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절음자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절음자 운동은 청나라 말부터 중화민국 초까지 중국에서 일어난 문자 개혁 운동으로, 한자를 대체하거나 보조하기 위해 다양한 표음 문자를 개발하려는 시도였다. 이 운동은 '절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서양의 라틴 문자, 일본의 가나, 한글 등 다양한 표음 문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한어 병음 방안만을 지칭하는 의미로 축소되었다. 절음자 운동은 아편 전쟁과 청일 전쟁 이후 심화된 민족 위기와 자본주의의 발전, 그리고 교육 보급의 필요성 등 사회·경제적 배경과 더불어, 민중의 지성 계발을 통한 국가 부강을 추구하는 사상적 배경 속에서 전개되었다. 이 운동을 통해 루좡장의 절음신자, 왕자오의 관화합성자모, 라오나이쉬안의 합성간자 등 다양한 표음 방안들이 제시되었으나, 한계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는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사회 운동 - 2010년 센카쿠 열도 항의 시위
    2010년 센카쿠 열도 항의 시위는 센카쿠 열도 해역에서 발생한 중국 어선과 일본 순시선의 충돌 사건으로 촉발되어 일본의 중국 어선 선장 체포에 중국이 반발하면서 중일 관계가 악화되고 동아시아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켰다.
  •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 광둥어 예일 로마자 표기법
    광둥어 예일 로마자 표기법은 19개의 성모와 53개의 운모를 사용하여 광둥어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분음 부호와 문자 'h'를 조합한 성조 표기가 특징이며 학습자에게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 한어병음
    한어병음은 중국어 발음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1950년대에 개발되어 1958년 공식 채택되었으며 표준 중국어 교육 및 문맹 퇴치에 널리 사용되고, 성모와 운모의 조합 및 성조 부호로 구성되어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절음자 운동

2. 명칭

절음자 운동은 시대와 학자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1900년대를 전후로 '절음 운동'(切音運動)과 '간자 운동'(簡字運動)으로 나누어 부르기도 하고, '절음자 운동'으로 통칭하기도 한다.[1] '절음자'(切音字)는 청나라 말에 모든 표음 문자를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었으나,[2] 점차 청나라 말, 중화민국 초에 제작된 한어 병음 방안만을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축소되었다.[2] 절음자의 별칭으로는 '''합성자'''(合聲字), '''쾌자'''(快字), '''병음자'''(拼音字), '''간자'''(簡字), '''관음자'''(串音字), '''음표자'''(音標字), '''신자'''(新字) 등이 있었다.[1]

'절음'(切音)은 원래 중국어의 주음법인 반절을 뜻하였으나, 오늘날에는 병음을 뜻한다.[2] 이러한 의미 변화는 청나라 말 절음자 운동 때 고착되었다.[2]

3. 배경

절음자 운동은 이전부터 존재했던 한자 개혁 및 한어 병음화 시도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명나라 말 서양 선교사들이 한어 병음 방안을 도입한 이후, 여러 음운학자들이 한자 개혁과 한어 병음화에 힘썼으나 청나라의 해금 정책으로 인해 이러한 움직임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3]

1840년대부터 1890년대까지 위원, 풍계분, 정관잉 등 개화파 지식인들은 서양과 일본의 발전된 교육 제도를 중국에 소개하며 교육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5] 이에 청나라 조정은 1903년과 1904년에 의무 교육 관련 법령을 반포하고, 1905년에는 과거제를 폐지하고 학부를 설립하는 등 근대 교육 개혁을 시도했다.

3. 1. 사회·경제적 배경

1842년 중국은 아편 전쟁 패배로 자본주의 침투가 더욱 깊어졌다.[3] 1894년 청일 전쟁으로 중국은 영토 분할 위기에 처하며 민족 위기가 심화되었다.[4] 한편, 중국의 민족 자본주의는 기초적인 발전을 이루었다.[4] 1861년 시작된 양무운동은 광산물, 철도, 무기 등을 통한 발전을 개혁 노선으로 삼았으며,[1] 1890년대에는 유신파의 개량주의가 사회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4]

3. 2. 사상적 배경

문자 개혁 사상과 한어 병음 방안은 절음자 운동 이전부터 존재하였다. 최초의 한어 병음 방안은 17세기 초 명나라 만력제 때 중국에 온 서양의 선교사들이 소통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하였다.[3] 그 뒤로 많은 음운학자들이 한자 개혁과 한어 병음화 작업에 뛰어들었으나, 청나라 때 해금 정책으로 인해 침묵에 잠겼다.[3] 1800년에 황겸은 민난어 운서 《휘음묘오》에서 삼추성자법을 제작하였다.[3] 아편 전쟁 이후 외국의 선교사들은 《성경》을 각지 방언으로 번역하였는데, 일부에는 한자 대신 소위 교회 로마자를 사용하였다.[3] 한편 이정신 등 또한 서양을 본받아 병음 문자를 제작하였다.[3]

1842년에 중국은 아편 전쟁 패전으로 인해 자본주의의 침투가 더욱 깊어졌다.[3] 1894년에 청일 전쟁으로 인해 중국은 영토가 분할될 위험에 처하여 민족 위기가 심화되었다.[4] 한편 중국의 민족 자본주의는 기초적인 발전을 이루었다.[4] 1861년에 시작된 양무운동은 광산물, 철도, 무기 등을 통한 발전을 개혁 노선으로 삼았으며,[1] 1890년대에는 유신파의 개량주의가 사회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4]

1840년대부터 1890년대까지 위원, 풍계분, 에른스트 파버, 정관잉, 윌리엄 알렉산더 파슨스 마틴, 황준헌, 설복성 등은 서양과 일본의 교육 상황을 중국에 전파하였다.[5] 청나라 조정은 1903년과 1904년에 의무 교육에 관한 내용이 실린 《흠정학당장정》과 《주정학당장정》을 반포하였다. 1905년에는 과거제가 폐지되고 학부가 설립되면서 중국 근대 교육이 초기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절음자 운동가들은 국가가 부강해지려면 민중의 지성이 깨어있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을 보급하여 글을 아는 사람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절실하다고 보았다. 이들은 자국이 서양이나 일본과 달리 교육이 충분히 보급되지 않아 글을 모르는 사람의 비율이 80%에 달함을 관찰하였으며, 교육 보급을 위해서는 절음자와 같이 단순하고 말과 글이 일치하는 문자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들은 한자 폐기를 주장하지는 않았다. 다만 이들은 절음자가 한자를 읽기 위한 도구일 뿐 아니라 그 자체로 문자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여겼다.[1]

4. 주요 인물 및 작품

1892년부터 1910년까지 최소 27가지의 병음 방안이 만들어졌다.[1] 이 방안들은 한자 필획, 라틴 문자, 속기 기호, 숫자식, 자체 제작 기호 등 다양한 형식을 사용했으며, 한자 필획 형식이 가장 많았다. 초기에는 지방음 표기용 방안이 많았으나, 점차 관화음 표기 방안 위주로 제작되었다. 루좡장, 왕자오, 라오나이쉬안 등 다양한 인물들이 절음자 운동에 참여하여 병음 방안을 제시하였다.

저자[1]본적지출판 연도[1]작품명[1]방안 이름기준음[1]기호 형식기타
차이시융(蔡錫勇)푸젠성 룽시현[9]1896《전음쾌자(傳音快字)》[2]관화음속기 기호
선쉬에(沈學)장쑤성 우현[9]1896《성세원음(盛世元音)》성세원음, 천하공자(天下公字)[2]우음속기 기호
리제싼(力捷三)푸젠성 융타이현[10]1896《민강쾌자(閩腔快字)》[2]푸저우음속기 기호
1902《무사자통절음관화자서(無師自通切音官話字書)》관화음속기 기호
왕빙야오(王炳耀)광둥성 둥관현[10]1897《병음자보(拼音字譜)》병음자(拼音字)[2]광둥음라틴 문자와 속기 기호
차이위안페이(蔡元培)저장성 사오싱현[11]1898《절음과본(切音課本)》사오싱음-
톈팅쥔(田廷俊)후베이성 장링현[10]1901《수목대자결(數目代字訣)》후베이음숫자식
1906《병음대자결(拼音代字訣)》, 《정음신법(正音新法)》후베이음한자 필획(라틴 문자 형식의 대음 방안을 갖춤)
천추(陳虬)저장성 루이안현[13]1903《신자구문칠음탁(新字甌文七音鐸)》, 《구문음회(甌文音匯)》원저우음한자 필획
리위안쉰(李元勛)허난성[10][9]1904《대성술(代聲術)》(미상)한자 필획
류멍양(劉孟揚)직례성[1] 톈진현[9]1904《천뢰흔(天籟痕)》관화음한자 필획
1908《중국음표자서(中國音標字書)》음표자(音標字)[2]관화음라틴 문자
양충(楊瓊), 리원즈(李文治)윈난성 다리현[10]1905《형성통(形聲通)》형성통용문자(形聲通用文字)[14]운서(즉, 기준 지방음을 두지 않되 각지 방언에 두루 적용될 목적으로 제작됨, 이하 동일)한자 필획
주원슝(朱文熊)장쑤성 쿤산현 천무진[16]1906《강소신자모(江蘇新字母)》우음라틴 문자
선사오허(沈韶和)장쑤성 자딩현[10]1906《신편절음특별과본(新編簡字特別課本)》수마문자(數碼文字)[14]운서숫자식
구이한샹(貴翰香)(만주 정홍기인)[17]1907(미상)저장음-
장캉후(江亢虎)안후이성 징더현 장촌(장시성 이양현 타오완에서 태어남)[18]1908《통자(通字)》관화음라틴 문자
마티첸(馬體乾)직례성[1] 싼허현[10]1908《관음자표(串音字標)》[2]관화음한자 필획(갑골문식)
쑹수(宋恕)저장성 핑양현[19]1909《송평자신자(宋平子新字)》원저우음한자 필획
류스언(劉世恩)-1909《음운기호(音韻記號)》[2]관화음자체 제작 기호
황쉬바이(黃虛白)허난성[1] 샹푸현[10]1909《한문음화간이식자법(漢文音和簡易識字法)》관화음한자 필획
1909《납정문억해(拉丁文臆解)》관화음라틴 문자
정둥후(鄭東湖)광둥성 샹산현[10]1910《절음자설명서(切音字說明書)》절음자[2]운서한자 필획


4. 1. 주요 인물

저자 [1]본적지출판 연도 [1]작품명 [1]방안 이름기준음 [1]기호 형식기타
루좡장(盧戇章)푸젠성 퉁안현 [6]1892《일목요연초계(一目了然初階)》, 《신자초계(新字初階)》중국제일쾌절음신자(中國第一快切音新字),[7] 절음신자(切音新字)[2]샤먼음, 장저우음, 취안저우음라틴 문자
1906《중국절음자모북경절음교과서(中國切音字母北京切音教科書)》, 《중국자모북경절음합정(中國字母北京切音合訂)》관화절음자모(官話切音字母)[8]관화음, 취안저우음, 장저우음, 푸저우음, 광저우음한자 필획
왕자오(王照)직례성 [1] 닝허현 [12]1900《관화합성자모(官話合聲字母)》관화합성자모, 관화자모(官話字母)[7]관화음한자 편방
라오나이쉬안(勞乃宣)저장성 퉁샹현 [15]1905, 1906《증정합성간자보(增訂合聲簡字譜)》, 《중정합성간자보(重訂合聲簡字譜)》, 《간자전보(簡字全譜)》, 《간자보록(簡字譜錄)》합성간자(合聲簡字), 간자(簡字)[2]난징음, 우음, 민한자 편방


4. 2. 주요 작품 및 방안

1892년부터 1910년까지 최소 27가지의 병음 방안이 만들어졌다.[1] 각 방안은 하나 또는 여러 방언의 발음을 표기할 수 있었으며, 시기별, 출신 지역별, 기호 형식별 특징을 보였다.

저자[1]본적지출판 연도[1]작품명[1]방안 이름기준음[1]기호 형식기타
루좡장(盧戇章)푸젠성 퉁안현[6]1892《일목요연초계(一目了然初階)》, 《신자초계(新字初階)》중국제일쾌절음신자(中國第一快切音新字),[7] 절음신자(切音新字)[2]샤먼음, 장저우음, 취안저우음라틴 문자
1906《중국절음자모북경절음교과서(中國切音字母北京切音教科書)》, 《중국자모북경절음합정(中國字母北京切音合訂)》관화절음자모(官話切音字母)[8]관화음, 취안저우음, 장저우음, 푸저우음, 광저우음한자 필획
차이시융(蔡錫勇)푸젠성 룽시현[9]1896《전음쾌자(傳音快字)》[2]관화음속기 기호
선쉬에(沈學)장쑤성 우현[9]1896《성세원음(盛世元音)》성세원음, 천하공자(天下公字)[2]우음속기 기호
리제싼(力捷三)푸젠성 융타이현[10]1896《민강쾌자(閩腔快字)》[2]푸저우음속기 기호
1902《무사자통절음관화자서(無師自通切音官話字書)》관화음속기 기호
왕빙야오(王炳耀)광둥성 둥관현[10]1897《병음자보(拼音字譜)》병음자(拼音字)[2]광둥음라틴 문자와 속기 기호
차이위안페이(蔡元培)저장성 사오싱현[11]1898《절음과본(切音課本)》사오싱음-
왕자오(王照)직례성[1] 닝허현[12]1900《관화합성자모(官話合聲字母)》관화합성자모, 관화자모(官話字母)[7]관화음한자 편방
톈팅쥔(田廷俊)후베이성 장링현[10]1901《수목대자결(數目代字訣)》후베이음숫자
1906《병음대자결(拼音代字訣)》, 《정음신법(正音新法)》후베이음한자 필획(라틴 문자 형식의 대음 방안을 갖춤)
천추(陳虬)저장성 루이안현[13]1903《신자구문칠음탁(新字甌文七音鐸)》, 《구문음회(甌文音匯)》원저우음한자 필획
리위안쉰(李元勛)허난성[10][9]1904《대성술(代聲術)》(미상)한자 필획
류멍양(劉孟揚)직례성[1] 톈진현[9]1904《천뢰흔(天籟痕)》관화음한자 필획
1908《중국음표자서(中國音標字書)》음표자(音標字)[2]관화음라틴 문자
양충(楊瓊), 리원즈(李文治)윈난성 다리현[10]1905《형성통(形聲通)》형성통용문자(形聲通用文字)[14]운서(즉, 기준 지방음을 두지 않되 각지 방언에 두루 적용될 목적으로 제작됨, 이하 동일)한자 필획
라오나이쉬안(勞乃宣)저장성 퉁샹현[15]1905, 1906《증정합성간자보(增訂合聲簡字譜)》, 《중정합성간자보(重訂合聲簡字譜)》, 《간자전보(簡字全譜)》, 《간자보록(簡字譜錄)》합성간자(合聲簡字), 간자(簡字)[2]난징음, 우음, 민한자 편방
주원슝(朱文熊)장쑤성 쿤산현 천무진[16]1906《강소신자모(江蘇新字母)》우음라틴 문자
선사오허(沈韶和)장쑤성 자딩현[10]1906《신편절음특별과본(新編簡字特別課本)》수마문자(數碼文字)[14]운서숫자식
구이한샹(貴翰香)(만주 정홍기인)[17]1907(미상)저장음-
장캉후(江亢虎)안후이성 징더현 장촌(장시성 이양현 타오완에서 태어남)[18]1908《통자(通字)》관화음라틴 문자
마티첸(馬體乾)직례성[1] 싼허현[10]1908《관음자표(串音字標)》[2]관화음한자 필획(갑골문식)
쑹수(宋恕)저장성 핑양현[19]1909《송평자신자(宋平子新字)》원저우음한자 필획
류스언(劉世恩)-1909《음운기호(音韻記號)》[2]관화음자체 제작 기호
황쉬바이(黃虛白)허난성[1] 샹푸현[10]1909《한문음화간이식자법(漢文音和簡易識字法)》관화음한자 필획
1909《납정문억해(拉丁文臆解)》관화음라틴 문자
정둥후(鄭東湖)광둥성 샹산현[10]1910《절음자설명서(切音字說明書)》절음자[2]운서한자 필획


참조

[1] 저널 “声入心通”:清末切音字运动和“国语统一”思潮的纠结 http://jds.cass.cn/w[...] 2010
[2] 저널 切音字的内涵与外延 http://ybs.blcu.edu.[...] 2018-07-05
[3] 저널 近代福建切音字运动史论——切音字运动和汉字改革 2001-09
[4] 저널 清朝末年的汉字改革和汉语拼普运动——纪念“切音字”运动70周年(1892—1962) 1962
[5] 저널 切音字运动普及教育的主张 http://ybs.blcu.edu.[...]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18-07-14
[6] 저널 卢戆章与清末的切音字运动 2015
[7] 저널 《一目了然初阶》与切音字运动引发讨论的内容、性质和意义 http://www.nssd.org/[...] 2018-07-14
[8] 저널 卢戆章对语文现代化的贡献 1992
[9] 서적 罗常培文集 山东教育出版社 1999
[10] 서적 近代文化生态及其变迁 百花洲文艺出版社 2001
[11] 서적 追忆蔡元培 生活·读书·新知三联书店 2009-04
[12] 저널 王照与官话合声字母的创行 1992
[13] 저널 陈虬思想变迁研究 http://www.cssn.cn/g[...] 2018-07-05
[14] 서적 零ZERRO:世界符号大全 中央编译出版社 2010-12
[15] 저널 切音字运动始末 1992
[16] 저널 悼念朱文熊先生 1961
[17] 저널 从贵林之死看辛壬之际的种族与政治 http://jds.cass.cn/z[...] 2018-07-05
[18] 서적 李大钊北京十年(交往篇) https://books.google[...] 中央编译局 2015-06-09
[19] 서적 执中鉴西的经世致用与近代社会转型 https://books.google[...] 中华书局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