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뷔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뷔코스는 고대 그리스의 시인으로, 레기움 출신으로 추정되며, 기원전 6세기 중엽에 활동했다. 그는 사모스 섬에서 참주 폴리크라테스의 궁정에서 활동하며, '삼뷔케'라는 악기를 발명하고 시인 아나크레온과 교류했다. 이뷔코스는 강도에게 살해당하기 직전 학들에게 복수를 부탁했다는 전설로 유명하며, 이 이야기는 프리드리히 쉴러의 발라드 "이비코스의 학들"에 영감을 주었다. 그의 작품은 서정시의 동서양 스타일을 융합한 것으로 평가받으며, 테시코로스의 합창 서정시와 레스보스 시인들의 개인적인 서정시의 특징을 모두 보여준다. 현재는 그의 작품 대부분이 소실되었지만, 파피루스 발견을 통해 일부 시구들이 복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성소수자 인물 - 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
그리스 출신의 지휘자, 피아니스트, 작곡가인 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는 미니애폴리스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뉴욕 필하모닉의 음악 감독을 역임하며 현대 음악을 옹호했고,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수석 지휘자로도 활동한, 뛰어난 기억력과 깊은 종교적 신념을 가진 레너드 번스타인에게 큰 영향을 준 인물이다. - 그리스의 성소수자 인물 - 그리스와 덴마크의 왕자 요르요스
그리스 왕자 요르요스는 요르요스 1세와 올가 왕비의 차남으로, 올림픽 개최 준비, 니콜라이 2세 구출 등 활발한 활동을 했으며, 크레타 섬 고등 판무관으로 자치 획득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마리 보나파르트 공주와 결혼 후 외교 활동 중 프랑스에서 사망했다. - 레조디칼라브리아 출신 - 움베르토 보초니
이탈리아 미래파 화가이자 조각가인 움베르토 보초니(1882-1916)는 로마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미래파 운동에 참여하여, 역동적인 움직임과 공간을 혁신적으로 표현한 회화와 조각 작품들을 남겼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요절했다. - 레조디칼라브리아 출신 - 잔니 베르사체
이탈리아 패션 디자이너 잔니 베르사체는 1978년 자신의 브랜드를 설립, 혁신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문화적 영감을 통해 패션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1997년 암살로 사망했고, 이후 여동생 도나텔라 베르사체의 지휘 아래 베르사체는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했다. - 아홉 서정 시인 - 핀다로스
고대 그리스 서정 시인이자 보이오티아 키노스케팔라이 출신인 핀다로스는 현존하는 작품이 많은 유일한 보이오티아 시인으로, 그의 작품은 고대 그리스의 신화, 종교, 가치관, 사회상을 보여주며, 특히 《승리 기념시》는 4대 범그리스 경기 승리자들을 찬양하는 대표작이다. - 아홉 서정 시인 - 아나크레온
아나크레온은 고대 그리스의 서정 시인으로, 사랑, 술, 연회 등 향락적인 주제를 다룬 시로 당대와 후대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아나크레온테아를 통해 18세기 유럽에서 아나크레온 운동을 일으키는 데 기여했고 페르시아 침공으로 인한 망명 생활과 폴리크라테스, 히파르코스 등 유력자들과의 교류가 그의 생애의 특징이다.
| 이뷔코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이비코스 |
| 원어 이름 | Ἴβυκος |
| 로마자 표기 | Ibycos |
| 영어 | Ibycus |
| 직업 | 시인 |
| 장르 | 서정시 |
| 출생 | 기원전 6세기 |
| 출생지 | 레기온 |
| 사망 | 기원전 6세기 |
| 활동 시기 | 기원전 6세기 후반 |
2. 생애
비잔틴 백과사전 수다는 이뷔코스에 대한 전기적 기록을 제공한다. 수다에 따르면, 이뷔코스는 레기움 출신으로, 피티우스의 아들이었다. 그러나 다른 기록에서는 그를 메사나의 역사가 폴리젤루스의 아들이나 체르다스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그는 크로이소스 시대(기원전 564-560년)에 사모스로 가서 폴리크라테스 아버지의 통치를 받았다고 한다. 그는 소년들에 대한 사랑에 심취했고, '삼뷔케'라는 삼각 키타라를 발명했다. 그의 작품은 도리스 방언으로 된 7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다.[4]
수다의 연대기는 이뷔코스가 아나크레온보다 약 한 세대 더 늙었다고 하지만, 헤로도토스의 기록과는 일치하지 않아 혼란스럽다는 평가를 받는다.[5] 유세비우스는 이뷔코스의 명성이 기원전 542년에서 537년 사이에 있었다고 기록하여, 폴리크라테스의 통치 기간과 더 일치한다.[6]
이뷔코스는 황량한 곳에서 강도들에게 붙잡혔을 때, 머리 위로 날아가는 학들이 복수해 줄 것이라고 선언하고 살해되었다. 이후 강도 중 한 명이 도시에서 학들을 보고 "이뷔코스의 복수자들!"이라고 외쳐 범죄가 자백되었고, 강도들은 처벌을 받았다. 이 이야기는 "이뷔코스의 학들"이라는 속담으로 남았다.[4] 이 전설은 플루타르코스[12]와 시돈의 안티파테르[13]의 기록에서도 발견되며, 프리드리히 쉴러의 발라드 "이뷔코스의 학들"에 영감을 주었다.[14] 
디오게니아누스는 "이뷔코스보다 더 낡은" 또는 "이뷔코스보다 더 어리석은"이라는 속담을 기록했는데, 이는 이뷔코스가 시를 쓰기 위해 레기움의 참주가 될 기회를 거절했다는 일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17] 히메리우스에 따르면, 이뷔코스는 카타나와 히메라 사이를 여행하던 중 전차에서 떨어져 손을 다쳐 한동안 리라 연주를 포기했다.[19]
일부 학자들은 이뷔코스가 사모스로 가기 전 시키온에서 시간을 보냈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 그의 시에 나타난 신화적 언급은 시키온에 대한 지역 지식을 보여주며, 아르고스와 아테네에 대항한 스파르타와의 동맹을 암시할 수도 있다.[20]
2. 1. 출생과 초기 활동
비잔틴 백과사전 수다는 이뷔코스가 피티우스의 아들이며 레기움(현재 이탈리아 레조칼라브리아) 출신이라고 기록했다. 수다는 그를 폴리젤루스 또는 체르다스의 아들이라고도 언급하는데, 이는 그의 출신에 대한 다양한 기록이 존재함을 보여준다.[4]수다는 이뷔코스가 크로이소스 시대(기원전 564-560년경)에 사모스 섬으로 건너가 폴리크라테스(당시 참주가 아니었다) 아버지의 통치하에 있었다고 기록한다. 그러나 이 연대는 다른 기록들과 일치하지 않는다.[5] 유세비우스는 이뷔코스의 명성이 기원전 542년에서 537년 사이에 있었다고 기록하여 폴리크라테스의 통치 기간과 더 잘 부합한다.[6]
이뷔코스의 아버지에 대한 수다의 기록은 6세기 초에는 역사가가 없었고, '체르다스'라는 이름이 희극 무대의 발명품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의문을 제기한다.[8] 이뷔코스는 피타고라스 학파와 연관성을 시사하는 증거를 거의 제시하지 않지만, 금성을 새벽별과 저녁별로 동일시한 점은 피타고라스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보여준다.[9][10]
2. 2. 사모스에서의 활동과 죽음
이뷔코스는 사모스 섬에서 참주 폴리크라테스의 궁정에서 활동하며 시인 아나크레온과 교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그는 '삼뷔케'라는 일종의 삼각 키타라를 발명했다고 전해진다.[4] 이뷔코스는 황량한 곳에서 강도들에게 살해당했는데, 죽기 직전 머리 위로 날아가는 학들에게 복수를 부탁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4] 강도 중 한 명이 도시에서 학들을 보고 "봐, 이뷔코스의 복수자들!"이라고 외쳤고, 이 말을 들은 사람이 범죄를 밝혀내 강도들은 처벌을 받았다.[4] 이 전설은 플루타르코스[12]와 시돈의 안티파테르[13] 등 다른 출처에서도 발견되며, 프리드리히 쉴러의 발라드 "이뷔코스의 학들"에 영감을 주었다.[14]일설에 따르면, 이뷔코스는 시를 쓰기 위해 레기움의 참주가 될 기회를 거절했다고 한다.[17] 그는 카타나와 히메라 사이를 여행하던 중 전차에서 떨어져 손을 다쳐 한동안 리라 연주를 포기했다는 기록도 있다.[19]
일부 학자들은 이뷔코스가 사모스로 가기 전 시키온에서 시간을 보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그의 시에 나타난 신화적 언급이 시키온에 대한 지역 지식을 반영한다고 주장한다.[20]
3. 작품
이뷔코스의 작품은 대부분 소실되었지만, 고대 주석과 파피루스 발견을 통해 일부가 전해진다. 1920년대까지는 두 개의 비교적 큰 조각(7행, 13행)과 약 50개의 다른 행들이 알려져 있었으나, 이후 파피루스 발견으로 시 구절이 크게 늘었다.[33]
특히, 로도스의 폴리크라테스(사모스 참주 폴리크라테스의 아들)에게 헌정된 48행의 시는 이뷔코스의 작품으로 추정되지만, 그 진위와 문학적 가치에 대한 논란이 있다.[33] 이 시는 "싱겁다", "서투르고 부주의하다"[34]라는 부정적인 평가와 "찬양의 효과를 위해 조작할 수 있는 웅대한 서사적 소재를 훌륭하게 다루면서 새로운 비전을 실현하는 시인의 작품."[35]이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공존한다. 이 시에서 이뷔코스는 호메로스의 트로이 서사시에 등장하는 영웅들의 이름과 특징을 언급하다가, 마지막 연에서 시의 진정한 대상이 폴리크라테스이며, 그를 시로 영원히 기억할 것이라고 밝힌다.
고대 학자들은 테시코로스의 작품을 26권으로 묶은 반면, 이뷔코스의 작품은 7권으로 편집했는데, 이는 제목이 아닌 번호로 매겨졌고 선택 기준은 알려지지 않았다.[25] 최근 파피루스 발견에 따르면 이뷔코스는 '합창' 승리 송가를 작곡한 최초의 인물일 수도 있다(이 혁신은 일반적으로 시모니데스의 공로로 여겨짐).[31][32]
그는 테시코로스와 마찬가지로 문학적인 언어로 글을 썼는데, 대부분 서사시에 약간의 도리아 풍미가 가미되었고, 사포와 알카이오스의 사랑 시에서 차용한 몇 가지 아이올리즘이 있었다.[37]
3. 1. 주제와 스타일
이뷔코스는 그리스 서정시 발전 과정에서 동서양 스타일을 융합하는 역할을 했다. 그의 시는 테시코로스의 합창 서정시와 사포와 알카이오스의 개인적인 서정시의 특징을 모두 보여준다.[23][24][25] 그는 신화적 주제를 다루고 삼연시(스트로페, 안티스트로페, 에포데) 형식을 사용한 점에서 테시코로스의 영향을 받았지만,[28][29] 개인적인 감정과 에로틱한 주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는 레스보스 시인들의 영향을 받았다.[26]이뷔코스의 시는 문학적인 언어로 쓰였으며, 대부분 서사시에 약간의 도리아 풍미가 가미되었고, 사포와 알카이오스의 시에서 차용한 몇 가지 아이올리즘이 있었다.[37] 그의 시는 화려한 수식어와 감각적인 이미지, 축적된 형용구를 사용하여 강렬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39][40]
다음은 연인인 에우리알로스에게 바치는 시구로, 사랑을 찬미하는 예시이다.
:에우리알로스, 푸른 눈의 은총의 후예, 아름다운 머릿결을 가진 계절의 여신들의 연인, 키프로스 여신과 부드러운 눈꺼풀의 설득이 그대를 장미꽃 속에서 길렀도다.[44]
다음 시는 이뷔코스 시의 몇 가지 특징을 보여준다.
:봄에 키도니아의
:사과나무는, 흐르는
:시냇물에 물을 주며, 님프
:들이 정결한 정원을 가지고 있는 그곳에서, 포도 싹은,
:덩굴의 그늘진 가지 아래에서 자라며,
:피어나 번성한다. 그러나 나에게는 사랑은
:어떤 계절에도 안식을 취하지 못한다.
:마치 트라키아의 에테시안 북풍처럼,
:번개로 타오르며,
:아프로디테로부터 타는 듯한
:광기의 발작으로, 어둡고 억제되지 않은 채로,
:그것은 나의 마음과 심장을 뿌리째 격렬하게 뒤흔든다.[47]
3. 2. 현존하는 작품
이뷔코스의 작품은 대부분 소실되었으나, 20세기 이후 파피루스 발견을 통해 일부 시구가 복원되었다. 특히 논란이 되는 것은 로도스의 폴리크라테스(사모스 참주 폴리크라테스의 아들)에게 헌정된 48행의 시이다.[33] 이 시는 이뷔코스의 작품으로 추정되지만, 문학적 평가는 "싱겁다", "서투르고 부주의하다"[34], "결코 성공적이지 않다"[23], "찬양의 효과를 위해 조작할 수 있는 웅대한 서사적 소재를 훌륭하게 다루면서 새로운 비전을 실현하는 시인의 작품."[35] 등으로 엇갈린다.이뷔코스는 '합창' 승리 송가를 작곡한 최초의 인물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31][32] 아테나이오스가 인용한 에우리알로스에게 바치는 다음 시구는 사랑을 찬미하는 유명한 예시로, 이뷔코스 특유의 풍부한 언어를 보여준다.
Εὐρύαλε Γλαυκέων Χαρίτων θάλος, Ὡρᾶνgrc
καλλικόμων μελέδημα, σὲ μὲν Κύπριςgrc
ἅ τ' ἀγανοβλέφαρος Πει-grc
θὼ ῥοδέοισιν ἐν θρέψαν.grc
에우리알로스, 푸른 눈의 은총의 후예, 아름다운 머릿결을 가진 계절의 여신들의 연인, 키프로스 여신과 부드러운 눈꺼풀의 설득이 그대를 장미꽃 속에서 길렀도다.[44]
아테나이오스의 ''향연''에 인용된 다른 시는 자연의 평온함과 시인의 욕망이 그를 지배하는 끊임없이 불안한 충동 사이의 대조를 보여준다.
봄에 키도니아의
사과나무는, 흐르는
시냇물에 물을 주며, 님프
들이 정결한 정원을 가지고 있는 그곳에서, 포도 싹은,
덩굴의 그늘진 가지 아래에서 자라며,
피어나 번성한다. 그러나 나에게는 사랑은
어떤 계절에도 안식을 취하지 못한다.
마치 트라키아의 에테시안 북풍처럼,
번개로 타오르며,
아프로디테로부터 타는 듯한
광기의 발작으로, 어둡고 억제되지 않은 채로,
그것은 나의 마음과 심장을 뿌리째 격렬하게 뒤흔든다.[47]
4. 영향 및 평가
이뷔코스는 후대의 시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아폴로니오스 로디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에 나오는 일부 이야기는 이뷔코스의 작품을 모델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50] 예를 들어 헤라가 아킬레우스는 엘리시온에서 메데이아와 결혼할 운명이라고 밝힌 구절이나,[50] 가니메데가 사랑에 빠진 제우스에게 납치된 묘사가 있다.[50]
파르메니데스는 이뷔코스의 작품을 존경한 것으로 보이며,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그를 인용한다. 프리드리히 실러는 1797년 발라드 이뷔코스의 학 (Die Kraniche des Ibykus)에서 시인의 살해에 대한 묘사를 재현했다.
단게 가즈히코는 교토대학 학술출판회를 통해 이뷔코스의 시를 포함한 『그리스 합창 서정시집 알크만 외』를 일본어로 번역 출판했다.
참조
[1]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2]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3]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4]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5]
서적
Herodotus 3.39
[6]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7]
서적
A Companion to the Greek Lyric Poets
Brill
[8]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9]
서적
Genesis
[10]
서적
Greek Lyric Poetry from Alcman to Simonides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Charmides
[12]
서적
De Garrulitate
[13]
서적
Palatine Anthology
[14]
서적
Greek Lyric Poetry
MacMillan
[15]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16]
문서
Hesychius (s.v. ι 138)
[17]
서적
Diogen.2.71
[18]
서적
Phaedrus
[19]
서적
Or.69.35
[20]
서적
A Companion to the Greek Lyric Poets
Brill
[21]
서적
comp.Lyc. et Num.
[22]
서적
Anth.Pal.
[23]
서적
Greek Lyric Poetry from Alcman to Simonides
Oxfo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Greek Lyric Poetry: a commentary on selected larger pieces
Ox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26]
서적
Monod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Greek Literature Vol.7: Greek Literature in the Hellenistic Period
Routledge
[28]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29]
서적
Greek Lyric III
Loeb
[30]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31]
서적
Greek Lyric III
Loeb Classical Library
[32]
서적
Greek Lyric III
Loeb
[33]
간행물
Ibycus:Gorgias and other poems
http://onlinelibrary[...]
[34]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35]
서적
A Companion to the Greek Lyric Poets
Brill
[36]
서적
Monod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38]
서적
Sulla tradizione del testo di Ibico
http://bmcr.brynmawr[...]
Edizioni Scientifiche Italiane
[39]
서적
Greek Lyric Poetry from Alcman to Simonides
Oxford University Press
[40]
간행물
Symbolism and Imagery in the Poetry of Ibycus
https://www.jstor.or[...]
[41]
서적
Greek Melic Poets
Biblo and Tannen
[42]
서적
Greek Lyric III
Loeb
[43]
서적
Greek Lyric Poetry from Alcman to Simonides
Oxfo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Fragment 288
Loeb Classical Library
[45]
문서
Op. lines 73–100
[46]
서적
A Companion to the Greek Lyric Poets
Brill
[47]
서적
Greek Lyric: an anthology in translation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48]
서적
Monod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서적
Greek Lyric Poetry from Alcman to Simonides
Oxford University Press
[50]
서적
fr. 289 and 291
Loeb Classical Library
[51]
서적
fr. 324
Loeb Classical Library
[52]
서적
De Garrulitate
[53]
서적
Tusc. Disp.
[54]
서적
그리스 서정시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