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레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레호는 미얀마 샨주에 위치한 호수로, 43.5km²의 면적과 평균 해발 884m의 고도를 가진다. 다양한 고유종 어류와 철새의 서식지이며, 인다족을 비롯한 여러 민족이 호수 주변에서 거주하며 어업, 농업, 수공예, 관광 등의 활동을 한다. 그러나 인구 증가, 농업, 관광 산업의 발달로 인해 수면적 감소, 수질 오염, 외래종 유입, 소음 공해 등의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2015년에는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18년에는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람사르 등록 습지 - 마르타반만
- 미얀마의 호수 - 깐도지호
깐도지호는 주제와 관련된 정의 또는 핵심 설명이며, 역사적 배경, 주요 특징, 한국의 주제, 국제 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비판 및 논란에도 직면해 미래 전망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 미얀마의 호수 - 인야호
인야 호는 미얀마 양곤에 위치한 인공 호수로, 1882년에서 1883년 사이에 영국이 양곤에 수자원을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고급 주거 지역과 인야 호수 공원이 조성되어 있고, 8888 항쟁과 관련된 사건이 발생한 장소이다. - 샨주 - 따웅지
따웅지는 미얀마 샨주에 위치한 해발 1,436m의 고산 분지에 자리 잡은 도시로, 샨주의 수도이며 농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고, 따웅지 열기구 축제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관광 명소와 교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샨주 - 2011년 미얀마 지진
2011년 3월 24일 미얀마 샨 주에서 발생한 규모 6.8의 지진으로 최소 74명이 사망하고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으며, 주변 국가에서도 진동이 감지되어 국제 사회가 긴급 구호와 지원을 제공했다.
| 인레호 | |
|---|---|
| 개요 | |
![]() | |
| 위치 | 샨주 |
| 좌표 | 33 |
| 유형 | 혼합형 호수 |
| 유출 | 남필루 강 |
| 유역 국가 | 미얀마 |
| 면적 | 44.9 제곱마일 (116.39 제곱킬로미터) |
| 깊이 (건기) | 5 피트 (1.5 미터) |
| 최대 깊이 (건기) | 12 피트 (3.7 미터) (우기에는 +5 피트) |
| 해발 고도 | 2900 피트 (883.9 미터) |
| 람사르 지정 | 1974년 12월 5일 |
| 람사르 번호 | 2356 |
| 명칭 | |
| 미얀마어 | အင်းလေးကန် (인레 칸) |
| 로마자 표기 | Ang: le: kan |
| IPA (미얀마어) | /ʔɪ́ɰ̃lé kàɰ̃/ |
| 지리 | |
| 호수 유형 | 담수호 |
| 지형 | 깊은 골짜기에 위치 |
| 주요 특징 | 수상 가옥, 수상 밭, 독특한 어업 방식 |
| 생태 | |
| 서식 생물 | 다양한 어류, 조류, 고유종 서식 |
| 환경 문제 | 수질 오염, 외래종 유입, 서식지 파괴 |
| 문화 | |
| 거주민 | 인따족 |
| 생활 방식 | 수상 생활, 어업, 농업, 수공예 |
| 관광 | 미얀마 주요 관광지, 독특한 문화 체험 |
2. 자연
인레호는 표면적 43.5km2, 평균 해발 884m의 고지에 위치한 세로로 긴 호수이다.[21] 남북 약 18km, 동서 약 5km로 뻗어 있으며, 석회암 지층이 물의 침식으로 용해되어 생긴 것으로 여겨진다.[23]
호수의 면적과 수심은 건기와 우기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24] 가장 깊은 곳은 수심이 3.1m 정도이지만, 우기에는 약 1.5m 증가한다.[21] 호수에는 유기물이 적게 포함되어 있고, 파도가 잔잔할 때는 물속의 물고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24] 동·서·북쪽의 강이 호수로 유입되지만 수량은 적으며, 이 중 가장 큰 강은 북서쪽 퐁 호에서 흘러 들어오는 강이다.[24] 서쪽의 칼로 강과 어퍼 발루 강 하구에는 토사가 퇴적되어 삼각주를 형성하고 있다.[21]
2. 1. 생물 다양성
인레 호수는 면적이 넓지는 않지만, 다양한 고유종이 서식하고 있다. 호수 주변은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조수(鳥獸)의 포획이 금지되어 있다.[26] 레드핀 레드노즈, Danio erythromicron|다니오 에리스로미크론영어, Devario auropurpureus|데바리오 아우로푸르푸레우스영어 등의 어류 고유종은 동물 상인들 사이에서 희귀하고 비싼 상품으로 거래된다. 11월부터 1월까지는 큰두루미 등 약 20,000마리의 철새가 호수로 날아든다.[27] 호수와 주변에는 인다족, 레드핀 레드노즈, 다니오 에리스로미크론, Red dwarf rasbora|미크로라스보라 루베스켄스영어 등의 담수어, 수달, 거북이, Monocled cobra|타이코브라영어, 물총새, 구관조, Large hawk-cuckoo|오오쥬이치영어, Large-spotted civet|빌마자코우네코영어, Burmese hare|빌마노우사기영어, 황금자칼이 서식하고 있다.[28]2015년에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 지역[28], 2018년에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29]
2. 2. 보존 노력
인레호는 인구 증가, 농업 및 관광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환경적 영향을 받고 있다. 1935년부터 2000년까지 65년 동안 인레호의 순수 수면 면적은 32.4%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호수 서쪽에서 발달한 부유식 정원 농업 때문이다.[9]호수 주변 언덕에서의 벌목과 지속 불가능한 경작 방식(화전)은 호수로 유입되는 강에 더 많은 실트와 영양분을 유입시키고 있다. 이 실트는 호수를 채우고, 영양분은 잡초와 조류의 성장을 촉진한다. 특히 호수 서쪽에서 이루어지는 부유식 정원 농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유식 농지가 고체 지반이 되면서 호수의 면적을 감소시킨다. 최근 호수 면적 감소의 약 93%(21km2)는 이 농업 방식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농업 활동과 관련된 환경적 영향으로는 호수 습지와 주변 언덕의 퇴적, 부영양화, 오염 등이 있다.[9]
물옥잠(Eichhornia crassipes)은 호수에 서식하지 않는 식물이지만, 빠르게 성장하여 작은 시내와 호수의 넓은 부분을 채우고 토착 식물과 동물로부터 영양분과 햇빛을 빼앗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한때는 냥쉐로 들어오는 모든 보트가 일정량의 물옥잠을 가져와야 했지만, 지난 20년 동안 대규모 준설 작업과 펌프 사용으로 이 식물의 성장을 어느 정도 제어했다. 소규모의 대중 인식 교육과 통제도 성공적이었다.
어업 개선을 위해 계획된 초어(Ctenopharyngodon idella)와 같은 외래어종 도입도 우려 사항이다.
호수 주변 마을의 위생 문제는 공공 보건 당국의 지속적인 관심사이다. 처리되지 않은 하수(가구의 72%가 변기 대신 개방된 구덩이를 사용) 및 폐수가 호수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이다.[10] 신선하고 깨끗한 물을 확보하기 위해 일부 마을에서는 밀폐된 우물과 우물물에 대한 공공 접근을 제공한다. 호수의 표면 수질 연구에 따르면 물은 식용으로 안전하지 않으며, 용존 산소 범위는 어업 및 수생 생물에 필요한 것보다 낮고, 아질산염, 질산염 및 인산염 범위는 이례적으로 높다.[10]
소음 공해 또한 눈에 띄는 문제인데, 싸구려로 소음이 제대로 차단되지 않은 디젤 엔진이 스턴 드라이브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소음이 상당하여 조용한 호수의 평화를 깨뜨릴 수 있다.
2010년 여름에는 매우 높은 기온으로 호수의 수위가 5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식수를 다른 곳에서 가져와야 했고 부유 시장이 사라질 위험에 처했다.[11] 또한, 이전 수도인 양곤에 전력을 공급하던 로피타의 수력 발전소가 최대 용량으로 가동될 수 없었다.[12]
2015년, 국제 연합은 인레호를 세계 생물권 보전 지역 네트워크에 추가했다. 인레호는 미얀마 최초의 생물권 보전 지역이다.[13] 2018년에는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29]
3. 인문 지리
인레호와 그 주변에는 인다족을 비롯하여 샨족, 파오족(타웅투), 다누족, 타운요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23] 이들은 인근 4개의 도시, 해안가 마을, 호수 위에 흩어져 살고 있다. 주민 대부분은 불교 신자이며, 나무와 대나무로 만든 간소한 수상 가옥에서 자급자족하는 농경 생활을 한다.[30] 인다족은 호수 얕은 곳에 수상 가옥을 짓고 사는데,[30] 해초나 물풀로 만든 부유도에 흙을 얹고 말뚝을 박아 집을 짓는다.[23] 전통적으로 유해는 호수에 매장했지만,[31] 최근에는 육상 매장도 늘고 있다. 호수 위와 주변 집락은 직업별로 형성되는 경향이 있어, 인레호에는 자급자족 경제권이 성립되어 있다고 본다.[32] 관광객은 인다족 수상 마을의 잎담배, 직물 공방을 견학할 수 있다.
주요 교통 수단은 '플레'라는 소형 보트이며, 디젤 엔진을 단 대형 보트도 운행된다. 플레는 뱃머리와 선미가 뒤로 젖혀진 사사 배 형태인데,[23] 이는 부유도와 물풀 사이를 지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플레는 통학, 쇼핑, 마을 간 이동 등 일상생활에 쓰이고, 원거리 이동에는 엔진 보트가 사용된다. 인다족 남성은 한쪽 발로 선미에 서서 다른 발로 노를 젓는 독특한 방식으로 배를 몬다.[33][30][34] 이는 육지에 오를 기회가 적어 다리와 허리 근력을 단련하기 위함이라는 설이 있다.[35] 여성은 뱃전에 앉아 양손으로 노를 젓는 것이 관습이다.[23] 인레호 특유의 어업 방식으로는 엎어 그물질이 있는데, 종 모양 틀에 그물을 설치해 호수에 담그고 호수 바닥을 휘저어 물고기를 잡는다.[31]
어업 외에도 호수 위 부유 밭에서 채소와 과일을 재배한다. 부레옥잠 등 물풀을 토대로 흙을 쌓아 밭을 만들고, 대나무 장대로 고정한다.[30] 우기에는 수몰되므로 11월경 씨앗을 뿌려 이듬해 2월 이후 수확한다.[36] 다만 부유 밭 증가는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인레 지역에서는 벼농사도 중요한 산업이다. 호숫가 산록에서 벼농사가 이루어지며, 조생종이 많이 재배된다.[36] 벼 수확량은 많지 않아 대부분 인레 지역에서 소비된다.[36]
일상 필수품은 주로 시장에서 유통된다. 호수 위 이와마에서 열리는 날에는 소형 배 위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수상 시장이 열리는데, 이는 관광 투어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1930년대 인레의 염색 산업은 단절되었다가, 태국에서 기술을 배운 장인에 의해 부흥되었다.[38]
3. 1. 인구 및 민족 구성
인레호의 주민들(인타)은 호수를 접하고 있는 네 개의 도시, 호숫가에 흩어져 있는 수많은 작은 마을, 그리고 호수 자체에서 거주한다. 호수 전체 지역은 냥쉐 타운십에 속한다.[2] 인구는 주로 인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 샨, 타웅요, 파오 (타웅투), 다누, 카야, 다나우, 그리고 바마 민족이 혼합되어 있다.[23] 대부분 독실한 불교도이며, 나무와 엮은 대나무로 만든 간단한 수상 가옥에서 산다.[30] 그들은 대부분 자급자족 농부이다.호수에서의 이동은 전통적으로 작은 배나, 단기통 내장형 디젤 엔진을 장착한 약간 더 큰 배를 이용한다. 현지 어부들은 한 다리로 뱃머리에 서서 다른 다리로 노를 감싸는 독특한 노젓기 방식으로 유명하다.[33][30][34] 이 독특한 방식은 호수가 갈대와 부유 식물로 덮여 있어 앉아서는 위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필요에 의해 생겨났다. 서서 노를 저으면 갈대 너머를 볼 수 있다. 그러나 다리로 노를 젓는 방식은 남자들만 사용한다. 여자들은 쪼그려 앉아 손으로 노를 저으며 전통적인 방식으로 노를 젓는다.[23]
호수에서 잡은 물고기는 현지 식단의 주요 식량이다. 인레 잉어(''Cyprinus intha'', 현지에서는 ''응아 페인''이라고 불림)가 역사적으로 가장 풍부했지만, 현재는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2][8] 그 외에 붕어, 메기, 미꾸라지, 가물치 등 약 20종의 물고기가 어획되고 있다.[32] 인기 있는 현지 음식은 '발효'된 쌀을 생선 및/또는 감자와 함께 반죽한 '타민 진'이며, '흐나퍄 죠'(두 번 튀긴 샨 두부)와 함께 제공된다.
어업 외에도, 현지인들은 호수 표면에 떠 있는 대규모 정원에서 채소와 과일을 재배한다. 부유식 정원은 광범위한 수작업으로 만들어진다. 농부들은 호수 깊은 곳에서 호수 바닥의 잡초를 모아 배로 가져와 대나무 장대로 고정하여 정원 구역에 부유식 밭을 만든다.[30] 이 정원은 수위 변화에 따라 오르내리므로 홍수에 강하다. 영양분이 풍부한 물의 지속적인 공급은 이 정원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비옥하게 만드는 결과를 낳는다. 부유 밭에서는 토마토, 가지, 오이, 고추 등의 채소가 재배되고[30], 수선화 등의 꽃도 재배되고 있다.[26] 쌀 재배와 소비 또한 현지 식단과 농업 전통의 중요한 측면이다.


현지인이 사용하는 수공예품과 상업용 수공예품은 다른 루트를 통해 유통되고 있다. 대표적인 공예품에는 도구와 조각이 있으며, 장식품, 직물, 담배 (Cheroots)도 제조되고 있다. 인레호반의 시장은 호수 주변의 5개의 지점을 매일 순회하는 형태로 개최되기 때문에, 각 장소에서 5일마다 시장이 열리게 된다.[37] 시장에서는 일상 필수품이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다.
인레 지역은 독특한 직물이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미얀마인들이 일상생활에서 토트백으로 사용하는 샨족의 가방 중 많은 수가 인레 지역에서 제조되고 있다. 손으로 짠 비단 직물도 중요한 산업이며, 특징적인 디자인이 되어 있는 고품질의 직물은 "인레 론지"라고 불린다. 연꽃의 섬유를 이용한 독특한 천은 인레 지역에서만 만들어지고 있으며, 연꽃 천으로 불상에게 입히는 옷(kya thingahn, 미얀마어로 "연꽃의 옷"의 의미)이 만들어진다.[39]
3. 2. 주거 형태
인레호의 주민들(인타 참조)은 호수를 접하고 있는 네 개의 도시, 호숫가에 흩어져 있는 수많은 작은 마을, 그리고 호수 자체에서 거주한다. 인구는 주로 인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 샨, 타웅요, 파오 (타웅투), 다누, 카야, 다나우, 그리고 바마 민족이 혼합되어 있다. 대부분 독실한 불교도이며, 나무와 엮은 대나무로 만든 간단한 수상 가옥에서 산다. 그들은 대부분 자급자족 농부이다. 인다족은 호수 위의 얕은 곳에 지은 수상 가옥에서 생활하며[30], 전통적으로 그들의 유해는 호수 속에 매장되었지만[31], 최근에는 육상 매장도 증가하고 있다. 인다족의 가옥은 해초나 물풀이 모여 만들어진 부유도(춘 묘)를 모은 것을 토대로 하며, 그 위에 호숫가의 흙이나 호수 바닥의 진흙을 얹어 물속에 가라앉히고, 부유도에 말뚝을 박아 가옥을 짓는다.[23]4. 문화
인레호와 그 주변에는 인다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인근 4개의 도시, 해안가에 산재한 마을, 혹은 호수 위에서 생활하고 있다. 인다족 외에도 샨족, Pa'O people영어, 다누족, 타운요족 등이 거주하고 있다.[23] 주민 대부분은 불교를 신봉하며, 나무와 대나무를 조합한 간소한 집에서 자급자족 생활을 하는 농가로 구성된다. 인다족은 호수 위의 얕은 곳에 지은 수상 가옥에서 생활하며[30], 전통적으로 유해는 호수 속에 매장되었지만[31], 최근에는 육상 매장도 증가하고 있다. 인다족의 가옥은 해초나 물풀이 모여 만들어진 부유도(춘 묘)를 모은 것을 토대로, 그 위에 호숫가의 흙이나 호수 바닥의 진흙을 얹어 물속에 가라앉히고, 부유도에 말뚝을 박아 짓는다.[23]
호수 위 주요 교통 수단은 전통적으로 플레라고 불리는 소형 보트가 이용되지만, 디젤 엔진을 탑재한 대형 보트도 운행된다. 부유도와 수면으로 뻗어 있는 물풀 사이를 지나야 하기 때문에, 플레는 뱃머리와 선미가 뒤로 젖혀진 사사 배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23]
인레 지역은 독특한 직물 생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미얀마인들이 일상생활에서 토트백으로 사용하는 샨족의 가방 중 상당수가 이곳에서 제조된다. 인레호반의 시장은 호수 주변 5개 지점을 매일 순회하는 형태로 개최되기 때문에, 각 장소에서 5일마다 시장이 열린다.[37] 시장에서는 일상 필수품이 가장 많이 유통된다. 시장이 호수 위 이와마에서 열리는 날에는 소형 배 위에서 거래가 이루어지고, 호수 위 수상 시장은 다른 4곳에서 열리는 시장에 비해 관광 투어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8월부터 10월까지 인레 호수와 주변 지역에서는 여러 축제가 열린다. 총 18일 동안 열리는 파웅 도 우 축제는 타딩윳 축제에 이어 열리며, 인타족과 샨족은 불교 우안거를 기념하기 위해 가장 좋은 옷을 입고 대거 참여한다.[14] 9월부터 10월까지는 3주간 뗏목 축제(Hpaung Daw U Pagoda|label=파웅도우(파운도우) 파고다의 축제영어)가 개최된다.[34][47]
4. 1. 어업
인레호의 현지 어부들은 한 다리로 뱃머리에 서서 다른 다리로 노를 감싸는 독특한 노젓기 방식으로 유명하다. 이 방식은 호수가 갈대와 부유 식물로 덮여 있어 앉아서는 위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생겨났다.[2][8] 서서 노를 저으면 갈대 너머를 볼 수 있지만, 다리로 노를 젓는 방식은 남자들만 사용한다. 여자들은 쪼그려 앉아 손으로 노를 저으며 전통적인 방식으로 노를 젓는다.호수에서 잡은 물고기는 현지 식단의 주요 식량이다. 인레 잉어(''Cyprinus intha'', 현지에서는 ''응아 페인''이라고 불림)가 역사적으로 가장 풍부했지만, 현재는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2][8] 인기 있는 현지 음식은 '발효'된 쌀을 생선 및/또는 감자와 함께 반죽한 '타민 진'이며, '흐나퍄 죠'(샨 두부)와 함께 제공된다.
인다족은 한쪽 발로 선미에 서서 다른 발로 노를 젓는 독특한 보트 노젓기를 실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3][30][34] 한 설에 따르면, 인다족은 육지에 오를 기회가 적기 때문에, 다리와 허리의 근력을 단련하기 위해 고안되었다고 한다.[35] 그러나 발로 노젓기를 하는 것은 남성뿐이며, 뱃전에 앉아 양손으로 노를 젓는 것이 관습적인 여성의 배 노젓기이다.[23] 또한, 인레호 특유의 어업으로, 그물을 설치한 종 모양의 틀을 호수에 담그고, 호수 바닥을 휘저었을 때 떠오르는 물고기를 포획하는 엎어 그물질이 있다.[31] 호수에서 잡힌 물고기는 주민들의 식탁에 오르고, 현지에서 가장 많이 먹는 물고기는 인다코이(응가페인)이다.[29] 그 외에 붕어, 메기, 미꾸라지, 가물치 등 약 20종의 물고기가 어획되고 있다.[32] 호수에서 잡은 물고기는 인레 지역 외에, 샨 주의 각지로 출하된다.[32]
4. 2. 농업
인레호 주민들은 대부분 자급자족하는 농부이다. 이들은 호수 표면에 떠 있는 대규모 정원에서 채소와 과일을 재배한다. 이 부유식 정원은 농부들이 호수 깊은 곳에서 잡초를 모아 배로 가져와 대나무 장대로 고정시켜 만든다. 이 정원은 수위 변화에 따라 오르내리기 때문에 홍수에 강하며, 영양분이 풍부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매우 비옥하다.[2] 쌀 재배와 소비 또한 현지 식단과 농업 전통의 중요한 부분이다.부유 밭에서는 토마토, 가지, 오이, 고추 등의 채소와[30] 수선화 등의 꽃이 재배된다.[26] 우기에는 부유 밭이 수몰되기 때문에 11월경에 씨앗을 뿌리고 다음 해 2월 이후에 수확한다.[36]
인레 지역에서는 벼농사도 중요한 산업이다. 호숫가의 산록에서 벼농사가 이루어지며, 조생종이 많이 재배된다.[36] 벼 수확량은 많지 않고 대부분 인레 지역에서 소비된다.[36]
4. 3. 수공예
인레호 주민들은 다양한 수공예품을 생산하며, 이는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현지 사용 및 거래를 위한 수공예품에는 도구, 조각품, 장식품, 직물, 체루트 등이 있다.인레 지역은 직조 산업으로 유명하다. 미얀마인들이 토트백으로 사용하는 샨백은 이곳에서 대량 생산된다. 실크 직조는 또 다른 매우 중요한 산업으로, 인레 롱이라고 불리는 독특한 디자인의 고품질 수제 실크 직물이 생산된다. 연꽃 식물 섬유로 만든 연꽃 실크라는 독특한 전통 직물은 인레 호수와 캄보디아에서만 생산되며, ''kya thingan''(연꽃 가운)이라고 불리는 붓다를 위한 특별한 옷을 짜는 데 사용되었다.[17] 1930년대에는 인레의 염색 산업이 일시적으로 단절되기도 하였으나, 태국에서 기술을 배운 장인에 의해 부흥되었다.[38]
호수 마을의 관광 명소 중 하나는 전통 은세공이다.[15] 은은 호수 주변 언덕에 있는 광산에서 가져와 마을로 배로 운송된다. 관광객들은 은 세공을 관찰하고 현장에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은세공 외에도 현지 실크 워크숍도 운영된다.[15]
현지 시장은 대부분의 일반적인 쇼핑 요구를 충족하며 매일 열리지만, 행사장 위치는 호수 주변의 다섯 군데를 순회하며, 각 장소는 5일에 한 번씩 이동식 시장을 개최한다.[16] 호수 자체에서 열리는 수상 시장은 관광객 거래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4. 4. 축제
8월부터 10월까지 인레 호수와 주변 지역에서는 여러 축제가 열린다. 총 18일 동안 열리는 파웅 도 우 축제는 타딩윳 축제에 이어 열리며, 인타족과 샨족은 불교 우안거를 기념하기 위해 가장 좋은 옷을 입고 대거 참여한다.[14] 이 축제 기간 동안에는 전통적인 복장을 한 수십 명의 다리 노꾼이 각 보트 팀과 함께 경주를 펼치는 전통 보트 경주가 열리는데, 이는 현지에서 가장 기대되는 행사 중 하나이다.[14]9월부터 10월까지는 3주간 뗏목 축제(Hpaung Daw U Pagoda|label=파웅도우(파운도우) 파고다의 축제영어)가 개최된다.[34][47] 파웅도우 우 축제에서는 전설 속의 새 힌타(Hindha)를 본뜬 황금 배 카라웨이(Karaweik)가 호수에 나타난다. 카라웨이는 4척이 준비되어 있으며, 각 배는 파웅도우 우 사원에 안치된 불상을 격납하고 있다. 호수 각지에 기항한 카라웨이에는 인다족 등 현지 불교도가 참배하러 오고, 노점도 열린다.[48] 축제 시작 20일 후, 불상을 실은 카라웨이는 파웅도우 우 사원으로 귀환한다.[25] 카라웨이가 냥쉐에 기항하는 7일째와 귀환하는 최종일에는 보트 경주가 열린다.[49] 전승에 따르면, 뗏목 축제는 파간 왕조 알라웅시두 왕(재위: 1112년 - 1167년)의 행차가 기원이며, 카라웨이에 싣는 불상은 알라웅시두가 만들었다고 전해진다.[50] 참배자들이 금박을 불상에 계속 붙여왔기 때문에, 불상은 원형을 알아볼 수 없다.
5. 경제
인레호는 미얀마의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이며, 어업, 농업 외에도 다양한 산업이 발달해 있다. 특히, 인레호 지역은 직조 산업으로 유명하여, 미얀마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샨백의 상당수가 이곳에서 생산된다. 또한, 인레 롱이라고 불리는 독특한 디자인의 고급 수제 실크 직물도 생산하고 있다. 연꽃 식물 섬유로 만든 연꽃 실크라는 독특한 직물은 붓다를 위한 특별한 옷인 ''kya thingan''(연꽃 가운)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인레 호수와 캄보디아에서만 생산된다.[17]
현지 시장은 매일 열리지만, 호수 주변의 다섯 군데 장소를 순회하며 5일에 한 번씩 열리는 형태로 운영된다.[16] 이 시장에서는 현지 수공예품을 비롯한 다양한 상품이 거래된다. 호수 위에서 열리는 수상 시장은 특히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5. 1. 어업 및 농업
인레호의 주민들(인타)은 호수 주변의 네 도시와 여러 마을, 그리고 호수 자체에서 생활한다. 이들은 대부분 불교도이며, 대나무로 만든 수상 가옥에서 자급자족하는 농부들이다.호수에서의 이동은 전통적으로 작은 배를 이용하거나, 단기통 내장형 디젤 엔진을 장착한 배를 이용한다. 현지 어부들은 한 다리로 뱃머리에 서서 다른 다리로 노를 감싸는 독특한 방식으로 노를 젓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러한 방식은 호수가 갈대와 부유 식물로 덮여 있어 앉아서는 위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생겨났다.
호수에서 잡은 물고기는 현지 식단의 주된 식량이다. 인레 잉어(''Cyprinus intha'', 현지에서는 ''응아 페인''이라고 불림)는 한때 가장 많이 잡혔지만, 현재는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2][8] 인기 있는 현지 음식으로는 '타민 진'이 있는데, 발효된 쌀을 생선 및 감자와 함께 반죽한 음식이다. 이 음식은 '흐나퍄 죠'(နှစ်ပြန်ကြော်|흐나퍄 죠|샨 두부를 두 번 튀긴 것my)와 함께 제공된다.
어업 외에도, 현지인들은 호수 표면에 떠 있는 대규모 정원에서 채소와 과일을 재배한다. 농부들은 호수 깊은 곳에서 잡초를 모아 배로 가져와 대나무 장대로 고정하여 부유식 밭을 만든다. 이 정원은 수위 변화에 따라 오르내리므로 홍수에 강하며, 영양분이 풍부한 물 덕분에 매우 비옥하다. 쌀 재배와 소비 또한 현지 식단과 농업 전통의 중요한 부분이다.
인다족은 호수 위의 얕은 곳에 지은 수상 가옥에서 생활하며[30], 전통적으로 유해는 호수 속에 매장되었지만,[31] 최근에는 육상 매장도 증가하고 있다. 인다족의 가옥은 해초나 물풀이 모여 만들어진 부유도를 토대로 하며, 그 위에 호숫가의 흙이나 호수 바닥의 진흙을 얹어 물속에 가라앉히고, 부유도에 말뚝을 박아 가옥을 짓는다.[23]
호수 위의 주요 교통 수단은 전통적으로 플레라고 불리는 소형 보트가 이용되지만, 디젤 엔진을 탑재한 대형 보트도 운행된다. 인다족은 한쪽 발로 선미에 서서 다른 발로 노를 젓는 독특한 보트 노젓기를 실천한다.[33][30][34] 그러나 발로 노젓기를 하는 것은 남성뿐이며, 여성은 뱃전에 앉아 양손으로 노를 젓는 것이 관습이다.[23]
인다코이(응가페인, nga hpein, 인레호의 잉어)가 현지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물고기이다.[29] 그 외에 붕어, 메기, 미꾸라지, 가물치 등 약 20종의 물고기가 어획된다.[32]
어업 외에도, 인레호 위의 부유 밭에서는 채소와 과실이 재배된다. 호수 바닥에 뿌리를 내린 부레옥잠 등의 물풀을 토대로 호수의 진흙을 쌓아 올려 부유 밭을 만들고, 떠내려가지 않도록 대나무 장대로 수중에 고정한다.[30] 부유 밭에서는 토마토, 가지, 오이, 고추, 수선화 등이 재배된다.[30][26]
인레 지역에서는 벼농사도 중요한 산업이다. 호숫가의 산록에서 벼농사가 이루어지고, 조생종이 많이 재배된다.[36]
5. 2. 관광 산업
인레 호수는 미얀마의 주요 관광 명소로, 관광객을 위한 다양한 시설과 서비스가 발달해 있다. 크고 작은 호텔과 여행사가 많이 생겨났으며, 현지 상점에서는 현지 제품과 수입 제품을 모두 판매한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35km 떨어진 헤호 공항이며, 양곤과 만달레이에서 항공편을 이용할 수 있다. 육로로는 양곤에서 660km, 만달레이에서 330km 떨어져 있다.8월부터 10월까지 인레 호수와 주변 지역에서는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특히 18일 동안 열리는 파웅 도 우 축제는 타딩윳 축제에 이어 열리는 중요한 행사이다. 이 축제에는 인타족과 샨족 사람들이 화려한 전통 의상을 입고 참여하며, 수십 명의 다리 노꾼이 각 보트 팀과 함께 경주를 펼치는 전통 보트 경주가 열린다. 이 보트 경주는 파웅 도 우 축제의 가장 큰 볼거리 중 하나이다.[14]
호수 마을의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는 전통 은세공이다. 은은 호수 주변 언덕의 광산에서 가져와 배로 운반되며, 관광객들은 은세공 과정을 직접 보고 기념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은세공 외에도 호수에서 운영되는 실크 워크숍도 방문할 수 있다.[15] 또한, 도구, 조각품, 장식품, 직물, 체루트 등 현지 수공예품도 주요 판매 품목이다. 현지 시장은 매일 열리지만, 장소는 호수 주변의 다섯 군데를 번갈아 가며 5일에 한 번씩 열린다.[16] 호수 위에서 열리는 수상 시장은 특히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인레 호수 지역은 직조 산업으로도 유명하다. 미얀마 사람들이 매일 사용하는 샨백은 이곳에서 대량 생산되며, 인레 롱이라고 불리는 독특한 디자인의 고급 수제 실크 직물도 생산된다. 연꽃 섬유로 만든 연꽃 실크는 인레 호수와 캄보디아에서만 생산되는 특별한 직물로, 붓다를 위한 옷인 ''kya thingan''(연꽃 가운)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17]
바간만큼 유명하지는 않지만, Balloons Over Bagan을 통해 인레 호수에서 열기구 비행을 즐길 수도 있다.[18] 호수 근처에는 Red Mountain Estate라는 와이너리도 있다.[19][20]
유럽인 관광객들 사이에서 인레 호수는 바간과 함께 인기 있는 관광지이며, 부유섬과 얕은 곳에 여러 리조트 호텔이 건설되어 있다.[25] 냥쉐가 인레 호수 관광의 거점이 되고 있으며, 관광객은 보트를 이용한 투어에 참가할 수 있다.[34][45]
9월부터 10월까지 3주간[46] 뗏목 축제 (Hpaung Daw U Pagoda|파웅도우(파운도우) 파고다의 축제영어)가 개최된다.[34][47] 파웅도우 우 축제에서는 전설 속의 새 힌타(Hindha)를 본뜬 황금 배 카라웨이(Karaweik)가 호수에 나타난다. 카라웨이는 4척이 준비되어 있으며, 각 배는 파웅도우 우 사원에 안치된 불상을 격납하고 있다. 호수의 각지에 기항한 카라웨이에는 인다족 등 현지 불교도가 참배하러 찾아오고, 노점도 열린다.[48] 축제가 시작된 지 20일이 지난 후, 불상을 실은 카라웨이는 파웅도우 우 사원으로 귀환한다.[25] 카라웨이가 냥쉐에 기항하는 7일째와 카라웨이가 귀환하는 최종일에 보트 경주가 열린다.[49] 전승에 따르면, 뗏목 축제는 파간 왕조의 알라웅시두 왕(재위: 1112년 - 1167년)의 행차가 기원이며, 카라웨이에 싣는 불상은 알라웅시두의 손에 의한 것이라고 전해진다.[50] 참배자가 금박을 불상에 계속 붙여왔기 때문에, 불상은 원형을 알아볼 수 없다.
호수 위의 부유섬에 건설된 가페 사원(Nga Phe)에는 66개의 불상과 554개의 기둥이 늘어서 있다.[51] 서식하는 고양이는 고리 넘기를 하는 습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34][52], 사원은 "점핑 캣 모나스터리(Jumping Cat Monastery)"로 소개되게 되었다.[52] 그 외에 파간 왕조 시대에 건립된 파고다, 호수 북쪽 기슭에는 온천이 존재한다.
5. 3. 수공예 산업
인레 지역은 직조 산업으로 유명하며, 많은 미얀마인들이 토트백으로 매일 사용하는 샨백은 이곳에서 대량 생산된다. 실크-직조는 또 다른 매우 중요한 산업으로, 인레 롱이라고 불리는 독특한 디자인의 고품질 수제 실크 직물을 생산한다. 연꽃 식물 섬유로 만든 연꽃 실크라는 독특한 전통 직물은 인레 호수와 캄보디아에서만 생산되며, ''kya thingan''(연꽃 가운)이라고 불리는 붓다를 위한 특별한 옷을 짜는 데 사용되었다.[17] 1930년대에 인레의 염색 산업은 일시적으로 단절되었지만, 태국에서 기술을 배운 장인에 의해 부흥되었다.[38]현지 사용 및 거래를 위한 수공예품 또한 중요한 상업 원천이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도구, 조각품, 장식품, 직물, 체루트 등이 있다. 현지 시장은 대부분의 일반적인 쇼핑 요구를 충족하며 매일 열리지만, 행사장 위치는 호수 주변의 다섯 군데로 번갈아 가며 열려 각 장소에서는 5일에 한 번씩 시장이 열린다.[16]
6. 환경 문제
인레호는 인구 증가, 농업 및 관광의 급속한 성장으로 여러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벌목과 화전으로 인해 호수로 유입되는 실트와 영양분이 증가하면서 호수가 오염되고, 물옥잠과 같은 외래종 유입으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또한, 호수 주변 마을에서 발생하는 하수와 폐수, 선박 엔진으로 인한 소음 공해 역시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2010년 여름에는 기록적인 고온으로 호수 수위가 5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낮아져 식수 부족과 부유 시장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양곤에 전력을 공급하는 로피타 수력 발전소 가동에도 차질이 발생했다.[11][12]
2015년, 국제 연합은 인레호를 세계 생물권 보전 지역 네트워크에 추가했다. 인레호는 미얀마 최초의 생물권 보전 지역이다.[13]
6. 1. 수면 면적 감소
인레호는 인구 증가, 농업 및 관광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환경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35년부터 2000년까지 65년 동안 인레호의 순수 수면 면적은 69.1km2에서 46.69km2로 32.4% 감소했으며, 이는 1960년대에 도입된 부유식 정원 농업의 발달과 관련이 있다. 특히 호수 서쪽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9]호수 주변 언덕에서의 벌목과 지속 불가능한 경작 방식(화전)은 호수로 유입되는 강에 더 많은 실트와 영양분을 유입시키고 있으며, 특히 서부 및 북부 유역 지역에서 심각하다. 이러한 실트는 호수를 채우고, 영양분은 잡초와 조류의 성장을 촉진한다. 더 심각한 문제는 주로 호수 서쪽에서 이루어지는 부유식 정원 농업의 발달이다. 이 방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유식 농지가 고체 지반이 되면서 호수의 면적을 잠식한다. 최근 호수의 순수 수면 면적 감소의 약 93%(거의 21km2)는 주로 이 농업 방식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농업 활동과 관련된 직접적인 환경적 영향으로는 호수 습지와 주변 언덕의 퇴적, 부영양화, 오염 등이 있다.[9]
호수에 서식하지 않는 식물인 물옥잠(Eichhornia crassipes) 또한 심각한 문제이다. 물옥잠은 빠르게 성장하여 작은 시내와 호수의 넓은 부분을 채우고, 토착 식물과 동물로부터 영양분과 햇빛을 빼앗는다. 지난 20년 동안 대규모 준설 작업과 펌프 사용으로 이 식물의 성장을 어느 정도 제어하는 데 성공했으며, 소규모의 대중 인식 교육과 통제도 효과를 보였다.
어업 개선을 위해 계획된 초어(Ctenopharyngodon idella)와 같은 외래어종 도입도 우려 사항이다.
호수 주변 마을의 위생 문제는 공공 보건 당국의 지속적인 관심사이며, 처리되지 않은 하수(가구의 72%가 변기 대신 개방된 구덩이를 사용) 및 폐수가 호수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이다.[10] 깨끗한 물을 확보하기 위해 일부 마을에서는 밀폐된 우물과 우물물에 대한 공공 접근을 제공한다. 호수의 표면 수질에 대한 일부 연구에 따르면 물은 식용으로 안전하지 않다.[10] 인레호의 물은 용존 산소 범위가 어업 및 수생 생물에 필요한 것보다 낮으며, 아질산, 질산염, 인산염 범위는 이례적으로 높다.[10]
소음 공해 또한 눈에 띄는 문제이다. 소음이 제대로 차단되지 않은 싸구려 디젤 엔진이 스턴 드라이브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소음이 상당하며, 조용한 호수의 평화를 깨뜨린다.
2010년 여름에는 매우 높은 기온으로 인해 호수의 수위가 5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식수를 다른 곳에서 가져와야 했고 부유 시장이 사라질 위험에 처했다.[11] 이전 수도인 양곤에 전력을 공급하던 로피타의 수력 발전소가 최대 용량으로 가동될 수 없었다는 것도 심각한 결과였다.[12]
6. 2. 수질 오염
인레호는 인구 증가, 농업 및 관광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환경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35년부터 2000년까지 65년 동안 인레호의 순수 수면 면적은 69.1km2에서 46.69km2로 32.4% 감소했으며, 이는 1960년대에 도입된 부유식 정원 농업의 발달과 관련이 있다.[9] 특히 호수 서쪽에서 이러한 경작 방식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호수 주변 언덕에서의 벌목과 지속 불가능한 경작 방식(화전)은 호수로 유입되는 강에 더 많은 실트와 영양분을 유입시키고 있으며, 특히 서부 및 북부 유역 지역에서 심각하다. 이러한 실트는 호수를 채우고, 영양분은 잡초와 조류의 성장을 촉진한다. 더 중요한 문제는 주로 호수 서쪽에서 이루어지는 부유식 정원 농업의 발달인데, 이 방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유식 농지가 고체 지반이 되면서 호수의 면적을 감소시킨다. 최근 호수 순수 수면 면적 감소의 약 93%(21km2)는 이 농업 방식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농업 활동과 관련된 직접적인 환경적 영향으로는 호수 습지와 주변 언덕의 퇴적, 부영양화, 오염 등이 있다.[9]
물옥잠(Eichhornia crassipes) 또한 심각한 문제이다. 이 식물은 빠르게 성장하여 작은 시내와 호수의 넓은 부분을 채우고, 토착 식물과 동물로부터 영양분과 햇빛을 빼앗는다. 과거에는 냥쉐로 들어오는 모든 보트가 일정량의 물옥잠을 가져와야 했다. 지난 20년 동안 대규모 준설 작업과 펌프 사용으로 이 식물의 성장을 어느 정도 제어하는 데 성공했으며, 소규모의 대중 인식 교육과 통제도 효과를 보였다.
어업 개선을 위해 계획된 초어(Ctenopharyngodon idella)와 같은 외래어종 도입도 우려 사항 중 하나이다.
호수 주변 마을의 위생 문제는 공공 보건 당국의 지속적인 관심사인데, 처리되지 않은 하수 (가구의 72%가 변기 대신 개방된 구덩이를 사용) 및 폐수가 호수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이다.[10] 신선하고 깨끗한 물을 확보하기 위해 일부 마을에서는 밀폐된 우물과 우물물에 대한 공공 접근을 제공한다. 호수의 표면 수질에 대한 일부 연구에 따르면 물은 식용으로 안전하지 않다.[10] 인레호의 물은 용존 산소 범위가 어업 및 수생 생물에 필요한 것보다 낮으며, 아질산염, 질산염 및 인산염 농도는 이례적으로 높다.[10]
소음 공해 또한 눈에 띄는 문제이다. 싸구려로 소음이 제대로 차단되지 않은 디젤 엔진이 스턴 드라이브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소음이 상당하며, 조용한 호수의 평화를 깨뜨린다.
2010년 여름에는 매우 높은 기온으로 인해 호수의 수위가 5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식수를 다른 곳에서 가져와야 했고, 부유 시장이 사라질 위험에 처했다.[11] 또한, 이전 수도인 양곤에 전력을 공급하던 로피타의 수력 발전소가 최대 용량으로 가동될 수 없었다.[12]
2015년, 국제 연합은 인레호를 세계 생물권 보전 지역 네트워크에 추가했다. 이 네트워크에는 총 120개국에 651개의 사이트가 있지만, 인레호는 미얀마 최초의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13]
6. 3. 외래종 문제
인레호는 인구 증가, 농업 및 관광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환경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1935년부터 2000년까지 65년 동안 인레호의 순수 수면 면적은 69.1km2에서 46.69km2로 32.4% 감소했는데, 이는 1960년대 도입된 부유식 정원 농업의 발달과 관련이 있다.[9] 특히 호수 서쪽에서 이러한 농업 방식이 성행하면서 부유식 농지가 고체 지반으로 변해 호수 면적을 잠식하고 있다. 최근 순수 수면 면적 감소의 약 93%(거의 21km2)는 이 농업 방식 때문으로 추정된다.[9] 이러한 농업 활동은 습지와 주변 언덕의 퇴적, 부영양화, 오염 등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9]물옥잠(Eichhornia crassipes)은 호수에 서식하지 않는 식물이지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물옥잠은 빠르게 성장하여 호수의 넓은 부분을 덮고 토착 식물과 동물로부터 영양분과 햇빛을 빼앗는다. 지난 20년 동안 대규모 준설 작업과 펌프 사용으로 물옥잠의 성장을 어느 정도 제어하는 데 성공했으며, 대중의 인식 교육과 소규모 통제도 효과를 보였다.
어업 개선을 위해 도입된 초어(Ctenopharyngodon idella)와 같은 외래어종 역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호수 주변 마을의 위생 문제도 공공 보건 당국의 관심사인데, 처리되지 않은 하수 (가구의 72%가 변기 대신 개방된 구덩이를 사용) 및 폐수가 호수로 유입되기 때문이다.[10] 일부 마을에서는 밀폐된 우물과 우물물에 대한 공공 접근을 제공하여 깨끗한 물을 확보하고 있지만, 호수의 표면 수질 연구에 따르면 물은 식용으로 안전하지 않다.[10] 인레호의 물은 용존 산소량이 어업 및 수생 생물에 필요한 것보다 낮고, 아질산, 질산염, 인산염 농도는 비정상적으로 높다.[10]
소음 공해 또한 심각한 문제로, 소음 차단 장치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저렴한 디젤 엔진이 스턴 드라이브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소음이 조용한 호수의 평화를 방해한다.
2010년 여름에는 기록적인 고온으로 호수의 수위가 5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식수를 다른 곳에서 가져와야 했고, 부유 시장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11] 또한, 양곤에 전력을 공급하는 로피타의 수력 발전소가 최대 용량으로 가동될 수 없는 문제도 발생했다.[12]
6. 4. 소음 공해
인레호는 소음 공해가 눈에 띄는 문제이다. 싸구려로 소음이 제대로 차단되지 않은 디젤 엔진이 스턴 드라이브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소음이 상당하며, 그렇지 않으면 조용한 호수의 평화를 깨뜨릴 수 있다.참조
[1]
웹사이트
Inlay Lake Ramsar Site
https://rsis.ramsar.[...]
2018-09-10
[2]
서적
The status and distribution of freshwater biodiversity in Indo-Burma
Cambridge, UK and Gland, Switzerland: IUCN
[3]
서적
Inland Fisheries Enhancement and Conservation in Asia
FAO Regional Office for Asia and the Pacific, Bangkok, Thailand
[4]
논문
On the taxonomy of the endemic Inle Lake crab, Inlethelphusa acanthica (Kemp, 1918) (Crustacea: Brachyura: Potamidae) of Myanmar
[5]
웹사이트
Page 16 Col 1
http://www.mrtv3.net[...]
[6]
웹사이트
Inle Lake joins UN list of biosphere sites
http://www.mmtimes.c[...]
2015-06-19
[7]
웹사이트
Inle Lake designated biosphere reserve
http://www.nationmul[...]
2015-06-19
[8]
간행물
''Cyprinus intha''
2011
[9]
논문
Contemporary changes in open water surface area of Lake Inle, Myanmar
2007-04
[10]
논문
Surface water quality and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nle Lake in Myanmar
Japanese Society of Limnology
2006-04-13
[11]
웹사이트
Electricity for Businesses Cut Off in Rangoon
http://www.irrawaddy[...]
The Irrawaddy, May 17, 2010
2010-05-17
[12]
뉴스
Businesses May Close Because of Power Cuts
http://www.irrawaddy[...]
The Irrawaddy, May 21, 2010
2010-05-29
[13]
뉴스
Inle Lake Joins UN List of Biosphere Sites
http://www.mmtimes.c[...]
2017-03-23
[14]
웹사이트
Inle Lake Myanmar
http://inlelake-myan[...]
[15]
웹사이트
Myanmar's Traditional Silversmiths Shine On
http://www.myanmarbu[...]
2017-03-23
[16]
웹사이트
Fifth day markets
http://www.journeysm[...]
JourneysMyanmar
2007-02-19
[17]
웹사이트
The Elegant and Sacred Lotus Robe
http://myanmartravel[...]
Myanmar Travel Information
2007-02-18
[18]
웹사이트
Balloons Over Bagan the Pioneer in Myanmar by Memories Group
https://www.balloons[...]
[19]
웹사이트
Red Mountain Estate Vineyards & Winery
http://www.redmounta[...]
[20]
웹사이트
The Ultimate Guide to Inle Lake
https://www.onceinal[...]
[21]
문서
田村、松田『ミャンマーを知るための60章』、103-105頁
[22]
문서
大野「人と湖」『季刊民族学』4号、68,70頁
[23]
문서
大野「人と湖」『季刊民族学』4号、70頁
[24]
문서
大野「人と湖」『季刊民族学』4号、68頁
[25]
문서
中村「ミャンマー、インレ湖のパンドーウーの祭りと湖畔住民の民俗」『静岡産業大学情報学部研究紀要』14号、2頁
[26]
문서
邸、武田『ミャンマー 仏教遺跡の宝庫を歩く』第2版、178頁
[27]
웹사이트
Page 16 Col 1
http://www.mrtv3.net[...]
[28]
웹사이트
Inlay Lake Biosphere Reserve, Myanmar
https://en.unesco.or[...]
2019-08
[29]
웹사이트
Inlay Lake Ramsar Site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8-09-07
[30]
문서
『もっと知りたいミャンマー』、75頁
[31]
문서
中村「ミャンマー、インレ湖のパンドーウーの祭りと湖畔住民の民俗」『静岡産業大学情報学部研究紀要』14号、21頁
[32]
문서
大野「人と湖」『季刊民族学』4号、77頁
[33]
문서
大野「人と湖」『季刊民族学』4号、70-71頁
[34]
문서
「地球の歩き方」編集室・編『ミャンマー(ビルマ)(2011‐2012年版)』、174-179頁
[35]
문서
大野「人と湖」『季刊民族学』4号、71頁
[36]
간행물
人と湖
季刊民族学
[37]
웹사이트
Fifth day markets
http://www.journeysm[...]
JourneysMyanmar
2007-02-19
[38]
서적
世界の伝統服飾
文化出版局
2001-11
[39]
웹사이트
The Elegant and Sacred Lotus Robe
http://myanmartravel[...]
Myanmar Travel Information
2007-02-18
[40]
논문
Contemporary changes in open water surface area of Lake Inle, Myanmar
http://www.springerl[...]
2007-04
[41]
웹사이트
浮き畑農園で窒息の危機 ミャンマー・インレー湖
https://www.afpbb.co[...]
AFP.BB.News
2023-12-31
[42]
논문
Surface water quality and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nle Lake in Myanmar
http://www.springerl[...]
Japanese Society of Limnology
2006-04-13
[43]
웹사이트
Electricity for Businesses Cut Off in Rangoon
http://www.irrawaddy[...]
The Irrawaddy
2010-05-17
[44]
뉴스
Businesses May Close Because of Power Cuts
http://www.irrawaddy[...]
The Irrawaddy
2010-05-21
[45]
서적
ミャンマー 仏教遺跡の宝庫を歩く
[46]
문서
[47]
간행물
ミャンマー、インレ湖のパンドーウーの祭りと湖畔住民の民俗
静岡産業大学情報学部研究紀要
[48]
간행물
ミャンマー、インレ湖のパンドーウーの祭りと湖畔住民の民俗
静岡産業大学情報学部研究紀要
[49]
간행물
ミャンマー、インレ湖のパンドーウーの祭りと湖畔住民の民俗
静岡産業大学情報学部研究紀要
[50]
간행물
ミャンマー、インレ湖のパンドーウーの祭りと湖畔住民の民俗
静岡産業大学情報学部研究紀要
[51]
서적
ミャンマー 仏教遺跡の宝庫を歩く
[52]
서적
ミャンマー 仏教遺跡の宝庫を歩く
[53]
서적
ミャンマー 仏教遺跡の宝庫を歩く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