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에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남에어는 2006년 설립되어 2008년 최종 부도 처리된 대한민국의 항공사이다. 2008년 부산-제주, 부산-김포, 대구-제주, 김포-제주 노선에 취항했으나, 고유가, 낮은 탑승률, 투자 부족 등의 이유로 어려움을 겪었다. 2009년 퍼스트항공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운항 재개를 추진했지만 도산하였고, 사업자 등록 말소로 최종 폐지되었다. 운항 기간 동안 포커 100 기종 1대를 운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없어진 항공사 - 코스타항공
코스타항공은 2002년 대양항공에서 사명을 변경한 대한민국의 항공사로, 울산공항을 거점으로 국내선 노선을 시험 운항했으나 경영난으로 2009년 운항을 중단하며 취항에 실패했다. - 대한민국의 없어진 항공사 - 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
2007년 설립된 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은 소형 항공사로, 페어차일드 메트로 23 기종으로 양양-김해 노선을 운항했으나 저조한 탑승률로 2012년 운항을 중단하고 항공운송 사업 부문을 정리했다. - 2009년 해체된 항공사 - 올림픽 항공
그리스의 항공사인 올림픽 항공은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가 TAE 그리스 내셔널 항공을 인수하여 설립되었으나, 재정난으로 MIG에 매각된 후 에게 항공에 인수되어 2009년 운항을 종료했다. - 2009년 해체된 항공사 - 원투고 항공
2003년 오리엔트 타이 항공의 출자로 설립된 원투고 항공은 코드 쉐어를 통해 운영되었으나 안전 문제와 2007년 푸껫 국제공항 추락 사고 등으로 제재를 받다가 2009년 파산했으며, 이후 오리엔트 타이 항공 명의로 운항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항공사 - 아시아나항공
아시아나항공은 1988년 설립되어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확장하고 스타얼라이언스에 가입했으나, 2024년 대한항공에 인수되어 자회사로 운영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항공사 - 대한항공
대한항공은 1962년 설립된 대한민국 대표 항공사로, 한진그룹 계열이며 여객 및 화물 운송, 기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2020년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결정했으며, 43개국 121개 도시에 취항한다.
영남에어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항공사 | 영남에어 영남에어 |
![]() | |
IATA | OE |
ICAO | ONA |
호출 부호 | YEONGNAM AIR |
모기업 | 해당 사항 없음 |
설립 연도 | 2008년 |
운항 시작일 | 2008년 7월 25일 |
운항 중단일 | 2008년 12월 |
해체일 | 2009년 11월 |
본사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
주요 인물 | 오병훈 |
허브 공항 | 김해국제공항 |
제2 허브 공항 | 해당 사항 없음 |
중점 도시 | 해당 사항 없음 |
상용 고객 우대 제도 | 해당 사항 없음 |
VIP 라운지 | 해당 사항 없음 |
항공 동맹 | 해당 사항 없음 |
웹사이트 | http://www.ynair.co.kr |
슬로건 | Let's fly for the future! |
운항 정보 | |
보유 항공기 수 | 1 |
취항지 수 | 4 |
주요 공항 |
2. 연혁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를 기반으로 한 지역 항공사 설립을 목표로 2006년 12월 (주)영남에어가 법인으로 설립되었다. 이듬해인 2007년 1월에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본사를 마련하고 공채 1기 직원을 채용하였다. 2007년 2월에는 싱가포르의 Fokker-Service와 항공기 부품 및 정비 계약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본격적인 운항 준비에 나섰다.
같은 해 5월, 주력 기종인 포커 100 1호기 도입 계약을 체결하고 제1기 신입사원을 공개 채용하였다. 8월에는 자본금을 500억원으로 증자하고 부정기 항공 운송 사업자 등록을 신청했으며, 10월 23일 1호기 도입을 완료했다. 마침내 2007년 11월 5일, 부정기 항공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3][4]
2008년 1월 본사를 확장 이전하였고, 6월 17일에는 항공기 운항 증명(AOC)을 취득하여 안전 운항 능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2008년 7월 25일, 영남에어는 부산을 거점으로 제주, 김포, 대구를 잇는 국내선 노선에 정식 취항하며 운항을 시작했다. 당시 일본과 중국 등 단거리 국제선 운항 계획도 가지고 있었다.
부산, 경남 지역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로서 출범 초기에 부산국제영화제 후원 및 홍보 모델 섭외 등 다양한 론칭 행사를 통해 주목받기도 했다. 그러나 정식 취항 이후 지속적인 고유가와 고환율 문제, 40~50% 수준에 머무른 낮은 탑승률, 부족한 투자 기반과 외자 유치 실패 등 여러 복합적인 요인으로 경영난에 직면했다. 결국 취항 약 한 달 만인 2008년 8월 1일 부산-김포 노선을 운휴했고, 12월 1일에는 김포-제주 노선 운항을 중단했다.
자금 유치와 사업 재조정을 위해 2008년 12월 1일부터 2009년 1월 20일까지 운휴를 포함한 사업 변경을 신청했으나[9],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다. 결국 2008년 12월 3일, 어음 처리에 실패하며 최종 부도 처리되었다.[5] 이후 2009년 4월 8일 운송 사업자 면허가 말소되었다.
2009년 6월, '퍼스트 항공'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운항 재개를 시도했으나[10][6], 이마저도 무산되었고 9월 21일 도산 처분을 받았다. 최종적으로 2009년 11월 2일 사업자 등록이 말소되면서 영남에어는 폐지되었다.
'''주요 연혁'''
날짜 | 내용 |
---|---|
2006년 12월 | (주)영남에어 법인 설립 |
2007년 1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본사 설립, 공채 1기 채용 |
2007년 2월 | 싱가포르 Fokker-Service와 항공기 부품 및 정비 계약 MOU 체결 |
2007년 5월 | 1호기 (포커 100) 도입 계약 체결, 제1기 신입사원 공개 채용 |
2007년 8월 | 자본금 증자(500억원) 및 부정기운항사업자 등록 신청 |
2007년 10월 23일 | 1호기(포커 100) 도입 완료 |
2007년 11월 5일 | 부정기항공운송사업 면허 취득[3][4] |
2008년 1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본사 확장 이전 |
2008년 6월 17일 | 운항증명(AOC) 취득 |
2008년 7월 25일 | 정식 운항 개시 (부산-제주, 부산-김포, 대구-제주, 김포-제주 노선 취항) |
2008년 8월 1일 | 부산-김포 노선 운휴 |
2008년 12월 1일 | 김포-제주 노선 운휴 |
2008년 12월 1일 ~ 2009년 1월 20일 | 사업 변경 신청(운휴) - 사유: 자금 유치 및 사업 재조정[9] |
2008년 12월 3일 | 최종 부도 처리 (어음 미처리 사유)[5] |
2009년 4월 8일 | 운송사업자 면허 말소 |
2009년 6월 | 사명을 퍼스트 항공으로 변경하고 운항 재개 추진[10][6] |
2009년 9월 21일 | 퍼스트항공(주) 도산 처분 |
2009년 11월 2일 | 사업자 등록 말소로 최종 폐지 |
2006년 12월 (주)영남에어 법인이 설립되었다. 2007년 1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본사를 설립하고 공채 1기를 채용하였다. 같은 해 2월 싱가포르 포커 서비스(Fokker-Service)를 방문하여 항공기 부품 및 정비 계약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항공기 도입 계획을 수립하였다. 2007년 5월 1호기 도입 계약(포커 100)을 체결하고, 8월에는 자본금을 50억원으로 증자하며 부정기 운항 사업자 등록을 신청했다. 10월 23일 1호기(포커 100)가 도입되었으며, 11월 5일 부정기 항공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했다.[3][4]
3. 역사
2008년 1월 본사를 확장 이전하고, 6월 17일 운항증명(AOC)를 취득하여 7월 25일 부산-제주, 부산-김포, 대구-제주, 김포-제주 노선에 정식 취항하였다. 부산·경남 지역을 기반으로 출범한 항공사로서 부산국제영화제 후원 및 홍보 모델 섭외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며 주목받았다. 초기에는 일본과 중국 등 단거리 국제선 운항 계획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취항 이후 지속적인 고유가와 고환율, 40~50% 수준의 낮은 탑승률, 투자 기반 부족 및 외자 유치 실패 등 복합적인 어려움에 직면했다. 결국 2008년 8월 1일 부산-김포 노선 운항을 중단했고, 12월 1일에는 김포-제주 노선 운항도 중단했다. 같은 날 자금 유치 및 사업 재조정을 사유로 사업 변경(운휴)을 신청했으나[9], 12월 3일 어음 미처리로 최종 부도 처리되었다.[5]
2009년 4월 8일 운송 사업자 면허가 말소되었다. 6월에는 사명을 '''퍼스트 항공'''으로 변경하고 운항 재개를 추진했으나[6][10], 9월 21일 퍼스트항공(주)는 도산 처분되었다. 최종적으로 2009년 11월 2일 사업자 등록이 말소되어 폐지되었다.날짜 내용 2006년 12월 (주)영남에어 법인 설립 2007년 1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본사 설립, 공채 1기 채용 2007년 2월 싱가포르 포커 서비스와 항공기 부품 및 정비 계약 MOU 체결 2007년 5월 1호기 도입 계약 체결 (포커 100) 2007년 8월 자본금 증자(50억원) 및 부정기 운항 사업자 등록 신청 2007년 10월 23일 1호기(포커 100) 도입 2007년 11월 5일 부정기 운송 사업자 면허 취득[3][4] 2008년 1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본사 확장 이전 2008년 6월 17일 운항증명(AOC) 취득 2008년 7월 25일 부산-제주, 부산-김포, 대구-제주, 김포-제주 노선 취항 2008년 8월 1일 부산-김포 노선 운휴 2008년 12월 1일 김포-제주 노선 운휴 2008년 12월 1일 ~ 2009년 1월 20일 사업 변경 신청(운휴) (사유: 자금 유치 및 사업 재조정)[9] 2008년 12월 3일 (주)영남에어 최종 부도 처리 (사유: 어음 미처리)[5] 2009년 4월 8일 운송 사업자 면허 말소 2009년 6월 사명 변경(퍼스트 항공) 및 운항 재개 추진[6][10] 2009년 9월 21일 퍼스트항공(주) 도산 처분 2009년 11월 2일 사업자 등록 말소로 최종 폐지
4. 조직
'''현 전체조직 없음'''
5. 과거 취항지
영남에어는 부산 김해국제공항을 주요 거점으로 하여 제주, 대구, 김포를 잇는 국내 노선에 취항했다.[3][4] 2008년 7월 25일 정기편 운항을 시작했으나[7], 같은 해 11월 모든 항공편 운항이 중단되었다. 운항했던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 일본과 중국 등 단거리 국제선 취항도 계획했으나 실현되지 못했다.
5. 1. 개요
2007년 11월 5일, 부정기 항공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했다. 부산을 거점으로 제주, 대구, 김포에 정기편을 취항했으며[3][4], 일본과 중국으로의 단거리 국제선 운항 계획도 가지고 있었다.영남에어는 폐쇄 전 다음과 같은 노선에 취항했다.
도시 | 국가 | IATA | ICAO | 공항 |
---|---|---|---|---|
부산 | 대한민국 | PUS | RKPK | 김해국제공항 [주요 거점] |
대구 | 대한민국 | TAE | RKTN | 대구국제공항 |
제주 | 대한민국 | CJU | RKPC | 제주국제공항 |
서울 | 대한민국 | GMP | RKSS | 김포국제공항 [거점] |
그러나 2008년 12월 3일, 두 번째 부도를 내고 도산 상태가 되었다[5]. 이후 2009년 6월에는 '제일항공'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운항 재개를 목표로 했으나[6], 같은 해 9월 21일에 최종 도산하였고, 11월 2일 사업자 등록이 말소되었다.
5. 2. 상세
2007년 11월 5일, 부정기 항공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했다. 부산을 거점으로 제주, 대구, 김포에 정기편을 취항하고[3][4], 일본과 중국으로 단거리 국제선을 운항할 계획이었다.2008년 7월 25일 정기편 운항을 시작했으나[7], 같은 해 11월 부품 교체를 이유로 모든 항공편 운항이 중단되었다. 운항 노선은 다음과 같았다.
도시 | 국가 | IATA | ICAO | 공항 | 비고 |
---|---|---|---|---|---|
부산 | 대한민국 | PUS | RKPK | 김해국제공항 | 주요 거점 |
대구 | 대한민국 | TAE | RKTN | 대구국제공항 | |
제주 | 대한민국 | CJU | RKPC | 제주국제공항 | |
서울 | 대한민국 | GMP | RKSS | 김포국제공항 | 거점 |
부산 - 서울/김포 | 대한민국 | PUS / GMP | RKPK / RKSS | 김해국제공항 / 김포국제공항 | 운항 중단[8] |
운항 중단 이후 경영난을 겪다가 2008년 12월 3일, 두 번째 부도를 내고 도산 상태가 되었다[5]. 2009년 6월에는 '제일항공'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운항 재개를 시도했으나[6], 같은 해 9월 21일에 최종 도산하였고 11월 2일 사업자 등록이 말소되었다.
보유 항공기로는 포커 100 1기가 있었으며, 같은 기종을 총 3기 도입할 계획이었다.
6. 보유 기종
영남에어는 운항 기간 동안 단 1대의 항공기만을 운영했다.[1][2] 처음에는 포커 100 동형기를 총 3기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최종적으로 1대만 운영되었고 2번째 항공기 추가 계획도 실현되지 못했다.
항공기 | 보유 대수 | 승객 수 | 비고 |
---|---|---|---|
Fokker 100 | 1 | 80 |
참조
[1]
웹사이트
Third Budget Airliner to Debut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Yeongnam Air Fleet - Airfleets aviation
http://www.airfleets[...]
[3]
뉴스
国内3社目の低料金航空会社「嶺南エア」誕生
https://japanese.joi[...]
[4]
뉴스
嶺南エアに不定期航空免許、3社目の格安航空誕生
http://japanese.yonh[...]
[5]
뉴스
韓国の格安航空会社、事業見直し加速(上)
http://www.chosunonl[...]
2018-12-01
[6]
Webarchive
乗客増えても翼を畳む韓国の格安航空会社(下)
https://web.archive.[...]
2009-06-27
[7]
뉴스
キム・ダウン&ユン・セワ、嶺南エアーのモデルに
https://japanese.joi[...]
[8]
뉴스
嶺南エア、金浦‐釜山路線を中止
http://www.chosunonl[...]
[9]
기사
영남에어, 운항중단 장기화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08-12-26
[10]
기사
영남에어, 사명 바꾸고 직원채용 등 재 운항 준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