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드노베리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드노베리는 "토착 신앙"을 의미하며, 슬라브 토착 신앙 운동의 명칭으로 사용된다. 이 용어는 슬라브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다양한 슬라브 언어로 변형되어 사용된다.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자신들의 신앙을 "정교"라고 부르기도 하며, "베다교"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슬라브어에서 "이교"에 가장 가까운 단어는 'poganstvo'이지만,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yazychnik'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로드노베리는 다신교 체계로, 여러 신을 숭배하며 우주에 대한 범신론적이고 전체론적인 관점을 공유한다. 그들은 조상 숭배를 강조하며, 슬라브 민속 전통을 기반으로 한 의례 달력을 따른다. 로드노베리는 18세기 후반 낭만주의 운동에서 기원하며, 1990년대 소련 붕괴 이후 동유럽과 러시아에서 성장했다. 로드노베리는 다양한 분파와 얽힌 운동을 가지고 있으며, 민족주의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이교주의 - 율 (게르만)
    율은 게르만 민족의 겨울 축제로서, 오딘 신과 관련되며, 현대의 크리스마스와 유사한 시기에 율 보드, 율 로그 등의 다양한 전통과 함께 기념된다.
  • 신이교주의 - 위카
    위카는 고대 영어 단어에서 유래된 현대 이교 종교의 한 형태로, 뿔 달린 신과 여신을 숭배하며, 마법과 주문술을 실천하고, 20세기 중반 제럴드 가드너에 의해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 슬라브 신화 - 흡혈귀
    흡혈귀는 살아있는 생물의 피를 빨아먹는 초자연적인 존재에 대한 전설로, 세르비아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브람 스토커의 소설 《드라큘라》를 통해 현대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대중문화의 주요 소재로 다뤄진다.
  • 슬라브 신화 - 레시
    레시는 동유럽 신화 속 숲의 정령으로 숲의 화신이며, 숲을 지키고 인간에게 장난을 치거나 도움을 주기도 하고 길을 잃게 하거나 납치하기도 하는 존재이다.
로드노베리에
개요
칼루가의 크라소틴카에서 열린 슬라브 공동체 연합의 스바로지치 불의 사원에서의 의식
종류민족 신이교주의
언어슬라브어
창시자
창시자 목록조리안 도웨가-호다코프스키
볼로디미르 샤얀
기타
분포
러시아10,000명 — 757,000명 (2012년)
우크라이나5,000명 — 10,000명세고드냐 2013년 7월 7일 기사에서 우크라이나 국립 과학 아카데미 철학 연구소 종교 연구부 비서관 드미트로 바지크의 평가
폴란드7,000명 — 10,000명

2. 용어

2. 1. "로드노베리" (토착 신앙)

"로드노베리"는 "토착 신앙"을 의미하며, 슬라브 토착 신앙 운동의 대다수 추종자들이 사용하는 이름이다. 이 용어는 슬라브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토착적인", "조상의", "고유의"를 의미하는 어근 *''rod''와 "신앙", "종교"를 의미하는 *''vera''에서 파생되었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어로는 ''Ridnovirstvo'' 또는 ''Ridnovirya'', 러시아어로는 ''Rodnoverie'', 폴란드어로는 ''Rodzimowierstwo'', 체코어로는 ''Rodnovĕří''와 같이 다양한 슬라브 언어에서 변형되어 사용된다.

슬라브 토착 신앙 공동체 연합의 Svetoary 공동체가 Mokosh를 기념하고 있다.


때때로 "로드노베리"는 고대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자료에서 발견되는 최고신인 ''Rod''를 지칭하며, "로드의 신앙"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Rod''는 모든 것을 낳는 절대적이고 근원적인 신, 우주의 최고 조상으로 여겨지며, 동시에 최고 근원에 대한 조상의 유대인 친족, 세대의 계보로 여겨진다.

"로드노베리"라는 용어는 1996년 폴란드의 토착 신앙 협회(''Zrzeszenie Rodzimej Wiary'')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1997년에는 러시아 슬라브 토착 신앙 공동체 연합(Союз Славянских Общин Славянской Родной Веры)에서 사용되었다. 2000년대 초까지 이 용어는 슬라브 국가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2. 2. "정교", "구교", "베다교" 및 기타 용어

많은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자신들의 신앙을 "정교"(''Pravoslaviye'')라고 부르는데, 이는 보편적 질서(''Prav'')를 "찬양"한다는 의미이다. 그들은 이 용어가 기독교인들에게 찬탈당했다고 주장한다. 일부는 "구교"(''Starovéry'')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러시아 정교회의 구교도 운동과 관련이 있다. "베다교"라는 용어는 역사적인 베다 종교와 고대 이란 종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지만, 일부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자신들의 신앙을 "베다교"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는 그들이 영적 진리를 "알고" 또는 "본다"(''vedat'')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20세기 중반에 ''벨레스의 서''의 작가 또는 발견자인 유리 페트로비치 미로류보프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 베다교의 창시자인 빅토르 베즈베르키가 채택했다.

러시아 칼루가 주 크라스토틴카에 있는 스바로지치의 불 사원 야외 신사(''카피쉬체'').


세르비아 로드노베르인들이 쿠팔라의 밤을 기념하고 있다.

2. 3. 일반적인 설명: 서구의 "이교"와 슬라브어 ''yazychnik''

슬라브어에서 "이교"에 가장 가까운 단어는 ''poganstvo'' (예: 러시아어의 경우, 라틴어 ''paganus''에서 파생)이지만,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이 용어가 경멸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널리 거부한다. 대신, 그들은 ''yazychnik''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는데, 이는 "언어"를 뜻하는 ''yazyk''에서 파생되었으며, 문자적으로는 "우리 자신의 언어에 속하는"을 의미한다. 이는 종종 "이방인"으로 번역된다. 일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로드노베르는 ''Yazychestvo''와 ''Yazychnytstvo''를 사용하지만, 이는 드문 경우이다. ''Yazychnik''은 특히 "이교"와 관련된 의미가 없는 서슬라브어를 사용하는 로드노베르 사이에서 채택되었다. 체코 로드노베르 그룹은 ''Jazyčnictví''를, 슬로바키아 로드노베르는 ''Jazyčníctvo''를 만들었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데메트리아 K. 그린에 따르면, 로드노베리는 동슬라브어의 발전, 특히 러시아어의 발전과 밀접하게 얽혀 있다.

"신이교"라는 용어는 1930년대 중반까지 폴란드 자두기스트 운동에 적용되었다. 1990년대에 로드노베르 사이에서 채택되었지만, 2000년대에는 "슬라브 토착 신앙"에 의해 가려졌다. 그러나 "신이교" 내의 접두사 "neo-"는 로드노베르 사이에서 분열을 일으키는 문제이다. 일부 실천가들은 기독교 이전 토착 신념의 연속성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싫어하며, 자신들을 새로운 것을 창조하기보다는 원래의 신념 체계를 복원하는 것으로 여긴다. 다른 사람들은 이 용어를 개혁된 종교의 본질을 강조하는 수단으로 받아들인다. 예를 들어, 폴란드 로드노베르 마체예 차르노프스키는 이 용어를 권장했다. 많은 로드노베르는 "신", "현대", "현대" 또는 접두사나 추가 수식어 없이 "이교"라는 지칭을 직접적으로 거부한다.

3. 신념

3. 1. 신학과 우주론

슬라브 토착 신앙은 여러 신을 숭배하는 다신교 체계였으며, 이 신들은 최고신의 화신으로 여겨졌다. 현대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일신교 신자들과 다신교 신자들로 나뉘지만, 공유된 근본 원리는 우주에 대한 범신론적이고 전체론적인 관점이다. 많은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일원론을 옹호하는데, 이는 여러 다른 신들이 단일하고 보편적인 비인격적인 신의 화신으로 간주된다는 것이다. 이 신은 일반적으로 ''로드''의 개념으로 식별된다.

로드는 보편적 유출론의 근원으로 여겨지며, 이는 신들의 우주적 위계 속에서 나타난다. 로드는 원초적 불확정성(카오스)에서 ''Prav''(문자적으로 "오른쪽" 또는 "질서")로 표현되며, 벨로보그("백신")와 체르노보그("흑신")로 대표되는 이중 역동성을 통해 세 가지 속성, 즉 밝은 신들의 세계, 인류의 세계, 어두운 신들의 세계인 ''Prav-Yav-Nav''으로 세계를 창조한다. 페룬–벨레스 이원성은 인간의 영역에서 무술의 원리와 신비주의 철학의 원리로 표현된다.

슬라브 토착 신앙 신자들은 "우리는 신의 노예가 아니라 신의 아들이다"라고 말하며, 다양한 신들의 존재론적 자유를 강조한다.

3. 2. 페룬

페룬은 천둥을 치는 자, 전사이자 벨레스의 경쟁자이며, 땅을 비옥하게 하는 봄철 뇌우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러시아 신이교주의의 창시자 중 한 명인 발레리 예멜리아노프의 저서 ''탈이온화''에 따르면, "베네티"("아리아인")의 사상에는 "세 개의 삼위일체 삼위일체"가 있었다고 한다. 즉, 프라브-야브-나브, 스바로크-페룬-스베토비드, 영혼-육신-힘이다. 일부 흐름에서는 페룬이 최고 수호신일 수 있다.

1992년부터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신이교주의 쿱친스키 페룬 사원이 운영되고 있다. 페룬의 이름은 신이교 협회의 이름에서 흔히 사용된다. 노보쿠즈네츠크에서는 "슬라브 공동체"가 잡지 ''페룬''을 발행한다. ''페룬의 분노''라는 제목의 잡지도 있었다.

알렉산드르 벨로프의 슬라브-고리차 레슬링은 페룬 숭배, 군사적 명예, 용맹을 바탕으로 한 이념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러시아에 많은 추종자를 두고 있다. 슬라브-고리차 레슬링에서 주의 넷째 날은 페룬에게 헌정된다. 벨로프의 달력(1998)에서 그로모비크(페룬의 날)는 7월 23일에 해당한다. 옴스크에서는 잉글리즘 추종자들이 "페룬의 베다 사원" 또는 "페룬의 지혜 사원"이라는 이름의 "옛 러시아 사원"을 세웠다. "루스의 영적-조상적 권력" (아스트라한) 조직의 V. V. 솔로킨(야로스베트)은 "페룬 장관"의 "직위"를 맡았다.

3. 3. 내세, 도덕성 및 윤리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도덕적 사고와 윤리의 "현세적" 측면을 강조한다. 이는 엄격한 규칙의 집합이 아니라 모든 것의 상호 연결성과 정신-물질의 연속성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되는 타인과 환경에 대한 자발적이고 사려 깊은 책임으로 여겨진다. 로드노베르들은 일반적으로 죽음이 삶의 종말이 아니라고 믿으며, 인류의 윤회신격화의 가능성을 믿는다.

로드노베리 윤리는 "자연 법칙을 찾고, 발견하고, 따르는 것"으로 구성되며, 이는 보복의 원리(행동-반응, 즉 )를 강화하고 인식하는 결과를 낳는다. 로드노베리 윤리는 "생태 윤리"로 정의되어 왔으며, 동시에 환경보호주의적이고 인본주의적이며, 모든 존재가 동일한 보편적, 우주적 신에 속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신들이 자연 현상으로, 그리고 사람들에게는 혈통 후손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로드노베르들은 행동과 그 결과가 현재 세계에서 펼쳐지고 처리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사람들은 자신의 상황에 고유한 책임을 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로드노베르들은 기독교가 개인의 책임을 초월적인 미래로 옮겨 행동이 신에 의해 심판을 받고 사람들은 죄에 대해 처벌을 받거나 용서를 받으며, 실제로 현재의 책임에서 면제시킨다고 비난한다. 로드노베르에 따르면 정의와 진실은 이 생에서 실현되어야 하므로, "다른 뺨을 돌려대다"와 같이 이 세상의 일에 대한 대행사와 개입을 포기하는 것은 부도덕한 것으로 간주되며 잘못을 환영하는 것과 동일하다.

로드노베르들은 인류의 추가적인 성숙을 위한 초석으로서 개인의 책임을 중요하게 여기며, 로드노베리로의 개종을 그러한 성숙과 동일시한다. 책임감 있는 공동체의 도덕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은 자연 세계 전체에 대한 존중, 즉 "생태적 책임"이다. 로드노베르들은 도시의 과포화와 시골의 황폐에 대해 우려하며, 두 환경 간의 조화를 재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로드노베르 윤리는 광범위한 현대 사회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보수주의로 정의될 수 있다. 로드노베리 내에서 성 역할은 보수적이다. 로드노베르들은 종종 남성과 여성이 근본적으로 다르며 따라서 그들의 과제도 다르다는 견해에 동의한다. 남성은 "공공" 생활과 추상적인 사고에 타고난 성향을 보이는 반면, 여성은 가족 및 집안의 자원 관리를 "사적"으로 수행하는 데 더 능숙한 것으로 보인다.

4. 정체성과 정치 철학

슬라브 토착 신앙(로드노베리)은 "근본적으로 공동체와 민족 정체성의 문제에 관심이 있다." 이들은 민족성과 문화를 자연 환경에 의해 형성된 영토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일반적으로 개인과 집단의 권리를 강조하며, 그들의 도덕적 가치는 정치의 우익에서 전형적인 보수주의 가치, 즉 가부장제와 전통적인 가족에 대한 강조이다. 대부분의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슬라브족만 회원으로 허용하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다.

4. 1. 민족주의

로드노베리의 정치 철학은 "토착주의", "민족주의", "포퓰리즘"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모두는 러시아어 단어 ''나로드니체스트보''를 나타낸다. 이는 종종 우익 민족 민족주의이다. 아이타무르토는 러시아 로드노베르의 민족주의 개념이 "러시아 또는 슬라브 민족은 별개의 집단이다", "그들은 - 또는 그들의 유산은 - 몇 가지 우수한 자질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독특한 유산 또는 이 민족 집단의 존재는 현재 위협받고 있으며, 따라서 이를 위해 싸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세 가지 주요 주제를 포함한다고 제안했다.

극우 민족주의적 견해를 가진 로드노베르가 있으며, 여기에는 네오 나치이고 나치 독일의 영향을 공개적으로 받은 사람들이 포함된다. 일부는 세계 문제의 많은 부분을 민족 집단의 혼합으로 돌리고, 민족 순수성에 대한 생각을 강조하며, 인종 차별에 대한 생각을 조장하고, 혼혈 결혼의 법적 금지를 요구한다. 일부는 슬라브 국가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을 사회적 불의의 원인으로 여기고, 일부 러시아 로드노베르는 유대인 또는 코카서스 지역 출신을 러시아에서 추방하도록 장려하며, 이는 인종 청소를 필요로 할 수 있는 접근 방식이다. 다른 로드노베르는 공개적으로 반유대주의이며, 이 범주에는 반유대적일 뿐만 아니라 더 광범위하게는 반아시아적, 반기독교, 반이슬람, 반비잔틴주의 정서가 포함되며, 유대인과 아시아인이 경제 및 정치 엘리트를 통제한다는 음모론을 주장한다.

마조비아인의 사원(''Chram Mazowiecki'') 폴란드 원시 교회의 사원


다른 많은 로드노베르는 공동체 내의 인종차별적, 나치적 요소를 부인하거나 경시하며, 극우파는 종교적이라기보다는 정치적 관심이 우선이기 때문에 슬라브 토착 신앙의 진정한 신자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인종차별보다는 문화 민족주의와 애국심의 입장을 옹호하는 집단이 있다. 예를 들어, 러시아 이교 전통의 원은 스스로를 "민족주의자"가 아닌 "애국자"로 특징지으며, 민족 민족주의적 아이디어를 피하고, 러시아를 다민족, 다문화 국가로 인정한다. 또한, 21세기에 로드노베리는 점점 더 탈정치화되고 있다. 학자 카아리나 아이타무르토와 로만 시젠스키는 러시아에서 가장 큰 로드노베르 행사 중 하나인 말로야로슬라베츠 외곽의 쿠팔라 축제에서 극단적인 민족주의의 표현이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마를렌 라루엘은 극단적인 민족주의를 거부하거나 비정치적인 집단에서도 민족 정체성이 여전히 중요하며, 좋은 로드노베르는 민족 정체성, 국가적 전통을 의식하고 조상의 역사를 아는 사람으로 간주된다고 관찰했다. 슈니렐만은 마찬가지로 러시아 운동의 명시적으로 정치화된 측면과 덜 정치화된 측면 사이에 느슨한 경계가 있으며, 민족 민족주의적이고 인종차별적인 견해가 정확한 정치 이념을 식별하지 않는 로드노베르에도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모스크바주, 콜롬나에 정착한 로드노베르들은 "국가"라는 생각 자체를 거부하지만 혈통, 친족의 법칙에 따라 스스로를 나타내는 "정신"으로 간주한다. 많은 로드노베르들은 카스트주의, 즉 사람들은 사회에서 정확한 역할과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태어난다는 생각을 믿는다.

학자 드미트리 V. 슐랴펜토흐는 러시아 우익이 현대 러시아 정부와 정교회의 유대인과 무슬림과의 호의적이고 협력적인 특이한 정치적 분위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교주의와 동일시한다고 지적했다. 로드노베르 테마와 상징은 또한 로드노베리를 종교로 받아들이지 않는 많은 러시아 민족주의자들이 채택했는데, 예를 들어 러시아 스킨헤드 운동의 많은 구성원들이 그렇다. 그들 중 일부는 로드노베르 테마를 게르만 이교주의와 러시아 정교회에서 채택한 다른 테마와 통합한다. 슬라브 토착 신앙의 많은 젊은 지지자들이 러시아에서 테러 혐의로 구금되었다. 2008년과 2009년 사이에 슬라브 분리주의자라는 그룹을 형성한 10대 로드노베르들은 적어도 10건의 살인을 저질렀고 무슬림과 비민족 러시아인을 겨냥한 모스크바 전역에 폭탄을 설치했다.

슬라브 신이교주의의 아리안 신화는 "전통"을 만드는 것으로 구성된 현대 세계 현상의 일부이다. "아리안" 주제에 대한 성찰로의 복귀는 다양한 형태를 취하며, 알렉세이 도브로볼스키 (도브로슬라브)에 의한 "러시아 국가 사회주의"의 형태로 나타난다.[5] 일반적으로 러시아인 사이에서 "아리안" 사상이 강화되는 것은 거의 연구되지 않고 거의 인식되지 않고 있다.[5] 라뤼엘에 따르면, 로드노베리의 가장 정치화된 흐름은 일리야 라자렌코가 설립하고 독일 아리오소피의 영향을 받은 나브 교회 (Це́рковь На́ви), 데드 워터 운동과 2003년 국가 두마 선거에 참여한 정당, 알렉산드르 세바스티아노프의 러시아 대국 민족당(전 모스크바 시장 유리 루시코프 (1936–2019)와 가까운 정치인들과 연관), 그리고 블라디미르 다닐로프가 이끄는 아리안 사회주의당과 같은 러시아 내 조직을 낳았다.

4. 2. 반유대주의

로드노베리에를 믿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슬라브족에 대한 주된 위협이 "아리안족"에게 적대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유대인("셈족", "셈족")에게서 온다고 본다. 일반적으로 로드노베리 사람들은 유대인을 세계의 악의 근원이나 전달자, 로드노베리에의 적으로 간주한다. 세계사의 많은 사건들은 "아리안족"과 유대인 사이의 대결의 결과로 제시된다. 따라서 유대인은 "아리안족"을 서로 대립하게 함으로써 대부분의 전쟁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된다.

유대인들은 현대 세계에서 부정적인 과정을 일으키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의식적으로 작동시키고 있다고 한다. 그들은 "아리안족"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거나 파괴하려고 시도하며, 세계를 장악하려 하거나 이미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동시에 그들은 비밀리에, 그리고 대리인, 즉 메이슨과 기독교인을 통해 활동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대인의 악마화와 비인간화가 일어난다. 그들은 단순히 "다른 인종"이 아니라, 사람이라고 보기 어려운 적대적인 존재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로드노베리 사람들에 따르면, 유대인들은 긍정적인 것을 창조할 수 없으며, 따라서 그들의 모든 문화적 성취를 "아리안족"으로부터 훔쳤다. 고대 팔레스타인 인구는 "아리안 슬라브족" 또는 그들의 가까운 친척으로 간주되며, 고대 유대인들의 이 지역 정복은 슬라브족("아리안족")을 정복하고 세계 지배를 확립하기 위한 오랜 확장의 시작으로 해석된다. 유대인에 대한 피의 거짓말 또한 로드노베리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퍼져 있다.

전체 기독교 시대는 퇴보와 쇠퇴의 시대로 제시되며, "노예" (기독교) 이데올로기를 그들에게 강요한 외국 선교사들에 의한 "아리안족"의 노예화가 일어났다고 본다. 로드노베리 사람들은 종종 이러한 선교사들을 유대인, "유대-메이슨" 또는 그들의 공범자로 간주한다. 동시에 슬라브 "아리안" 볼흐브 또는 사제들은 비밀 장소에 숨어 그들의 직계 후손인 로드노베리 사람들에게 전해진 지식을 보존해야 했다.

블라디미르 대공의 유대-하자르 기원이라는 생각은 널리 퍼져 있으며, 그가 유대인에 의한 "아리안족"의 노예화를 위한 도구인 기독교를 도입하고, 이교도 슬라브족의 대량 학살을 감행한 이유를 설명한다.

이 신화의 저자는 러시아 신이교주의의 창시자 중 한 명인 발레리 예멜야노프이며, 그는 자신의 저서 ''데시오니자시야''(1970년대)에서 이 신화를 설명했다. ''데시오니자시야''에 제시된 것과 같은 예멜야노프의 많은 생각들은 널리 퍼졌다.

예멜야노프의 영향으로, 고대 슬라브족에 관한 환상적이고 유사과학적인 문헌에 몇몇 마커 용어가 등장했으며, "불탄 진영"(«Опалённый стан»ru, 팔레스타인), "시얀 산"(«Сиян-гора»ru, 시온), "루사 살렘"(«Руса-салем»ru, 예루살렘) 등이 그 예이다.

4. 3. 풀뿌리 민주주의와 ''사모데르자비예''

로드노베리의 사회 정치 시스템은 고대 슬라브 공동체 모델인 베체(민중 의회)에 대한 해석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고대 게르만족의 팅 및 고대 그리스 민주주의와 유사하다. 그들은 의사 결정 권한이 합의에 의해 인정받은 현자들의 의회나 단일 현자에게 위임되는 정치 시스템을 제안한다. 서구 자유주의의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아이디어는 전통적으로 러시아인들의 눈에는 "외부" 자유로 인식되며, 슬라브의 "내부" 정신의 자유와 대조된다. 로드노베르의 관점에서, 서구 자유 민주주의는 "대중의 원시적 욕구를 실행하거나 무자비한 엘리트의 도구로 작용하도록 운명지어져 있으며", 따라서 비열한 "악마의 지배"이다.

일부 로드노베르는 ''베체''를 민족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민족 민주주의"의 형태로 본다. 로드노베르의 ''베체''에 대한 생각은 풀뿌리 민주주의의 한 형태로 정의되었으며, "자기 권력", "자치를 하는 사람들" 시스템인 ''사모데르자비예''로 정의했다.

아나스타시안 마을의 집과 목욕탕. 아나스타시안들은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자율성의 원칙에 기반한 자신들의 정착지를 자치 정부의 가장 훌륭한 형태로 여기며, 이는 정신의 표현이자 직접적인 "신과의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4. 4. 역사와 종말론에 대한 견해

로드노베리 운동은 근본적으로 "기원" 개념과 관련되어 있으며, 역사철학적 서술과 해석은 로드노베리의 여러 흐름 사이에서 다양하다. 역사적 과거에 대한 설명은 종종 미래에 대한 종말론적 견해와 얽혀 있다. 많은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고대 슬라브인들에게 위대한 문화적 업적을 부여함으로써 그들을 과장하며, 슬라브인이 다른 민족 집단과 구별되는 인종이라고 믿고 고대 아리아인의 직접적인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러시아 예술가 롤라 V. 론리의 작품 ''New World. Sun City'', 2013.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순환적-선형적 시간 모형"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서 순환적 형태와 선형적 형태는 서로 배타적이지 않고 서로를 보완하며 종말론적 정서를 자극한다. 일부는 슬라브인이 인류 역사와 종말론에서 메시아적 역할을 한다고 여기며,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세계의 미래 지정학적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믿거나 서방 세계의 종말에서 살아남을 새로운 문명의 요람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많은 로드노베리 신봉자들은 벨레스의 서를 성서이자 진정한 역사적 문서로 간주하며, 그들의 우주론, 윤리 체계, 의례적 관습을 ''책''에서 가져온다. 비록 더 작은 규모이기는 하지만, 운동에 영향을 미친 다른 현대 문학 작품으로는 ''새 가마욘의 노래'', ''콜리아다의 별의 책'', ''용감한 스뱌토슬라프의 유대계 하자리아에 대한 승리의 노래'', ''키예프의 리그베다'' 등이 있다.

로드노베리의 역사관은 학계에서 유사역사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많은 신자들은 학자들이 역사에 대한 진실을 은폐하려는 음모의 일부라고 비난한다. 유사 과학적 아이디어의 많은 다른 지지자들과 마찬가지로, 로드노베리 신봉자들은 종종 그들의 가르침을 "진정한 과학"으로 간주하는 반면, "유대인" "학문적" 과학은 슬라브인들에게 그들의 위대한 과거와 다른 민족에 대한 우월성에 대한 "진실"을 숨기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다고 주장한다.

많은 로드노베리 신봉자들은 공인 발레리 스쿠르라토프와 발레리 예멜리야노프, V. A. 이바노프와 V. V. 셀리바노프, A. M. 이바노프(스쿠라토프), 작가 블라디미르 셰르바코프, 블라디미르 치빌리킨, 유리 페투호프, 알렉세이 도브로볼스키, 빅토르 베르베르키, P. V. 툴라예프, 알렉산더 벨로프, 이고르 시냐빈, 겐나디 그리네비치, 발레리 추디노프, 블라디미르 아브데예프, N. N. 스페란스키, 바딤 카자코프, 블라디미르 골랴코프, 빅토르 칸디바, 알렉세이 트레클레보프, 니콜라이 레바쇼프, 콘스탄틴 페트로프, 레프 프로조로프, 아나톨리 클리소프 등과 같은 유사 역사 저자들의 작품을 사용한다.

4. 5. 기독교와 단일 이념에 대한 견해

많은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의식적으로 기독교와 아브라함 계통 일신교를 거부하며, 유기적 공동체를 훼손하는 파괴적인 세력으로 간주한다. 특히 기독교는 슬라브 문화 내에서 이질적인 존재로 인식된다. 그들은 아브라함 계통 종교와 이후의 세속적 이념적 산물들—마르크스주의, 자본주의, 일반적인 서구의 합리주의, 그리고 궁극적으로 소유, 착취, 환경 소비의 개념에 기반한 기술관료적 문명—을 "단일 이데올로기"로 간주하는데, 이는 현실의 복잡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는 "보편적이고 일차원적인 진리"를 조장하는 이데올로기라는 의미이다. 일부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기독교의 시발점으로 간주되는 유대교에 적대적인 입장을 취하기도 하며, 기독교가 슬라브인을 유대인의 통제하에 두었다고 믿기도 한다.

모스크바에서 로드노베리로 입문하는 여성.


기독교는 신이 하나의 역사적 실체(예수)로 화신할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동시에 역사상 부자를 옹호하고 노예 근성을 정당화하며, 로드노베리의 용기와 투지를 강조하는 윤리와, 살아있는 존재의 존재론적 자유를 강조하는 신학에 반하는, 비굴한 행동을 조장하는 계층적이고 중앙집권적인 권력을 창출함으로써, 우주 내에서 인류의 역할을 왜곡하는 인간 중심적 신학으로 비난받는다. 기독교는 또한 인간의 책임을 현재 세상에서 초월적인 미래로 옮김으로써 도덕성을 파괴하는 체제로 간주되며, 그 신학은 또한 최고의 신과 세상을 분리한다. 그 인간 중심주의는 궁극적으로 생태 파괴의 원인으로 간주되는데, 이는 신학적으로 인류를 세상 위에 고양시키는 것이 인간의 기술관료적인 자연 지배의 실존적 모델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로드노베리 신봉자들은 반기독교적 견해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한다. 많은 로드노베리 단체들은 기독교 포기 의식(''raskrestitsia'', 문자적으로 "탈기독교화")과 슬라브 이름을 채택하는 로드노베리 입문 의식을 조직한다. 민속학자 마리야 레시브는 2006년 키이우에서 로드노베리 신봉자들이 "여호와는 물러가라! 다즈보그에게 영광을!"이라고 외치며 행진하는 것을 관찰했으며, 1996년에는 민스크에서 정교회 대성당이 로드노베리 신봉자들에 의해 훼손되어 "기독교인들아, 우리 벨라루스 땅에서 물러가라!"라는 낙서를 포함한 낙서로 뒤덮였다. 심슨은 폴란드에서 여러 로드노베리 신봉자들이 진정한 폴란드 축제가 아니라고 간주하는 발렌타인데이에 반대하는 포스터 캠페인을 시작했다고 언급했다. 러시아에서는 로드노베리 신봉자들이 다양한 교회를 훼손하고 방화했다.

러시아 로드노베리의 창시자 중 한 명인 알렉세이 도브로볼스키(도브로슬라프)는 세계를 생태적 재앙으로 이끌었다고 주장하는 "유대-기독교 암흑주의"를 비난했다. 그는 야릴로-태양이 곧 자외선에 가장 민감한 존재들을 태울 것이며, 이를 주로 유대인들에게 기인한다고 썼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유대-기독교" 세계의 죽음은 "우리 시대의 시작"을 알릴 것이다. 블라디미르 아브데예프는 책 "기독교 극복" (1994)에서 물고기자리의 시대가 일신교의 지배와 관련하여 열등하며, 미래의 축복받은 물병자리의 시대는 인류를 원래의 원초적 번영으로 되돌리도록 설계되었다고 썼다. 1998년 빅토르 베즈베르키(오스트로미슬)는 2003년에 "대출 이자와 노예 제도의 문명"의 죽음을 예언했다. 그에 따르면 "인종"은 이를 위해 준비해야 하며, 따라서 "예루살렘을 파괴한 티투스 황제의 영웅주의"를 연구해야 한다. 블라디미르 이스타르코프는 책 "러시아 신들의 공격"에서 물병자리의 시대에 이교도 신들의 부활이 있을 것이고, "아리안의 힘"이 "유대인의 악마"를 이길 것이라고 예측한다.

5. 실천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의례를 "종교를 정의하고 배우고 전달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긴다. 의례는 신화, 상징, 암호화된 찬트와 제스처를 활용한다. 신화와 상징은 인류의 잠재의식에서 나타나며, 그 진정한 의미가 항상 명확하지 않으므로 해독하고 재해석해야 하는 상상된 신성한 지식으로 간주된다.

대부분의 로드노베리 단체는 가문의 지속과 육성, 친족과 토지를 위해 조상 숭배를 강력하게 강조한다. 조상들은 현재 살아있는 후손을 효과적으로 만들어낸 인물이기 때문이다. 조상 숭배의 한 예는 예카테린부르크에 중심을 두고 우랄 지역에 널리 퍼져 있는 러시아 로드노베리 조직 스바로지치(Svarozhichi)가 키예프 대공 스뱌토슬라프 1세의 하자르인과의 승리를 기리기 위해 5월 9일에 행하는 "고대 러시아 기사 숭배" 의식이다. 일부 실렌코파 조직은 타라스 셰우첸코, 이반 프랑코, 보흐단 흐멜니츠키, 흐리호리 스코보로다와 같은 우크라이나의 국가 영웅들을 기념한다.

러시아 로드노베리 사제가 쿠팔라의 밤 축제에서 신봉자들의 이마에 점을 찍고 있다.


나로-포민스크, 모스크바주, 러시아에서 콜리아다 축제를 기념하며 시계 방향으로 불 주위를 돌며 춤을 추는 로드노베르


의례는 정화된 장소에서 일어나며 일반적으로 불을 지피는 것(''vozzhiganie ognia''), 신을 부르는 것, 찬송가를 부르는 것, 희생(''prinesenie treby'') 및 제물을 붓는 것, 원무(''khorovod'' 또는 간단히 ''kolo'', "원"), 그리고 일반적으로 마지막에 공동 식사를 포함한다. 원무는 ''Prav'' (상위 세계)의 신에게 헌정된 의례에서는 시계 방향(''posolon'', 즉 해 방향, 오른쪽 방향)일 수 있고, ''Nav'' (하위 세계)의 신에게 헌정된 의례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protivosolon'', 즉 뒤쪽 방향, 왼쪽 방향)일 수 있다.

입문 의례에는 기독교를 공식적으로 포기하는 것(''raskrestitsia'')이 포함되며, 이는 슬라브 이름으로 세례를 받는 것 (''imianarechenie''), 형제단에 들어가는 의례 (''bratanie''), 결혼 및 죽음의 의례를 수반한다. 이름 변경은 새로운 공동체로의 개인의 죽음과 환생을 상징한다. 남성 형제단은 개종자의 손바닥에 두 번째 "생명선"을 잘라 다른 구성원과 형성되는 새로운 "혈연"을 상징한다.

5. 1. 공동체, 성채 및 사원

로드노베르 조직은 슬라브와 러시아 역사로부터 공동체 의식과 사회적 통치에 대한 아이디어를 계승했다.[4] 그들은 기독교 이전의 사회 제도인 ''베체''(의회)를 부활시켰으며, 이는 20세기 러시아 철학에서 정립된 ''소보르노스트''의 개념을 반영한다고 본다.[4] 지역 로드노베르 그룹은 일반적으로 자신들을 ''옵시치나''(전통적인 농민 공동체를 칭하는 용어)라고 부르며, ''스호드'', ''소보르'', ''미르''는 비공식적인 모임이나 전통적인 러시아의 공동체 의식을 언급하는 데 사용된다.[4]

로드노베르 공동체는 요새(''크렘린'') 또는 성채(''고로독'')와 같은 공동 생활을 위한 장소를 설립하며, 이곳에서 사원은 다양한 사회적 용도의 건물로 둘러싸여 있다.[6] 의식과 종교 모임은 종종 시골, 숲, 빈터에서 거행된다.[4] 슬라브 토착 신앙의 사원의 기본 구조인 의식 광장(카피셰, ''kapishche'')은 사제들만 접근할 수 있는 신성한 희생 구역으로 구성되며, 그 중심에는 신들의 조각상이 새겨진 기둥과 의식 불(''크라다'')이 놓여 있다.[4] 사원 건물(흐람, ''khram'')이 있을 수 있다. 기둥 또는 조각상은 ''로도보이 스톨브''("조상 기둥"), ''우상'', ''추르''라고 불린다.[4]

슬라브 토착 신앙 공동체 연합의 스바로지치 불의 사원 의식, 러시아 칼루가주 크라스토틴카.


2015년, 단순한 목조 건축 형태의 스바로지치 불의 사원이 러시아 칼루가 크라스토틴카에 있는 슬라브 토착 신앙 공동체 연합에 의해 개관되었다.[7]

5. 2. 사제직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현자", "마법사", 즉 "무당" 또는 "마법사"로 번역 가능한 ''볼흐브''(Volkhv)와 ''제레츠''(Zhrets)("희생자")의 계급으로 구별되는 사제 계급에 의해 이끌어진다. 이들은 신을 숭배하고 공동체와 종교 축제를 이끄는 역할을 한다. ''볼흐브''는 사제 계급의 상위 계급이고, ''제레츠''는 하위 계급이다. 대부분의 로드노베리 사제는 남성이지만, 여성 사제직도 존재하며 ''즈리차''(zhritsa)와 ''베두냐''(vedunya)("예언자")로 구성된다. 우크라이나 출신의 여사제 할리나 로즈코는 로드노베르 운동 내에서 인정받는 권위자이다.

의례 광장(''카피쉬체'')에서 의식을 집행하는 희생자들, 칼루가, 칼루가주, 러시아.


로드노베르 사제직은 신성한 물건 등 여러 속성으로 특징지어진다. "전통적인" 의상과 탬버린 외에도, 로드노베르 ''볼흐브''의 가장 두드러진 요소는 지팡이인데, 이는 그들의 입문 시점에 부여되며, "세계 여러 민족의 전통에서 종교적, 세속적 권력(홀, 지팡이)의 변함없는 속성"이다. 로드노베리에서, 사제 지팡이는 ''축의 축'', 즉 세계수, 보이지 않는 "힘의 기둥", 창조의 영적 힘을 나타낸다.

5. 3. 달력과 명절

일반적인 로드노베리 의례 달력은 슬라브 민속 전통을 기반으로 하며, 주요 행사는 1년의 네 시기에 맞춰지는 네 번의 지점춘분점이다. 슬라브 토착 신앙은 1년의 계절의 "자연의 순환"을 따른다고 묘사되었다. 많은 로드노베리 신자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믿는 축제는 하지가 있는 쿠팔라 밤(6월 23–24일)이지만, 동지 축제인 ''카라춘''과 콜리아다(12월 24–25일), 춘분 축제인 콤모에디차 또는 마슬레니차(3월 24일)도 중요하다. 봄에 기념되는 축제로는 야릴로의 날과 크라스나야 고르카(4월 30일–5월 1일)가 있으며, 후자는 조상 숭배를 위한 날이다. 가을에 로드노버들은 마르잔나의 날과 모코시의 날(11월 10일)을 기념한다. 다른 축제로는 1월과 2월에 여러 번 있는 벨레스의 날과 페룬의 날(8월 2일)이 있으며, 후자는 일부 로드노버 단체에서 1년 중 가장 중요한 명절로 여겨진다. 아나스타시아인들은 또한 그들의 운동의 책에 규정된 특징적인 의식으로 7월 23일에 지구의 날을 기념한다.

러시아 벨고로드주의 아나스타시아 마을에서 아나스타시아인들이 콜리아다 명절을 기념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로드노버들이 시골에서 보도크레쉬 명절에 여신 숭배를 하고 있다.


축제의 조직에는 전문적으로 인정받는 사람들, 후원하는 "핵심" 실천가, 헌신적인 추종자들, 그리고 헌신적인 추종자들의 친척과 친구들로 구성된 "주변부"등 세 게층의 사회가 관여한다. 축제가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저녁, 주말 및 공휴일에 일반적으로 열린다. 겨울의 끝은 겨울의 여신인 마르잔나의 짚 인형을 태우고, 자연력의 완전한 진동의 신인 야릴로의 승리를 기념하는 것으로 표시된다. 대신 여름의 끝은 야릴로의 이미지를 매장하는 것으로 표시된다.

슬라브 토착 신앙의 추종자들은 종종 기록된 민속 문화에서 요소를 채택하여 기독교화되거나 이교도가 아닌 내용에 새로운 의미와 목적을 부여한다. 일부 로드노버 단체는 기독교 축제를 차용하거나 재차용했다. 세례자 요한 탄생 축일을 정하는 쿠팔라 밤이 그 예시이다.

5. 4. 예술 및 기타 활동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시각 예술을 통해 종교적 신념을 표현해 왔으며, 키예프 대공 스뱌토슬라프 1세는 로드노베리 예술가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역사적 인물 중 하나이다. 2010년대에 로드노베리는 민족 의상, 민족 헤어스타일, 민족 문신을 장려하고 자체적인 상징 및 이미지 체계를 만들고 보급하며 음악, 영화, 소설 장르를 창작함으로써 슬라브 국가의 대중 문화 시장에 진입했다. 일부 로드노베리 신자들은 언어 순수주의를 옹호하며 외래어를 슬라브어 동등어로 대체할 것을 제안한다.

로드노베리는 일반적으로 개인의 건강한 생활 방식을 강조하며, 이는 국가의 건강한 생활 방식으로 확장된다. 로드노베리 의례와 축제에는 종종 무술 시연이 포함되며, 이는 때때로 봄의 겨울에 대한 승리와 같은 계절의 변화를 상징하거나 용기, 힘, 정직의 발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슬라브 언덕 레슬링"은 러시아 로드노베리 알렉산드르 벨로프가 창시했다. 로드노베리 신봉자들에게 인기 있는 다른 무술 스타일로는 "벤치 레슬링"과 "벽 대 벽"이 있다.

6. 역사

6. 1. 1800년대–1920년대: 낭만주의와 폴란드 혁명 선구자

슬라브 토착 신앙의 기원은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유럽의 낭만주의 운동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합리주의와 계몽주의 시대에 대한 반발이었다. 이는 지식인들이 자신의 국가 유산을 주장하기 시작하면서 유럽 전역에서 민족주의가 성장하는 것과 함께 나타났다. 1818년, 폴란드 민족지학자 조리안 도웬가-초다코프스키는 저서 ''O Sławiańszczyźnie przed chrześcijaństwem''("기독교 이전의 슬라브인에 관하여")에서 자신을 "이교도"라고 선언하고 슬라브 민족의 기독교화는 실수였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그는 폴란드와 모든 슬라브 국가에서 슬라브 종교로의 회귀를 주창하는 선구자가 되었다. 마찬가지로, 폴란드 철학자 브로니스와프 트렌토프스키는 슬라브의 역사적 종교가 신성한 창조주를 이해하는 진정한 길이며, 기독교는 그렇게 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폴란드 로드노버에 의해 출판된 조리안 도웬가-초다코프스키의 ''기독교 이전의 슬라브인에 관하여''의 2018년 출판물


낭만주의 시대의 이러한 토착 기독교 이전 종교의 재발견과 재평가가 로드노버의 출현을 준비했다.

6. 2. 1930년대–1950년대: 초기 구체적인 발전

1930년대에 우크라이나에서 슬라브 토착 신앙의 첫 번째 실천자들이 나타났다. 1931년부터 1935년까지 발행된 우크라이나 문학 잡지 ''Dazhboh''는 신이교 사상으로 가득했다.[8] 가장 영향력 있는 우크라이나 로드노베르 이데올로그 중 한 명은 리비우 대학교에서 일한 언어학자이자 문헌학자인 볼로디미르 샤이안 (1908–1974)이었다. 그는 1934년에 카르파티아 산맥의 그레키트 산 정상에서 영적인 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당시 유행했던 고대 아리안 인종에 대한 아이디어에 특히 관심이 많았던 그는 이후 소위 "범 아리안 르네상스"를 홍보하기 시작했다. 그는 고대 슬라브 종교의 생존물로 여겨지는 것을 찾기 위해 기록된 우크라이나 민속을 연구했다. 1944년, 그는 소련 정부를 피해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난민 캠프로 갔으며, 그곳에서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우크라이나 반군 군대에 가입하기를 희망하는 종교 정치 단체인 태양신의 기사단 (''Orden Lytsariv Boha Sontsia'')을 설립했다.

우크라이나 잡지 ''Dazhboh'' (1935년 2월 28일)의 첫 페이지.


폴란드에서는 얀 스타치니우크 (1905–1963)가 1937년에 ''자드루가'' 잡지를 창간하여 자드루기즘 운동을 일으켰다. 남 슬라브 부족 단위를 의미하는 "자드루가" 스타치니우크는 폴란드의 가톨릭교를 비판하며, 가톨릭교가 국가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생각을 종교로 발전시키지 않았고, 그의 견해를 공유하는 사람들은 "매우 느슨하고 다양한 지적 집단"으로 남아 있었다. 이 잡지와 관련된 단체는 세속적인 인본주의부터 종교적인 슬라브 토착 신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견해를 가진 구성원을 포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폴란드 대중 언론으로부터 ''네오포가닌'' ("신이교도")이라는 꼬리표가 붙었고, 그는 나중에 자기를 지칭하는 용어로 이를 받아들였다. 같은 해에 즈지스와프 하를렌더 (1898–1939)는 독립적으로 1937년에 출판된 책 ''Czciciele Dadźbóg Swarożyca'' ("다지보그 스와로지치를 숭배하는 사람들")를 저술하여 기독교 이전 슬라브 종교의 부흥에 대한 자신의 비전을 제시했다.

브와디스와프 코워지에이 (1897–1978)는 나중에 제2차 세계 대전 전에 스베토비드의 숭배자 성스러운 원 (''Święte Koło Czcicieli Światowida'')을 설립했다고 주장했지만, 수년이 지나도록 정기적인 회의를 개최했다는 증거는 없다. 전쟁 중 스테판 포트루스키는 나치 독일의 폴란드 점령에 맞서 싸운 농민 대대에서 부대를 이끌었다. 그의 부대는 비밀 숲 기지에 신 스베토비드의 신사를 가지고 있었고, 그들은 신의 나무 이미지를 꿀술로 축배를 드리는 집단 의식을 거행했다. 또한 얀 스타치니우크는 바르샤바 봉기 동안 나치 독일 점령에 맞서 싸웠다. 전쟁이 끝나고 폴란드가 스탈린주의 정권에 편입된 후, 스타치니우크와 코워지에이는 모두 체포되어 슬라브 토착 신앙 공동체의 설립을 막았다. 1954년, 우치 대학교에서 클란 아우란(Klan Ausran)이라는 학생 단체가 설립되었는데, 공식적으로 인도유럽 사회 연구에 전념하며 회원들은 찬송가와 기도를 제공했다.

이 운동에 대한 주요 영향은 ''벨레스의 서''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이민자들 사이에서 유통된 것이었다. 이 텍스트는 러시아인 유라 페트로비치 미로류보프 (1892–1970)에 의해 대중에게 알려졌는데, 그는 친구인 포도르 아르투로비치 이젠베크가 러시아 내전 동안 백군 장교로 복무하면서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미로류보프는 이젠베크의 텍스트가 나무 판에 새겨져 있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분실되어 자신의 사본만 남았다고 주장했다. ''벨레스의 서''는 미로류보프 자신이 제작한 문학 작품일 가능성이 높다. 수십 년 동안 이 작품은 많은 이민자들이 진정한 10세기 텍스트로 간주하면서 센세이션을 일으켰을 것이다. 이 책의 또 다른 지지자는 우크라이나의 곤충학자 세르게이 파라모노프 (세르게이 레스노이로도 알려짐; 1898–1968)였다. 그는 1957년에 이젠베크 텍스트에 "벨레스의 서"라는 이름을 붙였고, 또한 그것이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필기체에 "벨레소비차"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젠베크의 판자" (16번)의 초기 사본 중 하나 (1955년). 이 판자에 ''벨레스의 서''가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6. 3. 1960년대–1980년대: 소련과 서구의 슬라브 디아스포라

레프 실렌코는 볼로디미르 샤이안의 제자 중 한 명으로, 유럽을 떠나 캐나다를 거쳐 미국으로 이주했다. 1966년 시카고에서 우크라이나 토착 민족 신앙(실렌코주의)의 초기 그룹을 설립했으며, 1979년에는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대 역사를 기록했다고 주장하는 ''마하 비라''("위대한 신앙")를 출판했다. 실렌코주의는 이신론신지학(블라바츠키)의 영향을 받았다. 실렌코주의 센터인 우크라이나 어머니 사원은 뉴욕 스프링 글렌에 설립되었다.

뉴욕 뉴욕주 스프링 글렌에 있는 우크라이나 어머니-오리아나 사원.


소련 시대 요시프 스탈린은 선사 시대 사회에 대한 연구를 장려했고, 일부 학자들은 기독교 이전 사회가 공동체주의를 반영했다고 주장하며 선기독교 신앙 체계 재활성화를 주장했다. 보리스 리바코프는 고대 슬라브 종교에 대한 최초의 학문적 연구를 제공했다. 니키타 흐루쇼프 시대의 무신론 부활은 선기독교 및 선이슬람 전통의 회복을 전제로 했다.

러시아 로드노베리는 1970년대 후반 소련 반체제 인사 서클에서 시작되었으며, 지식인들은 전통적인 러시아 문화와 정체성의 소멸을 우려했다. 당시 주요 신이교주의 이데올로그는 모스크바 아랍학자 발레리 예멜랴노프(벨레미르)와 반체제 인사이자 신나치 활동가인 알렉세이 도브로볼스키(도로슬라브)였다. 슬라브 토착 종교의 주제를 숭상하는 지식인 서클은 주로 정교회 기독교 사미즈다트 민족주의 저널 ''베체''(1971–1974)의 한 분파로 형성되었다. 러시아 로드노베리의 첫 번째 선언문은 1973년 발레리 예멜랴노프가 익명으로 게재한 "러시아인의 비판적 발언"("Kriticheskie zametki russkogo cheloveka")으로 간주되며, 당시 흐루쇼프와 가까웠다. 1970년대에도 종교적인 로드노버 그룹들은 여전히 비밀리에 활동해야 했지만, 모스크바와 레닌그라드(상트페테르부르크)에는 민족주의 지식인 서클과 밀접하게 연결된 소규모 그룹이 몇 개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1980년대 초, 대도시 모스크바 문화궁전에서 활동하던 인물들이 고대 아리아 문화를 호의적으로 바라보며 ''파뱌트'' 운동을 설립했다. 1986년, 빅토르 베즈베르키(1930–2000)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본부를 둔 마법사 협회(''Obshchestvo Volkhvov'')를 설립했는데, 이는 명시적으로 백인 우월주의와 반유대주의 조직이었다. 1990년에는 베네드의 연합이 설립되었다.

6. 4. 1990년대–2000년대: 소련 붕괴 이후의 성장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소련 정부가 1980년대에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을 도입한 후, 슬라브 토착 신앙 단체들이 우크라이나에 자리를 잡았다. 소련의 붕괴와 국가 무신론이라는 공식 정책의 결과는 이 지역 전반에 걸쳐 종교적 지지의 부활을 가져왔다.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대체 영성을 탐구한 후 로드노베리에 도달했으며, 당시 로드노베리 내에서 아시아 종교의 영향이 특히 두드러졌다.

우크라이나 로드노베르들이 공공 예배에 참여하고 있다.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는 독립 공화국이 되었고,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이 강력한 민족주의적 의제로 전환했다. 그중에는 우크라이나를 "문명의 요람"으로 주장하는 유사 고고학자 유리 실로프가 있다. 이러한 더 넓은 문화적 민족주의와 대체 영성에 대한 관심 속에서 로드노베리가 우크라이나에서 다시 부상했다. 1991년 키이우에서 첫 번째 회중이 공식 인정을 받았다. 2003년에는 우크라이나에서 첫 번째 로드노베르 포럼이 열렸으며, 두 가지 공개 선언이 발표되었다. 첫 번째는 로드노베르가 신성한 장소와 물건으로 간주하는 것을 보호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고, 두 번째는 정부에 제안된 농지 사유화를 진행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같은 해에 토착 정교 신앙의 조상 불꽃이라는 단체가 설립되었는데, 범슬라브적 관점을 수용했다.

러시아에서 로드노베리의 성장은 중부 및 동유럽의 다른 지역과 달랐다. 러시아 민족주의자들은 소련 체제의 붕괴를 환영했지만, 자본주의의 도래와 그 시기에 러시아가 직면한 극적인 경제 침체에 실망했다. 많은 사람들이 실업자가 되었고, 과거로 눈을 돌려 민족적 뿌리에 대한 연구를 장려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로드노베리의 성장은 국가적 자긍심을 되찾으려는 민족주의적 움직임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초기 탈소련 로드노베리의 많은 지도자들은 이미 소련 말기에 로드노베르였던 지식인들이었다. 예를 들어 그리고리 야쿠토프스키(''볼흐프'' 브세슬라프 스뱌토자르), 알렉세이 도브로볼스키(''볼흐프'' 도브로슬라브) 및 빅토르 베즈베르키가 있다.

신이교주의, 인종 차별적, 반유대주의, 그리고 반기독교 감정적 성격의 문학은 1994년 공식 등록된 모스크바 출판사 ''루스카야 프라브다''에 의해 출판되었으며, 신이교주의 언론인 알렉산더 아라토프(오그네베드)가 설립했다. 이 출판사는 "아리아인-슬라브-러시아 문제"에 대한 문헌을 "출판 및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97년, 러시아 신이교주의의 창시자 중 한 명인 발레리 예멜야노프는 아라토프의 소규모 운동에 합류하여 루스카야 프라브다 신문의 편집장이 되었다. 1997년 이후, 아라토프가 대표하는 ''루스카야 프라브다'' 출판사는 칼루가 슬라브 공동체 및 기타 단체와 함께 대규모 신이교주의 협회 SSO SRV의 핵심을 형성했다. 역사가 빅토르 슈니렐만은 출판사와 신문 ''루스카야 프라브다''를 반유대주의적이라고 특징짓는다.

1990년대부터 러시아 로드노베리는 확장되고 다양해졌다. 1994년 모스크바 슬라브 공동체는 정부에 의해 등록된 최초의 로드노베르 단체였다. 모스크바와 칼루가 공동체의 합동 노력으로 1997년 민족주의적 견해를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토착 신앙 공동체 연합이 설립되었다. 1999년, 모스크바와 오브닌스크 공동체는 민족주의를 거부하고 이를 떠났고, 또 다른 우산 조직인 일리야 체르카소프(''볼흐프'' 벨레슬라프)가 이끄는 벨레스 서클을 설립했으며, 이는 가장 큰 조직 중 하나이며 우크라이나 영토에도 공동체를 관리한다. 잉글리스트 교회 또한 1990년대 초에 공식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로드노베리의 가장 분파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종파 중 하나로 간주된다. 2009년, 슬라브 토착 신앙 공동체 연합과 이교 전통 서클은 잉글리즘(알렉산드르 히네비치와 알렉세이 트레클레보프), 레바쇼비즘(니콜라이 레바쇼프), 그리고 발레리 추디노프와 겐나디 그리네비치에 반대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토착 폴란드 교회의 창시자 레흐 엠파지 스테판스키가 결혼식을 거행하고 있다.


폴란드에서는 브로츠와프에 본사를 둔 출판사 ''토포르제우''가 스타흐니우크의 저서와 그의 제자 안토니 바치크의 저서를 재출판했다. 1996년 토착 신앙 협회(''Zrzeszenie Rodzimej Wiary''; 현재 단순히 ''로드지마 비아라'', "토착 신앙"이라고 불림)가 설립되었으며, 그 창시자 스타니스와프 포트제보프스키는 독일어로 전후 자드루지즘에 관한 박사 학위 논문을 썼다. 1995년 국가에 의해 등록된 또 다른 폴란드 로드노베르 단체는 레흐 엠파지 스테판스키의 지도 아래 있는 토착 폴란드 교회(''Rodzimy Kościół Polski'')이다.

체코 공화국의 현대 로드노베리는 1995-1996년에 등장했다. 그 해에 두 개의 단체가 설립되었는데, 카스트주의 민족 전선(''Národní Front Castistů'')과 나폴리 출신의 인류학자이자 슬라브어 교수인 주세페 마이엘로(슬라브어 이름은 데르반)가 프라하의 카렐 대학교 철학부 학생들 사이에서 설립한 ''라드호슈트'' 그룹이 있다. 두 그룹은 2000년에 토착 신앙 연방(''Společenství Rodná Víra'')을 형성했다. 2000년대 중반 ''Rodná Víra''는 체코 정부에 의해 법적으로 등록되었지만, 내부 의견 불일치로 인해 2010년 등록이 취소되고 비공식 협회로 전환되었다.

로드노베리는 21세기 초에 옛 유고슬라비아 국가들로 확산되었다. 슬라브 원형(''Slovenski Krug'')으로 알려진 세르비아 토착 신앙 단체는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존재했으며, 역사적 슬라브 종교를 헤르메스 황금 새벽회에서 채택한 의식 구조와 융합했다. 슬로베니아에서는 2005년경에 오래된 신앙의 스베토비드 교구(''Staroverska Župa Svetovid'')라는 그룹이 설립되었다. 2011년에는 바그너 서클(''Svaroži Krug'')이 보스니아에 설립되었다. 1990년대와 2000년대에는 불가리아에서 율로 연합, 탕그라의 전사, 불가리아 호드 1938과 같은 여러 단체가 설립되었다. 로드노베르 인물과 단체는 2002년 불가리아 극우 단체인 ''옹갈''의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는 또한 모든 슬라브 국가의 로드노베르 그룹 간의 국제적 접촉이 발전한 것을 목격했으며, 다양한 전슬라브 로드노베르 회의가 조직되었다. 인터넷은 로드노베리의 확산과 다양한 그룹 간의 의식 관행의 통일을 도왔다. 러시아 인터넷 (소위 ''Runet'')에서 첫 번째 로드노베르 웹사이트는 1996년 모스크바에 거주하는 신자에 의해 만들어졌다. 2000년대 중반부터 로드노베르들은 자신의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들과 소통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점점 더 많이 사용했다.

6. 5. 2010년대: 통합과 돈바스 전쟁

2010년대 초, 로드노베리 그룹 간의 관계가 강화되었다.[9][10] 2012년 러시아에서 슬라브 원시 신앙 공동체 연합, 이교 전통의 원, 벨레스의 원 대표자들은 "사제 상호 인정 협정"을 체결하여 슬라브 사제 서품 기준을 정의했다. 또한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에 존재하는 Skhoron ezh Sloven을 포함한 일부 저자와 운동에 대한 불만을 표명했다.[9][10] 2014년 러시아 정부는 슬라브 문화 진흥을 위한 지역간 공공 조직으로 슬라브 원시 신앙 공동체 연합을 공식 등록했다.

로드노베리는 돈바스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는데, 많은 로드노베리 신자들이 도네츠크와 루간스크의 친러시아 무장 세력에 합류했다.[9][10] 돈바스는 전통적인 인도유럽어 삼기능 가설에 따라 지역 마을과 사회를 재조직하는 러시아 로드노베리 그룹의 거점이라고 기록되었다.[11]

2015년 8월, 제3차 폴란드 전국 로드노베리 회의에서 로드노베리 연맹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12] 2017년 6월에는 전국 공휴일인 Stado 축제 기간 동안 폴란드 로드노베리의 종교 단체 "Kin"이 창설되었다.[13]

7. 분파, 얽힌 운동 및 영향

로드노베리는 일반적으로 민주적이고 자유로운, 또는 "오픈 소스 종교"이며, "신성함에 대한 인간의 평등"을 강조하기 때문에 많은 종파가 존재한다. 절충주의혼합주의는 대부분의 신자들에게 받아들여지지만, "국가 [슬라브] 전통의 개념이 지배적인 최소한의 틀"이 존재한다. 로드노베리는 그 "열린" 특성 때문에 권위주의적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명확한 교리를 개발한 종파도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비종파적인 로드노베리와 잘 정의된 교리의 추종자들 사이에 종종 긴장이 존재한다; 이는 잉글리즘의 교리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러시아의 주요 로드노베르 단체들이 진정한 슬라브 토착 신앙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야그노베리, 라도베리, 실렌코이즘 또한 일부 로드노베리들은 슬라브 토착 신앙의 분파로 분류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불타는 바퀴로 의식을 치르는 러시아 로드노베리 신자들.

7. 1. 민족적 변형

로드노베리에는 범슬라브 종교가 아닌 초기 발트-슬라브 또는 슬라브 부족의 특정 종교를 재건하려는 분파가 있다. 벨라루스와 러시아 인접 지역에는 초기 동슬라브족 부족 연합 중 하나인 크리비치족에서 영감을 받아 슬라브와 발트 전통을 혼합하는 단체들이 있다.

이바노보, 코스트로마, 모스크바, 블라디미르, 볼로그다, 트베리, 야로슬라블 등 러시아 지역에서 나타나는 메랸 로드노베리는 메랸족 조상을 둔 러시아인들 사이에서 민족 종교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메랴족은 러시아 민족 형성의 역사적 과정에서 동슬라브족에게 완전히 동화된 볼가 핀족이다.

돌이나 덤불더미에 칼을 꽂아 무신(페룬)을 기리는 의식.


스키타이 아시안주의(러시아어: Скифское Ассианство)는 본질적으로 스키타이인 로드노베리의 한 유형으로, 오세티아 민속 종교를 모방한다. 특히 코사크 사이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존재하지만, 슬라브족과 구별하기 위해 스키타이 정체성을 주장한다.

우크라이나에는 우크라이나인 특유의 로드노베리 분파가 있다. 1966년 미국의 우크라이나 디아스포라 사이에서 레프 실렌코에 의해 설립된 원우크라이나 민족 신앙 교회(우크라이나어: Рі́дна Украї́нська Націона́льна Ві́ра)가 대표하는 실렌코주의는 소련 붕괴 이후인 1991년에야 우크라이나에 소개되었다. 실렌코는 스스로를 예언자라고 선언하며, 슬라브인들에게 그들의 고유하고 원래의 신 이해에 부합하는 새로운 신 이해를 가져왔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 미콜라이우주 보호야블렌스키에 있는 OSIDU RUNVira의 레프 실렌코 탄생 사원 에서 실렌코파 성직자.


야그노베리(우크라이나어: Ягновіра), 라도베리(Ладовіра), 오란티즘(Орантизм)은 우크라이나에 초점을 맞춘 로드노베리의 다른 분파들이다.

7. 2. "베다교"로 분류되는 운동

페테르부르크 베다교(러시아어: Петербургский/Русский Ведизм)는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 사이에 철학자 빅토르 베즈베르키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시작한 초기 로드노베르 운동 중 하나이다. 1986년에 설립된 마법사 협회와 1990년에 설립된 베네드 연합 및 그 다양한 분파에 의해 대표된다. 여기에는 블라디미르 Y. 골랴코프가 1991년에 설립한 스호론 예즈 슬로벤이 포함되며, 러시아 전역과 벨라루스 및 우크라이나에 지부를 두고 있다.

코렌스키예 로드니키(Korenskiye Rodniki, "뿌리 샘")에 있는 건물과 들판, 러시아 벨고로드주 셰베킨스키 구의 아나스타시안 마을


아나스타시즘(러시아어: Анастасианство, Анастасийство, Анастасиизм) 또는 울리는 시더(Звенящие Кедры)는 로드노베르와 겹치는 영적 운동으로, 1997년부터 블라디미르 메그레의 저술에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러시아 전역과 다른 국가에 생태 마을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그들의 정착지는 "친족 농가" (родовое поместье, ''rodovoye pomest'ye'')로 알려져 있다.

''해외 손님''—니콜라스 로에리히, 1901. 이 그림은 스칸디나비아에서 유라시아 대륙의 중심부로 오는 바랑인 루스를 묘사한다.


로에리히즘(러시아어: Рерихиа́нство, Рерихи́зм)과 이바노비즘(Ивановизм)은 러시아 우주론과 관련된 영적 운동으로, 전체론 철학을 바탕으로 한다. 이바노비즘은 신비주의자 포르피리 이바노프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한 영적 수련으로, ''Detka'' 치유 시스템과 종교적 찬송가를 기반으로 한다. 이 운동은 이바노프의 출생지인 동부 우크라이나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러시아에서도 널리 퍼져 있다.

진실주의(러시아어: Аутентизм)는 1984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심리학자 세르게이 페트로비치 세메노프가 창시한 로드노베르 영적 철학이자 심리학적 질서이다.

2004년 옴스크에 있는 잉글리스트 교회의 본부 건물인 페룬의 지혜 사원.


잉글리즘(러시아어: Инглии́зм)은 1990년대 초 알렉산드르 히네비치에 의해 시베리아 옴스크에서 설립되었다.

시베리아 샤머니즘과 텡그리즘은 많은 로드노베르 신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슬라브-힐 로드노베리(러시아어: Славяно-Горицкое Родноверие)는 1980년대 러시아에서 등장한 슬라브 원주 신앙의 초기 분파 중 하나이며, 실천가 수가 수만 명에 달하는 규모로 가장 큰 분파 중 하나이다. 무술 스타일의 실천을 결합하여 군사적 지향성을 특징으로 한다.

위대한 완성의 길(러시아어: Путь Великого Совершенства)은 일리야 체르카소프(볼흐프 벨레슬라프)가 정립한 로드노베르의 밀교 교리로서, 슬라브 좌도의 관점을 제시한다.

8. 인구 통계

슬라브 토착 신앙(로드노베리에)은 주로 동유럽과 러시아 지역에서 실천된다.[15] 러시아에서는 수만 명의 신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주로 젊은 층과 지식인 층에서 인기가 있다.[15][16] 특히 물리학자들이 많이 참여하고 있으며, 소련 또는 러시아 군대, 경찰 및 보안 출신들도 많이 관련되어 있다.[16]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170만 명(전체 인구의 1.2%)이 스스로를 "이교도" 또는 "전통 종교, 신과 조상 숭배"의 추종자로 식별했다.[15]

우크라이나에서는 2005년 기준으로 5,000명에서 10,000명 사이의 신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2008년에는 90,000명에 달한다는 보고도 있었다. 이들은 주로 "민족 지향적"이며 평균 이상의 교육 수준을 보이는 우크라이나 민족으로 구성되었다. 슬라브 토착 신앙 신봉자들은 민속 및 전통 음악 부흥 단체, 코사크 협회, 전통 무술 단체, 민족주의 및 극우 민족주의 단체와도 관련이 깊다.

벨라루스에서는 1990년대부터 로드노베리에 단체가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낭만주의 지식인 및 민족주의 정치 서클과 연결되어 있다. 벨라루스인들의 민족 정체성에 대한 논쟁과도 관련이 있으며, 친러시아 문화 세력의 일부 지식인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다. 초기 동슬라브 부족인 크리비치의 전통에 초점을 맞추는 단체도 있고, 발트 토착 신앙에 기운 종교를 발전시킨 단체도 있다.

폴란드에서는 로마 가톨릭교가 지배적인 환경에서 슬라브 토착 신앙은 "매우 작은 종교"로 남아 있다. 2017년에는 2000명에서 2500명 사이의 신자들이 활동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주로 젊은 층이 많고 남성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체코 공화국에서도 슬라브 로드노베리에를 포함한 모든 이교도 공동체는 작은 규모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슬라브 로드노베리에 단체가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2000년에 원주 신앙 연합(''Společenství Rodná Víra'')을 결성했다.

불가리아,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 다른 슬라브 국가에서도 소규모 공동체가 존재한다. 불가리아의 일부 로드노베르들은 고대 투르크-몽골 종교의 영향을 받은 중앙아시아 샤머니즘 형태의 로드노베리를 지향하기도 한다. 리투아니아와 에스토니아의 러시아계 소수 민족 중에도 로드노베리에 신앙을 실천하는 사람들이 있다. 호주, 캐나다, 영국, 미국 등 우크라이나인 디아스포라 내에서도 여러 개의 토착 우크라이나 민족 신앙 (RUNVira) 교회가 있다.

참조

[1] 뉴스 Evaluation of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of the Institute of Philosophy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Ukraine Dmytro Bazik Segodnya 2013-07-07
[2] 서적 Ognyena Maria Philosophical Library
[3] 간행물 Polityka jedności w rodzimowierstwie polskim
[4] 서적 Prasłowiańskie motywy architektoniczne https://web.archive.[...] Orbis
[5] 웹사이트 Арийский миф — русский взгляд / Translation from French by Dmitry Bayuk. 25.03.2010 https://www.vokrugsv[...] Vokrug sveta 2010-03-25
[6] 웹사이트 Славянский Кремль Виталия Сундакова http://slavkreml.ru/
[7] 웹사이트 Храм Огня Сварожича http://www.rodnovery[...] Union of Slavic Native Belief Communities 2016-04-11
[8] 백과사전 Antonych, Bohdan Ihor http://www.encyclope[...]
[9] 웹사이트 Paganos de Rodnovery también participan en el conflicto ucraniano https://es-us.notici[...] es-us.noticias.yahoo.com 2015-08-15
[10] 뉴스 Locked up in the Donbas A look at the mass arrests and torture of civilians in Donetsk and Lugansk https://meduza.io/en[...] Meduza 2016-03-07
[11] 뉴스 Some in Donbas who want to create a new 'Russian world' are reaching back to pre-Christian times http://euromaidanpre[...] Euromaidan Press 2015-06-24
[12] 웹사이트 Sprawozdanie z III Ogólnopolskiego Zjazdu Rodzimowierców http://rodzimawiara.[...] ZW Rodzima Wiara 2015-11-01
[13] 웹사이트 Powołanie nowego związku wyznaniowego http://duchtynia.pl/[...] 2017-06-13
[14] 웹사이트 Александр Дугин: Осетинский народ сделал возможным возвращение России на имперскую орбиту http://iratta.com/os[...] 2009-10-07
[15] 웹사이트 Арена: Атлас религий и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https://docviewer.ya[...] Среда (Sreda)
[16] 웹사이트 Eestis registreeritud usulised ühendused https://www.sisemini[...] Estonia's Ministry of the Interior 2012-01-01
[17] 웹사이트 Southern Cross Rodnovery https://www.acnc.gov[...] Government of Australia
[18] 서적 Starożytna Polska Warszawa
[19] 서적 Wyrocznia Slowiańska Białystok
[20] 문서 Qualification of Slavic Rodnovery in Scientific Literature — Neopaganism or Native Religion http://www.svevlad.o[...]
[21] 문서 Russian Rodnoverie: Negotiating Individual Traditionalism http://www.cesnur.or[...]
[22] 간행물 Neo-Pagan Sacred Art and Altars: Making Things Whole 2004
[23] 문서 "Неоязычество и национализм", Восточноевропейский ареал
[24] 문서 Review: Неоязычество на просторах Евразии. М.,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