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좌도와 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좌도와 우도는 인도에서 유래한 용어로, 근현대 서양 밀교에서 선악의 개념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다른 관점에서는 서로 다른 원리를 의미할 뿐 선악의 구분은 아니라고 본다. 우도는 정신, 육체, 영혼을 분리된 개체로 보고 도덕률과 업을 따르는 경향을 보이며, 개인의 내면적 성장을 중시한다. 반면, 좌도는 사회적 관습과 현상 유지를 거부하고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며, 금기시되는 마법 기술이나 종교적 교리에 의문을 제기하며 개인적 무정부주의 형태를 따르는 경향을 보인다. 좌도와 우도는 헬레나 블라바츠키에 의해 서구에 소개되었으며, 이후 앨리스터 크로울리, 케네스 그랜트 등 다양한 인물들에 의해 변형되고 해석되었다. 현대에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개인의 영적 자유와 사회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좌도밀교 - 아르스 게티아
    아르스 게티아는 《솔로몬의 작은 열쇠》의 첫 번째 책으로, 악마를 소환하고 제어하는 방법과 72명의 악마 목록, 능력, 소환 의식을 담고 있으며, 마법적 전통과 솔로몬 왕 전설에 기반하여 현대 의례 마법, 오컬트, 서구 신비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 좌도밀교 - 흑마법
    흑마법은 중세 시대 악마적 마법을 지칭하는 용어로, 기독교적 관점에서 금지된 점술 행위와 관련되며, 현대에는 백마법과 구분되고 대중문화와 사회적 갈등 속 선전 도구로도 활용된다.
  • 이분법 - 심신 문제
    심신 문제는 마음과 몸, 정신과 물질의 관계를 다루는 철학 및 과학 분야의 핵심 질문으로, 마음과 몸이 서로 다른 실체라는 이원론과 하나의 실체라는 일원론으로 나뉘며, 현대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은 뇌 활동과 의식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 이분법 - 말굽 이론
    말굽 이론은 정치적 스펙트럼의 극단이 서로에게 가까워진다는 개념으로, 좌우 극단의 유사한 입장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지만, 지나치게 단순화되었다는 비판과 연구 부족의 한계가 존재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좌도와 우도
개요
개념좌도와 우도는 서양의 비전에서 마법에 대한 두 가지 반대되는 접근 방식 사이의 이분법이다.
정의
좌도 (Left-Hand Path)자기 중심적이고 개인의 신격화를 강조하는 마법적 접근 방식
우도 (Right-Hand Path)이타적이고 신성한 존재와의 결합 또는 복종을 강조하는 마법적 접근 방식
기원 및 발전
기원19세기 말 헬레나 블라바츠키와 신지학 협회에서 유래
발전좌도와 우도의 개념은 블라바츠키에 의해 힌두교탄트라 전통인 바마차라와 닥시나차라를 구별하는 데 사용됨.
서양의 사용서양의 비전에서 이러한 용어는 마법적 의도의 양극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특징 및 신념
좌도개인의 힘과 해방을 추구
사회적 제약과 도덕적 규범을 초월하려는 경향
자기 숭배, 개인주의, 자기 변혁에 집중
우도신과의 합일 또는 신성한 목적에 봉사하는 것을 목표
이타주의, 희생, 사회적 조화를 중시
신에 대한 헌신, 사랑, 자비에 집중
참고 사항
용어의 사용좌도와 우도의 정의는 유동적이며, 다양한 마법적 전통과 개인적인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양립 가능성일부 마법사들은 두 경로의 요소를 결합하여 사용하기도 함.
비판 및 오해
오해좌도가 사악하거나 파괴적인 것으로 오해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단순한 오해임.
윤리적 고려좌도는 윤리적 책임감을 결여한 것으로 비판받기도 함.

2. 용어

일각에서는 좌도가 사악한 것(흑마술)이고 우도가 선량한 것(백마술)이라고 한다.[24] 또다른 은비학자들은 좌도와 우도는 서로 다른 원리를 의미할 뿐 선악의 구분은 아니라고 한다.[24] 좌도와 우도라는 말은 인도에서 유래되었으며, 근현대 서양 밀교에서 좌도와 우도를 선악 개념으로 이해하는 구도는 인도에서 이 개념을 처음 수입해 온 헬레나 블라바츠키가 퍼뜨린 것이다.

국내에서는 보통 《민족비전 정신수련법》에 설명된 분류 방식을 준용한다.
우도 (Right-hand path)우도(Right-hand path)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따르는 마법 또는 종교 집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6]


  • 그들은 정신, 육체, 영혼의 개념을 세 개의 분리된 개체로 나눈다. 하지만 이들은 서로 관련되어 있다.[1][6]
  • 그들은 특정 도덕률과 업(카르마) 또는 세 배 법칙과 같은 형태의 심판에 대한 믿음을 따른다.[1][6]


오컬티스트 다이온 포춘[7]과 윌리엄 고든 그레이(William G. Gray)[8]는 아브라함 계통 종교를 우도로 간주했다. 우도는 개인의 내면적 성장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한국 사회의 전통적인 가치관과도 연결될 수 있다.
좌도 (Left-hand path)좌도는 종종 사회적 관습과 현상 유지를 거부하며, 개인의 자유를 중시한다.[5] 이러한 맥락에서 좌도의 추종자들은 전통적으로 금기로 여겨지는 마법 기술을 수용하는데, 예를 들어 섹스 마법을 사용하거나 사탄주의 이미지를 수용한다.[5] 모그 모건(Mogg Morgan)이 쓴 것처럼, "금기를 깨는 행위는 마법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고 재통합과 해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채식주의 공동체에서 육식을 하는 것은 성적으로 억제된 사회에서 항문 성교를 하는 것과 같은 해방 효과를 가질 수 있다."[9]

또한, 종교적 또는 도덕적 교리에 의문을 제기하며, 대신 개인적 무정부주의 형태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5] 그들은 종종 성을 수용하고 이를 마법 의식에 통합한다.[5]

한국의 관점에서 좌도는 기존 질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내포하며, 사회 변화와 개혁을 추구하는 진보적 가치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극단적인 형태의 좌도는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2. 1. 우도 (Right-hand path)

우도(Right-hand path)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따르는 마법 또는 종교 집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6]

  • 그들은 정신, 육체, 영혼의 개념을 세 개의 분리된 개체로 나눈다. 하지만 이들은 서로 관련되어 있다.[1][6]
  • 그들은 특정 도덕률과 업(카르마) 또는 세 배 법칙과 같은 형태의 심판에 대한 믿음을 따른다.[1][6]


오컬티스트 다이온 포춘[7]과 윌리엄 고든 그레이(William G. Gray)[8]는 아브라함 계통 종교를 우도로 간주했다. 우도는 개인의 내면적 성장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한국 사회의 전통적인 가치관과도 연결될 수 있다.

2. 2. 좌도 (Left-hand path)

좌도는 종종 사회적 관습과 현상 유지를 거부하며, 개인의 자유를 중시한다.[5] 이러한 맥락에서 좌도의 추종자들은 전통적으로 금기로 여겨지는 마법 기술을 수용하는데, 예를 들어 섹스 마법을 사용하거나 사탄주의 이미지를 수용한다.[5] 모그 모건(Mogg Morgan)이 쓴 것처럼, "금기를 깨는 행위는 마법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고 재통합과 해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채식주의 공동체에서 육식을 하는 것은 성적으로 억제된 사회에서 항문 성교를 하는 것과 같은 해방 효과를 가질 수 있다."[9]

또한, 종교적 또는 도덕적 교리에 의문을 제기하며, 대신 개인적 무정부주의 형태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5] 그들은 종종 성을 수용하고 이를 마법 의식에 통합한다.[5]

한국의 관점에서 좌도는 기존 질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내포하며, 사회 변화와 개혁을 추구하는 진보적 가치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극단적인 형태의 좌도는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3. 용어의 역사

3. 1. 탄트라와 블라바츠키 부인

좌도와 우도라는 용어는 인도 탄트라의 바마차라(Vāmācāra)와 다크시나차라(Dakṣiṇācāra)에서 유래한다.[3] 헬레나 블라바츠키는 남아시아 여행 경험을 바탕으로 바마차라를 "좌도"로 번역하여 서구에 소개했다.[5] 바마차라는 산스크리트어로 "왼손의 기술"을 의미하며, "왼쪽 길" 또는 "좌도"(Vāmamārga)와 동의어이다.[12][13] 블라바츠키는 "왼쪽"이 악과 불운과 연관되어 있다는 서구의 인식을 이용하여 좌도를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우도를 옹호했다.[5] 예를 들어 성경의 마태오 25장 32-33절에서 양은 오른쪽에, 염소는 왼쪽에 놓는다는 구절처럼 "좌"는 사회의 부정적 측면과 결합되어 있었다. 역사학자 데이브 에반스가 지적했듯이 동성애자들은 "좌수(left-handed)"라고 불렸고, 개신교 국가에서는 로마 가톨릭교도를 "좌각(left-footer)"이라고 불렀다.[5] 그러나 블라바츠키의 해석은 인도 전통과는 거리가 있으며, 서구 중심적 사고방식의 한계를 보여준다. 바마차라의 반대어는 닥시나차라(Dakṣiṇācāra)이며, 정통파(Āstika, 아스티카)뿐만 아니라, 베다의 규정에 따르고 문화적 규범에 받아들여지는 정신적 실천을 가리키는 말이다.

3. 2. 서양 비전(秘傳) 전통의 수용

1875년 뉴욕에서 헬레나 페트로브나 블라바츠키는 신지학 협회를 설립하고, 저서 ''베일에 싸인 이시스''(1877)에서 ''좌도''와 ''우도''라는 용어를 소개하며 자신이 우도를 따른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좌도의 추종자들을 사회에 위협이 되는 흑마법 실천가라고 비난했다.[5] 역사학자 데이브 에반스에 따르면, 이러한 이분법은 서양 비전(秘傳) 전통에서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것이었지만, 오컬트 공동체는 빠르게 수용하였다.[5] 다이온 포춘은 좌도 추종자들을 동성애자나 흑마술사로 비난하며 우도를 옹호했다.[5]

앨리스터 크로울리는 좌도 개념을 자신의 마법 체계에 도입하여 변형하고 대중화했다.[14] 그는 마스터 템플리 등급을 얻는 데 실패한 사람을 "좌도의 형제" 또는 "검은 형제"라고 칭했다.[14] 또한 코론존과 환상적인 열한 번째 세피라인 다아트가 있는 아데푸투스 엑셈투스가 아비스를 건너는 지점을 묘사하면서 좌도를 언급했다.[14]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는 좌도와 우도를 흑마법, 백마법과 구분하려 했지만,[5] 좌도=흑마법이라는 인식은 데니스 휘틀리의 소설을 통해 널리 퍼졌다. 휘틀리는 더 나아가 좌도, 사탄 숭배, 공산주의를 혼합하여 전통적인 영국 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5]

서양 오컬트 전통에서 좌도와 우도 개념은 종종 왜곡되고 편견에 의해 해석되었다는 비판도 있다.

3. 3. 20세기 후반과 21세기

20세기 후반, 케네스 그랜트는 알레이스터 크로울리의 제자로서, 타이포니안 오더가 좌도를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좌도가 금기를 깨는 것이지만 균형을 위해 우도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 안톤 라베이는 1960년대에 사탄교를 전개하면서 전통적인 기독교 도덕을 부정하고, 자신의 철학을 좌도로 분류했다. 그는 "사탄교는 육체적인 자, 현세적인 자, 정욕적인 자의 종교이며, 좌도의 화신이다"라고 말했다.[16]

러시아에서는 Volkhv·Veleslav의 영향을 받은 로드노베리에 공동체[17] 외에, 아스클르 수발테가 이끄는 오디니스트 공동체[18]에 좌도가 계승되고 있다. 잉글랜드에서는 니카레프 레시가 좌도 활동을 하고 있다. 벨레스라프는 탄트라 및 좌도에 관한 방대한 저술을 하기도 했다[19]

현대에는 좌도와 우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개인의 영적 자유와 사회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4. 비판

좌도와 우도라는 개념은 다수의 오컬티스트들에게 비판받아 왔다. 컬투스 사바티의 지도자 앤드루 D. 첨블리/Andrew D. Chumbley영어에 따르면, 좌도·우도라는 개념은 단순한 "이론적 구축물"이며 "결정적으로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좌도·우도라는 두 형식이 마법사에게 사용될 수 있다고 한다. 첨블리는 오른손과 왼손이라는 두 개의 손을 가진 인간이 양쪽 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비유를 사용했다.[10] 이와 비슷한 인상을 위카의 하이 프리스트 존 벨람-페인은 "나에게 마법은 마법이다"라고 언급했다.[11]

5. 한국에서의 수용

5. 1. 우도방

염력기공 등이 우도방에 해당된다.

5. 2. 좌도방

좌도방은 기도를 하거나 부적을 사용하는 것이다.

6. 인도 탄트라에서의 사용

탄트라는 인도의 전통적인 비교이며, 힌두교 및 후기 불교(법통의 파생물)에 기원을 둔다. 탄트라는 그 실천자의 양태에 따라 "다크시나차라"와 "바마차라"로 분류되는데, 각각 번역하면 "우도"와 "좌도"이다. 다크시나차라에는 금욕이나 명상과 같은 전통적인 힌두교의 여러 관행이 포함되어 있으며, 반면 바마차라에는 성적 의식, 알코올 등 정신 활성 물질의 사용, 동물의 생 희생, 육식과 같이 주류 힌두교와 대립하는 관행이 포함된다.[20][21] 이 두 길은 탄트라 실천자에게는 보디에 도달하는 데 똑같이 유효하다. 그러나 바마차라가 더 빨리 보디에 도달할 수 있지만[20][21] 더 위험하며 모든 수행자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다. 좌도 및 우도라는 용어는 현대에도 인도·불교 탄트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줄리어스 에볼라는 저서 『힘의 요가』에서 우도와 좌도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탄트라의 두 길, 우도와 좌도(둘 다 시바의 보호 아래 있다) 사이에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전자는 수행자가 자기 실현의 극치에 이르더라도 항상 '자신보다 위에 있는 자'의 존재를 느끼는 반면, 후자는 '궁극의 주권자(차크라바르틴 즉, 세계의 지배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22]

7. 불교 탄트라에서의 사용

로버트 비어의 티베트 상징·모티프 백과/Encyclopedia of Tibetan symbols and motifs영어에서는 "좌"를 어둠, 여성성, 열등함, 부당함과 연결하는 비난이 해설되어 있다.[23]

불교의 탄트라에서 오른손은 정동이나 숙련된 기술과 같은 남성적 측면을 상징하고, 왼손은 지혜나 공허와 같은 여성적 측면을 나타낸다.[23] 의례에서 손에 들려지는 것, 예를 들어 금강저와 종, 금강저와 연꽃, 다말과 종, 다말과 카트반가, 화살과 활, 굽은 칼과 해골 잔, 칼과 방패, 갈고리와 덫 등이 각각 오른손과 왼손에 들려진다.[23] 이것이 숙련된 기술의 활동적·남성적 측면과 지혜의 사색적·여성적 측면의 화합을 상징하는 것이다.[23]

힌두교나 불교의 여신은 항상 남신의 왼쪽에 배치되어 "남신의 왼쪽 허벅지 쪽에 위치하며, 남신의 왼쪽 팔이 여신의 왼쪽 어깨에 놓여 여신의 왼쪽 가슴을 희롱한다."[23]

부처의 도상 표현에서 오른손은 종종 숙달된 기술을 나타내는 활동적인 무드라를 형성하고, 왼손은 명상적 균형을 나타내는 수동적인 무드라를 이룬다.[23]

이상의 비어의 해설은 야브윰의 상징이나, 요가 공행모·무상 요가 탄트라와 관련된 성적 의례의 관상·실천과 잘 일치한다.[23] 일반적으로 야브윰은 본원적인(혹은 신비적인) 지혜와 정동의 화합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23] 일반적으로 지복과 허무의 은유적 결합은 삼바라와 그 배우자 도르제 박모의 성적 결합을 그린 차크라삼바라 탄트라의 탱화에서 표현된다.[23]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서적 The History of British Magick after Crowley Hidden Publishing
[6] 서적 The History of British Magick after Crowley Hidden Publishing
[7] 서적 The Mystical Qabalah Aquarian Press 1987
[8] 서적 Exorcising The Tree of Evil: How To Use The Symbolism Of The Qabalistic Tree of Life To Recognise And Reverse Negative Energy Helios/Weisers/Kima Global 1974/1984/2002
[9] 서적 Sexual Magic
[10] 서적 The History of British Magick after Crowley Hidden Publishing
[11] 서적 The History of British Magick after Crowley Hidden Publishing
[12] 서적 History of the Tantric Religion 1999
[13] 웹사이트 Tantra, Vamamarga http://www.ecstatica[...]
[14] 웹사이트 Magick Without Tears http://www.hermetic.[...]
[15] 서적 Strange Conflict 1941
[16] 서적 The Satanic Bible
[17] 서적 'Чёрная Книга Мары» (2008) - The Black Book of Mary; Шуйный путь: чёрная книга нави» (2011) - Шуйный путь: The Black Book of the Navi [NOTE: ''Шуйный путь'' remains untranslated to distinguish it from the Shuyngj Way within Odinism]; Книга Великой Нави: Хаософия и Русское Навославие» (2011) - The Book of the Great Navi: Хаософия (The Wisdom of Chaos [Chaosophy]) and Russian Навославие (Praising of the Navi).'
[18] 웹사이트 http://nikarevleshy.[...]
[19] 문서
[20] 서적 Shakti: Realm of the Divine Mother Inner Traditions
[21] 서적 Distinguishing Paramitayana from Mantrayana Macmillan USA, New York, NY 2004
[22] 서적 'The Yoga of Power: Tantra, Shakti, and the Secret Way' 1949
[23] 서적 The encyclopedia of Tibetan symbols and motifs Serindia Publications, Inc. 2004
[24] 서적 The History of British Magick after Crowley Hidden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