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마틴 (화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마틴은 1789년 영국에서 태어난 낭만주의 화가로, 성경 속 대재앙을 묘사한 웅장하고 스펙터클한 그림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유화와 메조틴트 판화를 제작했으며, 특히 《벨사자 연회》와 《실낙원》 삽화로 유명하다. 마틴은 런던의 도시 계획에도 참여하여 템스 강 제방 건설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의 작품은 19세기에 큰 인기를 누렸으나, 말년에는 잊혀졌다가 20세기 후반에 재평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9년 출생 - 게오르크 옴
    게오르크 옴은 독일의 물리학자로, 전기 회로에서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옴의 법칙을 발견했으며, 음향학 분야에서 옴의 음향 법칙을 제시했고, 뉘른베르크 공과대학교 교수 및 뮌헨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 1789년 출생 - 프리드리히 질허
    프리드리히 질허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음악 교육자로, 튀빙겐 대학교 음악 감독을 역임하며 합창 운동에 기여했고 독일 및 국제 민요 편곡을 통해 합창 음악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와인 품종과 소행성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 잉글랜드의 화가 - 조슈아 레이놀즈
    18세기 잉글랜드의 초상화가이자 미술 이론가인 조슈아 레이놀즈는 왕립예술아카데미 초대 회장을 역임하고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고상한 양식'을 추구하며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했고, 당대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영국 화가의 직업적 지위 확립에 기여했다.
  • 잉글랜드의 화가 - 윌리엄 블레이크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 영국의 낭만주의 예술가 윌리엄 블레이크는 시, 그림, 판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했으며,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불의에 대한 비판, 그리고 상상력과 개인의 자유를 강조한 작품들로 낭만주의를 넘어 현대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54년 사망 - 사카이 다다카타
    사카이 다다카타는 마쓰야마 번주 사카이 다다노리의 아들로 태어나 쇼나이번 번주로서 번교 창설, 간척 사업, 양잠업 장려, 덴포 대기근 구제, 덴포 의민 사건 농민 요구 수용 등 번정 운영에 힘썼다.
  • 1854년 사망 - 게오르크 옴
    게오르크 옴은 독일의 물리학자로, 전기 회로에서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옴의 법칙을 발견했으며, 음향학 분야에서 옴의 음향 법칙을 제시했고, 뉘른베르크 공과대학교 교수 및 뮌헨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존 마틴 (화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헨리 워렌이 그린 존 마틴, 1839년
헨리 워렌, 1839년
본명존 마틴
출생일1789년 7월 19일
출생지영국, 노섬벌랜드 주, 헤이든 브리지
사망일1854년 2월 17일
사망지맨 섬, 더글러스
배우자수전 마틴 (1818년 결혼)
활동 정보
분야회화, 판화, 삽화
사조낭만주의
영향 받은 예술가존 밀턴
프랜시스 던컴
주요 작품기브온 위에 멈추라고 태양에게 명령하는 여호수아
벨사살의 향연
바빌론의 함락
참고 자료
참고 자료존 마틴: 레잉 갤러리, 뉴캐슬

2. 초기 생애

마틴은 1789년 7월, 노섬벌랜드주 헤이든 브리지 인근 헥섬의 단칸 코티지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펜윅 마틴은 한때 펜싱의 명인이었다. 그는 아버지에 의해 뉴캐슬어폰타인의 마차 제작업자에게 문장 그림을 배우도록 도제 생활을 시작했지만, 임금 문제로 견습 계약이 취소되었고, 대신 이탈리아 예술가이자 에나멜 화가 찰스 무스의 아버지인 보니파스 무소 밑으로 들어갔다.[15]

마틴은 1806년 그의 스승과 함께 뉴캐슬에서 런던으로 이주했으며, 19세의 나이에 결혼했다. 그는 드로잉 수업과 수채화, 도자기, 유리에 그림을 그려 생계를 유지했다. 그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채색된 접시는 현재 영국 개인 소장품에 있다. 그는 여가 시간을 원근법과 건축 연구에 사용했다.[15]

그의 형제로는 발명가였던 맏형 윌리엄, 근위 보병 연대에서 병참 부사관 계급으로 반도 전쟁워털루 전투에 참전한 가죽 제조업자 리차드, 1829년 요크 민스터에 방화하여 재판을 받은 정신병을 앓는 설교자 조나단이 있었다.[15]

2. 1. 출생과 가문

마틴은 1789년 7월, 노섬벌랜드주 헤이든 브리지 인근 헥섬의 단칸 코티지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펜윅 마틴은 한때 펜싱의 명인이었다. 그는 아버지에 의해 뉴캐슬어폰타인의 마차 제작업자에게 문장 그림을 배우도록 도제 생활을 시작했지만, 임금 문제로 견습 계약이 취소되었고, 대신 이탈리아 예술가이자 에나멜 화가 찰스 무스의 아버지인 보니파스 무소 밑으로 들어갔다.[15]

마틴은 1806년 그의 스승과 함께 뉴캐슬에서 런던으로 이주했으며, 19세의 나이에 결혼했다. 그는 드로잉 수업과 수채화, 도자기, 유리에 그림을 그려 생계를 유지했다. 그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채색된 접시는 현재 영국 개인 소장품에 있다. 그는 여가 시간을 원근법과 건축 연구에 사용했다.[15]

그의 형제들은 다음과 같다.

  • 맏형 윌리엄은 발명가였다.
  • 리차드는 1798년 노섬벌랜드 펜서블에서 군인이 되어 근위 보병 연대에서 병참 부사관 계급까지 올라 반도 전쟁워털루 전투에 참전한 가죽 제조업자였다.
  • 조나단은 1829년 요크 민스터에 방화하여 재판을 받은 정신병을 앓는 설교자였다.[15]


존 마틴의 아버지(1750년 이전-1813) 윌리엄 페닉 마틴(William Fenwick Martin)은 방랑벽이 있는 "잡상인"이었다. 아내 이자벨라 리들리(Isabella Ridley)와 도피한 후에도 한 곳에 정착하지 못했다. 처음에는 무두질을 하다가 미국 독립 전쟁에 종군했으나, 불과 3개월 만에 부상으로 제대하였다. 그 후로는 펜싱과 싱글 스틱 강사(장남 윌리엄에 따르면 "검객이나 복서로서 어떤 남자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행상, 선술집(여관?), 마차 제작자, 산지기 등 다양한 직업을 전전했다.[15]

존 마틴의 어머니(1750-1813) 이자벨라는 지주 리처드 톰슨의 딸이었지만, 부모의 반대에 아랑곳하지 않고 도망쳐서 윌리엄과 결혼했다. 톰슨 가문은 프로테스탄트 순교자 니콜라스 리들리의 후손이었기에 프로테스탄트 전통을 굳건히 지켜왔고, 이자벨라도 매일 두 번의 기도를 거르지 않았으며, 아이들에게 성경 이야기를 자주 들려주었다. 그녀에게 구약성경은 매일의 행동에 필요한 모든 규칙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거기에는 섬겨야 할 신과 피해야 할 지옥이 있으며, 모든 거짓말쟁이와 욕설을 퍼붓는 자는 악마와 그 사자들과 함께 지옥에서 불태워질 것이다"라는 격언과 성경 지식으로 대표되는 그녀의 영향은 존 마틴의 그림뿐만 아니라, 다른 아이들의 영속적인 종교적 성향의 원천이 되었다. 1813년에 세상을 떠나기 직전, 천상의 음악을 듣고, 마틴 가문의 이름이 전 세계에 알려지게 될 것이라고 말하며 평안하게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15]

2. 2. 견습 시절

마틴은 1789년 7월, 노섬벌랜드주 헤이든 브리지 인근 헥섬의 단칸 코티지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펜윅 마틴은 한때 펜싱의 명인이었다. 그는 아버지에 의해 뉴캐슬어폰타인의 마차 제작업자에게 문장 그림을 배우도록 도제 생활을 시작했지만, 임금 문제로 견습 계약이 취소되었고, 대신 이탈리아 예술가이자 에나멜 화가 찰스 무스의 아버지인 보니파스 무소 밑으로 들어갔다.

마틴은 1806년 그의 스승과 함께 뉴캐슬에서 런던으로 이주했으며, 19세의 나이에 결혼했다. 그는 드로잉 수업과 수채화, 도자기, 유리에 그림을 그려 생계를 유지했다. 그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채색된 접시는 현재 영국 개인 소장품에 있다. 그는 여가 시간을 원근법과 건축 연구에 사용했다.

3. 화가로서의 경력

마틴은 세피아 수채화를 그려 수입을 보충했다. 1818년, '바빌론의 몰락'을 420GBP에 판매하면서 빚에서 벗어나 메릴본에 집을 마련했고, 예술가, 작가, 과학자, 휘그 귀족들과 교류했다.

마틴은 열정적인 성격으로 체스를 즐겼고, 검술과 창 던지기에도 능했다. "자연 종교"를 믿는 독실한 기독교인이었지만, 국가 연주에 쉿 소리를 내는 특이한 행동을 보였다. 왕족의 구애를 받아 여러 금메달을 받았는데, 그중 하나는 니콜라이 1세에게서 받은 것이다. 타인사이드의 월센드 탄광을 방문한 니콜라이 1세는 "지옥의 입과 같구나"라고 외쳤다고 한다. 마틴은 작센코부르크의 레오폴드 공의 공식 역사 화가가 되었고, 레오폴드 훈장을 받았다. 앨버트 공은 아침 일찍 마틴을 방문하여 농담을 나누곤 했다. 마틴은 이신론과 자연 종교, 찰스 다윈 이전의 진화, 합리주의를 옹호했다. 조르주 퀴비에는 마틴의 팬이었고, 마틴은 찰스 디킨스, 마이클 패러데이, J. M. W. 터너 등과 교류했다. 그는 터너 근처 런던 첼시에 집을 마련했다.[5]

마틴은 메조틴트 기술을 실험하여 ''실낙원''의 새 판에 대한 24개 판화 제작을 의뢰받았다. 이는 밀턴의 걸작에 대한 결정적인 삽화로 여겨지며, 현재 수백 파운드에 팔린다. 그의 정치적 성향은 불분명하지만, 윌리엄 고드윈, 존 헌트와 교류했다.

마틴은 제인 웹을 돌보기도 했다. 찰스 휘트스톤과도 친구였으며, 빛의 속도 측정 실험에 관심을 가졌다. 마틴의 저녁 파티에는 존 테니얼 등 다양한 인물들이 참여했다.

그의 첫 출품작 ''잊혀진 물을 찾아서의 사닥''은 1812년 영국 왕립 아카데미에 전시되어 50기니에 팔렸다. 이후 ''추방''(1813), ''이브를 처음 본 아담''(1813), ''클리티에''(1814), ''여호수아가 기브온 위에 해를 멈추라고 명령하다''(1816), ''바빌론의 멸망''(1819) 등이 제작되었다. 1820년 ''벨사자 벤처''는 호평과 혹평을 받았고, 영국 협회에서 200파운드 상을 받았다. ''여호수아''는 100파운드 상금을 받았다.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의 파괴''(1822), ''창조''(1824), ''대홍수의 전야''(1840) 등 성서적, 상상적 주제의 작품이 이어졌다.[3] ''천국의 평원''은 올렌데일의 기억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진다.

마틴의 대형 그림은 디오라마와 파노라마와 연결되어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 D. W. 그리피스는 그의 작품을 참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벨사자 벤처''는 디오라마로 제작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예술계에서 마틴의 명성을 훼손했다.[7] 1852년 작 ''소돔과 고모라의 파괴''는 레잉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3. 1. 초기 작품 활동

마틴은 세피아 수채화를 그려 수입을 보충하기 시작했다. 1810년 처음으로 유화 작품을 왕립 아카데미에 보냈지만 전시되지 못했다. 1811년 그는 이 그림을 다시 보냈고, 결국 '풍경 구성'이라는 제목으로 대강당의 46번 항목으로 전시되었다. 그 후 그는 일련의 대형 유화 전시회를 열었다. 몇몇은 풍경화였지만, 더 흔하게는 구약성서에서 영감을 받은 웅장한 성서 주제였다. 그의 풍경화는 노섬벌랜드의 험준한 절벽을 연상시키는 반면, 일부 작가들은 그의 종말론적 캔버스, 예를 들어 '소돔과 고모라의 파괴'가 타인 계곡의 대장간과 철공소에 대한 그의 친숙함을 보여주고, 구약성서에 대한 그의 깊은 지식을 드러낸다고 주장한다.

1812년부터 시작된 섭정 시대에는 그러한 '숭고한' 그림이 유행했다. 마틴의 첫 성공은 왕립 아카데미 시즌이 끝날 무렵, 그의 첫 번째 주요 숭고한 캔버스 '망각의 물을 찾아가는 사닥'이 전시되었지만 주목받지 못했을 때 찾아왔다. 그는 이 그림을 집으로 가져왔는데, 그곳에서 그를 사려고 찾아온 윌리엄 매닝 국회의원의 명함을 발견했다. 후원은 마틴의 경력을 추진했다.

이 유망한 경력은 그의 아버지, 어머니, 할머니, 어린 아들이 한 해에 사망하면서 중단되었다. 또 다른 방해는 윌리엄이었는데, 그는 자주 마틴에게 자신의 발명품 계획을 세워달라고 요청했고, 마틴은 항상 도움과 돈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존 밀턴의 작품에 큰 영향을 받아 그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의 웅장한 주제를 계속 이어갔다. 1816년 마틴은 마침내 '여호수아가 기브온 위에 해를 멈추게 하다'로 대중의 찬사를 받았는데, 비록 많은 전통적인 구도 규칙을 깨뜨렸지만 말이다. 1818년, '바빌론의 몰락'을 420GBP에 판매한 것을 계기로, 그는 마침내 빚에서 벗어나 메릴본에 집을 샀고, 그곳에서 예술가, 작가, 과학자, 휘그 귀족들과 교류했다.[1]

3. 2. 대표작: 벨사자르의 연회

''벨사자 연회''(1820). 캔버스에 유채, 90.2 x 130.2 cm. 예일 영국 미술 센터, 뉴헤이븐


마틴이 미리 ''벨사자 연회''가 그 어떤 그림보다 더 큰 소란을 일으킬 것이라고 예상했고, 실제로 5,000명이 이 그림을 보기 위해 돈을 지불했다.[5] 이 작품은 나중에 운송 중 기차가 건널목에서 덮치면서 거의 파괴될 뻔했다.[5]

3. 3. 낭만주의 화가로서의 명성

마틴은 세피아 수채화를 그려 수입을 보충하기 시작했다. 1811년, '풍경 구성'이라는 제목의 유화 작품을 왕립 아카데미에 제출하여 대강당 46번 항목으로 전시되었다. 이후 그는 대형 유화 전시회를 열었는데, 풍경화도 있었지만 주로 구약성서에서 영감을 받은 웅장한 성서 주제의 그림들이었다. 그의 풍경화는 노섬벌랜드의 험준한 절벽을 연상시켰고, '소돔과 고모라의 파괴'와 같은 종말론적 캔버스는 타인 계곡의 대장간과 철공소에 대한 그의 친숙함과 구약성서에 대한 깊은 지식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았다.

1812년부터 시작된 섭정 시대에는 이러한 '숭고한' 그림이 유행했다. 마틴의 첫 성공은 왕립 아카데미 시즌이 끝날 무렵, 그의 첫 번째 주요 숭고한 캔버스 '망각의 물을 찾아가는 사닥'이 전시되었지만 주목받지 못했을 때 찾아왔다. 그는 이 그림을 집으로 가져왔는데, 윌리엄 매닝 국회의원이 그를 찾아와 그림을 구매하겠다는 명함을 발견했다. 이 후원은 마틴의 경력을 크게 발전시켰다.

그러나 아버지, 어머니, 할머니, 어린 아들이 한 해에 사망하면서 그의 경력은 잠시 중단되었다. 또한 형 윌리엄은 자주 마틴에게 자신의 발명품 계획을 세워달라고 요청했고, 마틴은 도움과 돈을 아끼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존 밀턴의 작품에 큰 영향을 받은 그는 웅장한 주제를 계속 이어갔다. 1816년 마틴은 '여호수아가 기브온 위에 해를 멈추게 하다'로 대중의 찬사를 받았는데, 이 작품은 전통적인 구도 규칙을 많이 깨뜨렸다. 1818년, '바빌론의 몰락'을 420GBP에 판매한 것을 계기로 빚에서 벗어나 메릴본에 집을 마련하여 예술가, 작가, 과학자, 휘그 귀족들과 교류했다.

마틴의 승리는 그가 미리 자랑했던 ''벨사자 연회''였다. 그는 "그 어떤 그림보다 더 큰 소란을 일으킬 것이다... 다만, 아무에게도 내가 그렇게 말했다고 말하지 말아라."라고 말했다. 5,000명이 이 그림을 보기 위해 돈을 지불했다. 이 작품은 나중에 운송 중 기차가 건널목에서 덮치면서 거의 파괴될 뻔했다.

사적으로 마틴은 열정적이었고, 체스의 열렬한 팬이었으며, 형제들과 마찬가지로 검술과 창 던지기에도 능했다. 그는 "자연 종교"를 믿는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다. 그는 국가 연주에 쉿 소리를 내는 특이한 행동을 보였지만, 왕족의 구애를 받았고 여러 금메달을 받았다. 그중 하나는 미래의 러시아 차르 니콜라이 1세로부터 받은 것이었는데, 차르는 타인사이드의 월센드 탄광을 방문하고 "맙소사, 지옥의 입과 같구나."라고 외쳤다고 한다. 마틴은 벨기에의 초대 국왕이 된 작센코부르크의 레오폴드 공의 공식적인 역사 화가가 되었다. 레오폴드는 마틴의 아들 레오폴드의 대부였고, 마틴에게 레오폴드 훈장을 수여했다. 마틴은 또 다른 작센코부르크 가문인 앨버트 공으로부터 이른 아침 방문을 자주 받았는데, 앨버트 공은 아침 7시에 마틴이 잠옷을 입은 채로 문간에 서 있는 동안 말에서 그와 농담을 나누곤 했다. 마틴은 이신론과 자연 종교, 진화(찰스 다윈 이전) 그리고 합리주의를 옹호했다. 조르주 퀴비에는 마틴의 팬이 되었고, 마틴은 점점 더 과학자, 예술가, 작가(그중에는 찰스 디킨스, 마이클 패러데이, J. M. W. 터너)들과 어울리는 것을 즐겼다. 마틴은 터너 근처 런던 첼시에 집을 마련했다.[5]

마틴은 메조틴트 기술을 실험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실낙원''의 새 판에 대한 24개의 판화를 제작하는 의뢰를 받았다. 이것은 밀턴의 걸작에 대한 결정적인 삽화로 여겨지며, 현재 그 사본은 수백 파운드에 팔린다. 정치적으로 그의 공감대는 분명하지 않다. 어떤 사람들은 그가 급진주의자라고 주장하지만, 이는 알려진 사실로 뒷받침되지 않는다. 비록 그는 개혁된 혁명가이자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남편이자 메리 셸리의 아버지인 윌리엄 고드윈과, ''The Examiner''의 공동 창립자인 존 헌트를 알고 있었다.

한때 마틴 일가는 20세에 스팀으로 움직이는 22세기의 사회적 낙관주의적이지만 풍자적인 비전을 담은 ''The Mummy!''를 제작한 제인 웹이라는 젊은 여성을 돌봤다. 또 다른 친구는 런던 킹스 칼리지의 물리학 교수인 찰스 휘트스톤이었다. 휘트스톤은 전신을 실험하고 콘서티나와 스테레오스코프를 발명했다. 마틴은 빛의 속도를 측정하려는 그의 시도에 매료되었다. 마틴의 저녁 파티에 대한 기록은 놀라운 사고의 흐름, 괴짜, 사회 운동가들을 드러낸다. 한 증인은 젊은 존 테니얼이었는데, 그는 나중에 루이스 캐럴의 작품의 삽화가였으며 마틴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그의 자녀들과 친한 친구였다. 다양한 시점에서 마틴의 형제들도 손님으로 참여하여, 그들의 괴팍함과 대화는 이미 이국적인 풍미를 더했다.

3. 4. 판화 제작

존 마틴은 화가이자 메조틴트 판화가였다. 그는 생애 상당 기간 동안 그림보다 판화로 더 많은 수입을 올렸다. 1823년 마틴은 새뮤얼 프로웨트에게 존 밀턴의 《실낙원》 삽화를 의뢰받아 2000GBP를 받았다. 첫 번째 판화 24점이 완성되기 전에 그는 더 작은 판에 찍는 두 번째 24점의 판화에 대해 1500GBP를 추가로 받았다.

더 주목할 만한 판화로는 묘사된 건축물에서 공상 과학적 요소를 엿볼 수 있는 《판데모니엄》과 《지옥 회의를 주재하는 사탄》, 그리고 가장 극적인 구성인 《카오스 위의 다리》가 있다. 프로웨트는 판화의 4가지 에디션을 매달 할부로 발행했는데, 첫 번째는 1825년 3월 20일에, 마지막은 1827년에 나왔다.

이후 프로웨트의 사업에 영감을 받아 1831년부터 1835년까지 마틴은 구약성서를 곁들일 자신의 삽화를 출판했지만, 이 프로젝트는 그의 자원을 심각하게 고갈시켰고 수익성이 좋지 않았다. 그는 남은 재고를 찰스 틸트에게 판매했고, 틸트는 1838년에 대형 앨범으로, 1839년에는 더 작은 형식으로 재출판했다.

4. 도시 계획가로서의 활동

1827년부터 1828년경까지 마틴은 그림을 그리는 대신 여러 엔지니어링 계획 및 발명에 몰두했다. 그는 런던의 물과 하수 문제 해결에 관심을 갖고, 런던의 상수도 공급, 하수도, 부두, 철도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팸플릿과 계획을 발표했다.[3] 그의 아이디어 중에는 중앙 배수 시스템을 갖춘 템스 강 제방 건설이 있었다. 그의 계획은 선구적이었고, 이후 엔지니어들의 설계에 기초가 되었다. 1834년에 그가 제시한 런던 하수도 시스템 계획은 조셉 바잘게트가 1859년에 제안한 템스 강 양쪽 강변에 산책로가 있는 차단 하수도 건설보다 약 25년 앞선 것이었다. 그는 또한 템스 강 양쪽에 철도 노선을 건설하는 계획도 세웠다. "목재 적층" 아이디어, 등대, 섬 배수 계획과 함께 이 계획들은 모두 보존되어 있다. 영국에서 가장 활발한 석탄 채굴 중심지 근처에서 성장한 마틴은 사회 기반 시설과 채굴의 안전에 평생 관심을 가졌다.[8]

5. 형제들과의 관계

1829년 2월, 그의 형 조나단 마틴이 요크 민스터에 고의로 불을 질러 큰 피해를 입혔다. 목격자는 이 사건을 마틴의 작품과 비슷하다고 말했는데, 이는 그가 이 사건과 관련이 있음을 암시한다. 조나단 마틴의 재판 변호 비용은 존 마틴이 지불했다. "미친 마틴"으로 알려진 조나단 마틴은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정신 이상을 이유로 교수형은 면했다.[3]

마틴의 맏형 윌리엄 (1772–1851)은 밧줄 제조공, 군인, 발명가, 과학자, 작가, 강연가로 활동하며, 영구 운동을 허용하고 중력의 법칙을 부인하는 철학을 개발하려 했다. 그는 발명에 재능이 있어 험프리 데이비 경의 램프보다 더 낫다고 알려진 광부용 안전 램프를 제작하기도 했다. 둘째 형 리처드는 반도 전쟁워털루 전투에 참전한 근위대의 군수참모였다. 셋째 형 조나단 (1782–1838)은 요크 민스터에 불을 지른 혐의로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지만 정신 이상을 이유로 무죄 판결을 받고 런던의 성 루크 정신병원에 수감되어 사망했다.[13]

존 마틴은 13명의 형제 중 성인이 될 때까지 성장한 5명 중 한 명이었다. 마틴의 형제들은 아버지로부터 격렬한 기질과 넘치는 정열을, 어머니로부터 독실한 신앙심과 높은 정신성을 물려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나단 마틴 (1782년 ~ 1838년 5월 27일): 1829년 2월 2일 요크 대성당에 방화하여 체포되었지만, 정신 이상을 이유로 교수형을 면하고 런던의 St_Luke's_Hospital_for_Lunatics|성 루크 정신병원영어에 감금되었다. 이때 재판 변호 비용은 존 마틴이 지불했다.[16] 마틴이 "미친 마틴"이라는 별명을 얻게 된 것은 그의 형 조나단과의 혼동 때문이기도 하다.[15]

6. 개인적인 삶

1829년 2월, 그의 형이자 비국교도인 조나단 마틴이 고의로 요크 민스터에 불을 질렀다. 이 화재로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했고, 한 목격자는 이 장면을 마틴의 작품과 비슷하다고 말했다.[1] 조나단 마틴의 재판 변호 비용은 존 마틴의 돈으로 지불되었다.[1] '미친 마틴'으로 알려진 조나단 마틴은 결국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정신 이상을 이유로 교수형은 면했다.[1]

마틴은 1827년부터 1828년경까지 그림을 그리는 것을 중단하고, 많은 엔지니어링 계획 및 발명에 관여했다. 그는 런던의 물과 하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매료되어, 런던의 상수도 공급, 하수도, 부두 및 철도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팸플릿과 계획을 발표했다.[3] 그의 아이디어는 중앙 배수 시스템을 포함하는 템스 강 제방 건설을 포함했다. 그의 계획은 선구적이었으며, 후대 엔지니어들의 설계를 위한 기초가 되었다.[3] 1834년에 그가 세운 런던 하수도 시스템 계획은 조셉 바잘게트가 템스 강 양쪽 강변에 산책로가 있는 차단 하수도를 건설하겠다는 1859년 제안보다 약 25년 앞선 것이었다.[3] 그는 또한 템스 강 양쪽에 철도 노선을 건설하는 등 철도 계획도 세웠다.[3] '목재 적층' 아이디어, 등대 및 섬 배수 계획과 함께 이 계획들은 모두 보존되어 있다.[3] 영국에서 가장 활발한 석탄 채굴 중심지 근처에서 성장한 마틴은 사회 기반 시설과 채굴의 안전에 평생 관심을 가졌다.[8]

조카(조나단의 아들 리처드)의 자살을 포함한 부채와 가족의 어려움은 우울증을 유발했고, 1838년에 최악의 상황에 이르렀다.[1]

1839년부터 마틴의 운은 회복되었고, 1840년대에 많은 작품을 전시했다. 그의 생애 마지막 4년 동안 마틴은 성경을 주제로 한 대형 그림 3부작에 매달렸다: ''최후의 심판'', ''그의 분노의 큰 날'', 그리고 ''천국의 평원''으로, 이 중 두 작품은 1974년에 테이트 브리튼에 유증되었고, 다른 하나는 몇 년 전에 테이트에 인수되었다.[13] 이 작품들은 그의 오른쪽을 마비시킨 뇌졸중 직전인 1853년에 완성되었다.[13] 그는 회복하지 못하고 1854년 2월 17일, 맨 섬의 더글러스에서 사망했다. 그는 커크 브래든 묘지에 묻혔다.[13] 그의 작품에 대한 주요 전시회가 여전히 열리고 있다.

''존 마틴의 임종'' (1854). 흑색 분필, 58.5 x 45.5 cm, 그의 아들 찰스 마틴(1820-1906)의 작품. 레잉 미술관, 뉴캐슬어폰타인

6. 1. 결혼과 가족

마틴은 자신보다 9살 연상인 수잔 가렛(Susan, née Garrett)과 결혼하여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은 6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설명
알프레드아버지와 함께 메조틴트 조각가로 일했으며, 이후에는 상급 세무관이 되었다.
이사벨라
제노비아화가 피터 커닝햄과 결혼했다.
레오폴드사무원이 되었다. 벨기에의 레오폴드 1세 국왕의 대자였는데, 레오폴드 1세는 1815년경 메릴본 하이 스트리트에서 마틴과 함께 숙소를 사용하면서 그를 알게 되고 친분을 쌓았다. 이후 1889년 뉴캐슬 주간 연대기 보충판에 아버지에 대한 회고록을 연재했다. 아버지와 함께 많은 산책과 방문을 하였으며, 그가 전하는 일화에는 J. M. W. 터너, 이사바드 킹덤 브루넬, 윌리엄 고드윈, 찰스 휘트스톤과의 만남도 포함되어 있다. 존 테니얼의 여동생과 결혼했는데, 그는 나중에 펀치의 만화가이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삽화가로 유명해졌다.
찰스1820년 출생. 아버지에게 그림을 배웠고, 아버지의 작품을 다수 복제했다. 이후 성공적인 초상화가가 되었으며 미국에서 거주했다. 1896년에 마지막으로 왕립 아카데미에 전시했다.
제시이집트학자 조셉 보노미와 결혼했다.

[1]

6. 2. 레오폴드 마틴과 벨기에 국왕

마틴은 부인 수잔 가렛과의 사이에서 6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 중 레오폴드는 벨기에의 레오폴드 1세 국왕의 대자였다. 레오폴드 1세는 1815년경 메릴본 하이 스트리트에서 마틴과 함께 숙소를 사용하면서 그를 알게 되었다.[1] 레오폴드는 1889년 ''뉴캐슬 주간 연대기 보충판''에 아버지에 대한 회고록을 연재했다.[1] 그는 아버지와 함께 J. M. W. 터너, 이사바드 킹덤 브루넬, 윌리엄 고드윈, 찰스 휘트스톤 등을 만난 일화를 전했다.[1] 레오폴드는 존 테니얼의 여동생과 결혼했는데, 존 테니얼은 ''펀치''의 만화가이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삽화가로 유명해졌다.[1]

7. 말년과 죽음

1829년 2월, 그의 형이자 비국교도인 조나단 마틴이 고의로 요크 민스터에 불을 질러 그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이 화재로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했고, 한 목격자는 이 장면을 마틴의 작품과 비슷하다고 말했는데,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이 사건이 그와 더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알지 못했다. 조나단 마틴의 재판 변호 비용은 존 마틴의 돈으로 지불되었다. "미친 마틴"으로 알려진 조나단 마틴은 결국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정신 이상을 이유로 교수형은 면했다.[3]

마틴은 1827년부터 1828년경에 그림을 그리는 것을 중단하고, 많은 엔지니어링 계획 및 발명에 관여했다. 그는 런던의 물과 하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매료되어, 런던의 상수도 공급, 하수도, 부두 및 철도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팸플릿과 계획을 발표했다. 그의 아이디어는 중앙 배수 시스템을 포함하는 템스 강 제방 건설을 포함했다. 그의 계획은 선구적이었으며, 후대 엔지니어들의 설계를 위한 기초가 되었다. 1834년에 그가 세운 런던 하수도 시스템 계획은 조셉 바잘게트가 템스 강 양쪽 강변에 산책로가 있는 차단 하수도를 건설하겠다는 1859년 제안보다 약 25년 앞선 것이었다. 그는 또한 템스 강 양쪽에 철도 노선을 건설하는 등 철도 계획도 세웠다. "목재 적층" 아이디어, 등대 및 섬 배수 계획과 함께 이 계획들은 모두 보존되어 있다. 영국에서 가장 활발한 석탄 채굴 중심지 근처에서 성장한 마틴은 사회 기반 시설과 채굴의 안전에 평생 관심을 가졌다.[8]

조카(조나단의 아들 리처드)의 자살을 포함한 부채와 가족의 어려움은 우울증을 유발했고, 1838년에 최악의 상황에 이르렀다.

1839년부터 마틴의 운은 회복되었고, 1840년대에 많은 작품을 전시했다. 그의 생애 마지막 4년 동안 마틴은 성경을 주제로 한 대형 그림 3부작에 매달렸다: ''최후의 심판'', ''그의 분노의 큰 날'', 그리고 ''천국의 평원''으로, 이 중 두 작품은 1974년에 테이트 브리튼에 유증되었고, 다른 하나는 몇 년 전에 테이트에 인수되었다. 이 작품들은 그의 오른쪽을 마비시킨 뇌졸중 직전인 1853년에 완성되었다. 그는 회복하지 못하고 1854년 2월 17일, 맨 섬의 더글러스에서 사망했다. 그는 커크 브래든 묘지에 묻혔다.[13] 그의 작품에 대한 주요 전시회가 여전히 열리고 있다.

8. 유산과 영향

마틴은 엄청난 인기를 누렸고 그의 영향력은 지속되었다. 그의 추종자 중 한 명은 미국 풍경화의 창시자인 토마스 콜이었다.[9] 랄프 왈도 에머슨과 브론테 자매도 그의 상상력에 영향을 받았는데, ''벨사자르의 연회'' 판화가 호워스에 있는 브론테 목사관 응접실 벽에 걸려 있었고, 그의 작품은 샬럿과 그녀의 자매들 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어린 시절 그를 모델로 삼아 놀기도 했다.[9] 마틴의 환상적인 건축물은 브론테 자매의 유년 시절 작품인 글래스 타운과 앙그리아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는 베르도폴리스의 에드워드 드 리슬로 등장한다.[9]

마틴은 유럽에서 명성과 영향력을 누렸다. 하인리히 하이네엑토르 베를리오즈의 음악에 대해 "그것은 나로 하여금 놀라운 제국과 구름에 뒤덮인 불가능한 경이로움을 보게 한다. 그 마법 같은 선율은 바빌론, 세미라미스의 공중 정원, 니네베의 경이, 미즈라임의 거대한 건축물을 마치 영국의 화가 마틴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불러일으킨다."라고 썼다.[9]

마틴의 작품은 라파엘 전파, 특히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에게 영향을 미쳤으며,[9] D. W. 그리피스는 마틴의 바빌론을 빌려오고, 세실 B. 데밀과 조지 루카스에 이르기까지 여러 세대의 영화 제작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9] 라이더 해거드, 쥘 베른, H. G. 웰스와 같은 작가들은 그의 숭고함 개념에 영향을 받았다.[9] 미술과 문학 모두에서 프랑스 낭만주의 운동은 그에게 영감을 받았다.[9] 많은 빅토리아 시대 철도 건축물은 그의 모티프를 모방했으며, 여기에는 그의 친구 브루넬의 클리프턴 현수교도 포함된다.[9] 마틴이 런던을 위해 계획한 여러 엔지니어링 계획에는 원형 연결 철도가 포함되었지만, 그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실현되지 못했지만, 수년 후에 결실을 맺었다.[9] 그는 이것에 매우 기뻐했을 것이다. 그는 아들 레오폴드에게 화가보다는 엔지니어가 되는 것을 더 원했을 것이라고 외쳤다고 알려져 있다.[10]

다른 인기 있는 예술가들과 마찬가지로, 마틴은 패션과 대중의 취향 변화에 희생되었다. 그의 웅장한 비전은 중기 빅토리아 시대 사람들에게는 연극적이고 시대에 뒤떨어진 것처럼 보였고, 마틴이 죽은 후 그의 작품은 소외되고 점차 잊혀졌다. "몇몇 예술가들이 그의 사후에 이처럼 극단적인 비평적 변동을 겪었다. 1930년대에 그의 거대한 그림은 고작 1GBP~2GBP에 팔렸지만, 오늘날에는 수천 파운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7]

1930년대와 1940년대에 그의 작품은 다시금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그의 극적인 스타일과 영국의 역사적으로 중대한 전후 시대의 예술 및 문화 간의 연관성은 앙귀스-빌체스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그는 종말에 대한 묘사에 대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열정이 마틴의 작품이 살아남을 수 있게 했다고 본다.[11]

마틴의 여러 작품이 공공 컬렉션에 남아 있다.

존 마틴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는 주요 공공 컬렉션
미술관/박물관위치
레잉 미술관뉴캐슬
테이트 브리튼영국
빅토리아 & 앨버트 박물관영국
루브르 박물관프랑스
국립 미술관워싱턴 D.C., 미국
예일 영국 미술 센터미국
세인트루이스 미술관미국



RIBA는 그의 많은 엔지니어링 팸플릿을 소장하고 있다. 개인 소장품과 런던의 퀸 메리 칼리지에도 편지가 있다. 존 마틴은 두 개의 자서전을 썼는데, 첫 번째는 1834년 6월 14일자 ''애서니엄'' 기사(459페이지)이고, 가장 상세한 자서전은 ''The Illustrated London News''(1849년 3월 17일, 176–177페이지)에 실렸다. 그의 생애에 대한 주요 자료는 1889년 ''Newcastle Weekly Chronicle''에 16부로 출판된 그의 아들 레오폴드의 회고록이다. B.R. 헤이든, 존 컨스터블, 랄프 왈도 에머슨, 로세티 자매, 벤자민 디즈레일리, 샬럿 브론테, 존 러스킨을 포함한 다른 사람들의 편지와 회고록이 남아 있는데, 러스킨은 마틴의 독특한 비전을 인정하는 끈기 있는 비평가였다. 최초의 완전한 전기는 마틴의 친구인 서전트 랄프 토마스가 쓴 일기를 주요 자료로 한 메리 L. 펜더드였고, 이 일기는 현재 분실되었다. 토마스 발스톤은 1934년에 처음, 1947년에 두 번째(여전히 주요 전기)로 마틴에 대한 두 개의 전기를 썼다. 크리스토퍼 존스톤은 1974년에 마틴에 대한 입문서를 출판했고, 1975년에는 미술 평론가 윌리엄 피버가 마틴의 삶과 작품에 대한 광범위한 삽화가 실린 작품의 저자였다. 1986년 이후 마이클 J. 캠벨은 2006년 마드리드의 왕립 예술 아카데미에서 출판한 오리지널 판화가로서의 그의 작품에 대한 주요 간행물을 포함하여 존 마틴에 대한 여러 간행물을 출판했다.

2011-12년 테이트 브리튼과 뉴캐슬의 레잉 미술관은 모든 장르의 마틴의 주요 회고전 "존 마틴 – 종말론"을 공동으로 기획했으며, 여기에는 토목 기사로서의 그의 기여도 포함되었다.[12] 전시회에는 완전히 복원된 1822년작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의 파괴''가 전시되었다. 테이트 갤러리의 재앙적인 1928년 홍수로 인해 유실된 것으로 기록되었지만, 갤러리의 연구 조교인 크리스토퍼 존스톤이 그의 저서 ''존 마틴''(1974)을 연구하던 중 재발견되었다. 테이트 보존가인 사라 메이시가 복원하여 원래의 페인트칠이 거의 손상되지 않은 상태임을 밝혀냈다. 전시 도록 ''존 마틴: 종말론''(2011)의 113페이지에서 그녀가 설명한 바와 같이, 1973년에는 사용할 수 없었던 기술을 사용하여 캔버스 조각이 사라진 넓은 부분을 메이시가 다시 칠했다. 재발견 당시 그림은 런던 국립 갤러리로 반환된 사라진 폴 들라로슈의 그림 ''레이디 제인 그레이의 처형'' 안에 말려 있었다.

9. 주요 작품

존 마틴은 화가이자 메조틴트 판화가로, 생애 상당 기간 동안 그림보다 판화로 더 많은 수입을 올렸다. 1823년 새뮤얼 프로웨트(Samuel Prowett)에게 존 밀턴의 《실낙원》 삽화를 의뢰받아 2000기니를 받았다. 첫 번째 판화 24점이 완성되기 전에 더 작은 판에 찍는 두 번째 24점의 판화에 대해 1500기니를 추가로 받았다.

주목할 만한 판화로는 《판데모니엄》, 《지옥 회의를 주재하는 사탄》, 《카오스 위의 다리》 등이 있다. 프로웨트는 1825년 3월 20일부터 1827년까지 판화의 4가지 에디션을 매달 할부로 발행했다. 1831년부터 1835년까지 마틴은 구약성서를 곁들일 자신의 삽화를 출판했지만, 이 프로젝트는 수익성이 좋지 않았다. 그는 남은 재고를 찰스 틸트(Charles Tilt)에게 판매했고, 틸트는 1838년에 대형 앨범으로, 1839년에는 더 작은 형식으로 재출판했다.

존 마틴의 주요 판화 작품
제목크기 (cm)제작 연도소장처
『고전적 취미의 도시』14cm×20.6cm1816년레잉 아트 갤러리
『고전적 취미의 폐허』13.5cm×20.6cm?년레잉 아트 갤러리
『벨사자르의 연회』Ⅰ47.2cm×71.6cm1826년대영 박물관
『기브온 위에 머물라 하고 태양에게 명하는 여호수아』53.3cm×76.2cm1827년대영 박물관
『대홍수』53.3cm×76.2cm1828년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미술관
『니네베의 함락』66.9cm×91.1cm1829년레잉 아트 갤러리
『바빌론의 함락』53.3cm×76.2cm1831년
『벨사자르의 연회』Ⅱ53.3cm×76.2cm1832년레잉 아트 갤러리
『그리스도 십자가형』53.3cm×76.2cm1834년레잉 아트 갤러리
『느릅나무』42.8cm×29.8cm?년레잉 아트 갤러리 (에칭)
세진코트 저택33.6cm×46.3cm?년대영 박물관 (아쿠아틴트)
밀턴의 『실낙원』 삽화
『반역 천사들의 타락』27.5cm×20.3cm1824-25년
『만마전』20.5cm×29.2cm1824년
『지옥 회의를 주재하는 사탄』19.5cm×27.9cm1824년
『천상으로의 오르막을 바라보는 사탄』27.2cm×21.3cm1824-25년
『밤에 낙원을 지키는 천사』19.5cm×27.9cm1824-26년
『빛의 창조』19.1cm×27.9cm1824년
『아담에게 금단의 열매를 권하는 이브』19.1cm×28.1cm1824년
『혼돈에 걸린 다리』19.3cm×27cm1824-26년
『아담과 이브의 낙원 추방』×?년
『구약성서』 삽화
『아벨의 죽음』18.9cm×29.6cm1931년
『대홍수』19.7cm×28.9cm1831년
『계약』18.9cm×28.9cm1832년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19.1cm×29.1cm1832년
『일곱 재앙』19.1cm×29.1cm1833년
『홍해에 삼켜지는 파라오의 군세』18.9cm×28.3cm?년
『증언의 석판을 깨는 모세』18.7cm×29.1cm1833-34년
『바빌론의 함락』19.4cm×28.9cm1835년
『파괴의 천사』46.5cm×73cm1836년
『대홍수의 전야』×1828년


9. 1. 유화

마틴은 세피아 수채화를 그려 수입을 보충하기 시작했다. 그는 1810년 처음으로 유화 작품을 왕립 아카데미에 보냈지만 전시되지 못했다. 1811년 그는 이 그림을 다시 보냈고, 결국 '풍경 구성'이라는 제목으로 대강당의 46번 항목으로 전시되었다. 그 후 그는 일련의 대형 유화 전시회를 열었다. 몇몇은 풍경화였지만, 더 흔하게는 구약성서에서 영감을 받은 웅장한 성서 주제였다. 그의 풍경화는 노섬벌랜드의 험준한 절벽을 연상시키는 반면, 일부 작가들은 그의 종말론적 캔버스, 예를 들어 '소돔과 고모라의 파괴'가 타인 계곡의 대장간과 철공소에 대한 그의 친숙함을 보여주고, 구약성서에 대한 그의 깊은 지식을 드러낸다고 주장한다.

1812년부터 시작된 섭정 시대에는 그러한 '숭고한' 그림이 유행했다. 마틴의 첫 성공은 영국 왕립 아카데미 시즌이 끝날 무렵, 그의 첫 번째 주요 숭고한 캔버스 '망각의 물을 찾아가는 사닥'이 전시되었지만 주목받지 못했을 때 찾아왔다. 그는 이 그림을 집으로 가져왔는데, 그곳에서 그를 사려고 찾아온 윌리엄 매닝 국회의원의 명함을 발견했다. 후원은 마틴의 경력을 추진했다.

이 유망한 경력은 그의 아버지, 어머니, 할머니, 어린 아들이 한 해에 사망하면서 중단되었다. 또 다른 방해는 윌리엄이었는데, 그는 자주 마틴에게 자신의 발명품 계획을 세워달라고 요청했고, 마틴은 항상 도움과 돈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존 밀턴의 작품에 큰 영향을 받아 그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의 웅장한 주제를 계속 이어갔다. 1816년 마틴은 마침내 '여호수아가 기브온 위에 해를 멈추게 하다'로 대중의 찬사를 받았는데, 비록 많은 전통적인 구도 규칙을 깨뜨렸지만 말이다. 1818년, '바빌론의 몰락'을 420파운드(420GBP)에 판매한 것을 계기로, 그는 마침내 빚에서 벗어나 메릴본에 집을 샀고, 그곳에서 예술가, 작가, 과학자, 휘그 귀족들과 교류했다.

마틴의 승리는 그가 미리 자랑했던 ''벨사자 연회''였다. "그 어떤 그림보다 더 큰 소란을 일으킬 것이다... 다만, 아무에게도 내가 그렇게 말했다고 말하지 말아라." 5,000명이 그것을 보기 위해 돈을 지불했다. 이 작품은 나중에 운송 중 기차가 건널목에서 그를 덮치면서 거의 파괴될 뻔했다.

사적으로 마틴은 열정적이었고, 체스의 열렬한 팬이었으며, 그의 형제들과 마찬가지로 검술과 창 던지기에도 능했으며, "자연 종교"를 믿는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다. 그는 종종 국가를 부르는 국가 연주에 쉿 소리를 내는 특이한 행동을 보였지만, 왕족의 구애를 받았고 여러 금메달을 받았는데, 그중 하나는 미래의 러시아 차르 니콜라이 1세로부터 받았다. 차르가 타인사이드의 월센드 탄광을 방문한 것은 잊을 수 없는 인상을 남겼다. "맙소사, 지옥의 입과 같구나."라고 외쳤다고 한다. 마틴은 나중에 벨기에의 초대 국왕이 된 작센코부르크의 레오폴드 공의 공식적인 역사 화가가 되었다. 레오폴드는 마틴의 아들 레오폴드의 대부였고, 마틴에게 레오폴드 훈장을 수여했다. 마틴은 또 다른 작센코부르크 가문인 앨버트 공으로부터 이른 아침 방문을 자주 받았는데, 앨버트 공은 아침 7시에 마틴이 잠옷을 입은 채로 문간에 서 있는 동안 말에서 그와 농담을 나누곤 했다. 마틴은 이신론과 자연 종교, 진화(찰스 다윈 이전) 그리고 합리주의를 옹호했다. 조르주 퀴비에는 마틴의 팬이 되었고, 점점 더 과학자, 예술가, 작가(그중에는 찰스 디킨스, 마이클 패러데이, J. M. W. 터너)들과 어울리는 것을 즐겼다. 마틴은 터너 근처 런던 첼시에 집을 마련했다.[5]

그의 첫 번째 출품작인 ''잊혀진 물을 찾아서의 사닥''(현재는 세인트루이스 미술관)은 1812년 영국 왕립 아카데미의 대기실에 걸렸으며, 50기니에 팔렸다. 이 작품은 ''두 천재의 이야기''에서 한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어서 ''추방''(1813), ''이브를 처음 본 아담''(1813), ''클리티에''(1814), ''여호수아가 기브온 위에 해를 멈추게 하다''(1816), ''바빌론의 멸망''(1819)이 제작되었다. 1820년에는 그의 ''벨사자 벤처''가 등장했는데, 이는 호의적이고 적대적인 논평을 많이 불러일으켰으며, 영국 협회에서 200파운드의 상을 받았다. 이전에는 ''여호수아''가 100파운드의 프리미엄을 받았다. 그 후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의 파괴''(1822), ''창조''(1824), ''대홍수의 전야''(1840), 그리고 일련의 다른 성서적, 상상적인 주제가 이어졌다.[3] ''천국의 평원''은 그의 젊은 시절의 올렌데일에 대한 기억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마틴의 대형 그림은 현대의 디오라마 또는 파노라마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는데, 이는 대형 그림 천이 전시되고 인공 조명의 숙련된 사용을 통해 생생하게 표현되는 대중적인 엔터테인먼트였다. 마틴은 종종 서사 영화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선구적인 감독 D. W. 그리피스가 그의 작품을 알고 있었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6] 디오라마 제작자들은 마틴의 작품을 표절할 정도로 그의 작품을 차용했다. 약 185.81m2 크기의 ''벨사자 벤처''가 1833년 영국 디오라마라는 시설에 설치되었다. 마틴은 법원 명령으로 전시를 중단시키려 했지만 실패했다. 같은 그림의 또 다른 디오라마가 1835년 뉴욕시에서 상연되었다. 이러한 디오라마는 관객들에게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지만, 예술계에서 마틴의 명성을 손상시켰다.[7] 1852년의 그림 ''소돔과 고모라의 파괴''는 현재 뉴캐슬어폰타인의 레잉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제목제작년도크기 (cm)소장처
카드모스와 용1813년61×90.2로이 마이어스 화랑
클리티1814년62×92.7레잉 미술관
낙원 추방1814-7년(1823-27?)77.2×112.3레잉 미술관
런던의 원경1815년17.8×30.5켈빈그로브 미술관
건초더미가 있는 풍경1815년25.4×30.5개인 소장
기브온 위에 멈추라고 태양에게 명령하는 여호수아1816년경149.9×231.1영국 유나이티드 그랜드 로지[18]
음유 시인1817년213.4×155레잉 미술관
바빌론의 멸망1819년154.9×243.8불명
맥베스1820년경50.8×71스코틀랜드 국립 미술관
벨사자르의 연회1820년152.4×249개인 소장
벨사자르의 연회Ⅱ1821년경152.5×222레잉 미술관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1822년86.4×114하즐리트 구덴 앤 폭스 주식회사(미술상)[19]
폼페이헤르쿨라네움의 파괴1821년×테이트 브리튼
풍경의 구성1823년61×91.5리버풀 국립 박물관
천사 라파엘을 대접하는 아담과 이브1823년129.5×198파이프 의회
전능하신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아담1823-27년47.5×68.7[빅토리아 & 앨버트 박물관]
이집트의 일곱 재앙1824년경144.1×214보스턴 미술관
기브온 위에 멈추라고 태양에게 명령하는 여호수아1827년경63×76애슈몰린 박물관
이탈리아 풍경1830-50년71.8×92리버풀 국립 박물관
에스더1831년30.2×40.5레잉 미술관
대홍수1834년168.5×258예일 영국 미술 센터
배경에 도시가 있는 전투 장면1837년89.5×119.7토레 수도원(Torre Abbey)
빅토리아 여왕의 대관식1839년23.5?×181.6테이트 브리튼
대홍수 전날 밤1840년142.9×218.4윈저 성
티레의 파괴1840년83.8×109.5톨레도 미술관(오하이오 주)
기브온 위에 멈추라고 태양에게 명령하는 여호수아Ⅱ1840년경48×62.5예일 영국 미술 센터
물의 완화1840년경142×215.9스코틀랜드 교회, 에든버러
만마전1841년123.2×184.2글래스고 라이트하우스 갤러리(The Lighthouse, Glasgow)
지옥의 타락한 천사1841년경61×76테이트 브리튼
만마전1841년경×루브르 박물관
고독1843년50.7×91.6레잉 미술관
기브온 위에 멈추라고 태양에게 명령하는 여호수아1848년경151×254커클리스 박물관
맨 섬1848-54년30.3×46.5애슈몰린 박물관
행복의 계곡의 아서 왕과 에글레1849년122×180.5레잉 미술관
마지막 인간1849년137.8×214워커 아트 갤러리
삼림 지대의 황혼1850년38.1×76.3피츠윌리엄 미술관
리치몬드 공원1850년50.8×91.5피츠윌리엄 미술관
바위와 산의 풍경1851년경25.4×35.5빅토리아 & 앨버트 박물관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1852년135.1×212.3레잉 미술관
최후의 심판 3부작 중 하나: 하나님의 위대한 분노의 날1852년196×302.7테이트 브리튼
최후의 심판 3부작 중 둘: 최후의 심판1853년198.2×324.6테이트 브리튼
최후의 심판 3부작 중 셋: 천국의 평원1852년198.2×304.3테이트 브리튼
아담과 이브의 낙원 추방(소)?년78.7×109.9개인 소장
고전적인 구성?년18.5×29.8레잉 미술관
만마전에 들어가는 타락한 천사들?년?테이트 브리튼
폭풍을 잠재우는 그리스도?년50.8×76.2요크 박물관 트러스트
해안 장면, 저녁?년7.6×10빅토리아 & 앨버트 박물관


9. 2. 판화

존 마틴은 화가이자 메조틴트 판화가였다. 그는 생애 상당 기간 동안 그림보다 판화로 더 많은 수입을 올렸다. 1823년 마틴은 새뮤얼 프로웨트(Samuel Prowett)에게 존 밀턴의 《실낙원》 삽화를 의뢰받아 2000기니를 받았다. 그는 첫 번째 판화 24점이 완성되기 전에 더 작은 판에 찍는 두 번째 24점의 판화에 대해 1500기니를 추가로 받았다.

주목할 만한 판화로는 《판데모니엄》, 《지옥 회의를 주재하는 사탄》, 《카오스 위의 다리》 등이 있다. 프로웨트는 판화의 4가지 에디션을 매달 할부로 발행했는데, 첫 번째는 1825년 3월 20일에, 마지막은 1827년에 나왔다. 1831년부터 1835년까지 마틴은 구약성서를 곁들일 자신의 삽화를 출판했지만, 이 프로젝트는 수익성이 좋지 않았다. 그는 남은 재고를 찰스 틸트(Charles Tilt)에게 판매했고, 틸트는 1838년에 대형 앨범으로, 1839년에는 더 작은 형식으로 재출판했다.

존 마틴의 주요 판화 작품
제목크기 (cm)제작 연도소장처
『고전적 취미의 도시』(Classical City)14cm×20.6cm1816년레잉 아트 갤러리
『고전적 취미의 폐허』(Classical Ruins)13.5cm×20.6cm?년레잉 아트 갤러리
『벨사자르의 연회』Ⅰ(Belshazzar's Feast Ⅰ)47.2cm×71.6cm1826년대영 박물관
『기브온 위에 머물라 하고 태양에게 명하는 여호수아』(Joshua Commanding The sun to stand still upon Gideon)53.3cm×76.2cm1827년대영 박물관
『대홍수』(The Deluge)53.3cm×76.2cm1828년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미술관
『니네베의 함락』(The fall of Ninevah)66.9cm×91.1cm1829년레잉 아트 갤러리
『바빌론의 함락』(The fall of Babylon)53.3cm×76.2cm1831년
『벨사자르의 연회』Ⅱ(Belshazzar's Feast Ⅱ)53.3cm×76.2cm1832년레잉 아트 갤러리
『그리스도 십자가형』(The Crucifixion)53.3cm×76.2cm1834년레잉 아트 갤러리
『느릅나무』(Elm tree)42.8cm×29.8cm?년레잉 아트 갤러리 (에칭)
세진코트 저택(Sezincote House)33.6cm×46.3cm?년대영 박물관 (아쿠아틴트)
밀턴의 『실낙원』 삽화(Paradise Lost)
『반역 천사들의 타락』(The Fall of Rebel Angels)27.5cm×20.3cm1824-25년
『만마전』(Pandemonium)20.5cm×29.2cm1824년
『지옥 회의를 주재하는 사탄』(Satan Presiding at the Infernal Council)19.5cm×27.9cm1824년
『천상으로의 오르막을 바라보는 사탄』(Satan Viewing the Assent to Heaven)27.2cm×21.3cm1824-25년
『밤에 낙원을 지키는 천사』(The Angels guarding Paradise at Night)19.5cm×27.9cm1824-26년
『빛의 창조』(Creation of Light)19.1cm×27.9cm1824년
『아담에게 금단의 열매를 권하는 이브』(The Presenting the Forbidden Fruit to Adam)19.1cm×28.1cm1824년
『혼돈에 걸린 다리』(Bridge over Chaos)19.3cm×27cm1824-26년
『아담과 이브의 낙원 추방』(Adam and Eve Driven out of Paradise)×?년
『구약성서』 삽화(BiBle)
『아벨의 죽음』(Death of Abel)18.9cm×29.6cm1931년
『대홍수』(The Deluge)19.7cm×28.9cm1831년
『계약』18.9cm×28.9cm1832년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The destruction of Sodom and Gomorrah)19.1cm×29.1cm1832년
『일곱 재앙』(Seventh Plague)19.1cm×29.1cm1833년
『홍해에 삼켜지는 파라오의 군세』18.9cm×28.3cm?년
『증언의 석판을 깨는 모세』(Moses Breaketh the Tables)18.7cm×29.1cm1833-34년
『바빌론의 함락』(The fall of Babylon)19.4cm×28.9cm1835년
『파괴의 천사』(The Destroying Angel)46.5cm×73cm1836년
『대홍수의 전야』(The eve of the Deluge)×1828년


10. 작품 소장처

존 마틴의 작품 다수는 현재 공공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마틴이 태어나고 자란 뉴캐슬어폰타인의 레잉 미술관Laing_Art_Gallery|영어은 The Destruction of Sodom and Gomorrah|소돔과 고모라의 멸망영어(1852년)을 비롯한 다수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그의 유명한 "블랙 캐비닛"도 보유하고 있다. 테이트 브리튼은 '최후의 심판 삼부작'을 포함한 여러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루브르 박물관, 미국 국립 미술관, 예일 영국 미술 센터, 세인트루이스 미술관 등 미국의 많은 미술관에서도 그의 작품을 볼 수 있다.

왕립 건축가 협회는 그의 공학 관련 팜플렛을 다수 보존하고 있다.

그의 서신은 개인 소장가와 런던 대학교 퀸 메리 칼리지가 소장하고 있다.

일본 국내에서는 다음 미술관들이 마틴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17]

미술관명소장 작품
고리야마 시립 미술관
마치다 시립 국제 판화 미술관
시즈오카 현립 미술관밀턴 작 『실낙원』 삽화 (2권 24점 메조틴트, 1827년 간행)
구마모토 현립 미술관밀턴 작 『실낙원』 삽화 (2권 24점 메조틴트, 1827년 간행)


참조

[1] 웹사이트 John Martin: the Laing Gallery, Newcastle https://www.telegrap[...] 2011-03-15
[2] 뉴스 End of the world visions Viewspaper 14–15 https://www.independ[...] 2011-09-19
[3] EB1911 Martin, John
[4] 웹사이트 John Martin 1789–1854 https://www.tate.org[...]
[5] 웹사이트 Settlement and building: Artists and Chelsea Pages 102-106 A History of the County of Middlesex: Volume 12, Chelsea. https://www.british-[...] Victoria County History, 2004 2022-12-21
[6] 서적 Victorian Painting Little, Brown & Co.
[7] 서적 Victorian Painting https://archive.org/[...] Phaidon Press
[8] 웹사이트 John Martin and the Art of Infrastructure – Nonsite.org https://nonsite.org/[...] 2024-06-04
[9] 문서 Heine, "Lutetia", quoted in the memoirs of Berlioz, translated and edited by David Cairns, 1970. See [http://www.heinrich-heine-denkmal.de/heine-texte/lutetia-anhang04.shtml] for the German. http://www.heinrich-[...]
[10] 문서 Reminicences of John Martin, the ''Newcastle Weekly Chronicle'', Supplement, 1889.
[11] 논문 Anguix-Vilches, Laia. "Rediscovering John Martin: Collecting the apocalypse in post-war Britain," ''Journal of the History of Collections.'' 36 March 2024: 179–192.
[12] 뉴스 John Martin makes a dramatic come-back https://www.theguard[...] 2013-04-25
[13] Cite DNB
[14] 서적 世界美術大事典 小学館
[15] 웹사이트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1885)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Libraries 2012-09-10
[16] 문서 Lee, Sidney (E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Volume 36 (1893).
[17] 웹사이트 ジョン・マーティン http://www.b-sou.com[...] null 2012-09-10
[18] 웹사이트 United Grand Lodge of England http://www.ugle.org.[...] null 2012-09-10
[19] 웹사이트 Hazlitt, Gooden & Fox http://www.hazlittgo[...] Hazlitt, Gooden & Fox Ltd. 2012-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