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종 (종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종은 골육종과 연조직 육종으로 분류되는 악성 종양의 일종이다. 연부육종은 뼈와 연골을 제외한 연부조직에서 발생하며, 지방육종, 섬유육종, 횡문근육종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골육종은 뼈에서 발생하는 뼈암으로, 야간 뼈 통증과 종양 부위 부종이 주요 증상이다. 육종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방사선 노출, 특정 유전적 증후군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진단은 영상 검사, 생검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병기 및 등급에 따라 예후와 치료법이 달라진다. 치료는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을 병행하며, 예후는 종양의 크기, 전이 여부, 등급 등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7월은 육종 인식의 달로 지정되어 있으며, 육종에 대한 인식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종 (종양) - 골육종
    골육종은 뼈, 특히 장골의 골간단 부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밤에 심해지는 통증, 부종, 병적 골절 등의 증상을 보이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치료하며, 예후는 병기 및 치료 반응에 따라 달라진다.
  • 육종 (종양) - 미분화 다형성 육종
    미분화 다형성 육종은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가진 악성 연조직 종양으로, 분화의 증거가 거의 없으며, 주로 팔다리, 복부 등에서 발생하고, 수술적 절제,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 연조직 질환 - 류머티즘
    류머티즘은 만성적인 통증을 동반하는 난치성 질환을 포괄하는 용어로, 전신 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등을 포함하며, 혈액 및 소변 검사로 진단하고 진통제, 면역억제제 등으로 치료한다.
  • 연조직 질환 - 지방육종
    지방육종은 지방 조직에서 발생하는 희귀 암의 일종으로, 여러 하위 유형으로 분류되며, 외과적 절제를 기본으로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등을 보조적으로 사용하여 치료한다.
  • 해부병리학 - 위축
    위축은 정상적인 발달이나 질병으로 인해 신체 조직이나 기관의 크기가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정상적인 발달, 노화, 질병, 약물 사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 해부병리학 - 암종
    암종은 상피세포에서 기원하는 악성 종양으로, 세포 유형, 형태, 위치, 유전적 특징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며, DNA 손상으로 인한 돌연변이 축적으로 발생하고, 생검을 통해 진단하며, 병기와 등급에 따라 치료 방법이 결정된다.
육종 (종양)
정의
설명결합 조직에서 발생하는 암
일반 정보
분야종양학
어원
어원 설명그리스어 sarkōma (sarkōma)에서 유래, '살'을 의미하는 sarx (sarx)에서 파생
추가 정보
관련 질병전이암

2. 분류

육종은 일반적으로 골육종과 연조직 육종[7] 두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뉘며, 각 그룹에는 여러 가지 아형이 있다. 미국에서는 미국암합동위원회(AJCC)가 육종 아형을 분류하는 지침을 발표한다.[8]

국제질병분류의 일본어 번역에서는 육종을 비상피성 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정의한다.[41] 신생물은 양성과 악성이 있으며, 악성 신생물은 암종과 육종 등으로 나뉜다.[41] 악성 신생물은 상피세포성 암종 (Carcinoma), 간질세포성 육종, 기타(조혈기 유래의 백혈병이나 중피 유래의 중피종 등)으로 나뉜다.[42]

2. 1. 골육종

골육종은 뼈암의 일종으로, 병리학적 정의에 따르면 육종에 속한다. 그러나 임상적으로는 단단한 조직에서 발생하는 단단한 병변이며, 현미경적 소견이나 치료법도 다른 육종과 차이가 있다. 양성 중배엽계 종양 또한 골종양과 그 외 종양에서 차이가 크다. 따라서 종양정형외과 영역에서는 뼈와 연골 이외의 중배엽계 조직, 즉 연부조직에서 발생하는 육종을 “연부육종”(혹은 “악성 연부종양”)으로 묶어서 다룬다.[7]

2. 2. 연부조직 육종

육종은 크게 골육종과 연조직 육종으로 나뉜다. 종양정형외과에서는 뼈와 연골 이외의 중배엽계 조직, 즉 연부조직에서 발생하는 육종을 "연부육종"으로 묶어서 다룬다.[7]

연부육종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8]

종류
섬유육종
악성섬유성조직구종
피부섬유육종
지방육종
횡문근육종
평활근육종
혈관육종
카포시육종
림프관육종
활막육종
포소상연부육종
골외성 연골육종
골외성 골육종



악성 말초신경성 종양은 현재 WHO 분류에서는 연부육종과 구분한다. 악성 말초신경초종은 현재 분류에서 "신경섬유육종"과 "악성신경초종"을 구분하지 않는다.

3. 증상

골육종의 증상으로는 야간에 특히 심한 뼈 통증과 종양 부위 주변의 부종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7]

연조직 육종의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대개 단단하고 통증이 없는 덩어리나 결절 형태로 나타난다.[7] 위장관 기질 종양(GIST, 연조직 육종의 일종)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간혹 모호한 복통, 장출혈, 포만감, 또는 장폐색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7]

4. 원인

대부분의 '''골육종'''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9] 골육종 발생 위험을 높이는 몇 가지 요인이 있다. 이전의 이온화 방사선 노출(예: 이전 방사선 치료)이 그러한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7] 치료용 방사선은 10년에서 20년 후에 육종과 관련이 있다.[10] 특정 암 화학요법 약물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알킬화제 노출 또한 골육종의 위험을 증가시킨다.[9] 리-프라우메니 증후군, 유전적인 ''RB1'' 유전자 돌연변이 및 뼈의 파제트병을 포함한 특정 유전적 증후군은 골육종 발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7]

대부분의 '''연조직 육종'''은 의사들이 "산발성"(또는 무작위) 유전자 돌연변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발생한다.[9]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조직 육종 발생 위험을 높이는 몇 가지 위험 요인이 있다. 이전의 이온화 방사선 노출이 그러한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7] 염화비닐(예: 폴리염화비닐(PVC)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 비소 및 토로트라스트 노출은 모두 혈관육종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7][9] 특정 유형의 유방암 치료로 인한 림프부종 또한 혈관육종 발생의 위험 요인이다.[9] 골육종과 마찬가지로 특정 유전적 증후군도 연조직 육종 발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여기에는 리-프라우메니 증후군,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1형 신경섬유종증 및 유전성 ''RB1'' 유전자 돌연변이가 포함된다.[9] 카포시 육종은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 바이러스(HHV-8)에 의해 발생한다.

5. 발생 기전

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변하는 과정은 발암 문서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육종에서 발생하는 정확한 분자적 변화는 항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특정 유형의 육종은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9]


  • 유잉 육종: 대부분 염색체 전좌와 관련이 있으며, 11번 염색체 일부가 22번 염색체 일부와 융합된다.[7] 이는 ''EWSR1'' 유전자가 다른 유전자와 융합되는 결과를 낳는데, 90%의 경우 ''FLI1'' 유전자와, 5~10%의 경우 ''ERG'' 유전자와 융합된다.[7] 이러한 융합은 비정상적인 단백질을 생성하지만, 이 단백질이 어떻게 암을 유발하는지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7]
  • 피부섬유육종: 종종 ''COL1A1'' 유전자가 ''PDGFRB'' 유전자와 융합되는 염색체 전좌와 관련이 있다.[9] 이는 과도하게 활성화된 PDGF 신호 전달을 유발하여 세포 분열을 촉진하고, 결국 종양 발생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9]
  • 염증성 근섬유아종: 종종 ''ALK'' 유전자의 재배열과 관련이 있으며, 때로는 ''HMGA2'' 유전자의 재배열과도 관련이 있다.[9]
  • 건초거대세포종 (육종은 아니지만 전이되지 않고 국소적으로 공격적인 연조직 종양): 종종 1번 염색체2번 염색체 사이의 염색체 전좌와 관련이 있으며, ''CSF1'' 유전자가 ''COL6A3'' 유전자와 융합된다.[9] 이는 CSF1 단백질 생성을 증가시켜 암 발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9]
  • 지방육종: 많은 경우 12번 염색체의 일부가 증폭되어 종양유전자와 같이 암을 촉진하는 유전자의 추가 사본이 생성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CDK4'' 유전자, ''MDM2'' 유전자, ''HMGA2'' 유전자 등이 있다.[9]

6. 진단

골육종병리학적 정의에 따르면 육종의 하나이지만, 임상적으로는 단단한 조직에서 발생하는 단단한 병변이라는 점에서 어원과 차이가 있다. 현미경적 소견이나 치료법에 있어서도 다른 육종과 다르며, 양성 중배엽계 종양도 골종양과 그 외 종양에서 차이가 크다. 이러한 이유로 종양정형외과 영역에서는 뼈와 연골 이외의 중배엽계 조직, 즉 연부조직에서 발생하는 육종을 "연부육종"(혹은 "악성 연부종양")으로 묶어서 다룬다.

6. 1. 골육종 진단

골육종 진단은 철저한 병력 및 신체 검사로 시작하며, 이를 통해 특징적인 징후와 증상이 드러날 수 있다.[9] 진단에 특별히 유용한 실험실 검사는 없지만, 일부 골육종(예: 골육종)은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 수치 상승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다른 골육종(예: 유잉 육종)은 적혈구 침강 속도 상승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1] 그러나 이러한 실험실 검사 결과는 골육종에 특이적이지 않다. 즉, 이러한 실험실 값의 상승은 골육종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질환과도 관련이 있으므로, 골육종을 확실하게 진단하는 데 의존할 수 없다.[9]

영상 검사는 진단에 매우 중요하며, 대부분의 임상의는 초기 단계에서 일반 X선 사진을 주문한다.[9] 진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영상 검사에는 자기공명영상(MRI) 검사와 방사성 동위원소 골 스캔이 포함된다.[11][9] 대부분의 골육종 유형 진단에는 CT 스캔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병기 결정에는 중요한 도구이다.[9] 확진을 위해서는 종양 생검을 하고 경험이 풍부한 병리학자가 생검 표본을 주의 깊게 검토해야 한다.[9]

6. 2. 연부조직 육종 진단

연부조직 육종의 진단은 철저한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사부터 시작된다.[9] 영상 검사는 CT 또는 MRI를 포함할 수 있지만, CT는 흉곽, 복부, 또는 복막후강에 위치한 연부조직 육종에 더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9]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도 진단에 유용할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용도는 병기 결정(아래 참조)이다.[9] 골육종과 마찬가지로, 확진을 위해서는 숙련된 병리학자의 조직 검사를 통한 종양 생검이 필요하다.[9][12]

7. 병기

일반적으로 암기 병기는 암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며, 종양 크기 및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되었는지 여부와 같은 요인을 기반으로 한다.[9][13] 병기는 예후(예상 결과)와 암에 효과적일 가능성이 있는 치료 유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7][8] 육종의 경우, 병기는 종양이 주변 조직으로 자라났는지(국소 침윤), 림프절로 전이(림프절 전이)되었는지, 신체의 다른 조직이나 기관으로 전이(원격 전이)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영상 검사가 필요하다.[8]

'''골육종''' 병기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영상 도구는 일차 종양을 평가하기 위한 MRI 또는 CT, 암이 폐로 전이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흉부 조영증강 CT, 암이 다른 뼈로 전이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방사성 동위원소 골 스캔이다.[8] '''연조직 육종'''의 병기는 일반적으로 종양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MRI 또는 CT에 의한 일차 종양 영상화와 폐에 전이성 종양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흉부 조영증강 CT를 포함한다.[8]

8. 등급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육종(종양)은 현미경으로 관찰한 종양 세포의 모양에 따라 등급(저등급, 중등급 또는 고등급)이 매겨진다.[14] 일반적으로 등급은 암의 공격성과 다른 신체 부위로 전이될 가능성을 나타낸다.[14] 저등급 육종은 고등급 육종보다 예후가 좋으며, 대개 수술로 치료하지만 때때로 방사선 치료 또는 화학 요법이 사용되기도 한다.[9][8] 중등급 및 고등급 육종은 수술, 화학 요법 또는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하는 경우가 더 많다.[15] 고등급 종양은 전이(국소 및 원격 부위로의 침윤 및 확산)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더 적극적으로 치료된다. 많은 육종이 화학 요법에 민감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 것은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켰다. 예를 들어, 화학 요법이 도입되기 전에는 국소 골육종 소아 환자의 장기 생존율이 약 20%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60~70%로 증가했다.[16]

9. 치료

수술은 다른 신체 부위로 전이되지 않은 대부분의 육종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이며, 대부분의 육종에서 수술은 유일한 치료법이다.[9][19] 절단과 달리 사지 보존 수술은 이제 사지(팔 또는 다리) 육종 환자의 최소 90%에서 사지를 보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9]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양성자 치료를 포함한 추가 치료는 수술 ''전''(신보조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요법) 또는 수술 ''후''(보조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요법)에 시행될 수 있다.[9][15] 신보조 또는 보조 화학요법과 방사선 요법의 사용은 많은 육종 환자의 예후를 크게 향상시킨다.[9][20] 치료는 길고 힘든 과정이 될 수 있으며 많은 환자의 경우 약 1년 동안 지속된다.[15]


  • 지방육종 치료는 일반적으로 수술적 절제술로 구성되며, 육종의 공격성에 따라 화학요법이 고려된다. 지방육종의 경우 수술적 절제 전이나 후에 방사선 요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21]
  • 소아 횡문근육종은 일반적으로 화학요법, 수술 및 때로는 방사선 요법으로 치료된다.[22] 소아 횡문근육종 환자의 장기 생존율은 50~85%이다.[23]
  • 골육종은 뼈의 암으로, 가능한 한 많은 암을 수술적으로 절제하고, 종종 화학요법과 함께 치료된다.[24] 방사선 요법은 수술에 대한 두 번째 대안이지만, 성공률은 낮다.


고용량 화학요법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고용량 화학요법은 골수에서 혈구 생성을 멈추게 하고 해로울 수 있다. 고용량 화학요법 전에 사람들로부터 채취한 줄기세포는 혈구 수가 너무 낮아지면 그 사람에게 다시 이식될 수 있는데, 이것을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 또는 줄기세포 구제를 이용한 고용량 치료라고 한다. 고용량 화학요법 후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을 사용하는 것이 표준 용량 화학요법보다 더 유리한지 조사하기 위한 연구[25]에서는 하나의 무작위 대조 시험만 발견되었고, 이는 전반적인 생존율과 관련하여 두 치료군 중 어느 쪽도 선호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줄기세포 구제를 이용한 고용량 화학요법은 일반적으로 연구 설정에서만 적절하다고 간주된다.

10. 예후

미국합동암위원회(AJCC)는 골육종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확인했습니다.[8]

요인설명
종양의 크기더 큰 종양은 더 작은 종양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다.
주변 조직으로의 종양 전이주변 조직으로 국소 전이된 종양은 원발 부위를 넘어 전이되지 않은 종양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다.
병기 및 전이의 존재림프절(골육종에서는 드물지만)이나 다른 장기 또는 조직(예: 폐)으로 전이된 종양은 전이되지 않은 종양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다.
종양 등급고등급 종양(2등급 및 3등급)은 저등급(1등급) 종양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다.
골격 위치척추골반뼈에서 발생한 종양은 팔이나 다리뼈에서 발생한 종양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다.



GIST를 제외한 연조직육종의 경우,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8]


  • 병기: 골육종과 마찬가지로 전이된 종양은 전이되지 않은 종양에 비해 예후가 더 좋지 않습니다.
  • 등급: AJCC는 연조직육종에 대해 프랑스 암센터 연합 육종 그룹(FNCLCC) 등급이라는 등급 시스템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며, 고등급 종양은 저등급 종양에 비해 예후가 더 좋지 않습니다.


GIST의 경우,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8]

  • 유사분열 속도: 유사분열 속도는 종양 내에서 활발하게 분열하는 세포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유사분열 속도가 높은 GIST는 유사분열 속도가 낮은 GIST에 비해 예후가 더 좋지 않습니다.


미국 국립암연구소(NCI)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골육종'''의 전체 5년 생존율은 66.9%입니다.[26] 미국암협회(ACS)는 2023년 미국에서 골육종으로 2,140명이 사망할 것으로 추산하며, 이는 모든 암 사망자의 0.3%를 차지합니다.[27] 사망 시 중앙값 연령은 61세이지만, 모든 연령대에서 사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26]

연령대비율
20세 미만12.3%
20~34세13.8%
35~44세5.5%
45~54세9.3%
55~64세13.5%
65~74세16.2%
75~84세16.4%
85세 이상13.1%

[26]

'''연조직 육종'''의 경우, 전체 5년 생존율(병기와 관계없이)은 64.5%이지만, 생존율은 병기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습니다.[28] 따라서 원발 종양을 넘어 전이되지 않은 연조직 육종("국소적" 종양)의 5년 생존율은 80.8%, 인근 림프절로만 전이된 경우는 58.0%, 원격 장기로 전이된 경우는 16.4%입니다.[28] ACS는 2023년 연조직 육종으로 5,140명이 사망할 것으로 추산하며, 이는 모든 암 사망자의 0.9%를 차지합니다.[27]

11. 역학

뼈종양은 드문 암이다.[7] 이전까지 건강했던 사람이 뼈암 진단을 새로 받을 위험은 0.001% 미만이며, 연부조직 육종 진단을 새로 받을 위험은 0.0014%~0.005%이다.[9] 미국암협회는 2023년 미국에서 뼈육종 신규 환자가 3,970명, 연부조직 육종 신규 환자가 13,400명 발생할 것으로 추산한다.[27] 모든 유형의 암 신규 진단 예상 건수(1,958,310건)를 고려하면, 뼈육종은 모든 암 신규 진단의 0.2%(암 중 30번째로 흔한 유형), 연부조직 육종은 0.7%(암 중 22번째로 흔한 유형)에 불과하다.[26][28][27] 이러한 추산치는 이전에 보고된 자료와 유사하다.[9]

육종은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뼈육종의 약 50%, 연부조직 육종의 약 20%가 35세 미만의 사람들에게서 진단된다.[29] 평활근육종, 연골육종, 위장관 기질종양과 같은 일부 육종은 어린이보다 성인에게서 더 흔하다.[7] 유잉육종골육종을 포함한 대부분의 고등급 뼈육종은 어린이와 젊은 성인에게 훨씬 더 흔하다.[7]

12. 연구 동향

기존의 항암제는 상당한 독성과 암세포 사멸 효과가 저조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2023년 현재 악성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약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9] 현재 연구 중인 새로운 치료법 중 하나는 면역 관문 억제제(예: 항-PD1, 항-PDL1, 항-CTLA4 제제)를 활용한 면역 요법이다.[32] 하지만 이러한 약물은 폐포성 연부 조직 육종의 초고위험 진단에 사용되는 PDL1 억제제 아테졸리주맙을 제외하고는 아직 FDA나 다른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지 못한 상태이다.[32][33] 이 외에도 소분자 표적 치료제, 생물학적 제제(예: 소분자 간섭 RNA 분자), 나노입자 표적 치료 등 다양한 치료 전략이 연구되고 있다.[9]

악성 종양 발생의 특정 유전적, 분자적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인데,[9] 이를 통해 새로운 표적 치료법을 개발하고 환자의 예후를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9]

13. 인식

미국에서 7월은 육종 인식의 달(Sarcoma Awareness Month)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43][34] 영국은 7월 4일부터 10일까지 육종 인식의 주(Sarcoma Awareness Week)로 정하고 있다.[44] 영국에서는 7월에 뼈 및 연조직 암 자선 단체인 육종 영국(Sarcoma UK)이 주도하는 육종 인식 주간이 있다.[35]

미국의 유튜버 테크노블레이드(Technoblade)는 2021년 8월에 육종 진단을 받았고, 육종이 전이된 후 2022년 6월에 사망했다. 그는 자선 스트리밍을 통해 50만달러 이상을 모금했다. 많은 유튜버들이 테크노블레이드의 진단과 사망 후 미국 육종 재단(Sarcoma Foundation of America)과 같은 자선 단체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기부했다. 현재까지 테크노블레이드의 팬들은 육종 연구를 위해 100만달러 이상을 모금했다.[36]

틱톡(TikTok)은 많은 크리에이터들에게 육종 경험을 기록할 수 있는 목소리를 제공했다. 미국 가수 캣 재니스(Cat Janice)의 "Dance You Outta My Head"는 가수가 육종으로 사망하기 전인 2024년 초 틱톡에서 바이럴되었고, 이 드문 질병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37]

캐나다 의사인 킴벌리 닉스는 틱톡에서 @cancerpatientmd라는 사용자 이름으로 미분화 다형성 육종 진단부터 사망까지 자신의 여정을 기록했다.[38] 닉스는 2024년 5월 8일 31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그녀의 사망은 사후에 그녀의 틱톡 페이지에 업로드된 비디오에서 발표되었다.[39] 그녀의 많은 비디오에서 그녀는 시청자들을 Own.Cancer 모금 행사 링크로 연결했는데, 2024년 5월 17일 기준으로 거의 11.8만캐나다 달러를 모금했다.[40]

14. 국제질병분류

국제질병분류의 일본어 번역에서 육종은 비상피성 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뜻한다.[41] 육종은 악성 종양의 한 종류이다.[41]

국제질병분류에서 종양은 "생체 내에서 개체 유래 세포가 개체 전체의 조화를 깨고, 다른 제어 없이 과잉 발육하는 조직"으로 정의된다.[41] 신생물(neoplasm)도 종양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양성과 악성으로 나뉜다. 악성 신생물은 암, 암종 및 육종을 포함한다.[41] 악성 신생물은 상피세포성 암종(Carcinoma), 간질세포성 육종, 조혈기 유래 백혈병, 중피 유래 중피종 등으로 분류된다.[42]

참조

[1] 논문 The role of mesenchymal stem/progenitor cells in sarcoma: update and dispute 2014-10-27
[2] 웹사이트 Metastatic Cancer https://www.cancer.g[...] 2015-05-12
[3] 웹사이트 Defining Cancer http://www.cancer.go[...] 2007-09-17
[4] 사전 σάρκωμα, σάρξ
[5] 웹사이트 Definition of SARCOMA https://www.merriam-[...] 2019-03-22
[6] 사전 sarcoma
[7] 서적 Cancer and its Management John Wiley & Sons, Ltd.
[8] 서적 AJCC Cancer Staging Manual, Eight Edition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AG Switzerland
[9] 서적 DeVita, Hellman and Rosenberg's Cancer: Principles & Practice of Oncology Wolters Kluwer Health
[10] 웹사이트 UpToDate https://www.uptodate[...] 2023-03-19
[11] 서적 Dahlin's Bone Tumor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2] 논문 Discordance of Histo-pathological Diagnosis of Patients with Soft Tissue Sarcoma Referred to Tertiary Care Center http://waocp.com/jou[...] 2019-08-09
[13] 웹사이트 Staging https://www.cancer.g[...] 2015-03-09
[14] 웹사이트 Tumor Grade https://www.cancer.g[...] 2013-05-09
[15] 논문 Sarcoma: A Diagnosis of Patience http://sarcomahelp.o[...] 2009-04-15
[16] 논문 Primary bone osteosarcoma in the pediatric age: state of the art 2006-10
[17] 웹사이트 Published Recommendations -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https://www.uspreven[...] 2019-03-20
[18] 웹사이트 Cancer Screening Guidelines Detecting Cancer Early https://www.cancer.o[...] 2019-03-20
[19] 논문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MFH) http://sarcomahelp.o[...] 2011-10-19
[20] 논문 A Rose is a Rose or a Thorn is a Thorn http://sarcomahelp.o[...] 2011-10-19
[21] 웹사이트 Liposarcoma Treatment & Management
[22] 웹사이트 Rhabdomyosarcoma http://www.childrens[...] Boston Children's Hospital 2010-03-02
[23] 논문 Rhabdomyosarcoma http://sarcomahelp.o[...] 2011-10-19
[24] 웹사이트 Osteosarcoma Treatment & Management
[25] 논문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llowing high-dose chemotherapy for nonrhabdomyosarcoma soft tissue sarcomas 2017-04
[26] 웹사이트 Bone and Joint Cancer - Cancer Stat Facts https://seer.cancer.[...] 2019-03-27
[27] 논문 Cancer statistics, 2023 2023
[28] 웹사이트 Soft Tissue Cancer - Cancer Stat Facts https://seer.cancer.[...] 2019-03-27
[29] 논문 A Different View of Sarcoma Statistics http://sarcomahelp.o[...] 2012-10-06
[30] 웹사이트 Scientists find cancer in million-year-old fossil https://www.cnn.com/[...] 2019-03-27
[31] 논문 Osteogenic tumour in Australopithecus sediba: Earliest hominin evidence for neoplastic disease https://sajs.co.za/a[...] 2016
[32] 논문 Advances in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for bone sarcoma therapy 2019-04
[33] 논문 Atezolizumab for Advanced Alveolar Soft Part Sarcoma 2023-09-07
[34] 웹사이트 Cancer Awareness Dates http://www.cancer.n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2013-12-19
[35] 웹사이트 Sarcoma Awareness Week 2018 https://sarcoma.org.[...] Sarcoma UK 2016-01-25
[36] 웹사이트 Technoblade Tribute https://www.curesarc[...] 2022-07-01
[37] 웹사이트 Singer Cat Janice, who went viral after dedicating her last song to her young son, dies https://www.nbcnews.[...] 2024-02-29
[38] 웹사이트 TikTok star Kimberley Nix announces own death in farewell video https://nypost.com/2[...] 2024-05-10
[39] 웹사이트 Obituary of Kimberley Marie Nix {{!}} McInnis & Holloway, Park Memorial https://mhfh.com/tri[...]
[40] 웹사이트 OWPNP2P https://donate.ownca[...]
[41] 웹사이트 腫瘍学国際疾病分類(ICD-O)第3版 第1改訂版 https://hdl.handle.n[...]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42] 웹사이트 がん概論 https://ctr-info.ncc[...]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がん対策情報センター
[43] 웹인용 Cancer Awareness Dates http://www.cancer.n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44] 웹인용 Sarcoma Awareness Week 2016 https://sarcoma.org.[...] Sarcoma UK 2017-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