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음유시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유시인은 켈트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고대 켈트 사회에서 추장과 전사의 업적을 기리는 시를 짓고 노래하는 역할을 했다. 중세 시대에는 트루바두르, 트루베르, 민네징어 등이 음유시인과 유사한 활동을 했으며, 근대에는 러시아 음유시가, 서아프리카의 그리옷, 벵골의 바울, 일본의 비파법사 등이 존재했다. 낭만주의 이후 음유시인은 판타지 장르에 영향을 주었으며, 현대에는 바드코어라는 음악 장르와 구글의 AI 챗봇 바드 등에서 그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음유시가
개요
직업시인, 이야기꾼, 음악가, 역사가, 족보학자
활동 시기중세
문화권게일 및 브리튼 문화권
역할 및 사회적 지위
주요 역할시 짓기
이야기 암송
음악 연주
역사 기록
족보 관리
사회적 지위고대 사회에서 존경받는 인물, 때로는 권력 있는 후원자를 섬김
역사적 맥락
기원고대 켈트족의 구전 전통
중세 시대아일랜드웨일스를 포함한 게일 및 브리튼 문화에서 번성
영국프랑스의 궁정 문화에 영향
특징
기술시적 기교
이야기 솜씨
음악적 재능
역사적 지식
스타일복잡한 운율
은유
알레고리
주제영웅적 업적
사랑
자연
풍자
중요성
문화적 중요성구전 전통 보존
사회적 가치 강화
민족 정체성 형성
문학적 영향후대 시인과 작가들에게 영감
낭만주의 문학과 켈트 부흥에 기여
관련 용어
게일어파일 (file), 브라흐 (breitheamh), 샴페르 (seanchaí)
웨일스어바르드 (bardd)
현대적 의미
현대적 의미시인, 특히 국가적 또는 지역적 중요성을 지닌 시인

2. 역사

음유시인을 의미하는 영단어 'bard'는 켈트어파에서 유래한 차용어이다.[20] 골어: ''bardo-'' ('음유시인'), 및 ('음유시인'), ('가수, 시인'), 중세 브르타뉴어: ''barz'' ('음악가'), 고대 코르니쉬어: barthowl ('광대')에서 나타난다. 이 모든 용어는 원시 켈트어 명사 ('시인-가수, 음악가')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복합어 ''''에서 파생되었으며, 문자 그대로 '찬양하는 자'를 의미한다.[20][21]

2. 1. 고대

고대 켈트족 사회에서 음유시인은 추장과 전사의 업적을 찬양하는 시를 짓고 노래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들은 역사적 사실, 전통적 사실, 종교적 교리, 법, 가계 등을 시로 기록했다.[1] 켈트어에서 유래된 'bard'라는 단어는 스코틀랜드어와 아일랜드 게일어에서 음유시인을 지칭하며, 웨일스어로는 'bardd'라고 불렸다.[20] 이들은 고용주를 위해 애가를 짓거나, 적절한 금액을 받지 못할 경우 풍자를 쓰기도 했다.[21]

게일족 사회에서 음유시인(아일랜드 필리ga 또는 필리ga와 동일하지 않음)은 부족 전사의 용맹한 행위를 회상하는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이었다. 기독교 이전의 켈트족은 기록된 역사를 남기지 않았지만, 음유시인과 필리들이 기억하고 전달하는 복잡한 구전 역사를 유지했다. 음유시인은 운율, 운율 및 기타 공식적인 시적 장치를 사용하여 자료 암기를 용이하게 했다.

인도유럽어족 사회에서는 스칼드, 랩소드, 음유시인 및 ''스콥'' 등이 켈트족 사회의 음유시인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했다.[21]

''음유시인'' (), 존 마틴의 작품

2. 2. 중세

중세 유럽 문화에서의 음유시인으로서 조글러(jongleur)는 하층 계급의 방랑하는 음악가로서 8세기경부터 프랑스의 기록에 나타난다.[20][21] 그들은 특히 중세의 역사적인 사건, 또는 기타 장소에서의 사실에 대한 이야기를 퍼뜨리고 전달하기 위해 노래를 불렀다.[6] 또한 그중에서 특정 궁정에 봉사하는 음악가들도 나타났으며, 그들을 로마 시대부터의 전통적인 표현에서 유래하여 민스트럴이라고 부르지만, 조글러와 민스트럴은 당시에도 종종 혼동되었다. 또한, 북 프랑스에서 독일 각지에 걸쳐 골리아르라고 불린, 방랑하는 학승들이 있었던 것도 알려져 있다. 또한, 이탈리아 북부에서 라우다를 만들어 노래하며 전도하던 탁발 수도회의 수도사들도 또한 음유시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1세기경이 되자, 남 프랑스의 궁정에서 트루바두르라고 불린 음유시인들이 나타났는데, 그들의 출현은 이슬람 문화권으로부터의 영향이라는 설이 있다. 트루바두르는 주로 형식화된 궁정 연애, 또는 십자군을 주제로 하는 노래를 부르면서 각지의 궁정을 편력했다. 그들은 주로 성주나 기사와 같은 귀족 출신이 많았다. 조글러나 민스트럴 등에는 일반 민중 출신의 사람들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트루바두르와 조글러는 지위적으로 명확하게 구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탈리아 북부나 스페인 북부에서도 그들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이 문화는 후에 아키텐의 엘레오노르에 의해 북 프랑스 및 잉글랜드로 전파되었는데, 여기서는 그들을 트루베르라고 불렀으며, 시의 내용도 변화해 갔다. 독일·오스트리아권에서는 12세기경에, 프랑스 문화에 자극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주로 기사들 중에서 이상적인 사랑 "민네"를 노래하는 민네징어가 나타났다.

13세기 이후, 기사의 몰락과 함께 트루바두르, 트루베르, 민네징어 등, 기사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음유시인은 종말을 고했고, 조글러들도 또한, 부유해진 시민 계급이 주최하는 마을 행사에서 활동하게 되어, 음유시인이라는 자리에서 점차 모습을 감추어 갔다.

15세기까지 이미 궁정 음악은 다성악을 맞이하여, 궁정 악사나 전문 작곡가들이, 전문 시인들의 시를 바탕으로 음악을 만드는 시대가 되었고, 조글러들의 노래하는 소박한 시가는 완전히 과거의 것이 되었다. 한편 이탈리아에서는, 특히 피렌체, 베네치아, 나폴리를 중심으로, 16세기경까지 프로톨라를 노래하는 칸틴판카라고 불린 민중의 음유시인들이 있었던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15세기부터 유럽에 집시가 나타나, 이방인으로 차별받으면서도, 과거 조글러가 맡았던 이야기의 전승이나 거리 악사와 같은 모습을 지금도 남기고 있다.

중세 게일족, 웨일스족 사회에서의 음유시인(bard)은 영주를 위한 애가를 작곡하기 위해 고용된 전문 시인이었다.[1] 고용주가 적절한 금액을 지불하지 않을 경우에는 풍자를 쓰기도 했다. 중세 아일랜드의 시인은 크게 음유시인(bard)과 필리로 나누어졌으나,[3][4] 근대 이후, 이 둘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5] 아일랜드의 음유시인은 고용주의 연대기 작가이자 풍자가였으며,[6] 17세기 중반까지 켈트족 지배자들과 함께 쇠퇴했다.[7] 스코틀랜드에서는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MacMhuirich 가문이 음유시인으로 번성했다.[9][8]

2. 3. 근대

러시아의 음유시가는 1950년대 말부터 소련에서 전성기를 이루었다. 자신들이 쓴 서정적인 가사나 정치적인 주제를 기타 반주에 맞춰 노래 불렀다. 반체제적인 노랫말 때문에 많은 노래들이 음반으로 발매되지 못하고 개인들에 의해서 녹음되어 전파되었다.

음유시가의 개척자 불라트 오쿠자바(Bulat Okudzhava)와 대중화에 공헌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Vladimir Vysotsky) 등이 대표적이며, 한국계 율리 김(Yuliy Kim)도 있다.

특히 절규하듯 노래하는 특이한 창법의 블라디미르 비소츠키는 영화 백야/White Nights영어에 삽입된 야생마/Fastidious Steeds영어라는 노래로 우리에게 알려졌다.

3. 지역별 현황

3. 1. 아일랜드

중세 아일랜드의 시인은 크게 음유시인(bard)과 필리로 나누어졌으며, 이 중 음유시인은 하층 계급으로 여겨졌다.[22][23] 필리와 음유시인의 구분은 기독교 이후의 창작물이며, 필리는 교회와 관련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되기도 한다.[3][4] 그러나 근대 이후 이 둘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5][24]

아일랜드의 음유시인은 고도로 훈련된 전문적인 시인 카스트 혈통의 시인들이었다. 음유시인은 씨족과 국가의 역사와 전통에 정통했으며, 음절시이고 두운, 반운 및 두운법을 사용하는 운율 기법에 능숙했다. 이들은 왕이나 족장의 궁정 관리로서, 고용주를 칭찬하고 그들을 거스르는 사람들을 비난하는 연대기 기록가이자 풍자시인의 역할을 수행했다.[6][25] 잘 조준된 음유시인의 풍자시는 대상의 얼굴에 부스럼을 일으킬 수 있다고 믿어졌다.

아일랜드의 음유시인 제도는 17세기 중반, 튜더 재정복 기간 동안 게일 귀족과 함께 쇠퇴하면서 사라졌다.[7][26] 그러나 스코틀랜드에서는 18세기 초까지 지속되었다.[26]

음유시인의 초기 역사는 신화적인 이야기를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아일랜드에서 음유시인 직업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침략의 서에서 발견되며, 투아하 데 다난 (여신 다누의 부족)의 아일랜드 식민지에 대한 이야기에 등장한다. 이들은 노르웨이의 ''알프''와 영국의 요정에 비견되는 ''아오스 시''(언덕의 백성)가 되었다. 마지막 벨기에 군주의 통치 10년 동안, 아일랜드를 침략하여 정착한 투아하 데 다난은 귀족인 투아하 부족, 사제인 데 부족, 음유시인인 다난 부족으로 나뉘었다. 투아하 데 다난에 대한 이 설명은 전설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만, 이 이야기는 아일랜드 음유시인 자체의 구전 역사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 아일랜드 신화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음유시인 중 한 명은 밀레시안의 음유시인, 드루이드, 재판관이었던 아메르긴 글루잉겔이었다.

음유시가도 참조

3. 2. 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에는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음유시인으로 번성한 MacMhuirich 가문이 있었다.[27] 이들은 처음에는 시인이나 변호사 등의 직업으로 고용되었지만, 섬의 지배권을 상실하면서 MacDonalds 가문에 의해 새롭게 고용되었다.[9][8] 그래서 이 가문은 15세기 초까지는 주로 성직자로 기록되었지만 이후 16세기 초에는 음악가로 기록되었다.[27] 마지막으로 기록된 이 가문의 고전 켈트족 시인은 사우스 유이스트에 살았던 돔날 맥뮈리히(Domhnall MacMhuirich)이다.[28][9]

3. 3. 웨일스

웨일스 신화의 많은 음유시인들은 헤르제스트의 붉은 책, 리더르흐의 백색 서, 아네이린의 책, 탈리에신의 책과 같은 중세 웨일스 문학에 보존되어 있다.[11] 암흑기 웨일스 궁정 전통에 대한 역사적 정보는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중세 웨일스 자료는 13세기부터 발전하면서 브리튼 열왕사와 아더 왕 전설의 핵심이 되었다. 원래 900년경에 편찬된 하웰 다 법전(Welsh)은 음유시인을 왕의 가신으로 규정하며, 그의 의무는 경호원들이 약탈을 나눌 때, 영국의 주권에 대한 노래를 부르는 것을 포함했는데, 이것이 아마도 영국의 대왕들의 계보가 기록된 역사 기록에 남아 있게 된 이유일 것이다.[11]

음유시인 전통의 왕실 형태는 13세기에 종식되었는데, 1282년 에드워드 1세의 웨일스 정복으로 웨일스 공작의 통치가 영구적으로 끝나면서였다. 전설적인 ''마지막 음유시인''(c. 1283)의 자살은 1857년 헝가리 왕국의 시인 야노스 아라니에 의해 그의 시대의 억압적인 정치에 대한 암호화된 저항의 한 방법으로 시 ''웨일스의 음유시인''에서 기념되었다.[11] 그러나 시적, 음악적 전통은 중세 시대를 통해 지속되었으며, 에이스트페드포드에서 정기적으로 음유시인들을 소집하는 전통은 결코 중단되지 않았고, 1792년 이올로 모건워그에 의해 고르세드가 결성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11]

20세기 웨일스는 음유시인 전통을 옹호하는 선도적인 켈트족이다. 매년 열리는 웨일스 국립 에이스트페드포드(Eisteddfod Genedlaethol Cymrucy)(최초 개최 1880년)에서는 음유시인들이 의장에 앉고( Category:의장에 앉은 음유시인 참조) 왕관을 쓴다( Category:왕관을 쓴 음유시인 참조).[12]

3. 4. 비유럽 사회

서아프리카의 그리오(griot), 벵골 (방글라데시)의 바울(Baul), 일본의 비파법사(琵琶法師)와 고제(瞽女) 등도 음유시인으로 볼 수 있다.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매우 오래전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 일본에서 음유시인에 해당하는 존재는 순유영인이라고 불린다.

4. 인물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에이번의 음유시인' 또는 '불멸의 음유시인'으로 불린다. 라빈드라나트 타고르는 '벵골의 음유시인'으로 불린다. 로버트 번스는 '에어셔의 음유시인'으로 불렸다. 그 외에도 '올니의 음유 시인' 윌리엄 쿠퍼, '라이달 마운트의 음유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 '솔포드의 음유 시인' 존 쿠퍼 클라크, '트위크넘의 음유 시인' 알렉산더 포프 등이 음유시인으로 불렸다. 헨리 로슨과 반조 패터슨 같은 호주의 부시 시인들은 '부시 음유 시인'이라고 불린다. 밥 딜런, 짐 맥쿨과 밴드 블라인드 가디언 역시 '음유 시인'으로 불린다.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 "고대 음유 시인의 목소리"를 손으로 그린 판화, ''순수와 경험의 노래''

5. 대중문화

낭만주의 시대 이후 음유시인은 사제, 마술사, 선견자 등의 자질을 가진 존재로 묘사되었으며, 이는 1960년대에서 1980년대에 걸쳐 판타지 장르에 영향을 주었다.[17] 예를 들어 던전 앤 드래곤, 패스파인더 롤플레잉 게임에는 '바드' 클래스가 존재하며, 키스 테일러의 『바드』(1981), 모건 르웰린의 『바드: 아일랜드 오디세이』(1984), 바드의 이야기(1985)와 같은 판타지 배경의 비디오 게임, 안제이 사프콥스키의 『더 위쳐』(1986–2013)와 로렌 슈미트 히스릭이 제작한 텔레비전 쇼(2019) 등에서도 이를 차용하였다.[17]

중세풍의 악기와 작곡을 사용하여 현대 노래를 재해석하는 음악 분류를 바드코어라고 한다.[17] 2023년 구글AI 챗봇 바드를 출시했다.[17]

참조

[1] 문서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2] 뉴스 Work of Rabindranath Tagore celebrated in London https://www.bbc.com/[...] BBC News 2015-07-15
[3] 웹사이트 On Bards, And Bardic Circles http://www.pbm.com/~[...] 2017-07-08
[4] 문서 Uraicecht na Ríar
[5] 서적 Irish Bardic Poetry http://www.ucc.ie/ce[...]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2015-12-08
[6] 웹사이트 Druids, Filid & Bards: Custodians of Celtic Tradition https://irishempire.[...] 2017-07-08
[7] 뉴스 Divided Gaels: Gaelic cultural identities in Scotland and Ireland c. 1200–c. 1650 http://www.historyir[...] 2017-07-08
[8] 간행물 Gaelic Learned Orders and Literati in Medieval Scotland The Journal of the School of Scottish Studies University of Edinburgh
[9] 간행물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10] 서적 Celtic Culture: A-Celti https://books.google[...] ABC-CLIO 2006
[11] 서적 A History of Britain 1: 3000 BC-AD 1603 At the Edge of the World? BBC Worldwide
[1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tjulians.rea[...] 2013-06-20
[13] 간행물 Druid stones 1850
[14] 간행물 The Bardic Tradition 1947
[15] 서적 The invention of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6] 서적 Proceedings of the Seventh International Congress of Celtic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17] 뉴스 Google releases Bard AI chatbot amid competition with chatGPT https://www.forbes.c[...] 2023-04-24
[18] 문서
[19] 웹사이트 bardの意味 http://ejje.weblio.j[...] 英和辞典 weblio 2013-04-11
[20]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 une approche linguistique du vieux-celtique continental Errance 2003
[21] 서적 Indo-European poetry and myth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2] 웹인용 On Bards, And Bardic Circles http://www.pbm.com/~[...] 2022-11-25
[23] 문서 Uraicecht na Ríar
[24] 웹인용 Irish Bardic Poetry at CELT https://celt.ucc.ie/[...] 2022-11-25
[25] 웹인용 Druids, Filid & Bards: Custodians of Celtic Tradition https://irishempire.[...] 2022-11-25
[26] 웹인용 Divided Gaels: Gaelic cultural identities in Scotland and Ireland c. 1200–c. 1650 https://www.historyi[...] 2022-11-25
[27] 문서 Gaelic Learned Orders and Literati in Medieval Scotland The Journal of the School of Scottish Studies University of Edinburgh 1968
[28] 서적 Celtic culture :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