프랑스 혁명의 역사적이고 도덕적인 관점》을 썼는데, 이 책은 1794년 12월 런던에서 출판되었다.[48] 가정적인 그리고 모성적인 울스턴크래프트에게 불만을 느낀 임레이는 결국 그녀를 떠났다. 그는 르 아브르에 있는 그녀와 패니에게 돌아오겠다고 약속했지만, 그녀에게 편지를 쓰는 데 지연되고 오랫동안 자리를 비운 것은 울스턴크래프트에게 그가 다른 여자를 찾았다는 확신을 주었습니다.

두 사람 사이에 딸이 태어나 파니(Fanny)라고 이름 짓는다. 임레이는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사업 대리인을 구하며, 사실혼 관계인 메리가 그 역할을 맡아 파리를 떠난다. 북유럽에서 메리가 받은 임레이의 편지는 매우 냉담했고, 임레이에게 버려졌음을 알게 된다. 1795년 10월, 런던으로 돌아온 메리는 폭우가 쏟아지는 밤, 런던 서부 교외 퍼트니 브리지(Putney Bridge)에서 템스강으로 투신 자살을 시도하지만 구조된다.

2. 5. 윌리엄 고드윈과의 만남과 죽음

울스턴크래프트는 1795년 4월 임레이를 찾아 런던으로 귀국했지만, 임레이는 재결합을 거부했다.[203][58] 5월에는 아편팅크를 이용해 자살을 시도했으나, 임레이가 그녀를 살렸다.[203] 이후 스칸디나비아로 사업차 떠났던 울스턴크래프트는 1796년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에서의 짧은 체류 동안 쓴 편지』를 출간했다.[204][59] 잉글랜드로 돌아온 후, 울스턴크래프트는 임레이와의 관계가 끝났음을 인정하고 템스강에 투신하여 두 번째 자살을 시도했지만, 지나가던 사람에 의해 구조되었다.[206][61]

이후 울스턴크래프트는 조지프 존슨의 모임에 다시 참여하며 메리 헤이스, 엘리자베스 인치발드, 사라 시던스 등과 교류했고, 윌리엄 고드윈과 다시 만나 교제를 시작했다.[208] 고드윈은 그녀의 책을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전해진다.[209][154] 울스턴크래프트는 고드윈의 아이를 임신했고, 아이의 법적 지위를 위해 1797년 3월 29일 결혼했다.[210][64] 두 사람은 소머스타운으로 이주하여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며 서신으로 소통하는 행복하고 안정된 생활을 했다.[211][65][66][67]

1797년 8월 30일, 울스턴크래프트는 딸 메리 셸리를 낳았으나, 출산 중 태반 파열로 인한 감염으로 산욕열을 앓게 되었다.[213][68] 며칠간의 고통 끝에 9월 10일 패혈증으로 3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14][69] 고드윈은 큰 슬픔에 빠졌고,[215][70] 그녀는 세인트팽크라스 구교회 묘지에 안장되었다.[216][71]

1789년 1월, 고드윈은 아내에 대한 사랑과 존경을 담아 『여성의 권리 옹호의 저자에 관한 회고록』을 출간했지만, 이 책은 울스턴크래프트의 사생활을 폭로하여 논란을 일으켰다.[217] 1851년 울스턴크래프트의 외손자 퍼시 플로렌스 셸리는 외할머니의 유해를 본머스 세인트피터스 교회의 가족묘역에 이장했다.[220]

3. 사상

프랑스 혁명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 에드먼드 버크에 대해 메리는 반박하는 글을 썼는데, 이 글은 많은 사람들을 매료시켰다. 메리는 더 많은 논설을 작성했고, 당시 "인간의 권리(the Rights of Man)[주 : 영어에서는 "남성의 권리"라는 의미를 포함한다]"에 대한 많은 논쟁이 있었다.



수필가 호레이스 월폴은 그녀를 "치마를 입은 하이에나"라고 부르며 비판했다.

=== 인간의 권리 옹호 ===

에드먼드 버크입헌군주제, 귀족제, 잉글랜드 성공회를 옹호하고 리처드 프라이스 목사(유니테리언)를 공격하는 내용의 책 『프랑스 혁명의 성찰』(1790년)을 출간하자,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인간의 권리 옹호』(1790년)를 써서 귀족제를 공격하고 공화제를 옹호했다.[252] 이 책은 혁명 논쟁의 시작이 되었으며, 토머스 페인의 『인간의 권리』(1792년)가 나오면서 혁신주의자 및 급진주의자의 목소리는 더욱 높아졌다.[121]

울스턴크래프트는 군주제와 특권세습제 뿐 아니라 그것을 옹호하기 위해 버크가 사용한 언어도 공격했다. 버크는 『숭고와 미에 관한 우리의 생각 속으로의 철학적 탐구』(1756년)에서 미를 약함과 여성성과 결부시킨 반면 숭고는 강함과 남성성과 결부시켰는데, 울스턴크래프트는 그 정의를 그대로 버크에게 돌려서, 그의 연극적인 미사여구가 버크의 독자들을 보이는 것에 휘둘리는 나약한 여자들로 만든다고 비꼬았다.[253][123] 클라우디아 L. 존슨은 이를 울스턴크래프트의 최초의 여성주의적 논설이라고 평가했다.[254][124] 울스턴크래프트는 불평등 사회를 옹호하는 버크의 태도가 여성의 수동성에 기반하고 있다고 고발했다.[125]

공화주의를 옹호하면서 울스턴크래프트는 악덕에 물든 귀족적 예절을 대신할 수 있는 존재로 중산층의 기풍을 언급했다.[255][126] 계몽주의 사상가들의 영향을 받은 울스턴크래프트는 진보의 가치를 믿었으며 전통과 관습에 천착하는 버크를 조롱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합리를 이야기하며 버크의 세상은 노예제를 지속시킬 것이며, 그 이유는 너무나 간단하게도 그것이 고래의 전통이기 때문이라고 했다.[256]

『인간의 권리 옹호』는 울스턴크래프트 최초의 정치적 저술이며, 또한 울스턴크래프트 최초의 여성주의 저술이다. 존슨은 울스턴크래프트가 『인간의 권리 옹호』의 후반부를 쓰면서 자신의 나머지 경력 동안 매달릴 주제가 무엇인지 발견한 것 같다고 말한 바 있다.[257][129]

=== 여성의 권리 옹호 ===

1792년 여성의 권리 옹호를 출간하여 여성주의 철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258] 이 책에서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이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걸맞는 교육을 받아야 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지위를 재정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58] 여성은 남성과 동등한 기본권을 가지는 인간이며,[258] 국가의 필수적 요소로서, 아동을 양육하고 남편의 "아내"가 아닌 "동지"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258]

울스턴크래프트는 장 자크 루소를 비롯하여 여성의 교육권을 부정한 교육철학자들을 비판했다.[259] 루소는 에밀에서 여성의 교육은 남성의 쾌락을 위해서만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지만,[131][259]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의 교육 부족이 그들을 "스패니얼"이나 "장난감" 같은 존재로 만들었다고 반박했다.[132][260] 그녀는 여성들이 어려서부터 아름다움을 추구하기보다 외부적 성취를 추구하도록 교육받는다면 더 많은 성취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143][262]

울스턴크래프트는 남녀가 신의 눈으로 보았을 때 동등하다고 주장했지만,[264] 남성의 힘과 용기의 우월성을 인정하는 등 양성의 완전한 동등성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논하지 않았다.[136][264] 이러한 불명료한 태도는 울스턴크래프트를 근대적 여성주의자로 분류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138][266]

울스턴크래프트는 감성에 매몰되는 태도를 비판했는데, 특히 여성들이 그런 태도를 갖는 것에 비판적이었다.[267] 그녀는 감성에 굴복하는 여성은 합리적인 사고를 할 수 없으며, 자신뿐 아니라 문명 전체에 해악을 끼친다고 주장했다.[139][267] 울스턴크래프트는 이성과 감성이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며 서로를 형성한다고 보았다.[140][268]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의 권리 옹호 제12장 「국민교육」에서 모든 아동이 국립 통학학교에서 혼성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269] 남녀의 결혼은 “사회의 결속재”이므로, 교육 역시 같은 모델을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141][269] 그녀는 자신의 책이 부르주아적 세계관에 기반하여 중간계급을 대상으로 쓰였다고 언급하며,[142][270] 9세 이상의 빈민 아동 중 천재적인 아이들만 선별하여 부유층과 함께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빈민층에 대한 차별적인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143][271]

=== 프랑스 혁명에 대한 관점 ===

1794년 런던에서 『프랑스 혁명의 역사적 도덕적 관점』(An Historical and Moral View of the French Revolution) 초판을 간행하여 프랑스 혁명 초기 역사를 정리했다.[189] 이 책은 거의 200년 뒤인 1989년에야 2판이 나올 정도로 울스턴크래프트의 저서 중 가장 과소평가되었는데, 이는 후대 사람들이 울스턴크래프트를 여성주의자로만 이해하고 프랑스 혁명의 목격자로서는 독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189] 영국의 역사학자 톰 퍼니스는 이 책이 울스턴크래프트의 최고 작품이라고 단언하며 이런 과소평가가 유감스럽다고 논했다.[189]

울스턴크래프트는 훈련된 역사학자는 아니었지만, 프랑스의 보통 사람들이 혁명에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일기, 편지, 문건들을 통해 생생하게 기록했고, 혁명을 프랑스 전체가 미쳐 돌아가는 광란의 도가니로 파악한 영국의 "히스테리적"인 반혁명 분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려 했다.[189] 울스턴크래프트는 당시 영국 여론과 달리 혁명은 프랑스인들이 1789년에 한꺼번에 미쳐버려서 벌어진 것이 아니며, 일련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상황들이 이런 식으로 해결될 수밖에 없는 위기로 1789년의 프랑스를 몰아넣었다고 주장했다.[189]

울스턴크래프트는 자코뱅 정권과 공포정치를 규탄했지만, 동시에 혁명은 위대한 성과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래서인지 『프랑스 혁명의 역사적 도덕적 관점』은 1789년 말에서 끝나고, 1793년-1794년 공포정치에 관해서는 쓰지 않고 있다.[272]

에드먼드 버크는 『프랑스 혁명의 성찰』에서 1789년 10월 5일-6일 파리 여인들이 베르사유궁에서 프랑스 왕실을 끌어내 파리로 끌고 온 사건을 더러 “지옥에서 기어나온 복수의 여신들”이라고 묘사했다.[273] 반면 울스턴크래프트는 그 때 그 여인들은 그저 가족에게 먹일 빵이 없어서 분노한 평범한 아낙네들일 뿐이었다고 이야기한다.[189] 버크는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를 폭도 떼에게 희생당한 고귀한 왕족으로 이상화했지만, 울스턴크래프트는 왕비를 색정적이고 위험한 모사꾼, 팜므 파탈로 묘사했다.[274] 울스턴크래프트에 따르면 귀족정이 신봉하는 가치는 여성의 삶의 목적을 가문을 이을 아들을 생산하는 것으로 축소시키며, 여성의 가치를 그 신체 일부에 불과한 자궁에 국한시키는 것은 여성을 타락시키는 것이다. 세상에 재위 여왕은 적고 왕비는 많음은 곧 귀족 여자가 세상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수단이 남편이나 아들의 행동을 조종하는 것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여자의 정신과 인격이 아닌 몸뚱이의 가치를 강조하는 귀족적 가치관이 마리 앙투아네트를 무자비하고 요사스러운 여성으로 만든 것이니, 왕비는 앙시앵 레짐에 의해 타락당한 여성이요 동시에 세상을 타락시키는 여성인 것이다.

1794년 7월, 울스턴크래프트는 자코뱅파의 몰락을 환영하며, 이후 프랑스에서 언론의 자유가 회복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파리로 돌아갔다.[39]

=== 소설 ===

《메리》(1788)와 《마리아》(1798, 미완성)라는 장편소설을 통해 부권제적 결혼 제도가 여성에게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을 비판했다.[275] 《메리》의 주인공은 경제적인 이유로 사랑하지 않는 남자와 결혼하며, 여성 및 남성과의 낭만적 우정을 통해 욕망을 달랜다. 《마리아》는 남편에 의해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당한 주인공이 다른 수감자, 자신을 감시하는 시녀와의 관계를 통해 결혼 밖에서 삶의 이유를 찾는다.[275] 두 소설 모두 결혼을 끔찍한 것으로 묘사하며, 《메리》는 “결혼도, 결혼에의 굴복도 없는 세상”을 꿈꾸는 주인공의 모습으로 끝난다.[276]

두 소설은 감수성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드러낸다. 《메리》는 감상주의 장르의 문법을 사용하여 감상주의가 여성에게 미치는 악영향을 약화시키려 했으며, 《마리아》에서는 주인공의 낭만적 판타지가 해로운 것으로 묘사된다.[277]

여성 간의 우정은 두 소설 모두에서 중요하게 다뤄진다. 특히 《마리아》에서 마리아와 시녀 제미마의 관계는 상층계급 여성과 하층계급 여성의 교감을 다루며, 경제적으로 다른 처지에 있는 여성들이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공동의 관심사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278]

갈색 톤으로 그려진, 어깨와 등이 드러난 채 책을 읽는 소녀의 초상화.
오토 숄더러(Otto Scholderer)의 ''책을 읽는 젊은 소녀''(1883); ''메리''와 ''여인의 잘못'' 모두에서 울스턴크래프트는 자신을 감상적인 여주인공으로 상상하는 여성들을 비판한다.


=== 기타 저술 활동 ===

울스턴크래프트의 초기 저술 대부분은 교육에 관한 것이다. 그는 “어린 여성의 계발을 위한” 초록들을 모아 『여성독자』라는 선집을 만들었고, 아동용 책 편(마리아 거르트루디아 판 데 베르켄 데 캄본의 『어린 그랜디슨』과 크리스티안 고트힐프 잘츠만의 『도덕성 제요』)을 번역하기도 했다. 울스턴크래프트 자신도 이 주제에 관한 책을 썼다. 자신이 쓴 지도서 『딸들의 교육에 관한 성찰』(1787년)과 아동문학 『실생활 속의 새로운 이야기들』(1788년)에서 울스턴크래프트는 아동들에게 중산층 기풍(자기수양, 정직성, 검소함, 사회적 자족감)을 함양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48] 두 책 모두 아동에게 사유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함을 강조하며, 이는 울스턴크래프트가 17세기 교육철학자 존 로크에게 중요한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249] 그러나 종교적 신앙과 생득적 감정을 강조한 것은 로크에게서 벗어나는 점이며 18세기 말 유행한 감성 담론과의 연결고리가 된다.[250] 또한 두 저서 모두 여성의 교육을 주장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울스턴크래프트가 살던 당대에는 논쟁적인 주제였다. 이 문제는 『여성의 권리 옹호』로 대표되는 울스턴크래프트의 경력 내내 반복된다.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이 양질의 교육을 받아야 현모양처가 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국가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51]

'''딸들의 교육에 관한 생각'''(1787) 초판 첫 페이지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에서 쓴 편지』는 길버트 임레이에게 보낸 25편의 편지로 구성되어 있으며(단 본문에 임레이의 이름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는다), 본질적으로 그 내용은 기행문이라고 할 수 있다. 다루고 있는 내용은 스칸디나비아의 사회상과 인물상, 정체성 질문, 임레이와의 관계에 관한 사색 등 다양하다. 숭고미적 수사법을 이용해 울스턴크래프트는 자신과 사회의 관계를 탐구한다. 울스턴크래프트는 루소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이 여행기도 루소의 1782년작 『고독한 산책가의 몽상』과 주제들을 공유하고 있다. 그 주제들이란 인간 행복의 근원에 대한 탐색, 물질적 소유에 대한 금욕적 거부, 자연의 황홀함, 이해에 있어 필수적 역할 같은 것들이다.[279] 다만 루소는 그래서 사회를 버리고 자연으로 돌아가자는 결론에 다다랐다면, 울스턴크래프트는 목가적 풍경과 산업의 발달을 모두 찬양하고 있다.[280]

|섬네일|alt=Painting of icebergs, with one white iceberg dominating the center of the work and dark blue and black icebergs framing the piece. The work is painted in a suggestive style rather than with precise detail.|프레드릭 에드윈 처치의 1861년 그림 〈빙산들〉. 숭고미적 미학을 보여준다.]]

울스턴크래프트는 주체적 경험을 옹호하는데, 자연과의 관계에서 특히 그것을 강조하면서 숭고미와 감성 사이의 관계를 탐구한다. 많은 편지들은 스칸디나비아의 숨막히는 비경의 묘사와 그 자연과 감정적 연결점을 만들고 싶은 울스턴크래프트의 욕구 토로에 할애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울스턴크래프트는 다른 작품들에서와는 달리 상상력의 가치를 크게 인정한다.[281] 물론 초기 저술과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의 해방과 교육의 대전사를 자처한다.[282] 다만 그러면서 상업이 사회에 끼치는 해로움에 관해 논하는데, 세계와의 창의상상적인 연결을 돈만 추구하는 상인·용병적 사고방식과 대조하고 있다. 후자의 부정적인 속성을 울스턴크래프트는 임레이와 연관짓곤 했는데, 임레이의 물욕은 울스턴크래프트가 그와의 재결합을 단념한 이유기도 했다.[283]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에서 쓴 편지』는 1790년대에 울스턴크래프트의 책들 중 가장 인기가 좋았다. 판매도 잘 되었고 호의적인 비평도 받았다. 울스턴크래프트와 결혼한 윌리엄 고드윈은 상술했듯 이 책을 읽고 울스턴크래프트에게 반했다.[284] 또한 울스턴크래프트의 기행문에서 다루는 주제나 미학은 윌리엄 워즈워스나 새뮤얼 테일러 쿨리지 같은 낭만주의 시인들에게도 영향을 끼쳤다.[285]

3. 1. 인간의 권리 옹호

에드먼드 버크입헌군주제, 귀족제, 잉글랜드 성공회를 옹호하고 리처드 프라이스 목사(유니테리언)를 공격하는 내용의 책 『프랑스 혁명의 성찰』(1790년)을 출간하자,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인간의 권리 옹호』(1790년)를 써서 귀족제를 공격하고 공화제를 옹호했다.[252] 이 책은 혁명 논쟁의 시작이 되었으며, 토머스 페인의 『인간의 권리』(1792년)가 나오면서 혁신주의자 및 급진주의자의 목소리는 더욱 높아졌다.[121]

울스턴크래프트는 군주제와 특권세습제 뿐 아니라 그것을 옹호하기 위해 버크가 사용한 언어도 공격했다. 버크는 『숭고와 미에 관한 우리의 생각 속으로의 철학적 탐구』(1756년)에서 미를 약함과 여성성과 결부시킨 반면 숭고는 강함과 남성성과 결부시켰는데, 울스턴크래프트는 그 정의를 그대로 버크에게 돌려서, 그의 연극적인 미사여구가 버크의 독자들을 보이는 것에 휘둘리는 나약한 여자들로 만든다고 비꼬았다.[253][123] 클라우디아 L. 존슨은 이를 울스턴크래프트의 최초의 여성주의적 논설이라고 평가했다.[254][124] 울스턴크래프트는 불평등 사회를 옹호하는 버크의 태도가 여성의 수동성에 기반하고 있다고 고발했다.[125]

공화주의를 옹호하면서 울스턴크래프트는 악덕에 물든 귀족적 예절을 대신할 수 있는 존재로 중산층의 기풍을 언급했다.[255][126] 계몽주의 사상가들의 영향을 받은 울스턴크래프트는 진보의 가치를 믿었으며 전통과 관습에 천착하는 버크를 조롱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합리를 이야기하며 버크의 세상은 노예제를 지속시킬 것이며, 그 이유는 너무나 간단하게도 그것이 고래의 전통이기 때문이라고 했다.[256]

『인간의 권리 옹호』는 울스턴크래프트 최초의 정치적 저술이며, 또한 울스턴크래프트 최초의 여성주의 저술이다. 존슨은 울스턴크래프트가 『인간의 권리 옹호』의 후반부를 쓰면서 자신의 나머지 경력 동안 매달릴 주제가 무엇인지 발견한 것 같다고 말한 바 있다.[257][129]

3. 2. 여성의 권리 옹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1792년 여성의 권리 옹호를 출간하여 여성주의 철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258] 이 책에서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이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걸맞는 교육을 받아야 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지위를 재정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58] 여성은 남성과 동등한 기본권을 가지는 인간이며,[258] 국가의 필수적 요소로서, 아동을 양육하고 남편의 "아내"가 아닌 "동지"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258]

울스턴크래프트는 장 자크 루소를 비롯하여 여성의 교육권을 부정한 교육철학자들을 비판했다.[259] 루소는 에밀에서 여성의 교육은 남성의 쾌락을 위해서만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지만,[131][259]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의 교육 부족이 그들을 "스패니얼"이나 "장난감" 같은 존재로 만들었다고 반박했다.[132][260] 그녀는 여성들이 어려서부터 아름다움을 추구하기보다 외부적 성취를 추구하도록 교육받는다면 더 많은 성취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143][262]

울스턴크래프트는 남녀가 신의 눈으로 보았을 때 동등하다고 주장했지만,[264] 남성의 힘과 용기의 우월성을 인정하는 등 양성의 완전한 동등성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논하지 않았다.[136][264] 이러한 불명료한 태도는 울스턴크래프트를 근대적 여성주의자로 분류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138][266]

울스턴크래프트는 감성에 매몰되는 태도를 비판했는데, 특히 여성들이 그런 태도를 갖는 것에 비판적이었다.[267] 그녀는 감성에 굴복하는 여성은 합리적인 사고를 할 수 없으며, 자신뿐 아니라 문명 전체에 해악을 끼친다고 주장했다.[139][267] 울스턴크래프트는 이성과 감성이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며 서로를 형성한다고 보았다.[140][268]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의 권리 옹호 제12장 「국민교육」에서 모든 아동이 국립 통학학교에서 혼성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269] 남녀의 결혼은 “사회의 결속재”이므로, 교육 역시 같은 모델을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141][269] 그녀는 자신의 책이 부르주아적 세계관에 기반하여 중간계급을 대상으로 쓰였다고 언급하며,[142][270] 9세 이상의 빈민 아동 중 천재적인 아이들만 선별하여 부유층과 함께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빈민층에 대한 차별적인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143][271]

3. 3. 프랑스 혁명에 대한 관점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1794년 런던에서 『프랑스 혁명의 역사적 도덕적 관점』(An Historical and Moral View of the French Revolution) 초판을 간행하여 프랑스 혁명 초기 역사를 정리했다.[189] 이 책은 거의 200년 뒤인 1989년에야 2판이 나올 정도로 울스턴크래프트의 저서 중 가장 과소평가되었는데, 이는 후대 사람들이 울스턴크래프트를 여성주의자로만 이해하고 프랑스 혁명의 목격자로서는 독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189] 영국의 역사학자 톰 퍼니스는 이 책이 울스턴크래프트의 최고 작품이라고 단언하며 이런 과소평가가 유감스럽다고 논했다.[189]

울스턴크래프트는 훈련된 역사학자는 아니었지만, 프랑스의 보통 사람들이 혁명에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일기, 편지, 문건들을 통해 생생하게 기록했고, 혁명을 프랑스 전체가 미쳐 돌아가는 광란의 도가니로 파악한 영국의 "히스테리적"인 반혁명 분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려 했다.[189] 울스턴크래프트는 당시 영국 여론과 달리 혁명은 프랑스인들이 1789년에 한꺼번에 미쳐버려서 벌어진 것이 아니며, 일련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상황들이 이런 식으로 해결될 수밖에 없는 위기로 1789년의 프랑스를 몰아넣었다고 주장했다.[189]

울스턴크래프트는 자코뱅 정권과 공포정치를 규탄했지만, 동시에 혁명은 위대한 성과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래서인지 『프랑스 혁명의 역사적 도덕적 관점』은 1789년 말에서 끝나고, 1793년-1794년 공포정치에 관해서는 쓰지 않고 있다.[272]

에드먼드 버크는 『프랑스 혁명의 성찰』에서 1789년 10월 5일-6일 파리 여인들이 베르사유궁에서 프랑스 왕실을 끌어내 파리로 끌고 온 사건을 더러 “지옥에서 기어나온 복수의 여신들”이라고 묘사했다.[273] 반면 울스턴크래프트는 그 때 그 여인들은 그저 가족에게 먹일 빵이 없어서 분노한 평범한 아낙네들일 뿐이었다고 이야기한다.[189] 버크는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를 폭도 떼에게 희생당한 고귀한 왕족으로 이상화했지만, 울스턴크래프트는 왕비를 색정적이고 위험한 모사꾼, 팜므 파탈로 묘사했다.[274] 울스턴크래프트에 따르면 귀족정이 신봉하는 가치는 여성의 삶의 목적을 가문을 이을 아들을 생산하는 것으로 축소시키며, 여성의 가치를 그 신체 일부에 불과한 자궁에 국한시키는 것은 여성을 타락시키는 것이다. 세상에 재위 여왕은 적고 왕비는 많음은 곧 귀족 여자가 세상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수단이 남편이나 아들의 행동을 조종하는 것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여자의 정신과 인격이 아닌 몸뚱이의 가치를 강조하는 귀족적 가치관이 마리 앙투아네트를 무자비하고 요사스러운 여성으로 만든 것이니, 왕비는 앙시앵 레짐에 의해 타락당한 여성이요 동시에 세상을 타락시키는 여성인 것이다.

1794년 7월, 울스턴크래프트는 자코뱅파의 몰락을 환영하며, 이후 프랑스에서 언론의 자유가 회복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파리로 돌아갔다.[39]

3. 4. 소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메리》(1788)와 《마리아》(1798, 미완성)라는 장편소설을 통해 부권제적 결혼 제도가 여성에게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을 비판했다.[275] 《메리》의 주인공은 경제적인 이유로 사랑하지 않는 남자와 결혼하며, 여성 및 남성과의 낭만적 우정을 통해 욕망을 달랜다. 《마리아》는 남편에 의해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당한 주인공이 다른 수감자, 자신을 감시하는 시녀와의 관계를 통해 결혼 밖에서 삶의 이유를 찾는다.[275] 두 소설 모두 결혼을 끔찍한 것으로 묘사하며, 《메리》는 “결혼도, 결혼에의 굴복도 없는 세상”을 꿈꾸는 주인공의 모습으로 끝난다.[276]

두 소설은 감수성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드러낸다. 《메리》는 감상주의 장르의 문법을 사용하여 감상주의가 여성에게 미치는 악영향을 약화시키려 했으며, 《마리아》에서는 주인공의 낭만적 판타지가 해로운 것으로 묘사된다.[277]

여성 간의 우정은 두 소설 모두에서 중요하게 다뤄진다. 특히 《마리아》에서 마리아와 시녀 제미마의 관계는 상층계급 여성과 하층계급 여성의 교감을 다루며, 경제적으로 다른 처지에 있는 여성들이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공동의 관심사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278]

3. 5. 기타 저술 활동

울스턴크래프트의 초기 저술 대부분은 교육에 관한 것이다. 그는 “어린 여성의 계발을 위한” 초록들을 모아 『여성독자』라는 선집을 만들었고, 아동용 책 편(마리아 거르트루디아 판 데 베르켄 데 캄본의 『어린 그랜디슨』과 크리스티안 고트힐프 잘츠만의 『도덕성 제요』)을 번역하기도 했다. 울스턴크래프트 자신도 이 주제에 관한 책을 썼다. 자신이 쓴 지도서 『딸들의 교육에 관한 성찰』(1787년)과 아동문학 『실생활 속의 새로운 이야기들』(1788년)에서 울스턴크래프트는 아동들에게 중산층 기풍(자기수양, 정직성, 검소함, 사회적 자족감)을 함양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48] 두 책 모두 아동에게 사유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함을 강조하며, 이는 울스턴크래프트가 17세기 교육철학자 존 로크에게 중요한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249] 그러나 종교적 신앙과 생득적 감정을 강조한 것은 로크에게서 벗어나는 점이며 18세기 말 유행한 감성 담론과의 연결고리가 된다.[250] 또한 두 저서 모두 여성의 교육을 주장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울스턴크래프트가 살던 당대에는 논쟁적인 주제였다. 이 문제는 『여성의 권리 옹호』로 대표되는 울스턴크래프트의 경력 내내 반복된다.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이 양질의 교육을 받아야 현모양처가 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국가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51]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에서 쓴 편지』는 길버트 임레이에게 보낸 25편의 편지로 구성되어 있으며(단 본문에 임레이의 이름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는다), 본질적으로 그 내용은 기행문이라고 할 수 있다. 다루고 있는 내용은 스칸디나비아의 사회상과 인물상, 정체성 질문, 임레이와의 관계에 관한 사색 등 다양하다. 숭고미적 수사법을 이용해 울스턴크래프트는 자신과 사회의 관계를 탐구한다. 울스턴크래프트는 루소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이 여행기도 루소의 1782년작 『고독한 산책가의 몽상』과 주제들을 공유하고 있다. 그 주제들이란 인간 행복의 근원에 대한 탐색, 물질적 소유에 대한 금욕적 거부, 자연의 황홀함, 이해에 있어 필수적 역할 같은 것들이다.[279] 다만 루소는 그래서 사회를 버리고 자연으로 돌아가자는 결론에 다다랐다면, 울스턴크래프트는 목가적 풍경과 산업의 발달을 모두 찬양하고 있다.[280]

|섬네일|alt=Painting of icebergs, with one white iceberg dominating the center of the work and dark blue and black icebergs framing the piece. The work is painted in a suggestive style rather than with precise detail.|프레드릭 에드윈 처치의 1861년 그림 〈빙산들〉. 숭고미적 미학을 보여준다.]]

울스턴크래프트는 주체적 경험을 옹호하는데, 자연과의 관계에서 특히 그것을 강조하면서 숭고미와 감성 사이의 관계를 탐구한다. 많은 편지들은 스칸디나비아의 숨막히는 비경의 묘사와 그 자연과 감정적 연결점을 만들고 싶은 울스턴크래프트의 욕구 토로에 할애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울스턴크래프트는 다른 작품들에서와는 달리 상상력의 가치를 크게 인정한다.[281] 물론 초기 저술과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의 해방과 교육의 대전사를 자처한다.[282] 다만 그러면서 상업이 사회에 끼치는 해로움에 관해 논하는데, 세계와의 창의상상적인 연결을 돈만 추구하는 상인·용병적 사고방식과 대조하고 있다. 후자의 부정적인 속성을 울스턴크래프트는 임레이와 연관짓곤 했는데, 임레이의 물욕은 울스턴크래프트가 그와의 재결합을 단념한 이유기도 했다.[283]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에서 쓴 편지』는 1790년대에 울스턴크래프트의 책들 중 가장 인기가 좋았다. 판매도 잘 되었고 호의적인 비평도 받았다. 울스턴크래프트와 결혼한 윌리엄 고드윈은 상술했듯 이 책을 읽고 울스턴크래프트에게 반했다.[284] 또한 울스턴크래프트의 기행문에서 다루는 주제나 미학은 윌리엄 워즈워스나 새뮤얼 테일러 쿨리지 같은 낭만주의 시인들에게도 영향을 끼쳤다.[285]

4. 영향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19세기 여성 참정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233] 그녀의 저작, 특히 『여성의 권리 옹호』는 1840년대 영국에서, 1830년대, 1840년대, 1850년대 미국에서 재판이 간행되며[226] 여성 참정권 운동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 밀리센트 개릿 포셋과 같은 서프러지스트들은 울스턴크래프트를 여성 참정권 운동의 선구자로 칭송하며 그녀의 사상을 계승하고자 했다.[233]

엘리자베스 배릿 브라우닝,[227] 루크레티아 모트,[228]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229]등 여성운동가들은 울스턴크래프트에게 영향을 받아 세네카 폴스 회의와 같은 초기 여성운동을 이끌었다.

20세기에 들어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주의 운동의 재조명을 받으며 여성주의 고전으로 평가받기 시작했다.[95] 버지니아 울프는 울스턴크래프트의 저술과 실험적 인생을 높이 평가하며 그녀의 영향력이 여전히 살아있다고 선언했다.[236] 엠마 골드만과 같은 다양한 사상가들이 울스턴크래프트의 삶과 사상에 주목했다.[235] 1970년대에는 여성주의 설치미술 작품 《디너파티》에 울스턴크래프트를 위한 자리가 마련되기도 했다.[239][240]

울스턴크래프트의 영향력은 학계를 넘어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었다. 아얀 히르시 알리는 자신의 저서에서 울스턴크래프트의 영향을 받아 이슬람권 여성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갖게 되었다고 밝혔다.[241] 케이틀린 모란은 자신을 "반쯤 울스턴크래프트"라고 칭하며 그녀의 사상을 현대적으로 계승하고자 했다.[242] 아마르티아 센은 『정의의 개념』에서 울스턴크래프트를 정치철학자로서 여러 차례 언급하며 그녀의 사상이 현대 사회에도 여전히 유효함을 강조했다.[243]

대한민국에서도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주의 운동과 여성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울스턴크래프트의 사상을 계승하여 성 평등 사회 실현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울스턴크래프트를 기리는 기념물과 행사도 이어지고 있다. 뉴잉턴 그린 초등학교에는 울스턴크래프트와 관련된 그린 플라크가 설치되었으며,[244] 그녀가 마지막으로 거주했던 곳 근처에도 플라크가 설치되었다.[246]

뉴잉턴 그린 초등학교의 그린 플라크. 울스턴크래프트, 그녀의 자매들(에버리나와 엘리자), 그리고 패니 블러드가 설립한 학교 부지 근처에 있으며, 2011년에 공개되었다.


울스턴크래프트의 마지막 거주지였던 캠든의 오크샷 코트에 있는 갈색 플라크
런던 소머즈 타운(Somers Town, London)에 있는 그녀의 마지막 거주지였던 더 폴리곤(The Polygon) 부지 근처 오크샷 코트에 있는 플라크

5. 가계도

wikitable

존 레스브리지
(??-1815년)
~메리 제인 비얼/Mary Jane Vial영어
클레어먼트
(1766년경-1841년)
~윌리엄 고드윈
(1756년–1836년)
카타르열로 사망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1759년–1797년)
산욕열로 사망
~길버트 임레이
(1754년경-1828년)
|~메리 제인/Mary Jane Clairmont영어
클레어먼트
(1798년-1879년)
~조지 고든 바이런
(1788년-1824년)
열병으로 사망
윌리엄 고드윈 주니어
1803년-1832년
!패니 임레이
1794년-1816년
자살
!알레그라 바이런
(1817년-1822년)
티푸스로 사망
해리엇 웨스트브룩
(1795년-1816년)
자살
~퍼시 비시 셸리
(1792년-1822년)
익사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고드윈 셸리

(1797년-1851년)
!!1남 1녀
찰스 (1814년-1826년)
이안테 (1813년–1876년)
2남 2녀
클라라 (1815년–1815년)
윌리엄 (1816년–1819년)
에버리나 (1817년–1818년)
퍼시 (1819년–1888년)


6. 저서 목록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작품 목록이다. 별도의 표기가 없는 한 모든 작품은 초판이다.[156]


  • Thoughts on the Education of Daughters: With Reflections on Female Conduct, in the More Important Duties of Life''/''Thoughts on the Education of Daughters영어, 런던: 조지프 존슨, 1787년.
  • ''Mary: A Fiction''영어, 런던: 조지프 존슨, 1788년.
  • ''Original Stories from Real Life: With Conversations Calculated to Regulate the Affections and Form the Mind to Truth and Goodness''영어, 런던: 조지프 존슨, 1788년.
  • 네케르, 자크. ''Of the Importance of Religious Opinions''영어.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역. 런던: 조지프 존슨, 1788년.
  • ''The Female Reader: Or, Miscellaneous Pieces, in Prose and Verse; selected from the best writers, and disposed under proper heads; for the improvement of young women. By Mr. Cresswick, teacher of elocution [Mary Wollstonecraft]. To which is prefixed a preface, containing some hints on female education''영어. 런던: 조지프 존슨, 1789년.[157][158]
  • 데 캄본, 마리아 거트루디아 폰 데 베르켄. ''Young Grandison. A Series of Letters from Young Persons to Their Friends''de.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역. 런던: 조지프 존슨, 1790년.
  • 잘츠만, 크리스티안 고트힐프. ''Elements of Morality, for the Use of Children; with an introductory address to parents''.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역. 런던: 조지프 존슨, 1790년.
  •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Men, in a Letter to the Right Honourable Edmund Burke''영어. 런던: 조지프 존슨, 1790년.[159]
  •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with Strictures on Moral and Political Subjects''영어. 런던: 조지프 존슨, 1792년.
  • 「그레고리 박사가 그 여식들에게 남긴 구속을 통해 본 여성의 성적 특징에 관한 탁월한 의견」("On the Prevailing Opinion of a Sexual Character in Women, with Strictures on Dr. Gregory's Legacy to His Daughters"). ''New Annual Register'' (1792년): 457–466. [『여성의 권리 옹호』 중에서 발췌하여 재기고]
  • ''An Historical and Moral View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Effect It Has produced in Europe''영어. 런던: 조지프 존슨, 1794년.
  • ''Letters Written during a Short Residence in Sweden, Norway, and Denmark''영어. 런던: 조지프 존슨, 1796년.
  • 「시, 그리고 자연의 미에 대한 우리의 기쁨에 관하여」("On Poetry, and Our Relish for the Beauties of Nature"영어). ''Monthly Magazine'' (1797년 4월).
  • "The Wrongs of Woman, or Maria"영어. ''Posthumous Works of the Author of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영어. 윌리엄 고드윈 편. 런던: 조지프 존슨, 1798년. [미완성작; 사후 출판]
  • 「공상의 동굴」("The Cave of Fancy"). 『여성의 권리 옹호 저자의 유고집』. 윌리엄 고드윈 편. 런던: 조지프 존슨, 1798년. [1787년 저술한 파편; 사후 출판]
  • 「프랑스 국민성의 현 상태에 관한 서한」("Letter on the Present Character of the French Nation"영어). 『여성의 권리 옹호 저자의 유고집』. 윌리엄 고드윈 편. 런던: 조지프 존슨, 1798년. [1793년 저술; 사후 출판]
  • 「유아 관리에 관한 편지의 파편」("Fragment of Letters on the Management of Infants"영어). 『여성의 권리 옹호 저자의 유고집』. 윌리엄 고드윈 편. 런던: 조지프 존슨, 1798년. [미완성작; 사후 출판]
  • 「교훈」("Lessons"영어). 『여성의 권리 옹호 저자의 유고집』. 윌리엄 고드윈 편. 런던: 조지프 존슨, 1798년. [미완성작; 사후 출판]
  • 「실마리」("Hints"영어). 『여성의 권리 옹호 저자의 유고집』. 윌리엄 고드윈 편. 런던: 조지프 존슨, 1798년. [『여성의 권리 옹호』 제2권에 쓰여진 메모. 장문으로 작성된 적은 없음; 사후 출판]
  • 『분석평론』(''Analytical Review''영어)에 기고(1788년–1797년) [익명 기고]


한국어 번역 출판물은 다음과 같다.

  • 『인간의 권리 옹호/딸들의 교육에 관하여』(清水和子, 後藤浩子, 梅垣千尋 역), 교토대학학술출판회, 2020.
  • 여성의 권리 옹호―정치 및 도덕 문제에 대한 비판을 담아』 (白井堯子 역), 미래사, 1980.
  • 『울스턴크라프트의 북유럽에서 온 편지들』(石幡直樹 역), 법정대학출판국, 2012.
  • 『북유럽 여행기』(堀出稔 역), 금성당, 2018.
  • 『여성의 학대 또는 마리아』(川津雅江 역), 아폴론사, 1997.

참조

[1] 백과사전 Mary Wollstonecraft https://www.oxford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1-12
[2] 웹사이트 Mary Wollstonecraft: 'Britain's first feminist' https://www.bbc.co.u[...] 2022-09-02
[3] 웹사이트 Mary Wollstonecraft https://www.britishl[...] 2022-09-02
[4] 서적 (출처 미상)
[5] 서적 (출처 미상) https://archive.org/[...]
[6] 서적 (출처 미상)
[7] 서적 (출처 미상)
[8] 서적 (출처 미상)
[9] 서적 (출처 미상)
[10] 서적 (출처 미상)
[11] 서적 (출처 미상)
[12] 서적 (출처 미상)
[13] 서적 (출처 미상)
[14] 서적 (출처 미상)
[15] 서적 (출처 미상)
[16] 서적 (출처 미상)
[17] 서적 (출처 미상)
[18] 서적 (출처 미상)
[19] 서적 (출처 미상)
[20] 서적 (출처 미상)
[21] 서적 The Collected Letters
[22] 서적 (출처 미상)
[23] 서적 (출처 미상)
[24] 서적 (출처 미상)
[25] 웹사이트 Mary Wollstonecraft blue plaque unveiled https://www.london-s[...] 2020-08-06
[26] 서적 Hester Lynch Thrale Piozzi: A Taste for Eccentric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23-06-04
[27] 웹사이트 The Bluestockings: Their empowering efforts, promotion of female friendship and inspiring publications https://philipmould.[...] Philip Mould 2023-06-04
[28] 서적 (출처 미상)
[29] 서적 (출처 미상)
[30] 서적 (출처 미상)
[31] 서적 (출처 미상)
[32] 서적 (출처 미상)
[33] 서적 (출처 미상)
[34] 서적 (출처 미상)
[35] 서적 (출처 미상)
[36] 서적 God-Provoking Democrat: The Remarkable Life of Archibald Hamilton Rowan New Island
[37] 간행물 Furniss
[38] 간행물 Furniss
[39] 간행물 Furniss
[40] 간행물 Todd, Tomalin, Wardle, Sunstein
[41] 간행물 Gordon
[42] 간행물 Gordon
[43] 간행물 Gordon
[44] 간행물 St Clair, Furniss, Sunstein, Wardle
[45] 간행물 Wardle
[46] 간행물 Tomalin, Wardle, Sunstein
[47] 간행물 Wardle
[48] 간행물 Tomalin, Wardle, Sunstein
[49] 간행물 Todd, Tomalin, Wardle, Sunstein
[50] 간행물 Furniss
[51] 간행물 Furniss
[52] 간행물 Gordon
[53] 간행물 Tomalin
[54] 간행물 Furniss
[55] 간행물 Furniss
[56] 간행물 Callender
[57] 서적 Biographical Memoirs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T. Cadell, Jun. and W. Davies, in the Strand
[58] 간행물 Todd, Wardle
[59] 간행물 Tomalin, Wardle, Sunstein
[60] 간행물 Wollstonecraft
[61] 간행물 Todd, Tomalin, Wardle
[62] 간행물 Todd
[63] 간행물 St. Clair, Tomalin, Wardle, Sunstein
[64] 간행물 St. Clair, Tomalin, Sunstein
[65] 서적 Shelley and His Circle, 1773–1822 Harvard University Press
[66] 간행물 Sunstein
[67] 간행물 St. Clair, Wardle, Sunstein
[68] 간행물 Gordon
[69] 간행물 Todd, Tomalin, Wardle, Sunstein
[70] 웹사이트 William Godwin: His Friends and Contemporaries http://dwardmac.pitz[...] C. Kegan Paul 2007-03-11
[71] 서적 Todd
[72] 서적 St. Clair, Tomalin, Sunstein, Sapiro
[73] 서적 A Memoir of the Life and Writings of William Taylor of Norwich John Murray 1804-07-01
[74] 서적 Sapiro
[75] 서적 Sapiro
[76] 서적 Gordon
[77] 서적 Wollstonecraft's reception
[78] 서적 Favret
[79] 서적 Life of Mary Wollstonecraft https://archive.org/[...] Roberts Brothers
[80] 논문 Tulsa Studies In Women's Literature University of Tulsa
[81] 웹사이트 Thoughts on the Condition of Women, and on the Injustice of Mental Subordination https://archive.org/[...]
[82] 서적 Letters Of Anna Seward https://archive.org/[...] AMS Press
[83] 서적 Mellor
[84] 서적 Sapiro
[85] 서적 A Routledge literary sourcebook on Mary Wollstonecraft's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86] 서적 Gordon
[87] 서적 Sapiro
[88] 서적 Antebellum Women: Private, Public, Partisan Rowman & Littlefield
[89] 서적 Margaret Fuller: Writing a Woman's Life St. Martin's Press
[90] 간행물 The History of Children's Books 1888-01
[91] 서적 Letters to Imlay, with prefatory memoir by C. Kegan Paul https://archive.org/[...] C. Kegan Paul
[92] 서적 Gordon
[93] 서적 Mary Wollstonecraft: A Sketch Oxford University Press
[94] 뉴스 Woman Suffrage https://www.newspape[...] 1910-09-10
[95] 웹사이트 The Four Figures http://etext.library[...] 2007-03-11
[96] 논문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ry Wollstonecraft Cambridge University Press
[97] 뉴스 The Suffrage Cause Invades Men's Club https://query.nytime[...] 1910-05-25
[98] 서적 Mary Wollstonecraft: A Sketch Oxford University Press
[99] 서적 The Shining Woman: Mary Wollstonecraft Godwin Collins
[100] 서적 Mary Wollstonecraft: A Critical Biography The Richards Press
[101] 서적 Kaplan, Sapiro
[102] 웹사이트 Place Settings https://www.brooklyn[...] Brooklyn Museum 2015-08-06
[103] 웹사이트 Tour and Home https://www.brooklyn[...] Brooklyn Museum 2015-08-12
[104] 서적 Infidel Free Press
[105] 인터뷰 Half Wollstonecraft, Half LOLcats: Talking with Caitlin Moran http://www.newyorker[...] 2012-11-15
[106] 웹사이트 BBC Radio 4 series ''Letters to Mary'': Episode 2 https://www.bbc.co.u[...] BBC 2014-10-21
[107] 뉴스 The Royal Mail celebrate eminent Britons https://www.thetimes[...] 2022-09-30
[108] 웹사이트 Mary Wollstonecraft brown plaque http://openplaques.o[...] Open Plaques 2018-04-27
[109] 웹사이트 Mary Wollstonecraft gets a green plaque at Newington Green Primary... will statue be next? https://archive.isli[...] Archive.islingtontribune.com 2011-03-11
[110] 웹사이트 Maggi Hambling picked to create Mary Wollstonecraft statue http://www.theguardi[...] 2018-05-16
[111] 웹사이트 Maggi Hambling is paying tribute to the feminist icon Mary Wollstonecraft https://www.townandc[...] Town & Country 2019-02-22
[112] 뉴스 Wollstonecraft to make Newington Green return http://islingtonnow.[...] 2020-10-26
[113] 뉴스 Mary Wollstonecraft statue: 'Mother of feminism' sculpture provokes backlash https://www.bbc.com/[...] 2020-11-10
[114] 뉴스 Nude statue honoring feminist icon Mary Wollstonecraft sparks criticism https://www.nbcnews.[...] 2020-11-11
[115] 뉴스 Why I hate the Mary Wollstonecraft statue: would a man be 'honoured' with his schlong out? https://www.theguard[...] 2020-11-11
[116] 웹사이트 Four new statues to end Trinity Long Room's "men only" image https://www.irishtim[...] 2020-11-29
[117] 간행물 Literature of advice
[118] 간행물 Impeccable Governesses
[119] 간행물 Literature of advice
[120] 간행물 Impeccable Governesses
[121] 웹사이트 Citizenship http://www.nationala[...] 2021-03-23
[122] 간행물
[123] 간행물 Vindications
[124] 간행물
[125] 웹사이트 Mary Wollstonecraft,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https://www.bl.uk/co[...] 2021-03-23
[126] 간행물
[127] 간행물 Vindications
[128] 간행물 Political tradition
[129] 간행물
[130] 간행물 Vindications
[131] 간행물
[132] 간행물 Vindications
[133] 간행물 Vindications
[134] 간행물
[135] 간행물 Vindications
[136] 간행물 Vindications
[137] 간행물 Vindications
[138]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2007-09-17
[139] 간행물 Vindications
[140] 간행물
[141] 서적 Vindications
[142] 서적
[143] 서적 Vindications
[144] 서적
[145] 서적 Mary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Women's Friendship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Wollstonecraft's Letters
[152] 서적 Wollstonecraft's Letters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The Female Reader
[158] 저널 Mary Wollstonecraft and Mr Cresswick 1987-12-01
[159] 웹사이트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Men https://archive.org/[...]
[160] 웹사이트 Mary Wollstonecraft English author https://www.britanni[...]
[161] 서적 ジェンダーで学ぶ政治社会学入門 世織書房 2010-09-21
[162] 저널 Aspects of Mary Wollstonecraft's Religious Thought https://researchcomm[...] University of Waikato
[163] 서적 The Feminist papers: from Adams to de Beauvoir Northeastern
[164] 서적
[165] 서적
[166] 서적
[167] 서적
[168] 서적
[169] 서적
[170] 서적
[171] 서적
[172] 서적
[173] 서적
[174] 서적
[175] 서적 Mary
[176] 서적 null
[177] 서적 null
[178] 서적 null
[179] 서적 The Collected Letters
[180] 서적 null
[181] 서적 null
[182] 서적 null
[183] 서적 null
[184] 서적 null
[185] 서적 null
[186] 서적 null
[187] 서적 null
[188] 서적 null
[189] 서적 null
[190] 서적 null
[191] 서적 null
[192] 서적 null
[193] 서적 null
[194] 서적 null
[195] 서적 null
[196] 서적 null
[197] 서적 null
[198] 서적 null
[199] 서적 null
[200] 서적 null
[201] 서적 null
[202] 서적 null
[203] 서적 null
[204] 서적 null
[205] 서적 The Collected Letters
[206] 서적 null
[207] 서적 null
[208] 서적 null
[209] 서적 null
[210] 서적 null
[211] 서적 Shelley and His Circle, 1773–1822, Volume 1 Harvard University Press 2018-05-01
[212] 간행물
[213] 간행물
[214] 간행물
[215] 웹사이트 William Godwin: His Friends and Contemporaries http://dwardmac.pitz[...] Henry S. King and Co. 2007-03-11
[216] 간행물
[217] 간행물
[218] 서적 A Memoir of the Life and Writings of William Taylor of Norwich John Murray 1824
[219] 간행물
[220] 간행물
[221] 간행물
[222] 간행물
[223] 서적 Life of Mary Wollstonecraft https://archive.org/[...] Roberts Brothers 1884
[224] 간행물
[225] 간행물
[226] 서적 A Routledge literary sourcebook on Mary Wollstonecraft's 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 2002
[227] 간행물
[228] 간행물
[229] 서적 Antebellum Women: Private, Public, Partisan Rowman & Littlefield 2013
[230] 서적 Margaret Fuller: Writing a Woman's Life St. Martin's Press 1993
[231] 간행물 The History of Children's Books 1888-01
[232] 서적 Letters to Imlay, with prefatory memoir by C. Kegan Paul https://archive.org/[...] C. Kegan Paul 1879
[233] 간행물
[234] 서적 Mary Wollstonecraft: A Sketch Oxford University Press 1932
[235] 웹사이트 The Four Figures http://etext.library[...] 2007-03-11
[236] 논문 Mary Wollstonecraft's reception and legac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9-21
[237] 뉴스 The Suffrage Cause Invades Men's Club https://query.nytime[...] 1910-05-25
[238] 간행물
[239] 웹사이트 Place Settings https://www.brooklyn[...] Brooklyn Museum 2015-08-06
[240] 웹사이트 Tour and Home https://www.brooklyn[...] Brooklyn Museum 2015-08-12
[241] 서적 Infidel Free Press 2007
[242] 인터뷰 Half Wollstonecraft, Half LOLcats: Talking with Caitlin Moran http://www.newyorker[...] 2012-11-15
[243] 웹사이트 BBC Radio 4 series 'Letters to Mary': Episode 2 http://www.bbc.co.uk[...] 2014-10-21
[244] 웹사이트 Mary Wollstonecraft brown plaque http://openplaques.o[...] Open Plaques
[245] 웹사이트 Blue Plaques in Borough http://williamslynch[...] Williamslynch.co.uk 2018-04-27
[246] 웹인용 Mary Wollstonecraft gets a green plaque at Newington Green Primary... will statue be next? https://archive.isli[...] Archive.islingtontribune.com 2011-03-11
[247] 웹인용 Mary Wollstonecraft blue plaque unveiled http://www.london-se[...]
[248] 서적
[249] 서적
[250] 서적
[251] 서적
[252] 서적
[253] 서적
[254] 서적
[255] 서적
[256] 서적
[257] 서적
[258] 서적
[259] 서적
[260] 서적
[261] 서적
[262] 서적
[263] 서적
[264] 서적
[265] 서적
[266] 서적 2007-09-17
[267] 서적
[268] 서적
[269] 서적
[270] 서적
[271] 서적
[272] 서적
[273] 서적
[274] 서적
[275] 서적
[276] 서적
[277] 서적
[278] 서적
[279] 서적
[280] 서적
[281] 서적 Wollstonecraft's Letters
[282] 서적 Wollstonecraft's Letters
[283] 서적 Wollstonecraft's Letters
[284] 서적
[285] 서적 Mary Wollstonecraft's reception
[28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