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찰위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찰위성은 궤도와 역할, 송수신 방식에 따라 구분되며, 탄도 미사일 조기 경보, 핵폭발 감지, 전자 정찰, 광학 영상 감시, 레이더 영상 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초기에는 필름을 회수하는 방식이었으나, 현재는 디지털 카메라와 전파 신호를 이용한다. 정찰위성의 성능은 해상도, 촬영 빈도, 시간적 임의성 등으로 측정되며, 미국, 러시아, 프랑스, 이스라엘,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개발 및 운용하고 있다. 정찰위성은 군사적 목적 외에도 자연 재해 대응, 인권 보호 등에도 활용되지만, 감시와 사생활 침해, 국제 안보 문제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찰위성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정찰위성 - 아리랑 5호
    아리랑 5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SAR 관측 위성으로, 2013년 러시아에서 발사되어 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획득이 가능하며 재난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정찰위성
개요
유형군사 위성
용도정보 수집
국가여러 국가
역사
최초 배치1950년대 후반
주요 프로그램코로나
기술적 특징
센서광학 카메라
레이더
적외선 센서
정보 전송암호화된 무선 통신
운용
운용 주체국가 정보국
국가 정찰국
기타 정부 기관
임무 유형이미지 정보
신호 정보
미사일 경보
대항 수단기만책 및 사이버 보안
중요성
군사적 중요성전략적 정보 수집
국가 안보
논란감시 및 개인 정보 보호 문제

2. 종류

정찰위성은 궤도와 역할, 송수신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12]


  • 탄도 미사일 조기 경보: 탄도 미사일 발사를 탐지하여 공격 경보를 제공한다. 초기 사례는 미사일 방어 경보 시스템이다.
  • 핵폭발 감지: 우주에서 핵폭발을 감지한다. 초기 사례는 벨라이다.
  • 전자 정찰: 신호 정보를 수집하고 미약한 전파를 감청한다. 초기 사례는 솔라드이다.[13]
  • 광학 영상 감시: 지구 관측 위성의 일종으로, 위성 사진을 촬영한다. 개략적인 조사나 정밀 망원 렌즈 촬영이 가능하다. 초기 사례는 코로나이며, 분광 영상이 일반적이다.
  • 레이더 영상 감시: 대부분 우주 기반 레이더는 합성 개구 레이더를 사용한다. 야간이나 구름 속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초기 사례는 소련의 US-A 시리즈이다.


영공 침범에 해당하지 않고 공격받기 어려운 우주 공간에서 지상과 해상의 넓은 범위를 관측하며, 가상 적국의 군대, 군사 기지 등 주요 전략 목표의 위치와 움직임을 촬영한다.

1959년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냉전 대립 시기에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행정부 하의 미국이 "코로나"라는 광학 정찰 위성을 발사했다. 그러나 본격적인 개발은 "U-2 격추 사건" 이후에 이루어졌다.

이후 각국에서 성능이 향상된 위성들이 발사되었고, 현재도 다수가 운용 중이다. 전파를 이용한 레이더 정찰 위성과 합성 개구 레이더(SAR) 정찰 위성의 등장으로 야간이나 구름과 관계없이 지상 이미지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적외선을 포함한 광학 및 SAR 정찰 위성은 많은 선진국에서 운용 중이지만, 군사 기밀로 인해 자세한 정보는 불분명한 경우가 많다.

전술 목적의 정찰 위성 활용은 소규모 전투 부대가 정찰대를 파견하는 대신 위성 이미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 전투 현장 작전 수립에 사용하는 것이다. (글로벌 정보 그리드 계획, GIG) 최근 미군은 이 계획에 록히드 마틴, 보잉,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 이 계획은 정찰 위성 촬영 정보를 미군 사령부뿐만 아니라 전선 기지, 전투기, 전차, 병사 개인에게까지 전용 단말기로 실시간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본은 IGS(정보 수집 위성)로 광학 및 레이더 위성 2기씩 총 4기를 목표로 2003년 3월 발사를 시작했다. 2003년 11월 H-IIA 로켓 6호기 발사 실패로 광학 2호기와 레이더 2호기 2기를 손실하여 4기 체제 구축이 연기되었다. 2007년 2월 24일 H-IIA 로켓 12호기 발사로 레이더 2호기(재명명) 궤도 투입에 성공, 4기 체제를 갖추는 듯했으나 레이더 1호기 고장으로 완성되지 못했다. 2013년 1월 27일 레이더 4호기 발사로 10년 만에 4기 체제가 완성되었다. 2015년 2월 1일 레이더 예비기를 투입하여 레이더 위성은 사실상 3기 체제가 되었다. 2018년 6월까지 13회 발사에서 광학 위성 6기, 레이더 위성 7기(예비기 포함), 광학 실증 위성 2기 궤도 투입에 성공했으며, 광학 위성 1기와 레이더 위성 1기 궤도 투입에 실패했다.

초기 정찰 위성은 우주 공간에서 촬영한 사진 필름을 대기권 진입 가능한 낙하산이 달린 캡슐에 담아 지상으로 투하 및 회수했다. 공중에서 항공기로 회수하는 방식도 있었다. 현재는 CCD 이미지 센서나 CMOS 이미지 센서의 반도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고, 위성 내 디지털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파 신호로 지상국에 전송한다.

인간에 의한 정찰 촬영을 위한 유인 우주 정거장도 계획 및 운용되었으나(미국 발전형 제미니 계획·유인 궤도 실험실, 구 소련 알마즈 등), 성과를 얻지 못하고 고해상도 비디오 카메라 무인 촬영으로 대체되었다.

합성 개구 레이더(SAR) 촬영은 우천, , 안개에 의한 감쇠가 적어 편리하지만, 해상도는 광학식보다 낮다. 광학식 촬영은 가시광선만으로는 주간, 구름 없을 때만 가능하므로 적외선을 사용한다.

'''라크로스''' 개발비는 100억달러, 1기당 제조 비용은 10억달러로 추정된다.

미국은 광학 및 SAR 위성 외에 해양 감시 위성, 전자·통신 정보 수집 위성, 조기 경보 위성, 국방 기상 위성 등을 보유하며, 여러 정보 기관이 이들 이용에 관여한다.

KH 위성의 접근 촬영을 위한 타원 궤도 변경은 통상 4~5년 운용 기간을 2년 정도로 단축시킨다.

2007년 9월 현재, 미국 정찰 위성 운용 및 개발은 미국 국방부 소속 미국 국가 정찰국(NRO)이 담당하며, 분석은 NGA가 수행한다. 2004년까지는 국가 영상 지도국(NIMA)으로 불렸다.

2. 1. 광학 정찰위성

광학 정찰 위성은 지구 저궤도를 돌며 고성능 카메라로 촬영하는 위성이다. 과거에는 필름을 캡슐에 담아 낙하시켜 사진을 회수했지만, 현재는 디지털 영상 처리 기술의 발달로 이 방식은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12] 초창기 광학 정찰 위성은 수명이 일주일도 안 되었지만, 현재는 3~5년 정도의 수명을 가진다.[12]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이 냉전으로 대립했던 1959년에, 아이젠하워 행정부 하의 미국이 "코로나"라는 광학 정찰 위성을 처음으로 발사했다. 하지만 본격적인 개발은 "U-2 격추 사건" 이후부터였다.

이후 여러 나라에서 성능이 향상된 위성이 많이 발사되었고, 현재도 다수가 운용되고 있다. 또한 전파를 사용한 레이더 정찰 위성이나 합성 개구 레이더(SAR) 정찰 위성의 등장으로 밤이나 구름에 관계없이 우주에서 지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적외선을 포함한 광학형과 SAR형 정찰 위성은 현재 많은 선진국에서 발사되어 운용되고 있지만, 군사 기밀이기 때문에 자세한 정보는 불명확한 경우가 많다.

정찰 위성의 성능은 촬영된 지상 정보의 해상도와 촬영 빈도 및 시간적 임의성으로 측정된다. 분해능이나 해상도를 나타내는 미터센티미터 단위의 수치는 "식별 가능한 물체의 크기"가 아니라 "촬영 이미지의 화소 한 변의 길이에 해당하는 지상 물체의 길이"를 의미한다.[19] 해상도에 따른 식별 가능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해상도식별 가능한 정보
10m큰 건물을 간신히 감지
5m건물의 존재를 식별
2.5m건물의 종류를 간신히 구별
1m건물의 종류와 차량의 존재를 식별
50cm차량의 종류를 간신히 구별
25cm차량의 종류를 식별
10cm한 대 한 대의 차량에 대해 설명



초창기 광학 정찰 위성의 해상도는 10m 정도였지만, 현재는 30cm 이하로 알려져 있다. 정찰 위성의 해상도는 위성에 탑재된 광학 기기 등의 성능과 함께 촬영 고도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미국의 대표적인 정찰 위성인 '''KH'''('''키홀''') 위성 시리즈의 최신형은 필요에 따라 500km-600km의 일반적인 궤도 고도에서 150km까지 낮춰 촬영함으로써, 해상도 10cm 이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해상도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별은 지상의 정찰 정보 분석팀이 수행하므로, 훈련과 경험에 의해 분석·식별 능력이 높은 팀이 있는 국가에서는 그만큼 식별 능력이 높아진다. 즉, 지상에서의 분석팀의 능력이 향상되면 우주 공간의 위성이 바뀌지 않아도 더 가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지상 팀이 능력 부족이면 놓치는 부분이 많아지고, 위성이 세계 최고 성능이라도 얻을 수 있는 정보 가치는 저하된다. 예를 들어 일본은 비교적 분석팀의 역사가 짧고 인원수도 적으므로, 아무리 높은 해상도의 위성을 보유하더라도 오랜 역사를 가진 미국 국가지리정보국(NGA) 수준에 도달하기에는 아직 시간이 걸린다.

초기 정찰 위성은 우주 공간에서 촬영한 사진 필름을 대기권 진입이 가능한 낙하산이 달린 튼튼한 캡슐에 담아 지상으로 투하・회수하는 방식이었다. 현재는 CCD 이미지 센서나 CMOS 이미지 센서의 반도체 촬상 소자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고, 위성 내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암호 변환한 후, 전파 신호로 지상국으로 전송하고 있다.

광학식 촬영도 가시광선만으로는 주간이고 구름이 가리지 않을 때만 촬영할 수 있으므로, 적외선을 사용하고 있다.

KH 위성의 접근 촬영을 위한 변칙적인 타원 궤도로의 궤도 변경은, 통상 4~5년의 위성 운용 기간을 2년 정도로 단축시킨다고 한다.

2. 2. 레이더 정찰위성 (SAR 위성)

합성 개구 레이더(SAR, 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은 마이크로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구름, 눈, 안개와 같은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주야간 언제나 넓은 지역의 고화질 영상을 얻을 수 있다.[12]

안테나에서 마이크로파를 쏘아 물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받아 2차원 영상을 만드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기술은 물 표면 변화 분석을 통해 해양 연구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지형 및 토양의 수분 함량 정보도 제공한다.

2000년대 이후, SAR 위성 고유의 간섭기법을 활용하여 세계 각국에서 빙하 감소, 화산 활동, 지진 등 지표 변화를 측정하고 있다.

SAR 기술은 1967년 미국이 파나마 지질 조사를 위해 처음 사용했으며, 1970년대에는 항공기 탑재가 가능한 고성능 SAR이 개발되었다.

한국은 2011년 아리랑 5호에 SAR 탑재를 계획했으나, 개발 지연으로 인해 2012년에 발사되었다.

2. 3. 신호 정보 (SIGINT) 위성

신호 정보(SIGINT) 위성은 미약한 전파를 감청한다. 솔라드가 가장 초기의 사례이다.[13] 감청위성은 적국의 통신을 도·감청하는 위성이다. 보통 수km에 달하는 와이어 안테나를 늘어뜨리고 적국의 통신을 감청하는 수법을 쓴다. 1960년대부터 에셜론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2. 4. 조기 경보 위성

탄도 미사일 발사를 탐지하여 공격 경보를 제공한다. 가장 초기의 사례는 미사일 방어 경보 시스템이다.

DSP위성은 정지 궤도에서 운용하는 위성으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다. 정지궤도 위성이기 때문에 보통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기를 배치하며, 미국의 SDI(Strategic Defense Initiative) 프로젝트의 산물로 소련의 대륙간 탄도미사일 발사를 감시하는 역할을 맡았다.[12]

현재는 MD(Missile Defense) 체계의 일부분으로 세계의 다양한 미사일 발사를 감시하고 있다.[12]

처음에는 미사일 추진체가 내는 열과 빛을 적외선 센서가 감시하는 방법을 사용했으나, 발전소의 열이나 산에 반사된 햇빛을 잘못 인식하여 적국의 탄도미사일 발사로 오해하는 일이 생기자 로켓이 연소될 때 생기는 이산화탄소나 대기 중 비행운으로 인한 수증기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을 같이 사용하게 되었다.[12]

2. 5. 핵폭발 감지 위성

우주에서 핵폭발을 감지하는 위성이다. 벨라가 가장 초기의 사례이다.

3. 역사

영공 침범에 해당하지 않고, 비교적 공격을 받기 어려운 우주 공간에서 지상·해상의 넓은 범위를 내려다보며, 가상 적국의 군대군사 기지 등 중요한 전략 목표의 위치, 움직임을 촬영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정찰위성이다.

1950년대 중후반, 미국소련은 모두 정찰 위성에 관심을 가졌다. 1955년 3월 16일, 미국 공군은 "잠재적 적의 전쟁 수행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지구의 미리 선택된 지역"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첨단 정찰 위성의 개발을 공식적으로 명령했다.[6] 소련은 스푸트니크 개발을 승인하는 법령에서 사진 정찰 위성 프로그램도 승인한 것으로 보이며, 보스토크와 무인 정찰 위성 제니트로 발전했다. 제니트는 1961년부터 1994년까지 발사되었다.[10][11]

러시아는 1996년 말까지 영상정찰위성을 804회(34회 실패)나 발사했다. 최근 발사 빈도는 줄었지만, 경제적 이유뿐만 아니라 3세대 위성(수명 2~3주)에서 4~5세대 위성(수명 2개월~1년)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96년 4세대 위성 실패로 1996년 9월부터 1997년 4월까지 정찰위성을 보유하지 못했다.

러시아의 1~3세대 정찰위성 제니트는 1962년 4월 코스모스 4호부터 시작됐다. 마지막 제니트는 1994년 6월에 발사됐으나, 1995년 9월 레수르스 F2로 다시 발사됐다. 4세대 얀타르위성은 1974년 12월에 처음 발사됐고, 주기적으로 두 개의 필름캡슐을 보냈으며 수명은 6~8주였다. 코메타는 1981년 2월부터 발사되어 지도제작 임무를 수행했고, KVR-1000 카메라는 0.75m의 해상도를 지녔다.

러시아의 5세대 위성은 1995년 파리 에어쇼에서 디지털 영상시스템 탑재 모델이 선보인 후, 1995년 9월에 발사해 1년 동안 사용했지만, 1997년 중반까지 더 이상 발사되지 않았다. 러시아는 6~7세대 위성과 원자력 RORSAT 프로그램도 있다.

프랑스는 1985년부터 상업용 지구관측위성 스폿을 기반으로 군사정찰위성 개발을 시작했다. 미국의 스타워즈에 대비, 소련의 공격 능력 증진으로 프랑스도 정보 능력을 높일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프랑스 최초의 정찰위성 엘리오스(Helios) 1호는 1995년 7월에 발사, 해상도는 약 1m였다. 1999년 12월 엘리오스 1B 위성 발사, 현재 운용 중이다. 전자광학 및 적외선카메라 탑재, 해상도 0.5m의 엘리오스 2호는 2004년 12월 준비행모델을 발사, 비행모델 발사를 준비 중이다. 2006년에는 독일과 합성개구레이다 사용 시리우스/호러스 위성을 발사했다.

이스라엘은 1995년 4월 새비트 로켓으로 오펙 3호 위성을 발사했다. 초기 시험용 위성이었으나, 이후 2m 해상도 카메라시스템 탑재 정찰위성으로 확인됐다. 1997년 발사한 오펙 4호는 1m 해상도 군사정찰위성이었으나 발사에 실패했다. 2002년 5월 오펙 5호 발사, 운영, 2004년 9월 1억 달러 상당 오펙 6호 발사 실패. 현재 오펙 7호 전자광학카메라위성과 합성개구레이다위성 개발, 2006년 발사했다.

잠수정은 정찰위성으로 찾지 못할 수 있다. 전자광학카메라나 합성개구레이다는 물속 깊이 있는 물체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항구 정박 잠수정이 장시간 보이지 않을 때 침투를 의심, 대비한다.

전술 용도로의 정찰 위성 이용은, 소규모 전투 부대가 정찰대 대신 정찰 위성 이미지 데이터를 실시간 입수, 전투 현장 작전 입안에 사용(글로벌 정보 그리드 계획=GIG)하는 것이다. 미군은 록히드 마틴, 보잉,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공동 기업체를 설립, 정찰 위성 촬영 정보를 미군 사령부, 전선 기지, 전투기, 전차, 병사에게 전용 단말기로 실시간 전달한다.

3. 1. 미국

미국의 영상정찰위성은 코로나/디스커버러(KH-1~KH-4) 시리즈로 시작되었다. 이후 지역 조사를 위한 KH-9 빅버드와 정밀 관측을 위한 KH-11로 발전했다. 1958년 2월,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필름 회수형 정찰위성 시스템 개발 책임을 중앙정보국(CIA)에 부여했다. 1960년 5월 1일, 중앙정보국의 U-2기가 소련에 격추되면서, 미국은 소련의 전략무기 시스템과 기지를 감시할 필요성이 커졌고, 그해 8월 최초의 정찰위성인 코로나/디스커버러(KH-1)를 발사했다.

코로나/디스커버러는 1962년 초까지 30회 발사 후 사라졌다. 그 뒤를 이은 코로나(KH-4)는 1972년까지 운용되며 소련의 대륙간탄도탄 기지 영상을 주로 확보했다. 코로나 시리즈 중 하나인 아르곤(KH-5)은 미 육군의 위성지도 작성 계획을 위해 발사되었다. 당시 소련의 미사일이 지하에 배치되기 시작하면서 소련 군사 동향 파악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빅버드(KH-9)는 지역 조사와 특정 지역 정밀 관측을 수행한 미 공군의 주 정찰위성이었다. KH-11부터는 CCD를 이용한 전자광학 카메라가 도입되어 필름 회수가 불필요해졌다. KH-11의 고급형인 최신 정찰위성 KH-12는 해상도가 15cm에 이른다.

래크로스는 최초의 고해상도 레이다 영상위성으로, 1988년 2월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호에 의해 발사되었다.

미국의 영상정찰위성
위성 이름발사 시기해상도특징
코로나/디스커버러(KH-1~KH-4)1960년 8월 ~ 1962년 초15m (초기), 1.5m (후기)필름 회수 방식
코로나(KH-4)1972년까지1.5m파노라마 구현
아르곤(KH-5)--미 육군 위성지도 작성 계획
빅버드(KH-9)-0.6m지역 조사 및 정밀 관측
KH-11--CCD 이용 전자광학카메라
KH-12-15cm대구경 망원경, 고정밀 CCD 센서
래크로스1988년 2월1m고해상도 레이다 영상위성



1955년 3월 16일, 미국 공군은 "잠재적 적의 전쟁 수행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지구의 미리 선택된 지역"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첨단 정찰 위성의 개발을 공식적으로 명령했다.[6]

1950년대 중후반, 미국은 1959년에 시작하여 1972년에 종료된 CORONA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촬영 금지 지역 촬영, U-2 대체, 서방과 소련 간 기술 격차에 대한 대중의 우려 때문에 우선순위가 되었다.[7][8] 1960년 U-2 격추 사건 이후 이 프로젝트는 크게 가속화되었다.[9]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이 냉전으로 대립했던 1959년에, 아이젠하워 행정부 하의 미국은 광학 정찰 위성 "코로나"를 발사했다. 하지만 본격적인 개발 착수는 "U-2 격추 사건"부터이다.


  • 미국: NOSS(미 해군 광역 해상 감시 시스템), SBIRS 등
  • * 코로나: 디스커버러 계획의 위성
  • * KH-5, KH-6, KH-7, KH-8, KH-9: 코로나 후속기의 필름 리턴형 사진 정찰 위성.
  • * KH-11, KH-12: 촬영한 화상을 무선 전송하는 형의 정찰 위성. 현행 최신형.
  • * KH-13: 미국의 최신 정찰 위성 시리즈

3. 2. 소련/러시아

1950년대 중후반, 미국과 소련은 모두 정찰 위성에 관심을 가졌다. 1955년 3월 16일, 미국 공군은 "잠재적 적의 전쟁 수행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지구의 미리 선택된 지역"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첨단 정찰 위성의 개발을 공식적으로 명령했다.[6] 한편, 소련에서는 스푸트니크 개발을 승인하는 법령에서 사진 정찰에 사용될 위성 프로그램도 승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설계는 보스토크로 발전했으며, 또 다른 버전은 무인 정찰 위성인 제니트가 되었다. 제니트는 1961년부터 1994년까지 발사되었지만, 1994년의 마지막 비행은 테스트 탑재체였다.

CORONA와 제니트 위성은 모두 필름을 회수하고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필름을 지구로 반환하지 않고 사진을 전송할 수 있는 미래의 정찰 위성과는 달랐다.[10][11]

3. 3. 기타 국가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이 냉전으로 대립했던 1959년, 아이젠하워 행정부 하의 미국에 의해 먼저 광학 정찰 위성 "코로나"가 발사되었다. 하지만 본격적인 개발 착수는 "U-2 격추 사건"부터이다.[20]

이후 각국에서 많은 성능 향상형 위성이 발사되었고, 현재도 다수가 운용되고 있다. 또한 전파를 사용한 레이더 정찰 위성이나 그 성능·기능 향상형의 합성 개구 레이더(SAR, Synthetic Aperture Radar) 정찰 위성의 등장으로 야간이나 구름에 관계없이 우주에서 지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수할 수 있게 되었다. 적외선을 포함한 광학형과 SAR형의 각 정찰 위성은 현재 많은 선진국에서 발사되어 운용되고 있지만, 군사 기밀 때문에 자세한 정보는 불명확한 경우가 많다.[20]

일본은 IGS(정보 수집 위성)로서, 광학 위성과 레이더 위성 2기를 1조로 한 2조(총 4기)의 체제를 목표로 2003년 3월에 위성 발사를 시작했다. 2003년 11월의 H-IIA 로켓 6호기 발사 실패로 광학 2호기와 레이더 2호기 총 2기를 손실하여, 2조(총 4기) 체제 구축은 연기되었다. 2007년 2월 24일H-IIA 로켓 12호기 발사로 레이더 2호기(재명명)의 궤도 투입에 성공하여, 염원하던 2조(4기) 체제가 갖춰진 듯했지만, 본격 운용이 시작되기 전에 레이더 1호기가 고장나 2조(4기) 체제의 완성에는 이르지 못했다. 2013년 1월 27일에 레이더 4호기 발사에 성공하여, 10년 늦게 염원하던 2조(4기) 체제가 완성되었다. 2015년 2월 1일에 고장에 대비하여 레이더 예비기를 투입하여, 레이더 위성은 사실상 3기 체제가 되었다. 2018년 6월까지의 13회의 발사에서, 광학 위성 6기, 레이더 위성 7기(예비기 포함), 광학 실증 위성 2기의 궤도 투입에 성공했으며, 광학 위성 1기와 레이더 위성 1기의 궤도 투입에 실패했다.[20]

다른 나라의 정찰 위성은 다음과 같다.[20]

국가위성
미국NOSS, SBIRS, 코로나, KH-5, KH-6, KH-7, KH-8, KH-9, KH-11, KH-12, KH-13
러시아제니트, 얀타리, 페르소나
프랑스에사이무, 헬리오스 2
독일SAR-Lupe
이스라엘오페크
일본정보 수집 위성
이탈리아
중국
인도
브라질
튀르키예괴크튀르크-2
북한만리경 1호


4. 대한민국 정찰위성 개발

대한민국은 정찰위성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20]

5. 정찰위성의 활용

영공 침범에 해당하지 않고, 비교적 공격받기 어려운 우주 공간에서 지상·해상의 넓은 범위를 내려다보며, 가상 적국(가상) 적국의 군대군사 기지 등 중요한 전략 목표의 위치, 움직임을 촬영하는 기능을 갖는다.[14]

정찰 위성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 고해상도 사진 촬영 (IMINT)
  • 측정 및 특징 정보 (MASINT)
  • 통신 도청 (SIGINT)
  • 은밀한 통신
  • 핵실험 금지 준수 감시 (국가 기술 수단 참조)
  • 미사일 발사 감지


1980년 연두교서에서 지미 카터 대통령은 미국의 정찰 위성의 존재가 모든 인류에게 이익이 된다고 주장했다.[17]

정찰 위성은 수단남수단의 잔혹 행위를 감시하는 위성 감시 프로젝트를 통해 인권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또한 지오아이(GeoEye)와 디지털글로브(DigitalGlobe)와 같은 회사들은 자연 재해 대응 및 인도주의적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상업용 위성 이미지를 제공해 왔다.[18]

전술 용도로의 정찰 위성 이용이란, 작은 단위의 전투 부대가 정찰대를 내보내는 대신 정찰 위성의 이미지 데이터를 거의 실시간으로 입수하여, 개개의 전투 현장에서의 작전 입안에 사용하는 계획(글로벌 정보 그리드 계획=GIG)이다. 최근에는 미군이 이 계획에 록히드 마틴, 보잉,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공동 기업체를 설립하고 있다. 이 계획에서는 정찰 위성의 촬영 정보를 미군 사령부뿐만 아니라 전선 기지나 전투기, 전차, 그리고 전선의 병사 한 사람 한 사람에게까지 전용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달한다는 것이다.

6. 논란 및 윤리적 문제

정찰 위성은 위성 감시 프로젝트를 통해 수단남수단의 잔혹 행위를 감시하여 인권을 보호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또한 지오아이(GeoEye)와 디지털글로브(DigitalGlobe)와 같은 회사들은 자연 재해 대응 및 인도주의적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상업용 위성 이미지를 제공해 왔다.[18]

6. 1. 군사적 이용과 국제 안보

1950년대에 소련의 허위 정보로 인해 미국은 폭격기 격차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되었다. 1968년, 위성 사진을 얻은 후, 미국 정보 기관은 "지난 1년 동안 소련에 새로운 ICBM 단지가 건설되지 않았다"고 확신할 수 있었다.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1967년 회의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16]

"나는 이 말을 인용하고 싶지 않지만... 우리는 우주 프로그램에 350억달러 또는 400억달러를 썼다. 그리고 우주 사진으로 얻은 지식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더라도, 이는 전체 프로그램 비용의 10배의 가치가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오늘밤 우리는 적이 얼마나 많은 미사일을 가지고 있는지 알게 되었고, 결국 우리의 추측은 완전히 빗나갔다. 우리는 할 필요가 없는 일들을 하고 있었다. 우리는 건설할 필요가 없는 것들을 건설하고 있었다. 우리는 가질 필요가 없는 두려움을 품고 있었다."

1980년 연두교서에서 지미 카터 대통령은 미국의 정찰 위성의 존재가 모든 인류에게 이익이 된다고 주장했다:[17]

"... 예를 들어 사진 정찰 위성은 세계 정세를 안정시키는 데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모든 국가의 안보에 크게 기여한다."

정찰 위성은 수단남수단의 잔혹 행위를 감시하는 위성 감시 프로젝트를 통해 인권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또한 지오아이(GeoEye)와 디지털글로브(DigitalGlobe)와 같은 회사들은 자연 재해 대응 및 인도주의적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상업용 위성 이미지를 제공해 왔다.[18]

참조

[1] 웹사이트 Corona History https://web.archive.[...] 2014-02-15
[2] 웹사이트 Corona Program https://web.archive.[...] Mission and Spacecraft Library 2014-02-16
[3] 뉴스 Two Years for Morison https://www.nytimes.[...] 1985-12-08
[4] 웹사이트 Trump Tweets Sensitive Surveillance Image of Iran https://www.npr.org/[...] 2019-08-30
[5] 뉴스 Trump Tweeted a Sensitive Photo. Internet Sleuths Decoded It https://www.wired.co[...] Wired 2019-09-03
[6] 서적 Into the Unknown Together – The DOD, NASA, and Early Spaceflight https://web.archive.[...] Air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Sputnik launched — History.com This Day in History — 10/4/1957 http://www.history.c[...] 2010-03-07
[8] 서적 Encyclopedia of Space and Astronomy https://books.google[...] Infobase 2014-05-14
[9] 서적 CORONA America's first satellite program Center for the Study of Intelligenc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0] 서적 Corona Between the Sun and the Earth: the first NRO reconnaissance eye in space The American Society for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1] 웹사이트 Discoverer 1 https://nssdc.gsfc.n[...] NASA 2020-05-14
[12] 웹사이트 reconnaissance satellite http://www.infopleas[...] Infoplease 2014-02-17
[13] 웹사이트 The Navy's Spy Missions in Space https://www.usni.org[...] U.S. Naval Research Laboratory 2008-04
[14] 뉴스 Monster rocket to blast off from Pacific coast, rattle Southland http://www.latimes.c[...] 2013-08-27
[15] 뉴스 Fragments of Soviet-Era Satellite Burn Up in Earth's Atmosphere http://mashable.com/[...] Mashable 2014-02-17
[16] 서적 The Space Shuttle Decision https://history.nasa[...] NASA
[17] 웹사이트 The State of the Union Annual Message to the Congress https://www.presiden[...]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18] 웹사이트 Commercial Satellite Imagery Companies Partner with the U.S. Geological Survey in Support of the International Charter "Space and Major Disasters" http://www.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9] 간행물 衛星データの種類と入手の際の留意点 http://redd.ffpri.af[...] 一般財団法人 リモート・センシング技術センター
[20] 뉴스 한국 偵察衛星打ち上げ/2基目 南北間の競争激化 https://www.sankei.c[...] 산케이신문 2024-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