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술 아카데미 (프랑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술 아카데미(프랑스)는 1816년 파리에서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 왕립 음악 아카데미, 왕립 건축 아카데미가 통합되어 설립되었다. 이 아카데미는 예술가 육성, 표창, 전시 등을 통해 프랑스 예술 정책을 수행했으며, 에콜 데 보자르, 로마 대상, 살롱을 중심으로 예술가를 양성했다. 현재 9개의 분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63명의 정회원, 16명의 외국인 준회원, 63명의 통신 회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의 예술 - 살롱 드 파리
    살롱 드 파리는 1667년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가 루브르궁에서 시작한 미술 전시회로 프랑스 예술계의 중요한 행사였으나, 19세기 보수적 운영으로 인해 새로운 미술 운동을 야기했고 이후 프랑스 예술가 협회가 관리하게 되었다.
  • 예술원 - 대한민국예술원
    대한민국예술원은 1954년 문화보호법에 따라 설립된 예술 관련 단체로, 문학, 미술, 음악, 연극·영화·무용 분과로 구성되어 예술원상 수여, 회원 선출, 예술 진흥 사업 등을 수행한다.
  • 예술원 - 왕립예술원
    1768년 조지 3세의 후원으로 설립된 왕립예술원은 영국의 미술 기관으로, 미술 교육 기관이자 여름 전시회 개최지로서 조슈아 레이놀즈가 초대 원장을 맡았으며 런던 벌링턴 하우스에 위치하여 영국 미술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술 아카데미 (프랑스)
지도
일반 정보
명칭아카데미 데 보자르
원어 명칭Académie des Beaux-Arts
로마자 표기Akademi de Bo-zar
종류학회
설립1648년
위치프랑스 파리
소재지콜베르 가 23번지
좌표48°51′26.6″N 2°20′13.2″E
상세 정보
소속프랑스 학술원
분야회화
조각
건축
판화
작곡
영화
시각 매체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프랑스 혁명 의회에 의해 1791년 왕립 아카데미는 폐지되었으나, 1795년에 재건되었다.[1] 프랑스 부르봉 왕정 복고 시대인 1816년에 "예술 아카데미"로 통합되었다.[1] 아카데미 제도의 중심은 에콜 데 보자르, 콩쿠르 (로마 대상), 살롱의 세 가지였다.[1]

2. 1. 설립 배경

1816년 파리에서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1648년 설립), 왕립 음악 아카데미(1669년 설립) 및 왕립 건축 아카데미(1671년 설립)가 통합되면서 이 아카데미가 설립되었다.[1] 원래 아카데미는 도제 제도를 바탕으로 공방, 직인 조합 등에 속해 있던 화가조각가, 또는 음악가들이 예술은 지적인 학문 분야이며, 낡은 제도는 폐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결성한 자유로운 모임이었다.[1] 이들은 이윽고 국왕 직속 기관이 되어, 유럽 최고의 예술 국가를 만들려는 국가의 예술 정책 아래 예술가의 육성·표창·전시 등 특권을 독점했다.[1] 프랑스 혁명 전에는 예술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3개의 왕립 아카데미가 있었다.[1]

프랑스 혁명 의회에 의해 1791년 왕립 아카데미는 폐지되었으나, 1795년에 재흥했다.[1] 프랑스 부르봉 왕정 복고 시대인 1816년에 "예술 아카데미"로 통합되었다.[1]

아카데미 제도의 중심은 수련 방식이 아닌 방법으로 예술가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에콜 데 보자르), 젊은 예술가 중에서 우수한 자를 선발하여 이탈리아 등으로 유학을 보내는 콩쿠르 (로마 대상), 자신들의 발표의 장을 스스로 확보하는 전시회(살롱)의 3가지이다.[1]

2. 2. 프랑스 혁명과 아카데미

프랑스 혁명 이전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왕립 아카데미가 예술 관련하여 존재했다.

1791년 프랑스 혁명 의회는 왕립 아카데미를 폐지했으나, 1795년에 다시 부활했다. 1816년 프랑스 부르봉 왕정 복고 시대에 "예술 아카데미"로 통합되었다.

2. 3. 아카데미 제도

1816년 파리에서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1648년 설립), 왕립 음악 아카데미(1669년 설립), 왕립 건축 아카데미(1671년 설립)가 통합되면서 예술 아카데미가 설립되었다. 원래 아카데미는 도제 제도를 바탕으로 공방, 직인 조합 등에 속해 있던 화가, 조각가, 음악가들이 예술은 지적인 학문 분야이며 낡은 제도는 폐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결성한 자유로운 모임이었다. 이들은 곧 국왕 직속 기관이 되어, 유럽 최고의 예술 국가를 만들려는 국가의 예술 정책 아래 예술가의 육성, 표창, 전시 등의 특권을 독점했다. 프랑스 혁명 전에는 다음과 같은 3개의 왕립 아카데미가 있었다.

프랑스 혁명 의회에 의해 1791년 왕립 아카데미는 폐지되었으나, 1795년에 재흥했다. 프랑스 부르봉 왕정 복고 시대인 1816년에 "예술 아카데미"로 통합되었다.

아카데미 제도의 중심은 예술가 양성 교육 기관(에콜 데 보자르), 우수 তরুণ 예술가를 선발하여 이탈리아 등으로 유학을 보내는 콩쿠르 (로마 대상), 발표의 장을 확보하는 전시회(살롱)의 3가지이다.

2. 3. 1. 에콜 데 보자르 (École des Beaux-Arts)

17세기 프랑스 왕립 아카데미의 부속 학교가 그 기원이다. 1819년 회화, 조각, 건축 부문이 통합되어 국립 미술 학교(에콜 데 보자르)가 되었다. 1968년 5월 혁명 이후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다.

2. 3. 2. 로마 대상 (Prix de Rome)

1803년에 창설되었다. 회화, 조각, 건축, 음악 각 분야에서 매년 1명이 선발되어 로마 유학 자격을 얻었다. 현재는 폐지되었다.

2. 3. 3. 살롱 (Salon)

프랑스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는 1667년에 팔레 루아얄(파리)에서 작품전을 열었는데, 이것이 미술 전시회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루브르 궁전 살롱 카레(사각형 방)에서 열리는 전시회(관전)를 살롱이라고 불렀다.[1]

프랑스 혁명 이후, 회화 조각 아카데미는 폐지되었지만, 왕정 복고 아래 예술 아카데미에 통합되었다. 혁명 후 살롱은 아카데미 회원들의 심사를 거쳐 아카데미에 속하지 않은 일반 화가들에게도 개방되었다(공모전의 시작). 살롱 출품이 결정되는 것이 젊은 미술가들의 목표였으며, 살롱은 등용문이 되었다. 아카데미 심사위원들은 신고전주의적인 미학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구래의 귀족이나 신흥 부르주아들의 취향에 영합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보수화되는 경향을 보였다('''아카데미즘''').[1] 살롱에서는 새로운 경향의 작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점차 젊은 작가들 사이에서 불만이 높아졌다. 이러한 새로운 경향은 유럽을 덮은 자유주의를 요구하는 정치 운동이나 과학의 급속한 발전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1]

프랑스 제2 제정 시대, 황제 나폴레옹 3세는 독자적인 예술 정책을 추진하며 아카데미와 대립했다. 1863년에는 예년보다 엄격한 심사에 낙선한 작가들의 불만이 높아지자, 황제는 미술 애호가와 대중에게 판단을 맡기기 위해 낙선 작품을 모은 전시회를 열 것을 아카데미에 명령했다. 이 "낙선전"에서 마네의 "풀밭 위의 점심"이 일상생활의 나체를 묘사하여 스캔들을 일으키며 화제가 되었다.[1] 1881년프랑스 예술가 협회가 설립되어 살롱의 운영을 맡게 되었다(민영화).[1]

1874년에는 후에 인상주의로 불리는 그룹이 독자적인 전시회(제1회 인상파 전시회)를 열었다. 1884년에는 무심사·출품 무제한의 앙데팡당전 (Salon des Indépendants)이 열렸고, 1890년에는 별도로 국민 미술 협회 (소시에테 나시오날 데 보자르)가 주최하는 살롱도 개최되었다. 1903년의 살롱 도톤느 전시회 개최 이후에도 많은 살롱이 생겨나기 시작했다.[1]

인상주의 등, 후에 근대 미술의 조상이 된 예술가들은 각자의 미학에 입각하여, 아카데미의 미술 학교(에콜 데 보자르)가 가르치는 듯한 기교 우선의 보수적인 미술을 "아카데믹('''아카데믹''")"이라고 부르며 공격했다. 아카데미에 속하지 않고 살롱에도 출품하지 않는 미술가가 늘어났고, 그들은 독자적인 그룹이나 결사를 결성하여 개인전이나 독자적인 그룹전을 열게 되었다.[1] 20세기에 들어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들 19세기 중반의 근대 미술 화가들이 평가받게 되면서, 반대로 그들을 공격했던 예술 아카데미의 아카데믹한 작풍의 거장들은 잊혀지게 되었다.[1]

관전의 흐름을 잇는 살롱(르 살롱, 프랑스 예술가 협회전)은 현재도 매년 열리고 있지만, 최근에는 지금까지 사용해오던 그랑 팔레(1900년의 파리 만박에 맞춰 건립된 유리와 철골로 된 대규모 전시회장)가 노후화되어 수리를 위해 오랫동안 폐쇄에 들어가면서, 다른 대규모 회장에서 살롱을 열고 있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예술의 중심이 파리에서 뉴욕으로 이동하면서, 살롱이 예술계(아트 월드)에 미치는 영향도 예전만큼 크지 않게 되었다.[1] 2006년 이후, 그랑 팔레에서의 살롱전 재개에 따라, 여러 살롱이 합동으로 개최하는 Salon EN CAPITAL이 개최되면서, 향후 프랑스 살롱계의 반등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2008년에는 프랑스 학사원 총재인 Prince Gabriel de BROGLIE (Chancelier de l'institut de France)에 의해, LA SECTION DE GRAVURE DE L'ACADEMIE -DES BEAUX-ARTS EXPOSE ET RECOIT SES INVITES가, 구텐베르크로부터 변화하는 판화(인쇄술, 서지학)를 테마로 4명의 아카데미 회원에 대한 오마주전으로서, 현대 활약하는 판화가를 초청하여 개최되었다.[1]

3. 분과 및 회원

예술 아카데미는 학제 간 융합을 중심으로 정회원 63명, 외국인 준회원 16명, 통신 회원 6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회원은 회화, 조각, 건축, 판화, 작곡, 무소속, 영화 및 시청각, 사진, 안무의 9개 분과로 나뉜다.

예술 아카데미 회원 구성
구분인원
정회원63명
외국인 준회원16명
통신 회원63명



프랑스 예술에 기여한 일본인 회원으로는 단게 겐조(건축가, 준회원), 고바야시 요지(요미우리 신문 명예 회장·니혼 TV 방송망 회장, 준회원), 오자와 세이지(지휘자, 2001년 준회원, 2008년 정회원), 우지이에 사이이치로(니혼 TV 방송망 회장·요미우리 신문 그룹 본사 상담역, 2005년 준회원) 등이 있다. 우지이에 사이이치로는 루브르 박물관모나리자 관에 출자하는 등의 공적으로 준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본회원은 매주 목요일 아카데미 회의 등에 참석할 의무가 있다.

3. 1. 분과

예술 아카데미는 학제 간 융합을 중심으로 정회원 63명, 외국인 준회원 16명, 통신 회원 6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1] 정회원은 9개의 예술 분과로 나뉜다.[1]

  • 제1분과: 회화
  • 제2분과: 조각
  • 제3분과: 건축
  • 제4분과: 판화
  • 제5분과: 작곡
  • 제6분과: 무소속(자유) 회원
  • 제7분과: 영화 및 시청각 분야의 예술 창작 (1985년 이후)
  • 제8분과: 사진 (2005년 이후)
  • 제9분과: 안무 (2018년 이후)


분과좌석회원임명일
I: 회화colspan="3" |
2피에르 카론1990
4공석2018
5필립 가렐2015
6제라르 가루스트2017
7공석2019
8공석2021
9파브리스 이베르2018
10장 마르크 부스타망트2016
11카트린 뫼리스2020
13이브 밀르캄프2001
II: 조각* 4번 좌석은 1988년에 제7분과로 이전되었다.
1공석2020
2클로드 아베이유1992
3장 앙게라2013
5장 미셸 오토니엘2018
6안느 푸아리에2021
7피에르-에두아르2008
8앙투안 퐁세1993
9브리지트 테르지에프2007
III: 건축* 8번 좌석은 1985년에 제7분과로 이전되었다.
1자크 루제리2008
2장 미셸 윌모트2015
3에메릭 즈블레나2008
4안 데미앙2021
5마르크 바라니2018
6도미니크 페로2015
7알랭 샤를 페로2013
9피에르-앙투안 가티에2019
10베르나르 데물랭2018
IV: 판화과거 회원 목록은 "예술 아카데미 회원 목록: 판화"를 참조하라.
1에릭 데마지에르2008
2공석2020
3아스트리드 드 라 포레스트2016
4피에르 콜랭2018
V: 작곡과거 회원 목록은 "예술 아카데미 회원 목록: 음악"을 참조하라.
1로랑 프티지라르2000
2브루노 만토바니2017
3미카엘 레비나스2009
4길베르 아미2013
5프랑수아-베르나르 마슈2002
6에디트 카나 드 시지2005
7레지스 캄포2017
8티에리 에스카이슈2013
VI: 무소속 회원* 9번 좌석은 1985년에 제7분과로 이전되었다.
1윌리엄 크리스티2008
3위그 갈2002
4뮈리엘 마예트-홀츠2017
5미셸 다비드-웨일1982
6마르크 라드레 드 라샤리에르2005
7아드리앙 괴츠2017
8공석2021
10앙리 로와레트1997
11패트릭 드 카롤리스2010
13프랑수아-베르나르 미셸2000
VII: 영화 및 시청각 분야의 예술 창작* 1번 좌석은 1998년에 제5분과로 이전되었다.
2로만 폴란스키1998
3장 자크 아노2007
4콜린 세로2018
5자크 페랭2016
6레지스 바르니에2007
7프레데릭 미테랑2019
VIII: 사진* 1번 좌석은 이전에 뤼시앙 클레르그 (1934-2014)가 차지했다.
1세바스티앙 살가두2016
2얀 아르튀스-베르트랑2006
3도미니크 이세르만2021
4장 고미2016
IX: 안무colspan="3" |
1티에리 말랑당2019
2블랑카 리2019
3앙젤랭 프렐조카주2019
4캐롤린 칼슨2020
외국인 준회원colspan="3" |
1안토니오 로페스 가르시아2012
2공석2016
3모자 빈 나세르2007
4카림 아가 칸 4세2007
5애니 레보비츠2022
6주세페 페노네2022
7레오나르 지아나다2001
8게오르크 바젤리츠2019
9공석2019
10우디 앨런2004
11노먼 포스터2007
12이르지 킬리안2018
13윌리엄 켄트리지2021
14오자와 세이지2001
15파라 팔라비1974
16필리프 드 몽테벨로2012


3. 2. 주요 회원

예술 아카데미는 학제 간 융합을 중심으로 63명의 정회원, 16명의 외국인 준회원, 63명의 통신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1] 정회원은 9개의 예술 분과로 나뉜다.[1]

분과좌석회원임명일
I: 회화
2피에르 카론1990
4공석2018
5필립 가렐2015
6제라르 가루스트2017
7공석2019
8공석2021
9파브리스 이베르2018
10장 마르크 부스타망트2016
11카트린 뫼리스2020
13이브 밀르캄프2001
II: 조각
1공석2020
2클로드 아베이유1992
3장 앙게라2013
5장 미셸 오토니엘2018
6안느 푸아리에2021
7피에르-에두아르2008
8앙투안 퐁세1993
9브리지트 테르지에프2007
III: 건축
1자크 루제리2008
2장 미셸 윌모트2015
3에메릭 즈블레나2008
4안 데미앙2021
5마르크 바라니2018
6도미니크 페로2015
7알랭 샤를 페로2013
9피에르-앙투안 가티에2019
10베르나르 데물랭2018
IV: 판화
1에릭 데마지에르2008
2공석2020
3아스트리드 드 라 포레스트2016
4피에르 콜랭2018
V: 작곡
1로랑 프티지라르2000
2브루노 만토바니2017
3미카엘 레비나스2009
4길베르 아미2013
5프랑수아-베르나르 마슈2002
6에디트 카나 드 시지2005
7레지스 캄포2017
8티에리 에스카이슈2013
VI: 무소속 회원
1윌리엄 크리스티2008
3위그 갈2002
4뮈리엘 마예트-홀츠2017
5미셸 다비드-웨일1982
6마르크 라드레 드 라샤리에르2005
7아드리앙 괴츠2017
8공석2021
10앙리 로와레트1997
11패트릭 드 카롤리스2010
13프랑수아-베르나르 미셸2000
VII: 영화 및 시청각 분야의 예술 창작
2로만 폴란스키1998
3장 자크 아노2007
4콜린 세로2018
5자크 페랭2016
6레지스 바르니에2007
7프레데릭 미테랑2019
VIII: 사진
1세바스티앙 살가두2016
2얀 아르튀스-베르트랑2006
3도미니크 이세르만2021
4장 고미2016
IX: 안무
1티에리 말랑당2019
2블랑카 리2019
3앙젤랭 프렐조카주2019
4캐롤린 칼슨2020
외국인 준회원
1안토니오 로페스 가르시아2012
2공석2016
3모자 빈 나세르2007
4카림 아가 칸 4세2007
5애니 레보비츠2022
6주세페 페노네2022
7레오나르 지아나다2001
8게오르크 바젤리츠2019
9공석2019
10우디 앨런2004
11노먼 포스터2007
12이르지 킬리안2018
13윌리엄 켄트리지2021
14오자와 세이지2001
15파라 팔라비1974
16필리프 드 몽테벨로2012



프랑스 예술에 기여한 공로로 회원(정회원·준회원)으로 선출된 일본인이 있다. 예를 들어 우지이에 사이이치로는 일본에서의 프랑스 미술 전시회 개최, 루브르 박물관모나리자 관에 출자하는 등의 공적으로 선출되었다.[1] 본회원은 매주 목요일 아카데미 회의 등에 참석할 의무가 있다.[1]

3. 3. 역대 회장

연도회장
1995세르주 니그
1996Arnaud d'Hauterives|아르노 도트리브프랑스어
1997장 카르도
1998크리스티앙 랑글루아
1999Jean-Marie Granier|장마리 그라니에프랑스어
2000마리우스 콘스탄
2001피에르 숀되르퍼
2002피에르 카롱
2003Gérard Lanvin (sculpteur)|제라르 랑뱅 (조각가)|제라르 랑뱅프랑스어
2004로제 타이리에르
2005장 프로드로미데스
2006François-Bernard Michel|프랑수아베르나르 미셸프랑스어
2007피에르 숀되르퍼 (두 번째 임기)
2008Yves Millecamps|이브 밀르캉프랑스어
2009Antoine Poncet|앙투안 퐁세프랑스어
2010로제 타이리에르 (두 번째 임기)
2011로랑 프티지라르
2012François-Bernard Michel|프랑수아베르나르 미셸프랑스어 (두 번째 임기)
2013뤼시앙 클레르그
2014Claude Abeille|클로드 아베이프랑스어
2015Aymeric Zublena|에메릭 주블레나프랑스어
2016에리크 데마지에르
2017에디트 카나 드 시지
2018파트리크 드 카롤리스
2019피에르 카롱 (두 번째 임기)
2020Jean Anguera|장 앙게라프랑스어
2021알랭-샤를 페로


4. 시상

현재, 아카데미 데 보자르는 5개의 전용 상을 포함한 여러 상을 수여하고 있다.[1]


  • 릴리안 베탕쿠르 합창 음악상
  • 시몬 앤 시노 델 듀카 재단 음악상
  • 피에르 가르뎅 디자인상
  • 프랑수아-빅토르 누리 상
  • 피에르 지아나다 재단 상


이전에는 아카데미에서 리브레토 또는 작곡 분야에서 우수한 작품에 프리 로시니를 수여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