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초기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초기 왕조는 기원전 3200년경부터 기원전 2686년경까지 이집트 제1왕조와 제2왕조를 아우르는 시기로, 이집트 문화 발전과 왕권 확립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나일강을 중심으로 농업이 발달하고, 메소포타미아의 건축 기술이 도입되었으며, 이집트 문자 체계가 발전했다. 가나안과 누비아 지역으로의 영향력을 확대하며, 호루스 명, 두 여신 명, 상하 이집트 왕명 등을 포함하는 파라오의 오중 호칭이 확립되었다. 멤피스가 수도로 건설되었으며, 왕묘 건축과 미술 양식이 발전했다. 초기 왕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로는 나르메르의 팔레트가 있으며, 이집트 초대 왕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팔레르모 석은 이 시기 왕들의 연대기를 기록하고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기원전 3600년경, 신석기 시대 이집트인들은 나일강을 따라 농사를 짓고 가축을 기르며 문화를 발전시켰다.[3] 이 시기에는 남부 레반트 지역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토기가 나타났고, 구리 사용이 일반화되었다.[4] 메소포타미아의 진흙 벽돌 공법과 건축 기술이 도입되어 아치와 움푹 들어간 벽을 활용한 건축물이 등장했다.[4]
초기 왕조 시대에는 왕권과 그 표현 형식이 확립되었다. 파라오는 호루스 명, 두 여신 명(네브티 명), 황금의 호루스 명, 상하 이집트 왕명(즉위명, 네스웃 비티 명), 탄생명 등 오중 호칭을 사용했는데, 이 중 호루스 명, 두 여신 명, 즉위명은 제1왕조 시대에 등장했다. 왕명의 양식이 완전히 정비되는 것은 중왕국 시대였지만[28], 왕호나 왕명을 나타내는 양식은 이미 초기 왕조 시대에 확립되었다.
2. 문화 발전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가 나르메르 왕에 의해 통일되면서, 이중 왕관이 두 지역의 통합을 상징하게 되었다. 이집트인들은 마스타바를 건설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훗날 계단식 피라미드의 모델이 되었다. 곡물 농업과 중앙 집권화는 국가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이 시기에 이집트 상형 문자 체계가 더욱 발전했다. 초기에는 주로 물건의 양을 나타내는 기호들이 사용되었지만, 제3왕조 말에는 표음 문자와 상형 문자를 포함하여 200개 이상의 기호가 사용되었다.[7] 왕실의 세레크가 처음으로 등장하여 왕의 권위를 상징했다.[9]
2. 1. 가나안과 누비아의 이집트인
기원전 3200년경부터 남부 가나안 전역에 걸쳐 이집트의 정착과 식민지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건축물, 도자기, 그릇, 도구, 무기, 봉인 등 거의 모든 유형의 유물로 증명된다.[13][14][15][16] 초기 왕조 시대의 첫 번째 통치자인 나르메르에 속하는 20개의 세레크가 가나안에서 발견되었다.[17]
하부 누비아에서는 A-그룹 문화가 종말을 맞이한 후, 이집트의 정착과 점령의 증거가 나타난다.[18][19] 초기 왕조 시대에 이집트는 북쪽으로는 현대 텔아비브 지역, 남쪽으로는 누비아의 두 번째 폭포까지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0]
3. 왕권 확립
선왕조 시대의 상 이집트 왕은 자신이 호루스 신의 화신임을 나타내는 호루스 명을 사용했다. 이 전통은 초기 왕조 시대에도 이어졌지만, 통일 이집트에서 정당한 왕권을 나타내기 위해 호루스 명에 두 여신 명이 추가되었다. 두 여신 명은 왕이 상 이집트의 수호 여신 네크베트와 하 이집트의 수호 여신 우아제트 양쪽의 화신임을 나타낸다.[29] 제1왕조 제5대 왕 덴의 시대에는 상하 이집트 왕명이 더해져, 정치적 통일성을 강조했다.
왕은 다양한 레갈리아를 착용하여 신분을 표현했고,[30] 왕권 강화 의례인 세드 축제가 거행되기 시작했다. 선왕조 시대 왕묘에서도 신분 차이가 나타났지만, 초기 왕조 시대에는 왕묘만의 건축 양식이 등장했다. 대형 마스타바 묘와 장제전 건축이 대표적이며, 이는 피라미드 건조로 이어졌다.
하 이집트와 상 이집트 중간 지점에 수도 멤피스가 건설되었다. 이 시대 멤피스 유구는 아직 발굴되지 않았지만, 멤피스 부속 묘지인 사카라에는 제1왕조 시대 왕묘가 있어, 멤피스가 수도로 정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31]
3. 1. 제1왕조
마네토에 따르면, 통일된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첫 번째 왕은 메네스였으며, 그는 현재 나르메르로 확인된다.[4] 나르메르는 덴과 카아의 무덤 봉인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데,[10][11][12] 이는 그가 제1왕조 왕들에게 중요한 건국자로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
나르메르 팔레트는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왕관을 쓴 나르메르를 묘사하여 이집트 통일을 상징하는 중요한 유물이다. 이 팔레트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아이섀도를 갈아 으깨는 데 사용한 판이지만, 나르메르의 팔레트는 길이가 64cm, 폭이 42cm나 되므로 실용이 아닌 의식용으로 추정된다. 호루스 신의 도상으로 생각되는 매 그림이나, 적(아시아인[55])과 싸우는 나르메르 왕의 모습 등이 그려져 있다.
3. 2. 초대 왕에 대한 논쟁
마네토에 따르면, 통일된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첫 번째 군주는 메네스였으며, 현재는 나르메르로 확인된다.[10][11][12] 이는 나르메르가 제1왕조 왕들에 의해 중요한 건국자로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 나르메르는 또한 두 지역에 대한 권력의 상징과 관련된 가장 초기의 왕이기도 하다(특히 나르메르 팔레트 참조). 따라서 통일을 이룬 최초의 왕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합의는 "메네스"와 "나르메르"가 동일한 인물을 지칭한다는 것이다.[4] 다른 이론들은 나르메르가 나카다 III기 시대의 마지막 왕이었으며[6] 호르-아하가 "메네스"와 동일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집트의 "최초의 왕"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정설이 없다. 문헌 사료에 등장하는 초대 왕 메니/메네스를 고고학적으로 확인 가능한 인물과 동일시하려는 시도가 이집트학의 여명기부터 계속되어 왔다.
문헌 사료로는 주로 그리스어로 기술된 고전 고대의 기록과 고대 이집트어 또는 도상 표현으로 작성된 왕명표의 기록이 존재한다. 전자를 대표하는 것은 마네토[35]가 기술한 『아이깁토스사』이며, 제1왕조부터 제31왕조까지 분류하여 고대 이집트사를 파악하는 방법은 마네토의 방법을 답습한 것이다. 마네토의 기록에 따르면, 초대 이집트 왕은 메네스였다. 기원전 5세기의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역사』에서 이집트인에게 들은 이야기로 이집트의 초대 왕은 민이라고 기록했고, 기원전 1세기에는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가 『역사총서』에서 이집트의 초대 왕은 메나스라고 기록하고 있다. 메네스, 민, 메나스는 모두 동일한 이름으로 여겨진다. 마네토는 물론이고, 헤로도토스와 디오도로스는 모두 이집트에 실제로 체류한 적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기원전 5세기 ~ 기원전 1세기의 이집트에서는 메네스 왕으로부터 시작하는 이집트의 역사가 공유되었다고 생각된다.[36]
후자의 것으로는 『토리노 왕명표』와 『아비도스 왕명표』, 『사카라 왕명표』가 대표적이다.[37][38] 이러한 왕명표는 초대 왕의 위치에 메니라는 왕명을 배치하고 있다. 이 메니 왕의 이름이 등장하는 가장 오래된 사료는 하트셉수트 여왕 시대(기원전 1500년경)의 스카라베에 쓰여진 것이다. 왕명의 유사성으로 미루어 볼 때, 이 왕명표에 등장하는 메니의 이름이 그리스인 저술가들이 이집트를 방문했던 시대에도 전해져 메네스로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위에 언급된 고대 기록에 대해, 현대의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전 이집트를 최초로 지배한 것으로 여겨지는 첫 번째 왕은 나르메르이다. 나르메르에 관해서는 나르메르의 팔레트 (화장판), 나르메르의 메이스 헤드라는 두 가지 중요한 유물이 존재한다. 나르메르의 팔레트는, 앞뒷면 상단에 호루스 이름의 나르메르가 새겨져 있고, 앞면에는 하(下)이집트 왕관을 쓴 왕이 적의 시체를 검시하는 모습이, 뒷면에는 상(上)이집트 왕관을 쓴 왕(호루스 신)의 화신으로 묘사되어 적국을 정복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 그 의도가 상하 이집트 양국의 통합을 상징하는 것이었음은 명백하다.[39] 나르메르의 메이스 헤드에는, 상 이집트의 수호신 네크베트의 보호를 받는 나르메르가 하 이집트의 왕관을 쓰고, 아마도 하 이집트의 공주 네이트헤테프를 아내로 삼는 광경이 그려져 있다.[40] 이 또한 상하 이집트의 통합을 나타내는 도상 표현임이 명백하다. 또한, 제1왕조 시대의 봉니에 새겨진 왕명의 배치나, 왕묘의 위치 등 분석을 통해, 제1왕조의 왕들이 나르메르를 초대 왕으로 생각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고 있다.[41]
초대 왕을 확정하는 데 있어서 문제는 나르메르, 아하, 그리고 그 뒤를 잇는 제1왕조의 왕들 중에서 확실하게 메네스 왕과 동일 인물이라고 특정할 수 있는 왕은 없다는 것이다. 이는 왕명 표기법의 문제 때문이다. 초기 왕조 시대의 왕들이 기념물에 사용한 왕명은 통상 호루스 명이라고 불리는 왕의 즉위명이었다. 이는 출생 시에 붙여진 이름과는 다른 이름이다. 반면에 후세의 왕명표는 출생 시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이 때문에 기념물에 호루스 명과 출생명을 병기하게 된 제1왕조 제5대 덴 왕 이전의 왕에 대해서는 왕명표와 고고학 유물의 대조가 어렵다.[45] 이 때문에 2017년 현재에도 초기 왕조 시대의 시작(즉, 이집트의 통일 왕조의 출현)에 대해 연구자들 사이에서 완전히 일치된 견해가 존재하지 않는다.[46]
고왕국 시대에 제작된 『카이로 연대기』에서는 제1왕조 이전의 왕들이 상하 이집트 왕관을 쓴 형태로 묘사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실제 왕조 통일은 이미 제1왕조 이전에 완료되었다고 주장하는 설마저 존재한다.[47]
4. 행정 조직
제1왕조 이후 관료 조직의 정비가 급속도로 진행되었다. 인장, 라벨, 석비 등의 기록을 통해 이러한 관료 조직을 대체적으로 추측할 수 있다.[32] 국가의 정점은 왕이며, 그 밑에는 왕족으로 구성된 소수의 지배층이 있었다. 그 다음으로 재상이 임명되었으며, 재상은 왕가의 가계, 재정, 지방 행정을 통괄했다. 인새관은 징세부터 재분배까지의 재정 부문을 통괄했다. 지방 행정 부문은 상 이집트 및 하 이집트, 그리고 기타 지역으로 분할되어 각각 관료들이 관리했다. 왕을 정점으로, 재상을 중심으로 한 위의 세 부문이 국가를 운영하는 기본 구조는 신왕국 시대 이후까지 지속되었다.[33]
5. 미술
초기 왕조 시대에 고대 이집트 미술의 기본적인 양식이 확립되었다. 2차원 표현에서 인체를 그릴 때는 측면도와 정면도를 조합하고, 인물의 크기는 실제 크기와 관계없이 '위대함'에 따라 다르게 표현하였다. 장면은 단으로 구분되었고, 인물상은 지면을 나타내는 선 위에 그려졌다(레지스터).[34] 이러한 표현 방법은 이미 선왕조 시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후 이집트 미술의 기본적인 특징이 되었다.
초기 왕조 시대의 대표적인 미술 작품으로는 상 이집트의 히에라콘폴리스(이집트어명 네켄, 현재의 콤 엘 아하마르)에서 발견된 나르메르 팔레트(화장판)가 있다. 팔레트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아이섀도를 갈아 으깨는 데 사용한 판이지만, 나르메르의 팔레트는 길이가 64cm, 폭이 42cm나 되므로 실용이 아닌 의식용으로 추정된다. 호루스 신을 상징하는 매 그림이나, 적(아시아인[55])과 싸우는 나르메르 왕의 모습 등이 그려져 있으며, 이는 고대 이집트의 왕권과 역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6. 유적과 유물
초기 왕조 시대의 왕묘 유적은 아비도스와 사카라에 집중되어 있다. 아비도스에서는 플린더스 페트리가 제1왕조 시대의 왕묘를 발견했고, 석비에서 10명의 왕과 메르네이트 왕비의 이름이 확인되었다. 왕명은 대부분 호루스명이며, 나르메르부터 8명의 왕이 제1왕조에 속한다.[50] 아비도스에서는 켄티아멘티우 신전[51] 터와 제2왕조 시대 흙벽돌 요새 터도 발견되었다. 요새는 직사각형에 외부 요철 장식이 있어 메소포타미아 건축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52]
멤피스 근처 사카라에서는 초기 왕조 시대의 왕묘가 발견되었다. 아비도스보다 큰 마스타바 묘가 많았고, 죽은 자의 사후 세계 여행용 배를 넣는 울타리도 있었다. 묘지에서는 제1왕조 6명의 왕(아하 ~ 카아)과 왕비 2명 등의 이름이 발견되었다.
아비도스와 사카라에 같은 왕의 묘가 있어, 초기에는 사카라에 왕을 매장하고 아비도스에는 빈 묘를 뒀다는 설이 있었다.[53] 그러나 아비도스에서 매장 흔적이 발견되면서 제1왕조 왕들의 매장지는 아비도스라는 설이 유력해졌다.[54] 사카라의 묘는 고관의 묘일 가능성이 있지만, 명확하지 않다.
6. 1. 팔레르모 석
팔레르모 석은 흑색 섬록암으로 만들어진 기념비로, 팔레르모 박물관 외에도 카이로와 런던에 조각들이 보관되어 있다. 이것은 초기 왕조 시대 이후의 유물이지만, 왕의 목록이 기록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앉아 있는 인물상이 나란히 새겨져 있으며, 각 인물은 왕권의 상징인 왕의 홀을 가지고 있고, 적색 왕관[56]을 쓰고 있으며, 판독 불가능하지만 왕명으로 추정되는 문자가 덧붙여져 있다. 적색 왕관을 쓰고 있다는 점을 중시하면 그들은 통일 왕조 이전의 하(下) 이집트 왕이었을 것이며, 만약 빠진 부분에 상(上) 이집트 왕의 목록이 있었다면, 원(原) 왕조 시대의 상하 이집트 왕국의 왕명표가 실존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57]제1왕조의 왕명을 기록한 것으로 보이는 부분은 파손되어 남아 있지 않지만, 제2왕조의 니네체르 왕으로 여겨지는 왕이 기록되어 있으며, 제4왕조와 제5왕조 왕의 일부도 기록되어 있다. 각 왕에게는 통치 연도를 나타내는 기호가 기록되어 있으며, 연명(年名)에는 간략하게나마 역사적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Blackwell Publishing
1992
[2]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World of Ancient Times
Charles Scribner's Sons Publishing
1966
[4]
서적
The World of Ancient Times
Charles Scribner's Sons
1966
[5]
서적
The World of Ancient Times
Charles Scribner's Sons Publishers
1966
[6]
서적
The World of Ancient Times
[7]
웹사이트
Early Dynastic Period
http://www.saylor.or[...]
2012-04-04
[8]
서적
The Penguin Historical Atlas of Ancient Egypt
1997
[9]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0]
웹사이트
Qa'a and Merneith lists
http://xoomer.virgil[...]
[11]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12]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13]
간행물
Southern Canaan as an Egyptian Protodynastic Colony
https://www.academia[...]
[14]
간행물
Hegemony for Beginners: Egyptian Activity in the Southern Levant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Fourth Millennium B.C.
https://www.academia[...]
[15]
서적
The Nile Delta in Transition: 4th.-3rd. Millennium B.C. : Proceedings of the Seminar Held in Cairo, 21.-24. October 1990, at the Netherlands Institute of Archaeology and Arabic Studies
https://books.google[...]
Van den Brink
2013-02-24
[16]
뉴스
Ancient Egyptian brewery found in downtown Tel Aviv
https://www.timesofi[...]
[17]
서적
Los primeros reyes y la unificación de Egipto
Universidad de Jaen
[18]
웹사이트
The Middle Kingdom Egyptian Fortresses in Nubia.
https://web.archive.[...]
2001
[19]
서적
Nubia, A Drowning Land
1970
[20]
서적
Ancient Egyptian Imperialism
John Wiley & Sons
2018
[21]
문서
Rulers with names in italics are considered fictional.
[22]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23]
웹사이트
Rulers of Mesopotamia
http://cdli.ox.ac.uk[...]
University of Oxford, CNRS
[24]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25]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92
[26]
문서
Sumerian King List
[27]
서적
Israel and the Aramaeans of Damascus: A Study in Archaeological Illumination of Bible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28]
문서
クレイトン 1999
[29]
문서
大城 2009
[30]
문서
高宮 2003
[31]
문서
高宮 2003
[32]
문서
高宮 2003
[33]
문서
高宮 2003
[34]
문서
高宮 2003
[35]
문서
紀元前3世紀のエジプトの歴史家。彼はエジプト人であったが、ギリシア系王朝プトレマイオス朝に仕えたためギリシア語で著作を行った。
[36]
서적
大城 2009
[37]
서적
大城 2009
[38]
서적
フィネガン 1983
[39]
서적
フィネガン 1983
[40]
서적
大城 2009
[41]
서적
高宮 2003
[42]
서적
大城 2009
[43]
서적
大城 2009
[44]
서적
大城 2009
[45]
서적
高宮 2003
[46]
서적
高宮 2003
[47]
서적
高宮 2003
[48]
서적
フィネガン 1983
[49]
서적
フィネガン 1983
[50]
서적
フィネガン 1983
[51]
문서
아비ュドスの古い地方神で死者の神。後に[[오시리스]]神の神格に取り込まれた。
[52]
서적
フィネガン 1983
[53]
서적
近藤 1997
[54]
서적
近藤 1997
[55]
문서
[[파레스티나]]地方の住民
[56]
문서
下エジプト王の王冠
[57]
서적
フィネガン 1983
[58]
문서
혼란기로 통일왕조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