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토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토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군비행장 건설을 위해 강제 징용된 조선인들이 정착하여 형성된 마을이다. 1940년대 초 교토 인근에 형성되었으며, 해방 후에도 일부 주민들이 남아 민족 거주지를 이루었다. 이후 토지 소유권 분쟁과 강제 퇴거 위기를 겪었으나, 대한민국 정부와 시민 단체의 지원을 통해 주민들의 거주권을 확보하고, 2018년 시영 주택 건설을 통해 재개발이 이루어졌다. 2022년에는 우토로 평화 기념관이 건립되었으며, 혐오 범죄와 반한 감정으로 인한 사건도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코리아타운 - 오쿠보 (신주쿠구)
신주쿠구 북부 오쿠보는 신오쿠보역을 중심으로 코리아타운이 형성되어 있고, 철쭉 명소로 발전 후 재일 한국인들이 모여 살면서 한국 문화 중심지가 되었으며, 현재는 다문화 지역으로 변화하고 있고 와세다 대학 캠퍼스 등 교육 시설이 위치한다. - 일본의 코리아타운 - 오사카 이쿠노 코리아타운
오사카 이쿠노 코리아타운은 오사카시 이쿠노구에 위치한 재일 한국인 및 조선인 거주 지역으로, 한국 문화와 음식을 접할 수 있는 상점과 식당이 밀집되어 관광 명소로 발전했으며, 과거 반한 감정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사랑받는 공간이다. - 우지시의 역사 - 구세군 (교토부)
구세군은 야마시로국에 설치되었던 군으로, 1889년 정촌제 시행으로 2정 8촌이 발족되었으며, 여러 합병과 시 승격을 거쳐 1972년 조요시가 되면서 소멸되었다. - 우지시의 역사 - 오쿠보촌 (교토부)
오쿠보촌은 1889년 교토부에 발족하여 1951년 우지시에 합병된 촌으로, 현재 우지시의 일부이며 철도와 국도가 지나는 교통의 요지였다.
| 우토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2. 마을 형성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일제는 국가총동원법을 공표하고 교토 군비행장 건설을 위해 1,300여 명의 조선인을 강제 징용했다.[72] 이들은 주로 경상도 출신의 소작농이었다.[3] 일제는 징용자들을 집단 합숙시키기 위해 공사장 주변에 함바라고 불리는 간이건물을 대규모로 만들었고,[73] 자연스럽게 그 주변에 마을이 형성되었다. 당시 건물 상태는 매우 열악하고 비좁았으며, 각각의 임시 가옥에는 종종 일곱, 여덟 가족이 함께 거주했다.[4]
1945년 일본이 패망하면서 비행장 건설은 중단되었고, 징용자들은 일본 정부나 기업으로부터 어떠한 보상도 받지 못한 채 방치되었다.[72] 게다가 당시에는 한반도 분단으로 인해 상황이 더욱 어려워졌다.[5][6] 여러 사정으로 인해 일부 조선인이 잔류하면서 현재의 우토로 마을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토지나 건물에 대한 법적 소유권이 없는 불법 점유자 신분이었다.[7]
1945년 9월, 주민들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련)에 소속된 조선인 학교를 세웠지만, 1949년 한신 교육 사건으로 조선학교는 폐쇄되었다.[5][6] 일본 학교로 전학 간 학생들은 괴롭힘과 차별을 겪었고, 학교 출석률이 떨어졌다.[6] 또한, 상당수의 고령 주민들은 한국이나 일본에서 학교를 다닌 적이 없어 문맹으로 남았고,[3][6] 이는 토지 소유주 및 여러 정부와의 협상에 어려움을 겪게 했다.[6]
무허가 시설이었기에 수도 시설조차 갖춰지지 않아 1988년까지 우물물로 식수를 해결했다. 주민들은 수세식 변기가 없는 화장실을 사용했고,[6][8] 이는 지역에 불쾌한 냄새를 풍기게 했다.[8] 1953년 9월에는 태풍 테스로 인해 심각한 홍수 피해를 겪기도 했다.[9]
2. 1. 해방 이후
일본의 항복 이후, 일본에 남은 한국인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귀국하지 못했다. 한반도의 열악한 환경과 정치적 불안, 귀국 비용 부담, 일본에서의 성공적인 경력 등이 그 이유였다. 일본 문화에 동화되어 일본인 배우자나 일본어를 구사하는 자녀가 있는 경우도 일본 잔류를 선택하게 했다.[2]그러나 일본에 남은 한국인들은 일본인들의 괴롭힘과 폭력에 시달렸다.[2] 조시시에서는 일본 경찰이 미군 환영을 위해 가던 한국인 3명을 총으로 쏴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일본 내 한국인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도 차별을 받았지만, 전쟁 후에는 더욱 심각한 차별에 직면했다.[2] 1945년 12월 투표권을 잃었고, 1947년 外国人登録令|외국인 등록령일본어에 의해 시민권을 박탈당해 무국적자가 되었다. 고용 정책에서도 차별받아 비공식적, 소외된, 불법적인 부문에서 일할 수밖에 없었다.[2]
우토로 지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2년 건설이 시작된 교토 비행장[39]과 비행기 공장 건설에 동원된 조선인 노동자들과 그 가족들이 살던 판자집 (숙박 시설)에서 시작되었다.[40] 우토로 주민들은 1944년 9월부터 1945년 3월까지 돈을 벌기 위해 온 한반도 출신 노동자와 그 자손이며, 일본 정부나 닛산 차체 등이 거주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40] 그러나 실제로는 대부분 국민징용령이나 국가총동원법에 의한 징용이 아닌, 경제적인 이유로 일본에 온 사람들이었다.[41]
우토로 정내회 조사에 따르면, 2005년 기준 우토로 지구 거주 65세대 중 전쟁 중 비행장 건설에 참여한 1세대와 자손, 그 친척, 전후(1945년 이후) 우토로로 이주해 온 가족과 그 자손이 각각 3분의 1씩 차지했다.[42] 국무총리 산하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 진상규명 위원회"는 2006년 보고서에서 우토로 주민 대부분이 강제 징용자가 아닌, 원래 일본에 거주하던 조선인이라고 밝혔다.[43] 미즈노 나오키는 전시 중 광산의 가혹한 노동을 피해 도망친 조선인 노동자들이 군 지정 노동을 위해 우토로 지구에 온 경우도 있었다고 언급했다.[44]
1945년 7월, 미군의 폭격으로 항공기 공장이 생산을 중단하고 종사자들이 실직했다. 종전과 함께 비행장 건설이 중단되고, 해당 기지와 부대 시설은 GHQ가 접수했다. 대부분의 조선인 노동자들은 귀국했지만, GHQ의 퇴거 권고 및 조선 귀국 요구를 거부한 조선인들은 불법적으로 잔류했다. 이들은 배삯 마련의 어려움, GHQ의 무상 송환 사업 제외 등의 이유로 귀국하지 못했다. 우토로 지구는 사유지 불법 점거라는 점에서 다른 조선인 집락과 차이가 있다.
1962년 7월, 우토로 지구 토지 소유권은 닛산 차체 공기(현 닛산 차체)로 이전되었다. 1980년대 닛산 차체는 불법 점거를 이유로 수도관 부설을 거부했고, 우토로 주민들은 인권 문제를 제기하며 맞섰다. 1987년 3월, 닛산 차체가 수도관 부설을 인정하면서 갈등이 일단락되었다.
3. 토지 분규
1941년, 일본 정부는 우토로 인근에 비행장 건설을 계획하고 경상도 출신의 소작농 등 한국인들을 강제 징용했다.[3] 징용된 이들은 1943년에 처음 이주하여 열악한 노동자 숙소에서 생활했다.[3][7] 1945년 종전 후, 비행장 건설은 중단되었고 노동자들은 고향으로 돌아갈 방법도, 보상도 받지 못했다.[5][6] 게다가 한반도 분단으로 인해 상황은 더욱 어려워졌다.[5][6] 약 1,300명의 한국인들은 토지나 건물에 대한 법적 소유권 없이 불법 점유자 신분으로 이 지역에 머물렀다.[7]
이후 일본 내 다른 한국인들이 이 지역으로 모여들어 민족 거주지가 되었다.[5] 이들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련) 소속 학교를 설립하고 교육 매체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등 민족 정체성을 지키고자 노력했다.[5] 그러나 1949년 한신 교육 사건으로 조선학교는 폐쇄되었고,[5][6] 일본 학교로 전학 간 학생들은 차별과 괴롭힘을 겪었다.[6]
1960년대 무렵, 이 토지는 닛산 차체의 계열사가 소유하고 있었다.[10][9][11] 닛산 차체는 주민 이주를 위해 여러 차례 협상을 시도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특히 식수 문제는 심각했는데, 주민들이 사용하던 우물은 염분이 많았고, 공공 수도 시설 사용은 닛산 차체가 임차인의 점유를 인정하는 꼴이 된다는 이유로 거부되었다.
1984년과 1985년, 닛산 차체는 구역 의회 회장인 허창구(일본명: 히라야마 마스오)에게 주민들을 이주시키기 위한 제안을 했지만, 거절당했다. 1986년, 닛산 차체는 토지를 허창구가 설립할 회사에 매각하고, 현 거주자들이 그 회사로부터 토지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허창구는 이 제안을 수락했고,[4] 1987년 3월에 거래가 성사되었다.[9] 닛산 차체는 우지시에 주민들의 식수 접근 허가를 통보했고, 1988년 4월에 주민들은 수돗물을 받게 되었다.[13]
그러나 허창구는 자신이 체결한 거래에 대해 다른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았다.[5] 그는 서일본식산이라는 회사를 설립하여 토지를 매입했지만, 주민들은 토지 구매를 거절했다. 1988년 6월, 거래 조건에 대한 소문을 들은 일부 주민들은 토지 소유자를 확인하고 허창구가 거짓말을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3. 1. 강제 퇴거 위기
1987년 닛산차체는 우토로 토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시 80세대 380명이 거주하던 우토로 지구의 모든 토지를 자치회장 허창구(일본명: 히라야마 마스오)에게 3억엔에 매각했다.[72] 2개월 후, 허창구는 이 토지를 자신이 설립한 부동산 회사인 서일본식산에 4.45억엔에 몰래 팔고 잠적했다.[72] 이 과정은 중간생략등기 형태로 이루어져 닛산차체에서 서일본식산으로 소유권이 이전되는 것처럼 보였다.[72]서일본식산은 주민들에게 토지 매입 또는 퇴거를 요구했고, 1988년 12월 13일 주민들에게 퇴거 통지서를 발송했다.[13]주민들이 이를 무시하자, 1989년 2월 서일본식산은 교토 지방 재판소에 주민들을 상대로 '건물수거토지명도' 소송을 제기했다.[72] 주민들은 우토로 지구를 조선인 거주 지역으로 개척한 사실을 들어 시효 취득을 주장하고, 오사카고등재판소, 최고재판소까지 상고했지만 모두 기각되어 2000년 11월에 최종 패소했다.[72]
한편, 1989년 2월 철거 작업자들이 현장에 접근했지만, 주민들은 육체적으로 그들의 작업을 막았다.[14][12] 이 무렵, 주민들은 ウトロを守る会|우토로를 지키는 모임일본어이라는 지원 단체를 결성하여 국내외에 문제를 알리고, 닛산 차체가 서일본식산으로부터 토지를 다시 구매할 것을 요구하는 등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다.[13]
2001년 8월, UN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위원회는 일본의 소수 민족, 특히 한국인에 대한 체계적인 차별의 맥락에서 우토로 문제를 인정했다.[18][9]
3. 2. 분쟁 해결 노력
삶의 터전을 잃어버리게 된 사정이 알려지면서 한겨레 21, 한국 기독교 교회협의회(NCCK) 우토로 국제대책회의에서 모금활동 및 우토로 알리기 운동을 전개해 주민들을 지원하였다.[74] '우토로 지키기' 운동에 나선 재일동포와 일본인, 한국의 시민단체 등이 시민 성금을 모았다. 2008년 노무현 대통령 임기 말 무렵 대한민국 정부에서도 우여곡절 끝에 15억 원씩 분할 지급으로 우토로에 관한 예산 30억원을 집행하였다.[74] 성금과 정부의 지원금으로 2010년, 우토로 마을 대지 6000평 중 2000평 가량의 토지를 매입해 주민들의 거주권을 확보하였다.[74]1989년 2월, 철거 작업자들이 현장에 접근했지만, 주민들이 육체적으로 그들의 작업을 막았다.[14][12] 다음 달, 주민들은 첫 재판을 받았다.[9] 이 무렵, 주민들은 ウトロを守る会|우토로를 지키는 모임일본어이라는 지원 단체를 결성했으며, 초기에는 70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200명의 다른 사람들의 지원을 받았다. 이 회원들 중 다수는 지역의 이웃들인 재일 한국인들이었다.[3][5][10] 1989년 11월 5일, 약 700명이 참석한 가운데 닛산 차체 공장에서 이 단체의 시위가 열렸다.[13] 이 단체는 닛산 차체가 히라야마와 비밀 거래를 맺었다고 주장하며, 닛산 차체가 서일본식산으로부터 토지를 다시 구매할 것을 요구했다. 닛산 차체는 이를 거절했다.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서일본식산의 소송에 대한 일련의 심리가 열렸지만, 협상은 난항을 겪으며 지연되었다.
한편, 주민들은 이 문제를 국내외에 알리기 위해 노력했다. 1991년 9월 7일부터,[13] 주민 이유미(이유미|한국어)는 미국에서 3개월간의 강연 투어를 시작하여 우토로뿐만 아니라 재일 한국인 전체가 직면한 문제에 대해 다루었다. 그녀는 하버드 대학교, 예일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등을 포함한 여러 대학에서 강연했다. 이씨의 홍보 캠페인은 이 문제에 대한 관심의 급증으로 이어졌고, 우토로는 ''뉴욕 타임스'', ''CNN'', ''타임''을 포함한 주요 언론 매체에서 다루어졌다.
이 이야기는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일부에서는 우토로를 일본의 전후 부인주의와 재일 한국인에 대한 체계적인 차별의 상징으로 해석했다.[10][12][15] 1993년, 하버드 학생들은 보스턴에 있는 일본 영사관 앞에서 우토로 주민들의 퇴거에 항의했다.[16] 마을 사람들은 ''뉴욕 타임스''에 전면 광고를 게재하기 위해 25000USD를 모금했다. 이 광고는 미국 광고 회사 퍼블릭 미디어 센터(Public Media Center)의 책임자인 허브 건터(Herb Gunther)가 교토 출장 중 시위대를 보고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하는 것을 도왔다.[12] 이 광고는 1993년 3월 1일에 게재되었으며,[13] 미국 대중에게 닛산 차체에게 토지를 재구매하거나, 주민들에게 전시 노동에 대한 보상을 하라는 압력을 가해달라고 요청했다. 퍼블릭 미디어 센터는 11,000통이 넘는 지지 편지를 받았다.[12] 그 해,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일본인에게 어울리지 않는 퇴거"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14]
일본계 미국인들도 캠페인에 참여했다. 호놀룰루의 목사인 시마자키 카나(Kana Shimasaki)는 이 대의를 위해 적극적으로 청원했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일본이 잘못을 바로잡도록 하는 유일한 방법이 외부 세계에 알리는 것이라는 것은 부끄러운 일입니다. 일본 시민으로서 저는 부끄럽습니다."라고 말했다.[12]
이 문제는 독일에서도 어느 정도 주목을 받았다. 1991년, 마을 대표 5명이 독일을 방문하여 강연을 했고, 일본-독일 포럼의 초청으로 여러 독일 청소년들이 방문했다.[13]
그러나 1998년, 교토 지방 법원은 마을 사람들에게 불리한 판결을 내렸다.[17][9] 오사카 고등 법원에 항소가 제기되었지만, 기각되었다.[17][10] 주민들은 이후 일본 최고 재판소에 상고했지만, 2000년 11월에 다시 퇴거가 확정되었다.[17][4][9] 그들은 계속해서 이주를 거부했고, 강제 퇴거 시도를 거부했다.[4]
2001년 8월, 국제 연합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위원회는 일본의 소수 민족, 특히 한국인에 대한 체계적인 차별의 맥락에서 우토로 문제를 인정했다.[18][9] 2002년 6월, 주민들은 エルファ|에루화일본어라는 노인들을 위한 자원 봉사 지원 단체를 설립했다.[9] 이 단체는 북한과 연계된 조선총련과 남한과 연계된 민단의 지원을 받았다.[13]
마을 주민들은 특히 이웃을 포함한 수많은 일본인들의 관심과 지원을 받았다.[3][10] 1988년, 그들은 첫 회의를 열었으며, 斎藤正樹|사이토 마사키일본어가 단체의 첫 번째 소식지를 작성했다. 사이토는 이후 주민들을 위한 법적 지원을 조직하고, 주민들의 유엔 성명서를 준비하며, 우지시(宇治市) 정부와 협상하는 것을 도왔다.[3] 이웃들은 청원에 서명하고 우토로의 대의를 위해 돈을 기부했다.[10] 주민 중 한 명인 타가와 아키코는 1980년대부터 이 마을에서 살고 있었다. 그녀는 나중에 한국인 주민들의 식수 접근을 돕기 위해 왜 캠페인을 벌였는지 "27년 전, 우토로에서 자란 [한국인] 친구가 식수를 사용할 수 없다는 사실에 너무 충격을 받았습니다. 뭔가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라고 설명했다.[19]
법적 노력이 정체되자, 일본 지지자들은 "지역 사회 건설 행동 계획"을 내놓았다.[5] 또한, 일본 기독교 전국 협의회와 한국 기독교 전국 협의회 인권 위원회가 함께 마을 주민들을 지원했다.[20] 쓰쿠바 대학의 한 교수는 1989년에 마을의 역사에 관한 연구회를 열었다.[13]
3. 3. 대한민국 정부의 지원
2008년 노무현 대통령 임기 말, 대한민국 정부는 우여곡절 끝에 우토로 지원 예산 30억 원을 집행하였다. 이 예산은 15억 원씩 분할 지급되었다.[74] 시민 성금과 정부 지원금을 합쳐 2010년, 우토로 마을 부지 6000평 중 약 2000평을 매입하여 주민들의 거주권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74]2005년, 당시 유엔 사무총장이자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장관이었던 반기문은 개인 기부금으로 토지 매입이 부족할 경우 주민들을 돕겠다고 약속했다.[23] 노무현 대통령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은 우토로 지원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0] 2007년에는 우토로 주민 9명이 대한민국 국회에서 연설하기도 했다.[23]
2004년 9월, 한국에서 열린 국제 회의에 우토로 주민 4명이 참석하여 우토로 문제를 호소한 것을 계기로 한국 정부 관계자와 국회의원들의 시찰이 이어지면서 한국 내에서 우토로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후 한국 시민 단체의 우토로 구원 모금(약 6,500만 엔)과 한국 정부의 지원금(약 3억 6,000만 엔)이 출연되었고, 2007년 9월 28일, 서일본식산과 우토로 정내회는 지구 전체의 거의 절반을 5억 엔에 매입하는 합의를 성립시켰다.[50]
2011년 2월, 대한민국 정부는 주민들을 위해 3800m2의 토지를 1억 8천만 엔에 추가 매입했다.[9][24]
4. 재개발과 입주
2016년 7월부터 주민 재입주를 전제로 재개발 공사가 시작되었다.[75] 재개발 직전, 일본 국적 취득을 거부한 채 우토로에 살던 조선인들은 65세대 150여 명이었다. 2018년 1월, 일본 정부가 지은 '시영주택'이 들어서고 주민들이 입주하였다.[76] 문재인은 참여정부 청와대 비서실장으로서 우토로 땅을 매입하는 데 기여하여 우토로 주민회로부터 감사패를 받았다.[77]
2007년, 우토로 주민들은 개인 기부자와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토지 매입 자금 3억 8천만 엔(380000000JPY) 이상을 모금했다.[9] 2010년 5월에는 2700m2의 토지를 1억 2천만 엔에 매입했고, 이듬해 2월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주민들을 위해 3800m2의 토지를 1억 8천만 엔에 추가로 매입했다.[9][24]
2007년 12월, 일본 정부는 우토로 지구 생활 환경 개선 협의회를 설립했다.[9] 2011년 2월, 주민들과 협의회는 이 지역에 의료 시설 및 홍수 방지 기반 시설을 건설하는 계획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24][3] 2012년 1월, 주민들과 협의회는 이 지역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계획에 합의했고,[9] 우지시는 새로운 공공 주택 마련을 지원할 예정이었다.[3]
2016년, 시는 낡은 주택을 철거하기 시작했고,[17] 40가구를 위한 아파트 건설이 그 해에 시작되었다. 이 건물은 2018년 1월에 완공되어 주민들이 이주했다.[9] 12가구를 위한 건물 한 채는 2023년에 완공되었다.[25][7] 2021년까지, 지구에는 약 90명의 주민이 있었다.[26]
2007년에 우토로 정내회는 지구 내에 공영 주택 및 우토로 기념관 건설을 요구하는 건의서를 교토부 지사에게 제출했지만, 당시 국토교통대신은 협의회 설치를 지시했으나, 재정난 등으로 사업 주체도 미결정 상태로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009년 6월 13일 집중 호우로 우토로를 포함한 오구라·이세다 일부에서 침수 피해를 입었다. 우토로 지구는 예전부터 여러 차례 침수 피해를 입고 있는데, 이는 주변 토지에 비해 저지대가 되어 침수되기 쉽기 때문으로 보인다.
2010년 10월, 고정자산세 체납으로 지권자가 우지시에 토지를 압류당했지만, 정리회수기구도 채권을 가지고 있어 채권 분배안을 두고 갈등이 있었다.[51]
2011년 1월, 우지시는 채권 문제를 해결하고 주민들은 토지 소유권 이전을 실현했지만, 엔고 원화 약세로 구입 가능한 토지 면적은 당초 예정의 절반으로 감소했다.[52][53]
2011년 8월 10일, "우토로 지구 주거 환경 개선 검토 협의회"가 약 3년 만에 개최되어 기본 구상 책정을 위한 작업이 시작되었다. 협의회는 주민의 합의를 얻어 지구의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공공 주택 건설 등의 사업 수법을 검토할 예정이다.
2012년 1월 30일, "우토로 지구 주거 환경 개선 검토 협의회"가 개최되어, 불법 점거 상태에 있는 토지의 건물 철거에 대해 우토로 정내회 임원이 "총회에서 보상을 요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보고했다.
2016년 시영 주택 건설을 위해 가옥 철거가 시작되었고,[59] 2017년 12월 27일에 40세대 분의 시영 주택 1기동이 완공되었다.[60][61] 2023년 시영 주택 2기동이 완공되었고,[62] 2024년 주거 환경 개선 사업이 완료되었다.[63]
5. 우토로 평화 기념관
2022년 4월 30일, 한국 정부의 지원으로 지상 3층 규모의 '우토로 평화 기념관'이 우토로 마을에 건립되었다.[78] 일제 강점기 일본 비행장 건설에 동원됐던 조선인들이 터를 잡은 '우토로 마을'의 아픈 역사를 알리고, 전쟁의 참화와 민족 차별을 겪은 현장이라는 점에서 평화를 기원하는 기념관이다. 기념관은 지상 3층, 연면적 461m2 규모로, 우토로의 과거 모습을 담은 사진과 설명, 당시를 재현한 조형물 등이 전시되어 있고, 우토로에 살다 세상을 떠난 재일한국인들을 소개하고 있다. 기념관 앞마당에는 우토로 주민들이 오랫동안 실제 거주했던 '함바'라고 불린 조선인 합숙 시설 일부 건물을 옮겨 놓았다.[79]
ウトロ平和祈念館|우토로 평화 기념관|hangul=우토로평화기념관일본어은 개인 기부와 대한민국 정부의 지원을 통해 건립되었다.[27][5] 대한민국 정부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 과정에 지원했다.[27]
2022년 4월 30일, 박물관이 해당 지역에 개관했다.[7][17] 개관식에는 한국 전통 음악과 무용 공연이 열렸다.[7] 박물관은 3층 건물이며 총 면적은 450m2이다.[7] 관장은 수십 년 동안 이 지역에 거주해 온 일본 여성 타가와 아키코[28]이다.[29] 1층에는 카페가 있다. 건립 비용은 약 20억엔 (1.8억달러)이다.[30]
2021년 8월 30일, 해당 지구 내에서 방화 사건이 발생하여 빈집, 창고 등 총 5채가 전소되고, 주택 2채가 반소되었다.[65] 전소된 빈집 중에는 "우토로 평화 기념관"에서 전시될 예정이었던 생활 용품 등의 자료가 있었다.[66]
6. 반한 감정과 혐오 범죄
우토로에서는 재특회의 시위와 2021년 방화 사건 등 반한 감정 및 혐오 범죄가 발생했다.
2005년 7월 3일부터 11일까지, 일본의 인권 NGO인 반차별 국제 운동(IMADR)의 초청으로 국제 연합 인권 위원회 특별 보고관인 두두 디엔(세네갈 국적)이 일본의 인권 상황 조사를 위해 방일했다. 그는 우토로 지구를 방문하여 청문 조사를 진행했고, 2006년 1월 보고서에서 일본 정부에 우토로 주민과의 대화, 강제 퇴거 보호, 거주권 보장을 위한 조치를 권고했다. 그러나 이 권고에는 강제력이 없었고, 일본 정부는 공식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산케이 신문은 보고서와 관련하여 조사를 주선한 무샤코지 킨히데가 주체사상 국제연구소와 관계가 깊다는 점을 들어, "일본에 악의를 품은 인물이 인권을 무기로 국제 연합을 이용하여 일본에 억지를 부리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했다.[64]
2022년 4월 30일에는 우토로 지구의 역사를 전하는 우토로 평화 기념관이 개관했다.[70]
6. 1. 재특회의 시위
2008년 12월 14일, 우익 정치인 사쿠라이 마코토와 그의 단체 재특회(단체 전체 이름은 "재일 한국인의 특별 특권에 반대하는 시민의 모임"으로 번역됨) 회원들은 우토로에서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우토로 주민들에게 해당 지역을 떠나라고 요구했으며, 사쿠라이는 "그들은 사회 기생충"이라고 믿으며 한국인의 일본 추방을 요구했다.[31] 재특회는 또한 주민들에게 위협적인 메시지가 담긴 전단지를 배포했다.[31]6. 2. 2021년 방화 사건
2021년 8월 30일, 23세의 일본인 무직자 有本匠吾|아리모토 쇼고일본어가 우토로 지역의 빈 건물에 불을 질렀다. 이 불은 다른 건물로 번져 이 지역에 재산 피해를 일으켰다.[32][33][34] 아리모토는 주민들이 여전히 불법적으로 해당 토지에 거주하고 있다고 잘못 알고 있었는데, 이는 그 시점으로부터 약 10년 동안 사실이 아니었다.[8] 그는 이전에 아이치 현에 있는 재일 한국인 단체의 건물과 나고야의 한국 학교에도 방화한 적이 있었다.[35]이 사건은 혐오 범죄로 판명되었다.[34][36] 아리모토는 "한국인에 대한 적대감"을 범행 동기로 밝혔으며,[32] 한국인을 자주 겨냥하는 일본 극우 인터넷 게시물의 영향을 받았다고 인정했다.[33] 이 사건은 일본의 혐오 발언 규제법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34][32][33] 마츠무라 아츠코 우지 시장은 이 공격을 비난하며 "어떤 경우에도 용서받을 수 없다"고 말했다.[37]
같은 날, 우토로 지구 내에서 방화 사건으로 빈집, 창고 등 총 5채가 전소되고, 주택 2채가 반소되었다.[65] 전소된 빈집 중에는 "우토로 평화 기념관"에서 전시될 예정이었던 생활 용품 등의 자료도 있었다.[66] 방화 혐의로 체포된 남성은 같은 해 7월에도 나고야 시에 위치한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아이치현 본부에 방화하여 기물 손괴 혐의로 체포 및 서류 송치되었으며,[65][66] 경찰 조사에서 "일본인의 주목을 받고 싶어서 불을 질렀다"고 진술했다.[67] 이타가키 류타 도지샤 대학 교수, 김상균 류코쿠 대학 교수, 우에타키 히로코 변호사 등이 공동 대표를 맡고 있는 "교토부·시에 유효한 헤이트 스피치 대책의 추진을 요구하는 모임"과 일반 재단법인 "우토로 민간 기금 재단"은 해당 방화 사건에 대해 "헤이트 크라임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동기의 해명과 인터넷 상의 차별 선동 등에 대한 대응을 경찰, 행정 기관에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68] 마쓰무라 아쓰코 우지 시장은 해당 사건에 대해 "무슨 일이 있어도 용서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69] 범인 남성은 교토 지방 법원에서 실형 판결을 받았다.
참조
[1]
논문
Defying national homogeneity: Hidden acts of Zainichi Korean resistance in Japan
http://journals.sage[...]
2023-09-23
[2]
웹사이트
Koreans in Japan
http://spice.fsi.sta[...]
2023-09-23
[3]
웹사이트
ウトロ地区の概要と世帯調査
http://utoro.kin.or.[...]
2023-10-17
[4]
논문
Kyoto Korea Town fights for survival
https://apjjf.org/-D[...]
2023-09-19
[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Utoro
https://www.utoro.jp[...]
2023-09-19
[6]
뉴스
일제가 부려먹고 팽개친 우토로 조선인의 굴곡진 역사
https://www.yna.co.k[...]
2023-09-23
[7]
뉴스
'Utoro is my identity': can a museum heal the scars of Korean migrants in Japan?
https://www.theguard[...]
2023-09-19
[8]
뉴스
Feature: Human rights lawyer from Korean community in Japan undeterred by hate
https://english.kyod[...]
2023-09-20
[9]
웹사이트
Timeline for Utoro
https://www.utoro.jp[...]
2023-09-20
[10]
뉴스
Ethnic Koreans in Japan's Utoro village wait for Seoul's help
https://english.hani[...]
2023-10-17
[11]
뉴스
Koreans fight eviction from Utoro homes
https://www.japantim[...]
2023-10-17
[12]
뉴스
Column One : A Village Cries Out for Help : Korean laborers taken to Japan in World War II eventually settled in tiny Utoro. Now, facing eviction, they have spent their life savings on a bid to win American support in a fight to save their homes.
https://www.latimes.[...]
2023-10-17
[13]
웹사이트
https://utoro.kin.or[...]
2023-10-17
[14]
뉴스
An Eviction Unworthy of the Japanese
https://www.latimes.[...]
2023-10-17
[15]
웹사이트
https://utoro.kin.or[...]
2023-10-17
[16]
웹사이트
Students Protest Eviction of Koreans
https://www.thecrims[...]
2023-09-19
[17]
뉴스
Focus: Descendants of wartime Korean workers remember their past in new museum
https://english.kyod[...]
2023-09-19
[18]
뉴스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Concludes Twenty-sixth Session
https://press.un.org[...]
2023-09-19
[19]
뉴스
Yoo Jae-suk, Haha visit Utoro village on 'Infinite Challenge'
http://kpopherald.ko[...]
2023-10-17
[20]
뉴스
A Thank-you Letter From Japan's Utoro Village, Saved From Forcible Evacuation
http://www.kukmindai[...]
2023-10-17
[21]
뉴스
Yoo Jae Suk Donates 50 Million W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toro Peace Memorial Hall
https://www.hellokpo[...]
2023-09-20
[22]
웹사이트
Introduction of the History Hall
https://www.fomo.or.[...]
2023-09-20
[23]
뉴스
Koreans in Utoro Call for Home Country's Help
https://www.koreatim[...]
2023-10-17
[24]
뉴스
Seoul to purchase land at Japan's Utoro village for ethnic Koreans
https://en.yna.co.kr[...]
2023-09-21
[25]
뉴스
在日コリアンが暮らすウトロ地区、家屋の解体始まる...21年には放火事件
https://www.yomiuri.[...]
2023-09-20
[26]
뉴스
Iconic bunkhouse for wartime Korean laborers being torn down
https://www.asahi.co[...]
2023-09-20
[27]
뉴스
Global events to mark centennial anniversary of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https://www.korea.ne[...]
2023-10-17
[28]
뉴스
Memorial museum on history of ethnic Koreans in Japan
https://en.yna.co.kr[...]
2023-10-17
[29]
뉴스
Press Conference: 'One Japan Community's Bid for Reconciliation With Korean Residents'
https://www.fccj.or.[...]
2023-10-17
[30]
뉴스
Peace memorial hall to be built in Korean settlement in Kyoto Pref. to pass on history
https://mainichi.jp/[...]
2023-09-21
[31]
논문
Memories and Aporias in the Japan-Korea Relationship
https://apjjf.org/-A[...]
2023-10-17
[32]
뉴스
Man gets 4 years in prison for arson in ethnic Korean district
https://www.asahi.co[...]
2023-09-19
[33]
뉴스
Editorial: Japan ruling over arson in Korean community hoped to lead to less hate crimes
https://mainichi.jp/[...]
2023-09-19
[34]
뉴스
Man given 4 years in prison for arson in Korean community in Kyoto
https://english.kyod[...]
2023-09-19
[35]
뉴스
Editorial: Court ruling in Utoro arson case reflects need to end hate crimes
https://www.asahi.co[...]
2023-09-23
[36]
보고서
Japan 2022 Human Rights Report
https://www.state.g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2022
[37]
뉴스
Editorial: Worrying spike in hate crimes against Korean residents in Japan
https://www.asahi.co[...]
2022-01-11
[38]
문서
もと山城国[[久世郡]]伊勢田村宇土口、[[小倉村 (京都府)|小倉村]]大字伊勢田宇土口
[39]
문서
正確には[[逓信省]]が設置した京都地方[[航空機乗員養成所]]
[40]
웹사이트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1993年3月1日付意見広告
https://web.archive.[...]
[41]
뉴스
京都ウトロ地区問題:住民たちは追い出されてしまうのか(上)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07-09-21
[42]
문서
2005年 ウトロ町内会生活環境調査
[43]
뉴스
京都ウトロ地区問題:住民たちは追い出されてしまうのか(中)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07-09-21
[44]
간행물
『[[丹波マンガン記念館]]』「2005年度講演録 講座・人権ゆかりの地をたずねて」世界人権問題研究センター
[45]
웹사이트
衆院法務委員会(1990-6-20)
https://kokkai.ndl.g[...]
[46]
서적
戦後補償を考える
講談社
1994
[47]
서적
「ウトロ(かもがわ出版)」
[48]
서적
ナチズムとドイツ自動車工業
有斐閣
1999
[49]
뉴스
京都ウトロ地区問題:住民たちは追い出されてしまうのか(下)
https://megalodon.jp[...]
조선일보
2007-09-21
[50]
웹사이트
ウトロ強制退去解消へ 韓国政府が支援予算化
http://www.mindan.or[...]
2007-10-24
[51]
뉴스
京都新聞2010年12月14日朝刊に掲載
京都新聞
2010-12-14
[52]
뉴스
京都新聞2011年1月25日夕刊及び1月26日朝刊に掲載
京都新聞
2011-01-25
[53]
웹사이트
<ウトロ地区>土地買い取り完了へ 法人設立で受け皿づくり
http://www.mindan.or[...]
2009-11-05
[54]
뉴스
2011年8月11日読売新聞
読売新聞
2011-08-11
[55]
뉴스
2011年8月1日毎日新聞
毎日新聞
2011-08-01
[56]
뉴스
京都・宇治ウトロ地区、公的住宅建設で合意 - 社会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2-01-31
[57]
뉴스
ウトロ再出発:住環境対策室新設など、宇治市が機構改革案
http://mainichi.jp/a[...]
毎日新聞
[58]
뉴스
ウトロ再出発:公的住宅建設、基礎調査へ交付金 国、来年度予算に計上
http://mainichi.jp/a[...]
毎日新聞
[59]
뉴스
[ルポ]「最後の朝鮮人労働者たちの集団居住地」ウトロ地区撤去開始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6-06-30
[60]
뉴스
ウトロ市営住宅が完成 京都・宇治40世帯分
http://www.kyoto-np.[...]
京都新聞
2017-12-27
[61]
뉴스
在日住民ら市営住宅入居開始 京都・ウトロ、歴史的節目
http://www.kyoto-np.[...]
京都新聞
2018-01-16
[62]
웹사이트
在日コリアンが暮らすウトロ地区、家屋の解体始まる…21年には放火事件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63]
웹사이트
在日コリアンが暮らす京都・ウトロ地区の住環境改善、来月にも完了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64]
뉴스
報告の陰に連携
産経新聞
2005-11-13
[65]
웹사이트
ウトロの空き家に放火容疑で男逮捕 住民運動の看板も焼失 京都府警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1-12-06
[66]
웹사이트
朝鮮人労働者の歴史焼失、関係者「放火なら残念」 京都・ウトロ地区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21-12-06
[67]
웹사이트
京都 ウトロ地区の放火事件 容疑認める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68]
웹사이트
京都・ウトロ放火は「ヘイトクライムの可能性」 市民団体が根絶目指し声明
https://www.kyoto-np[...]
京都新聞社
2021-12-15
[69]
웹사이트
(社説)「在日」の被害 憎悪犯罪を許さない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2-01-10
[70]
뉴스
京都・ウトロに平和祈念館が開館 地域の歴史伝える
https://www.tokyo-np[...]
共同通信
2022-04-30
[71]
뉴스
우토로 마을, 길이 보이기 시작했다
https://news.naver.c[...]
일다
2008-01-29
[72]
지식백과
우토로마을 [ウトロ地区(-지구)]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73]
지식백과
우토로 마을
https://terms.naver.[...]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74]
웹인용
‘무한도전’ 우토로 마을 사연에 노무현 정부 재조명… “30억 지원해 주민 거주권 확보”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15-09-05
[75]
뉴스
'재일동포 차별' 상징 日 우토로 마을 철거 개시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6-26
[76]
지식백과
우토로 마을
https://terms.naver.[...]
소년중앙 시사용어
[77]
뉴스
문재인, 대구지하철참사 유족과 사연 비공개한 이유는?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16-02-19
[78]
뉴스
‘조선인 차별 역사’ 日우토로에 ‘평화의 상징’ 개관
동아일보
2022-04-30
[79]
지식백과
우토로 평화기념관
https://terms.naver.[...]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