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사 (진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사(李斯)는 초나라 출신으로, 진나라의 재상으로 활약하며 진나라의 중국 통일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그는 순자에게 학문을 배우고 여불위의 식객으로 진나라에 들어가, 진 시황제의 측근이 되어 타국 이간계를 통해 공을 세웠다. 이후, 축객령 철회를 주장하는 상소문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한비자를 시기하여 모함하고, 부소를 자결하게 하는 등 권력 유지를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진나라의 통일 후에는 군현제 시행, 분서, 소전체 통일 등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한 개혁을 추진했지만, 진 시황제 사후 조고와 함께 유서를 위조하여 호해를 옹립하고, 결국 조고의 모함으로 처형당했다. 그의 법가적 정책은 진나라의 통치 체제를 강화했지만, 가혹한 탄압으로 인해 후세에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나라의 작가 - 항우
    항우는 초나라 명문가 출신으로 진나라에 대항하여 봉기하여 서초 패왕이 되었으나, 유방과의 초한전쟁에서 패배하여 자결한 인물이다.
  • 주나라의 철학자 - 윤희 (철학자)
    윤희는 노자에게 《도덕경》을 저술하도록 요청한 함곡관의 관령으로, 도교 신앙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며, 여러 문헌에서 사상가로 등장하고, 후대에 다양한 이야기와 흔적을 남기며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기원전 208년 사망 -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는 기원전 3세기의 로마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갈리아 전쟁 승리, 한니발과의 전투, 시라쿠사 공방전 승리를 통해 용맹함을 떨쳤으며, 다섯 번의 집정관을 역임하고 정찰 중 전사했다.
  • 기원전 208년 사망 - 전담
    진나라 말기에 진승·오광의 난을 틈타 스스로 제왕을 칭하며 봉기한 전담은 진나라 멸망의 원동력이 되었지만, 독단적인 성격으로 주변 세력과의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사 (진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이사
로마자 표기Li Si
출생기원전 280년경
사망기원전 208년 (71~72세)
직업서예가, 철학자, 정치가
한자 정보
간체자李斯
병음Lǐ Sī
웨이드-자일스Li3 Ssŭ1
민난어Lí Su
광동어Léih Sī
객가어Lii Sy
관직
직위좌승상
임기 시작기원전 246년
임기 종료기원전 208년
군주진 시황, 진 이세
후임조고
출신
출신지초나라 상채
가족
통고
자녀이유, 이집

2. 생애

이사는 초나라 상채 출신으로 젊은 시절 하급 관리였다. 어느 날 변소와 창고의 쥐를 비교하며 "사람의 가치는 사회적 지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우연에 달려있다"고 깨달았다. 그는 정치 경력을 쌓기로 결심하고 순자에게 배운 후 진나라로 가 여불위의 식객이 되었다. 재능을 인정받아 진왕 정(훗날 시황제)의 측근이 되었고, 다른 나라에 잠입해 이간책을 펼쳐 객경에 올랐다.[4]

기원전 237년, 타국 출신자 추방령(축객령)이 내려지자, 이사는 탄원서(간축객서)를 올려 철회를 요구했다. 이 탄원서는 명문으로 인정받아 『문선』에도 수록되었고, 영정은 감동하여 추방령을 철회했다.[4]

여불위가 자결한 후, 은 이사를 더욱 신뢰했다. 그러나 한비가 진나라에 초청받고 그의 저작 『한비자』를 읽은 정이 감탄하며 한비에게 기울어지자, 이사는 위기감을 느껴 정에게 한비를 참언하여 투옥시키고 독살했다. 기원전 221년,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고 정은 시황제가 되었다.

시황제 즉위 후, 이사는 주나라봉건제를 주장하는 중신들에 반대하여 군현제 시행을 주장했다. 그는 정치에 비판적인 학자들의 저서를 모아 불태울 것을 진언했고, 이는 분서갱유의 근거가 되어 유학자들에게 비판받았다.[4]

기원전 210년, 시황제가 순행 중 사망하자 이사는 조고와 유서를 위조해 호해를 이세황제로 즉위시키고 부소를 자결하게 했다.[4] 시황제 사후 진승·오광의 난 등 반란이 잇따랐다. 이사는 간언했지만 조고의 모략으로 기원전 208년 체포되어 고문을 받고 조고가 날조한 죄를 인정했다. 결국 이사는 요참형에 처해지고 삼족이 몰살되었다.[4]

2. 1. 생애 초반

젊었을 때 이사는 말단 관리를 지냈다. 하루는 뒷간과 곳간의 쥐를 비교하며 "사람이 잘나고 못남은 환경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라 생각하여 순자의 밑에서 공부하게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4] 순자는 공자의 문인인 자궁의 제자였고, 이사와 함께 순자에게서 배운 동문으로는 의 공자 한비가 있었다. 순자에게서 육경(六經)을 배운 이사는 이후 진나라에 들어가 여불위의 식객이 되었고, 여불위의 추천으로 관직에 진출했다.

이사는 본래 초나라 북부 상채 (현재의 허난성 주마뎬 시 상차이 현) 출신이다.[4] 그는 초나라 지방 행정부에서 하급 관료로 일했다. 사기에 따르면, 이사는 변소의 쥐들이 지저분하고 배고픈 반면, 창고의 쥐들은 잘 먹는 것을 보고 사람의 가치가 사회적 지위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했다. 그는 쥐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사회적 지위는 우연한 삶의 사건에 달려있다고 생각했기에, 정치 경력을 쌓기로 결심했다.

이사는 초나라에서는 자신의 능력을 발전시킬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유교 사상가인 순자에게 교육을 받은 후, 당시 가장 강력한 국가였던 진나라로 이주했다. 진나라에서 여불위식객이 되었고, 재능을 인정받아 진왕 정 (후의 시황제)의 측근이 되었다. 또한 정(진 시황제)의 명령으로 다른 나라에 잠입하여, 각국 왕족과 장군 사이를 이간하는 공적을 세워 객경 (타국 출신 대신)이 되었다.

2. 2. 진나라에서의 관료 생활

이사는 시황제의 명령으로 타국에 잠입하여, 각국의 왕족과 장군들 사이의 이간을 벌여 공적을 세우고, 객경(타국 출신의 대신)이 되었다.[4]

기원전 237년, 노애라는 타국 출신자가 반란을 일으켜 진나라 국내에서 타국 출신자의 평판이 나빠졌고, 타국인 추방령(축객령)이 내려졌다. 이사는 황제에게 탄원서를 내어 추방령 철회를 요구했다. 이 탄원서는 『문선』에도 수록될 정도로 명문이었고, 영정은 이 명문에 감동하여 추방령 철회를 결정했다.[4]

이사는 본래 초나라채나라 출신으로, 젊은 시절 초나라 지방 행정부의 하급 관료였다. 사기에 따르면, 이사는 변소의 쥐들이 지저분하고 배고픈 반면, 창고의 쥐들은 잘 먹는 것을 보고 "사람의 가치는 사회적 지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우연한 삶의 사건에 달려있다. 그러므로 도덕률에 얽매이기보다는, 그 순간에 자신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해야 한다."라고 깨달았다. 그는 전국 시대 동안 귀족 가문 출신이 아닌 학자들에게 흔한 선택이었던 정치 경력을 쌓기로 결심했다.

이사는 초나라에서는 경력을 발전시킬 수 없다고 생각하여, 유교 사상가인 순자에게 교육을 받은 후, 진나라로 이주했다. 진나라에서 이사는 재상 여불위식객이 되었고, 진 시황이 될 영정 왕과 대화할 기회를 가졌다. 이사는 진나라가 강력하지만, 다른 여섯 국가가 연합하여 대항한다면 중국 통일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진 시황은 이사의 관점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이사의 제안을 받아들여 지식인들을 진나라로 유인하고, 다른 나라의 학자들을 암살했다.

사법을 담당하는 관리인 廷尉의 인장. 이사는 객경 추방 사건 이후 진나라의 廷尉로 임명되었다.


기원전 237년, 진나라 궁정은 첩자를 막기 위해 모든 외국인을 추방할 것을 영정 왕에게 촉구했다. 초나라 출신인 이사는 이 정책의 대상이 될 것이었고, 이에 그는 왕에게 외국인들이 진나라에 가져다주는 이점을 설명하는 상소를 올렸다.[1] 왕은 마음을 풀었고, 이사의 수사에 감명받아 그를 승진시켰다.[4] 같은 해, 이사는 영정 왕에게 한나라를 병합하여 다른 국가를 위협하도록 촉구했고, 기원전 234년에 ''간축객서''(객경 추방 반대 상소)를 썼다. 한비는 한나라 귀족 출신으로, 한나라 왕에 의해 진나라로 파견되었으나, 이사는 한비의 지혜를 질투하여 진나라 왕에게 한비를 투옥시키고, 기원전 233년에 독약을 먹여 자살하게 했다. 한나라는 이후 기원전 230년에 정복되었다.

진 시황이 황제가 된 후, 이사는 그에게 지적 반대를 억누르도록 설득했다.[1] 이사는 의학, 농업, 예언 등에 관한 책은 무시할 수 있지만 정치 서적은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자유 사상가" 학자들의 반대에 직면하여 국가를 변화시키는 것이 어렵다고 믿었다. 그 결과, 정치 서적은 국가만이 보관해야 하며, 국가가 운영하는 학교만이 정치 학자를 교육할 수 있어야 했다. 이사는 기원전 213년에 역사 기록과 문학을 파괴하라는 칙령을 썼는데, 여기에는 주요 유교 경전이 포함되었다.

여불위가 자결한 후, 은 이사를 더욱 신뢰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비가 진나라에 초청받아 그의 저작인 『한비자』를 읽은 정은 감탄하며 한비에게 기울어졌다. 한비가 등용되면 자신의 지위가 위태로워진다고 생각한 이사는, 정에게 한비를 참언하여 투옥시키고, 옥중의 한비에게 독을 내려 자살하게 했다. 경쟁 상대를 제거한 이사는 진나라의 부국강병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고, 기원전 221년에 진나라는 중국을 통일했으며, 정은 시황제가 되었다.

2. 3. 진나라의 중국 통일 (기원전 221년)

여불위가 자결한 후, 영정의 신뢰가 더욱 두터워진 이사였지만, 그의 지위를 위협하는 인물이 있었는데, 바로 동문인 한비였다. 영정은 한비자(韓非子)를 읽고 그의 사상에 심취했다. 한비가 등용되면 자신의 지위가 위험해질 것이라고 생각한 이사는 영정을 중상모략하여 투옥시키고, 옥중에서 독살했다.

이리하여 경쟁자를 제거한 이사는 진나라의 부국강병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기원전 221년 마침내 진나라는 중국을 통일하고, 영정은 진 시황제(秦始皇帝)가 되었다.[1] 이사는 재상 여불위의 객이 되었고, 훗날 진 시황제가 될 영정과 대화할 기회를 얻었다. 이사는 진나라가 매우 강력하지만, 당시 다른 여섯 국가가 연합하여 진나라에 대항한다면 중국 통일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진 시황은 중국을 통일하려는 이사의 관점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이사의 제안을 받아들인 진나라 통치자는 지식인들을 진나라로 유인하기 위해 돈을 아낌없이 썼고, 다른 나라의 주요 학자들을 암살하기 위해 암살자를 보냈다.

기원전 237년, 진나라 궁정의 한 무리는 영정 왕에게 첩자를 막기 위해 모든 외국인을 추방할 것을 촉구했다. 초나라 출신인 이사는 이 정책의 대상이 될 것이었고, 이에 그는 왕에게 외국인들이 진나라에 가져다주는 많은 이점을 설명하는 상소를 올렸다.[1] 왕은 마음을 풀었고, 이사의 수사에 감명받아 그를 승진시켰다.[4] 같은 해, 이사는 영정 왕에게 이웃 한나라를 병합하여 나머지 다섯 국가를 위협하도록 촉구했다고 전해진다. 이사는 또한 기원전 234년에 ''간축객서'' (''객경 추방 반대 상소'')를 썼다. 한비는 한나라 귀족 출신으로, 한나라 왕에 의해 진나라로 가서 외교를 통해 상황을 해결하도록 요청받았다. 이사는 한비의 지혜를 질투하여 진나라 왕에게 한비를 돌려보낼 수도 없고 (그의 뛰어난 능력이 진나라에 위협이 될 것이므로) 그를 고용할 수도 없다 (그의 충성은 진나라에 있지 않을 것이므로)고 설득했다. 그 결과, 한비는 투옥되었고, 기원전 233년에 이사의 설득으로 독약을 먹고 자살했다. 한나라는 이후 기원전 230년에 정복되었다.

2. 3. 1. 개혁 정책

진 시황제(秦始皇帝) 즉위 후, 이사는 승상 왕관(王綰), 어사대부 풍겁(馮劫) 등 중신들이 주나라의 봉건제를 채택하자는 주장에 격렬히 반대했다. 그는 주나라 멸망의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더욱 강력한 군현제 시행을 주장했다.[1]

이사는 조정에서 지방 관아로 직접 관리들을 파견하여 중앙에서 지방관들을 통제하고, 지방관의 근무 태도나 비위 행위를 수시로 감찰하는 관리 파견을 건의했다. 또한 왕의 형제나 친족에게는 친왕(親王)과 같은 이름뿐인 작위를 부여할 것을 주장했다. 그는 정치에 비판적인 학자들의 저서를 모아 분서할 것을 진언했고, 이는 진 시황의 분서갱유에 대한 정당화의 근거로 제시되어, 후일 유학자들로부터 심한 비판을 받게 되었다.[4]

이사는 의학, 농업, 예언 등에 관한 책은 허용했지만, 정치 서적은 일반 대중에게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자유 사상가" 학자들의 반대에 직면하여 국가 발전에 어려움이 있다고 믿었다. 그 결과, 정치 서적은 국가만이 보관해야 하며, 국가가 운영하는 학교만이 정치 학자를 교육할 수 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이사는 기원전 213년에 역사 기록과 문학을 파괴하라는 칙령을 직접 작성했는데, 여기에는 국가에 해롭다고 생각한 주요 유교 경전이 포함되었다.

2. 4. 진시황 사후와 죽음

기원전 210년 가을 7월, 시황제가 순행 도중에 사망하자, 이사는 환관 조고와 함께 유서를 위조하여 시황제의 막내 아들 호해를 이세황제로 즉위시키고, 태자 부소를 자결하게 했다.[4]

시황제 사후 기반이 흔들린 진나라는, 다음 해에 진승·오광의 난을 비롯한 반란이 연이어 발생하여 정국 혼란이 가중되었다. 그러나 이세 황제는 국사를 멀리하여 궁궐 밖의 상황을 알지 못했다. 이사는 이 난국을 어떻게든 막아보려 간언하였지만, 이사를 시기한 조고는 이를 불충으로 몰아 황제 호해를 분노케 했다.

기원전 208년 이사는 우승상 곽거질, 장군 풍겁과 함께 아방궁의 축조를 멈추도록 이세 황제에게 진언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곽거질과 풍겁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사는 재차 황제에게 간언하였지만, 오히려 이세 황제의 분노를 얻게 되고 설상가상으로 조고의 모략으로 집요한 문초를 받았다. 고문에 견디지 못한 이사는 조고가 날조하여 올린 죄(초나라의 장군 항량의 군사에게 이사의 장남으로 삼천군(三川郡) 태수 이유가 초나라 군과 내통한다는 죄)를 인정하였다.[4]

이사는 옥에서 자신과 함께 잡힌 둘째 아들을 보며 "너와 함께 다시 한 번 누런 개를 끌고 상채 동쪽 문으로 나아가 토끼를 사냥하려 했는데, 이제는 그럴 수 없겠구나!"라고 말하며 울었다. 그 해 7월, 이사와 그의 둘째 아들은 함양의 시장 바닥에서 허리가 잘리고 코가 베어지는 요참형에 처해지고, 그의 삼족이 모두 죽임을 당하였다.[4]

3. 평가

이사는 한비를 모함하여 죽게 하고, 진시황의 유서를 위조하여 부소를 죽게 하는 등 여러 잘못을 저질렀다. 또한 유학자들을 탄압한 분서갱유를 일으킨 인물로, 후세에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5][6] 그러나 진나라의 중국 통일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사마천사기에서 '이사가 길을 잘못 들지 않았다면 그 공적은 주공, 소공에 비견했을 것이다.'라고 평가하기도 하였다.[5]

3. 1. 긍정적 평가

한비자가 법가 이론의 완성자라면 이사는 법가 시행의 완성자로 여겨진다. 이사는 한비를 모살한 일이나 위조로 부소를 죽인 일, 그 밖에도 유생을 철저하게 탄압한 분서갱유에 깊게 관여하였기에, 후세는 평가절하하지만, 진의 중국 통일에 있어 가장 큰 역할을 했으며 사마천사기에 '이사가 길을 잘못 들지 않았다면 그 공적은 주공, 소공에 비견했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5]

진(秦)나라의 효율성과 군사적 정복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이사(李斯)는 고도로 관료적인 시스템을 신봉했다. 그는 또한 통일된 중국 이후 표준화된 척도와 통화를 체계화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또한 진(秦)나라에서 이미 사용되던 소전체를 황실 표준으로 반포하여 중국어의 문자를 체계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 과정에서 진(秦)나라 문자 내의 변형된 글자와 정복된 여러 지역의 변형된 문자들을 금지했다. 이것은 중국 문화에 수천 년 동안 통일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사는 또한 현존하는 단편이 남아 있는 최초의 중국어 입문서인 ''창힐편''의 저자이기도 하다.[6]

3. 2. 부정적 평가

이사는 한비를 모살하고, 위조된 유언으로 부소를 죽였으며, 유생을 철저하게 탄압한 분서갱유에 깊이 관여했기 때문에 후세에 부정적으로 평가받는다.[5] 그는 법가 사상과 대립하는 학문에 대해 대규모 사상 탄압을 실시하여 유학을 포함한 사상서를 수집하여 소각했다(분서). 이 과정에서 많은 귀중한 역사적 사료가 소실되었다. 또한 방사 노생의 도망으로부터 시작된 고발로 인해 죄를 범한 학자를 수백 명 규모로 체포하여 생매장하여 살해했다. 이 중에는 많은 비율로 유학자가 포함되어 있었다고 전해진다(갱유).[6]

기원전 210년 시황제의 죽음 이후, 이사는 환관 조고와 함께 위조된 유언을 만들어 어리석은 호해를 2세 황제로 즉위시키고 부소를 자결하게 만들었다. 기원전 208년, 이사는 조고가 날조한 혐의를 인정하고, 삼족이 몰살되는 형벌을 받았다. 그는 오형을 받은 후 요참되어 생을 마감했다.

사마천은 이사가 길을 잘못 들지 않았다면 그 공적은 주공 단, 소공 석에 비견되었을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5]

4. 저작

이사는 현존하는 단편이 남아 있는 최초의 중국어 입문서인 ''창힐편''의 저자이기도 하다.[6] 또한 소전체를 황실 표준으로 반포하여 중국어의 문자를 체계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5]

이사의 저작으로는 『간축객서(諫逐客書)』, 비문(시황 7각석) 등이 있으며, 『전상고삼대진한삼국육조문(全上古三代秦漢三国六朝文)』에 정리되어 있다.

창힐(蒼頡)을 기원으로 한 『창힐』(蒼頡)이라는 사전을 통일 후에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창힐』은 현존하지 않지만, 후세의 『창힐편(蒼頡篇)』의 근원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그의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설명
태산각석(泰山刻石)
낭야각석(琅邪刻石)
역산각석(嶧山刻石)
회계각석(會稽刻石)
진량(秦量)


참조

[1] Shiji
[2] 서적 Shen Pu-Hai: A Chinese Political Philosopher of the Fourth Century B. C.
[3] 서적 Xunzi Volume 1
[4] book The Human Tradition in Pre-modern China Scholarly Resources, Inc.
[5] book Research on the Qín (Ch'in) Lineage of Writing: An Exam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Chinese Writing (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專刊) Academia Sinica, 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logy Monograph
[6] 간행물 Outstretched Leaves on his Bamboo Staff: Essays in Honour of [[Göran Malmqvist]] on his 70th Birthday Association of Oriental Studies
[7] 인용
[8] 인용
[9] 인용
[10] 웹사이트 『蒼頡篇』について https://www.shutudo.[...] 2023-10-28
[11] 문서 서사회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