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징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징포어는 시나-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미얀마 북부 카친 주와 샨 주, 중국 윈난성, 인도 아삼 주와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등지에 분포한다. 카친족의 주요 언어이며, 징포어 화자는 약 90만 명으로 추산된다. 징포어는 로마자를 사용하는 문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문법적으로는 SOV 어순을 따르며, 동사 활용과 방향 접사가 특징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언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미얀마의 언어 - 리수어
    리수어는 중국 남서부 등지에서 사용되는 티베트-버마어족 언어로, 프레이저 문자로 문자화되었으나, 사용자 감소 문제와 다양한 방언 및 문자 체계가 존재한다.
  • 티베트버마어파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티베트버마어파 - 구룽어
    구룽어는 티베트-부르마어족의 구룽어파에 속하며 네팔과 인도에서 사용되는 성조 언어이다.
징포어
언어 정보
이름징포어
다른 이름카친어, 景颇语 (징포어), 싱포어
로마자 표기Jingpho
한자 표기징포어 (Jìngphòʔ gà)
ISO 639-2kac
ISO 639-3kac
Glottologjing1260
Glottolog 명칭징포어
사용 국가
국가미얀마, 중국, 인도
지역카친주, 잉장현
민족징포족
언어 분류
어족중국티베트어족
어파티베트-버마어파
어지살어
어군징포-루이어군
언어 상태
사용자 수약 942,500명 (1999–2001년)
문자 체계
문자라틴 문자
방언
방언 1싱포 방언
방언 2Dzili (Jili)
소수 언어
국가중국, 미얀마

2. 화자의 분포

징포어 화자의 대부분은 미얀마 북부의 카친 주 및 샨 주 북부에 거주한다. 또한, 일부 화자는 중국 윈난 성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인도의 아삼 주와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에도 거주한다. 특히 중국 방언은 징포어, 인도 방언은 싱포어라는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징포족의 인구는 약 90만 명이다.[4]

3. 카친족과 징포어

징포어는 카친족(카친)의 주요 언어이다. 카친족은 미얀마의 카친 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는 미얀마의 주요 민족 중 하나이다. 카친족은 징포어 외에도 자이와어(자이와), 론워어(라오보), 라왕어(라왕), 리스어(리스)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한다.[24] 카친족은 민족과 언어가 일대다 대응을 보이며 다언어 사용이 일반적이다. 징포어는 카친족의 공통어로서 카친 사람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4. 계통

징포어는 시노티베트어족(Sino-Tibetan) 티베트-버마어파(Tibeto-Burman)에 속하는 언어이며, 중국어, 미얀마어, 티베트어 등과 친연성을 나타낸다.[25][26]

5. 방언

징포어는 지리적으로 넓게 분포하여 다양한 방언을 가지고 있다. 비교 언어학적 증거에 따르면 징포어 방언은 크게 남부 방언군과 북부 방언군으로 나뉜다.[27]

징포어에는 적어도 16개의 방언이 있으며(Kurabe 2014:59), 가장 잘 기술된 방언은 표준 징포어와 Nkhum이다. 인도의 징포어 방언은 최근 Stephen Morey에 의해 문서화되었다. 카친 주 북부의 징포어 방언은 거의 기술되지 않았다.

''Ethnologue''는 '''둘렝'''(Dalaung, Dulong[4]), '''질리''' (Jili), '''흐카쿠''' (Hka-Hku), '''카우리''' (Gauri, Guari, Hkauri)를 목록에 올리고 있다. Ethnologue에 따르면, 질리는 별개의 언어일 수 있으며, 흐카쿠와 카우리는 약간의 차이만 있다. 기타 덜 기술된 징포어 방언으로는 '''뭉지'''와 '''자우붕'''이 있다.[5] '''샹케'''는 최근에 기술된 언어로 징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화자들은 스스로를 나가족이라고 인식한다.[6]

겅마 현에도 소규모 징포어 화자가 흩어져 있으며, 다음 마을을 포함한다 (다이 칭샤 2010).[7]


  • 징포 신자이 景颇新寨, 망캉 芒抗村, 허파이 贺派乡[12]
  • 널롱 那拢组, 농바 弄巴村, 겅마 耿马镇[13]
  • 허원 贺稳组, 징신 景信村, 멍딩 孟定镇[14]
  • 허볜자이 河边寨, 큐산 邱山村, 멍딩 孟定镇[15]
  • 차오바자이 草坝寨, 망아이 芒艾村, 멍딩 孟定镇[16]

5. 1. 남부 방언군


  • 표준 징포어: 미얀마 카친 주와 샨 주, 사가잉 구역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비 카친족 소수 민족도 사용한다. 주로 미치나, 바모, 쿠트카이 등에서 사용된다. 젊은 세대는 와 를 와 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와 구별된다. 샨 주에서 사용되는 표준 징포어는 단음절 단어에 ''ʔə''가 추가되는 경우가 많으며, 의문사 'ʔi'를 동사 앞에 둔다.[27]
  • 엔쿰/엔쿤 恩昆 (n̩˧˩kʰum˧ ka˧˩sit): 중국 윈난성 량허, 루이리, 룽촨, 루시 현에서 사용된다.[9] 중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징포어 방언이다. 엔쿰 방언은 긴장-이완 음역 대비를 보이지만, 샤단은 그렇지 않다. 샤단 방언은 -ŋ을 자주 사용하지만, 엔쿰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퉁비관 铜壁关''의 엔쿰 방언은 중국에서 징포어 표준으로 사용된다. 소수의 화자는 겅마 현에서도 발견된다.[7]
  • 샤단/시다안 石丹 (ʃă˩tan˧˩ ka˧˩sit; ʃă˩tam˧˩ ka˧˩sit[8]): 중국 윈난성에서 사용된다.[9] 잉장 현 盈江县에 위치한 카창 卡昌 및 타이핑 太平 (멍즈 蒙支의 거통 格同, 정통홍 正通硔,[10] 및 룽펀 龙盆[11]) 읍에서 사용된다.
  • 가우리/카우리 (kau˧ʒi˧˩ ka˧˩sit[8]): 바모 동쪽에 위치한 가우리 언덕에서 사용된다. 프랑 후둥, 만 다우, 카라윔 컹, 만다, 카 다우, 라마이 방, 범 와, 마 탕, 자카이, 로이 밍 등이 마을에 속한다. 중국에서는 룽촨 현의 허다오 贺岛와 홍카 硔카 마을, 그리고 잉장 현의 카창 卡场镇에서 약 300명이 가우리를 사용한다.
  • 멍즈 蒙支 (muŋ˧˩tʃi˧˩ ka˧˩sit): 잉장 현 盈江县의 멍즈 蒙支의 거통 格同과 정통유 正通猶 두 마을에서 약 200명이 사용한다.[8]
  • 팅나이: 카친 주 남부의 모닌 근처에서 사용된다.

5. 2. 북동부 방언군


  • '''딩가''': 카친 주 푸타오 인근의 딩가, 딩가 가브림 등 마을에서 사용된다. 2,000명에서 3,000명의 화자가 있다.[17]
  • '''둘렝''' (): 카친 주 푸타오, 마찬바 및 남 티상 계곡 인근에서 사용된다.[17]
  • '''딩판''': 카친 주 푸타오 인근에서 사용된다.
  • '''질리''' / '''드질리''', '''카쿠''': 카친 주 푸타오 인근에서 사용된다.
  • '''샹''': 카친 주 푸타오 인근에서 사용된다.
  • '''차센''': 카친 주 북서부에서 사용된다.

5. 3. 북서부 방언군 (싱포어)

인도 아삼 주와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에서 사용되는 싱포어는 다음과 같다.

  • '''디윤'''(Diyun): 인도에서 사용된다.
  • '''넘푸크'''(Numpuk): 인도 아삼 주 부리 디힝 강을 따라 위치한 20개 마을(잉통, 케테통, 인템, 쿰사이, 비사, 와군 1, 와군 2, 와군 3, 와케트 나, 케렘 비사, 구주, 기딩 등)에서 약 2,000명의 화자가 사용한다. 넘푸크에서는 이 강을 넘푸크 흐카 강이라고 부른다.
  • '''티엥'''(Tieng): 인도에서 사용된다.
  • '''투룽'''(Turung): 주로 티타보르 지역(파타르고안(나 크통), 티포미아, 파후카티아의 3개 마을)과 돈시리 강 계곡(발리파타르, 렝마이, 바사파타르의 마을)에서 약 1,200명의 화자가 사용한다. 투룽에는 타이 차용어가 많다. 일부 투룽 화자들은 스스로를 타이 민족이라고 인식하기도 한다.[27]

5. 4. 방언의 분류 (Kurabe, 2014)

원시 징포어za는 크게 남부 방언군과 북부 방언군으로 나뉜다.[27]

  • '''남부'''
  • 가우리(카우리)
  • 표준 징포어, 응쿰(엔쿤)
  • '''북부'''
  • '''북서부'''
  • 눔푸크
  • 투룽
  • '''북동부'''
  • 둘렝
  • 딩가


남부 분파는 일부 어휘에서 원시 징포어의 종결 자음 *-k가 소실되는 특징이 있다. 북부 분파는 다음과 같은 원시 징포어 음소의 합병으로 특징지어진다.[27]

  • *ts-와 *c-
  • *dz-와 *j-
  • *ʔy-와 *∅- (전설 모음 앞에서)
  • 원시 징포어 평음 및 성문 파열 자음의 합병


미얀마 카친 주의 주도 미치나에서 사용되는 징포어와 중국의 징포어는 남부 방언군에 속하며, 비교적 가까운 관계에 있다. 북부 방언군은 인도의 심포어와 미얀마 푸타오(Putao) 근교에 분포하는 두렌 방언을 포함한다.

6. 문자

징포어 문자는 23개의 문자로 구성된 라틴 문자 기반의 알파벳으로, 19세기 말 미국 침례교 선교사들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변별 기호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21] 올라 한슨은 이 알파벳을 만든 사람들 중 한 명으로, 1890년 미얀마에 도착하여 징포어를 배우고 최초의 카친-영어 사전을 저술했다.

징포어 알파벳[21]
A
ʔà|아my
Ă
ʔa̰|아my
E
ʔɛ̰|에my
Ē
ʔɛ̀|에my
È
ʔɛ́|에my
I
ʔì|이my
O
ʔɔ̀|오my
U
ʔù|우my
AI
ʔàɪɴ|아이my
AU
ʔáʊɴ|아우my
AW
ʔɔ́|오my
OI
ʔʊ̀ɛ́|오이my
B
ba̰|바my
CHY
t͡ɕa̰|차my
D
da̰|다my
G
ɡa̰|가my
GY
ɡa̰ja̰|갸my
H
ha̰|하my
J
d͡ʑa̰|자my
K
ka̰|카my
KY
ka̰ja̰|캬my
HK
kʰa̰|카my
HKY
kʰa̰ja̰|캬my
L
la̰|라my
M
ma̰|마my
N
na̰|나my
NG
ŋa̰|응아my
NY
ɲa̰|냐my
P
pa̰|파my
HP
pʰa̰|파my
HPY
pʰa̰ja̰|퍄my
R
ja̰|야my
S
sʰa̰|사my
SH
ʃa̰|샤my
T
ta̰|타my
TS
sa̰|사my
HT
tʰa̰|타my
W
wa̰|와my
Y
ja̰|야my
Z
za̰|자my



징포어는 미얀마 문자로도 표기된다.[22]

징포어는 로마자를 사용하는 정서법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정서법은 1890년대 미국 침례교 선교사 올라 한슨(Ola Hanson)에 의해 고안되었다. 징포어는 동남아시아 산악 지역 민족 중 가장 먼저 문자를 갖게 된 언어 중 하나이며, 현재도 카친족 사이에서 널리 사용된다.[28] 20세기 이후, 카친족의 다른 언어 정자법도 징포어 정자법을 기반으로 고안되었다.

7. 음운론

징포어는 최대 CCVC의 음절 구조를 가진다. 초성 자음이 양순음이나 연구개음일 경우, 중간 자음으로 /r/과 /y/가 올 수 있다. 종성 자음으로는 /p, t, k, ʔ, m, n, ŋ, w, y/가 나타날 수 있다. 31개의 자음 음소와 5개의 기본 모음을 가지며, 4개의 성조를 가진 음절 성조 언어이다.[29]

표준 징포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

colspan="2" rowspan="2" |순음치경음경구개음권설음연구개음성문음
평음구개음화이차 조음평음구개음화평음구개음화이차 조음
비음유성음
성문 폐쇄음화
파열음무성
유기음
유성
파찰음무성
유성
마찰음
접근음중설
성문 폐쇄음화


  • 는 주변적인 소리로, 주로 외래어에서 나타난다.
  • 마찰음 로 소리가 나기도 한다.

7. 1. 모음

징포어의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뉜다. 단모음에는 a, i, u, e, aw[ɔ], ă[ə]가 있으며, 이중모음에는 ai, oi[ɔɪ], wi[ui], au가 있다.[30] 단모음은 ă[ə]를 제외하고 단어 끝에서 길게 소리낸다.[31]

align="center" |


7. 2. 자음

징포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자음 표
양순음치경음치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무성 무기 파열음/파찰음ptts (s)kq
유성 파열음/파찰음bdzɡ[32]
무성 유기 파열음/파찰음
마찰음ɕ(h)
비음mnŋ
유음lɻ~ʐ
접근음wj


  • (h)는 주변적인 소리로, 주로 외래어에서 나타난다.
  • (r)는 마찰음 [ʐ]로 소리나기도 한다.


표준 징포어에서 젊은 세대는 (ts)와 (dz)를 (s)와 (z)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sʰ)와 구별된다.[9]

가능한 자음 결합은 다음과 같다.

  • pr, br, pʰr, pʲ
  • bʲ, pʰʲ, mʲ
  • kr, ɡr, kʰr
  • kʲ, ɡʲ, kʰʲ, nʲ


어말 자음에는 p̚, t̚, k̚, m, n, ŋ 및 ʔ (정서법상 표기되지 않음)이 올 수 있다. p, t, k는 내파음이다.

성절 비음(Syllabic Nasal)이라 불리는, 어두에 n을 갖는 단어도 존재한다 (예: nta|은따kac "집"). 이 때문에 ngu|응우kac "말하다"와 n̩ gu|응우kac "쌀" 처럼, ng와 n-g가 대립하기도 한다.

7. 3. 성조

징포어는 정서법으로는 표기되지 않지만, 열린 음절에서 4개의 성조를 가지며, 닫힌 음절에서는 2개의 성조(높은 성조와 낮은 성조)를 가진다.[18] 성조는 일반적으로 표기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이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18]

성조정서법
높음á
중간a
낮음à
하강â



높은 평탄조/상승조([55]~[35]), 중간 평탄조([33]), 낮게 하강하는 피치([31]), 높은 피치에서 급격하게 하강하는 성조([51])가 있다. 다만 ă는 성조의 대립을 가지지 않는다.[29]

8. 형태론

징포어의 주요한 어형성 수단으로는 복합, 중복, 접사 부가, 제로 파생 등이 있다.


  • 복합: shata "달" + pan "꽃" → "해바라기"
  • 중복: jau "빠르다" → jau jau "빨리"
  • 접사: sha "먹다" → shat "밥"
  • 제로 파생: tsip "둥지" → tsip "둥지를 만들다"


징포어의 동사에 관련된 문법 범주로서 상, 인칭, , 법 및 '''방향'''이 있다.[1]

주어의 인칭과 수에 일치하는 동사 접사가 존재하며, 미완료상과 완료상에서는 동사 뒤에 붙는 접사가 다르다. 또한, 명령문이나 의문문에서는 다른 인칭 접사가 나타난다.[2]

징포어의 주어 인칭 접사[3]
미완료완료
1인칭 단수n̩31 ŋai33săŋai33
2인칭 단수n̩31 tai33sin33 tai33
3인칭 단수ai33sai33
1인칭 복수kaʔ31 ai33săkaʔ55 ŋai33
2인칭 복수mătai33măsin33 tai33
3인칭 복수maʔ31 ai33măsai33



이러한 표지는 동사 뒤에 붙는다.


  • (1) ŋai33 lai31 ka̠33 ʃărin55 '''n̩31 ŋai33'''
    나(는) (서적을) 배우다
    "나는 학습한다"[4]

  • (2) khji33 tʃoŋ31 luŋ31 '''sai33'''
    그(는) 학교(에) 갔다
    "그는 학교에 갔다."[5]


주어 외에 목적어의 인칭도 접사를 통해 나타낸다. 또한, 주어 또는 목적어 소유자의 인칭이 동사에 표시되는 특수한 구문도 존재한다.[6] 다만, 현대 징포어에서는 인칭 일치를 가지지 않는 언어와의 접촉 결과로 이러한 접사들이 거의 소실되었다.[7]

'''방향 접사'''

쿠키친어군과 같은 다른 티베트-버마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동작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접사'''가 동사에 붙는다. 징포어의 방향 접사에는 "가다"를 나타내는 -s와 "오다"를 나타내는 -r이 있으며, 각각 인칭 접사 앞에 나타난다.[8] 동사 sa "가다, 오다"는 방향 접사와 함께 사용하여 동작 방향을 지정한다.[9]

  • (3) sa-s-ìt-Ø.
    가다/오다-(가다)-(2인칭 단수.명령)-미완료
    "가라."[10]

  • (4) sa-r-ìt-Ø.
    가다/오다-(오다)-(2인칭 단수.명령)-미완료
    "오너라."[11]

9. 통어론

SOV형 언어이다. 문장 내 명사구의 역할은 격조사에 의해 표시된다. 주어와 목적어의 상대적 유정성에 따라 목적어의 격표지가 결정된다. 다른 동남아시아 대륙부 언어와 마찬가지로 동사 연쇄 구문을 발달시켰다.

10. 어휘

징포어 어휘집에는 티베토-버마어족 어휘와 버마어, 샨어를 포함한 비티베토-버마어족 어휘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19] 버마어 차용어는 두 개의 층위를 반영하는데, 하나는 보수적인 표기 버마어의 음운론을 반영하는 오래된 층위이고, 다른 하나는 현대 버마어 음운론에서 파생된 단어를 반영하는 새로운 층위이다.[19] 오래된 층위는 버마어 어휘의 현대 이전 음운론을 나타내는 샨어를 통해 버마어에서 차용된 어휘로 구성되어 있다.[19] 징포어는 또한 샨어에서 많은 어휘를 차용했으며, 수세기 동안 샨어와 긴밀한 민족언어적 접촉을 해왔다.[20] 미얀마 북부 고원 지대의 공용어인 징포어는 다시 라왕어 및 자이와어와 같은 다른 지역 언어에 어휘의 원천이 되었다.[19]

분류내용
인칭 대명사ngai "나", nang "너", shi "그・그녀", anhte "우리", nanhte "너희들", shanhte "그들"
지시사ndai "이것", dai "그것", wora "저것" (화자와 같은 위치를 가리킴), htora "저것" (화자보다 높은 위치), lera "저것" (화자보다 낮은 위치)
의문사hpa "무엇", kadai "누구", gara "어디", galoi "언제", gade "얼마", ganing "어떻게"
수사langai "1", lahkawng "2", masum "3", mali "4", manga "5", kru "6", sanit "7", matsat "8", jahku "9", shi "10", hkun "20"
신체 부위baw "머리", myi "눈", na "귀", n-gup "입", kara "머리카락", du "목", lata "손", lagaw "다리", lamyin "손톱", hkum "몸"
친족 명칭nu "어머니", wa "아버지", hpu "형", na "누나", nau "남동생, 여동생", sha "아이", ji "할아버지", dwi "할머니", shu "손자"
격조사hpe "을/를", kaw "에서", hta "에서", de "로", kaw na "에서", hte "와", a "의", na "의"
색채hpraw "흰색", chyang "검은색", hkyeng "빨간색", tsit "녹색", mut "파란색"


11. 차용어

카친족은 타이족과 오랫동안 공생 관계에 있었으며, 카친족의 일부가 타이족이 되는 사례는 해당 지역의 민족 유동성을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33] 카친족과 타이족의 긴밀한 관계는 언어에도 차용어의 형태로 반영되어 있다. 미얀마의 현대 공용어인 미얀마어의 많은 부분도 원래는 샨어를 거쳐 카친 제어에 차용된 것으로 추정된다.[34]

12. 인사말

한국어징포어
잘 지내세요?가자 아이
감사합니다츠예주 카바 사이
밥 먹었어요?샤트 샤 응우트 사이
안녕와 사나 야우


참조

[1] 뉴스 Jinghpaw ngu ai kadai The Kachin Times 2015
[2] 웹사이트 ISO 639 Code: kac http://www.ethnologu[...] 2008-06-08
[3] 웹사이트 Myanmar http://www.ethnologu[...] 2016
[4] 문서
[5] 웹사이트 Kurabe Keita http://researchmap.j[...]
[6] 서적 The Shanke Language Research Institute for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and Africa (ILCAA) 2015
[7] 서적 Gěngmǎ xiàn jǐngpǒzú yǔyán shǐyòng xiànzhuàng jíqí yǎnbiàn Shangwu yinshuguan 2010
[8] 서적 Yúnnán shěngzhì, Juǎn wǔshíjiǔ: shǎoshù mínzú yǔyán wénzì zhì Yunnan renmin chubanshe 1998
[9] 서적 Jǐngpǒzú yǔyán jiǎnzhì Minzu chubanshe 1984
[10] 웹사이트 Yíngjiāng Xiàn Tàipíng Zhèn Kǎyá Cūn Zhèngtōng Gǒng Zìráncūn http://www.ynszxc.go[...] 2015-09-24
[11] 웹사이트 Yíngjiāng Xiàn Tàipíng Zhèn Lóngpén Cūn http://www.ynszxc.go[...] 2015-09-24
[12] 웹사이트 Gěngmǎ Dǎizú Wǎzú Zìzhìxiàn Hèpài Xiāng Mángkàng Cūnmín Wěiyuánhuì Jǐngpǒ Zìráncūn http://www.ynszxc.go[...] 2015-09-24
[13] 웹사이트 Gěngmǎ Dǎizú Wǎzú Zìzhìxiàn Gěngmǎ Zhèn Nòngbā Cūnwěihuì Nòngbā Dàzhài (Nàlǒng) Zìráncūn http://www.ynszxc.go[...] 2015-09-24
[14] 웹사이트 Gěngmǎ Dǎizú Wǎzú Zìzhìxiàn Mèngdìng Zhèn Jǐngxìn Cūnwěihuì Hèwěn Zìráncūn http://www.ynszxc.go[...] 2015-09-24
[15] 웹사이트 Gěngmǎ Dǎizú Wǎzú Zìzhìxiàn Mèngdìng Zhèn Qiūshān Cūnwěihuì Hébiānzhài Zìráncūn http://www.ynszxc.go[...] 2015-09-24
[16] 웹사이트 Gěngmǎ Dǎizú Wǎzú Zìzhìxiàn Mèngdìng Zhèn Mángài Cūnwěihuì http://www.ynszxc.go[...] 2015-09-24
[17] 논문 Jingpo Dulianhua gaikuang 2006
[18] 논문 Phonological Inventories of Seven Jingphoish Languages and Dialects 2014
[19] 논문 Phonology of Burmese Loanwords in Jinghpaw 2016
[20] 논문 A Classified Lexicon of Shan Loanwords in Jinghpaw 2017
[21] 웹사이트 https://kachinportal[...]
[22] 웹사이트 Jingpho (Jìngphòʔ gà / ဈိာင်ေဖါစ်) https://www.omniglot[...] 2021-02-08
[23] 서적 A Grammar of the Kachin Language. American Baptist Mission Press 1896
[24] 서적 Jinghpaw and related languages. In Kenneth VanBik (ed.) Continuum of the Richness of Languages and Dialects in Myanmar, 71-101, 143-168. Chin Human Rights Organization 2015
[25] 서적 Sino-Tibetan: A Conspect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2
[26] 서적 Handbook of Proto-Tibeto-Burman: System and Philosophy of Sino-Tibeto-Burman Reconstru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27] 논문 The reflexes of the Proto-Jingpho glides in modern Jingpho dialects.''Linguistics of the Tibeto-Burman Area'' 37(2): 181-197. 2014
[28] 간행물 Orthography and vernacular media: The case of Jinghpaw-Kachin. 2015
[29] 서적 Jinghpaw. In Graham Thurgood and Randy J. LaPolla (eds.) The Sino-Tibetan Languages, 993-1010. Routledge 2017
[30] 문서
[31] 웹사이트 https://publication.[...]
[32] 문서
[33] 서적 Political Systems of Highland Burma: A Study of Kachin Social Structure. G. Bell and Sons 1954
[34] 논문 A Classified Lexicon of Shan Loanwords in Jinghpaw https://hdl.handle.n[...]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