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선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선전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를 거치며 개인 우상화, 체제 우월성, 주체사상, 군사 선행(선군정치) 등을 주제로 북한 주민과 국제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선전 매체는 사회주의 체제와 지도자들을 미화하고, 대외 관계에서 미국, 일본, 대한민국 등을 적대적으로 묘사하며, 사회 통제를 통해 인민의 삶을 규제한다. 선전 수단으로는 예술 작품, 출판물, 포스터, 구호, 매스 게임, 삐라, 소셜 미디어 등을 활용하며, 특히 영화, 음악, 미술 등 예술 분야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선전은 북한 내부의 사회 통제를 강화하고, 국제 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주는 등 다양한 영향과 비판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선전 - 조선로동당 만세
조선로동당 만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조선로동당을 찬양하는 3절 구성의 노래로, 당을 다양한 은유로 묘사하며 혁명적 업적과 지도력을 강조하고 수령에 대한 충성심을 드러내는 북한의 대표적인 선전 노래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선전 - 김일성 장군의 노래
김일성 장군의 노래는 1946년 북한에서 창작되어 김일성을 항일 영웅이자 국가 건설의 지도자로 칭송하며, 가사 변화를 통해 김일성 개인 숭배 및 권력 공고화에 기여하고 북한 사회와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은 군가풍의 노래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선전 | |
|---|---|
| 개요 | |
![]() | |
| 유형 | |
| 주요 유형 | 구두 선전 시각 선전 대중 매체 예술 음악 |
| 구두 선전 | 연설 회의 개인적인 대화 |
| 시각 선전 | 포스터 슬로건 그림 조각상 건축 |
| 대중 매체 |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 영화 |
| 예술 | 문학 시 연극 오페라 |
| 음악 | 군가 혁명가요 |
| 주제 | |
| 주요 주제 | 김일성-김정일주의 주체사상 선군정치 반미주의 반일 감정 영웅주의 |
| 김일성-김정일주의 | 김일성 우상화 김정일 우상화 김정은 우상화 김씨 왕조 숭배 |
| 주체사상 | 자력갱생 민족 자존 정치적 독립 경제적 자립 군사적 자위 |
| 선군정치 | 군사 우선 정책 군대 중심 사회 군사력 강화 |
| 반미주의 | 미국 제국주의 비판 한국 전쟁 책임 전가 미국에 대한 적개심 고취 |
| 반일 감정 | 일본 제국주의 비판 과거사 문제 강조 일본에 대한 불신 조장 |
| 영웅주의 | 항일 투쟁 영웅 미화 한국 전쟁 영웅 미화 체제 수호 영웅 미화 |
| 대상 | |
| 주요 대상 | 국내 주민 해외 동포 외국인 |
| 국내 주민 | 노동자 농민 군인 학생 여성 |
| 해외 동포 | 재일 조선인 재미 조선인 기타 해외 거주 조선인 |
| 외국인 | 관광객 언론인 학자 외교관 |
| 매체 | |
| 주요 매체 | 조선중앙방송 조선중앙텔레비죤 로동신문 조선인민군 조선소년단 각종 출판물 |
| 효과 | |
| 긍정적 효과 | 체제 유지 사회 통합 애국심 고취 동원력 강화 |
| 부정적 효과 | 외부 정보 차단 세뇌 교육 비판적 사고 억압 국제적 고립 |
| 비판 | |
| 주요 비판 | 정보 조작 인권 침해 국제 사회와의 단절 경제난 심화 |
| 관련 정보 | |
| 관련 정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선전 세뇌 프로파간다 |
2. 역사
북한의 선전은 김일성 시대, 김정일 시대, 김정은 시대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시대별로 선전 내용과 방식은 조금씩 달랐다. 김일성 시대에는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개인 우상화가 핵심이었다. 소련은 김일성 집권 초기부터 김일성과 그 주변 세력을 우상화하는 심리전을 펼쳤다.[60]
2. 1. 김일성 시대
김일성 시대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선전(프로파간다)은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개인 우상화가 필수적인 요소였다.[59] 소련은 김일성 집권 직후부터 심리전을 펼치며, 특히 저항 전사로서 김일성과 그 주변 세력을 우상화하는 활동을 전개했다.[60] 이는 동구권 사회주의 국가들보다 앞선 것이었다.[61] 주로 항일무장투쟁 시기 소련군 장교로서의 모습이 아닌, 국내 비밀기지에서의 게릴라전(특히 갑산군 보천보 전투)을 벌인 김일성 세력의 '자주적인' 무력 투쟁을 강조했다.[61]소련과의 관계가 단절되자, 북한은 다른 항일 운동가들의 공적과 함께 김일성 본인의 항일 신화를 삭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역사 재편성 과정은 북한에서 공산당을 설립했다고 주장하는 데까지 이르렀다.[60] 김일성은 특히 한국 전쟁 중 실제 작전에 주도적인 (혹은 선구적인) 역할을 함과 동시에 모든 병사들이 따라야 하는 모범적인 성품의 소유자로 묘사되었다.[61] 그 후, 각지에서 그의 헌신적인 '현장 지도'라는 허구적인 선전이 공공연하게 활용되었다.[61]

3. 주제 및 내용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선전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체제 유지와 주민 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개인 우상화: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개인 우상화는 북한 선전의 핵심이다. 김일성은 항일 독립운동 투사로 묘사되며, 백두산 밀영에서 게릴라전을 벌였다고 선전된다.[61] 한국 전쟁 기간에는 병사들에게 영감을 주는 존재로 묘사되었고,[61] "현지 지도" 이야기가 많이 언급되었다.[61] 이러한 우상화는 김정일, 김정은에게도 이어졌다.[62]
체제 우월성: 북한은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강조한다. 6.25 전쟁 이후 평양 재건 과정에서 김일성과 김정일은 웅장한 건물과 기념비를 건설했다.[70] 류경호텔, 만수대 김일성 동상, 금수산태양궁전 등이 대표적이다.[56] 평양은 대칭적인 도시 계획과 파스텔 색조의 콘크리트 건물로 건설되었지만, 기술 부족으로 다른 유형의 건물 건설에는 어려움을 겪었다.[71]
군사 선행 (선군정치): 김정일 시대에는 선군정치가 강조되었다. 이는 군사 우선 정책으로, 경제 개혁이나 외교 정책보다 우선시되었다.[13]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군에 복종해야 한다고 선전되었다.
대외 관계: 북한 선전은 미국을 적대적으로 묘사하며, 한국 전쟁을 미국의 잔혹 행위의 시작점으로 강조한다.[61] 일본은 탐욕스럽고 위험한 존재로 그려진다.[8] 대한민국은 초기에는 빈곤한 지역으로 묘사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 경제 발전을 인정하면서도 통일을 열망하는 동포로 묘사한다.[61] 중국은 주요 동맹국으로 묘사되지만, 양국 관계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사례도 있다. 소련은 초기에는 긍정적으로 묘사되었으나, 관계 악화 이후 역사에서 삭제되었다.[61]
사회 통제: 북한은 김일성과 김정일 통치 아래 엄격한 사회 통제를 유지해왔다.[56] 한국 전쟁 당시 북한 인구 중심지에 대한 공중 폭격은 미국의 전쟁 범죄로 강조된다.[69] 평양 재건은 김일성의 사회주의 이상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6] 기술은 의도적으로 부족하게 유지되었으며, 휴대전화, 인트라넷, 인터넷은 엘리트 계층의 전유물이었다.[18]
인종적 자부심: 북한 선전은 한국인을 가장 순수한 인종으로 묘사하며, 한국을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이 결합된 곳으로 표현한다.[61]
여성: 여성은 가족 중심의 유교적 전통에 따라 남성이 보호해야 할 ‘천사’로 여겨졌다.[74] 혁명 가극 등에서는 공적인 혈연관계를 강조하는 '상상된' 가족 구조 속에서 새로운 젠더 질서를 만들어냈다.[76] 한국 전쟁 이후 여성의 노동 참여가 장려되었다.[74]
식량 부족: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은 기근을 악천후와 김일성의 가르침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한 탓으로 돌렸다.[61] 톱밥 등 영양가 없는 대체식품 사용을 요구하기도 했다.[60]
3. 1. 개인 우상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선전은 수령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개인 우상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59] 소련은 김일성이 권력을 잡은 직후부터 그를 중심으로 개인 우상화 작업을 시작했는데, 특히 그를 한국 독립 운동 투사로 묘사했다.[60] 이는 동유럽의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보다도 빠른 것이었다.[61] 김일성은 일본과의 전쟁 기간 동안 소련 마을에 거주했음에도 불구하고, 백두산 밀영에서 게릴라전을 벌였다고 선전되었다.[61]소련과의 관계가 단절된 후에는 김일성 외 다른 독립운동가들의 업적은 삭제되었고, 김일성이 북한에서 공산당을 창건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0] 한국 전쟁 기간 동안 김일성은 실제 전투에 참여한 것처럼 묘사되지 않고, 대신 병사들이 그에게 영감을 받는 것으로 묘사되었다.[61] 그 후, 여러 장소에서 그의 "현지 지도"에 관한 많은 이야기가 언급되었는데, 그 중 상당수는 공개적으로 허구로 제시되었다.[61]
이러한 선전은 그의 아들 김정일에게도 이어졌다.[62]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시기에는 김정일이 다른 북한 주민들과 같은 빈약한 식사를 했다는 일화가 만들어졌다.[60] 2011년 12월 김정일 사망 이후에는 "젊은 장군" 김정은을 위한 선전이 시작되었다.[61]
3. 2. 체제 우월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김일성과 김정일의 통치 아래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강조해왔다. 6.25 전쟁 이후, 중공군(중국인민지원군)은 다리, 초등학교, 공장, 아파트 재건을 도왔다. 1955년 2월에는 중공군 47여단이 평양 전기철도 공장을 재건했다.[69]평양 재건은 김일성과 김정일이 직접 지시하고 감독했다. 전쟁으로 파괴된 평양은 김일성에게 '깨끗한 상태'로 인식되었고, 이는 김일성 중심의 사회주의 국가 건설로 이어졌다.[70] 평양에는 김일성이 추구하는 웅장한 건물과 기념비가 건설되었다. 1989년 제13회 세계청년학생축전에 맞춰 완공될 예정이었던 105층 높이의 류경호텔이 대표적이지만, 1990년대 초 구조적, 재정적 문제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만수대에는 김일성의 20m 동상이 세워졌다. 1990년대 경제난 속에서도 김정일은 김일성의 시신이 보존된 금수산태양궁전을 개수하고 시신을 영구 전시하기 위해 러시아 전문가를 고용했다.[56]
평양의 도시 계획은 대칭성이 높은 패턴으로 배치되었고,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파스텔 색조로 지어졌다. 그러나 류경호텔의 사례처럼 다른 종류의 건물을 지을 기술은 부족했다.[71] 평양에는 두 김 씨의 정치적 현수막과 초상화,[56] 간판, 다방, 소련식 콘크리트 구조물 외에 광고는 없다. 기술 부족으로 인해 휴대전화, 인트라넷, 인터넷은 엘리트 계층의 사치품으로 여겨진다.[56] 인터넷 접속은 국가 승인을 받은 일부 엘리트나 평양에 거주하는 외국인에게만 제한되었다. 광대역 네트워크가 없어 일부 관광호텔에서는 위성 인터넷을 통해 통신이 가능했다.[72] 2004년 휴대전화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2008년 이집트 오라스콤사와 국영 한국우정공사의 공동 운영으로 통신 서비스가 재개되었다. 데일리NK 웹사이트에 따르면, 이 서비스는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평양의 부유층 간부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73]
3. 3. 군사 선행 (선군정치)

김정일 국방위원장 하에서, 주요 통치담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이를 ‘선군정치’라고 부른다.)은 전반적인 군사 선행의 필요에 따라 형성되었고 인민들이 스스로 군에 복종하도록 요구하였다. 이러한 선군정치는 경제개혁·외교 정책으로부터의 새로운 전환국면이었다.[68] 여기서 이야기하는 군사적인 생활(혁명적 군인정신)은 당과 국가의 명령에 따르는 것이 아닌, 인민이 자발적으로 행하는 행동으로 제시된다.[61]

김정일 시대에 주요 주제는 김정일이 무엇보다도 군대에 우선적으로 신경 써야 한다는 것이었다. (북한에서는 이 정책을 ''선군정치''라고 부른다). 이는 다른 북한 주민들이 김정일의 세심한 배려 없이 지내야 함을 의미했다. 이는 이전의 경제 개혁 및 외교적 관여 정책에서 벗어난 변화였다.[13] 이러한 군사적 삶은 한국인들이 자발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제시되지만, 종종 최고 동기에서 비롯된 명령에 불복종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군사우선 정책은 탈냉전기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라는 목표를 스스로 좌절시켰다. 또한 러시아와의 관계는 경색됐고 중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직접 압박하는 등 기존 우방과의 오랜 활력적인 관계는 새로운 부정적 관계로 악화되었다.[68][13]
3. 4. 대외 관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프로파간다는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개인 우상화를 기반으로 한다.[59] 초기에는 소련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묘사했지만, 관계가 틀어지면서 소련은 역사에서 삭제되었다.[61] 소련의 붕괴는 미국에 의해 촉발된 경멸스러운 사건으로 묘사된다.[61]미국은 부정적으로 묘사되며, 한국 전쟁은 미국의 잔혹 행위의 시작점으로 강조된다.[61] 일본은 탐욕적이고 위험한 존재로 그려지며, 독도 문제를 통해 대한민국과의 관계에 마찰을 야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66]
3. 4. 1. 미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미국을 자국을 침탈한 야욕적인 국가로, 미국인은 본질적으로 사악한 종족으로 묘사하며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낸다.[63][61]한국 전쟁은 대량 살상과 폭격보다는 미국의 잔혹 행위를 강조하는 사건으로 묘사된다.[61] 신천박물관에는 한국전쟁 당시 미군이 저질렀다고 주장하는 만행을 묘사한 그림들이 전시되어 있다.[6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국전쟁을 기념하여 "반미 투쟁 월간"(미국 언론에서는 "미국 증오 월간"으로 표기)을 지정하고, 매년 김일성 광장에서 반미 집단 군중시위를 개최했다.[64] 2018년 AP통신은 김정은 국방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 이후 긴장 완화 조짐으로 이러한 집회가 일시 중단되었다고 보도했다.[65]
영국 언론인 크리스토퍼 히친스는 자신의 논문 "인종 차별적 소인"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선전이 노골적인 인종 차별과 민족주의적 측면을 담고 있다고 지적했다.[67] 미국의 우방은 미국의 속국으로 묘사된다.[61]
3. 4. 2. 대한민국
북한은 초기 선전에서 대한민국을 미국의 지원을 받는 잔혹한 독재 정권이 통치하고 주한미군이 한국 여성과 어린이를 강탈하는 극빈 지역으로 묘사했다.[61]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남북경협과 북중 국경을 통해 대한민국이 경제적으로 부유하고, 생활 수준과 삶의 질이 높으며, 정치·사회적 자유를 누린다는 정보가 북한 내부에 유입되면서 북한 선전 당국은 이를 인정하게 되었다.[61]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여전히 대한민국 동포들이 조국 통일과 민족 정화를 열망하고 있다는 관점을 유지하고 있다.[61]
3. 4. 3. 일본
북한은 일본을 식민지 시대와 그 이후 모두 탐욕스럽고 위험한 존재로 자주 묘사한다. 북한 선전은 일본의 재무장 위험성을 자주 강조했다.[8] 북일 관계 개선 또는 악화에 따라 반일 선전 강도는 반복적으로 변동했다. 북한이 남한보다 일본과 더 좋은 관계를 유지했던 시기에는 북한 선전이 독도 분쟁을 기본적으로 무시했다. 그러나 평양이 일본-남한 화해에 위협을 느끼거나 도쿄에 대항하여 서울과 협력하려 할 경우, 북한 언론은 즉시 이 문제를 제기하여 일본-대한민국 관계에 마찰을 일으키려 했다.[8]크리스토퍼 히친스는 에세이 "인종차별주의 난쟁이 국가"에서 북한 선전이 노골적인 인종차별적이고 국수주의적인 각도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12]
3. 4. 4.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국을 주요 동맹국이자 보호국으로 묘사한다. 그러나 중국에서 임신한 채 돌아온 북한 여성들은 강제 낙태를 당한다는 언급도 있다.[12] 이는 양국 관계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3. 4. 5. 러시아
1940년대 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선전은 소련과 북한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며, 러시아를 해방군으로, 북한을 수혜자로 표현했다.[61] 그러나 북소 관계가 악화되면서 소련은 역사에서 삭제되었다.[61] 소련의 붕괴는 러시아인이 원하지 않았고, 미국의 야욕에 의해 촉발된 경멸스러운 사건으로 묘사되었다.[61]3. 5. 사회 통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김일성과 김정일의 통치 이래로 엄격하고 융통성 없는 사회 통제가 이어져 왔다.[56] 북한 인구 중심지에 대한 공중 폭격은 한국 전쟁에서 가장 큰 민간인 사상자를 냈으며, 북한은 이를 미국의 가장 큰 전쟁 범죄라고 주장해왔다.[69]중공군(중국인민지원군) 병사들은 다리, 초등학교, 공장, 아파트 재건축을 도왔다. 1955년 2월 중공군 47여단은 평양 전기차 공장을 재건했다.[69] 김일성과 김정일은 평양의 재건을 직접 감독했는데,[15] 김일성이 이끌고 소련이 지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소수의 건물을 제외하고 완전히 파괴된 현장을 맞이했다. 사회주의 이상을 가진 젊은 장군에게 이것은 새로운 국가를 물리적, 이념적으로 건설할 수 있는 백지 상태로 여겨졌다.[16]
김정일은 대규모 건물과 기념물을 선호했다. 1989년 제13차 세계 청년 학생 축전에 맞춰 완공될 예정이었던 류경호텔은 105층 높이의 거대한 피라미드 건물이었으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1990년대 초에 공사가 중단되었다. 김일성에게 헌정된 기념물은 사람이 거주하도록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웅장하게 보이도록 만들어졌다. 김일성의 도시를 아우르는 듯한 팔을 뻗은 20m 높이의 청동 조각상이 만수대 정상에 있다. 1990년대 내내 김정일은 수령의 유해를 보관하기 위해 금수산 궁전을 광범위하게 개조하고, 시신을 영구적으로 전시하기 위해 러시아 전문가를 고용하여 방부 처리했다.[15]
평양의 계획은 독특했는데, 고도로 대칭적인 패턴으로 설계되었고,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파스텔 색조로 조화를 이루며 세워져 있다. 그들은 다른 유형의 건물을 건설할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예는 피라미드형 류경호텔이다.[17] 정치적 현수막과 두 김일성의 초상화를 제외하고는 광고가 없었다. 도시에 교통량이 거의 없어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건널 수 있었다. 기술은 평양에서 의도적으로 부족했다. 휴대전화, 인트라넷, 인터넷은 권력자들을 위한 서비스이다. 북한의 인터넷 접속은 국가의 승인을 받은 소수의 정부 및 기업 관계자와 평양에 거주하는 외국인에게 제한된다. 광대역 네트워크가 없으므로 유일한 옵션은 일부 관광 호텔에서 이용할 수 있는 위성 인터넷 커버리지를 이용하는 것이다.[18]
2004년에는 휴대전화 사용이 금지되었지만, 이집트 오라스콤 회사와 국영 조선우편통신이 공동 운영하는 서비스를 2008년에 다시 도입했다. ''데일리NK'' 웹사이트에 따르면 새로운 서비스는 비용에도 불구하고 평양의 부유한 당원들에게 인기가 있었다.[19]
이야기 속에서 로맨스는 종종 아름다운 여성이 감자 농장에서 자원봉사를 했다는 것을 남자가 알게 되기 전까지는 매력이 없다가, 이 사실로 인해 매력을 느끼게 되는 것처럼, 오로지 그 사람의 모범적인 시민 의식에 의해 시작되는 것으로 묘사된다.
3. 6. 인종적 자부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선전에서는 한국인을 가장 순수한 인종으로, 한국을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이 결합된 곳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61] 조국해방전쟁(한국전쟁) 당시 여성 빨치산들이 흰 블라우스를 빨거나 매다는 모습이 그려진 시대적 풍경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다만, 하얀 블라우스는 눈에 띄어 적에게 공격받기 쉽다는 점이 간과되었다.[61]스탈린주의 문학에서는 인민들이 스스로를 단련하고 지적으로 성장하여 공산주의를 만들어가는 모습으로 그려지는 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학에서 인민은 지성주의에 반발하며 본능적으로 옳은 일을 하는, 자연 그대로의 순수한 미덕을 지닌 존재로 묘사된다.[61]
이러한 관점은 인민을 한국인 특유의 순수한 본성 때문에 쉽게 교화될 수 있지만, 동시에 다소 결함이 있는 존재로 보게 한다. 이러한 프로파간다 방식은 체제에 대한 비판 의식 결여와 무감각을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61]
3. 7. 여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적 정체성은 유교 전통과 가족 중심의 유교적 전통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여성의 정체성은 가족관계의 형태를 통해 볼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정치 체제나 사회 상황에 관계없이 여성 생활의 주요한 측면이 되었다. 여성은 남성이 보호해야 마땅한 ‘천사’로 여겨지고 있었다.[74]'피바다', '꽃 파는 처녀' 등 대표적인 프로파간다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들은 전통적 가족구성 속에서 시각적 구성뿐만 아니라 새로 건국된 사회주의 국가의 이념적 각성의 ‘매개자’가 되기도 했다.[75] 혁명 가극과 그 밖의 많은 작품들은 공적인 혈연관계를 강조하는 '상상된' 가족 구조 속에서 새로운 젠더 질서를 만들어냈다. 상상된 가족은 우리와 적을 갈라놓는 이념적 투쟁, 즉 체제 결집의 측면에 따라 고려됐다. 가족을 규정하는 것은 여성을 해방시키고 사회적 위상을 높이는 과정으로 여겨졌다.[76]
전통적으로 “야만인”으로 업신여겨온 일본군의 점령하의 식민지 경험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스스로의 약점을 평가하게 만든 요인이 되었다. 특히 여성성의 후진성은 국가의 취약성과 직접 관련이 있다고 여겨졌다.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에 내제된 전통적 가정생활이 여성의 후진성으로 이어진다고 인식하였다.[74]
한국 전쟁 발발과 동시에 여성들은 노동전선(후방)에 가담했다. 전쟁에 인력이 집중되면서 산업과 농업은 여성이 담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전후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도부는 여성 또한 전후 재건 활동에 적극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전후의 노동력 부족은 여성의 노동 참여를 필요로 하였고 남녀 공동참여 실현이라는 명목으로 여성성의 해방을 정당화했다. 헌터는 "1947년에는 산업노동자의 단 5%가 여성이었다. 1949년에는 그 수가 15%까지 급증했다. 1967년까지 여성은 전체 인력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라고 지적했다.[7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다양한 사회 분야에 제복(유니폼)을 제공하고 규격된 일정한 디자인을 강제하는 등 엄격한 규제를 통해 인민 의생활을 규정하는 특이한 패션 지향의 나라다. 다른 사회주의 국가나 권위주의 국가 중에는 혁명을 일으킨 여성을 표현하는 바람직한 수단으로 여성의 남장을 정례화한 나라도 있다. 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성 패션은 남성다움으로 보이는 칙칙한 혁명정신과 달리 여성스러움을 강조하고 있다.[74]

3. 8. 식량 부족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식량난'으로 불리는 심각한 기근은 김정일 체제의 존립을 위태롭게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정일이 주민들과 마찬가지로 꽁보리밥, 주먹밥 등 간단한 음식을 먹으며 인민과 함께 고난을 해쳐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선전했다.[60]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근은 '고난의 행군'으로 표현되었는데, 이는 전례 없는 악천후와 김정일의 잘못된 지도 때문이었다.[61] 북한 당국은 톱밥 등 영양가가 낮고 유해한 대체식품 사용을 요구하기도 했다.[6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근은 선전 내에서 식량 부족을 인정하면서도, 악천후와 김일성의 가르침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한 탓으로 돌렸다. 그러나, 의심할 여지 없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부의 상황보다는 더 나은 것으로 묘사되었다.
4. 방법 및 수단
조선로동당 선전선동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선전 활동을 주로 통제한다.[24] 매년 국영 출판사인 금성출판사는 여러 그림책을 발행하며, 이 책들은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주입하고 미국과 일본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23] 이 책들 중 다수는 중국 국경을 넘어 밀반입되어 미국의 대학 도서관에 소장되기도 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비무장 지대를 넘어 대한민국 국군을 대상으로 삐라를 살포하기도 한다.[84][35] 삐라 내용은 대한민국 정부를 비판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찬양하는 것이다.[84][35]
2010년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플리커 등 소셜 미디어에 진출하여 선전 활동을 펼치고 있다.[85][86][87][88][89]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모든 소셜 미디어 공식 계정의 프로필 사진은 평양에 있는 30m 높이의 조국통일 3대 헌장 기념탑이며, "7000만 민족이 힘을 합쳐 통일을 이루려는 강한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는 표어가 새겨져 있다.[85]
DMZ 북측에는 '평화촌'이라고도 불리는 기정동이 있다. 이 마을은 선전 목적으로 건설된 포템킨 마을로, 실제로는 사람이 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0][54]
4. 1. 예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프로파간다는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개인 우상화가 필수적이다.[59] 소련은 김일성 집권 직후 심리전을 구사했고, 특히 저항 전사로서 김일성과 그 주변 세력에 대한 개인 우상화 활동을 전개했다.[60] 주된 내용은 항일무장투쟁 시기 소련군 장교로서의 모습이 아닌, 국내 비밀기지에서의 게릴라전(보천보 전투)이라는 김일성 세력의 ‘자주적인’ 무력 투쟁으로 점철된다.[61]김정일의 프로파간다가 추가되었다.[62] 1990년대 중순부터 시작된 '고난의 행군'이라 불리는 심각한 기근은 김정일 체제의 존립을 위태롭게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정일이 주민들과 마찬가지로 꽁보리밥, 주먹밥 등 간단한 음식을 먹으며 인민과 함께 고난을 헤쳐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주장하기에 이르렀다.[60]
김정은의 선전활동이 시작됐다.[61] 포스터에는 인민 생활의 적절한 복장과 도덕적 행동이 묘사되어 있다.[6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선전 포스터는 스탈린주의 국가들의 선전 방식과 흡사하며, 군사력과 유토피아 사회, 국가에 대한 헌신, 그리고 지도자의 개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77] 김정일은 프로파간다 미술과 포스터를 사용해 김씨 일가의 정체성을 국가와 분리할 수 없게 했다고 한다.[78]
4. 1. 1. 미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술은 군국주의적 주제를 담고 있다.[79] 순수 미술도 종종 군국주의적 주제를 묘사한다.[29] 김일성이 직접 썼다고 전해지는 혁명 오페라 '꽃파는 처녀'는 영화로도 제작되어 북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이 되었다. 이 영화는 식민지 시대 주인공의 고통을 묘사하며, 빨치산 오빠가 억압적인 지주에게 복수하는 과정에서 주인공이 혁명을 지지할 것을 맹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4. 1. 2. 음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 지도자들은 자신에 대한 찬송가를 국영 미디어를 통해 반복적으로 송출했다.[1]- 김일성: "김일성 장군의 노래"
- 김정일: "김정일 장군의 노래", "그대 없이는 조국도 없다"
- 김정은: "발걸음", "결승을 향하여", "그이만을 따르리"[1]
4. 1. 3. 영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영화 산업을 운영하고 있다.[8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화는 서방 제국주의의 잔학함과 인민의 영웅적 희생을 묘사하며, 화면 속 역할 모델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80] 영화 산업은 평양 연극영화대학교에서 주도하고 있다.[81] 김정일은 스스로를 영화의 천재라고 칭했다. 1973년, 그는 영화 이론과 영화 제작에 관한 논문인 ''영화예술론''을 집필했다.[82] 그는 개인 소장품으로 2만 개가 넘는 DVD를 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일은 예술에서 영화가 선전선동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믿었다.[83] 국내에서 이들 영화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국제적인 비평가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비현실적인 묘사 때문에 이러한 영화들을 선전물에 지나지 않는다고 평가한다.[83]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영화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들 애니메이션 영화는 북한 젊은이들을 목적으로 한 정치군사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80]
4. 1. 4. 혁명 가극
김일성이 직접 썼다고 전해지는 혁명 오페라 ''꽃파는 처녀''는 영화로 제작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이 되었다.[29] 이 영화는 일제강점기에 주인공이 겪는 고통을 묘사하며, 그녀의 빨치산 오빠가 억압적인 지주에게 복수하기 위해 돌아오면서 그녀가 혁명을 지지할 것을 맹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4. 2. 출판물
매년 국영 출판사들이 몇몇 만화(그림책으로 불린다)를 발표하는데, 이 대부분은 중국 국경을 넘어 수출되고 때로는 미국 대학도서관에 보관되기도 한다.[1] 이 책은 김일성 주석(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아버지)의 주체 철학을 가르치기 위한 것이다.[1] 주로 모략을 일삼는 미국과 일본의 자본가들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무너뜨리기 위한 부질없는 도발의 ‘허구성’을 주제로 한다.[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선전 활동은 주로 노동당 내의 선전선동부가 통제하고 있다.[1]
4. 3. 포스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선전 포스터는 스탈린주의 국가들의 선전 방식과 흡사하다. 이러한 포스터들은 군사력, 유토피아 사회, 국가에 대한 헌신, 그리고 지도자의 개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77] 특히,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프로파간다 미술과 포스터를 사용해 김씨 일가의 정체성을 국가와 분리할 수 없게 만들었다고 한다.[78]
포스터에는 인민 생활의 적절한 복장과 도덕적 행동이 그려져 있다.[63] 조선로동당 선전선동부가 주로 선전을 통제하며,[24] 포스터는 삶의 모든 부분에 대한 올바른 행동을 묘사한다.[25] 구호는 마오주의 중국의 구호와 유사하며, 행동 촉구와 지도자에 대한 찬사를 담고 있다.[27][28]
매년 국영 출판사인 금성출판사는 여러 그림책을 발행하며, 이 중 다수는 중국 국경을 넘어 밀반입되어 때때로 미국의 대학 도서관에 소장되기도 한다. 이 책들은 북한의 "아버지"인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주입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줄거리는 주로 미국과 일본의 음흉한 자본가들이 순진한 북한 등장인물들에게 곤경을 초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23]
4. 4. 삐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비무장 지대를 넘어 대한민국 국군을 대상으로 선전용 삐라를 풍선을 이용하여 살포한다.[84][35] 삐라의 내용은 대한민국 정부를 비판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찬양하는 것이다.[84][35]4. 5. 소셜 미디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0년에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플리커 등 소셜 미디어에 진출했다.[85][86][87][88][89]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모든 소셜 미디어 공식 계정의 프로필 사진은 평양에 있는 30m 높이의 조국통일 3대 헌장 기념탑이며, "7000만 민족이 힘을 합쳐 통일을 이루려는 강한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는 표어가 새겨져 있다.[85]- '''우리민족끼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셜 미디어 전략의 핵심이다.
- '''유튜브, 트위터, 페이스북, 플리커''':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한 선전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4. 5. 1. 우리민족끼리
우리민족끼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통신사의 뉴스와 선전물을 제공하는 웹사이트이다.[90] 한국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 서비스를 제공한다.[90] '우리 민족으로서 스스로'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91]이 사이트에는 "한국의 친미·일본의 기업매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끝없는 선전 캠페인", "The Project for New American Century: 신세계 질서와 미국의 범죄 계속" 및 "김정은 동지의 어린이궁전 음악악기 방조" 등의 기사가 게재되어 있다.[92] 또한, 'tv.urminzokiri'라는 방송 매체를 통해 제국주의 운동을 비판하는 뉴스, 조선 인민의 용기와 군사력을 소개하는 동영상 등을 제공한다.[92]
4. 5. 2. 유튜브
우리민족끼리 채널은 2010년 7월에 개설되었다.[86] 이 채널은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 사건에 대한 책임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돌리는 대한민국과 미국을 비난하고 조롱하는 영상을 포함하여 11,000개 이상의 동영상을 업로드했다. 해당 계정은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을 "치마를 입은 미치광이"라고 칭하는 동영상을 게시했다.[93] 2012년 11월 28일 기준 이 계정은 3,000명 이상의 구독자와 330만 건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고,[86] 2015년 초에는 구독자 수가 11,000명 이상, 조회수는 1,100만 건 이상으로 증가했다.[94] 2013년 2월 5일에는 뉴욕이 불타는 모습을 담은 선전 영상이 액티비전이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의 저작권이 있는 영상을 사용했다고 지적한 후 차단되었다가 삭제되었다.[95] 이 채널은 2017년에 폐쇄되었다.4. 5. 3. 트위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공식 트위터 계정명은 '우리민족'(영어: Our Race)이다. 개설 첫 주에 8,500명이 팔로우했다.[85] 2012년 11월 28일 기준 약 11,000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약 5,000건의 트윗을 전송했다.[96] 2015년 초에는 약 13,000건이 추가되어 팔로워 수는 약 2만 명이 되었다.[97] 2011년 1월, 한국어 계정이 해킹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시민들에게 폭동을 일으키라는 메시지가 올라오기도 했다.[89] 2013년 4월에는 온라인 활동가 그룹인 익명에 의해 해킹당했다.[89]4. 5. 4. 페이스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페이스북 계정은 대한민국 정부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트위터 계정을 차단한 지 일주일 만에 등장했다.[87] 계정 이름은 '우리민족'(영어: Our Race)이다.[87] 이 페이지는 "조국의 평화, 번영, 통일을 바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교포의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87] 우리민족끼리 페이지에는 대한민국과 미국을 '전쟁참가자'라고 비판하는 보도 링크, 아름다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풍경 사진,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기념하는 댄스 퍼포먼스 동영상 등 50여 건의 글이 올라왔다.[87]4. 5. 5. 플리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플리커 계정은 2010년 8월에 개설되어 2013년 4월에 비활성화되었으나, 2017년에 다시 활성화되었다. 이 계정에는 김정은이 군대로부터 환영받는 사진, 학교 등에서 아이들이 식사를 하며 즐겁게 생활하는 사진, 농업 성황, 근대 도시 생활 등 다양한 사진이 게재되었다.[98] 2013년 4월, 우리민족끼리 플리커 계정은 Anonymous에 의해 해킹당했다.[99]4. 6. 선전 마을 (기정동)
기정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시 평화리에 있는 마을이다.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비무장 지대(DMZ)의 북측 관할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평화촌'(평화촌|P'yŏnghwach'on한국어)이라고도 부른다.[100][54]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은 이 마을에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병원 등 200가구의 농장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대한민국 측의 관측에 따르면, 이 마을은 1950년대 한국인의 탈북을 유도하고, 국경 지대에 인접한 광범위한 포병 진지, 요새 및 지하 벙커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군인들을 수용하기 위한 선전 목적으로 막대한 비용을 들여 건설된 무인 포템킨 마을(위장된 마을)이었다.[100][54]
5. 영향 및 평가
(요약 또는 원본 소스 부족으로 인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간행물
North Korea's Strategic Intentions
https://www.strategi[...]
Strategic Studies Institute, U.S. Army War College
2005-07
[2]
서적
DPRK's Socialist Constitution (Full Text)
http://www1.korea-np[...]
The People's Korea
1998-09-19
[3]
웹사이트
Meeting, Everywhere, The Rulers Of North Korea
http://www.huffingto[...]
2012-11-04
[4]
웹사이트
North Korea profile
http://news.bbc.co.u[...]
BBC
2014-10-14
[5]
뉴스
North Korea's propaganda machine
http://edition.cnn.c[...]
CNN
2003-03-01
[6]
뉴스
North Korea celebrates 'Hate America' month
https://nypost.com/2[...]
2018-06-25
[7]
뉴스
In sign of detente, North Korea skips annual anti-US rally
https://www.apnews.c[...]
2018-06-25
[8]
논문
Instrumental Nationalism? The Dokdo Problem Through the Lens of North Korean Propaganda and Diplomacy
https://www.academia[...]
2013-Winter
[9]
웹사이트
Spokesperson for Foreign Ministry of DPRK Gives Answer
https://kcnawatch.or[...]
2024-10-02
[10]
웹사이트
N. Korea strongly denounces Israel for attack on Hezbollah
https://www.koreatim[...]
2024-10-01
[11]
문서
House Resolution 1249; Urging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Iraq to recognize the right of the State of Israel
https://www.govinfo.[...]
US Government Information
2008-06-05
[12]
서적
A Nation of Racist Dwarfs: Kim Jong-il's regime is even weirder and more despicable than you thought
https://slate.com/ne[...]
2012-12-23
[13]
서적
North Korea: The paranoid Peninsula
https://books.google[...]
Zed Books Ltd.
2017-10-27
[14]
논문
The De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North Korea, 1950 - 1960
http://apjjf.org/-Ch[...]
2009-03-16
[15]
서적
North Korea through the Looking Glass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7-11-03
[16]
웹사이트
Architecture is Propaganda: How North Korea Turned the Built Environment into a Tool for Control
https://www.archdail[...]
2016-09-06
[17]
웹사이트
Why North Korea's capital is the 'perfect science fiction film set'
http://edition.cnn.c[...]
2017-11-03
[18]
논문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Controls in North Korea
http://www.keia.org/[...]
2017-11-03
[19]
뉴스
North Korea's tightly controlled media
https://www.bbc.com/[...]
2011-12-19
[20]
서적
Illusive Utopia- Theatre, Film and Everyday Performance in North Korea
https://muse.jhu.edu[...]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7-11-03
[21]
서적
With the Century
Workers' Party of Korea Publishing House
1992
[22]
논문
Women and Social Change in South and North Korea: Marxist and Liberal Perspectives
1992-06
[23]
웹사이트
"Blizzard in the Jungle" Ri Chol-Geun and Jo Hak-Rae
https://wordswithout[...]
2024-09-26
[24]
서적
Leader Symbols and Personality Cult in North Korea: The Leader Stat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5]
뉴스
Gallery show for North Korea's propaganda
http://www.thetimes.[...]
Times Newspapers Ltd
2008-05-03
[26]
뉴스
North Korean Propaganda Posters
https://abcnews.go.c[...]
ABC News Internet Ventures
2011-12-22
[27]
뉴스
'Let''s break through the barriers!' North Korea's new political slogans for 2020"
NK News
2020
[28]
웹사이트
Check Out These Twisted North Korean Propaganda Posters
http://www.businessi[...]
Business Insider Inc.
2011-12-20
[29]
뉴스
Exhibitions: Art or propaganda? North Korea exhibit in Moscow
https://www.reuters.[...]
2011-01-14
[30]
웹사이트
Inside North Korea's bizarre film industry and its American GI star
https://nypost.com/2[...]
2020-10-25
[31]
간행물
North Korea's cinema of dreams: 101 East gains rare insight into the beating heart of North Korea's film industry
http://www.aljazeera[...]
Al Jazeera English
2011-12-29
[32]
서적
North Korean Cinema: A Histor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2-08-13
[33]
웹사이트
A Cinematic Revolution: North Korea's Film Industry
http://www.agimag.co[...]
2012-10-16
[34]
뉴스
North Korea's film industry boom
http://news.bbc.co.u[...]
BBC
2002-01-11
[35]
뉴스
North Korea drops propaganda leaflets over border
https://www.telegrap[...]
2012-10-02
[36]
뉴스
North Korea joins Facebook: North Korea appears to have joined the social networking site Facebook after its Twitter account was blocked by South Korea under the country's security laws
https://www.telegrap[...]
Telegraph Media Group
2010-08-21
[37]
뉴스
North Korea says it has joined Twitter, YouTube
http://www.mercuryne[...]
Associated Press
2010-08-17
[38]
뉴스
YouTube blocks North Korean state television channel
https://www.bbc.com/[...]
BBC
2016-12-15
[39]
뉴스
North Korea's Twitter, flickr accounts hacked amid rising tension
https://www.foxnews.[...]
2013-04-04
[40]
웹사이트
English
http://www.uriminzok[...]
Uriminzokkiri
2015-02-04
[41]
웹사이트
North Korea joins Facebook
https://www.telegrap[...]
2010-08-21
[42]
웹사이트
Uriminzokkiri TV
http://www.uriminzok[...]
Uriminzokkiri
2012-11-29
[43]
뉴스
North Korea Joins Facebook, After Opening Twitter and YouTube Accounts
https://www.foxnews.[...]
2010-08-20
[44]
뉴스
North Korea Takes to Twitter and YouTube
https://www.nytimes.[...]
2010-08-17
[45]
웹사이트
uriminzokkiri
https://www.youtube.[...]
YouTube
2012-11-28
[46]
웹사이트
uriminzokkiri: About
https://www.youtube.[...]
YouTube
2015-02-04
[47]
뉴스
North Korea propaganda taken off YouTube after Activision complaint
https://www.bbc.co.u[...]
2013-02-06
[48]
웹사이트
uriminzokkiri (uriminzok)
https://twitter.com/[...]
Twitter
2012-11-28
[49]
웹사이트
uriminzokkiri (@uriminzok)
https://twitter.com/[...]
Twitter
2015-02-04
[50]
뉴스
North Korea's Twitter account hacked to call for uprising: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official Twitter account appears to have been hacked, with the feed calling for an uprising to remove the leaders from power
https://www.telegrap[...]
2011-01-08
[51]
뉴스
North Korea's Twitter, Flickr accounts hacked; Anonymous speaks up
http://www.latimes.c[...]
2013-04-04
[52]
웹사이트
uriminzokkiri's photostream
https://www.flickr.c[...]
Flickr
[53]
뉴스
Anonymous 'hacks' North Korea social network accounts
https://www.bbc.co.u[...]
2013-04-04
[54]
뉴스
Travelling into Korea's demilitarised zone: Run DMZ
https://www.theguard[...]
2009-07-05
[55]
논문
North Korea's Strategic Intentions 북한의 전략적 의도
http://dx.doi.org/10[...]
2005-07-01
[56]
서적
North Korea through the looking glass 유리창 너머 북한
https://www.worldcat[...]
2000
[57]
논문
Agreement of the people: Paul Feldman on the campaign for a British constitution 국민의 동의: 폴 펠드먼 영국 헌법 제정 운동
http://dx.doi.org/10[...]
2013
[58]
논문
Queerskins
http://dx.doi.org/10[...]
2018-08-12
[59]
논문
Gowing, Nicholas Keith, (Nik), (born 13 Jan. 1951), Main Presenter, BBC World News, BBC News, 2000–14 (Presenter, 1996–2000); Visiting Professor, King’s College London, since 2014
http://dx.doi.org/10[...]
2007-12-01
[60]
서적
Rogue regime : Kim Jong Il and the looming threat of North Korea 부정정권: 김정일(金正日)과 북한(北)의 위협
https://www.worldcat[...]
2005
[61]
서적
The cleanest race : how North Koreans see themselves and why it matters 가장 깨끗한 인종: 북한인은 자기 자신을 어떻게 보느냐, 왜 중요한가?
https://www.worldcat[...]
2010
[62]
서적
The Panmunjom crisis (1976) 판문점 위기(1976년)
http://dx.doi.org/10[...]
[63]
논문
Pickering, Sir Edward (Davies), (4 May 1912–8 Aug. 2003), Executive Vice-Chairman, Times Newspapers Ltd, since 1982; Chairman, The Times Supplements Ltd, since 1989
http://dx.doi.org/10[...]
2007-12-01
[64]
웹인용
16th International Neuroscience and Biological Psychiatry Conference (North America) "Stress and Behavior", New Orleans, USA, June 22-25, 2011 [Program] 국제 뇌 과학 및 생물학 정신 의학 회의"스트레스와 거동"
http://dx.doi.org/10[...]
2020-06-19
[65]
논문
June 2018
http://dx.doi.org/10[...]
2018-06
[66]
논문
Immunity to Resistance? State-Society Relations and Political Stability in North Korea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저항에 대한 내성? 북한의 국가·사회관계와 정치적 안정성의 비교
http://dx.doi.org/10[...]
2014-03-21
[67]
논문
Quantum teleportation is even weirder than you think 양자 텔레포테이션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기묘하다
http://dx.doi.org/10[...]
2017-07-20
[68]
서적
North Korea : the paranoid peninsula--a modern history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현대사
https://www.worldcat[...]
2007
[69]
논문
Future of North Korea at Dead End 막다른 골목에 서 있는 북한의 미래
http://dx.doi.org/10[...]
2009-11
[70]
논문
A decision support tool to mitigate decision-making problems faced by a building design team 빌딩 설계 팀이 직면한 의사결정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
http://dx.doi.org/10[...]
2017-04-03
[71]
저널
British Film Catalogue 영국 영화 목록
http://dx.doi.org/10[...]
null
2016-04-01
[72]
저널
Korea Supercomputing Software Initiative: Design and Strategy 한국 슈퍼컴퓨팅 소프트웨어 이니셔티브: 설계 및 전략
http://dx.doi.org/10[...]
Science & Engineering Research Support soCiety
2013-12-11
[73]
저널
Fake News and Journalism Education 가짜뉴스 및 언론교육
http://dx.doi.org/10[...]
null
2017-05-02
[74]
서적
Illusive utopia : theater, film, and everyday performance in North Korea 환상적 유토피아 : 북한 연극, 영화, 일상 공연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
[75]
서적
The Workers’ Party of Korea 조선노동당
http://dx.doi.org/10[...]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12-31
[76]
서적
Women and social change in South and North Korea : Marxist and liberal perspectives 남북한 여성 및 사회변화 : 마르크스주의 및 자유주의관
http://worldcat.org/[...]
Women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Michigan State University
1992
[77]
웹인용
ABC News/Washington Post Monthly Poll, December 2010 ABC 뉴스/워싱턴 포스트 월간 여론조사
http://dx.doi.org/10[...]
null
2020-06-19
[78]
서적
Insider trading and business obligations 내부자 거래 및 비즈니스 의무
http://dx.doi.org/10[...]
Routledge
2019-03-05
[79]
저널
Peculiarities of diamonds from the commercial deposits of Russia 러시아의 상업용 매장지 다이아몬드 특성
http://dx.doi.org/10[...]
null
2011-06
[80]
저널
Copenhagen (BBC film adaptation) 코펜하겐 (BBC 영화 각색)
http://dx.doi.org/10[...]
null
2002
[81]
서적
North Korean trade policy 대북 무역 정책
http://dx.doi.org/10[...]
Routledge
2019-06-27
[82]
서적
North Korean cinema : a history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
https://www.worldcat[...]
McFarland & Company, Inc., Publishers
2012
[83]
서적
Conclusion: Where Film And Philosophy May Lead 결론: 영화와 철학이 이끌어갈 만한 곳
http://dx.doi.org/10[...]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01-31
[84]
서적
Air-Borne Culture: Propaganda Leaflets over Occupied France in the Second World War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점령된 프랑스에 대한 공중전단
http://dx.doi.org/10[...]
Routledge
2019-01-15
[85]
서적
South Korean media reception and youth culture in North Korea 남한의 미디어 리셉션과 북한 청소년 문화
http://dx.doi.org/10[...]
Routledge
2019-01-17
[86]
서적
The YouTube Prioress: Anti-Semitism and Twenty-First Century Participatory Culture 유튜브 프리올레스 : 반유대주의와 21세기 참여 문화
http://dx.doi.org/10[...]
Palgrave Macmillan US
2012
[87]
웹인용
Sou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Panel Study: Six Waves, 2007 한국 대통령 선거 패널 연구: 6대 파동, 2007
http://dx.doi.org/10[...]
null
2020-06-19
[88]
저널
Winkleman, Claudia, (born 15 Jan. 1972), television and radio presenter; Host: Film Show, BBC Television, since 2010; Sunday Night with Claudia Winkleman, BBC Radio 2, since 2016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2-01
[89]
저널
Detecting Hacked Twitter Accounts based on Behavioural Change 행동 변화에 따른 해킹된 트위터 계정 탐지
http://dx.doi.org/10[...]
SCITEPRESS - Science and Technology Publications
2017
[90]
저널
'"English". Uriminzokkiri. Retrieved 4 February 2015.
http://dx.doi.org/10[...]
null
2015-02
[91]
서적
Sozialkapital 사회자본
https://www.telegrap[...]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2010
[92]
저널
'"Uriminzokkiri TV" (in Korean). Uriminzokkiri. 우리민족끼리TV'
http://dx.doi.org/10[...]
null
2014-08-31
[93]
웹인용
New York Times New York City Poll, August 2006 2006년 8월 뉴욕타임스 뉴욕시티 여론조사
http://dx.doi.org/10[...]
null
2020-06-19
[94]
저널
'Communication about suicide in YouTube videos: Content analysis of German-language videos retrieved with method-and help-related search terms
http://dx.doi.org/10[...]
null
2020-08
[95]
서적
'A Propaganda Model Case Study of ABC Primetime ‘North Korea: Inside the Shadows’
http://dx.doi.org/10[...]
BRILL
2013-01-01
[96]
서적
'An Integrative Model of Twitter Adoption
http://dx.doi.org/10[...]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2
[97]
서적
'SEVEN. Realism Retrieved
http://dx.doi.org/10[...]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01-31
[98]
저널
Effects of Histological Staining on the Analysis of Human DNA from Archived Slides* 역사학적 얼룩이 보관된 슬라이드의 인간 DNA 분석에 미치는 영향*
http://dx.doi.org/10[...]
null
2010-10-19
[99]
저널
Anonymous hacks FBI laptop. Or maybe not. 익명으로 FBI 노트북을 해킹한다. 아니면 말구.
http://dx.doi.org/10[...]
null
2012-09
[100]
서적
'Habitats in the DMZ Area
http://dx.doi.org/10[...]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