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IDO)는 키뉴레닌 경로를 통한 트립토판 이화작용의 첫 단계를 촉매하는 효소이다. IDO는 면역관용 기전, 미생물에 대한 자연 방어, 태반에서의 T세포 활동 억제 등 생리적 기능에 관여한다. 인터페론 감마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며, 종양 미세 환경에서 트립토판을 고갈시키거나 키뉴레닌 생성을 통해 종양의 면역 회피 전략에 사용된다. IDO는 M2 대식세포와 기타 면역조절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면역 조절 효소로, T세포와 NK 세포를 억제하고 조절 T세포와 골수 유래 면역억제세포를 생성하며 혈관신생을 돕는다. IDO의 과발현은 다양한 암종에서 나타나며, IDO 억제제와 기존 치료법의 병용이 연구되고 있으며, 1-메틸트립토판, 에파카도스탯, 나복시모드 등이 IDO 억제제로 개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1.13.11 - 이산소화효소
    이산소화효소는 이산소 분자를 기질에 첨가하는 효소의 총칭으로, 단핵 철, Rieske, 헴 함유 형태로 분류되며, 생체 내 대사 과정에 관여하고 기능 이상 시 질병과 관련될 수 있다.
  • EC 1.13.11 - 지질산소화효소
    지질산소화효소는 다불포화 지방산에 산소를 첨가하여 과산화수소를 생성하는 효소로, 식물과 포유류 등 다양한 생물체에 존재하며 세포 내에서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의 생성에 관여한다.
  • 인간 8번 염색체상 유전자 - E2F5
    E2F5는 E2F 전사 인자 패밀리에 속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이며, 세포 주기 조절 및 종양 억제 단백질 작용에 관여하고 DNA 결합 도메인 등을 포함하며, E2F4에 대한 정체성이 높고 종양 억제 단백질 p130 및 p107과 상호작용한다.
  • 인간 8번 염색체상 유전자 - PPP3CC
    PPP3CC는 현재 알려진 정보가 없는 항목이다.
  • 면역계 - 알레르기
    알레르기는 면역 체계가 무해한 물질에 과도하게 반응하여 아토피 피부염, 비염, 천식, 두드러기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Gell과 Coombs 분류법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심각한 경우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할 수 있고,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알레르겐 회피, 약물, 면역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 면역계 - 면역억제
    면역억제는 면역계의 활동을 감소시키는 현상으로, 의도적으로는 장기 이식 거부 반응 방지나 자가면역 질환 치료를 위해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고, 비의도적으로는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며 면역결핍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
일반 정보
4-페닐이미다졸이 결합한 형태의 사람 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 결정 구조
4-페닐이미다졸이 결합한 형태의 사람 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 결정 구조
심볼IDO
이름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
유전자 기호INDO
유전자 설명인돌아민-피롤 2,3-다이옥시저네이스
EC 번호1.13.11.52
CAS 번호9014-51-1
GO 코드0033754
단백질 군
PfamPF01231
Pfam 클랜CL0380
InterProIPR000898
PROSITEPDOC00684
기능
역할트립토판 대사
면역 반응 조절
반응L-트립토판 + O2 ightleftharpoons N-폼밀-L-키누레닌
관련 질병
관련 질병자가면역질환

염증
추가 정보
참고 문헌








2. 생리적 기능

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는 키뉴레닌 경로를 통한 트립토판 이화작용의 첫 단계이자 속도 제한 단계를 촉매하는 효소이다.

IDO는 면역관용 기전에서 중요한 분자이며 생리학적 기능에는 신체에서 잠재적으로 위험한 염증 과정의 억제가 있다.[44] 또한 IDO는 미생물에 대한 자연 방어 역할을 한다. IDO의 발현은 인터페론 감마에 의해 유도되는데, 이는 염증성 질환이나 종양 형성 중에도 IDO 발현이 증가하는 이유이다.[45] 트립토판은 병원체의 생존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효소 IDO의 활성은 병원체를 파괴한다. 트립토판 결핍에 민감한 미생물에는 연쇄상구균[46]에 속하는 세균이나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47] 홍역모빌리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가 있다.[48]

IDO 발현이 높은 기관 중 하나는 태반이다. 1990년대에 있었던 태반에서 일어나는 트립토판 대사에 대한 연구로 인해 생쥐에서 처음 이 효소의 면역억제 기능이 기술되었다. 포유류의 태반에서는 집중적인 트립토판 이화작용이 일어나 T세포 활동이 억제된다. 이 기전은 태반이 면역특혜 조직이 되는 데에 기여한다.[49]

인터페론 감마는 많은 종양 세포에 대해 항증식 효과를 가지며, ''톡소플라스마''나 ''클라미디아''와 같은 세포 내 병원체를 억제하며, 이러한 효과는 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의 유도에 기인하는 바가 어느 정도 있다.

3. 임상적 중요성

IDO는 M2 대식세포와 기타 면역조절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면역조절 효소로서 면역관문 분자의 역할을 한다.[50] IDO는 T세포와 NK 세포를 억제하고, 조절 T세포와 골수 유래 면역억제세포를 생성하며 혈관신생을 돕는다.[41]

이러한 기전은 발암 과정에서 중요하다. IDO는 종양 세포가 종양 미세환경에서 트립토판을 고갈시키거나, T세포NK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키뉴레닌을 생성하는 두 가지 기전을 통해 면역계 작용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51][52] 사람 IDO(hIDO)의 과발현은 다양한 인간 종양 세포 계통에서 나타나며 종종 불량한 예후와 관련되어 있다.[53][54] IDO 생산이 증가되는 종양에는 전립샘암, 난소암, 폐암, 췌장암,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있다.[55][56] IDO의 발현은 ''Bin1'' 유전자에 의해 조절되는 생리학적 조건 하에 있으며, 이 생리학적 조건은 종양 변형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57]

IDO 억제제와 기존의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요법의 조합은 면역 조절을 회복하고 일반적으로 내성이 있는 종양에 대한 치료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 면역감시를 피하기 위해 종양이 사용하는 효소 IDO는 현재 연구와 신약 개발 노력에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58] IDO를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로 이용할 수 있는지 알아내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59]

3. 1. 억제제

COX-2 억제제는 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를 하향조절하여 키뉴레닌 수치를 감소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활성을 감소시킨다.

1-메틸트립토판은 인돌아민 이산소화효소를 약하게 억제하지만 매우 느린 기질이기도 한 라세미 혼합물이다. 인독시모드로 알려진 1-메틸-D-트립토판은 다양한 암에 대한 임상 시험이 이루어지는 중이다.

에파카도스탯(INCB24360), 나복시모드(GDC-0919), 린로도스타트(BMS-986205)는 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의 강력한 억제제이며 다양한 암에 대한 임상 시험을 거치고 있다.

노르하르만(Norharmane)은 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의 억제를 통해 퀴놀린산, 3-하이드록시퀴뉴레닌, 일산화 질소 생성 효소와 같은 퀴뉴레닌 신경독성 대사 산물을 억제하여 신경 보호 특성을 갖는다.[30] 로스마린산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의 억제를 통해 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의 발현을 억제한다.[31] COX-2 억제제는 인돌아민 2,3-이산소화효소를 감소시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활성을 낮추고 퀴뉴레닌 수치를 감소시킨다.[32] α-메틸-트립토판 또한 인돌아민 이산소화효소를 억제한다.[33]

참조

[1] 논문 Human indolylamine 2,3-dioxygenase. Its tissue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lacental enzyme 1985-09
[2] 웹사이트 Entrez Gene: INDO indoleamine-pyrrole 2,3 dioxygenase https://www.ncbi.nlm[...]
[3] 논문 IDO2 in Immunomodulation and Autoimmune Disease 2014-11-20
[4] 논문 Tryptophan Metabolism in Rat Liver After Administration of Tryptophan, Kynurenine Metabolites, and Kynureninase Inhibitors 2016-01
[5] 논문 Induction of pulmonary indoleamine 2,3-dioxygenase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1978-08
[6] 논문 Induction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in mouse lung during virus infection 1979-08
[7] 논문 Indoleamine 2,3 dioxygenase and metabolic control of immune responses 2013-03
[8] 논문 Indoleamine 2,3-dioxygenase pathways of pathogenic inflammation and immune escape in cancer 2014-07
[9] 논문 IDO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Inflammation, Counter-Regulation, and Tolerance 2016-03
[10] 논문 Evidence for a tumoral immune resistance mechanism based on tryptophan degradation by indoleamine 2,3-dioxygenase 2003-10
[11] 논문 Singlet molecular oxygen regulates vascular tone and blood pressure in inflammation 2019-02
[12] 논문 Defective tryptophan catabolism underlies inflammation in mouse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2008-01
[13] 논문 Indoleamine 2,3-Dioxygenase and Tolerance: Where Are We Now? 2017-10-27
[14] 논문 Interferon-gamma-induced activation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in cord blood monocyte-derived macrophages inhibits the growth of group B streptococci 1998-09
[15] 논문 Role of indoleamine-2,3-dioxygenase in alpha/beta and gamma interferon-mediated antiviral effects against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s 2004-03
[16] 논문 Indoleamine 2,3-dioxygenase mediates cell type-specific anti-measles virus activity of gamma interferon 2005-06
[17] 논문 Prevention of allogeneic fetal rejection by tryptophan catabolism 1998-08
[18] 논문 Targeting the indoleamine 2,3-dioxygenase pathway in cancer
[19] 논문 Inhibition of T Cell Proliferation by Macrophage Tryptophan Catabolism 1999-05-03
[20] 논문 Tryptophan-derived Catabolites Are Responsible for Inhibition of T and Natural Killer Cell Proliferation Induced by Indoleamine 2,3-Dioxygenase 2002-08-12
[21] 논문 Ido serves as a marker of poor prognosis in gene expression profiles of serous ovarian cancer cells 2007-11
[22] 논문 Indoleamine 2,3-dioxygenase expression predicts impaired survival of invasive cervic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radical hysterectomy 2010-06
[23] 논문 Evidence for a tumoral immune resistance mechanism based on tryptophan degradation by indoleamine 2,3-dioxygenase 2003-09-21
[24] 논문 Research progress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inhibitors 2015-02
[25] 논문 Inhibition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an immunoregulatory target of the cancer suppression gene Bin1, potentiates cancer chemotherapy 2005-02-13
[26] 논문 Research progress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inhibitors
[27] 논문 The Clinicopathological and Prognostic Significance of IDO1 Expression in Human Solid Tumors: Evidence fro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
[28] 논문 Evidence for a tumoral immune resistance mechanism based on tryptophan degradation by indoleamine 2,3-dioxygenase 2003
[29] 논문 Research progress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inhibitors 2015
[30] 논문 Combined inhibition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and nitric oxide synthase modulates neurotoxin release by interferon-gamma-activated macrophages 2000-08
[31] 논문 Rosmarinic acid inhibits indoleamine 2,3-dioxygenase expression in murine dendritic cells 2007-05
[32] 논문 The interplay between indoleamine 2,3-dioxygenase 1 (IDO1) and cyclooxygenase (COX)-2 in chronic inflammation and cancer 2011
[33] 논문 Inhibition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in dendritic cells by stereoisomers of 1-methyl-tryptophan correlates with antitumor responses 2007
[34] 논문 Human indolylamine 2,3-dioxygenase. Its tissue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lacental enzyme 1985-09
[35] 웹인용 Entrez Gene: INDO indoleamine-pyrrole 2,3 dioxygenase https://www.ncbi.nlm[...]
[36] 저널 IDO2 in Immunomodulation and Autoimmune Disease 2014-11-20
[37] 저널 Tryptophan Metabolism in Rat Liver After Administration of Tryptophan, Kynurenine Metabolites, and Kynureninase Inhibitors 2016-01
[38] 저널 Induction of pulmonary indoleamine 2,3-dioxygenase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1978-08
[39] 저널 Induction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in mouse lung during virus infection 1979-08
[40] 저널 Indoleamine 2,3 dioxygenase and metabolic control of immune responses 2013-03
[41] 저널 Indoleamine 2,3-dioxygenase pathways of pathogenic inflammation and immune escape in cancer 2014-07
[42] 저널 IDO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Inflammation, Counter-Regulation, and Tolerance 2016-03
[43] 저널 Evidence for a tumoral immune resistance mechanism based on tryptophan degradation by indoleamine 2,3-dioxygenase 2003-10
[44] 저널 Defective tryptophan catabolism underlies inflammation in mouse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2008-01
[45] 저널 Indoleamine 2,3-Dioxygenase and Tolerance: Where Are We Now? 2017-10-27
[46] 저널 Interferon-gamma-induced activation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in cord blood monocyte-derived macrophages inhibits the growth of group B streptococci https://archive.org/[...] 1998-09
[47] 저널 Role of indoleamine-2,3-dioxygenase in alpha/beta and gamma interferon-mediated antiviral effects against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s https://archive.org/[...] 2004-03
[48] 저널 Indoleamine 2,3-dioxygenase mediates cell type-specific anti-measles virus activity of gamma interferon https://archive.org/[...] 2005-06
[49] 저널 Prevention of allogeneic fetal rejection by tryptophan catabolism 1998-08
[50] 저널 Targeting the indoleamine 2,3-dioxygenase pathway in cancer 2015
[51] 저널 Inhibition of T Cell Proliferation by Macrophage Tryptophan Catabolism 1999-05-03
[52] 저널 Tryptophan-derived Catabolites Are Responsible for Inhibition of T and Natural Killer Cell Proliferation Induced by Indoleamine 2,3-Dioxygenase 2002-08-12
[53] 저널 Ido serves as a marker of poor prognosis in gene expression profiles of serous ovarian cancer cells 2007-11
[54] 저널 Indoleamine 2,3-dioxygenase expression predicts impaired survival of invasive cervic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radical hysterectomy 2010-06
[55] 저널 Evidence for a tumoral immune resistance mechanism based on tryptophan degradation by indoleamine 2,3-dioxygenase 2003-09-21
[56] 저널 Research progress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inhibitors 2015-02
[57] 저널 Inhibition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an immunoregulatory target of the cancer suppression gene Bin1, potentiates cancer chemotherapy 2005-02-13
[58] 저널 Research progress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inhibitors 2015
[59] 저널 The Clinicopathological and Prognostic Significance of IDO1 Expression in Human Solid Tumors: Evidence fro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